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47B1 -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47B1
KR101970247B1 KR1020120097837A KR20120097837A KR101970247B1 KR 101970247 B1 KR101970247 B1 KR 101970247B1 KR 1020120097837 A KR1020120097837 A KR 1020120097837A KR 20120097837 A KR20120097837 A KR 20120097837A KR 101970247 B1 KR101970247 B1 KR 10197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solvent
communication hole
main body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988A (ko
Inventor
안혁진
김민지
예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47B1/ko
Priority to EP13182577.0A priority patent/EP2703543B1/en
Priority to US14/016,360 priority patent/US9347169B2/en
Priority to CN201310397244.3A priority patent/CN103668885B/zh
Publication of KR2014003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첨가제투입장치는 용제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구비되어, 용제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첨가제가 수용되는 첨가제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와 첨가제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어, 용제의 유동 작용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연통홀을 여닫는 플로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ADDITIVE SUPPLYING DEVI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첨가제투입장치는 용제에 첨가제를 투입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의류, 침구 등의 세탁물을 세탁, 헹굼, 건조, 리프레시(refresh) 등의 과정을 수행하여 처리하는 세탁기, 건조기, 건조 겸용 세탁기, 리프레셔(refresher) 등의 세탁물 처리기기-최근에는 용제를 가열하여 생성된 스팀을 분사하는 기능이 부가된 세탁물 처리기기도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에는 물, 알코올, 벤젠, 아세톤, 에테르 등의 용제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제에 소정의 첨가제를 투입함으로써, 첨가제의 특성에 따른 세탁물 처리가 가능하다. 첨가제는 용제의 특성에 따라 수용성 또는 지용성의 액상 또는 분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세탁물 처리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의 세탁용 첨가제 뿐만 아니라, 용제의 유동 경로 상에 스케일(scale)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케일생성방지제(anti sacle agent), 방향제, 방청제, 적정 수준의 PH 유지를 위한 산화/환원제, 살균제, 분산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용제에 일시에 투입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목적에 부합하게 조금씩 균일하게 투입될 필요가 있으며, 예를들어, 스케일생성방지제는 용제의 이동 경로 상에서 지속적으로 작용하여야 하므로, 일시에 많은 양이 투입되는 것보다는 미량씩 균일하게 투입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용제에 첨가제를 균일하게 투입할 수 있는 첨가제투입장치 및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용제의 유동에 따라 첨가제의 투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첨가제투입장치 및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첨가제투입장치는 용제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구비되어, 용제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첨가제가 수용되는 첨가제 수용부; 상기 본체부와 첨가제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된 노즐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어, 용제의 유동 작용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연통홀을 여닫는 플로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용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로 공급되는 용제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첨가제투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투입장치는 용제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구비되어, 용제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첨가제가 수용되는 첨가제 수용부; 상기 본체부와 첨가제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된 노즐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어 용제의 유동 작용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연통홀을 여닫는 플로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투입장치는 용제에 균일한 농도로 첨가제가 투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첨가제투입장치는 용제가 유동되는 중에만 첨가제의 투입이 이루어짐으로써, 필요시에만 적절한 양의 첨가제의 소비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투입장치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노즐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투입장치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투입장치(100)는 용제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구비되어, 용제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112)와 배출구(113)가 형성된 본체부(110), 첨가제가 수용되는 첨가제 수용부(120), 본체부(110)와 첨가제 수용부(120)를 연통시키는 연통홀(131)이 형성된 노즐부(130)와, 본체부(110) 내에 구비되어 용제의 유동 작용에 따라 승강하며 연통홀(131)을 여닫는 플로트(140)를 포함한다.
