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86B1 - Polyhybrid waterproof method - Google Patents

Polyhybrid waterproof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86B1
KR101978686B1 KR1020170107008A KR20170107008A KR101978686B1 KR 101978686 B1 KR101978686 B1 KR 101978686B1 KR 1020170107008 A KR1020170107008 A KR 1020170107008A KR 20170107008 A KR20170107008 A KR 20170107008A KR 101978686 B1 KR101978686 B1 KR 10197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nonwoven fabric
composite sheet
polyu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1789A (en
Inventor
이해문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에스유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에스유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686B1/en
Publication of KR2019002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경사가 있거나 수직인 피도면에도 균일한 방수 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방수 시공 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의 경화 혹은 피도면에 수분으로 인하여 시트 상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부풀어 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포함한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sheet.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uniformly perform waterproofing even on a sloped or vertical surfac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ir bubbles or swelling on the sheet due to curing of polyurethane or polyurea during waterproofing, And a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multi-waterproof sheet.

Description

폴리하이브리드 방수 공법{POLYHYBRID WATERPROOF METHOD} {POLYHYBRID WATERPROOF METHOD}

본 발명은 방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경사가 있거나 수직인 피도면에도 균일한 방수 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방수 시공 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의 경화 혹은 피도면에 수분으로 인하여 시트 상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부풀어 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포함한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sheet.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uniformly perform waterproofing even on a sloped or vertical surfac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ir bubbles or swelling on the sheet due to curing of polyurethane or polyurea during waterproofing, And a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multi-waterproof sheet.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의 바닥면이나 건물 옥상 등에는 누수와 이로 인한 구조물의 노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방수층을 형성하는 시공이 실시된다.Construction is carried out to form a waterproof layer on the floor of a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 or on the roof of a building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leakage of water and aging of the structure.

일반적으로 방수 시트로 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균일하고 우수한 방수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고 시공 시 시트 간 이음성이 좋지 않아 시트 연결 부위의 간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연결 부위 누수로 인하여 방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방수층을 시공하는 중에 혹은 시공 이후에 피도면으로부터 가스 혹은 수분의 배출되지 않아 시공된 방수층이 들뜨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Generally, when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with a waterproof sheet, uniform and excellent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achieved. However, since the cost of the waterproof layer is low, The function may be los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proof layer is not discharged or gas or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urface during or after the waterproof layer, so that the constructed waterproof layer is exposed or cracked.

한편, 방수 시트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은 물론, 접착성 및 내한성 등의 물성이 요구된다. 또한, 피도면에 코팅 시 도막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코팅액이 흘러내리지 않아야 하며, 내구성, 구조물 안정성, 소음차단 등을 위해 탄성 등의 물성이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waterproof sheets are required to have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dhesiveness and cold resistance. In addi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when coating the surface, and the coating liquid must not flow down,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structural stability, and noise shielding are required.

이러한 물성에 적합한 방수 재료로 용액형 우레탄,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에멀젼, 폴리우레탄 콜로이드 분산체, 폴리우레탄 수용액 등의 성상의 수용성 우레탄계 방수제나 폴리우레아가 사용되고 있다. As a waterproof material suitable for such physical properties, a water-soluble urethane-based waterproofing agent such as a solution type urethane, specifically, a polyurethane emulsion, a dispersion of a polyurethane colloid, or a polyurethane aqueous solution, or a polyurea is used.

현재 시중에 시공되고 있는 폴리우레탄은 폴리에테르 및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물로서 고온고압의 충돌 스프레이 장비로 탄성 도막을 형성하고, 폴리에테르아민이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Polyurethane which is currently being applied on the market forms a resilient coating film with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collision spraying equipment as a reaction product with polyether and isocyanate, and polyetheramine is used as a raw material.

폴리우레아는 인장, 인열, 내충격성, 내마모성, 접착력, 내약품성, 내산성,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며, 도막 두께 조절이 자유로운 특성을 가진다. 또한, 피도면이 경사를 이루거나 수지일 경우에도 코팅액이 흘러내리지 않고 동절기와 같은 저온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Polyurea has the advantages of excellent tensile, tear, impac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dhesive force, chemical resistance, acid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In addition, even when the coated surface is inclined or resin, the coating liquid does not flow down and can be applied even at low temperatures such as in the winter season.

하지만,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방수 시트는 피도면에 수분이 있는 경우 수분으로 인한 기포가 발생하거나 습기를 흡수하지 못하여 부풀어 올라 방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원료의 가격이 높아 도막 두께를 두껍게 할수록 비용이 상승되는 부담을 가진다. However, the waterproof sheet formed by using polyurethane or polyurea is problematic in that when water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heet, air bubbles are generated or the sheet is not absorbed moisture, I have. In addition, since the cost of raw materials is high, the thicker the film thickness, the more the cost is increased.

이에, 방수 시공 시 적용되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면서 피도면의 상태에 따라 방수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도막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시공 작업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방수 공법에 대한 기술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while the waterproof performance is not deterior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ated surface while using the polyurethane or polyurea applied in the waterproofing construc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s needed.

한국등록특허 제10-1595118호(2016.02.11)Korean Patent No. 10-1595118 (Feb.

