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331B1 -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331B1
KR101981331B1 KR1020170174810A KR20170174810A KR101981331B1 KR 101981331 B1 KR101981331 B1 KR 101981331B1 KR 1020170174810 A KR1020170174810 A KR 1020170174810A KR 20170174810 A KR20170174810 A KR 20170174810A KR 101981331 B1 KR101981331 B1 KR 10198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oxide
weight
ethylene
vinyl acetate
acetat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472A (ko
Inventor
김건욱
한권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에코솔루션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에코솔루션즈(주)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에코솔루션즈(주)
Priority to TW10710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TWI672334B/zh
Priority to JP2018056926A priority patent/JP2018174318A/ja
Priority to US15/936,591 priority patent/US20180286997A1/en
Priority to CN201810278338.1A priority patent/CN108610546A/zh
Publication of KR2018011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8Double glass encapsulation, e.g. photovoltaic cells arranged between front and rear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구현예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내습성이 우수하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부터 발생하는 초산을 흡착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은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출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ENCAPSULANT FOR SOLAR CELLS AND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구현예는 내구성 및 내습성이 우수하여 태양전지의 출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태양전지 모듈용 봉지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 가수분해작용으로 초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때 발생된 초산은 태양전지 모듈의 전극을 부식시켜 태양전지 모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초산 발생을 제어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해왔다.
가장 근본적인 해결 방법으로는 태양전지 모듈용 봉지재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대체하여 폴리올레핀 봉지재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한국 공개특허 제2009-0096487호). 하지만, 폴리올레핀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보다 내열성이 약하고, 비싼 가격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적용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본 등록특허 제5819159호 및 제5820132호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와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혼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초산 발생 억제 효과가 확실하지 않고 2종 이상의 수지를 혼용함으로써 공정상의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일본 등록특허 제4863812호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초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내가수분해제로 적용하는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내가수분해제는 봉지재의 황변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96487호 일본 등록특허 제5819159호 일본 등록특허 제5820132호 일본 등록특허 제4863812호
따라서, 일 구현예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초산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이로 인해 태양전지의 출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 구현예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는, 태양전지용 봉지재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투명 보호 기재, 제1 봉지재 시트, 전극이 연결된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 셀, 제2 봉지재 시트, 및 백시트가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봉지재 시트 및 제2 봉지재 시트 중 적어도 하나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1)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봉지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봉지재 조성물을 용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재 조성물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는,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에 따른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내습성이 우수하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부터 발생하는 초산을 흡착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은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출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태양전지 셀 및 봉지재 시트를 포함하는 일 구현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구성(각각 분해도 및 결합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구현예를 통해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현예는 이하에서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필름, 윈도우, 패널, 또는 층 등이 각 필름, 윈도우, 패널, 또는 층 등의 "상(on)"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양,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 및 표현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써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태양전지용 봉지재