첨가제투입장치(100)는 소정의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용제에 첨가제를 투입한다. 예를들어, 세탁기, 건조기, 건조겸용 세탁기, 리프레셔 등의 세탁물 처리기기에는 처리 대상인 의류, 침구(이하, 세탁물이라고 칭함.) 등에 물, 드라이 크리닝이나 얼룩제거를 위한 유기용제를 공급하는 용제공급유로(도 4의 공급관(74) 참조.)가 구비되며, 이런한 용제공급유로 상에 첨가제투입장치(100)를 설치함으로써, 용제공급유로를 따라 용제가 유동되는 과정 중에 첨가제의 투입이 이루어진다. 세탁물 처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스케일생성방지제(anti sacle agent),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방향제, 방청제, 적정 수준의 PH 유지를 위한 산화/환원제, 살균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등이다. 이렇게 투입되는 첨가제는 용제의 종류에 따라 수용성, 지용성, 산성, 알카리성, 중성 등의 적절한 액성을 띨 수 있으며, 형태적으로는 액상, 입자상(도 1의 a 참조)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체부(110)는 용제공급유로와 연결된 유입구(112)를 통해 용제가 유입되고,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용제가 배출구(113)를 통해 다시 배출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수류압에 의해 플로트(140)가 상승되어 연통홀(131)이 개방된다. 이 과정에서 용제의 일부는 연통홀(131)을 통해 첨가제 수용부(120) 내로 유입되어 첨가제를 용해시키고, 첨가제가 용해된 용제는 연통홀(131)을 통해 본체부(110)내로 공급된다. 이러한 과정은 주로 본체부(110)와 첨가제 수용부(120) 사이의 농도 구배에 의한 확산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만, 첨가제는 그 자신과 용제와의 적정한 비중차를 유지함으로써, 아직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첨가제 수용부(120) 내에 모여 있도록, 용제보다는 비중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 수용부(120) 내에 수용된 첨가제는 연통홀(131)의 면적보다 더 작은 크기의 입자 상태로 이루어지거나, 액상이어도 첨가제 전량이 일시에 소진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용제의 압력, 유입구(112) 또는 배출구(113)를 통과하는 용매의 유량, 연통홀(131)의 면적 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배출구(113)의 배출유량에 비해 연통홀(131)을 통해 첨가제 수용부(120)로부터 본체부(110)로 이송되는 유량을 상대적으로 적게 유지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플로트(140)는 비중이 용제의 비중보다 작으면 부력에 의해 원활하게 상승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용제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예를들어, 세탁물 처리를 위한 급수가 중단된 상태)에서도 용제공급유로 또는 본체부(110) 내에는 잔존한 용제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 필요 이상의 첨가제가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트(140)의 비중이 용제의 비중보다는 크도록 하여, 본체부(110)내에 용제가 채워져 있더라도 용제의 유동이 없으면 플로트(140)가 하강 위치에서 연통홀(131)을 닫는 상태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가 물인 경우, 플로트(140)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 예를들어, PC(plolycarbonate) 또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구(112)는 배출구(113) 비해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입구(112)와 배출구(113) 사이의 높이 차로 인해 어느 정도의 상승 수류가 형성되어 플로트(140)의 승강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부호 150은 체결 브래킷으로, 첨가제투입장치(100)를 케이싱 등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가 체결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즐부(130)는 플로트(140)가 하강할 시 연통홀(131) 위로 정위치 될 수 있도록, 연통홀(131)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성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제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플로트(140)는 경사형성부(132)를 따라 연통홀(131) 측으로 수렴되면서 하강됨으로써, 더 이상의 첨가제가 투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노즐부(130)는 첨가제 수용부(120) 내의 용해된 성분들이 용제와 함께 연통홀(131)측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연통홀(131)을 향해 수렴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렴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가 첨가제 수용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에서, 수렴부(133)는 노즐부(130)의 하부, 즉 경사형성부(132)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노즐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플로트(140)가 하강 위치에서 연통홀(131)을 닫는 상태라 함은, 반드시 연통홀(131)을 완전 밀페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플로트(140)와 연통홀(13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용제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초기에 용제가 신속하게 첨가제 수용부(12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플로트(140)가 하강 위치에서도 플로트(140)와 연통홀(13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이러한 구조는 플로트(140)와 연통홀(131)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양자 사이의 점성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플로트(140)의 원활한 상승에 도움을 준다.
이를 위해, 연통홀(131)은 플로트(140)의 하강 위치에서 플로트(140)와의 사이에 비접촉 구간(231a, 331a, 431a, 531a)을 갖을 수 있으며, 이러한 비접촉 구간을 통해 플로트(140)가 하강된 위치에서도 첨가제 수용부(120)와 본체부(110) 사이가 연통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연통홀(131)과 동위면 상에서의 플로트(140)의 단면(c)과 비접촉 구간(231a, 331a, 431a, 531a)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고 잇다.