본 발명은 균일한 방수 시공이 가능하고, 특히 방수 시공 중이나 시공 후에도 방수층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부풀어 올라 방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우수한 방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proof sheet capable of achieving uniform waterproofing and particularly capable of realizing excellent waterproof performance by effectively preventing a waterproof layer from being bubbled or swollen to lose its waterproof function even during waterproofing and construction .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방수 성능은 물론 도막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비용 절감으로 인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방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proof sheet capable of minimizing the thickness of a coating film as well as improving waterproof performance, thereby improving cos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수분 차단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탄성이 뛰어나며, 내충격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한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방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proof sheet having improved waterproofing and heat insulating performance, excellent in elasticity, and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방수 시트를 이용하는 방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waterproof she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닥면에 부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부에 형성되며 부직포층 및 PVC 졸 층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층, 상기 복합 시트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중도층 및 상도층을 포함하는 방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A composite sheet layer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and a PVC sol layer, and a waterproof sheet including a middle layer and an upper layer sequentially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시트층은 PVC 졸에 부직포를 함침하거나 부직포에 PVC 졸을 코팅한 후 가열 및 경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In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sheet layer may be formed by impregnating a PVC sol with a nonwoven fabric or by coating a nonwoven fabric with a PVC sol, followed by heating and cu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에 있어서, 상기 중도층 및 상도층은 각각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우레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In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upper layer may each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polyurea, polyurethane, and polyureauretha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및 폴리아크릴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부직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In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formed using any one or more of fibers selected from polyester fibers, polyamide fibers, polyethylene fibers, polypropylene fibers and polyacryl fibers Woven fabri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시트층은 방수 시트 전체 두께 대비 5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폴리우레아 중도층 및 폴리우레아 상도층의 두께의 합은 방수 시트 전체 두께 대비 5 내지 3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sheet layer is formed to a thickness of 5 to 5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waterproof sheet, and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polyurea intermediate layer and the polyurea- And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5 to 30% of the total thickness.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바닥면에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접착층 상부에 PVC졸 및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 시트층 상부에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우레탄 중도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중도층 상부에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우레탄 상도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시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applying an adhesive layer to a floor surface, forming a composite sheet layer comprising a PVC sol and a nonwoven layer on the applied adhesive layer, And applying a polyurea or polyurethane topcoat layer on top of the intermediat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시트층은 PVC 졸에 부직포를 함침하거나 부직포에 PVC 졸을 코팅한 후 가열 및 경화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sheet layer may be formed by impregnating a PVC sol with a nonwoven fabric or by coating a nonwoven fabric with a PVC sol, followed by heating and cu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시트층 상부에 중도층은 붓, 롤러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 실시하는 것인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우레탄 중도층을 도포하는 단계는 2회 이상 반복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ethod of applying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layer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is repeated one or more times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brushes, rollers, and sprayers The step of applying the polyurea or polyurethane intermediate layer may be repeated two or more times.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트는 경사가 있거나 수직인 피도면에도 표면이 균일하고 평평한 방수 시공이 가능하고, 특히 피도면에 수분이 있는 경우에도 방수 시공 과정이나 시공 후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도막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방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uniformly and flatly waterproofing the surface even if there is a sloped or vertical surface, and even when moisture is present on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ir bubbles from forming or bubbling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alize excellent waterproof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방수 성능은 물론 도막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capable of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as well as excellent waterproof performance, thereby reducing the cost.

또한, 본 발명은 수분 차단 및 단열 성능이 탁월하며, 탄성, 내충격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한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waterproofing an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and excellent in elasticity,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의 적층 성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 cross section of a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 laminated component of a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수 시트 및 상기 방수 시트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waterproof sheet and the waterproof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본 발명에서의 용어, “피도면”은 코팅되는 코팅제의 대상물인 피 처리면을 의미하며, 시공 대상면, 피막과 같이 방수층이 형성되는 시공의 대상이 되는 면이며, 일예로 콘크리트나 시멘트 바닥면일 수 있다. The term " surface to be coated "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surface to be treated which is an object of a coating agent to be coated, and is a surface to be subjected to construction in which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have.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방수 시공을 실시하는 공정 상 상기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우레탄이 경화되면서 방수층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를 심화한 결과, 바닥면으로부터 특정의 적층성분의 조합, 특히 부직포층 및 PVC졸 경화층의 복합 시트층을 포함함으로써 피도면에 수분이 있는 경우를 포함하여 기포가 발생하거나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우수한 방수성능을 구현하고,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시공 작업이 용이하고, 도막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tensively researched to solve the problem of preventing air bubbles from forming or swelling in the waterproof layer due to curing of the polyurea or polyurethane in the process of waterproofing using polyurea or polyurethane As a result, the combination of specific lamination components from the bottom surface, in particular, the composite sheet layer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PVC sol-cured layer,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bubbles or swelling including the case where moisture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xcellent properties possessed by polyurethane and polyurea, and furthermore, the construction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can be minimiz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markably reduced,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바닥면에 부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부에 형성되며 부직포층 및 PVC 졸 경화층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층, 상기 복합 시트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폴리우레아 중도층 및 폴리우레아 상도층을 포함하는 방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heet lay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adhered to a bottom surface, a non-woven fabric layer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a PVC cured layer, a polyurea intermediate layer and a polyurea top layer To a waterproof she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트는 바닥면의 상부에 접착층(100), 상기 접착층(100) 상부에 부직포층(210) 및 PVC 졸 경화층(220)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층((200)을 형성하고, 상기 복합 시트층(200) 상부에 순차적으로 중도층(300) 및 상도층(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osite sheet 100 including an adhesive layer 100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nonwoven fabric layer 210 on the adhesive layer 100, and a PVC sol- Layer 200 and sequentially forming a middle layer 300 and a top layer 400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100)은 피도면인 바닥면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접착층(100)은 바닥면 위의 레이턴스, 먼지, 유분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고, 바닥면을 그라인더 또는 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돌출 또는 노화된 부분을 고르게 처리한 다음 충분히 건조 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피도면의 균열을 방지하고 후술하는 적층 성분들의 도막의 두께가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adhesive layer 10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adhesive layer 100 may be formed by removing contaminants such as laitance, dust, and oil on the bottom surface, treating the protruded or aged portions of the bottom surface by using a grinder, a brush, or the like, . This prevents cracks on the surface to be coated and uniformly applies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of the lamination components described later.

상기 접착층(100)은 일반적인 접착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및 아크릴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아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우레탄우레아 수지, 불포화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불포화에스테르 수지 및 우레탄 불포화 에스테르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인 일예로, 내수성, 내알칼리성, 작업성이 우수한 아크릴 에멀젼이나, 방수 시트의 부착성과 방수 성능 상승 효과 측면에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용화된 제품으로는 에이치디에스산업(주)의 UP-100, 에스디비(주)의 URP-110 등을 들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00 may be formed using a general adhesive material, and preferably one or more selected from an epoxy adhesive, a urethane adhesive, and an acrylic adhesive can be used. Specifically, it may be any one or more resins selected from an epoxy resin, an acrylic resin, a urea resin, an acryl urethane resin, a urethane urea resin, an unsaturated ester resin, an acrylic unsaturated ester resin and a urethane unsaturated ester resin. More specifically, ethylene vinyl acetate (EVA) may be used in the acrylic emulsion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lkali resistance, workability, adhesion of the waterproof sheet and synergistic effect on waterproof performan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UP-100 manufactured by Hewlett-Packard Co., Ltd., and URP-110 manufactured by Sdd. Co., Ltd.

