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021B1 -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021B1
KR101975021B1 KR1020180170704A KR20180170704A KR101975021B1 KR 101975021 B1 KR101975021 B1 KR 101975021B1 KR 1020180170704 A KR1020180170704 A KR 1020180170704A KR 20180170704 A KR20180170704 A KR 20180170704A KR 101975021 B1 KR101975021 B1 KR 10197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fire
generation
household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7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는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 및 해당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기반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화재 감지 및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은 미세먼지측정기, 세대 인터폰,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 소방 제어 서버, 인터폰 시스템, 로봇 청소기 및 모바일 스마트 디비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동주택에 세대 단위로 설치되어 통상 24시간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세대의 화재 감지가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소방 전용 센서에만 의존하는데 따른 해당 센서의 관리 부실 및 그에 따른 미작동 현상이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Fire-fighting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cation facility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소방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는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 및 해당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기반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화재 감지 및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아파트, 오피스텔, 연립 주택 및 다세대 주택 등을 말하며, 이러한 공동주택에는 화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소방 시스템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술한 소방 시스템은 통상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부에서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 등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 등의 소방설비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방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복도 및 비상계단 등에만 설치되고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는 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해당 세대에서 화재 발생 시 초등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소방 시스템은 감지부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방식이고,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소방 시스템의 감지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해당 소방 시스템 전체가 작동되지 않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술한 이유로 소방 시스템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을 실시하고 있지만, 정기 점검일의 사이에 감지부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 감지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가능성은 상존하는 것이었다.
한편, 최근 들어 중국으로부터의 스모그 유입량이 크게 증가하는 동시에 유입되는 빈도도 잦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의 대기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음 내지 매우 높음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의 공기 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며, 이는 실외 공기는 물론 가정 내의 실내 공기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이어져,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가 널리 사용됨은 물론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에서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가 통상 24시간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점 및 공동주택에는 경비실 내지 관리실과 각 세대 간을 연결하는 통신시설이 설치되는 점에서 착안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26746호(2018.12.07.공고.),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852397호(2018.04.27.공고.),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화재 진압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는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 및 해당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기반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화재 감지 및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는 로봇 청소기가 해당 세대에 설치되는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한 소방 제어 서버의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해당 세대의 화재 의심 내지 화재 발생 상황에서 현장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영상정보가 해당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통해 경비실, 관리실 내지 해당 세대의 거주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10)에 세대(11) 단위로 설치되며, 세대(11)별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어 해당 세대(11)의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1시간 주기로 측정하며,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측정값에 해당 세대(11)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미세먼지측정기(100)와,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가 설치되는 세대(11)별로 해당 미세먼지측정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해당 미세먼지측정기(100)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측정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미세먼지측정기(100)의 감지 신호를 상기 공동주택(10)의 인터폰 시스템(500)에 실시간 전송하는 세대 인터폰(200)과,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를 통해 측정된 상기 공동주택(10) 내 각 세대(11)의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화재 판단 기준 농도가 해당 세대(11)의 고유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되, 상기 화재 판단 기준 농도는 세대(11)별 사전에 정해진 기준 측정기간 동안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를 통해 1시간 단위로 측정된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토대로 일일 24시간을 기준으로 매시간 단위로 평균을 취한 농도 값인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상기 공동주택(10)의 상기 인터폰 시스템(500)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접속되고, 상기 공동주택(10) 내 세대별 화재 발생 여부의 판단을 위한 미세먼지 임계치 및 초미세먼지 임계치가 설정되며, 상기 세대 인터폰(200) 및 인터폰 시스템(500)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의 측정값 및 상기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해당 세대의 상기 화재 판단 기준 농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 및 초미세먼지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할 경우 해당 세대(11)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해당 세대(11)의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상기 인터폰 시스템(500)에 전송하는 소방 제어 서버(400)와,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의 측정값을 상기 소방 제어 서버(400)에 중계하고, 상기 소방 제어 서버(400)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0), 스피커(520) 및 경보장치(5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출력하며, 상기 소방 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상기 세대 인터폰(200)에 중계하는 