실시예에 따라, 플로트(140)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플로트(140)와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연통홀(131)은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3a 내지 도 3b 참조)
도 3c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연통홀(131)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플로트(140)가 연통홀(131)들 사이에서도 지지되기 때문에, 플로트(140)와 연통홀(131)이 완전 밀착되지 않으며, 따라서, 연통홀(131)이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비접촉구간(431a, 531a)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이하, 건조기를 예로 드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4)과, 드럼(4) 내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600)를 포함한다.
분사장치(600)는 유입구(613)를 통해 유입된 액상의 물을 노즐(670)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유로형성부(660)와, 유로형성부(660)를 따라 이동되는 물에 열을 가하는 스팀생성히터(630)와, 유로형성부(660)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되며 생성된 스팀과 함께 가열된 액상의 물을 분사하는 노즐(6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물 수용부(72)가 구비되고, 물 수용부(72)와 연결된 물 공급관(74) 상에 첨가제투입장치(100)가 구비된다. 첨가제투입장치(100)의 유입구(112)는 물 공급관(74a)을 통해 물 수용부(72)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배출구(113)은 물 공급관(74b)를 통해 분사장치(600)와 연결된다. 펌프(73)는 물 공급관(74a)상에 구비되어 물 수용부(72)로부터 첨가제투입장치(100)로 물을 압송한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유로형성부(660)는 수도꼭지 등의 외부수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수원과 연결된 급수호스가 용제투입장치(600)의 유입구(11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유입구(112)와 급수호스 사이에는 급수 단속을 위한 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급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660)와 노즐(670)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로 결합된다는 것은 유로형성부(660)와 노즐(670)이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유닛 또는 모듈을 이루는 경우는 물론이고, 유로형성부(660)와 노즐(670)이 사출성형 등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한다. 어느 경우에나, 유로형성부(660)의 고정 위치에 따라 노즐(670)의 위치가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종래 일정한 용기에 물을 담고 이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호스 등을 통하여 분사노즐까지 이송하는 구조는, 스팀이 호스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응축됨으로써, 분사노즐을 통해 응축수가 분사되었고, 이는 피건조물을 다시 젖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로형성부(660)를 통해 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가열되고, 유로형성부(660)와 일체로 형성된 노즐(670)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로형성부(660) 내에서 생성된 스팀이 노즐(670)에 이르는 과정에서 스팀이 응축되는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물 수용부(72)는 드로워(71) 내에 구비되고, 사용자는 드로워(71)를 인출하고 물 수용부(72)에 형성된 투입구(72a)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이동성을 고려하여 소형화가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기기의 경우에는 외부수원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것 보다는 물 수용부(72)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구조가 유리하다.
유로형성부(660)는 유입구(613)로부터 노즐(670)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유로 본체(610)와, 유로 본체(6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로 본체(610)와 커버(6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유로 본체(610)에는 물 공급관(74)과 연결되는 유입구(613)가 형성되어, 유입구(613)를 통해 유로 본체(6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된다.
스팀생성히터(630)는 유로 본체(610) 내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스팀생성히터(630) 발열에 따라 물이 가열되며 스팀이 생성된다. 스팀생성히터(630)는 물이 유동되는 유로 상에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 본체(610)의 바닥부(613)에 매립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스팀생성히터(630)가 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스팀생성히터(630) 절연을 위한 별도의 절연구조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유로 본체(610)는 스팀생성히터(630)로부터의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생성히터(630)는 전원 공급을 위한 2 개의 단자(631, 6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자들은 유로 본체(6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로 본체(610)는 내측으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유로 본체(610)의 바닥부(613)에는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611, 612)들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은 유로 본체(610)의 우측부(118)와 좌측부(119) 사이에서 연장된다..
유입구(613)를 통해 공급된 물은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611, 612) 사이를 따라 안내되며 노즐(670)를 향해 진행되는 중에 그 진행 방향이 교대로 바뀐다.