상기 접착층(100)은 다른 양태로, 수용성 에폭시 수지에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에폭시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기를 2개 이상 함유하는 것으로, 에피플로로히드린에 비스페놀A를 알칼리 존재 하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에폭시기의 고리가 열려 부가 중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용제형과 수용성으로 구분되는데, 용제형의 경우 유기성 용제가 방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취급성, 물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특히, 상기 수용성 에폭시 수지는 습도가 높거나 결로가 발생하는 환경에 더욱 효과적이다. The adhesive layer 100 may, in another embodiment, be formed of an epoxy adhesive containing an amine-based curing agent in a water-soluble epoxy resin. Specifically, the epoxy resin contains two or more epoxy groups, and bisphenol A may be added to the epifluorohydrin by adding a curing agent in the presence of an alkali and reacting to open the ring of the epoxy group. This is classified into a solvent type and a water-soluble type. In the case of a solvent type, an organic solvent may be releas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soluble epoxy resin is preferably used. In particular, the water-soluble epoxy resin is more effective in an environment where humidity is high or condensation occurs.

상기 접착층(100)은 롤러나 붓,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당 0.1 내지 0.4kg,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kg 도포한 다음 건조 또는 경화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크게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인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00 is formed using a roller, brush, spray, or the like, preferably 0.1 to 0.4 kg, preferably 0.2 to 0.3 kg per m 2, and then dried or cur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referably 10 to 100 占 퐉, more preferably 20 to 80 占 퐉.

상기 복합 시트층(200)은 부직포층(210) 및 PVC 졸 층(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부직포층(210) 및 PVC 졸 층(220)은 각각 독립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접착층(100) 상부에 부직포층(210)이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층 상부에 PVC졸 층(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에 형성되는 중도층(300) 또는 상도층(400)의 시공 공정 상 혹은 시공 이후의 압력으로 인하여 부직포층(210)이 PVC졸 층(220)에 함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includes a nonwoven fabric layer 210 and a PVC sol layer 220.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and the PVC sol layer 220 may be formed as independent layers. In one embodiment, a nonwoven fabric layer 210 i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00, and a PVC sol layer 220 is formed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In this case,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may be impregnated into the PVC sol layer 220 due to the pressure of the intermediate layer 300 or the upper layer 4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300 o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upper layer 400.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복합 시트층(200)은 부직포층(2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PVC 졸 층(220)이 형성된 것이거나 상기 부직포를 PVC 졸에 함침시켜 부직포층(210) 상에 PVC 졸 층(22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트층은 접착층의 상부층에 부직포층과 PVC졸 층이 복합적으로 교차하여 다층으로 형성된 것으로, 적층 성분간 결합으로 복합 시트의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2,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may be formed by forming a PVC sol layer 220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or by impregnating the nonwoven fabric with a PVC sol, A PVC sol layer 22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210. That is, the composite sheet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PVC sol layer cross each other in an upper layer of the adhesive layer and have a composite sheet shape due to a bond between the lamination components.

상기 복합 시트층(200)은 단일 부직포층이 형성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직포층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올라오는 수분을 포획하여 차단하고 수분에 의해 팽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나아가, 접착층(100) 상부에 위치하는 복합 시트층(200)으로서 부직포층(210)과 PVC 졸 층(220)의 조합을 가짐으로써 상기 복합 시트의 상부에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중도층(300) 또는 상도층(400)과의 조합으로 보다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계적 강도, 접착 강도, 탄성, 내충격성, 내열성, 내한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이러한 적층 구성성분의 조합은 일련의 방수 시트의 시공에 따른 도막 경화 시 시공면의 평활성을 좋게 하고, 수분이나 기체 발생으로 불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거나 부풀어 오르는 현상으로 그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can relatively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as compared with the single nonwoven fabric layer 200, and more particularly, it effectively blocks the moisture com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like. Further, a composite sheet layer 200 positioned on the adhesive layer 100 may be formed by using a combination of a nonwoven fabric layer 210 and a PVC sol layer 220, using polyurea or polyurethane on the composite sheet The combinat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300 and the upper layer 400 can further improve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the adhesive strength, the elasticity, the impact resistance, the heat resistance, the cold resistance and the durability. Further, such a combination of the laminated constituting components improves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to be formed when the coating film is cur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series of waterproof sheets, and the function is deteriorated due to the phenomenon of forming a water film or a non- It can be prevented.

상기 부직포층(210)은 부직포의 종류에 크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및 폴리아크릴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중량이 100 내지 200 g/㎡인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부직포는 아민계 화합물이 코팅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부에 적층되는 중도층과의 접착력 강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may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type of the nonwoven fabric. Fo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may b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ster fibers, polyamide fibers, polyethylene fibers, polypropylene fibers, Non-woven fabric made using fib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polyester nonwoven fabrics having a weight of 100 to 200 g / m < 2 > can be used. Further, the nonwoven fabric may be a nonwoven fabric coated with an amine-based compound, which is effective in enhancing adhesion with the intermediate layer laminated on the upper layer.

또한, 상기 부직포는 열경화성 수지와 천연섬유를 혼합하여 형성된 펠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펠트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와 상호 니들 펀칭에 의해 물리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The nonwoven fabric may be a felt formed by mixing a thermosetting resin and natural fibers. The felt may be one which is physically laminated with the polyester long-fiber nonwoven fabric by needle punching.

