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519B1 - Probe hold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obe hold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519B1
KR101972519B1 KR1020120002850A KR20120002850A KR101972519B1 KR 101972519 B1 KR101972519 B1 KR 101972519B1 KR 1020120002850 A KR1020120002850 A KR 1020120002850A KR 20120002850 A KR20120002850 A KR 20120002850A KR 101972519 B1 KR101972519 B1 KR 101972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sensor unit
light emitting
diagnostic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1820A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519B1/en
Publication of KR2013008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8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5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09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by using holders, e.g. positioning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는 초음파 진단 장치에 연결된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사자는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각각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들 중에서 자신이 선택한 프로브가 어떤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holder and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prob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be holder comprising: a body to which a probe connected to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mounte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robe is selected, and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a controller for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or can intuitively recognize which probe holder the probe selected by the probe among the probe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robe holders is mounted on.

Description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Probe hold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holder and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probe holder.

본 발명은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holder and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probe holder.

초음파 진단 장치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특정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비침습적으로 얻는 장치이다.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a device for irradiating an ultrasonic signal from a body surface of a target body toward a specific region in the body an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tomographic layer or blood flow of the soft tissue noninvasively using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ultrasonic signal (ultrasonic echo signal) .

이 장치는 X선 진단장치, CT스캐너(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자기공명영상장치(Magnetic Resonance Image; MRI), 핵의학 진단장치 등의 다른 영상진단장치와 비교할 때, 소형이고 저렴하며, 실시간으로 표시 가능하고, X선 등의 피폭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심장, 복부, 비뇨기 및 산부인과 진단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 device is small, inexpensive, and displays in real time when compared with other imaging devices such as X-ray diagnostic devices, CT scanner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t has high safety because it does not have X-ray exposure and is widely used for diagnosis of heart, abdomen, urinary and obstetrics.

초음파 진단 장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본체와,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프로브와, 프로브를 거치하기 위한 프로브 홀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 및 키 등을 구비한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과, 초음파 진단 결과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for housing main components of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 prob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nic waves, a probe holder for mounting the probe, various switches and keys for inputting command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 control panel,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ultrasound diagnostic results as an image.

이러한 초음파 진단 장치를 사용하여 피검사체에 초음파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검사자는 한 손에 프로브를 쥐고 피검사체의 체표에 프로브를 접촉시켜 이동시키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컨트롤패널을 조작하여 초음파 진단을 수행한다. 이처럼 수행된 초음파 진단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으로 표시된다. A process of performing ultrasonic diagnosis on the subject using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examiner performs ultrasonic diagnosis by holding the probe in one hand, moving the probe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subject, and manipulating the control panel with the other hand. The result obtained by the ultrasound diagnosis performed in this manner is displayed as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device.

이러한 초음파 진단 장치는 다수의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검사자는 피검사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기에 앞서, 다수의 프로브 중에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브를 선택해야 한다. Such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bes. In this case, the inspector must select a probe to be us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obes before performing the inspection on the inspection object.

그런데 종래의 초음파 진단 장치는 단순히 프로브 홀더에 프로브를 거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검사자가 자신이 선택한 프로브가 어느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기가 어렵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simp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obe is placed on a probe holder, it is difficult for the examiner to intuitively recognize to which probe holder the probe selected by the probe is moun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각각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들 중에서 자신이 선택한 프로브가 어느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be holder for intuitively recognizing to which probe holder a probe selected by a probe among the probes, And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브 홀더는 초음파 진단 장치에 연결된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ob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be connected to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 sensor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probe is selected, A body to be installed; And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상기 몸체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The body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urface. An open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formed from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to a point of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int. have.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방부를 제외하고 상기 윗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except for the opening portion.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와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밑면의 내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probe.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probe is selected and a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the sensor unit can detect a change in current flowing in the cable or a change in voltage.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윗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close to the upper surface.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상기 프로브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probe is selected and a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the sensor unit senses ultrasonic waves irradiated from the probe or detects fine sound generated in the probe by the transmission signal .

상기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body.

