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220B1 -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220B1
KR101978220B1 KR1020130030402A KR20130030402A KR101978220B1 KR 101978220 B1 KR101978220 B1 KR 101978220B1 KR 1020130030402 A KR1020130030402 A KR 1020130030402A KR 20130030402 A KR20130030402 A KR 20130030402A KR 101978220 B1 KR101978220 B1 KR 10197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time point
conten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623A (ko
Inventor
김용신
이도영
박효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220B1/ko
Priority to US13/899,205 priority patent/US9552013B2/en
Priority to EP13879137.1A priority patent/EP2976837B1/en
Priority to PCT/KR2013/004514 priority patent/WO2014148682A1/en
Publication of KR2014011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사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파워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시점을 디텍트하되, 상기 제 1 시점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인,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MOBILE TERMINAL WITH DOUBLE-SIDED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등을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LCD, LED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 종이(e-paper)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이용한 이동 단말기도 등장하였다. 전자 종이는 액정 대신 전자 잉크를 사용해 다른 디스플레이와 달리 화면 뒤에서 빛을 비추지 않아도 외부 조명만 있으면 화상을 볼 수 있어 전력 손실이 적다. 또한, LCD의 전원을 끄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바로 없어지는 반면에, 전자 종이는 전원이 꺼져도 화면이 그대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컨텐츠를 계속하여 이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직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를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직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있는 보안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폴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미리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선택된 컨텐츠를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사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파워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시점을 디텍트하되, 상기 제 1 시점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인,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시점을 디텍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시점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임;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전원 온 상태에서 이용하던 컨텐츠를 전원 오프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직전에 특정한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있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한 입력 없이 이동 단말기가 전원 오프되더라도,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없는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여,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가 전원 오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의 시점을 디텍트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될 것임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도 1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이하, 이동 단말기)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 센서 유닛(130), 프로세서(140), 파워 유닛(150), 스토리지 유닛(16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성이 용이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액정 디스플레이(lig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al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메인 디스플레이로서 유저가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주로 실행시키는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액티브 상태에서는 전원이 온(ON)되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지만, 전원이 오프(OFF)되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종이는 전자 잉크(e-ink)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서, 복수 개의 구형 캡슐과 구형 캡슐의 상하에 위치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수 있다. 여기에서, 구형 캡슐은 투명한 전극판 사이에서의 다양한 전기적인 충격에 의해 색상을 바꿀 수 있고, 문자 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반대면, 상단부, 하단부,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반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이동 단말기(100)의 서브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유저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사용하는 도중에 제 2 디스플레이(120)를 보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배터리 절약을 위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사용하던 컨텐츠를 이동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야외에서 제 1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잘 보이지 않을 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30) 상에는 터치 센서가 탑재되어,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30)이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출력 장치뿐만 아니라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관련하여, 센서 유닛(130)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센서 유닛(130)은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130)은 복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조도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그립 센서, 터치 센서, 근접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3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30)은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이동 단말기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4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서 유닛(130)은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및 접촉 터치(contact touch)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터치는 유저의 손 또는 물체가 디스플레이 유닛(110, 120) 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입력 신호는 이동 단말기(100)의 홈 버튼(home button) 또는 사이드 버튼(side button)에 대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홈 버튼은 이동 단말기(100)의 정면에 위치한 피지컬 키(physical key)이고, 사이드 버튼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한 피지컬 키로서,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입력이 인지되는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서 유닛(130)은 제 1 시점 이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00)에 디스플레이된 전원 오프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30)은 제 1 시점부터 제 2 시점 전까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제 1 시점 및 제 2 시점에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40)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스토리지 유닛(160)에 저장된 컨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잇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40)는 제 1 시점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시점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predetermined period) 이전인 시점을 나타낸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 2 시점에, 이동 단말기(100)를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 1 시점에,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은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은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더라도,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의 동작과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1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파워 유닛(150)은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 이동 단말기(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워 유닛(150)의 가용 용량이 0이 되는 때에,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토리지 유닛(160)은 동영상, 오디오,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60)은 프로세서(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 유닛(160)은 플래쉬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을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은 이동 단말기(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이동 단말기(1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이동 단말기(1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 도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이동 단말기(100)의 메인 디스플레이로서 유저가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주로 실행시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반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전력 소비가 많은 동영상, 컬러 컨텐츠 등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전력 소비가 적은 텍스트 등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는 전원 온(Power On) 상태 및 전원 오프(Power Off)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전원 온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온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원 온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가 제 1 시점에 진입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시점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인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점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기 직전의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에 진입하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거의 0에 가까운 상태에 있기 때문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더라도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전원 오프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전원 오프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0인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는 디액티베이트(deactivate)되지만,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전원 오프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때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컨텐츠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제 1 시점에서 제 2 시점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4(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4(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시점(t1)은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점(t1)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t2)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Tr) 이전인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시점(t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기 직전의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은 이동 단말기(100)의 자동 설정 또는 유저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은 2초, 4초, 6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제 1 시점(t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기 2초 전인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시점(t1)은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한 번 업데이트할 수 있는 용량인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한 번 변경 또는 유지한 상태에서 제 2 시점(t2)에 해당하게 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제 1 시점(t1)에 기존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세서는 제 1 시점(t1)에서, 센서 유닛이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세서는 제 1 시점(t1)에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더라도,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 1 시점(t1)에서 이동 단말기의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밝기를 