상기 인터폰 시스템(500)과,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가 설치되는 상기 공동주택(10)의 세대(11)별로 구비되어 해당 세대(11)의 상기 세대 인터폰(200)을 통해 수신되어 전송되는 상기 소방 제어 서버(400)의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가 기구적인 동시에 전기적으로 탈착되는 접속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발생 신호의 수신에 따른 이동 경로가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화재 발생 신호의 수신 시 기설정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610)를 통해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에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의 카메라 모듈(710)을 통해 주변이 촬영되게 하고,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710)의 촬영 정보를 해당 세대의 상기 세대 인터폰(200)에 전송하여 상기 인터폰 시스템(500)에 전송되게 하는 로봇 청소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는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 및 해당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기반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화재 감지 및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는 로봇 청소기가 해당 세대에 설치되는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한 소방 제어 서버의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해당 세대의 화재 의심 내지 화재 발생 상황에서 현장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정보가 해당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통해 경비실, 관리실 내지 해당 세대의 거주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됨으로써, 공동주택의 경비실, 관리실 그리고 외출 중인 해당 세대의 거주자가 화재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저장 방식을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의 작동 흐름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저장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은 미세먼지측정기(100), 세대 인터폰(200),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300), 소방 제어 서버(400), 인터폰 시스템(500), 로봇 청소기(600) 및 모바일 스마트 디비이스(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세먼지측정기(100)는 아파트, 오피스텔, 연립 주택 및 다세대 주택 등의 공동주택(10: 이하 “공동주택”이라 통칭함)에 세대(11) 단위로 설치되며, 이러한 미세먼지측정기(100)는 세대(11)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어 해당 세대(11)의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1시간 주기로 측정한다. 또한, 미세먼지측정기(100)는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측정값에 해당 세대(11)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미세먼지측정기(100)는 해당 세대(11)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측정값을 이어서 설명되는 세대 인터폰(200)에 전송한다.
세대 인터폰(200)은 미세먼지측정기(100)가 설치되는 세대(11)별로 해당 미세먼지측정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해당 미세먼지측정기(100)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측정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미세먼지측정기(100)의 감지 신호를 공동주택(10)의 인터폰 시스템(500)에 실시간 전송한다.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미세먼지측정기(100)를 통해 측정된 공동주택(10) 내 각 세대(11)의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화재 판단 기준 농도가 해당 세대(11)의 고유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화재 판단 기준 농도는 세대(11)별 사전에 정해진 기준 측정기간 동안 미세먼지측정기(100)를 통해 1시간 단위로 측정된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토대로 일일 24시간을 기준으로 매시간 단위로 평균을 취한 농도 값이다.
소방 제어 서버(400)는 공동주택(10)의 인터폰 시스템(500)과 접속되는 동시에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접속된다. 그리고 소방 제어 서버(400)는 공동주택(10) 내 세대별 화재 발생 여부의 판단을 위한 미세먼지 임계치 및 초미세먼지 임계치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소방 제어 서버(400)는 세대 인터폰(200) 및 인터폰 시스템(500)을 통해 전송되는 미세먼지측정기(100)의 측정값 및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해당 세대의 상기 화재 판단 기준 농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 및 초미세먼지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할 경우 해당 세대(11)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소방 제어 서버는 상술한 것처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데 따른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화재 발생 신호에 해당 세대(11)의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공동주택(10)의 인터폰 시스템(500)에 전송한다.
공동주택(10)의 인터폰 시스템(500)은 미세먼지측정기(100)의 측정값을 소방 제어 서버(400)에 중계하고, 소방 제어 서버(400)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0), 스피커(520) 및 경보장치(5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출력한다. 또한, 인터폰 시스템(500)은 소방 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세대 인터폰(200)에 중계한다.
로봇 청소기(600)는 미세먼지측정기(100)가 설치되는 공동주택(10)의 세대(11)별로 구비되어 해당 세대(11)의 세대 인터폰(200)을 통해 수신되어 전송되는 소방 제어 서버(400)의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로봇 청소기(600)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가 기구적인 동시에 전기적으로 탈착되는 접속부(610)를 포함하며, 소방 제어 서버(400)의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데 따른 이동 경로가 사전에 설정된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600)는 소방 제어 서버(400)의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 시 기설정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되는 동시에 접속부(610)를 통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에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의 카메라 모듈(710)을 통해 주변이 촬영되게 한다. 또한, 로봇 청소기(600)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모듈(710)의 촬영 정보를 해당 세대의 세대 인터폰(200)에 전송하여 공동주택(10)의 인터폰 시스템(500)에 전송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10)의 세대(11)별로 설치되어 해당 세대(11)의 세대 인터폰(200)을 통해 수신되는 소방 제어 서버(400)의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경보장치,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는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 및 해당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기반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화재 감지 및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공동주택에 세대 단위로 설치되어 통상 24시간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세대의 화재 감지가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소방 전용 센서에만 의존하는데 따른 해당 센서의 관리 부실 및 그에 따른 미작동 현상이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의 세대별 설치되는 로봇 청소기가 해당 세대에 설치되는 가정용 미세먼지측정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한 소방 제어 서버의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해당 세대의 화재 의심 내지 화재 발생 상황에서 현장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영상정보가 해당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통해 경비실, 관리실 내지 해당 세대의 거주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송됨에 따라, 공동주택의 경비실, 관리실 그리고 외출 중인 해당 세대의 거주자가 화재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의 작동 흐름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를 참조하면, 단계(S100)에서, 공동주택의 세대별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해당 세대 내의 미세먼지측정기를 통해 1시간 주기로 측정된다.