일 구현예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는, 태양전지용 봉지재를 제공한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5 중량%의 초산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26 내지 33 중량%의 초산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초산비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시트 가공성이 우수하고 태양전지용 봉지재로써 셀을 보호하는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190 ℃에서 2.16 kg을 기준으로 5 내지 30 g/10분의 용융흐름지수(MFR, melting folw rate)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190 ℃에서 2.16 kg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g/10분의 용융흐름지수(MFR)를 가질 수 있다.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용융흐름지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흐름성이 낮아 공중합체의 압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 및 지나치게 흐름성이 높아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공중합체가 흘러나와 설비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시트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10,000 내지 100,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20,000 내지 60,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산화마그네슘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10 중량부, 0.009 내지 0.07 중량부, 0.01 내지 0.20 중량부, 또는 0.01 내지 0.1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봉지재에 고르게 분산되어 초산 흡착이 용이하며, 봉지재의 광투과율을 저해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가교 반응을 지연시켜 봉지재의 가교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70 내지 200 ㎡/g, 90 내지 200 ㎡/g, 또는 10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비표면적에 따라 초산을 흡착하는 성능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산화마그네슘의 비표면적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반응성이 떨어져 초산 흡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가교 반응을 지연시켜 봉지재의 가교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현예의 산화마그네슘는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적은 양을 사용해도 목적하는 초산 흡착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산화마그네슘의 과량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감소시키면서 초산 발생을 억제하여 제조된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마그네슘 이외의 산을 흡착하는 물질의 경우, 대부분 수분을 흡착하는 특성도 지닌다.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나 실리카는 산화마그네슘과 마찬가지로 산을 흡착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 태양전지용 봉지재에 사용하는 경우 유사한 초산 흡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초산뿐만 아니라 수분도 흡착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봉지재에 산화마그네슘 대신 제올라이트나 실리카를 적용할 경우, 가혹한 조건하에서 봉지재가 수분을 흡착하여 봉지재의 체적 고유저항이 감소하고 습윤누설 저항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산화마그네슘의 경우, 수분 흡착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가혹한 조건하에서도 상기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평균 입경이 1 내지 2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평균 입경이 2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적절한 입경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평균 입경보다 2.5 ㎛ 이상 작은 입경을 갖는 입자의 함량이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평균 입경보다 6.5 ㎛ 이상 큰 입경을 갖는 입자의 함량이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입경 분포를 가질 경우, 제조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교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과산화물은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교제는 100 ℃ 이상에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유기 과산화물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배합시 안정성을 고려하여 반감기가 10 시간 이상이고 분해 온도가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감기 온도가 낮을수록 반응성이 빠르다는 의미이며, 반감기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성이 느리다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과산화물은 2,5-다이메틸헥산, 2,5-다이하이드로 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부틸퍼옥시)헥산, 다이-t-부틸퍼옥사이드, α,α'-비스(t-부퍼옥시 아이소프로필)벤젠,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부탄, 2,2-비스(t-부틸퍼옥시)부탄, 1,1-비스(t-부틸퍼옥시)사이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 사이클로헥산, t-부틸퍼옥시 벤조에톤, 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5 중량부, 또는 0.3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가교 보조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가교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교 보조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젤 분율을 향상시키고 봉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교 보조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 보조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또는 0.1 내지 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교 보조제는, 예를 들어, 트라이 알릴 아이소시아누레이트, 트라이 알릴 아이소시아네이트 등의 3개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및 에스테르 등의 1개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실란커플링제, 퀴논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및 변색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봉지재와 태양전지 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예를 들어, γ-클로로프로필 트라이메톡시 실레인, 바이닐 트라이클로로 실레인, 바이닐-트리스-(β-메톡시 에톡시)실레인, γ-메톡시 프로필 트라이 메톡시 실레인, β-(3,4-에톡시 사이클로헥실)에틸 트라이 메톡시 실레인, γ-메르캅토 프로필 트라이 메톡시 실레인 등이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또는 0.1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퀴논계 화합물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퀴논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메틸에틸, p-벤조퀴논, 메틸 하이드로퀴논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퀴논계 화합물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퀴논계 화합물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5-술폰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2-(2'-하이드록시-5-메틸 페닐)벤조트라이아졸 등의 벤조트라이아졸계; 및 페닐살리실레이트, p-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레이트계(salicylate) 등이 있다.
