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55B1 - 버튼 분리형 팩트 - Google Patents

버튼 분리형 팩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55B1
KR101970255B1 KR1020180093554A KR20180093554A KR101970255B1 KR 101970255 B1 KR101970255 B1 KR 101970255B1 KR 1020180093554 A KR1020180093554 A KR 1020180093554A KR 20180093554 A KR20180093554 A KR 20180093554A KR 101970255 B1 KR101970255 B1 KR 101970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id
groove
cov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수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9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55B1/ko
Priority to CN201980003233.8A priority patent/CN111031842B/zh
Priority to PCT/KR2019/006316 priority patent/WO20200323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45D2040/223Means for closing the lid comprising a latch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화장품 팩트 용기 버튼의 전면부가 분리됨으로써, 버튼 전면부의 후가공에 따른 버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버튼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화장품 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튼 분리형 팩트{Compact Container Having Separable Button}
본 발명은 화장품 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버튼의 전면이 분리되는 화장품 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트 타입 화장품 용기(이하 팩트)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색조화장품 등을 내부에 충전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만든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팩트는 내부 충전물의 밀폐 및 보호를 위해 뚜껑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상기 뚜껑은 끼워 맞춤, 나사 결합, 또는 힌지 결합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팩트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중에 힌지 결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좀 더 견고하게 상기 뚜껑을 닫아놓을 수 있는 후크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크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체결된 두 후크 중에 적어도 한 쪽을 체결이 풀리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야한다. 이를 위해 팩트는 상기 후크를 안쪽으로 밀 수 있는 버튼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보통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버튼 구조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48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48호'의 콤팩트용기는 전면에 버튼부재장착홈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용기뚜껑, 상기 용기본체 내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내용기 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버튼부재장착홈에 장착되는 버튼부재 및 상기 용기본체 내주연에 고정 결합되며, 내용기부재와 상기 버튼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48호'의 버튼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버튼부재가 일체형을 형성될 경우, 버튼부재에 후가공을 하게 되면 버튼부재 전체로 열이 전달되어 버튼부재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4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튼의 전면이 분리되어, 버튼 전면의 후가공에 따른 버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팩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튼 분리형 팩트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전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과 상기 버튼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과 상기 버튼커버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버튼커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버튼에는 상기 뚜껑과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부와 전후가 개방되게 수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전방에는 상기 버튼커버의 중앙부의 후면과 접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튼 분리형 팩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버튼의 전면을 분리함으로써 버튼 전면을 후가공해도 버튼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튼의 전면을 분리함으로써 버튼 전면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버튼에 형성된 돌기와 버튼커버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인해 버튼커버를 버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버튼커버에 형성된 돌출부와 본체에 형성된 이탈방지홈으로 인해 버튼커버가 전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튼의 전방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커버를 누를 때 버튼커버의 중앙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분리형 팩트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분리형 팩트의 정면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분리형 팩트의 버튼과 버튼커버의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분리형 팩트의 버튼의 정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분리형 팩트의 버튼의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분리형 팩트의 버튼커버의 정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분리형 팩트의 버튼커버의 배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분리형 팩트의 버튼커버의 배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분리형 팩트의 부분확대도(고정부재 제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을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버튼 분리형 팩트는 본체(100)와, 본체(100)와 결합되는 뚜껑(200,미도시)과, 본체(100)와 뚜껑(2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와 결합되는 버튼(300) 및 버튼(300)의 전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커버(400)를 포함한다. 본체(100)와 뚜껑(200)은 힌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지름이 높이보다 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0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본체(100)가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본체(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110)와 고정부재(12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20)는 외부용기(110)의 내측면에 끼워져, 버튼(300)이 상부 및 후방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고정시킨다.
외부용기(110)의 일측에는 제1뚜껑결합홈(111)이 형성된다. 제1뚜껑결합홈(111)은 상부와 전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제1뚜껑결합홈(111)을 통해 뚜껑(200)의 일측을 본체(100)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외부용기(110)의 타측에는 버튼삽입홈(112)이 형성된다. 버튼삽입홈(112)은 상부와 전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버튼삽입홈(112)의 상부에서 하부로 버튼(300) 및 버튼커버(400)를 끼워 조립할 수 있다.
버튼삽입홈(112)의 하면은 아래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고, 버튼삽입홈(112)의 좌우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버튼삽입홈(112)의 중심부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기울어진 형상에 의해, 버튼(300) 및 버튼커버(400)는 버튼삽입홈(112)에 보다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다.
