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700B1 - 토보드시스템 - Google Patents

토보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700B1
KR101979700B1 KR1020180117588A KR20180117588A KR101979700B1 KR 101979700 B1 KR101979700 B1 KR 101979700B1 KR 1020180117588 A KR1020180117588 A KR 1020180117588A KR 20180117588 A KR20180117588 A KR 20180117588A KR 101979700 B1 KR101979700 B1 KR 10197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axis direction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다인
Original Assignee
(주)동은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은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동은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8011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700B1/ko
Priority to PCT/KR2019/005565 priority patent/WO202007160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5Toe 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04G2007/285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specially adapted for toe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보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Z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파이프,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파이프,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파이프, 및 상기 제1 수평파이프와 결합되는 안전발판을 포함하는 비계에 설치되는 토보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 측면에 Z축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파이프와 결합되는 본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안전발판으로부터의 미끄러짐 또는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보드시스템{TOE BOARD SYSTEM}
본 발명은 토보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아파트나 다층 건물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건물의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종래 대부분의 방법은 소정 형상으로 철근구조물을 설치한 후 철근구조물의 외측에 다수개의 나무패널을 조립하여 형성한 거푸집을 고정 설치하고, 거푸집의 외측으로 비계를 설치한 다음,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시에 설치되는 비계는 수직파이프 상에 수평파이프를 설치하고, 수평파이프 상에 건축자재를 운반하거나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안전발판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안전발판에는 작업자의 발빠짐이나 건축자재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에 일정 높이로 직립되는 토보드(toe board)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토보드를 설치하기 위해 수평파이프의 간격에 맞춰 설치되는 안전발판에 패널형태로 된 토보드를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치하였다. 토보드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설치가 어렵고 시간이 길어지며 분리가 불가하여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볼트 체결의 경우 각 안전발판에 토보드를 직접적으로 결합함에 따른 제작상의 번거로움과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통상적으로 수직파이프에 결합되는 수평파이프는 단부에 일체형의 걸이나 별도의 고정핀이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는데, 종래의 토보드 연결구는 설치개소의 환경에 맞는 맞춤형으로 제작되므로 다양한 형태로 된 수평파이프의 고정부분에 용이하게 대처하여 설치하기 어려워 다양한 사용처에 호환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KR 10-086273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유닛과 수직지지유닛, 수평지지유닛, 본체결합유닛, 및 직교결합유닛 등을 이용하여 비계와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하고 용이하게 분리되어 재사용 가능한 토보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은 Z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파이프,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파이프,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파이프, 및 상기 제1 수평파이프와 결합되는 안전발판을 포함하는 비계에 설치되는 토보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 측면에 Z축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파이프와 결합되는 본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안전발판으로부터의 미끄러짐 또는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계는 상기 수직파이프와 상기 제1 수평파이프를 결합시키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유닛은 중공을 포함한 판 형태로,하부에 끼움홈을 포함하는 상체부, 및 상기 상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의 일측으로부터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체부의 X축 방향의 폭보다 X축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직파이프와 상기 결합핀 사이에 삽입되는 하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하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수직파이프와 상기 결합핀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본체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은 일측이 상기 수직파이프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끼움홈과 결합되어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는 수직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지지유닛은 상기 수직파이프 및 상기 본체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유닛은, 상기 수직파이프의 곡률에 대응된 곡면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파이프와 끼움결합되며 일측이 개구된 제1 곡면부, 일단이 상기 제1 곡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유닛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곡면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제1 곡면지지부의 타단과 결합되며 타측이 "ㄷ"자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과 끼움결합되는 상체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부는 개구된 양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은 일측이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수평파이프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는 수평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유닛은, 상기 제2 수평파이프의 곡률에 대응된 곡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수평파이프와 끼움결합되며 일측이 개구된 제2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의 X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는 하체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유닛은 상기 제2 수평파이프 및 상기 본체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부는 