상기 노화 방지제는, 예를 들어, 아민계, 페놀계, 비스 페닐계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화 방지제는 t-부틸-p-크세졸, 비스-(2,2,6,6-테트라 메틸-4-피페라질)세바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태양전지용 봉지재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봉지재 조성물을 미경화 또는 반경화 상태의 시트로 압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태양 전지 모듈에 적용된 후에 경화되어 밀봉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후술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체적 고유 저항 및 헤이즈는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가 경화된 이후에 측정된 물성 값이다.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25 ℃ 및 1,000 V의 전압에서 측정한 체적 고유저항이 1×1016 내지 1×1017 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25 ℃ 및 1,000 V의 전압에서 측정한 체적 고유저항이 1×1016 내지 5×1016 Ω·㎝, 1×1016 내지 4×1016 Ω·㎝, 또는 1×1016 내지 3×1016 Ω·㎝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상대습도 100 % 및 120 ℃에서 7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1,000 V의 전압에서 측정한 체적 고유저항이 1×1015 Ω·㎝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상대습도 100 % 및 120 ℃에서 7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1,000 V의 전압에서 측정한 체적 고유저항이 1×1015 내지 1×1017 Ω·㎝일 수 있다. 특히,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체적 고유저항이 1×1015 Ω·cm 이하일 경우, 봉지재의 습윤 누설 저항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 구현예의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내습성이 우수하여 120 ℃, 상대습도 100 %의 조건하에서 72 시간 후에도 체적 고유저항이 1×1015 Ω·cm 이상으로 봉지재의 전기 절연성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1,000mm × 200mm × 0.5mm(가로×세로×두께)의 샘플을 100mm × 100mm(가로×세로)로 절단한 시료를 대상으로 25 ℃에서 측정한 평균 헤이즈가 2 내지 8 %이고, 상기 시료의 헤이즈의 표준편차가 0.1 내지 0.5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1,000mm × 200mm × 0.5mm(가로×세로×두께)의 샘플을 100mm × 100mm(가로×세로)로 절단한 시료를 대상으로 25 ℃에서 측정한 평균 헤이즈가 3 내지 8 %, 4 내지 7 %, 또는 5 내지 6 %이고, 상기 시료의 헤이즈의 표준편차가 0.1 내지 0.4 %, 또는 0.1 내지 0.3 %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150 ℃에서 유동계(rheometer)로 측정한 경화반응 개시 시간이 3 분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150 ℃에서 유동계(rheometer)로 측정한 경화반응 개시 시간이 1 내지 3 분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200 내지 800 ㎛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300 내지 700 ㎛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
일 구현예는, 투명 보호 기재, 제1 봉지재 시트, 전극이 연결된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 셀, 제2 봉지재 시트, 및 백시트가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봉지재 시트 및 제2 봉지재 시트 중 적어도 하나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도 1 및 2에 일 구현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구성(각각 분해도 및 결합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은 투명 보호 기재(14), 제1 봉지재 시트(12), 전극이 연결된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 셀(11), 제2 봉지재 시트(12') 및 백시트(13)가 순서대로 적층된 것이며, 상기 제1 봉지재 시트(12) 및 제2 봉지재 시트(12') 중 적어도 하나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 모듈(10)은 태양전지 셀(11) 및 봉지재 시트(12, 12')를 비롯한 구성층들을 순서대로 적층시킨 후 가공(가열 및 가압)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봉지재 시트(12) 및 제2 봉지재 시트(12') 중 적어도 하나가 상술한 바와 같은 태양전지용 봉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을 구성하는 태양전지 셀(11), 백시트(13) 및 투명 보호 기재(1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투명 보호 기재 및 백시트는 둘 다 유리기판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대습도 85 % 및 85 ℃에서 3,000 시간 방치 후 측정한 출력 저하율이 5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대습도 85 % 및 85 ℃에서 3,000 시간 방치 후 측정한 출력 저하율이 0.1 내지 5 %, 1 내지 5 %, 2 내지 5 %, 또는 2 내지 4.8 %일 수 있다.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제조방법
또 다른 일 구현예는,
(1)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봉지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봉지재 조성물을 용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재 조성물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는,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1)
본 단계에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한다.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은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마스터배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5 중량부의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터배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4 중량부, 0.3 내지 3 중량부, 또는 0.4 내지 1 중량부의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의 혼합은 80 내지 16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의 혼합은 80 내지 150 ℃, 100 내지 140 ℃, 또는 120 내지 14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
본 단계에서는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봉지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혼합비는 1: 5 내지 100 중량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혼합비는 1: 5 내지 50 중량비, 1: 5 내지 30 중량비, 또는 1: 5 내지 20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마스터배치에 포함된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마스터배치 대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공급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혼합비는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공급 속도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단계의 혼합은 70 내지 12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의 혼합은 75 내지 120 ℃, 75 내지 100 ℃, 또는 75 내지 95 ℃에서 수행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들은 하기와 같다.