상기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잇다. And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light emitting unit in an unlit state when there is no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may turn on the light emit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light emitting unit in an unlit state when there is no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may blink the light emit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진단 장치는 케이블을 통해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제공받은 초음파를 피검사체의 체내로 조사하고, 상기 피검사체의 체내의 특정 부위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프로브;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을 나타내는 프로브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검사자가 상기 프로브 목록에서 상기 피검사체를 검사하는데 필요한 프로브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키가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다수의 프로브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브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각 프로브 홀더는 상기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ain body through a cable, irradiates ultrasonic waves provided from the main body into a body of the subject, A plurality of probes for receiving ultrasound signals reflected from the site; A firs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probe list indicating probe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control panel provided with a switch or a key for an examiner to select a probe necessary for inspecting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probe list; And a plurality of probe holders for respectively holding the plurality of probes, wherein each of the probe holders includes a sensor part for sensing whether the probe is mounted, and a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probe is selected, And a control unit for lighting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상기 몸체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The body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urface. An open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formed from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to a point of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int. have.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방부를 제외하고 상기 윗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except for the opening portion.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와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밑면의 내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probe.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probe is selected and a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main body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the sensor unit can detect a change in current flowing in the cable or a change in voltage.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윗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close to the upper surface.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상기 프로브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probe is selected and a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the sensor unit senses ultrasonic waves irradiated from the probe or detects fine sound generated in the probe by the transmission signal .

상기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body.

상기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pa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light emitting unit in an unlit state when there is no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may turn on the light emit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maintain the light emitting unit in an unlit state when there is no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may blink the light emit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자는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각각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들 중에서 자신이 선택한 프로브가 어떤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or can intuitively recognize which probe holder the probe selected by the probe among the probe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robe holders is mounted on.

또한, 센서부, 제어부, 및 발광부를 프로브가 아닌 프로브 홀더에 구비함으로써, 프로브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도, 검사자가 선택한 프로브가 어떤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the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in the probe holder instead of the probe, it is possible to indicate to which probe holder the probe selected by the inspector is mounted, regardless of the kind of the pro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의 프로브 위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거치된 프로브들 중에서 소정 프로브를 선택하기 이전의 컨트롤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거치된 프로브들 중에서 소정 프로브를 선택한 이후의 컨트롤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rob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rob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rob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probe position in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the control panel before the inspector selects a predetermined probe among the probe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robe holders.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the control panel after the inspector selects a predetermined probe among the probe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robe hold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10)는 본체(100), 다수의 프로브(500), 컨트롤 패널(300),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probes 500, a control panel 300, a first display device 400, And a second display device 600.

본체(100)는 초음파 진단 장치(10)의 주요 구성요소 예를 들어, 송신 신호 생성부(미도시)를 수납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10)에 구비된 다수의 프로브(500)들 중에서 검사자가 소정 프로브(500)를 선택하는 경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송신 신호는 전압(Voltage), 버스트(Burst), 주파수(Frequenc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일측에는 다수의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 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암 커넥터(110)에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이 연결될 수 있다. 송신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는 본체(100)의 암 커넥터(110)와 연결된 수 커넥터(510) 및 케이블(520)을 거쳐 프로브(50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can accommodate main components of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10, for example, a transmission signal generator (not shown). When the inspector selects a predetermined probe 500 among the plurality of probes 500 provid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10, the transmission signal generator may generate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be 500.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signal may include voltage, burst, and frequency information. A plurality of female connectors 11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s 50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emale connectors 110. The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generat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be 500 via the male connector 510 and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female connector 110 of the main body 100.

프로브(500)는 피검사체의 체표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초음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브(500)는 본체(10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 신호 즉, 초음파를 피검사체의 체내로 조사하고, 피검사체의 체내의 특정 부위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본체(1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로브(500)에는 케이블(520)의 일단이 연결되는데, 이 케이블(520)의 타단에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 5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520)의 수 커넥터(510)는 본체(100)의 암 커넥터(110)와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The probe 500 can transmit and receive ultrasonic waves to a portion contacting the body surface of the test subject. Specifically, the probe 500 irradiates a transmission signal provided from the main body 100, that is, ultrasound into the body of the subject, receives the ultrasound signal reflected from a specific region in the body of the subject and transmits the ultrasound signal to the main body 100 . One end of the cable 520 is connected to the probe 500. A male connector 51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520 and a male connector 510 of the cable 52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to the female connector 110. The female connector 110 of FIG.