단계(S120)에서, 단계(S110)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이 해당 세대의 세대 인터폰을 통해 상기 공동주택의 인터폰 시스템에 실시간 전송된다.
단계(S130)에서, 상기 인터폰 시스템이 단계(S120)을 통해 수신된 미세먼지측정기의 측정값을 소방 제어 서버에 전송한다.
단계(S140)에서, 상기 소방 제어 서버가 단계(S130)을 통해 수신한 미세먼지 측정기의 측정값 및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해당 세대의 화재 판단 기준 농도를 비교한다.
단계(S150)에서, 상기 소방 제어 서버에서는 단계(S140)에 따른 미세먼지측정기의 미세먼지 측정값 및 미세먼지에 대한 상기 화재 판단 기준 농도 간의 차이가 상기 소방 제어 서버에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미세먼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며,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소방 제어 서버에서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폰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S170)으로 진행되고, 초과하지 않으면 이어지는 단계(S160)으로 진행된다.
단계(S160)에서, 상기 소방 제어 서버에서는 단계(S140)에 따른 미세먼지측정기의 초미세먼지 측정값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상기 화재 판단 기준 농도 간의 차이가 상기 소방 제어 서버에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초미세먼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며,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소방 제어 서버에서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폰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S170)으로 진행되고,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S110) 이전으로 복귀된다.
단계(S170)에서, 상기 소방 제어 서버를 통해 화재 발생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인터폰 시스템에 전송된다.
단계(S180)에서, 상기 인터폰 시스템은 단계(S170)을 통해 수신한 화재 발생 신호를 해당 세대의 세대 인터폰에 전송하며, 또한 화재 발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 및 경보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에 출력한다.
단계(S190)에서, 단계(S180)에 따라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한 세대 인터폰은 해당 세대에 구비된 로봇 청소기에 수신된 화재 발생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S200)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접속부를 통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촬영 제어 신호가 전송된다.
단계(S210)에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는 단계(S200)에 따른 촬영 제어 신호에 따라 그 카메라 모듈을 통해 해당 세대 내부를 촬영한다.
단계(S220)에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해당 세대의 내부 영상이 상기 로봇 청소기 및 세대 인터폰을 통해 상기 인터폰 시스템에 전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공동주택 11 : 세대
100 : 미세먼지측정기 200 : 세대 인터폰
300 :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 400 : 소방 제어 서버
500 : 인터폰 시스템 510 : 디스플레이 패널
520 : 스피커 530 : 경보장치
600 : 로봇 청소기 610 : 접속부
700 :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710 : 카메라 모듈

Claims (1)

  1. 공동주택(10)에 세대(11) 단위로 설치되며, 세대(11)별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어 해당 세대(11)의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측정기(100);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가 설치되는 세대(11)별로 해당 미세먼지측정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해당 미세먼지측정기(100)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측정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미세먼지측정기(100)의 감지 신호를 상기 공동주택(10)의 인터폰 시스템(500)에 실시간 전송하는 세대 인터폰(200);
    상기 공동주택(10)의 상기 인터폰 시스템(500)과 접속되는 동시에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접속되는 소방 제어 서버(400);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의 측정값을 상기 소방 제어 서버(400)에 중계하고, 상기 소방 제어 서버(400)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0), 스피커(520) 및 경보장치(5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출력하며, 상기 소방 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발생 신호를 상기 세대 인터폰(200)에 중계하는 상기 인터폰 시스템(500);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가 설치되는 상기 공동주택(10)의 세대(11)별로 구비되어 해당 세대(11)의 상기 세대 인터폰(200)을 통해 수신되어 전송되는 상기 소방 제어 서버(400)의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화재 발생 신호의 수신에 따른 이동 경로가 사전에 설정되어 화재 발생 신호의 수신 시 기설정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되는 로봇 청소기(600)를 포함하는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1시간 주기로 측정하며,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측정값에 해당 세대(11)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고,
    상기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를 통해 측정된 상기 공동주택(10) 내 각 세대(11)의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화재 판단 기준 농도가 해당 세대(11)의 고유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되, 상기 화재 판단 기준 농도는 세대(11)별 사전에 정해진 기준 측정기간 동안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를 통해 1시간 단위로 측정된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토대로 일일 24시간을 기준으로 매시간 단위로 평균을 취한 농도 값이며,