상기 부직포층(210)은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을 포함하고 있어, 바닥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있어 수분에 의해 방수 시트의 구조상 결함, 즉 시트 상 팽윤 또는 부풀어 오르거나 평활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부직포층(210)은 PVC 졸 층과의 조합에 의해 탄성이 부여됨으로써 부직포층 자체의 구조 안정성 및 시트 층간 접착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방수 시트 전반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는데 효과적이며, 방수 시트 층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유연성을 증대시켜 충격, 진동을 포함하여 외부 요인에 의해 균열이 생기거나 적층 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Since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includes an empty space in the interior thereof,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apture the moisture coming from the bottom surface, thereby reducing the structural defects of the waterproof sheet, that is, the swelling or swelling of the sheet,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has elasticity imparted by combination with the PVC sol layer, thereby sec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itself and securing the sheet interlaminar bond strength. 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absorb impact and vibration applied to the entire waterproof sheet. It prevents separation between waterproof sheet layers and increases flexibility. It prevents cracks due to external factors including shocks and vibrations or damage to the laminated structure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상기 PVC 졸 층(220)은 PVC 졸의 경화층으로, 상기 부직포층(210)과의 조합으로 방수 성능을 구현하는 것은 물론 방수 시트 적층 구조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탄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한성 및 장기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바닥면과의 접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The PVC sol layer 220 is a cured layer of a PVC sol. The PVC sol layer 220 can realize waterproof performance in combination with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waterproof sheet laminate structure, Cold resistance and long-term durability. In addition, it has a property of increasing the bonding efficiency with the bottom surface.

상기 PVC 졸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이하, PVC 수지)에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PVC졸은 페이스트 상의 PVC 수지에 가소제와 기타 첨가제를 배합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PVC 졸의 점도는 100 내지 10,000 cps,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 cps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부직포와의 결착력이 상승되고, 방수 시트의 바닥면과의 접착력은 물론 장기 내구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이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The PVC sol may be one containing a plasticizer in a polyvinyl chloride res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VC resin "). In one embodiment, the PVC sol may be a mixture of plasticizer and other additives in the PVC resin on the paste. At this time, the viscosity of the PVC sol may be 100 to 10,000 cps, preferably 1,000 to 5,000 cps.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the binding force with the nonwoven fabric is increased, and the adhesion strength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proof sheet is effective in terms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long-term, but this is only a non-limiting example.

또한, 상기 PVC 수지의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8,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6,0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기계적 강성을 가지면서 충간 접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C resin is preferably 500 to 10,000, preferably 1,000 to 8,000, more preferably 2,000 to 6,000.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terlaminar bond strength while having excellent mechanical rigidity, but this is a non-limiting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numerical range.

상기 페이스트 상의 PVC 수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통상의 용매, 일예로 물을 혼합한 것으로, 마이크로 현탁액(micro suspension) 또는 에멀젼(emulsion)일 수 있으며, 분산체의 형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VC resin on the paste is a polyvinyl chloride resin mixed with a common solvent such as water, and may be a micro suspension or an emulsion,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form of a dispersion.

상기 PVC 수지는 내수성, 내산성, 절연성이 양호하고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으로,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CH2-CHCl-]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단독중합체일 수 있으며, 또는 [-CH2-CHCl-]로 표시되는 주사슬에 올레핀계 단량체 또는 초산비닐 단량체가 공중합된 폴리염화비닐 공중합체일 수 있다. The PVC resin may be a homopolymer containing repeating units of [-CH 2 -CHCl-], or may be a [-CH 2 -CHCl-] may be a polyvinyl chloride copolymer in which an olefin-based monomer or a vinyl acetate monomer is copolymerized with the main chain.

상기 가소제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탈레이트(phthalates)계, 아디페이트(adipates)계, 트리멜리테이트(trimellitates)계 가소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DID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트리-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TOTM) 및 디옥틸아디페이트(DOA)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lastic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hthalates, adipates, trimellitates, and the like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organic peroxide include dioctyl phthalate (DOP), diisononyl phthalate (DINP), diisodecyl phthalate (DIDP), dibutyl phthalate (DBP), dioctyl terephthalate (DOTP), tri-2-ethylhexyl trimellitate (TOTM), and dioctyl adipate (DO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PVC 졸은 통상 이분야에 알려진 안정제, 충진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VC sol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stabilizers, fillers, and antioxidants known in the art within a range not deterior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상기 복합 시트층(200)은 방수 시트 전체 두께 대비 5 내지 50%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수분 방지, 바닥면과의 접착력, 충격 등의 외부 자극으로 인한 저항성, 장기 내구성 향상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5 to 50%, preferably 15 to 4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waterproof sheet, to prevent moisture, , It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improvement in long-term durability.

상기 복합 시트층(200)의 상부에는 중도층(300) 및 상도층(400)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이때, 중도층(300)과 상도층(400)에 적용되는 재료는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우레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An intermediate layer 300 and an upper layer 400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At this time, the material applied to the intermediate layer 300 and the top coat layer 400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urea, polyurethane, and polyureaurethane.

일 양태로, 상기 복합 시트층(200) 상부에 폴리우레아 중도층 및 폴리우레아 상도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폴리우레탄 중도층 및 폴리우레아 상도층 혹은 폴리우레아 중도층 및 폴리우레탄 상도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a polyurea intermediate layer and a polyurea top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and optionally a polyurethane intermediate layer and a polyurea top layer or polyurea intermediate layer and a polyurethane top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도층으로는 접착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성분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상기 상도층으로는 내후성, 내마모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성분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물성 구현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Preferably, the intermediate lay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adhesion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lay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It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realizing the property to be achieved in the invention.

상기 중도층(300)과 상도층(400)에 적용되는 폴리우레아는 순수 폴리우레아 및 연질, 경질 또는 고경질의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 혼합형 폴리우레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업화된 예로서 에이치디에스산업(주)의 Quick Star JU-95, Quick Star JH-90 또는 에스디비(주)의 UT-35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아 방수 재료는 순수 우레아 고형분이 100%로 이루어진 것이며,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The polyurea applied to the intermediate layer 300 and the upper layer 400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ure polyurea and polyurea polyurea mixed polyurea of soft, hard or high hardness, no. As a commercialized example, Quick Star JU-95, Quick Star JH-90 manufactured by HIS-DSS Industry Co., Ltd. or UT-350 manufactured by SdB Co., Ltd. can be used. The polyurea waterproofing material is 100% pure Urea solids, and can be applied using an airless spray gun.

