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243B1 -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243B1
KR101979243B1 KR1020180161054A KR20180161054A KR101979243B1 KR 101979243 B1 KR101979243 B1 KR 101979243B1 KR 1020180161054 A KR1020180161054 A KR 1020180161054A KR 20180161054 A KR20180161054 A KR 20180161054A KR 101979243 B1 KR101979243 B1 KR 101979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erminal pin
rotation block
elastic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1020180161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선부를 이루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가 설치되는 회전블록; 상기 회전블록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상기 회전블록의 설치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압대; 상기 가압대를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왕복운동을 행하도록 가압력과 인장력을 교호로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가압대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단자핀이 일정한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단자핀의 중앙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가압대가 단잔핀의 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할 때에 단자핀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단자핀이 굴곡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하강시키는 제3구동부; 커넥터의 공급방향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경사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제공되는 경사신호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회전블록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커넥터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굴곡장치를 배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BENDING DEVICE FOR CONNECTOR TERMINAL PIN}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개별적으로 굴곡시켜 복수 개의 단자핀이 동일한 각도로 굴곡될 수 있도록 하고, 커넥터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급되는 경우에는 커넥터의 배치각도와 같은 각도로 굴곡장치를 경사지게 배치시켜 복수 개의 단자핀을 일정한 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굴곡장치를 회전시켜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경우에 정확한 위치로 굴곡장치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장치는 케이블의 단부에 금속의 단자핀을 가압하여 전도 가능한 상태로 굴곡시키는 장치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는, 베이스 상에 단자핀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단자핀을 지지하는 앤빌 및 프레스 가이드가 설치되는 한편, 프레스 가이드 내에는 승강구가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구 저부에는 앤빌에 대응하여 단자핀을 가압, 압착하는 클림퍼가 설치된다.
공급장치에 의해서 단자핀이 프레스 장치 내에 일정한 주기로 연속 공급되면, 승강구는 단자핀 공급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상하 왕복 이동하고, 이때 클림퍼는 연결편에 연결된 단자핀을 분리함과 동시에 케이블 단부에 단자핀을 가압, 압착하여 단자핀과 케이블을 결합시킨다.
그러나 프레스 장치의 미사용 시 클림퍼와 앤빌이 상호 우발적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클림퍼는 물론 앤빌이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즉, 프레스 장치의 교환, 수리 기타의 원인에 의해 압착 시스템의 프레스 지그에서 프레스 장치를 분리하는 경우, 승강구가 프레스 가이드 내에서 낙하하여 클림퍼와 앤빌이 서로 충돌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이트조절볼트의 나사헤드의 하단과 프레스 가이드의 상단 사이에 삽입 및 탈리 가능한 ⊃형의 치구보호대를 마련하여, 치구보호대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클림퍼와 앤빌의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만약 프레스 장치를 프레스 지그에서 분리하기 전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치구보호대를 끼워 넣지 않으면, 클림퍼와 앤빌의 충돌을 피할 수 없고, 이에 따라 클림퍼 혹은 앤빌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면 단자핀의 고정 상태가 불량하게 되거나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클림퍼와 앤빌을 다시 제작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치구보호대는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까지 예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에게 불편하며, 따라서 프레스 장치가 프레스 지그에서 분리되기만 하면, 그 어느 경우라도 자동으로 클림퍼와 앤빌이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다 안정적인 장치가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는, 베이스 상에 프레스 가이드가 구비되고, 프레스 가이드를 따라 수직 왕복 이동하는 승강구를 포함하는 케이블 단자핀용 프레스에서, 베이스 내의 작동공간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베이스 외면에서 돌출 가능하게 된 밀핀과, 하부가 밀핀의 타측 단부와 접하고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승강구를 지지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와, 스토퍼 하부에 접하여 밀핀을 베이스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08504호(2011년 01월 1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자동 스토퍼가 구비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스는, 커넥터의 공급방향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급되는 경우에 프레스가 하강하는 방향을 가변시키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다수 개의 단자핀을 굴곡시키기 위해 프레스가 하강하면 경사지게 배치되는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고, 다수 개의 단자핀이 굴곡되는 정도도 다르게 이루어지므로 커넥터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개별적으로 굴곡시켜 복수 개의 단자핀이 동일한 각도로 굴곡될 수 있도록 하고, 커넥터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급되는 경우에는 커넥터의 배치각도와 같은 각도로 굴곡장치를 경사지게 배치시켜 복수 개의 단자핀을 일정한 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굴곡장치를 회전시켜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경우에 정확한 위치로 굴곡장치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곡선부를 이루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가 설치되는 회전블록; 상기 회전블록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상기 회전블록의 설치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압대; 상기 가압대를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왕복운동을 행하도록 가압력과 인장력을 교호로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가압대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단자핀이 일정한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단자핀의 중앙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가압대가 단잔핀의 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할 때에 단자핀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단자핀이 굴곡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하강시키는 제3구동부; 커넥터의 공급방향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경사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제공되는 경사신호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회전블록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커넥터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굴곡장치를 