-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28 중량%의 초산비닐 함유, 54,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 190 ℃, 2.16 kg에서 용융흐름지수(MFR)가 15 g/10분.
- 가교제: 알케마사의 Luperox TBEC(t-부틸퍼옥시-2-에틸헥실 카보네이트).
- 가교 보조제: 에보닉사의 TAICROS(트라이 알릴 아이소시아누레이트).
- 산화마그네슘 A: 비표면적 100 ㎡/g.
- 산화마그네슘 B: 비표면적 150 ㎡/g.
- 산화마그네슘 C: 비표면적 200 ㎡/g.
- 산화마그네슘 D: 비표면적 30 ㎡/g.
- 산화마그네슘 E: 비표면적 250 ㎡/g.
실시예 1. 봉지재의 제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마그네슘 A 0.01 중량부를 컴파운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가교제 1.0 중량부 및 가교 보조제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봉지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봉지재 조성물을 100 ℃의 T-다이 압출공정에 적용하여 500 ㎛ 두께의 봉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산화마그네슘의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봉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130 ℃에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마그네슘 B 0.5 중량부를 컴파운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1:10 중량비로 각 성분을 투입하면서 85 ℃에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가교제 1.0 중량부 및 가교 보조제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봉지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봉지재 조성물을 100 ℃의 T-다이 압출공정에 적용하여 500 ㎛ 두께의 봉지재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가교제 가교
보조제
산화마그네슘 A 산화마그네슘 B 산화마그네슘 C 산화마그네슘 D 산화마그네슘 E
실시예 1 100 1 1 0.01 - - - -
실시예 2 100 1 1 0.05 - - - -
실시예 3 100 1 1 0.2 - - - -
실시예 4 100 1 1 - 0.01 - - -
실시예 5 100 1 1 - 0.05 - - -
실시예 6 100 1 1 - 0.2 - - -
실시예 7 100 1 1 - - 0.01 - -
실시예 8 100 1 1 - - 0.05 - -
실시예 9 100 1 1 - - 0.2 - -
실시예 10 100 1 1 - 0.05 - - -
비교예 1 100 1 1 - - - - -
비교예 2 100 1 1 - 0.22 - - -
비교예 3 100 1 1 - - - 0.1 -
비교예 4 100 1 1 - - - - 0.1
시험예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봉지재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2 내지 4에 나타냈다.
(1) 체적 고유저항
봉지재는 진공 라미네이터(NPC사)를 이용하여 15 분 동안 1 atm에서 150 ℃로 가열한 후 ASTM D257 규격에 의거하여 초기 체적 고유저항을 측정하였으며, 이때 1,000 V의 전압을 120 초 동안 인가하였다.
이후, 120 ℃ 및 100 % 상대습도 조건의 프레셔 쿠커 테스트(pressure cooker test) 챔버에 7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체적 고유저항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2) 헤이즈
봉지재는 50 mm × 50 mm × 0.5 mm(가로 × 세로 × 두께)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작하고, 25 ℃에서 ASTM D1003 규격에 따라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3) 경화반응 개시 시간( ts1 )
봉지재는 150 ℃에서 유동계(rheometer)를 이용하여 경화반응 개시 시간을 측정하였다.
(4) 태양전지 모듈 제작 및 출력 저하 평가
유리/봉지재/태양전지 셀(제조사: JSPV 社, 제품명: JSCM3186)/봉지재/유리의 순서로 적층한 후(G(유리) to G(유리) 구조) 라미네이션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하였다. 상기 봉지재는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봉지재를 사용하였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는 200 mm × 200 mm(가로×세로)로 태양전지 셀 1개가 들어가는 형태이다. 라미네이션은 NPC 사의 50×50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였으며, 160 ℃ 온도조건에서, 진공에서 5 분 및 1 atm에서 20 분을 유지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하였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초기 출력값을 JIS C8912 규정에 따라 A 등급에 해당하는 태양광 시뮬레이터를 이용하고 광원은 제논 램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85 ℃ 및 85 %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3,000 시간 동안 방치(damp heat test)한 후 출력값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후 초기 출력값 대비 damp heat test 이후 저하된 수준을 %로 계산하였다.