컨트롤 패널(300)에는 검사자가 초음파 진단 장치(10)의 조작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각종 스위치 및 키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각종 스위치 및 키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아이콘 등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300)은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3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witches and keys so that the examiner can input command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10. [ At this time, various switches and keys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such as an icon of a graphic user interface. The control panel 300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한편, 컨트롤 패널(300)의 가장 자리에는 프로브(500)를 거치하기 위한 프로브 홀더(200)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브 홀더(200)는 프로브(500)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검사자는 평상 시에 프로브 홀더(200)에 프로브(500)를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 홀더(200)는 해당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500)가 검사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브 홀더(2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Meanwhile, a probe holder 200 for holding the probe 500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control panel 300. The probe holder 200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robes 500, and the probe can be stored in the probe holder 200 by placing the probes 500 in a normal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holder 200 can detect whether the probe 500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is selected by the tester and visually display the detection resul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be holder 200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컨트롤 패널(3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수의 프로브(500)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초음파 진단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의 목록(미도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현재 초음파 진단 장치(10)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면, 검사자는 컨트롤 패널(300)의 스위치 또는 키를 조작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브(5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검사자가 프로브(500)를 선택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브라운관(Cathod Ray Tube: CRT) 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may be located above the control panel 300 and may display an application for a plurality of probes 5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may display a list (not shown) of probes connected to the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10. When the list of the probes connected to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10 is displayed, the inspector can select the probe 500 to be used by operating the switch or the key of the control panel 300. As such, when the inspector selects the probe 500,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can display the application for the selected probe 500.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athode ray tube (CRT) 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초음파 진단 결과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마찬가지로, 브라운관(Cathod Ray Tube: CRT) 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display device 60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and may display an ultrasound diagnostic result as an image. The second display device 600 may be implemented as a cathode ray tube (CRT) 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similar to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2 to 5, a probe hold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성을 도시할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200)는 센서부(210), 제어부(220), 발광부(230) 및 전원 공급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probe hold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210, a controller 220, a light emitting unit 230, and a power supply unit 240.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500)가 검사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10 can detect whether the probe 500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is selected by the inspector.

일 예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된 프로브 목록에서 소정 프로브(500)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표시된다. 그러면 검사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검사자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0)에서는 송신 신호가 생성되며, 이 송신 신호는 케이블(520)을 통해 해당 프로브(500)로 제공된다. 그 결과, 해당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부(210)는 예를 들어, 전류 센서(current sens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10 can detect whether the probe 500 is selected by sensing a change i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Specifically, when the inspector selects a predetermined probe 500 from the probe list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the application for the selected probe 500 i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The inspector can then select the menu he wants to use. When the inspector selects the menu, a transmiss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probe 500 through the cable 520. As a resul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is changed. Therefore, the sensor unit 210 can detect whether the probe 500 is selected by sensing a change i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The sensor unit 210 may include a current sensor, for example, to sense a change i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다른 예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된 프로브 목록에서 소정 프로브(500)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표시되고, 검사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검사자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0)에서는 송신 신호가 생성되며, 이 송신 신호는 케이블(520)을 통해 해당 프로브(500)로 제공된다. 그 결과, 해당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전압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부(210)는 예를 들어, 전압 센서(voltage sens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210 may detect whether the probe 500 is selected by sensing a change in the voltage flowing throug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Specifically, when the inspector selects a predetermined probe 500 from the probe list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the application for the selected probe 500 i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You can select the menu you want to use. When the inspector selects a menu, a transmiss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probe 500 through a cable 520. As a result, current flows throug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thereby changing the voltage. Therefore, the sensor unit 210 can detect whether the probe 500 is selected by sensing a change in the voltage of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 The sensor unit 210 may include a voltage sensor, for example, to sense a change in the voltage of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또 다른 예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된 프로브 목록에서 소정 프로브(500)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표시되고, 검사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검사자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0)에서는 송신 신호가 생성되며, 이 송신 신호는 케이블(520)을 통해 해당 프로브(500)로 제공된다. 그 결과, 프로브(500)에서는 송신 신호에 의해 초음파가 조사되는데,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210)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ensor unit 210 may detect whether the probe 500 is selected by sensing ultrasonic waves irradiated from the probe 500. Specifically, when the inspector selects a predetermined probe 500 from the probe list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the application for the selected probe 500 i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You can select the menu you want to use. When the inspector selects a menu, a transmiss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probe 500 through a cable 520. As a result, ultrasonic waves are irradiat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in the probe 500. The sensor unit 210 can detect whether the probe 500 is selected by sensing the ultrasonic waves irradiated from the probe 500. FIG.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210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부(230)를 점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10)의 감지 결과, 검사자에 의해 해당 프로브(500)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220)는 해당 프로브(500)가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한다. The control unit 220 may turn on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probes 500 are not selected by the inspector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sensor unit 210. That is, 230 are turned off.