개구된 양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체지지부는, 상기 제2 곡면부로부터 Z축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하체몸체부, 상기 제1 하체몸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 곡면부로부터 "ㄴ"자 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이 Z축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하체몸체부, 상기 제1 하체몸체부 일단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2 하체몸체부 측으로 각각 돌출된 후 벤딩되어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편, 및 상기 제2 하체몸체부의 일단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하체몸체부 측으로 돌출된 후 벤딩되어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편은 2 개의 상기 제1 돌출편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돌출편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돌출편과 상기 제2 돌출편 사이로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가 삽입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하체지지부의 상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곡면부의 X축 방향 타측과 결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2 곡면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은 복수 개의 상기 본체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이웃하는 상기 본체유닛을 연결하는 본체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결합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는 제1 상부결합부, 및 상기 끼움홈과 끼움결합되는 제1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결합부 및 제1 하부결합부는 "ㄴ"자로 절곡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결합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 상부결합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하부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부결합부 및 제1 하부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상기 본체유닛과 접촉되는 측으로 돌출된 제1 볼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은 직교하며 이웃하는 상기 본체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직교하여 이웃하는 상기 본체유닛을 연결하는 직교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직교결합유닛은, 제2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는 제2 상부결합부,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과 끼움결합되는 제2 하부결합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X축 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폭 부분이 삽입 결합되는 직교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교삽입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Y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교삽입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Y축 방향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교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직교삽입부는 상단 및 하단에 "ㄴ"자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결합부 및 상기 제2 하부결합부는 "ㄴ"자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직교삽입부는 상기 제1 및 제2 직교삽입부의 중간 부분에 상기 본체유닛과 접촉되는 측으로 돌출된 제2 볼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보드의 본체에 해당하는 본체유닛을 수직지지유닛과 수평지지유닛을 이용하여 각각 비계의 수직파이프 및 수평파이프에 탈부착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하다.
본체유닛의 하체부가 수직파이프와 결합핀 사이에 삽입결합되어 비계에 설치가 용이하고 본체유닛의 하부가 X축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끼움홈은 상체부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수직지지유닛의 상체지지부와 결합됨으로써 본체유닛과 수직지지유닛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수직지지유닛은 본체유닛 및 수직파이프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지지유닛은 본체유닛 및 제2 수평파이프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지지유닛, 수평지지유닛, 및 본체유닛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효과적이다.
제1 돌기부는 수직파이프와 접촉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직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그립함으로써 수직파이프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고, 제2 돌기부는 제2 수평파이프와 접촉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수평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그립함으로써 제2 수평파이프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2 곡면지지부는 일측이 제2 곡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하체몸체부의 상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2 곡면부 타측과 결합되어 하체지지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체유닛과 수직지지유닛이 수직파이프와 결합되는 구조와 본체유닛과 수평지지유닛이 제2 수평파이프와 결합되는 구조가 간단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고 재사용 가능하여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체결합유닛은 평행하게 이웃하는 본체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직교결합유닛은 직교하며 이웃하는 본체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볼록부는 본체결합유닛과 본체유닛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2 볼록부는 직교결합유닛과 본체유닛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공현장에서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D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E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 일실시예의 수직지지유닛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 부분의 반대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 일실시예의 수평지지유닛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 일실시예의 수평지지유닛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 일실시예의 본체결합유닛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 일실시예의 직교결합유닛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보드시스템(9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900)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D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E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토보드시스템(900)은 본체유닛(100), 수직지지유닛(200), 수평지지유닛(300), 본체결합유닛(400), 직교결합유닛(500), 및 형광부(6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900)은 