상기 중도층(300)과 상도층(400)에 적용되는 폴리우레탄은 2액형 우레탄 수지 조성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로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urethane applied to the intermediate layer 300 and the upper layer 400 may be a two-component urethane resin composition, specifically including a base and a curing agent, and the curing agent may include water.

상기 주제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잠재성 경화제와 잠재성 경화제 분해촉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한 분자당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한 분자당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 화합물의 배합비는 당량비로 NCO기/OH기가 1.5 내지 2.5일 수 있으며, 반응은 50 내지 130℃에서 3 내지 15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제조된 우레탄 프리폴리머 용액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 함량은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5 내지 0.8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적층체의 물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특성을 가진다. The subject matter may include a latent curing agent and a latent curing agent decomposition catalyst in the urethane prepolymer. The urethane prepolymer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polyisocyanate compound having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per molecule with a polyol compound having two or more hydroxyl groups per molecule. At this time,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polyisocyanate compound and the polyol compound may be an equivalent ratio of NCO group / OH group of 1.5 to 2.5, and the reaction may be carried out at 50 to 130 ° C for 3 to 15 hours. The isocyanate group (-NCO) content of the prepared urethane prepolymer solution is preferably controlled to be 0.5 to 0.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urethane prepolymer.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advantageous in sec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aminate.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테트라메틸-m-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NDI), 헥산-1,6-디이소시아네이트(HDI) 및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H6XD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및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사용하는 것이 취급성이 좋고 비용 절감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Examples of the polyisocyanate compound include toluene diisocyanate (TDI), diphenylmethane-diisocyanate (MDI), xylene diisocyanate (XDI),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tetramethyl-m-xylylene diisocyanate ), Naphthalene diisocyanate (NDI), hexane-1,6-diisocyanate (HDI) and 1,3-bis (isocyanatomethyl) cyclohexane (H6XDI). But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toluene diisocyanate (TDI) and diphenylmethane-diisocyanate (MDI) is preferable because of good handleability and cost reduction.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그 종류에 크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는 형성되는 중도층 또는 상도층의 강도 측면에서 효과적이며, 특히 수분에 의한 방수 시트의 물성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The polyol compound can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to its kind, and specifically, any one selected from a polyether polyol, a polyester polyol and a polycarbonate polyol can be mentioned. This is effective in terms of the strength of the formed intermediate layer or the top layer,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effectivel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waterproof sheet due to moisture.

상기 폴리우레탄 방수 재료는 상업화된 것으로 에이치디에스산업(주)의 JEPO TEX-3L, JEPO TEX-4L, JEPO TES-2U 또는 JEPO TES-2NS를 들 수 있다.The polyurethane waterproofing material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can be exemplified by JEPO TEX-3L, JEPO TEX-4L, JEPO TES-2U or JEPO TES-2NS from HISDESE INDUSTRY CO., LTD.

상기 잠재성 경화제로는 옥사졸리딘계, 케티민계, 알디민계, 에나민계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분자 내에 옥사졸리딘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N-히드록시옥시옥사졸리딘 화합물이 내발포성과 저장안정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상기 N-히드록시옥시옥사졸리딘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2-이소프로필-3-(2-히드록시에틸)옥사졸리딘, 3-(2-히드록시에틸)옥사졸리딘, 2-(p-메톡시페닐)-3-(2-히드록시에틸)옥사졸리딘, 2-(2-메틸부틸)-3-(2-히드록시에틸)-5-메틸옥사졸리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xamples of the latent curing agent include oxazolidine-based, ketimine-based, aldimine-based, and enamine-based compounds. Of these, N-hydroxyoxyoxazolidine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oxazolidine It is effective in terms of stability. Specific examples of the N-hydroxyoxyoxazolidine compound include 2-isopropyl-3- (2-hydroxyethyl) oxazolidine, 3- (2-hydroxyethyl) oxazolidine, 2- 2- (2-methylbutyl) -3- (2-hydroxyethyl) -5-methyloxazolid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잠재성 경화제의 최적 첨가량은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수분에 의해 잠재성 경화제의 개열반응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 발포를 방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The optimal amount of the latent curing agent may be 0.5 to 5.0% by weight, preferably 1.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urethane prepolymer. When the range is satisfied, the latent curing agent is preferentially cleaved by water It is effective in terms of preventing foaming, but this is a non-limiting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numerical range.

상기 잠재성 경화제 분해 촉매는 유기산 또는 시릴에스터(silyl este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첨가량은 우레탄 프리폴리머 총중량의 0.1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하다. The latent curing agent decomposing catalyst may be an organic acid or a silyl ester, and the amount thereof added is preferably 0.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urethane prepolymer.

상기 잠재성 경화제 분해 촉매는 유기산이나 시릴에스터가 주제에 경화제로 물이 혼합되는 경우, 계내에 존재하는 물과 주제에 같이 함유된 잠재성 경화제가 반응하여 아민기(-NH2)와 히드록실기(-OH)를 생성시키는 개열반응(cleavage reaction)을 촉진하여 계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주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아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발포를 억제하는 동시에 가사 시간과 경화성과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가사 시간은 도장에 사용하는 시간(pot life)이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 겔 상태가 되어 분사도장이 어렵다. 일반적으로 우레탄 도료는 20℃에서 8 내지 12시간 실시될 수 있다. When the latent curing agent decomposition catalyst is mixed with water as a curing agent in an organic acid or a silyl ester, water present in the system reacts with a latent curing agent contained in the subject to form an amine group (-NH 2 ) and a hydroxyl group (-OH),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present in the system from reacting with the isocyanate groups of the subject to form urea bonds. This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foaming and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the pot life and the curing property. In this case, the pot life is the pot life, and when it exceeds this, the gel state becomes difficult and the spray coating is difficult. In general, the urethane coating can be applied at 20 DEG C for 8 to 12 hours.