50%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밝기 조절을 이용하여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거의 0에 가까운 상태임을 유저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이미지는 제 1 시점(t1)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유저가 주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는 경우,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이용하던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보기를 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이미지, 텍스트 등의 정적인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컨텐츠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동영상과 같은 동적인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1 시점(t1)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세서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센서 유닛이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세서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가 제 1 시점(t1)의 상태에 도달한 경우, 이미 파워 유닛이 가용 용량이 0에 가깝기 때문에 남은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시점(t2)에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0인 때에,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는 어떠한 컨텐츠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다만,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는 전원 오프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시점(t2)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는 디액티베이트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는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디액티베이트되는 것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어떠한 컨텐츠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모두 소모되더라도,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이용하던 컨텐츠의 이미지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제 1 시점에서 제 2 시점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5(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5(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시점(t1)은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t2)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Tr) 이전인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Tr)이 3초인 경우, 제 1 시점(t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기 3초 전인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210-a)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210-a)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기 직전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에 해당한다. 또한,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210-a)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어, 이동 단말기(100)가 곧 전원 오프될 것임을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b)를 참조하면,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시점(t2)에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액티베이트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는 전원 오프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시점(t2)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1 시점(t1)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에, 제 1 시점(t1)이 경과됨을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210-a)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제 1 시점에서 제 2 시점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 설정된 컨텐츠(220)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6(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6(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시점(t1)은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t2)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Tr) 이전인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기 설정된 컨텐츠(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a)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컨텐츠(220)는 보안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보안 컨텐츠는 타인에게 공개될 경우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우려될 수 있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컨텐츠는 은행 보안 카드, 개인 스케쥴, 비밀 노트, 업무 관련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도 4와 달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기 설정된 컨텐츠(220)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폴트(default) 컨텐츠(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폴트 컨텐츠(230)는 보안 컨텐츠(220)와 같은 기 설정된 컨텐츠를 대신하여 타인에게 디스플레이되어도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없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폴트 컨텐츠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컨텐츠의 변화가 필요없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컨텐츠는 달력, 오늘의 할 일 등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디폴트 컨텐츠(230)로서 달력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 제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기 설정된 컨텐츠(220)의 이미지를 그대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시점(t2)에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는 어떠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는 전원 오프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디스플레이된 디폴트 컨텐츠의 이미지를 그대로 제 2 시점(t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개인적인 컨텐츠를 이용하던 도중에 이동 단말기(100)가 전원 오프되더라도, 보안 컨텐츠가 아닌 디폴트 컨텐츠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어, 유저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제 1 시점에서 제 2 시점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 설정된 컨텐츠(220)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7(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7(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 기 설정된 컨텐츠(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시점(t1)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변경없이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를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점(t1)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이미지, 텍스트와 같은 정적인 컨텐츠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컨텐츠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시점(t1)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동영상과 같은 동적인 컨텐츠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제 1 시점(t1)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기 설정된 컨텐츠(220)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보다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계속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적기 때문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기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정하는 것은 자동 설정 또는 유저의 설정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시점(t2)에,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는 어떠한 컨텐츠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반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는 전원 오프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전원 오프 직전, 즉 제 1 시점(t1)과 제 2 시점(t2)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개인적인 컨텐츠를 이용하던 도중에 이동 단말기(100)가 전원 오프되더라도, 프라이버시 침해의 우려가 없는 컨텐츠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어, 유저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제 1 시점에서 제 2 시점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입력 신호를 디텍트한 이동 단말기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8(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도 8(b)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이동 단말기(110)는 제 1 시점(t1) 이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입력 신호(250)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 이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에 대한 입력 신호(2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25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은 근접 터치 및 접촉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터치는 유저의 손 또는 물체가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는 제 1 시점(t1) 이전에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10, 120)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이미지, 디폴트 컨텐츠 등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컨텐츠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컨텐츠의 내용이 변하지 않는 컨텐츠로서, 달력, 해야할 일 등의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서,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는 제 1 시점(t1)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Tr) 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Tr)이 3초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를 제 1 시점(t1)으로부터 3초 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는 유저의 입력에 의해 제 1 시점(t1) 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에 대한 유저 입력을 통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에 대한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부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 이전에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에 디스플레이된 'Calender'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부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Calender'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에게 향해 있는 경우에,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로부터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를 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유저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유저를 향하는 경우에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이용하던 컨텐츠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면 되기 때문에,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를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와 동시에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210-b)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는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거의 0에 가까워짐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시점(t1) 전에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 1 시점(t1)부터 제 2 시점(t2) 전까지 원래 디스플레이 중이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설정하는 것이 아닌,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또한,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부터 제 2 시점(t2) 전까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0에 가깝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시점(t1) 전에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에 대한 입력 신호(250)가 디텍트되지 않은 경우, 도 4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시점(t1)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시점(t2)에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어떠한 컨텐츠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다만,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전원 오프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디스플레이된 'calender' 컨텐츠를 유지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는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전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에 대한 유저의 설정이 가능한 전원 오프 전환 인터페이스(260)를 나타낸다.