Z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파이프(10),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파이프(20),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파이프(30), 및 제1 수평파이프(20)와 결합되는 안전발판(50)을 포함하는 비계에 설치되는 토보드시스템(900)에 있어서, 안전발판(50) 측면에 Z축 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파이프(10)와 결합되는 본체유닛(100)을 포함하며, 본체유닛(100)은 안전발판(50)으로부터의 미끄러짐 또는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비계는 수직파이프(10)와 제1 수평파이프(20)를 결합시키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핀(40)을 더 포함하며, 본체유닛(100)은 중공(150)을 포함한 판 형태로, 하부에 끼움홈(111)을 포함하는 상체부(110), 상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끼움홈(111)의 일측(112)으로부터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체부(110)의 X축 방향의 폭(115)보다 X축 방향의 폭(121)이 좁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수직파이프(10)와 결합핀(40) 사이에 삽입되는 하체부(120), 및 하체부(120)로부터 돌출되며 수직파이프(10)와 결합핀(40)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본체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유닛(100)은 비계의 안전발판(50) 측면에 수직파이프(10)와 나란하게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파이프(10)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안전발판(5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나 기타 장비의 미끄러짐 또는 낙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체부(110), 하체부(120), 본체돌출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체부(110)는 중공(150)을 포함하는 판 형태로 하부에 끼움홈(111)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의 상측에 위치되어 후술하는 수직지지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끼움홈(111)은 상체부(110)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수직지지유닛(200)의 상체지지부(230)와 결합되어 본체유닛(100)과 수직지지유닛(2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끼움홈(111)은 "ㄷ"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체부(120)는 중공(150)을 포함하는 판 형태로 상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끼움홈(111)의 일측(112)으로부터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수직파이프(10)와 결합핀(40) 사이의 틈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 내지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핀(40)은 수직파이프(10)와 제1 수평파이프(2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파이프(1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하체부(120)는 끼움홈(111)의 일측(11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판 형태의 두께인 X축 방향의 폭(121)이 상체부(110)의 X축 방향의 폭(115)보다 좁게 형성되어 수직파이프(10)와 결합핀(40) 사이에 삽입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파이프(10)와 결합핀(40)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은 중공(15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체돌출부(130)는 하체부(120)의 수직파이프(10)와 결합핀(40)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에 하체부(120)로부터 돌출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이 수직파이프(10)와 결합핀(40) 사이에 구조적으로 좀 더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체돌출부(130)는 하체부(120)로부터 돌출되어 본체유닛(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2개의 돌출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체돌출부(130)는 수직파이프(10) 및 결합핀(40)과 밀착 결합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본체유닛(100)의 하부가 X축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900) 일실시예의 수직지지유닛(200)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토보드시스템(900)은 일측이 수직파이프(10)와 결합되며 타측이 끼움홈(111)과 결합되어 본체유닛(100)을 지지하는 수직지지유닛(200)을 더 포함하며, 수직지지유닛(200)은 수직파이프(10) 및 본체유닛(10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지지유닛(200)은, 수직파이프(10)의 곡률에 대응된 곡면을 포함하여 수직파이프(10)와 끼움결합되며 일측이 개구된 제1 곡면부(210), 일단이 제1 곡면부(210)의 타측에 결합되고 하단이 본체유닛(10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곡면지지부(220), 및 일측이 제1 곡면지지부(220)의 타단과 결합되며 타측이 "ㄷ"자로 절곡되어 끼움홈(111)과 끼움결합되는 상체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곡면부(210)는 개구된 양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지지유닛(200)은 일측이 수직파이프(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끼움홈(111)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을 수직파이프(10)에 결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곡면부(210), 제1 곡면지지부(220), 및 상체지지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수직지지유닛(200)은 본체유닛(100) 및 수직파이프(10)와 용이하게 탈부착되게 결합 가능하여 수직지지유닛(200)과 본체유닛(100)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곡면부(210)는 수직파이프(10)의 곡률에 대응된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수직파이프(10)와 끼움결합됨으로써 수직지지유닛(200)을 수직파이프(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돌기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부(211)는 제1 곡면부(210)의 개구된 양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수직파이프(10)와 접촉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곡면부(210)와 수직파이프(1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곡면지지부(220)는 일단이 제1 곡면부(210)의 타측에 결합되며 하단이 본체유닛(100)의 상면과 접촉되는 것으로, 제1 곡면부(210)를 지지하고 타단이 후술하는 상체지지부(230)와 결합되어 본체유닛(100)을 수직파이프(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곡면지지부(220)는 제1 곡면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체지지부(230)는 일측이 제1 곡면지지부(220)와 결합되고 타측이 절곡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타측이 절곡되어 끼움홈(111)과 결합됨으로써 수직지지유닛(2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상체지지부(230)의 일단은 제1 곡면지지부(220)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체지지부(230)의 타단은 끼움홈(111)의 "ㄷ"자 형태와 상응하는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끼움홈(111)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B 부분의 반대측에서 본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900) 일실시예의 수평지지유닛(300)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900) 일실시예의 수평지지유닛(300) 측면도이다.