상기 폴리우레탄 방수 재료는 상술한 경화제, 촉매 이외에 성능 강화를 위하여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충전제, 가소제, 안료, 분산제 등을 목적하는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urethane waterproofing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 filler, a plasticizer, a pigment, a dispersing agent and the like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uring agent and catalyst.

상기 중도층(300) 및 상도층(400)의 두께의 합은 방수 시트 전체 두께 대비 5 내지 30%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방수 시트의 물성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시공 비용을 절감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며, 방수 시트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intermediate layer 300 and the top layer 400 may be 5 to 3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waterproof sheet, preferably 10 to 25%. The thickness of the waterproof sheet can be easily controlled while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waterproof sheet within the above range while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waterproof shee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numerical range.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 바닥면에 접착층(100)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접착층(100) 상부에 부직포층(210) 및 PVC 졸 층(220) 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층(2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 시트층(200) 상부에 중도층(300)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중도층 상부에 상도층(400)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시트의 시공방법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applying an adhesive layer 100 to a bottom surface; forming a composite sheet layer 200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210 and a PVC sol layer 220 on the applied adhesive layer 100; , Applying the intermediate layer (300)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and applying the top layer (400) on the intermediate layer.

본 발명의 방수 시트의 시공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30℃ 이하, 상대습도가 85% 이하, 바닥면의 함수율이 10% 이하, pH가 7 내지 9의 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방수 성능 향상을 포함한 물성 상승 효과를 달성하는데 유리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waterproof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preferably at a temperature of 5 ° C or higher, 30 ° C or lower, a relative humidity of 85% or lower, a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surface of 10% or lower and a pH of 7 to 9,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it is advantageous to achieve the property-enhancing effect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바닥면에 접착층(100)을 도포하는 단계는 시공면이 피도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층(100)을 형성하는 것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롤러, 붓 또는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 또는 경화시켜 형성한다. 이때, ㎡당 소요되는 접착제는 0.1 내지 0.4kg,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kg일 수 있으며, 접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인 범위 내로 형성하는 것이 시공 효율을 높이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Specifically, the step of applying the adhesive layer 100 to the bottom surface includes forming the adhesive layer 100 on the surface to be coated with an adhesive by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using a roller, brush, spray, or the like, . In this case, the adhesive required per m 2 may be 0.1 to 0.4 kg, preferably 0.2 to 0.3 kg,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0 to 100 μm, more preferably 20 to 80 μm, It is effective in terms of height.

상기 접착층(100)을 형성하는 단계는 충분히 건조 또는 경화를 실시하여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경화 시간은 하절기에는 2 내지 4시간이며, 동절기에는 4 내지 6시간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tep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100 may be sufficiently dried or cured to prevent the peeling phenomenon. The preferred curing time is 2 to 4 hours in the summer, and 4 to 6 hours in the win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복합 시트층(20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PVC 졸에 부직포를 함침하거나 부직포에 PVC 졸을 코팅한 후 가열 및 경화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시트층(200)은 접착층(100) 상부에 부직포를 이용하여 부직포층을 형성한 다음 PVC 졸을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층 상부에 PVC 졸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시트층(200)은 부직포를 PVC 졸에 함침하여 PVC 졸이 코팅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부직포층(210)을 둘러싸는 PVC 졸 층(220)을 포함하여 부직포층(210) 양면에 PVC 졸 층(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is formed by impregnating a PVC sol with a nonwoven fabric or by coating a nonwoven fabric with a PVC sol, followed by heating and curing. Specifically,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may be formed by forming a nonwoven fabric layer on the adhesive layer 100 using a nonwoven fabric, and then forming a PVC sol layer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using a PVC sol.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may be formed using a nonwoven fabric coated with a PVC sol by impregnating a nonwoven fabric into a PVC sol. It may comprise a PVC sol layer 220 on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including a PVC sol layer 220 surrounding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이렇게 제조된 복합 시트층(200)은 접착층(100) 상부에 형성된 후 시공되는 중도층(300) 및 상도층(400)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PVC 졸은 일부가 부직포층 사이에 침투하여 부직포를 코팅하게 되고, 부직포층(210) 상부에 형성된 PVC 졸 층(220)과의 조합으로 방수 성능은 물론 시트 구조의 안정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탄성, 내충격성, 내한성, 장기 내구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thus formed penetrates a part of the PVC sol between the nonwoven fabric layers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intermediate layer 300 and the uppercoat layer 400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00, And is combined with the PVC sol layer 220 formed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210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lasticity, impact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long-term durability as well as waterproof performance as well as stability of the sheet structure .

다음으로, 상기 복합 시트층(200) 상부에 중도층(300) 및 상도층(400)을 순차적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시트층(200) 상부에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우레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제로 중도층(300)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중도층(300) 상부에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우레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제로 상도층(400)을 도포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Next, the middle layer 300 and the top layer 400 are sequentially coated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layer 300 is coated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with a coating ag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a, polyurethane, and polyureaurethane, A step of applying an upper layer 400 with a coating agent comprising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polyurea, polyurethane and polyureaurethane is carried out.

이때, 상기 중도층(300) 및 상도층(400)은 수분에 의한 기포 발생 또는 시트 상 부풀어 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중도층 및 폴리우레아 상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intermediate layer 300 and the upper layer 400 may be formed of a polyurethane intermediate layer and a polyurea-based layer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bubbles due to moisture or swelling on the sheet. However, It is not.

상기 복합 시트층(200) 상부에 형성되는 중도층(300)은 붓, 롤러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 실시하는 것인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우레탄 중도층(300)을 도포하는 단계는 2회 이상 반복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시공 시 중도층 표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The intermediate layer (300) formed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200) is repeated one or more times by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brush, a roller and a spray. The polyurea or polyurethane intermediate layer 300 may be repeated two or more times. This has the characteristic of effectively preventing air bubbles from being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during construction.