만약, 센서부(210)의 감지 결과, 검사자에 의해 해당 프로브(500)가 선택된 경우라면, 제어부(220)는 해당 프로브(500)가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점등시킬 수 있다. If the probe 500 is selected by the inspector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230 of the probe holder 200 on which the probe 500 is mounted It can be turned on.

일 예로, 제어부(220)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점등시킨 후, 발광부(230)의 점등 상태를 사전 지정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3초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사전 지정된 시간 동안 점멸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부(230)의 점등 상태 유지 시간이나 점멸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may turn on the light emitting unit 230 of the probe holder 200, and then maintain the light emitting unit 230 in the ON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or 3 seconds.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may cause the light emitting unit 230 of the probe holder 200 to blink for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ighting state holding time and blinking patter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be variously modified.

또한 제어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홀더(200)마다 구비될 수도 있지만, 특정 프로브 홀더(200)의 내부, 본체(100)의 내부, 또는 초음파 진단 장치(10) 내의 다른 위치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에는 다수의 센서부(210) 및 다수의 발광부(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부(210) 및 발광부(230)로 이루어진 하나의 쌍(pair)은 각 프로브 홀더(200)마다 구비될 수 있다. 2, the controller 220 may be provided for each of the probe holders 200, but may be provided inside the specific probe holder 200, inside the main body 100, Only one position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210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20, and one pair of the sensor unit 210 and the light emitting units 230 And may be provided for each probe holder 200.

발광부(230)는 제어부(220)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230)는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ed: LED), 반도체 레이저, 네온램프(neon lamp) 등과 같은 발광 소자(luminous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be turned on or off by the control unit 220.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include a luminous element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semiconductor laser, a neon lamp, or the like.

전원 공급부(240)는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 공급부(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은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supply power to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30.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40 may be implemented as one module together with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light-emitting unit 230 may be operated as a single module.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한편, 상술한 구성요소들 즉, 센서부(210), 제어부(220), 발광부(230)는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프로브 홀더(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be provided on the body of the probe holder 200.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probe holder 200 are possible. Before describing the probe holder 200 in detail, the probe holder 200 will be briefly described.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는 프로브(500)가 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몸체(250)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밑면의 지름은 프로브(500)의 지름보다 작은 것인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250)의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그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개방부의 폭은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이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개방부의 폭은 케이블(520)의 지름보다 1.5배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ody 250 of the probe holder 200 is a portion where the probe 500 is mounted. The body 25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bottom,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bottom.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be 500. An open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formed from a predetermined point in a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50 to a point of a corresponding bottom surface thereo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to such a degree that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can easily pass through.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opening may be about 1.5 times the diameter of the cable 5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 중에서 개방부의 반대측 부분은 컨트롤 패널(300)의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프로브(500)를 프로브 홀더(200)의 위치보다 높게 든 상태에서,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이 프로브 홀더(200)의 개방부를 통과하여 프로브 홀더(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다음, 프로브(500)를 프로브 홀더(200)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여, 프로브(500)를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할 수 있다. Meanwhile, a portion of the body 250 of the probe holder 200 opposite to the opening portion may be fixed to the edge of the control panel 300. The probe 520 passes the opening of the probe holder 200 and the probe 52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robe holder 200 while the probe 500 is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probe holder 200. [ . Then, the probes 500 can be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by placing the probes 500 inside the probe holder 200.

상술한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ody 250 of the probe holder 200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or a transparent material.