토보드시스템(900)은 일측이 본체유닛(100)의 하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제2 수평파이프(30)와 결합되어 본체유닛(100)을 지지하는 수평지지유닛(300)을 더 포함하며, 수평지지유닛(300)은, 제2 수평파이프(30)의 곡률에 대응된 곡면을 포함하여 제2 수평파이프(30)와 끼움결합되며 일측이 개구된 제2 곡면부(310), 및 제2 곡면부(310)의 X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본체유닛(100)의 하부와 결합되어 본체유닛(100)을 지지하는 하체지지부(320)를 포함하며, 수평지지유닛(300)은 제2 수평파이프(30) 및 본체유닛(10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곡면부(310)는 개구된 양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체지지부(320)는, 제2 곡면부(310)로부터 Z축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하체몸체부(321), 제1 하체몸체부(3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곡면부(310)로부터 "ㄴ"자 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이 Z축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하체몸체부(322), 제1 하체몸체부(321) 일단의 양측으로부터 제2 하체몸체부(322) 측으로 각각 돌출된 후 벤딩되어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편(323), 및 제2 하체몸체부(322)의 일단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제1 하체몸체부(321) 측으로 돌출된 후 벤딩되어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편(324)을 포함하며, 제2 돌출편(324)은 2 개의 제1 돌출편(323) 사이에 위치되며 제1 돌출편(323)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돌출편(323)과 제2 돌출편(324) 사이로 본체유닛(100)의 하부가 삽입결합될 수 있으며, 수평지지유닛(300)은 일단이 하체지지부(320)의 상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2 곡면부(310)의 X축 방향 타측과 결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2 곡면지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지지유닛(300)은 일측이 본체유닛(100) 하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제2 수평파이프(30)와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곡면부(310), 하체지지부(320), 및 제2 곡면지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수평지지유닛(300)은 본체유닛(100) 및 제2 수평파이프(30)와 용이하게 탈부착되게 결합 가능하여 수평지지유닛(300)과 본체유닛(100)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곡면부(310)는 제2 수평파이프(30)의 곡률에 대응된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제2 수평파이프(30)와 끼움결합됨으로써 수평지지유닛(300)을 제2 수평파이프(3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돌기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부(311)는 제2 곡면부(310)의 개구된 양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 수평파이프(30)와 접촉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곡면부(310)와 제2 수평파이프(3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체지지부(320)는 제2 곡면부(310)의 X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의 하체부(120)와 결합되어 본체유닛(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하체몸체부(321, 322), 제1 및 제2 돌출편(323, 3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또는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하체몸체부(321)는 제2 곡면부(310)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X축 방향 일측으로 치우친 부분으로부터 Z축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 하체몸체부(322)와 짝을 이루어 본체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하체몸체부(322)는 제1 하체몸체부(3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곡면부(310)로부터 "ㄴ"자 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이 Z축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 하체몸체부(321)와 짝을 이루어 본체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하체몸체부(322)는 제1 하체몸체부(321)가 제2 곡면부(310)로부터 연장이 시작된 부분의 Z축 방향 하측의 제2 곡면부(310) 부분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소정 구간 연장된 후 절곡되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편(片)(323)은 제1 하체몸체부(321) 일단의 양측으로부터 제2 하체몸체부(322)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후 벤딩되어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 돌출편(324)과 짝을 이루어 본체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돌출편(323)은 제1 하체몸체부(3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편(324)은 제2 하체몸체부(322) 일단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제1 하체몸체부(321) 방향으로 돌출된 후 벤딩되어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 돌출편(323)과 짝을 이루어 본체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돌출편(324)은 2 개의 제1 돌출편(323) 사이에 위치되며 제1 돌출편(323)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돌출편(323)과 제2 돌출편(324) 사이로 본체유닛(100)의 하부가 삽입결합되어 본체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돌출편(324)은 제2 하체몸체부(3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돌출편(323, 324)은 탄성을 포함하여 본체유닛(100)의 두께에 무관하게 본체유닛(10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곡면지지부(330)는 곡면을 포함하며 일단이 제1 하체몸체부(321)의 상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2 곡면부(310)의 X축 방향 타측과 결합되는 것으로, 하체지지부(320)와 제2 곡면부(3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곡면지지부(330)는 제2 곡면부(310) 및 하체지지부(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900) 일실시예의 본체결합유닛(400) 사시도이다.