배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회전블록의 곡선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부재에 기어연결되는 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회전블록이 타측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회전블록을 원위치로 당기는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랙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의 톱니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회전블록 일측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회전블록이 일측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회전블록을 원위치로 당기는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랙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의 톱니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회전블록 타측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블록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제1탄성부재 또는 상기 제2탄성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중앙부가 상기 동력전달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봉;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중앙부가 상기 동력전달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를 지지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지지블록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교체부;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지지블록으로부터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는, 커넥터의 공급방향이 경사지게 배치되는지 감지하는 센싱부가 구비되고,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정보에 따라 커넥터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굴곡장치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가 구비되므로 커넥터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급되어도 커넥터의 경사위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굴곡장치가 회전되어 커넥터의 단자핀을 굴곡시킬 수 있고, 다수 개의 단자핀이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각도로 굴곡되므로 커넥터 제조공정의 불량률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는, 제1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굴곡장치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동력전달부의 부품들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가 구비되므로 굴곡장치가 회전된 후에 굴곡장치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 부품들 사이의 유격에 의해 단자핀을 틀린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는, 유격방지부의 수명이 종료되면 유격방지부를 손쉽게 굴곡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 및 해제부가 구비되므로 유격방지부를 교체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는, 유격방지부와 굴곡장치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제1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굴곡장치가 회전될 때에 유격방지부와 굴곡장치가 간섭되면서 부품들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굴곡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의 굴곡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의 회전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의 교체부 및 분리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의 굴곡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의 회전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의 교체부 및 분리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는, 본 발명은, 곡선부를 이루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17a)가 설치되는 회전블록(17)과, 회전블록(17)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회전블록(17)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14)와, 제1구동부(14)의 동력을 회전블록(17)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8)와,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회전블록(17)의 설치프레임(30)에 구비되는 가압대(34)와, 가압대(34)를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왕복운동을 행하도록 가압력과 인장력을 교호로 제공하는 제2구동부(32)와, 가압대(34)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단자핀이 일정한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단자핀의 중앙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36)와, 가압대가 단잔핀의 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할 때에 단자핀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단자핀이 굴곡되도록 지지대(36)를 하강시키는 제3구동부(38)와, 커넥터의 공급방향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경사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와, 센싱부로부터 제공되는 경사신호에 따라 제1구동부(14)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회전블록(17)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커넥터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굴곡장치를 배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커넥터가 가압대(34)와 지지대(36)에 대향되게 배치되면 제2구동부(32)의 작동에 의해 가압대(34)가 경사지게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면서 커넥터로부터 제공되는 단자핀을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때, 설치프레임(30)에 구비되는 제3구동부(38)에 의해 지지대(36)가 하강하면서 단자핀의 중앙부를 상측 방향으로 굴곡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2구동부(32)는, 가압대(34)를 일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승운동 및 하강운동을 교호로 반복하므로 가압대(34) 및 지지대(36)는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굴곡작업을 연속되게 행하게 되어 다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하나씩 연속되게 상측 방향으로 굴곡시키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스에 의해 다수 개의 단자핀을 굴곡시킬 때에 컨넥터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에 다수 개의 단자핀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다른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굴곡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센싱부가 구비되므로 커넥터가 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가압대(34) 및 지지대(36)에 대향되게 배치된 후에 커넥터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경사정보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가 송신되면 제1구동부(14)를 이루는 제1모터(14a)에 동력이 제공되어 회전블록(17)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커넥터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18)는, 제1구동부(1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6)에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0) 내측에 배치되는 피니언부재(18a)와, 회전블록(17)의 곡선부에 구비되고, 피니언부재(18a)에 기어연결되는 랙부재(18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모터(14a)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축(16)이 회전되면 피니언부재(18a)가 회전되고, 피니언부재(18a)에 기어연결되는 랙부재(18b)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블록(17)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키게 된다.