전원 오프 전환 인터페이스(26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와 관련된 제 1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유저는 전원 오프 전환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제 1 시점의 자동 설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전원 오프 전환 인터페이스(260)에서 제 1 시점이 자동 설정되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자동 설정 시간에 의해 제 1 시점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자동 설정 시간은 전원이 오프되는 제 2 시점으로부터 3초 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전원 오프로부터 3초 전을 제 1 시점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전원 오프 전환 인터페이스(260)는 제 1 시점이 수동 설정되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의 선택(250)에 의해 제 1 시점이 설정될 수 있다. 제 1 시점은 전원이 오프되는 제 2 시점으로부터 2초, 4초, 6초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 1 시점은 전원이 오프되는 제 2 시점으로부터 2초 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하는 도 10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을 디텍트할 수 있다(S1010). 여기에서, 제 1 시점은 이동 단말기의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점은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인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시점은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한 번 업데이트할 수 있는 용량인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시점은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설정 또는 유저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시점에,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는 센서 유닛이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는 입력 신호가 디텍트되는 경우,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 및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02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이미지는 제 1 시점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렝이되는 컨텐츠의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으로부터 제 2 시점 전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2 시점에,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020).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액티베이트되고,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2 시점 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1은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하는 도 11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을 디텍트할 수 있다(S111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기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20). 여기에서, 기 설정된 컨텐츠는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컨텐츠는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우려될 수 있는 컨텐츠로서, 보안 카드, 개인 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120 단계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기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폴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30). 여기에서, 디폴트 컨텐츠는 유저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우려되지 않는 컨텐츠로서 달력, 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기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전환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S1120 단계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기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스에이블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4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2 시점에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150).
도 12는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하는 도 12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 이전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10). 여기에서, 제 1 시점 이전에 디텍트된 입력 신호는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디폴트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이 이동 단말기이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1210 단계에서, 제 1 시점 이전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에,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20).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는 원래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 및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한편, S1210 단계에서 제 1 시점 이전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을 디텍트할 수 있다(S123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스에이블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24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는 제 2 시점에, 이동 단말기를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250).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10: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120: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Claims (20)

  1.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사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파워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시점을 디텍트하되, 상기 제 1 시점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인,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음으로써 또는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고,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보안 컨텐츠가 아니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로 전환하고,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보안 컨텐츠이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폴트(default)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전원 오프 상태로 되는 상기 제 2 시점 이후에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이미지는 상기 제 1 시점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이미지인,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제 1 시점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이미지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시점 이전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 이전에 디텍트된 입력 신호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신호인,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전원 오프 컨텐츠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은 자동 설정 또는 유저 입력에 의해 설정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원 오프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은 상기 파워 유닛의 가용 용량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한 번 업데이트할 수 있는 용량인 시점인,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시점 및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을 어둡게 조절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 패널을 사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시점을 디텍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시점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시점인 제 2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임;