토보드시스템(900)은 복수 개의 본체유닛(100)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이웃하는 본체유닛(100)을 연결하는 본체결합유닛(400)을 더 포함하며, 본체결합유닛(400)은, 본체유닛(100)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는 제1 상부결합부(410), 및 끼움홈(111)과 끼움결합되는 제1 하부결합부(420)를 포함하며, 제1 상부결합부(410) 및 제1 하부결합부(420)는 "ㄴ"자로 절곡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결합유닛(400)은, 일측이 제1 상부결합부(410)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1 하부결합부(420)와 결합되며 제1 상부결합부(410) 및 제1 하부결합부(420)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몸체부(430), 및 제1 몸체부(430)로부터 본체유닛(100)과 접촉되는 측으로 돌출된 제1 볼록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결합유닛(400)은 이웃하는 2 개의 본체유닛(100)과 동시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웃하는 2 개의 본체유닛(100)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이웃하는 본체유닛(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상부결합부(410), 제1 하부결합부(420), 제1 몸체부(430), 및 제1 볼록부(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상부결합부(410)는 본체유닛(100)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는 것이고, 제1 하부결합부(420)는 본체유닛(100)의 끼움홈(111)과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과 결합되어 이웃하는 2 개의 본체유닛(100)을 결합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상부결합부(410)는 본체유닛(100)과 끼움결합되기 위해 본체유닛(100)의 상부 형태와 대응하여 "ㄴ"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결합부(420)도 본체유닛(100)과 끼움결합되기 위해 본체유닛(100)의 끼움홈(111)의 형태와 대응하여 "ㄴ"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430)는 일측이 제1 상부결합부(410)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1 하부결합부(4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상부결합부(410) 및 제1 하부결합부(4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상부결합부(410)와 제1 하부결합부(420)를 연결하여 본체유닛(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볼록부(440)는 제1 몸체부(430)에서 본체유닛(100)과 접촉되는 측으로 소정 부분 돌출된 것으로, 본체결합유닛(400)과 본체유닛(100)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볼록부(440)는 후술하는 형광부(6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 발명은 본체유닛(100)의 상부에 본체유닛(100)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형광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광부(600)는 본체유닛(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작업자가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형광부(600)는 탄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탄성물질을 포함한 형광부(600)가 수직지지유닛(200)과 본체유닛(10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형광부(600)는 수직지지유닛(200)과 본체유닛(10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C 부분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보드시스템(900) 일실시예의 직교결합유닛(500) 사시도이다.
토보드시스템(900)은 직교하며 이웃하는 본체유닛(100)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직교하여 이웃하는 본체유닛(100)을 연결하는 직교결합유닛(500)을 더 포함하며, 직교결합유닛(500)은, 제2 몸체부(510), 제2 몸체부(510)의 상단으로부터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본체유닛(100)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는 제2 상부결합부(520), 제2 몸체부(510)의 하단으로부터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끼움홈(111)과 끼움결합되는 제2 하부결합부(530), 및 제2 몸체부(510)의 양측으로부터 X축 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본체유닛(100)의 폭 부분(115)이 삽입 결합되는 직교삽입부(5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직교삽입부(540)는, 제2 몸체부(510)의 Y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교삽입부(541), 및 제2 몸체부(510)의 Y축 방향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교삽입부(542)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직교삽입부(541, 542)는 상단 및 하단에 "ㄴ"자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상부결합부(520) 및 제2 하부결합부(530)는 "ㄴ"자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며, 직교삽입부(540)는 제1 및 제2 직교삽입부(541, 542)의 중간 부분에 본체유닛(100)과 접촉되는 측으로 돌출된 제2 볼록부(5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교결합유닛(500)은 직교하며 이웃하는 2개의 본체유닛(100)과 동시에 결합되는 것으로, 직교하며 이웃하는 2 개의 본체유닛(100)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직교하며 이웃하는 2 개의 본체유닛(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몸체부(510), 제2 상부결합부(520), 제2 하부결합부(530), 및 직교삽입부(5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몸체부(510)는 상단이 후술하는 제2 상부결합부(520)와 결합되고 하단이 후술하는 제2 하부결합부(530)와 결합되며, 양측이 후술하는 직교삽입부(54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상부결합부(520), 제2 하부결합부(530), 및 직교삽입부(5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상부결합부(520), 제2 하부결합부(530), 및 직교삽입부(540)는 제2 몸체부(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또는 도 1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상부결합부(520)는 제2 몸체부(510)의 상단으로부터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의 상부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2 하부결합부(530)는 제2 몸체부(510)의 하단으로부터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의 끼움홈(111)과 끼움결합될 수 있다. 