회전블록(17)의 하단부에는 중앙부가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부가 형성되고, 랙부재(18b)는 곡면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랙부재(18b)는 피니언부재(18a)의 상측에 기어연결되게 배치되므로 제1모터(14a)의 동력에 의해 피니언부재(18a)가 회전되면 피니언부재(18a)에 기어연결되는 랙부재(18b) 및 회전블록(17)은 타측 또는 일측으로 회전되면서 회전블록(17)의 상면에 구비되는 설치프레임(3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대(34) 및 지지대(36)가 커넥터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커넥터의 공급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도 굴곡장치의 배치방향을 가변시키면서 다수 개의 단자핀을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니언부재(18a)와 랙부재(18b)는 기어연결되기 때문에 회전작동이 개시되거나 정지작동이 개시될 때에 피니언부재(18a)의 톱니와 랙부재(18b)의 톱니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에 의해 회전블록(17)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기 어려운데, 본 실시예는, 랙부재(18b)와 피니언부재(18a)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50)가 구비되므로 굴곡장치를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유격방지부(50)는, 회전블록(17)이 타측으로 회전될 때에 회전블록(17)을 원위치로 당기는 장력을 제공하여 랙부재(18b) 및 피니언부재(18a)의 톱니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회전블록(17) 일측과 베이스프레임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2)와, 회전블록(17)이 일측으로 회전될 때에 회전블록(17)을 원위치로 당기는 장력을 제공하여 랙부재(18b) 및 피니언부재(18a)의 톱니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회전블록(17) 타측과 베이스프레임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54)와, 회전블록(17)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될 때에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와 동력전달부(18)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56)를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52) 및 제2탄성부재(54)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선형부재이므로 회전블록(17)이 타측으로 회전될 때에 제1탄성부재(52)에 의해 회전블록(17)의 일측을 당기면서 랙부재(18b)와 피니언부재(18a)의 톱니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블록(17)이 일측으로 회전될 때에 제2탄성부재(54)에 의해 회전블록(17)을 타측으로 당기면서 랙부재(18b)와 피니언부재(18a)의 톱니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1탄성부재(52) 및 제2탄성부재(54) 중 어느 하나에 장력이 제공되면 다른 하나는 수축되면서 회전블록(17)과 베이스프레임 사이에서 배치되면서 피니언과 랙부재(18b)의 톱니 사이에 개재되는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간섭방지부(56)의 작용에 의해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가 피니언부재(18a) 및 랙부재(18b)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가 랙부재(18b)와 피니언부재(18a) 사이에 개재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간섭방지부(56)는,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고, 제1탄성부재(52)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1탄성부재(52)의 중앙부가 동력전달부(18)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봉(56a)과,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고, 제2탄성부재(54)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탄성부재(54)의 중앙부가 동력전달부(18)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봉(56b)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로부터 인장력이 해제되어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가 수축될 때에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가 랙부재(18b) 및 피니언부재(18a) 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제1가이드봉(56a) 또는 제2가이드봉(56b)에 걸리므로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가 랙부재(18b)와 피니언부재(18a) 사이에 