상기 상도층(400)의 형성은 중도층(300) 상에 상도층 성분 재료를 도포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상도층(400)과 중도층(300) 사이에 임의의 층이 단일 또는 복수로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top layer 40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top layer component material on the middle layer 300 and optionally between the top layer 400 and the middle layer 300,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의 시공에서 적층 성분의 양생은 시공 시 온도 및 습도, 적층 성분의 두께를 고려하여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술한 복합 시트층과 중도층(300) 및 상도층(400)의 조합에 의해 수분 증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시공 시 부풀음을 차단하여 방수 시트의 물성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피도면에 적용되어 향상된 방수 성능 및 방수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In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ing of the laminated components can be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componen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the composite sheet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300, Layer 400 can effectively prevent water evaporation and prevent swelling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reby realizing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waterproof sheet. It is applicable to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as well as various surfaces to improve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waterproofing process efficiency.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방수 시트의 시공(Example 1) Construction of waterproof sheet

콘크리트 시험체를 준비하여 그 표면에 발생한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하고, 면을 고르게 정리하는 전처리 공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전처리된 콘크리트 시험체의 표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2액형 에폭시 방수제를 도막 두께 50㎛으로 하여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A concrete specimen was prepared, the laitance was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pecimen, and a pretreatment process was carried out to flatten the surface. Thereafter, a two-component epoxy waterproofing agent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etreated concrete test body by using a roller to form an adhesive layer with a thickness of 50 mu m.

다음으로, 상기 접착층 상부에 복합 시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복합 시트층은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150g/㎡)를 PVC 졸에 함침하여 상기 부직포층의 양면에 PVC 졸 층이 형성된 복합시트를 이용하였다. 이때, PVC 졸은 폴리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한화케미칼의 EL103) 85중량%에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15중량%을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레벨링제(EX-570) 1중량부, 소포제(Foamstar A-10) 0.5중량부, 점도조절제(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1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Next, a composite sheet layer wa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The composite sheet layer used was a composite sheet having a PVC sol lay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by impregnating a PVC long fiber nonwoven fabric (150 g / m 2) into a PVC sol. At this time, 1 part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EX-570)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85% by weight of polyvinyl chloride paste resin (EL103 of Hanwha Chemical) and 15% by weight of dioctyl terephthalate (DOTP) 0.5 parts by weight of a defoaming agent (Foamstar A-10), and 1 part by weight of a viscosity controlling agent (hydroxymethyl cellulose).

이후, 상기 복합 시트층 부에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JEPO사의 TEX-4L을 분사하여 도막두께 3.0㎜로 도장하였다. Thereafter, a middle layer was formed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portion. Specifically, TEX-4L manufactured by JEPO Co., Ltd. was sprayed and coated with a film thickness of 3.0 mm.

마지막으로, 상기 형성된 중도층 상부에 폴리우레탄계 상도 도료(UT-350)을 롤러를 이용하여 도막 두께 50㎛으로 하여 형성하여 방수 시트를 제조하였다. Finally, a polyurethane based top coating (UT-350) was formed on the formed intermediate layer using a roller to form a waterproof sheet having a thickness of 50 mu m.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방수 시트가 시공된 시험체에 대하여 방수성능, 내충격성 및 부착성능을 한국산업규격 KS F 4921 및 KS F 4921 규격에 따라 물성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표기하였다. 이때, 부착성능은 시험체를 물 속에 12시간 침전시킨 다음 콘크리트면으로부터 박리 강도를 측정하여 1.5 N/㎟ 이상이면 ○, 1.0~1.5 N/㎟ 이면 △, 1.0 N/㎟ 미만이면 ×로 표기하였다. 내충격성은 5kg의 시험추를 30㎝ 높이에서 방수 시트 상부에 떨어뜨려 균열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면 ○, 그렇지 않으면 ×로 표기하였다. 방수 성능은 시험체를 시공 후 24시간 이내의 상태와, 180 시간 동안 물이 담긴 수조에 침전시킨 후의 상태에서 표면에 결함(부풀어 오름)이 있어가 균열 또는 박리 등의 이상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이상이 없으면 ○, 그렇지 않으면 ×로 표기하였다.The waterproofing performance, the impact resistance and the adhesion performance of the test piece on which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Example 1 was applied were subjected to physical property tests according to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F 4921 and KS F 492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At this time, the adhes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as follows: when the specimen was settled in water for 12 hours, the peel strength was measured from the concrete surface, and when it was 1.5 N / mm2 or more,?, When 1.0 to 1.5 N / The impact resistance was measured by dropping a test weight of 5 kg from the height of 30 cm to the top of the waterproof sheet to see whether or not cracks were generated, The waterproof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visually checking for any abnormality such as cracks or peeling on the surface due to defects (swelling) on the surface in the state of the test body within 24 hours after the application and after precipitation in the water tank containing water for 180 hours. If not, it is marked as ○, otherwise it is marked as ×.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에서 접착층 상부에 복합 시트층을 형성하되,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150g/㎡)를 이용하여 부직포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PVC 졸을 도포하여 PVC 졸 층을 형성하여 부직포층과 PVC 졸 층이 적층되어 결합된 복합 시트층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방수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후, 시험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표기하였다. In Example 1, a nonwoven fabric layer was formed using a polyester long fiber nonwoven fabric (150 g / m 2), and a PVC sol layer was formed thereon to form a PVC sol layer to form a nonwoven fabric layer and a PVC A waterproof sheet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composite sheet layer in which a sol layer was laminated and bonded was used. Thereafter, test evaluation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에서 복합 시트층 대신에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층만을 접착층 상부에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부직포층 상부에 중도층 및 상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방수 시트를 제조하고, 시험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표기하였다.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upper layer we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only the polyester long-fiber nonwoven fabric layer wa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in place of the composite sheet layer in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tb > < TABLE >