도 1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상부결합부(520)는 본체유닛(100)과 끼움결합되기 위해 본체유닛(100)의 상부 형태와 대응하여 "ㄴ"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하부결합부(530)도 본체유닛(100)과 끼움결합되기 위해 본체유닛(100)의 끼움홈(111)의 형태와 대응하여 "ㄴ"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직교삽입부(540)는 제2 몸체부(510)의 양측으로부터 제2 상부결합부(520)나 제2 하부결합부(530)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인 X축 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제2 상부결합부(520) 및 제2 하부결합부(530)와 결합되는 본체유닛(100)과 직교하여 만나는 본체유닛(100)의 폭 부분(115)을 삽입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직교삽입부(541, 542), 제2 볼록부(5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직교삽입부(541)는 제2 몸체부(510)의 Y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 직교삽입부(542)와 짝을 이루어 직교하며 이웃하는 본체유닛(1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직교삽입부(541)는 상단 및 하단에 "ㄴ"자 형태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직교삽입부(542)는 제2 몸체부(510)의 Y축 방향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제1 직교삽입부(541)와 짝을 이루어 직교하며 이웃하는 본체유닛(1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직교삽입부(542)는 상단 및 하단에 "ㄴ"자 형태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록부(545)는 제1 및 제2 직교삽입부(541, 542)의 중간 부분에 본체유닛(100)과 접촉되는 측으로 소정 부분 돌출된 것으로, 직교결합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보드의 본체에 해당하는 본체유닛(100)을 수직지지유닛(200)과 수평지지유닛(300)을 이용하여 각각 비계의 수직파이프(10) 및 수평파이프(20, 30)에 탈부착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하다. 본체유닛(100)의 하체부(120)가 수직파이프(10)와 결합핀(40) 사이에 삽입결합되어 비계에 설치가 용이하고 본체유닛(100)의 하부가 X축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끼움홈(111)은 상체부(110)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수직지지유닛(200)의 상체지지부(230)와 결합됨으로써 본체유닛(100)과 수직지지유닛(20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수직지지유닛(200)은 본체유닛(100) 및 수직파이프(10)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지지유닛(300)은 본체유닛(100) 및 제2 수평파이프(30)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지지유닛(200), 수평지지유닛(300), 및 본체유닛(100)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효과적이다. 제1 돌기부(211)는 수직파이프(10)와 접촉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직파이프(10)를 안정적으로 그립함으로써 수직파이프(10)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고, 제2 돌기부(311)는 제2 수평파이프(30)와 접촉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수평파이프(30)를 안정적으로 그립함으로써 제2 수평파이프(30)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2 곡면지지부(330)는 일측이 제2 곡면부(310)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하체몸체부(321)의 상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2 곡면부(310) 타측과 결합되어 하체지지부(32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체유닛(100)과 수직지지유닛(200)이 수직파이프(10)와 결합되는 구조와 본체유닛(100)과 수평지지유닛(300)이 제2 수평파이프(30)와 결합되는 구조가 간단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고 재사용 가능하여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체결합유닛(400)은 평행하게 이웃하는 본체유닛(100)을 탈부착 가능하게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직교결합유닛(500)은 직교하며 이웃하는 본체유닛(100)을 탈부착 가능하게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볼록부(440)는 본체결합유닛(400)과 본체유닛(100)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2 볼록부(545)는 직교결합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공현장에서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에 따른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수직파이프 20 : 제1 수평파이프
30 : 제2 수평파이프 40 : 결합핀
50 : 안전발판 100 : 본체유닛
110 : 상체부 111 : 끼움홈
120 : 하체부 130 : 본체돌출부
200 : 수직지지유닛 210 : 제1 곡면부
211 : 제1 돌기부 220 : 제1 곡면지지부
230 : 상체지지부 300 : 수평지지유닛
310 : 제2 곡면부 311 : 제2 돌기부
320 : 하체지지부 321 : 제1 하체몸체부
322 : 제2 하체몸체부 323 : 제1 돌출편
324 : 제2 돌출편 330 : 제2 곡면지지부
400 : 본체결합유닛 410 : 제1 상부결합부
420 : 제1 하부결합부 430 : 제1 몸체부
440 : 제1 볼록부 500 : 직교결합유닛
510 : 제2 몸체부 520 : 제2 상부결합부
530 : 제2 하부결합부 540 : 직교삽입부
541 : 제1 직교삽입부 542 : 제2 직교삽입부
545 : 제2 볼록부 600 : 형광부
900 : 토보드시스템

Claims (15)

  1. Z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파이프,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파이프,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파이프, 및 상기 제1 수평파이프와 결합되는 안전발판을 포함하는 비계에 설치되는 토보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 측면에 Z축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파이프와 결합되는 본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안전발판으로부터의 미끄러짐 또는 낙하를 방지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하부에 끼움홈을 포함하는 상체부; 및
    상기 상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의 일측으로부터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하체부;를 포함하며,