외부용기(110)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는 버튼가이드돌기(113)가 원기둥이 형상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가이드돌기(113)는 버튼삽입홈(1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버튼가이드돌기(113)와 외부용기(110)의 측면부 사이에는 버튼(300)이 위치한다. 버튼가이드돌기(113)는 후술할 버튼(300)의 연장부재(340)의 후면과 접하게 된다.
버튼삽입홈(112)의 양쪽에는 측면돌기(114)가 각각 형성된다. 측면돌기(114)는 버튼삽입홈(112)의 측면에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측면돌기(114)는 외부용기(110) 내측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게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면돌기(114)의 일면은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측면돌기(114)의 타면은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버튼(300)이 외부용기(110)에 조립되었을 때, 버튼(300) 및 버튼커버(400)와, 측면돌기(114) 사이에는 이탈방지홈(115)이 형성된다.
이탈방지홈(115)의 단면의 크기는 후술할 버튼커버(400)의 돌출부(402)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402)가 이탈방지홈(115)에 삽입되면 일정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재(120)의 일측에는 제2뚜껑결합홈(121)이 형성된다. 제2뚜껑결합홈(121)은 전방과 상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뚜껑결합홈(121)은 제1뚜껑결합홈(111)과 연통되어, 뚜껑(200)의 일측은 제2뚜껑결합홈(121)을 통해 본체(1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120)의 타측에는 제3뚜껑결합홈(122)이 형성된다. 제3뚜껑결합홈(122)은 전방과 상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3뚜껑결합홈(122)은 후술할 버튼(300)의 뚜껑삽입홈(332)과 연통되어, 뚜껑(200)의 타측은 제3뚜껑결합홈(122)을 통해 버튼(30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300)의 전방에는 버튼커버(400)가 조립된다.
버튼(300)은 도 4 내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버튼(300)은 전체적으로 전면이 볼록하고 좌우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버튼(300)의 전면의 곡률은 외부용기(110)의 곡률과 동일 유사하다. 버튼(300)의 전면의 형상은 외부용기(110)의 버튼삽입홈(112)의 형상과 동일 유사하고, 버튼(300)의 전면의 크기는 버튼삽입홈(112)의 크기보다 작다.
버튼(300)의 전측은 외부용기(110)의 버튼삽입홈(112)에 배치된다.
버튼(300)은 버튼(3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뚜껑삽입홈(332)과, 버튼(30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310)와, 버튼(30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결합부(320)와, 버튼(300)의 좌측과 우측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연장부재(340)를 포함한다.
뚜껑삽입홈(332)은 버튼(300)의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뚜껑삽입홈(332)의 형상에 의해, 뚜껑삽입홈(332)에는 뚜껑(200)의 타측의 일부가 뚜껑삽입홈(332)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후술할 결합부(320)와 후크 결합된다.
돌기(310)는 버튼(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돌기(311)와, 버튼(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돌기(312)를 포함한다. 돌기(310)는 버튼(300)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부돌기(311)는 버튼(300) 상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부돌기(312)는 버튼(300) 하면의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310)는 후술할 버튼커버(400)의 결합홈(410)과 끼움 결합된다.
결합부(320)는 걸림돌기(321)와 걸림돌기(321) 양 옆에 형성되는 수직홈(322)을 포함한다.
걸림돌기(321)는 결합부(320)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321)의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321)의 상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로 인해 뚜껑(200)을 닫을 때, 뚜껑(200)에 형성되는 돌기(201,미도시)가 걸림돌기(321)의 상면에서 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걸림돌기(321)는 뚜껑(200)을 닫았을 때, 걸림돌기(321)의 하면에 뚜껑(200)에 형성되는 돌기(201)의 상면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걸림돌기(321)의 하면은 평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300)을 눌러 걸림돌기(32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전에는 돌기(201)와의 결합이 자동적으로 풀리지 않아 뚜껑(200)이 열리지 않는다.
걸림돌기(321)의 하면과 결합부(320)가 만나는 모서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부 충격으로 인해 뚜껑(200)의 돌기(201)가 결합부(320)를 밀게 되더라도, 결합부(320)가 받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200)이 후크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200)을 들어 올려도, 상기 모서리에 걸리는 힘이 분산되어 상기 모서리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한다.
수직홈(322)은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수직홈(322)의 수직방향 길이는 버튼(300)의 수직방향 길이의 1/2보다 길게 형성된다.
