KR101982327B1 -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327B1
KR101982327B1 KR1020180017145A KR20180017145A KR101982327B1 KR 101982327 B1 KR101982327 B1 KR 101982327B1 KR 1020180017145 A KR1020180017145 A KR 1020180017145A KR 20180017145 A KR20180017145 A KR 20180017145A KR 101982327 B1 KR101982327 B1 KR 10198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loud server
smart glass
client terminal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진
Original Assignee
정용진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진,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filed Critical 정용진
Priority to KR102018001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에 영상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편성을 통해 다수의 스마트 글라스에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다중 송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 송출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업로드한 영상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입력한 영상 편성표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영상 편성표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영상을 송출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클라우드 서버에 영상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각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영상 편성표를 입력하며,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플레이어 프로그램이 각각 설치되는 하나로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일대일로 구비되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와, DC구형파(교류) 인가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투명 상태로 반대쪽을 보여주는 스마트 글라스, 및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DC구형파(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subway station building advertisement system using Multiple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서버에 영상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편성을 통해 다수의 스마트 글라스에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다중 송출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는 잠재적인 소비자에게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구입 방법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하고,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같은 새로운 매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 네트워크 등 다양한 IT 기술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지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광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의미한다.
이 디지털 사이니지의 초기 형태는 간판이나 빌보드를 PDP, LCD, LED 등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고, 미리 제작된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저장하여 재생하는 방식이었다가 최근에는 통신망을 통한 네트워크형 디지털 사이니지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사이니지는 PDP, LCD, LED 등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전시 공간이 필요하고,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크기에 제한이 따른다.

한편, 지하철 등의 전동차 역사의 승강장은 승객들의 진입금지를 나타내는 진입금지선(안전선)이 주로 노란색으로 표시되는데, 승객들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입금지선은 실수, 과음 또는 장난 등으로 인하여 승강장에서 승객들이 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차 승강장과 전동차 주행선로 사이를 구획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Platform Screen Door)가 제안되고 있다.
이 스크린 도어는 스크린부와 자동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동도어의 양측에는 자동도어의 고장 등과 같은 비상시 개폐될 수 있는 안전지대로서 비상구패널이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스크린 도어의 스크린부는 유휴공간으로서 광고시설물을 부착하기에 적당하여 광고방식으로 간단하게는 필름과 같은 인쇄시트를 부착한 라이트보드를 스크린부에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보드 또는 보드에 구비되는 필름의 탈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빈번한 교체를 요하는 광고매체의 특성상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번호 제10-0767709호에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의 유리에 광고영상을 표시하는 광고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리는 상기 스크린 도어의 프레임을 제외한 부분 즉, 스크린부, 비상구패널 그리고 자동도어의 유리를 말하는 것으로, 이 선행특허는 유리에 표시장치가 설치되어 그만큼 스크린 도어의 무게가 증가하여 비상시 개폐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프레임에 의해 유리의 사이즈가 제한적이어서 대형 이미지의 제공이 부족하며 대형 광고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10-2016-0105765호(공개일자 2016년09월07일) 등록번호 제10-0767709호(공고일자 2007년10월1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라우드 서버에 영상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편성을 통해 다수의 스마트 글라스에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다중 송출함으로써 스마트 글라스 사이즈에 맞게 최대 화면부터 작은 창 사이즈까지 사용자 편의에 맞게 송출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개별 영상을 동시에 붙여서 송출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다중 송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철이 통과하는 역사의 구조물에 패턴이 형성된 스마트 글라스를 설치하고, 안전선이 표시된 승강장 하부에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전철이 통과하거나 정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광고함으로써 비상시에 스크린 도어를 개폐할 수 있어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고, 운행되는 전철과 연동하는 흥미로운 광고에 의해 주목도를 향상시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다중 송출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업로드한 영상(이미지 포함)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입력한 영상 편성표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영상 편성표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영상을 송출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클라우드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해서 영상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각 클라이언트 단말에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영상 편성표를 입력하며,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플레이어 프로그램이 각각 설치되는 하나로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일대일로 구비되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DC구형파(교류) 인가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투명 상태로 반대쪽을 보여주는 스마트 글라스; 및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DC구형파(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칭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클라이언트 단말은 웹브라우저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글라스는 PDLC나 SP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스위칭부는 AC 전압에서 DC구형파(교류)로 변환된 DC구형파(교류)의 위상과 스마트 글라스의 구동 환경이 맞으면 DC구형파(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글라스 하나에 다수의 영역을 구하기 위한 패턴을 형성하여 전원스위칭부의 전압인가 제어와 한 프로젝터에서의 영상 송출 제어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로 그룹화된 클라이언트 단말 간은 허브(hub)와 같은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다중 송출방법은, (a) 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클라이언트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영상 편성표를 입력하며, 클라우드 서버에서 업로드한 영상과 영상 편성표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영상 편성표에 따라 자동으로 하나로 그룹화된 클라우드 단말들에 해당 영상을 송출하는 단계; 및