커버(620)는 유로 본체(610)를 덮는 것으로, 유로 본체(6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유로 본체(6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유로 본체(610) 내에서 생성된 스팀이 누설되지 않도록 커버(620)와 유로 본체(610) 사이가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620)에는 유로형성리브(611, 612)를 따라 유동되는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노즐(670)이 결합된다.
한편, 유로형성부(660)는 바닥부(613)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유로형성리브들(611, 612) 중 어느 하나(612)를 기준으로 양쪽 공간으로 구획되고, 물이 상기 양쪽 공간 중 상류측에 속하는 공간에서 하류측에 속하는 공간으로 진행되는 중에 유로형성리브(612)를 넘쳐 흘러 진행할 수 있도록, 유로형성리브(612)의 상측으로 물의 이동을 위한 간격이 존재한다. 상기 물의 이동을 위한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커버(620)에는 간격형성구간(625)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형성구간(625) 내에서 커버(620)의 내측면은 유로형성리브(612)와 이격된다.
유로형성부(660) 내에는 유로형성리브(612)로부터 연장 형성된 임팩터(impactor, 690)가 구비될 수 있다. 임팩터(690)는 상기 구획된 양쪽 공간 중에서 유로형성부(660) 내의 물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속하는 공간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임팩터(690)는 간격형성구간(62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660) 내에서 진행하던 물이 유로형성리브(612)에 의해 구획된 양쪽 공간 중 상류측에 속하는 공간에서 임팩터(690)에 부딪친 후 간격형성구간(625)을 통해 하류측에 속하는 공간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스케일은 주로 임팩터들(691, 692, 693) 사이에 생성 되며, 따라서, 노즐(670) 분사구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임팩터(690)는 유로의 다수 지점에 특히, 유동방향이 전환되는 구간들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방향의 전환되는 구간들 중 임팩터(690)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간격형성구간(625)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수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유로형성리브가 부분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분사장치(600)는 유입구(640)가 노즐(670)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조는 유로형성부(660) 내의 잔수를 배출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로형성리브들(611, 612) 사이를 따라 물의 진행 방향이 교대로 전환되는 구조는, 물의 이동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물에 충분한 열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스팀 발생에 필요한 물을 일정한 곳에 모아두고 가열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경우와 비교할 시, 본 실시예에는 이동 중인 물에 열이 가해지고, 그로 인한 상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팀 분사에 필요한 시간을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로형성부(660)를 따라 물이 이동되는 중에 가열되기 때문에 물의 일부는 스팀으로 상변화가 이루어지나, 다른 일부는 고온의 액체 상태로 노즐(670)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노즐(67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액상과 기상(스팀)이 혼합된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노즐(670)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토출구 또는 노즐(670)의 입구에서는 대략 섭씨 70도(이하, 온도의 단위는 섭씨임.)이고, 드럼(4) 내의 온도는 30도 내지 40도로 유지된다. 스팀만이 분사되는 종래의 방식은 의복에 닿는 스팀의 온도가 너무 고온이기 때문에, 의복의 직접적인 손상은 물론이고, 얼룩의 변성으로 인한 2차적인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나,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는 일정 수준 이상의 분사압은 유지되면서도 의복은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노즐(670)의 분사압은 노즐(670) 분사구의 직경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분사구의 직경이 1.5 mm 보다 큰 경우에는 노즐(670)로부터 분사된 물이 세탁물을 충분한 세기로 타격하지 못하거나 세탁물까지 미치지 못하였고, 1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사 유량이 세탁물을 처리하기에 부족하였다. 또한, 분사구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스케일(scale) 생성에 의한 분사구의 폐색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며, 따라서, 이러한 여러가지 영향을 고려하여 노즐(670) 분사구의 직경은 대략 1.5 내지 2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즐(670)은 분당 70 내지 120cc의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리브들(611, 612) 사이로 정의되는 협소한 유로를 따라 물이 이동되고, 그 이동되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물이 유입구(640)로부터 노즐(670)로 이동되는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와 하류를 구분할 시, 하류 측에 속하는 물일수록 흡열 시간이 많아 스팀으로의 상변화가 용이할 것이나, 이에 더불어 상류측에 속하는 물도 바닥부(613)와 접하는 부분에서는 급속하게 스팀이 생성되고, 이와 더불어 물의 유동에 따른 수압 또한 작용하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되고,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높은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노즐(670)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사되는 스팀은 매우 고압을 유지하고, 드럼(4) 내의 피건조물까지 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600)는 짧은 시간 안에 스팀을 생성 및 분사함으로써, 스팀 분사 행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 고압의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첨가제투입장치(100)에서, 물 공급관(74)을 통해 공급된 물은 본체부(110) 내에서 유입구(112)로부터 배출구(113)로 유동하며, 이 과정에서 플로트(140)가 상승되며 첨가제의 투입이 이루어지고, 첨가제가 용해된 물이 분사장치(600)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가제투입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으나, 특히, 분사장치(600) 내에 스케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케일생성방지제(도 1의 a 