개재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탄성부재(52) 및 제2탄성부재(54)는 양단부에 걸림부재(55)가 설치되고, 한 쌍의 착탈기둥(58)에 제1탄성부재(52) 및 제2탄성부재(54)의 양단부가 결합되며, 각각의 착탈기둥(58)은 베이스프레임 및 회전블록(17)에 착탈부(7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블록(17)의 반복적인 왕복운동에 의해 제1탄성부재(52) 및 제2탄성부재(54)가 늘어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게 되어 수명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착탈부(70)를 조작하여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를 손쉽게 베이스프레임(10)과 회전블록(17)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착탈기둥(58)은, 하단으로부터 중앙부까지 연장되는 관통홀부(58a)가 형성되므로 착탈기둥(58)의 하단으로부터 관통홀부(58a)를 따라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를 삽입한 후에 착탈기둥(58)을 베이스프레임(10) 또는 회전블록(17)에 형성되는 홀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걸림부재(55)에 의해 제1탄성부재(52) 또는 제2탄성부재(54)의 양단부가 베이스프레임 및 회전블록(17)에 고정된다.
착탈기둥(58)의 하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58b)가 형성되고, 베이스프레임(10) 및 회전블록(17)의 홀부에는 착탈부(70)가 구비되어 착탈기둥(58)의 단부를 고정시키고, 각가의 홀부에는 해제부(76)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해제부(76)를 조작하면 착탈기둥(58)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작업자가 착탈기둥(58)을 손쉽게 베이스프레임(10) 또는 회전블록(17)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부(70)는, 홀부 내벽으로부터 홀부 내측 방향으로 출몰되게 설치되어 착탈기둥(58)의 걸림홈부(58b)에 걸림결합되는 후크부재(72)와, 후크부재(72)를 홀부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4)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착탈기둥(58)을 홀부 내측으로 가압하면 착탈기둥(58)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면이 후크부재(72)를 후퇴시키고, 착탈기둥(58)의 삽입이 완료되면 스프링(74)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부재(72)가 홀부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걸림홈부(58b)에 걸림결합된다.
해제부(76)는, 후크부재(72)의 배면으로부터 회전블록(17) 또는 베이스프레임(10) 외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부재(76a)와, 와이어어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86b)를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레버부재(86b)를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 와이어부재(76a)의 장력에 의해 스프링(74)이 압축되면서 후크부재(72)가 후퇴되어 착탈기둥(58)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지지대(36)를 지지블록(38b)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지지대(36)를 지지블록(38b)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교체부(80)와, 지지대(36)를 지지블록(38b)으로부터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부(90)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핀 굴곡작업을 장기간 동안 연속하여 진행하면 지지돌기(36a)가 마모되어 지지대(36) 및 지지돌기(36a)를 교체해야 하는데, 본 실시예는, 교체부(80) 및 분리부(90)가 구비되므로 체결부재를 해체하는 별도의 해체작업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지지대(36)를 지지블록(38b)을부터 분리시켜 새로운 지지대(36) 및 지지돌기(36a)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지지블록(38b)에 결합시켜 교체작업을 손쉽게 종료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교체부(80)는, 지지블록(38b)에 형성되는 장착홀부(82)와, 장착홀부(82)에 삽입되도록 지지대(36)에서 돌출되는 장착기둥(84)과, 지지블록(38b)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돌기(86)와, 걸림돌기(86)가 걸림결합되도록 지지대(36)에 형성되는 결합홈부(88)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대(36)를 지지블록(38b)에 결합시킬 때에는 장착기둥(84)을 장착홀부(82)에 삽입한 후에 지지대(36)를 장착기둥(8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결합홈부(88)에 걸림돌기(86)를 걸림결합시켜 지지대(36)가 지지블록(38b)에 결합되도록 한다.