(d) 하나로 그룹화된 각 클라우드 단말에서 영상 편성표의 편성 시간에 맞춰 다운로드한 영상을 프로젝터를 통해 스마트 글라스에 투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다수의 스마트 글라스가 종이나 횡 또는 종횡으로 배열되는 경우 스마트 글라스들을 하나 이상으로 그룹핑하여 스마트 글라스에의 전압인가 제어와 각 프로젝터에서의 영상 송출 제어를 연동하여 다중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d)단계에서 하나의 스마트 글라스에 다수의 영역을 구하기 위한 패턴을 형성하여 각 영역별 또는 그룹핑된 영역별에의 전압인가 제어와 한 프로젝터에서의 영상 송출 제어를 연동하여 다중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전철역사 광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글라스 다수가 전철역사의 선로 측에 세워진 구조물을 따라 횡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글라스의 수만큼 대피공간이 형성된 플랫폼의 하부에 스마트 글라스를 향해 광고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설치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는 광고영상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글라스 하나에 다수의 영역을 구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되고 각 영역별 또는 그룹핑된 영역별에의 전압인가 제어와 한 프로젝터에서의 영상 송출 제어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철역사 내의 전철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이 센서의 감지 신호와 연동해서 광고영상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철이 진입하는 동안 진입 방향을 따라 송출되고 있던 광고영상의 송출이 차례로 중단되고, 전철이 진출하는 동안 진출 방향을 따라 송출이 중단되었던 광고영상이 차례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클라우드 서버에 영상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편성을 통해 다수의 스마트 글라스에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다중 송출함으로써 스마트 글라스 사이즈에 맞게 최대 화면부터 작은 창 사이즈까지 사용자 편의에 맞게 송출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개별 영상을 동시에 붙여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전철이 통과하는 역사의 구조물에 패턴이 형성된 스마트 글라스를 설치하고, 안전선이 표시된 승강장 하부에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전철이 통과하거나 정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광고함으로써 비상시에 스크린 도어를 개폐할 수 있어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고, 운행되는 전철과 연동하는 흥미로운 광고에 의해 주목도를 향상시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다중 송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중 송출시스템에 의한 다중 송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송출방법에 의한 출력 예시 영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철역사 광고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철역사 광고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다중 송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출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10), 클라이언트 단말(20a,20b,…), 프로젝터(30a,30b,…), 디스플레이(스마트 글라스)(40a,40b,…), 전원스위칭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20a,20b,…)이 하나로 그룹화되어 하나의 영상 편성표에 의해 영상을 송출한다.
상기 하나로 그룹화된 클라이언트 단말들(20a,20b,…) 중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20a)과 클라우드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포함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20a,20b,…) 간은 허브(hub)와 같은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클라우드 서비스는 영화, 사진, 음악 등 미디어 파일 문서 주소록 등 사용자의 콘텐츠를 서버에 저장해 두고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 컴퓨터를 포함한 어느 기기에서든 다운로드 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서버(10)는 이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인터넷)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예를 들어 20a)에서 업로드한 영상(이미지 포함)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단말(20a)에서 작성한 예를 들어 TV 편성표와 같이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영상 편성표를 저장하며, 이후 영상 편성표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20a)에 영상을 송출하여 편성 시간에 맞춰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투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a)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10)에 접속해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며,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20a,20b,…)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10)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a)은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한 후 영상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영상 편성표를 작성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다수의 디스플레이(스마트 글라스)(40a,40b,…)가 종이나 횡 또는 종횡으로 연달아 배열된 경우, 각 클라이언트 단말(20a,20b,…)에서 원하는 영상이나 편성 시간대를 다르게 또는 같게 하여 영상 편성표를 작성할 수 있고, 상기 영상 편성표에 맞추어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웃한 두 영상이 나란히 스마트 글라스에 투사되는 경우 영상과 영상의 경계에 하얀색 화면이 투사되는 경우 각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경계면을 자연스럽게 융합할 수 있는 엣지 블렌딩(Edge Blending) 기술을 통하여 경계가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와 같이 여러 개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개별 영상을 통시에 붙여서 투사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a,20b,…)은 웹브라우저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등을 포함하며 어디서나 영상 편성표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10)의 영상 편성표에 따라 자동으로 송출한 영상을 다운로드 하며 편성 시간에 맞춰 영상을 프로젝터(30a,30b,…)를 통해 디스플레이(40a,40b,…)에 투사한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20a,20b,…)은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30a,30b,…)당 한 대씩 연결된다.