수직홈(322)의 하면의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되어, 응력이 수직홈(322)에 걸릴 때 응력이 분산되어 수직홈(322)의 하면의 모서리가 쉽게 깨지지 않게 한다.
결합부(320)는 수직홈(322)으로 인해 버튼(300)의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결합부(320)가 버튼(300)의 전후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결합부(320)가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장부재(340)는 일단이 버튼(300)의 좌측 후방 및 우측 후방에 연결되며, 버튼(300)의 후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장부재(340)의 곡률은 외부용기(110)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곡률로 인해 버튼(300)이 외부용기(110)의 타측에 끼워졌을 때, 연장부재(340)의 전면의 일부는 외부용기(110)의 내측면에 접하고, 연장부재(340)의 후면의 일부는 외부용기(110)의 버튼가이드돌기(113)에 접하게 된다.
버튼(300)과 외부용기(110)가 결합된 형상은 도 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때, 버튼(300)은 연장부재(340)의 타측이 전방으로 일정량 휘어지게 끼워져, 연장부재(340)의 타측은 후방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을 지니게 된다. 이로 인해 버튼(300)의 중앙부는 전방으로 힘을 받아, 버튼삽입홈(1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300)을 눌렀다가 손을 떼면, 버튼(300)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연장부재(340)의 일단에는 수평부(341)가 형성된다. 수평부(341)의 일측의 일부는 버튼(3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연결되고, 수평부(341)의 일측의 나머지는 버튼(300)의 후면에 연결된다. 연장부재(340)는 수평부(341) 타측에서부터 굴곡지게 형성된다.
수평부(341)의 전면 및 후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수평부(341)의 후면과 버튼(300)의 후면이 만나는 모서리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버튼(300)의 중앙부로 기울어지게 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로 인해, 상기 모서리에 걸리는 응력이 분산되어, 상기 모서리가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평부(341)의 전면은 외부용기(110)의 측면돌기(114)의 일면 및 후술할 버튼커버(400)의 후면과 접하게 된다. 수평부(341)의 전면은 측면돌기(114)의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버튼(300)은 좌우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341)에 버튼커버(400)가 안정감 있게 안착될 수 있다.
연장부재(340)의 타측에는 단부돌기(342)와 단부걸림홈(343)이 형성된다.
단부돌기(342)는 연장부재(340)의 타단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단부돌기(342)는 단부돌기(342)와 연장부재(340)의 후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둔각을 이루게 형성된다. 단부돌기(342)는 연장부재(340)가 외부용기(110)의 버튼가이드돌기(11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단부걸림홈(343)은 연장부재(340)의 후면에 움푹 들어가게 형성된다. 단부걸림홈(343)의 일측은 단부돌기(342)와 연결된다. 단부걸림홈(343)은 단부걸림홈(343)의 타측에 단부걸림홈(343)과 연장부재(340)의 후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둔각을 이루게 형성된다.
단부걸림홈(343)에는 외부용기(110)의 버튼가이드돌기(113)가 위치한다. 단부돌기(342)와 단부걸림홈(343)의 형상으로 인해, 연장부재(340)는 단부걸림홈(343)에 버튼가이드돌기(113)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만 외부용기(1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버튼(300)의 좌측과 우측에는 통공(3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통공(331)은 뚜껑삽입홈(332)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다. 통공(331)은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통공(331)과 뚜껑삽입홈(332) 사이에는 지지부(333)가 형성된다. 지지부(333)로 인해 통공(331)과 뚜껑삽입홈(332)은 연통되지 않는다. 지지부(333)의 전면은 후술할 버튼커버(400)의 후면과 접한다.
통공(331)으로 인해 버튼(300)은 경량화 되고, 강도가 향상된다. 지지부(333)로 인해, 사용자가 버튼커버(400)를 눌렀을 때 버튼커버(400)의 중앙부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버튼커버(400)는 도 6 내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버튼커버(400)는 전체적으로 전면이 볼록하고 좌우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버튼커버(400)의 전면의 곡률은 외부용기(110)의 곡률과 동일 유사하다. 버튼커버(400)의 전면의 형상은 외부용기(110)의 버튼삽입홈(112)의 형상과 동일 유사하고, 버튼커버(400)의 전면의 크기는 버튼삽입홈(112)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보다 작다. 버튼커버(400)의 전면은 본체(100)의 외측면의 형상에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버튼커버(400)의 상면 및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버튼커버(400)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되어 생기는 홈의 크기는 버튼(300)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보다 크다. 이로 인해 버튼커버(400)는 버튼(300)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다.