구분division 부착강도Bond strength 내충격성Impact resistance 방수 성능
(시공 후 24시간)
Waterproof performance
(24 hours after construction)
방수 성능
(수조에 180시간 침적)
Waterproof performance
(Immersed in water tank for 180 hours)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 ×× ××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른 방수 시트는 부착 강도는 물론 내충격성 및 방수성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과 달리 부직포층 및 PVC 졸 층의 조합에 따른 복합 시트층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에 따른 방수 시트는 방수 성능이 좋지 않았으며, 내충격성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proof sheet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excellent in impact strength and waterproof performance as well as adhesion strength.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proof sheet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composite sheet layer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and the PVC sol layer was different from the waterproof sheet of Example 1 was poor in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impact resistance was lower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defin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접착층 200 : 복합 시트층
210 : 부직포층 220 : PVC졸 층
300 : 중도층 400 : 상도층
100: adhesive layer 200: composite sheet layer
210: nonwoven fabric layer 220: PVC sol layer
300: intermediate layer 400: upper layer

Claims (9)

바닥면에 부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부에 형성되며 PVC 졸에 부직포가 함침되어 형성된 복합 시트층, 상기 복합 시트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폴리우레탄 중도층 및 폴리우레아 상도층을 포함하는 방수 시트.
A waterproof sheet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adhered to a bottom surface, a composite sheet layer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impregnated with a nonwoven fabric in a PVC sol, and a polyurethane intermediate layer and a polyurea top layer sequentially on the composite sheet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시트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및 폴리아크릴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방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e sheet layer comprises a nonwoven fabric produced using one or more fibers selected from polyester fibers, polyamide fibers, polyethylene fibers, polypropylene fibers and polyacryl fi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시트층은 방수 시트 전체 두께 대비 5 내지 50%의 두께인 방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e sheet layer is 5 to 5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waterproof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중도층 및 폴리우레아 상도층의 두께의 합이 방수 시트 전체 두께 대비 5 내지 30%의 두께인 방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polyurethane intermediate layer and the polyurea top layer is 5 to 3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waterproof sheet.
바닥면에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접착층 상부에 PVC 졸에 함침된 부직포의 복합 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 시트층 상부에 폴리우레탄 중도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중도층 상부에 폴리우레아 상도층을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Applying an adhesive layer to the bottom surface,
Forming a composite sheet layer of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in a PVC sol on the applied adhesive layer,
Applying a polyurethane intermediate layer on top of the composite sheet layer and
Applying a polyurea top layer to the top of the intermediate layer
Wherein the waterproof sheet has a waterproof property.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중도층을 도포하는 단계는 복합 시트층 상부에 붓, 롤러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applying the polyurethane intermediate layer is repeatedly applied one or more times by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brush, a roller and a spray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osite sheet layer.
KR1020170107008A 2017-08-24 2017-08-24 Polyhybrid waterproof method KR1019786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008A KR101978686B1 (en) 2017-08-24 2017-08-24 Polyhybrid waterproof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008A KR101978686B1 (en) 2017-08-24 2017-08-24 Polyhybrid waterproof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789A KR20190021789A (en) 2019-03-06
KR101978686B1 true KR101978686B1 (en) 2019-05-16

Family

ID=6576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008A KR101978686B1 (en) 2017-08-24 2017-08-24 Polyhybrid waterproof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6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5574B2 (en) * 2019-04-11 2023-03-08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Tarpaulin
KR102301493B1 (en) * 2020-02-07 2021-09-13 (주)터보마린테크 FRP Vessel Using Polyure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85825B1 (en) * 2020-10-16 2023-01-09 한국산업기술지원협동조합 Intermediate coating agent for parking lot flo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17B1 (en) * 2007-07-04 2007-11-26 김기태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omplex waterproof sheet and the complex waterproof sheet thereof and the complex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thererwith
KR101144971B1 (en) * 2012-01-12 2012-05-11 엄점동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 using environmental polymer acid waterproofing ag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118B1 (en) 2014-10-23 2016-02-26 (유)대광건설산업 Complex waterproof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17B1 (en) * 2007-07-04 2007-11-26 김기태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omplex waterproof sheet and the complex waterproof sheet thereof and the complex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thererwith
KR101144971B1 (en) * 2012-01-12 2012-05-11 엄점동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 using environmental polymer acid waterproofing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789A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676B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complex sheet waterproof using rubber asphalt sheet coated with non-solvent type urethane
KR102079572B1 (en) Dual complex waterproof sheet and waterproof method using the same
KR101978686B1 (en) Polyhybrid waterproof method
US8828548B2 (en) Interlayer adhesive, waterproof structure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KR100862048B1 (en) Three-component type polyurethane floor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of building using the same
EP2697276B1 (en) Reactive roofing adhesive
KR100938923B1 (en) Urethane composition for forming a waterproof layer, complex waterproof structure for reinforcing a wall of building and complex waterproof process using the same
KR101643519B1 (en) Waterproof Coating Material Using Supermicro Fiber
KR101130828B1 (en) Fast-curing Polyurea Complex Sheets for Water-proofing and Water-proofing/Anti-root and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73298B1 (en) Polyurea surface preparation compounds and polyurea waterproofing method using polyurea surface preparation compounds
KR101857384B1 (en) Polyurea composi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28679B1 (en) Structure for complex heat insulator waterproof using rubber asphalt sheet and complex textile fabric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25908B1 (en) Integrated composite waterproof layer and method of integrated composite waterproof construction
KR100896504B1 (en) Non-solvent type Urethanes which is used to upper membranous of hybrid-type inorganic elastic waterproof having selfleveling function
KR102066006B1 (en) Waterproof sheet for building exterior wall crack repairing and repair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exterior wall crack
KR101905417B1 (en) 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high viscosity adhesive and new resin un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aterproof shee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11987925B2 (en) Waterproof membrane
KR101361966B1 (en) Structure for complex heat insulator waterproof using rubber asphalt sheet coated with non-solvent type urethan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612985B1 (en) Waterproofing Polyurea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Long-term Dur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oundation Structures Using the Same
KR101976244B1 (en) Waterproof system structure with its surface chemically reacting with a reactant of polyurethane
JP2020002590A (en) Repair method of waterproof structure, and waterproof structure
JP6184000B2 (en) Waterproof finish structure, waterproof finish method, and breathable sheet body used for the same
KR102304774B1 (en) Coating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old cooling towers with excellent economy
JP2003213572A (en) Reinforcing member for floor material
KR102504999B1 (en) Hybrid waterproof coat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dual waterproof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