다음으로, 프로브 홀더(200)의 구조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Next, referring to FIG. 3 to FIG. 5,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robe holder 200 will be give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rob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여 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의 내측에는 제어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230)는 몸체(250)의 윗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과 접촉될 수 있도록 몸체(250)의 밑면의 내측 둘레 중 일부에 배치되거나, 밑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된 프로브(500)가 선택되는 경우, 이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210)는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3 shows a case where the body 250 of the probe holder 200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As shown in FIG. 3, a control unit 2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250 of the probe holder 200.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be dispos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50. The sensor unit 210 may be disposed o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50 or may be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The sensor unit 210 can sense a change i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and a change in voltage when the probe 500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is selected . For this, the sensor unit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urrent sensor or a voltage senso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rob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여 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는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250) 내부의 빈 공간에는 제어부(220)와 발광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발광부(230)는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과 접촉될 수 있도록 몸체(250)의 밑면의 내측 둘레에는 센서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된 프로브(500)가 선택되는 경우, 이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210)는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4 shows a case where the body 250 of the probe holder 200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4, the body 250 of the probe holder 200 may be hollow, and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be disposed in an empty space inside the body 250 have.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include,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The sensor unit 21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5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The sensor unit 210 can sense a change i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and a change in voltage when the probe 500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is selected . For this, the sensor unit 210 may include a current sensor or a voltage sensor.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rob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여 주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는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몸체(25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빈 공간에는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발광부(230)는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된 프로브(500)가 선택되는 경우, 이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센서부(210)는 몸체(250)의 내측면에 위치하되, 몸체(250)의 윗면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부(210)의 위치는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250)의 내측면에 위치하되, 몸체(250)의 밑면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5 shows a case where the body 250 of the probe holder 200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s shown in FIG. 5, the body 250 of the probe holder 200 may be hollow. That is,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body 250, and at least one of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be disposed in the empty space.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230 may include,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The sensor unit 210 may be implemented as an ultrasonic sensor. The sensor unit 210 senses ultrasonic waves irradiated from the probe 500 when the probe 500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is selected It plays a role. The sensor unit 21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250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50 in order to easily detect the ultrasonic waves irradiated from the probe 500. However, the position of the sensor unit 2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250, but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50.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210)는 마이크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된 프로브(500)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프로브(500)에서 발생되는 미세음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unit 210 may be implemented with a microphone sensor.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210 senses the fine sound generated from the probe 500 when the probe 500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is selected.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의 프로브 위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probe position display metho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FIG.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10)에서의 프로브 위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다수의 프로브(500a 내지 500f)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200a 내지 200f)에 각각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7은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들(500a 내지 500f) 중에서 소정 프로브(500d)를 선택하기 이전의 컨트롤 패널(300)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들(500a 내지 500f) 중에서 소정 프로브(500d)를 선택한 이후의 컨트롤 패널(300)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Here,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probe position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lan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robes 500a to 500f are respectively mounted on a plurality of probe holders 200a to 200f,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ntrol panel 300 before the predetermined probe 500d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obes 500a to 500f. (300).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로브(500a 내지 500f)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200a 내지 200f)에 각각 거치된 상태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되면, 현재 초음파 진단 장치(10)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의 목록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S610). 7,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10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probes 500a to 500f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robe holders 200a to 200f, The list of probes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S610).

이 후 검사자는 컨트롤 패널(300)의 스위치나 키를 조작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프로브 목록 중에서 검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브(500d)를 선택할 수 있다(S620). Thereafter, the inspector can select a probe 500d to be used for inspection from the list of probe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device 400 by operating a switch or a key of the control panel 300 (S620).

그러면, 초음파 진단 장치(10)에서는 선택된 프로브(500d)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프로브(500d)로 전송한다(S630). 이 때, 송신 신호는 전압, 버스트,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10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be 500d and transmits it to the corresponding probe 500d (S630).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signal may include voltage, burst, and frequency information.

초음파 진단 장치(10)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는 본체(100)의 암 커넥터, 암 커넥터와 연결된 수 커넥터, 및 수 커넥터와 연결된 케이블을 거쳐 프로브(500d)로 전송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10 can be transmitted to the probe 500d via a female connector of the main body 100, a ma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female connector,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male connector.

그러면 프로브 홀더(200)의 센서부(210)는 해당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500d)가 검사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브 홀더(200)의 센서부(210)는 프로브(500d)와 연결된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프로브(500d)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프로브(500d)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210)는 이 감지 결과를 제어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Then, the sensor unit 210 of the probe holder 200 can detect whether the probe 500d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is selected by the tester. 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210 of the probe holder 200 senses a change in current flowing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the probe 500d, detects a change in voltage, senses an ultrasonic wave irradiated through the probe 500d , And the fine sound generated in the probe 500d can be sensed. The sensor unit 210 may provide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220.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40). The control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ensing result sensed by the sensor unit 210 (S640).