    상기 제 1 시점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지 않음으로써 또는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보안 컨텐츠가 아니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가 보안 컨텐츠이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폴트(default)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전원 오프 상태로 되는 상기 제 2 시점 이후에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제 2 시점 사이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이미지는 상기 제 1 시점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이미지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 이전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030402A 2013-03-21 2013-03-21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10197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02A KR101978220B1 (ko) 2013-03-21 2013-03-21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US13/899,205 US9552013B2 (en) 2013-03-21 2013-05-21 Mobile terminal having a double-sided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3879137.1A EP2976837B1 (en) 2013-03-21 2013-05-23 A mobile terminal having a double-sided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3/004514 WO2014148682A1 (en) 2013-03-21 2013-05-23 A mobile terminal having a double-sided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02A KR101978220B1 (ko) 2013-03-21 2013-03-21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623A KR20140115623A (ko) 2014-10-01
KR101978220B1 true KR101978220B1 (ko) 2019-05-14

Family

ID=5156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402A KR101978220B1 (ko) 2013-03-21 2013-03-21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52013B2 (ko)
EP (1) EP2976837B1 (ko)
KR (1) KR101978220B1 (ko)
WO (1) WO2014148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2437B2 (en) 2013-01-05 2022-10-04 Frederick A. Flitsch Customized smart devices and touchscreen devices and cleanspace manufacturing methods to make them
MY182878A (en) * 2013-05-31 2021-02-05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294280B1 (ko) * 2014-03-05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17803B1 (ko) 2015-01-23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5094451A (zh) * 2015-09-18 2015-11-25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设备
KR102557935B1 (ko) * 2016-03-10 2023-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10475397B2 (en) * 2016-06-20 2019-11-12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esent content using electronic paper display
US10395064B2 (en) * 2016-09-02 2019-08-27 Frederick A. Flitsch Customized smart devices and touchscreen devices and clean space manufacturing methods to make them
KR102668236B1 (ko) 2017-01-13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TWI606433B (zh) * 2017-03-03 2017-11-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可撓式雙面顯示器
CN107479794A (zh) * 2017-09-14 2017-12-15 上海青橙实业有限公司 终端界面的显示方法和装置
US20190138205A1 (en) * 2017-11-09 2019-05-09 Hisense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Co., Ltd. Image display method of a dual-screen device, dual-screen devic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0490785Y1 (ko) * 2018-05-30 2020-01-02 강우석 착석 상태에 따라 착석자 정보를 표시하는 명판용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0718944B (zh) * 2018-07-12 2023-08-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电池充放电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20200013508A (ko) * 2018-07-30 2020-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9116968B (zh) * 2018-08-06 2020-06-09 清华大学 写策略控制方法、***及其适用的电子设备
TWM622767U (zh) * 2021-05-20 2022-02-01 赫力股份有限公司 具有另一個電子紙顯示器的摺疊式智慧型手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1101A1 (en) 2004-06-29 2008-02-28 Sk Telecom Co., Ltd.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227651A1 (en) 2009-03-03 2010-09-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US20110260948A1 (en) 2006-09-14 2011-10-27 Albert Teng Controlling complementary bistable and refresh-based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3273A (ja) * 2005-11-11 2007-05-31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携帯型音楽再生装置。
US8508523B2 (en) * 2007-04-23 2013-08-13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5326409B2 (ja) * 2008-08-01 2013-10-30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映像表示方法
KR101532573B1 (ko) 2008-08-22 201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3099B1 (ko) 2008-08-22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7267B1 (ko) * 2009-12-07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CN101853642A (zh) 2010-04-16 2010-10-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屏显示的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1101A1 (en) 2004-06-29 2008-02-28 Sk Telecom Co., Ltd.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10260948A1 (en) 2006-09-14 2011-10-27 Albert Teng Controlling complementary bistable and refresh-based displays
US20100227651A1 (en) 2009-03-03 2010-09-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6837B1 (en) 2018-08-01
US9552013B2 (en) 2017-01-24
WO2014148682A1 (en) 2014-09-25
EP2976837A1 (en) 2016-01-27
EP2976837A4 (en) 2016-11-16
KR20140115623A (ko) 2014-10-01
US20140285498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220B1 (ko)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101978218B1 (ko)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102127381B1 (ko)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US10972476B2 (en) Method for limiting usage of application, and terminal
EP3097490B1 (en) Smart wat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1899812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51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843780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US928028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designated information on a display operating in a restricted mode
US9766785B2 (en) Selectively tranferring image data from user equipment to external device
US894882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20160128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120274588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CN110738970A (zh) 用于墨水屏的页面刷新方法及装置
CN114546545B (zh) 图文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40008845A (ko) 휴대 단말기
US201602273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transition to distraction-free operation
US2019018843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6434158B2 (ja) 周辺明暗差に係るデバイスパワー状態の遷移の実現
KR20140127559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101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5590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78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1326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북마크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