버튼커버(400)는 외부용기(110)의 버튼삽입홈(112)에 끼워진다. 버튼커버(400)는 버튼커버(400)가 외부용기(110)에 끼워졌을 때, 버튼커버(400)의 전면이 외부용기(110)의 외측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버튼커버(400) 즉, 버튼(300)의 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버튼커버(400)는 버튼커버(4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4뚜껑결합홈(401)과, 버튼커버(40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돌출부(402)와, 버튼커버(4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가공부(403)와, 버튼커버(4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면돌출부(404)와, 버튼커버(40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410)을 포함한다.
제4뚜껑결합홈(401)은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4뚜껑결합홈(401)은 전면이 볼록하고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4뚜껑결합홈(401)은 버튼(300)의 뚜껑삽입홈(332)과 연통되어, 뚜껑(200)의 타측은 제4뚜껑결합홈(401)을 관통하여 뚜껑삽입홈(332)으로 삽입된다.
돌출부(402)는 버튼커버(4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후방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402)는 상하방향으로 긴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402)는 돌출부(402)의 후면이 버튼커버(400)의 후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돌출부(402)는 외부용기(110)의 이탈방지홈(115)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402)의 전방은 이탈방지홈(115)에 막혀, 버튼커버(40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가공부(403)에는 문자, 도형, 기호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인쇄, 핫스탬핑, 도금, 증착, 코팅, 도장 등의 후가공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후가공 방법 중에는 가열 처리가 필요한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버튼커버(400)가 버튼(300)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 처리를 할 때 버튼커버(400)에 한정에 열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버튼(300)이 열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튼(300) 부위의 디자인을 변경해야할 때, 버튼(300) 전체를 새로 만드는 대신 버튼커버(400)의 디자인만 변경하여 버튼(300)에 끼우면 되므로 버튼(300) 부위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내측면돌출부(404)는 버튼커버(400) 후면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다. 내측면돌출부(404)는 제4뚜껑결합홈(401)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다. 내측면돌출부(404)의 후면은 버튼커버(400)의 상면 및 하면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내측면돌출부(404)는 버튼(300)의 전면의 곡률에 따라 형성된다. 이로 인해 내측면돌출부(404)의 후면은 버튼(300)의 지지부(333)의 전면과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결합홈(410)은 버튼커버(400)의 내측면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결합홈(411)과, 버튼커버(400)의 내측면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결합홈(412)을 포함한다. 결합홈(410)은 버튼커버(400)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부결합홈(411)은 버튼커버(400) 버튼커버(400)의 내측면의 상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상부로 움푹 들어가게 형성된다. 하부결합홈(412)은 버튼커버(400) 내측면의 하면의 중앙에 하부로 움푹 들어가게 형성된다. 결합홈(410)은 버튼(300)의 돌기(310)와 끼움 결합된다. 이로 인해 버튼(300)과 버튼커버(400)는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본체 110: 외부용기
111: 제1뚜껑결합홈 112: 버튼삽입홈
113: 버튼가이드돌기 114: 측면돌기
115: 이탈방지홈 120: 고정부재
121: 제2뚜껑결합홈 122: 제3뚜껑결합홈
200: 뚜껑 201: 돌기
300: 버튼 310: 돌기
311: 상부돌기 312: 하부돌기
320: 결합부 321: 걸림돌기
322: 수직홈 331: 통공
332: 뚜껑삽입홈 333: 지지부
340: 연장부재 341: 수평부
342: 단부돌기 343: 단부걸림홈
400: 버튼커버 401: 제4뚜껑결합홈
402: 돌출부 403: 가공부
404: 내측면돌출부 410: 결합홈
411: 상부결합홈 412: 하부결합홈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뚜껑;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과 결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버튼과 결합되기 전에 형성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버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버튼의 중앙부에 상기 버튼의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뚜껑삽입홈과, 상기 뚜껑삽입홈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버튼의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버튼의 상부 및 하부의 외측면에 상기 뚜껑삽입홈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커버는 상기 버튼커버의 상부 중앙에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뚜껑결합홈과, 상기 버튼커버의 상부 및 하부의 내측면에 상기 뚜껑결합홈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커버는 상기 버튼커버의 좌우측면의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고 삽입후 상기 돌출부의 전방을 가로막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여,
    상기 버튼커버와 상기 버튼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분리형 팩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는 상기 뚜껑과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부와 전후가 개방되게 수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분리형 팩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전방에는 상기 버튼커버의 중앙부의 후면과 접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분리형 팩트.