만약,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결과가 없다면(S640, 아니오), 제어부(220)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소등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S660).If there is no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210 (S640, NO), the control unit 220 can maintain the light emitting unit 230 of the probe holder 200 in an unlit state (S660).

만약,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결과가 있다면(S640, 예), 즉,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가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되었거나, 프로브(500)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나, 프로브(500)에서 발생되는 미세음이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되었다면, 제어부(220)는 발광부(230)를 점등시킬 수 있다(S650). 이 때, 제어부(220)는 발광부(230)의 점등 상태를 사전 지정된 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20)는 발광부(230)의 점등 상태를 3초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발광부(230)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킬 수도 있다. That is, if a change i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520 connected to the probe 500 or a change in the voltag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210 (YES in step S640) The control unit 220 may turn on the light emitting unit 230 if the ultrasonic wave irradiated through the probe 500 or the fine sound generated from the probe 500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21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can maintain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unit 230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can maintain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unit 230 for 3 seconds.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may blink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한편, 센서부(210)에 의한 감지 결과의 유무를 판단할 때,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신호와 기준 값을 비교하여, 감지 결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0)가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작다면,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 이상이라면,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detection result by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ler 220 may compar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210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ion result. For example, if the sensor unit 210 includes an ultrasonic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ultrasonic signal irradiated from the probe 500, if the magnitude of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21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20 can determine that there is no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210. [ If the magnitude of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2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220 can determine that the sensed result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21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프로브 홀더(20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500)가 검사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검사자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브(500)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들 중에서 어떤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검사가자 프로브(500)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be holder 200 can detect whether the probe 500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is selected by the tester and visually display the detection resul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know at a glance whether the probe 500 to be used by the inspector himself / herself is mounted on the probe holder 200 among the plurality of probe holders, thereby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probe probe 500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taken.

또한,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를 프로브(500)가 아닌 프로브 홀더(200)에 구비함으로써, 프로브(500)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도, 다수의 프로브(500)들 중에서 검사자가 선택한 프로브(500)가 어떤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Since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30 are provided in the probe holder 200 instead of the probe 500, a plurality of probes (not shown) 500 can be displayed on which probe holder 200 the probe 500 selected by the inspector is mounted.

10: 초음파 진단 장치
100: 본체
110: 암 커넥터
200: 프로브 홀더
210: 센서부
220: 제어부
230: 발광부
240: 전원 공급부
300: 컨트롤 패널
400: 제1 디스플레이 장치
500: 프로브
510: 수 커넥터
520: 케이블
600: 제2 디스플레이 장치
10: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100:
110: female connector
200: probe holder
210:
220:
230:
240: Power supply
300: Control panel
400: first display device
500: Probe
510: male connector
520: Cable
600: second display device

Claims (22)