    상기 소방 제어 서버(400)는 상기 공동주택(10) 내 세대별 화재 발생 여부의 판단을 위한 미세먼지 임계치 및 초미세먼지 임계치가 설정되고, 상기 세대 인터폰(200) 및 인터폰 시스템(500)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의 측정값 및 상기 세대 실내공기 측정값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해당 세대의 상기 화재 판단 기준 농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상기 미세먼지 임계치 및 초미세먼지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할 경우 해당 세대(11)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른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되, 화재 발생 신호에 해당 세대(11)의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상기 인터폰 시스템(500)에 전송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600)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가 기구적인 동시에 전기적으로 탈착되는 접속부(610)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 신호의 수신 시 기설정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610)를 통해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에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의 카메라 모듈(710)을 통해 주변이 촬영되게 하고,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7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710)의 촬영 정보를 해당 세대의 상기 세대 인터폰(200)에 전송하여 상기 인터폰 시스템(500)에 전송되게 하며,
    상기 공동주택(10)의 세대(11)별 설치되는 상기 미세먼지측정기(100)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세대 인터폰(200)과 인터폰 시스템(500)을 포함하는 상기 공동주택(10)의 통신시설을 기반으로 상기 공동주택(10)의 각 세대(11)별 화재 감지 및 전파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80170704A 2018-12-27 2018-12-27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75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04A KR101975021B1 (ko) 2018-12-27 2018-12-27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04A KR101975021B1 (ko) 2018-12-27 2018-12-27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021B1 true KR101975021B1 (ko) 2019-08-23

Family

ID=6776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704A KR101975021B1 (ko) 2018-12-27 2018-12-27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0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68B1 (ko) * 2019-05-16 2019-12-04 주식회사 천일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 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 장치
KR102242698B1 (ko) * 2021-02-08 2021-04-22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KR102355909B1 (ko) 2021-05-27 2022-02-08 서한컨설탄트(주) 초고층 대형건물용 지능형 소방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730A (ko) * 2004-09-23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를 이용한 화재 경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2009159003A (ja) *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852397B1 (ko) 2018-01-31 2018-04-27 (주)신아방재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903692B1 (ko) * 2018-04-12 2018-10-02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스마트형 화재 감지기
KR101926746B1 (ko) 2018-05-24 2018-12-07 주식회사 건창기술단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730A (ko) * 2004-09-23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를 이용한 화재 경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2009159003A (ja) *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852397B1 (ko) 2018-01-31 2018-04-27 (주)신아방재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903692B1 (ko) * 2018-04-12 2018-10-02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스마트형 화재 감지기
KR101926746B1 (ko) 2018-05-24 2018-12-07 주식회사 건창기술단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68B1 (ko) * 2019-05-16 2019-12-04 주식회사 천일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 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 장치
KR102242698B1 (ko) * 2021-02-08 2021-04-22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KR102355909B1 (ko) 2021-05-27 2022-02-08 서한컨설탄트(주) 초고층 대형건물용 지능형 소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101975021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156683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US20130335550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US20160203694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KR101993660B1 (ko)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20130106208A (ko)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JP6664150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863530B1 (ko)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KR20120054850A (ko) 중앙 통제가 가능한 통합 환경 감시 시스템
US202001758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rst responder access to localized presen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20130094097A (ko)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EP4270344A1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for confirming a fire
JP5411744B2 (ja) 警備システム
KR101263291B1 (ko) 목조전통건축물 재난 상황 조기 경보 시스템
CN106910308A (zh) 智能家居安防装置及***
US10397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ound levels
KR102462358B1 (ko) 화재감시시스템
KR102327158B1 (ko) Cctv 영상을 이용하는 원격 소방관리 시스템
KR101986489B1 (ko) 스마트 비상등
KR102419787B1 (ko) 이벤트 관리 서버, 이를 운영하는 방법 및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349423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