KR1020180093554A 2018-08-10 2018-08-10 버튼 분리형 팩트 KR10197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54A KR101970255B1 (ko) 2018-08-10 2018-08-10 버튼 분리형 팩트
CN201980003233.8A CN111031842B (zh) 2018-08-10 2019-05-27 按钮可拆卸型粉盒
PCT/KR2019/006316 WO2020032360A1 (ko) 2018-08-10 2019-05-27 버튼 분리형 팩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54A KR101970255B1 (ko) 2018-08-10 2018-08-10 버튼 분리형 팩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255B1 true KR101970255B1 (ko) 2019-04-18

Family

ID=6628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554A KR101970255B1 (ko) 2018-08-10 2018-08-10 버튼 분리형 팩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70255B1 (ko)
CN (1) CN111031842B (ko)
WO (1) WO20200323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7607A (zh) * 2020-02-28 2021-08-31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能够从外侧看见内容物的化妆品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845A (ko) * 2005-03-31 2008-01-08 잇메이크센스 엘티디. 향수 테스터 및 향수 도포 방법
KR200482748Y1 (ko) 2015-07-13 2017-03-31 펌텍코리아 (주) 조립이 간편한 버튼부재를 갖는 콤팩트용기
KR20180001157U (ko) * 2016-10-18 2018-04-26 전경국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이 결합된 화장품 용기의 본체 케이스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516Y1 (ko) * 2003-05-12 2003-09-19 김덕현 화장품 용기
KR200338799Y1 (ko) * 2003-09-08 2004-01-24 변영광 리퀴드 타입의 화장품 도포용기
KR200476239Y1 (ko) * 2013-05-16 2015-02-10 펌텍코리아 (주) 고른 화장액 토출 기능을 갖는 콤팩트 용기
KR101486198B1 (ko) * 2014-10-14 2015-02-11 김진우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947716B1 (ko) * 2015-03-17 2019-02-14 (주)아모레퍼시픽 밀폐뚜껑을 갖는 듀얼 화장품 용기
KR200482091Y1 (ko) * 2015-03-31 2016-12-15 펌텍코리아 (주)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수직 가압 콤팩트 용기
KR200484240Y1 (ko) * 2015-07-13 2017-08-17 펌텍코리아 (주) 화장료가 골고루 배출되는 배출판을 갖는 콤팩트용기
KR101584968B1 (ko) * 2015-08-26 2016-01-13 주식회사 엘피케이 커버 연동형 인출부가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US9993047B1 (en) * 2016-12-14 2018-06-12 Jessica M. Patterson Button cover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845A (ko) * 2005-03-31 2008-01-08 잇메이크센스 엘티디. 향수 테스터 및 향수 도포 방법
KR200482748Y1 (ko) 2015-07-13 2017-03-31 펌텍코리아 (주) 조립이 간편한 버튼부재를 갖는 콤팩트용기
KR20180001157U (ko) * 2016-10-18 2018-04-26 전경국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이 결합된 화장품 용기의 본체 케이스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7607A (zh) * 2020-02-28 2021-08-31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能够从外侧看见内容物的化妆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1842A (zh) 2020-04-17
CN111031842B (zh) 2022-07-12
WO2020032360A1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20115157A (ru) Крышки контейнеров с фиксаторами
US4110873A (en) Coupling
KR101970255B1 (ko) 버튼 분리형 팩트
US20030041741A1 (en) Separ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JP6937595B2 (ja) 収納容器の蓋体
JP3513622B2 (ja) 化粧料容器
WO2013164888A1 (ja) フロントリリースバックル
JPH0538650Y2 (ko)
JPS6143373Y2 (ko)
JPS6214969Y2 (ko)
JP2583176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H0630101Y2 (ja) 化粧用コンパクト
JPH0131126Y2 (ko)
JPH0448740Y2 (ko)
JPH0448739Y2 (ko)
JPH0637808U (ja) 光ファイバー用コネクタ
JPH0610887Y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316075Y1 (ko) 화장품 용기
JPH0448737Y2 (ko)
JP3868682B2 (ja) 蓋付き容器
KR200186384Y1 (ko) 비누갑
JPS6015259Y2 (ja) コネクタ
JPS6036162Y2 (ja) コンパクト
JP2536715Y2 (ja) 容器の蓋開閉機構
JPH04330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