상기 프로젝터(30a,30b,…)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20a,20b,…)에 제공하는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40a,40b,…)에 투사한다.
상기 프로젝터 대신에 DID나 LED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즉, 스마트 글라스(40a,40b,…)는 프로젝터(30a,30b,…)가 설치된 공간에 설치되며, DC구형파(교류) 인가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프로젝터(30a,30b,…)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투명하게 되어 반대쪽이 보이도록 한다.
이러한 스마트 글라스(40a,40b,…)로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나 SPD(suspended particle devices)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글라스(40a,40b,…)는 프로젝터(30a,30b,…)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영상이 투사되는 경우 전원스위칭부(50)의 전원 공급 유무에 따라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경된다.
스마트 글라스(40a,40b,…)의 반대쪽을 보여줄 경우, 스마트 글라스(40a,40b,…)는 전원스위칭부(50)의 제어에 따라 투명 상태로 변경된다.
스마트 글라스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투명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스마트 글라스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투명 상태를 유지하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불투명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0a,20b,…)은 영상 편성표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10)에서 송출한 영상을 다운로드 하면, 프로젝터(30a,30b,…)의 구동을 제어하여 스마트 글라스(40a,40b,…)에 다운로드한 영상을 표시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20a,20b,…)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10)에서 송출한 영상을 다운로드 하면, 다운로드한 영상을 프로젝터(30a,30b,…)로 제공하고, 프로젝터(30a,30b,…)는 1대 1로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20a,20b,…)의 제어에 따라 제공받은 영상을 스마트 글라스(40a,40b,…)에 투사한다. 이때 전원스위칭부(50)에서 스마트 글라스(40a,40b,…)로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를 통해서 스마트 글라스(40a,40b,…)의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프로젝터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전원스위칭부(50)는 AC(60Hz) 전압에서 DC구형파(교류)로 변환된 DC구형파(교류)의 위상과 스마트 글라스의 구동 환경(편성 시간에 의해 스마트 글라스에 영상이 투사되는 조건)이 맞으면 미도시된 MCU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 글라스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도 1의 다중 송출시스템에 의한 다중 송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라스가 예를 들어 A1, A2 2개인 경우 영상 편성표에 따라 영상 제어는 소프트웨어(클라이언트 플레이어 프로그램)에 의해, 전원 공급 제어는 하드웨어(전원스우칭부)에 의해 할 수 있다.
즉, 영상 편성표에 따라 상기 A1과 A2 2개의 스마트 글라스에 영상을 모두 송출하는 경우, 이에 맞추어 A1과 A2 2개의 스마트 글라스에 모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 볼투명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영상 편성표에 따라 상기 A1의 스마트 글라스에만 영상을 모두 송출하는 경우(A2 스마트 글라스에 블랙 송출), 이에 맞추어 A1의 스마트 글라스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고, A2 스마트 글라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투명 상태로 변경한다.
상기 영상 편성표에 따라 상기 A2의 스마트 글라스에만 영상을 모두 송출하는 경우(A1 스마트 글라스에 블랙 송출), 이에 맞추어 A2의 스마트 글라스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고, A1 스마트 글라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투명 상태로 변경한다.
상기 영상 편성표에 따라 상기 A1과 A2 2개의 스마트 글라스에 영상을 모두 송출하지 않는 경우(A1과 A2 스마트 글라스에 블랙 송출), 이에 맞추어 A1과 A2 2개의 스마트 글라스에 모두 전원을 공급하여 투명 상태로 변경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송출방법에 의한 출력 예시 영상이다.
도 3a는 스마트 글라스를 3x3으로 배열한 경우 9개의 스마트 글라스 전체를 하나로 그룹핑하여 하나의 영상을 송출한 것을 보여준다.
도 3b는 스마트 글라스를 6x2로 배열한 경우 3x1 스마트 글라스를 하나로 그룹핑하여 각 그룹별 스마트 글라스에 하나의 영상을 각각 송출한 것을 보여준다.