케이블을 통해 초음파 진단 장치 본체의 암 커넥터에 연결된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개방부 반대측 부분은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프로브 홀더.
A body to which a probe connected to a female connector of a main body of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mounted through a cabl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robe is selected, and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sensor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lighting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Wherein the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nd has a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urface and an open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a predetermined point in a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to a point of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int is formed,
And a portion of the body opposite to the opening portion is fixed to an edge of a control panel includ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방부를 제외하고 상기 윗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프로브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except for the open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와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밑면의 내측 둘레에 배치되는, 프로브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nsor portion is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prob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는, 프로브 홀더.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unit senses a change in a current flowing in the cable or a change in voltage when a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through the pro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윗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프로브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nsor unit is disposed inside the body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상기 프로브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하는, 프로브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probe is selected and a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the sensor unit senses an ultrasonic wave emitted from the probe or detects a fine sound generated in the probe by the transmission signal , Probe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프로브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s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프로브 홀더.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키는, 프로브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is maintained in an unlit state when there is no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illuminates the light emit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키는, 프로브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is maintained in an unlit state when there is no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whe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is detected, the light emitting unit flashes for a predetermined time.
케이블을 통해 초음파 진단 장치의 본체의 암 커넥터와 연결되며,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의 본체로부터 제공받은 초음파를 피검사체의 체내로 조사하고, 상기 피검사체의 체내의 특정 부위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프로브;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의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을 나타내는 프로브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검사자가 상기 프로브 목록에서 상기 피검사체를 검사하는데 필요한 프로브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키가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다수의 프로브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브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브 홀더는
상기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개방부 반대측 부분은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 포함된 컨트롤 패널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connected to a female connector of a main body of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through a cable, irradiates ultrasonic waves provided from a main body of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to a body of the subject, A plurality of probes;
A firs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probe list indicating probe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 control panel provided with a switch or a key for an examiner to select a probe necessary for inspecting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probe list; And
And a plurality of probe holders for respectively mounting the plurality of probes,
The probe holder
A body to which the probe is mounte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robe is selected, and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lighting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Wherein the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nd has a shape in which a cross 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urface and an open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a predetermined point in a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to a point of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int is formed,
And an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of the body is fixed to an edge of a control panel includ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방부를 제외하고 상기 윗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except for the open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와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밑면의 내측 둘레에 배치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nsor unit is dispos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cable connected to the prob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nsor unit senses a change in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or a change in voltage when the probe is selected and a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main body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윗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ensor unit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ody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 surfa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상기 프로브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probe is selected and a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the sensor unit senses an ultrasonic wave emitted from the probe or detects a fine sound generated in the probe by the transmission signal ,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ody is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bod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sp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키는, 초음파 진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is maintained in an unlit state when there is no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illuminates the light emit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키는, 초음파 진단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is maintained in an unlit state when there is no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is blink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KR1020120002850A 2012-01-10 2012-01-10 Probe hold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725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50A KR101972519B1 (en) 2012-01-10 2012-01-10 Probe hold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50A KR101972519B1 (en) 2012-01-10 2012-01-10 Probe hold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820A KR20130081820A (en) 2013-07-18
KR101972519B1 true KR101972519B1 (en) 2019-04-26

Family

ID=4899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850A KR101972519B1 (en) 2012-01-10 2012-01-10 Probe hold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5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4480B2 (en) 2013-08-12 2018-06-26 Samsung Medison Co., Ltd. Prob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50019147A (en) 2013-08-12 2015-02-2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robe and apparatus thereto
KR102567511B1 (en) * 2015-12-01 2023-08-1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holder assembly,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KR102406933B1 (en) * 2017-03-21 2022-06-10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Ultrasound 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0025B2 (en) 1999-05-28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robe holder for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KR100674513B1 (en) 2004-12-29 2007-01-26 주식회사 메디슨 Ultrasound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a probe
JP2010263958A (en) * 2009-05-12 2010-11-25 Toshiba Corp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JP2011036302A (en) 2009-08-07 2011-02-2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Ultrasonograph and probe cable storing device for ultrasonograp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0025B2 (en) 1999-05-28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robe holder for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KR100674513B1 (en) 2004-12-29 2007-01-26 주식회사 메디슨 Ultrasound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a probe
JP2010263958A (en) * 2009-05-12 2010-11-25 Toshiba Corp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JP2011036302A (en) 2009-08-07 2011-02-2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Ultrasonograph and probe cable storing device for ultrasonograp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820A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519B1 (en) Probe hold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342924B2 (en) Ultrasound diagnostic imaging equipment
JP5842810B2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ultrasonic diagnostic system
US20090120165A1 (en) Sampling Leak Detector
CN109069121B (en) Localization support and fetal heart rate registration support for CTG ultrasound transducers
US201003054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ultrasound probe orientation and activation status
KR101366543B1 (en) Castor indicator
JPH04332546A (en) Supersonic scan head
US9901300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mages
CN106714672A (en) Object-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JP2003093365A (en) Electric impedance scanner also used for ultrasonography
CN103974664A (en) An examination system with multiple ultrasound transducers
KR102578072B1 (en) Ultrasound diagnosit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htod of the same
US20240016470A1 (en) Ultrasound probe
JP2018051126A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medical image diagnostic apparatus, and medical image diagnostic support program
JP2022074392A (en)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control method of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and control program of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JPH0484948A (en) Punctual ultrasonic probe
KR101510679B1 (en) Ultrasound Probe
JP2011072532A (en) Medical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and ultrasonograph
JP6472719B2 (en)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JP5332060B2 (en)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JP4817315B2 (en) Ultrasound microvessel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3002849A1 (en) Vascular puncture assistance device
KR20070029366A (en) Ultrasound diagnostic system with removable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4680930A (en) Probe holder illumination for ultrasound imag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