성분 헤이즈
(%)
체적 고유저항
(Ω·cm)
120℃ 및 상대습도 100% 72 시간 후 체적 고유저항(Ω·cm) 85 ℃ 및 상대습도 85% 3,000 시간 후
출력 저하
비교예 1 2.1 5.1 x 1015 3.2 x 1015 13 %
비교예 2 10.5 4.6 x 1015 2.5 x 1015 3.2 %
실시예 1 3.7 6.1 x 1015 1.8 x 1015 4.1 %
실시예 2 4.8 3.1 x 1015 2.1 x 1015 2.9 %
실시예 3 7.6 6.5 x 1015 2.5 x 1015 3.4 %
실시예 4 2.9 5.3 x 1015 1.9 x 1015 4.7 %
실시예 5 4.1 3.9 x 1015 2.1 x 1015 2.9 %
실시예 6 7.8 6.3 x 1015 3.2 x 1015 2.9 %
실시예 7 3.2 6.4 x 1015 2.5 x 1015 3.5 %
실시예 8 4.9 5.3 x 1015 1.8 x 1015 2.9 %
실시예 9 7.6 4.9 x 1015 2.1 x 1015 2.5 %
실시예 10 5.6 2.1 x 1016 3.1 x 1015 -
성분 ts1 85℃, 상대습도 85% 3,000 시간 후 출력 저하
비교예 1 2분 50초 13 %
비교예 2 3분 5초 3.2 %
비교예 3 2분 51초 7.9 %
비교예 4 3분 25초 2.3 %
실시예 2 2분 59초 2.9 %
실시예 5 2분 57초 2.9 %
실시예 8 3분 00초 2.9 %
표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0의 봉지재는 체적 고유저항이 1 × 1015 Ω·cm 이상이며, 헤이즈가 5 % 이하이고, 프레셔 쿠커 테스트 이후에도 체적 고유저항이 1 × 1015 Ω·cm 이상이며, 85 ℃ 및 85 %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3,000 시간 동안 방치 이후 출력 저하가 5 % 미만으로 적었다. 특히, 실시예 10의 봉지재는 2.1 × 1016 Ω·cm의 매우 높은 체적 고유저항을 가졌다.
한편,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봉지재는 가혹한 조건 방치 이후 출력 저하가 크고, 과량의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봉지재는 헤이즈가 높아 태양전지용으로 적합하지 않았다.
(5) 헤이즈의 표준편차
실시예 10의 봉지재를 1,000 mm × 200 mm × 0.5 mm(가로 × 세로 × 두께)의 샘플로 제작하고, 상기 샘플을 100 mm × 100 mm(가로 × 세로)로 절단하여 20개의 시료를 제작하였다. 이후 각각의 시료를 25 ℃에서 ASTM D1003 규격에 따라 헤이즈를 측정하고, 20개의 시료의 평균 헤이즈와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샘플 헤이즈 (%) 샘플 헤이즈 (%)
1 5.61 11 5.73
2 5.91 12 5.71
3 5.41 13 5.63
4 5.85 14 5.77
5 5.3 15 5.41
6 5.87 16 5.59
7 5.9 17 5.62
8 5.37 18 5.31
9 5.72 19 5.59
10 5.39 20 5.32
실시예 10의 봉지재를 대상으로 측정한 시료의 평균 헤이즈는 5.6 %이고, 헤이즈의 표준편차는 0.207 %로 매우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10: 태양전지 모듈 11: 태양전지 셀
12: 제1 봉지재 시트 12': 제2 봉지재 시트
13: 백시트 14: 투명 보호 기재

Claims (13)

  1.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고,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의 평균 입경이 2 내지 10 ㎛이며, 상기 평균 입경보다 6.5 ㎛ 이상 큰 입경을 갖는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상기 산화마그네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이고,