    직교하며 이웃하는 상기 본체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직교하여 이웃하는 상기 본체유닛을 연결하는 직교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직교결합유닛은,
    제2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는 제2 상부결합부;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X축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과 끼움결합되는 제2 하부결합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X축 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폭 부분이 삽입 결합되는 직교삽입부;를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상기 수직파이프와 상기 제1 수평파이프를 결합시키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유닛은 중공을 포함한 판 형태이고,
    상기 하체부는 상기 상체부의 X축 방향의 폭보다 X축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직파이프와 상기 결합핀 사이에 삽입되는 토보드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하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수직파이프와 상기 결합핀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본체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수직파이프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끼움홈과 결합되어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는 수직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지지유닛은 상기 수직파이프 및 상기 본체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보드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유닛은,
    상기 수직파이프의 곡률에 대응된 곡면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파이프와 끼움결합되며 일측이 개구된 제1 곡면부;
    일단이 상기 제1 곡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유닛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곡면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제1 곡면지지부의 타단과 결합되며 타측이 "ㄷ"자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과 끼움결합되는 상체지지부;를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는 개구된 양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를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수평파이프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는 수평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유닛은,
    상기 제2 수평파이프의 곡률에 대응된 곡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수평파이프와 끼움결합되며 일측이 개구된 제2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의 X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는 하체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유닛은 상기 제2 수평파이프 및 상기 본체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보드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부는 개구된 양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체지지부는,
    상기 제2 곡면부로부터 Z축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하체몸체부;
    상기 제1 하체몸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 곡면부로부터 "ㄴ"자 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이 Z축 방향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 하체몸체부;
    상기 제1 하체몸체부 일단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2 하체몸체부 측으로 각각 돌출된 후 벤딩되어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편; 및
    상기 제2 하체몸체부의 일단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하체몸체부 측으로 돌출된 후 벤딩되어 Z축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편은 2 개의 상기 제1 돌출편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돌출편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돌출편과 상기 제2 돌출편 사이로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가 삽입결합되는 토보드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유닛은 일단이 상기 하체지지부의 상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곡면부의 X축 방향 타측과 결합되며 곡면을 포함하는 제2 곡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본체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이웃하는 상기 본체유닛을 연결하는 본체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결합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와 끼움결합되는 제1 상부결합부; 및
    상기 끼움홈과 끼움결합되는 제1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결합부 및 제1 하부결합부는 "ㄴ"자로 절곡된 형태를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결합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 상부결합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하부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부결합부 및 제1 하부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상기 본체유닛과 접촉되는 측으로 돌출된 제1 볼록부;를 더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교삽입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Y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교삽입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Y축 방향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교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직교삽입부는 상단 및 하단에 "ㄴ"자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결합부 및 상기 제2 하부결합부는 "ㄴ"자로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직교삽입부는 상기 제1 및 제2 직교삽입부의 중간 부분에 상기 본체유닛과 접촉되는 측으로 돌출된 제2 볼록부를 더 포함하는 토보드시스템.