도 3c는 스마트 글라스를 6x2로 배열한 경우 상부는 6x1 스마트 글라스를, 하부는 3x1 스마트 글라스를 하나로 그룹핑하여 각 그룹별 스마트 글라스에 하나의 영상을 각각 송출한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에서는 스마트 글라스당 하나의 프로젝터를 구비하여 하나의 스마트 글라스 전체에 영상을 송출하거나 또는 송출하지 않는 다중 송출을 예를 들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마트 글라스(40)에 다수의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패턴을 형성하여 하나의 프로젝터(30)에서 스마트 글라스(40)의 각 영역별로 영상을 송출하거나 또는 송출하지 않는 다중 송출을 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마트 글라스(40)를 패턴에 의해 4x3 영역으로 구획하는 경우, 각 영역에 공급되는 전원의 인가 유무가 각각 제어되어 영상이 송출되지 않는 영역만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다수의 영역을 하나 이상으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영역별로 다중송출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1과 같은 다중 송출시스템의 구성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네트워크(인터넷)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해서 회원으로 가입한다.
다음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우드 서버의 다중 송출서비스를 받기 위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설치한다(S502).
다음 클라이언트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해서 로그인한 후(S504), 하나 이상의 영상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영상을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영상 편성표를 입력하며, 클라우드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업로드한 영상과 영상 편성표를 저장한다(S506).
다음 클라우드 서버는 영상 편성표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클라우드 단말에 해당 영상을 송출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S508).
클라우드 단말은 상기 영상 편성표의 편성 시간에 맞춰 다운로드한 영상을 프로젝터를 통해 디스플레이인 스마트 글라스에 송출한다(S510).
이때 다수의 스마트 글라스가 종이나 횡 또는 종횡으로 배열되는 경우 스마트 글라스들을 하나 이상으로 그룹핑하여 스마트 글라스에의 전압인가 제어와 프로젝터에서의 영상 송출 제어를 연동하여 다중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마트 글라스에 다수의 영역을 구하기 위한 패턴을 형성하여 하나의 프로젝터에서 각 영역별(또는 그룹핑된 영역별)에의 전압인가 제어와 프로젝터에서의 영상 송출 제어를 연동하여 다중 송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철역사 광고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대식 승강장인 경우의 전면투사방식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철역사(100)에는 전철이 지나가는 선로(120) 측에 다수의 구조물(110)이 일정 간격으로 세워지고, 전철을 기다리는 승객이 위치하는 플랫폼(120)은 선로 측으로 그 상부가 돌출되어 그 선로 측 플랫폼 하부에는 대피공간(130)이 형성되며 바닥에는 전철의 정차시 승강문과 대응하는 위치에 안전선이 표시된다.
이러한 전철역사(100)에서 반사형 스크린 역할을 하는 상술한 스마트 글라스(40) 다수가 상기 구조물(110)을 따라 횡으로 설치되고(전철이 10량인 경우 10량의 전철 길이만큼 스마트 글라스가 설치될 수 있음), 상기 스마트 글라스(40)의 수만큼 대피공간(130)이 형성된 플랫폼(120)의 하부에 스마트 글라스(40)를 향해 광고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프로젝터(30)가 설치되며, 클라우드 서버(10)에는 광고영상과 그 그 영상 편성표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 글라스(40)에는 도 4처럼 패턴에 의해 영역이 구획될 수 있고 각 영역별로 전압인가가 제어되고 프로젝터의 광고영상 송출이 제어되어 하나의 스마트 글라스(40)를 통해서 광고영상을 다중 송출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역사 내로의 전철 위치(진입과 진출 및 정차)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이 센서의 감지 신호와 연동하여 상기 광고영상을 송출한다.