장착홀부(82)에는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홈부(82a)가 형성되고, 경사홈부(82a)의 내측에는 경사홈부(82a)와 비교하여 단면전이 넓고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장착기둥(84)에는 장착기둥(84)의 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대(84a)가 형성되므로 장착기둥(84)을 장착홀부(82)에 삽입할 때에 지지대(36)를 경사지게 배치시켜 굴곡대(84a)가 경사홈부(82a) 내측으로 삽입되게 장착기둥(84)을 장착홀부(82)에 삽입시키고, 굴곡대(84a)가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된 후에 지지대(36)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굴곡대(84a)가 공간부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경사홈부(82a)와 이격되어 장착기둥(84)이 장착홀부(82)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게 구속된다.
걸림돌기(86)는 지지블록(38b) 내측에 구비되는 작동공간으로부터 지지블록(38b)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공간 내벽과 걸림돌기(86) 배면 사이에 제3탄성부재(86a)가 개재되어 걸림돌기(86)를 지지블록(38b)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36)를 직립하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대(36)가 걸림돌기(86)의 경사면을 가압하여 제3탄성부재(86a)를 압축시키면서 걸림돌기(86)를 작동공간 내측으로 삽입시키고, 지지대(36)가 지지블록(38b)의 외벽에 안착되면 걸림돌기(86)가 결합홈부(88)에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제3탄성부재(86a)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86)가 지지블록(38b)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홈부(88) 내부로 삽입되면서 지지대(36)와 지지블록(38b)을 걸림결합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되는 지지대(36)는 장착기둥(84)과 장착홀부(82)의 결합에 의해 지지대(36)의 수직방향 운동이 구속되고, 굴곡대(84a)와 경사홈부(82a)의 결합에 의해 지지대(36)의 수평방향 운동이 구속되며, 걸림돌기(86)와 결합홈부(88)의 결합에 의해 지지대(36)의 전후방향 운동이 구속되어 지지대(36)는 지지블록(38b)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38b)에 고정된 지지대(36)의 하단에는 지지돌기(36a)가 형성되어 핀부재의 굴곡부위를 지지하게 되는데, 굴곡작업이 장기간 지속되어 지지돌기(36a)가 마모되면 지지대(36)를 교체하여 새로운 지지돌기(36a)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분리부(90)를 조작하여 걸림돌기(86)를 작업공간 내부로 삽입시키면서 걸림돌기(86)와 결합홈부(88)의 걸림결합을 해제하고, 지지대(36)의 전후방향 운동이 가능해지면 장착기둥(84)을 중심으로 지지대(36)의 하단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굴곡대(84a)와 경사홈부(82a)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시킨 후에 장착기둥(84)을 장착홀부(82)로부터 분리시키면 굴곡대(84a)가 경사홈부(82a)를 통해 지지블록(38b)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지지대(36)가 지지블록(38b)과 분리된다.
본 실시예의 분리부(90)는, 결합홈부(88) 내벽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돌기(96)와, 배출돌기(96) 내측 단부에 설치되고 경사면이 구비되는 작동블록(97)과, 배출돌기(96) 및 작동블록(97)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통로(96a)와 직교되는 가압통로(92a)에 설치되고 작동블록(97)을 가압하여 결합홈부(88)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가압부재(92)와, 배출돌기(96)를 배출통로(96a) 내측으로 삽입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탄성부재(98)와, 가압부재(92)를 지지대(36)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5탄성부재(94)를 포함한다.