KR1020180117588A 2018-10-02 2018-10-02 토보드시스템 KR10197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88A KR101979700B1 (ko) 2018-10-02 2018-10-02 토보드시스템
PCT/KR2019/005565 WO2020071606A1 (ko) 2018-10-02 2019-05-09 토보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88A KR101979700B1 (ko) 2018-10-02 2018-10-02 토보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700B1 true KR101979700B1 (ko) 2019-05-17

Family

ID=6667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588A KR101979700B1 (ko) 2018-10-02 2018-10-02 토보드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9700B1 (ko)
WO (1) WO20200716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713B1 (ko) 2019-07-18 2020-03-09 (주)동은에프앤씨 난간틀
KR20210010299A (ko) 2019-07-18 2021-01-27 채다인 난간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8363A1 (de) * 2021-02-19 2022-08-31 Procon Btw Gmbh Bordbrett und Verbindungsstück aus Kunststof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220A (ja) * 2003-04-30 2004-11-25 Shinwa Kk 建築足場用幅木
KR100862737B1 (ko) 2008-04-23 2008-10-10 이정학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JP2010281105A (ja) * 2009-06-04 2010-12-16 Shuji Ando 足場用幅木取付金具
JP2011127339A (ja) * 2009-12-18 2011-06-30 Tatsuo Ono 足場装置
KR101611763B1 (ko) * 2014-12-12 2016-04-12 (주)미래엔지니어링 토보드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417B1 (ko) * 2017-04-19 2017-08-14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가설용 발끝막이판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220A (ja) * 2003-04-30 2004-11-25 Shinwa Kk 建築足場用幅木
KR100862737B1 (ko) 2008-04-23 2008-10-10 이정학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JP2010281105A (ja) * 2009-06-04 2010-12-16 Shuji Ando 足場用幅木取付金具
JP2011127339A (ja) * 2009-12-18 2011-06-30 Tatsuo Ono 足場装置
KR101611763B1 (ko) * 2014-12-12 2016-04-12 (주)미래엔지니어링 토보드 연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713B1 (ko) 2019-07-18 2020-03-09 (주)동은에프앤씨 난간틀
WO2021010580A1 (ko) * 2019-07-18 2021-01-21 (주)동은에프앤씨 난간틀
KR20210010299A (ko) 2019-07-18 2021-01-27 채다인 난간틀
KR102294304B1 (ko) 2019-07-18 2021-08-27 채다인 난간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1606A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700B1 (ko) 토보드시스템
KR200436231Y1 (ko)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JP4936085B2 (ja) 棒状部材の架設構造
JP6846098B2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KR20080084130A (ko) 슬라브 시공용 데크의 결합구조
JP5561687B2 (ja) 幅木取付け用金具
WO2009123567A2 (en) A connector claw
EP3176349A1 (en) Anti-lifting coupling system
JPH1150656A (ja) 足場や支保工などの部材連結用の楔
JP3051703B2 (ja) 足場用手すり器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JP4091587B2 (ja) 安全手摺
KR200345059Y1 (ko) 슬래브 거푸집용 멍에 지지구
CN110273505B (zh) 圈梁模块、圈梁、建筑体及构筑方法
KR200368777Y1 (ko) 건축공사용 보강빔
JPH0736995Y2 (ja) 足場装置
CN212376166U (zh) 一种便于安装的新型楼梯踏板结构
KR200345028Y1 (ko) 천장 합판 시공용 구조물 지지 부재
KR200337010Y1 (ko) 거푸집 바닥패널 지지빔 설치 브라켓
KR102245168B1 (ko) 용접없이 단면구성이 가능한 강판성형 비탈형 보 거푸집
JP2826283B2 (ja) 足場板支持構造
JP3033549U (ja) 組立式足場
JP2951900B2 (ja) 床支持構造
KR101897502B1 (ko) 유로폼용 만능치구 및 그 설치방법
KR100926767B1 (ko) 건축용 슬라브 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