    1,000mm × 200mm × 0.5mm(가로×세로×두께)의 샘플을 100mm × 100mm(가로×세로)로 절단한 시료를 대상으로 25 ℃에서 측정한 평균 헤이즈가 2 내지 8 %이고, 상기 시료의 헤이즈의 표준편차가 0.1 내지 0.5 %인, 태양전지용 봉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25 ℃ 및 1,000 V의 전압에서 측정한 체적 고유저항이 1×1016 내지 1×1017 Ω·㎝인, 태양전지용 봉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상대습도 100 % 및 120 ℃에서 7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1,000 V의 전압에서 측정한 체적 고유저항이 1×1015 내지 1×1017 Ω·㎝인, 태양전지용 봉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는 150 ℃에서 유동계(rheometer)로 측정한 경화반응 개시 시간이 3 분 이하인, 태양전지용 봉지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가 가교 보조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 보조제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용 봉지재가 가교제로 유기 과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
  8. 투명 보호 기재, 제1 봉지재 시트, 전극이 연결된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 셀, 제2 봉지재 시트, 및 백시트가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봉지재 시트 및 제2 봉지재 시트 중 적어도 하나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며, 1,000mm × 200mm × 0.5mm(가로×세로×두께)의 샘플을 100mm × 100mm(가로×세로)로 절단한 시료를 대상으로 25 ℃에서 측정한 평균 헤이즈가 2 내지 8 %이고, 상기 시료의 헤이즈의 표준편차가 0.1 내지 0.5 %이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의 평균 입경이 2 내지 10 ㎛이며, 상기 평균 입경보다 6.5 ㎛ 이상 큰 입경을 갖는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상기 산화마그네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인, 태양전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대습도 85 % 및 85 ℃에서 3,000 시간 방치 후 측정한 출력 저하율이 5 % 이하인, 태양전지 모듈.
  10. (1)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산화마그네슘을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봉지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봉지재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봉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재 조성물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20 중량부의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이 50 내지 200 ㎡/g의 비표면적을 갖고,
    상기 산화마그네슘의 평균 입경이 2 내지 10 ㎛이며, 상기 평균 입경보다 6.5 ㎛ 이상 큰 입경을 갖는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상기 산화마그네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봉지재는 1,000mm × 200mm × 0.5mm(가로×세로×두께)의 샘플을 100mm × 100mm(가로×세로)로 절단한 시료를 대상으로 25 ℃에서 측정한 평균 헤이즈가 2 내지 8 %이고, 상기 시료의 헤이즈의 표준편차가 0.1 내지 0.5 %인,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배치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5 중량부의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배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혼합비가 1: 5 내지 100 중량비인,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혼합은 80 ℃ 내지 160 ℃에서 수행되고,
    상기 단계 (2)의 혼합은 70 ℃ 내지 120 ℃에서 수행되는, 태양전지용 봉지재의 제조방법.