작동블록(97) 및 가압부재(92)는 서로 단부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구비되는 경사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가압부재(92)를 가압통로(92a) 내측으로 가압하여 삽입시키면 가압부재(92)의 경사면이 작동블록(97)의 경사면을 밀어 작동블록(97)이 배출통로(96a)를 따라 결합홈부(88) 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작동블록(97)과 일체로 형성되는 배출돌기(96)가 결합홈부(88)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걸림돌기(86)를 결합홈부(88)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걸림돌기(86)와 결합홈부(88)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후에, 가압부재(92)에 작용하던 외력이 해제되면 제4탄성부재(98) 및 제5탄성부재(94)의 복원력에 의해 배출돌기(96)는 배출통로(96a) 내측으로 삽입되고, 가압부재(92)는 가압통로(92a) 외측으로 돌출되게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로써, 커넥터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개별적으로 굴곡시켜 복수 개의 단자핀이 동일한 각도로 굴곡될 수 있도록 하고, 커넥터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급되는 경우에는 커넥터의 배치각도와 같은 각도로 굴곡장치를 경사지게 배치시켜 복수 개의 단자핀을 일정한 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굴곡장치를 회전시켜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경우에 정확한 위치로 굴곡장치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굴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프레임 12 : 가이드레일
14 : 제1구동부 14a : 제1모터
16 : 구동축 17 : 회전블록
17a : 이송롤러 18 : 동력전달부
18a : 피니언부재 18b : 랙부재
30 : 설치프레임 32 : 제2구동부
32a : 제2모터 32b : 편심구동부
34 : 가압대 34a : 가압돌기
36 : 지지대 36a : 지지돌기
38 : 제3구동부 38a : 제3모터
38b : 지지블록 50 : 유격방지부
52 : 제1탄성부재 54 : 제2탄성부재
55 : 걸림부재 56 : 간섭방지부
56a : 제1가이드봉 56b : 제2가이드봉
58 : 착탈기둥 58a : 관통홀부
70 : 착탈부 72 : 후크부재
74 : 스프링 76 : 해체부
76a : 와이어부재 76b : 레버부재
80 : 단자블록 82 : 단자핀

Claims (5)

  1. 곡선부를 이루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가 설치되는 회전블록;
    상기 회전블록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상기 회전블록의 설치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압대;
    상기 가압대를 경사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왕복운동을 행하도록 가압력과 인장력을 교호로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가압대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단자핀이 일정한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단자핀의 중앙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가압대가 단잔핀의 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할 때에 단자핀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단자핀이 굴곡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하강시키는 제3구동부;
    커넥터의 공급방향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경사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제공되는 경사신호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회전블록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커넥터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굴곡장치를 배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회전블록의 곡선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부재에 기어연결되는 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부재와 랙부재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회전블록이 타측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회전블록을 원위치로 당기는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랙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의 톱니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회전블록 일측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회전블록이 일측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회전블록을 원위치로 당기는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랙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의 톱니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토록 상기 회전블록 타측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블록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제1탄성부재 또는 상기 제2탄성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중앙부가 상기 동력전달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봉;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양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중앙부가 상기 동력전달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지지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를 