이에 의해 상기 편성표에 의해 광고영상이 송출되다가 전철이 진입, 정차, 진출하는 동안에 광고영상이 송출되지 않는다(이때 스마트 글라스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센서에서 전철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철이 진입하는 동안 진입 방향을 따라 송출되고 있던 광고영상의 송출을 차례로 중단하고, 전철이 진출하는 동안 진출 방향을 따라 송출이 중단되었던 광고영상을 차례로 송출하여 광고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철역사 광고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섬식 승강장인 경우의 후면투사방식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식 승강장의 전철역사(100)에서 후면투사방식은 선로(140) 측의 예를 들어 구조물(110)에 프로젝터(30)를 설치하고, 플랫폼(120)의 스크린 도어(150)에 투과형 스크린(42)을 부착하여 광고영상을 후면에서 투사하는 방식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클라우드 서버 20,20a,20b,…: 클라이언트 단말
30,30a,30b,…: 프로젝터
40,40a,40b,…: 디스플레이(스마트 글라스)
50: 전원 스위칭부 100: 전철역사
110: 구조물 120: 플랫폼
130: 대피공간 140: 선로

Claims (13)

  1. 영상 편성표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 영상을 송출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플레이어 프로그램이 각각 설치되는 하나로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DC구형파(교류) 인가전압에 따라 광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투명 상태로 반대쪽을 보여주는 스마트 글라스; 및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DC구형파(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칭부; 를 구비하는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전철역사 광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글라스 다수가 전철역사의 선로 측에 세워진 구조물을 따라 횡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글라스의 수만큼 대피공간이 형성된 플랫폼의 하부에 스마트 글라스를 향해 광고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설치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는 광고영상이 저장되되,
    상기 전철역사 내의 전철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 신호와 연동해서 광고영상이 송출되어 상기 전철이 진입하는 동안 진입 방향을 따라 송출되고 있던 광고영상의 송출이 차례로 중단되고, 전철이 진출하는 동안 진출 방향을 따라 송출이 중단되었던 광고영상이 차례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전철역사 광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이고, 클라이언트 단말은 웹브라우저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전철역사 광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글라스는 PDLC나 SP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전철역사 광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칭부는 AC 전압에서 DC구형파(교류)로 변환된 DC구형파(교류)의 위상과 스마트 글라스의 구동 환경이 맞으면 DC구형파(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전철역사 광고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로 그룹화된 클라이언트 단말 간은 허브(hub)와 같은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전철역사 광고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글라스 하나에 다수의 영역을 구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되고 각 영역별 또는 그룹핑된 영역별에의 전압인가 제어와 한 프로젝터에서의 영상 송출 제어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전철역사 광고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17145A 2018-02-12 2018-02-12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KR10198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45A KR101982327B1 (ko) 2018-02-12 2018-02-12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45A KR101982327B1 (ko) 2018-02-12 2018-02-12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327B1 true KR101982327B1 (ko) 2019-05-28

Family

ID=6665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145A KR101982327B1 (ko) 2018-02-12 2018-02-12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3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33B1 (ko) * 2020-02-05 2021-04-01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53072B1 (ko) 2020-12-09 2021-05-17 주식회사 인터브리드 스마트 필름이 적용되는 스크린과 빔 프로젝터의 원격 제어를 활용한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20104649A (ko) * 2021-01-18 2022-07-26 (주)크레스코글로벌 개량형 스크린도어 시어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09B1 (ko) 2006-04-19 2007-10-18 조재홍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광고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20107395A (ko) * 2011-03-21 2012-10-02 지병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60105765A (ko) 2015-02-02 2016-09-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09B1 (ko) 2006-04-19 2007-10-18 조재홍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광고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20107395A (ko) * 2011-03-21 2012-10-02 지병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60105765A (ko) 2015-02-02 2016-09-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101741001B1 (ko) * 2015-02-02 2017-05-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33B1 (ko) * 2020-02-05 2021-04-01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53072B1 (ko) 2020-12-09 2021-05-17 주식회사 인터브리드 스마트 필름이 적용되는 스크린과 빔 프로젝터의 원격 제어를 활용한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20104649A (ko) * 2021-01-18 2022-07-26 (주)크레스코글로벌 개량형 스크린도어 시어터 시스템
KR102640833B1 (ko) * 2021-01-18 2024-02-27 주식회사 오르비스 이앤씨 개량형 스크린도어 시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7B1 (ko)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US8766876B2 (en) Projector for advertising images
KR101741001B1 (ko)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WO2017032286A1 (zh) 一种用于地铁玻璃屏蔽门上投影成像装置
CN100436297C (zh) 一种用于电梯的信息显示***及为该***提供信息的方法
US20090057069A1 (en) Elevator information display and security monitor system
US20110035776A1 (en) On-train information service system, on-train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and passenger train-use information displaying device
US11361689B2 (en) Control system for rotating display
KR101772942B1 (ko) 자동 백업 콘트롤러 및 루트 이원화 전광판 시스템과 그 구현방법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5639B1 (ko)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KR101987772B1 (ko) 스마트글라스의 영상 다중 송출시스템
DE102019130700A1 (de) Dynamisches und/oder adaptives wegeleitsystem
KR101830161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JP2002149102A (ja) 映像による広告システム
JP2001061136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CN103971621A (zh) 一种新型地铁月台屏蔽调光液晶玻璃影像播放***
JP2000347618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0172220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2000221920A (ja) 連続動作映像表示装置
KR200466689Y1 (ko) 터널내 벽면의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1045B1 (ko) 지하철 승강장용 광고 및 비상 유도 장치
KR102603912B1 (ko) Pdlc 필름을 부착한 pet지를 이용한 광고 게시판
GB2333658A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KR20210047421A (ko) 영상 제공 장법 및 이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