KR1020170174810A 2017-03-30 2017-12-19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198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08871A TWI672334B (zh) 2017-03-30 2018-03-15 用於太陽能電池的封裝材料及包含該封裝材料的太陽能電池模組
JP2018056926A JP2018174318A (ja) 2017-03-30 2018-03-23 太陽電池用封止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む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15/936,591 US20180286997A1 (en) 2017-03-30 2018-03-27 Encapsulant for solar cells and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CN201810278338.1A CN108610546A (zh) 2017-03-30 2018-03-30 太阳能电池用封装材料以及含有它的太阳能电池模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0515 2017-03-30
KR1020170040515 2017-03-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944A Division KR102069331B1 (ko) 2017-03-30 2019-05-15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472A KR20180111472A (ko) 2018-10-11
KR101981331B1 true KR101981331B1 (ko) 2019-05-22

Family

ID=638648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810A KR101981331B1 (ko) 2017-03-30 2017-12-19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20190056944A KR102069331B1 (ko) 2017-03-30 2019-05-15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944A KR102069331B1 (ko) 2017-03-30 2019-05-15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174318A (ko)
KR (2) KR101981331B1 (ko)
TW (1) TWI672334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0951A (ja) * 2007-08-10 2009-02-26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用封止膜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63041A5 (en) 1971-11-26 1973-07-20 Dayco Corp Laminated printing sheet - with closed cell compressible intermediate layer
JPS5819159A (ja) 1981-07-23 1983-02-04 Kiichiro Yagi 自力浮力発電方法
JPS5820132A (ja) 1981-07-24 1983-02-05 有馬 摩耶子 ドツグフレンド
JP4768217B2 (ja) * 2003-07-07 2011-09-0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透明フィルム
JP2007329404A (ja) * 2006-06-09 2007-12-20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封止材の評価方法
JP2008118073A (ja) * 2006-11-08 2008-05-22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用受光面側封止膜
US20080128018A1 (en) 2006-12-04 2008-06-05 Richard Allen Hayes Solar cells which include the use of certain poly(vinyl butyral)/film bilayer encapsulant layers with a low blocking tendency and a simplified process to produce thereof
KR100984136B1 (ko) * 2008-12-02 2010-09-2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용 봉지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TW201133880A (en) * 2010-03-22 2011-10-01 Auria Solar Co Ltd Thin film solar cell
JP5785794B2 (ja) * 2011-06-27 2015-09-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太陽電池用封止膜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
EP2960265B1 (en) * 2013-02-21 2018-11-1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rosslinking resin composition and sealing medium
EP2960291B1 (en) * 2013-02-21 2018-12-2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rosslinking aid and practical application thereof
CN105027303A (zh) * 2013-03-08 2015-11-04 希爱化成株式会社 太阳能电池用密封件和太阳能电池模块
WO2015087912A1 (ja) * 2013-12-11 2015-06-1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太陽電池用封止膜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
US20170005214A1 (en) * 2014-01-23 2017-01-05 Bridgestone Corporation Solar cell sealing film, and solar cell module using the same
CN104241427B (zh) * 2014-09-10 2016-10-19 江苏金瑞晨新材料有限公司 高散热太阳能电池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0951A (ja) * 2007-08-10 2009-02-26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用封止膜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74318A (ja) 2018-11-08
TW201840689A (zh) 2018-11-16
KR20180111472A (ko) 2018-10-11
KR20190055051A (ko) 2019-05-22
KR102069331B1 (ko) 2020-01-22
TWI672334B (zh) 201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9504B2 (ja) 太陽電池封止材の製造方法
US9147784B2 (en) Sealing material sheet for solar-cell module
CN113913117B (zh) 一种光伏电池组件封装胶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2685508B1 (en) Sealing film for solar cells and solar cell using same
JP5369020B2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シー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424134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CN114015364A (zh) 一种聚烯烃光伏封装胶膜及其制备方法
EP2770541B1 (en) Solar cell sealing film and solar cell using same
KR101063886B1 (ko) 태양전지 모듈용 접착시트 제조방법
JP6625317B2 (ja) 太陽電池用封止シート
JP596711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組成物の組合せセット、封止材シート、及び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981331B1 (ko) 태양전지용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1472712B1 (ko) 비가교형 태양전지 봉지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봉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US20180286997A1 (en) Encapsulant for solar cells and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JP4950473B2 (ja) 太陽電池用接着シート
JP630336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624572B1 (ko) 태양전지용 봉지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CN110283540B (zh) 一种eva胶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993994B1 (ko) 태양전지 봉지재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봉지재
CN117511425B (zh) 一种防发粘的光伏组件用封装胶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5070220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6624187B2 (ja) 太陽電池用封止シート
KR20240075497A (ko)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봉지재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태앙전지용 봉지재
JP610215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5229692A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ならびに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太陽電池封止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