상기 지지블록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교체부;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지지블록으로부터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KR1020180161054A 2018-12-13 2018-12-13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KR101979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54A KR101979243B1 (ko) 2018-12-13 2018-12-13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54A KR101979243B1 (ko) 2018-12-13 2018-12-13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243B1 true KR101979243B1 (ko) 2019-05-16

Family

ID=6667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054A KR101979243B1 (ko) 2018-12-13 2018-12-13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24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4992A (zh) * 2019-09-18 2019-12-03 安徽长远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线缆生产用自动压装设备
CN110842066A (zh) * 2019-11-18 2020-02-28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接线端子的折弯装置
CN111555204A (zh) * 2020-06-09 2020-08-18 戴文忠 一种电缆终端接头的紧固装置
CN112018582A (zh) * 2019-05-29 2020-12-01 张家港市欧微自动化研发有限公司 一种连接器插针设备
CN112072440A (zh) * 2020-08-18 2020-12-11 浦江县全全进出口有限公司 一种用于接线端子组装的金属引脚折断装置
CN112421339A (zh) * 2020-09-30 2021-02-26 青岛铭青机电有限公司 一种端子折弯装置
CN113224614A (zh) * 2021-04-08 2021-08-06 青岛汇元海泰电子有限公司 一种线路板用端子折弯机
CN114833589A (zh) * 2022-04-26 2022-08-02 东莞市品晔电子有限公司 一种连接器端子削边铣槽收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85B1 (ko) * 2011-11-17 2012-05-21 주식회사 시너스 단자 밴딩기
KR20140108714A (ko) * 2012-02-09 2014-09-12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이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85B1 (ko) * 2011-11-17 2012-05-21 주식회사 시너스 단자 밴딩기
KR20140108714A (ko) * 2012-02-09 2014-09-12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이재 장치
KR101647573B1 (ko) * 2012-02-09 2016-08-10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이재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8582A (zh) * 2019-05-29 2020-12-01 张家港市欧微自动化研发有限公司 一种连接器插针设备
CN112018582B (zh) * 2019-05-29 2022-04-19 深圳市拓村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连接器插针设备
CN110534992A (zh) * 2019-09-18 2019-12-03 安徽长远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线缆生产用自动压装设备
CN110842066A (zh) * 2019-11-18 2020-02-28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接线端子的折弯装置
CN110842066B (zh) * 2019-11-18 2020-12-08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接线端子的折弯装置
CN111555204A (zh) * 2020-06-09 2020-08-18 戴文忠 一种电缆终端接头的紧固装置
CN111555204B (zh) * 2020-06-09 2021-04-16 戴文忠 一种电缆终端接头的紧固装置
CN112072440A (zh) * 2020-08-18 2020-12-11 浦江县全全进出口有限公司 一种用于接线端子组装的金属引脚折断装置
CN112421339A (zh) * 2020-09-30 2021-02-26 青岛铭青机电有限公司 一种端子折弯装置
CN113224614A (zh) * 2021-04-08 2021-08-06 青岛汇元海泰电子有限公司 一种线路板用端子折弯机
CN114833589A (zh) * 2022-04-26 2022-08-02 东莞市品晔电子有限公司 一种连接器端子削边铣槽收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243B1 (ko) 커넥터 단자핀 굴곡장치
CN107112463B (zh) 云台的电源模组、电池组件及云台
KR101008504B1 (ko) 자동 스토퍼가 구비된 커넥터 단자핀용 프레스
CN205614266U (zh) 一种硅片切割用钢丝对焊机
CN110952226B (zh) 缝纫机
US20220134621A1 (en) Barrel support apparatus and injection apparatus
CN115338615B (zh) 一种弹簧钩装配夹具
KR101232919B1 (ko) 프레스금형의 스크랩배출장치
CN219838196U (zh) 打印平台承载机构及铲件清洗一体机
CN211332079U (zh) 一种压装装置
CN218081286U (zh) 一种弹簧钩装钩机
CN214196862U (zh) 一种带锁紧的卡扣装置
KR101600932B1 (ko) 자동차 모터 브라켓 부시 조립장치
CN221210558U (zh) 一种弹簧配装单元以及自动配装流水线
CN219966986U (zh) 夹取装置及具有其的组装***
CN114393846B (zh) 一种座椅托盘塑料盖的自动装配装置和方法
CN217875096U (zh) 一种连接结构以及电子设备固定支架
CN219256637U (zh) 一种适用不同径绳头的手提袋穿绳机拉绳机构
CN218418704U (zh) 一种夹具分带式拉链穿头机
CN215281665U (zh) 开夹机构及托盘结构
CN221378467U (zh) 一种快拆组件及摄影灯
CN219310673U (zh) 自锁治具及加工生产线
CN112201896B (zh) 电池安装结构及机器人
CN220753966U (zh) 一种线材铆压辅助装置
CN117175321B (zh) 一种二孔安全门安装装置及装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