참조)를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일생성방지제는 중합 인산염(polyphospates) 및 탈산소제(oxygen-binding agent), 킬레이트제, 분산제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Ca, Mg성분을 침전 또는 용해시키고, 침상형, 눈꽃형 등의 부정형 형상의 침전물 결정을 흡착시키는 HEDP(Hydroxy Etylene Diphosphonic Acid)를 예로 들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용제 중의 경도성분을 침전시켜 스케일 생성을 막아주고, 강력한 분산 작용으로 기 생성된 스케일을 분산시키고, 용존 산소와 화학적으로 작용하여 부식을 방지하며, 알칼리성을 녹혀 적정 PH를 유지하는 등의 효과가 입증된 Tetrasodium EDTA(Ethylenediaminetetraacetec acid)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용제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구비되고, 용제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첨가제가 수용되는 첨가제 수용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첨가제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첨가제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된 노즐부; 및
    상기 용제보다 비중이 크고,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홀을 여닫는 플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는,
    자중에 의해 하강된 위치에서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상기 용제의 유동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는 첨가제투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플로터가 상기 연통홀 측으로 수렴되며 하강되도록, 상기 연통홀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성부를 포함하는 첨가제투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플로터와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첨가제투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첨가제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가 부분적으로는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연통홀은 상기 플로터와의 사이에 비접촉 구간을 갖는 첨가제투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수용부는,
    첨가제가 용해된 성분이 용제와 함께 상기 연통홀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연통홀을 향해 수렴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렴부를 포함하는 첨가제투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다수개가 형성되는 첨가제투입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스케일생성방지제인 첨가제투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생성방지제는 HEDP를 포함하는 첨가제투입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생성방지제는 Tetrasodium EDTA를 포함하는 첨가제투입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용제보다 비중이 큰 첨가제투입장치.
  13. 용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로 공급되는 용제에 첨가제를 투입하는 첨가제투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투입장치는,
    용제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구비되어, 용제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첨가제가 수용되는 첨가제 수용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첨가제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첨가제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된 노즐부; 및
    상기 용제보다 비중이 크고,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홀을 여닫는 플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는,
    자중에 의해 하강된 위치에서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상기 용제의 유동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첨가제투입장치를 경유한 용제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토출구로 용제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유로형성부;
    상기 유로형성부를 따라 이동되는 용제에 열을 가하는 스팀생성히터; 및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액상의 용제와 함께 상기 스팀생성히터의 가열작용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수용부에는 스케일생성방지제가 수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물인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20097837A 2012-09-04 2012-09-04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70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37A KR101970247B1 (ko) 2012-09-04 2012-09-04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EP13182577.0A EP2703543B1 (en) 2012-09-04 2013-09-02 Additive inject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14/016,360 US9347169B2 (en) 2012-09-04 2013-09-03 Additive inject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CN201310397244.3A CN103668885B (zh) 2012-09-04 2013-09-04 添加剂注入装置以及包括该添加剂注入装置的衣物处理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37A KR101970247B1 (ko) 2012-09-04 2012-09-04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988A KR20140030988A (ko) 2014-03-12
KR101970247B1 true KR101970247B1 (ko) 2019-04-18

Family

ID=4905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837A KR101970247B1 (ko) 2012-09-04 2012-09-04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47169B2 (ko)
EP (1) EP2703543B1 (ko)
KR (1) KR101970247B1 (ko)
CN (1) CN1036688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526B1 (ko) * 2013-12-12 202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06757959B (zh) * 2016-10-31 2023-10-2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KR20180052282A (ko) * 2016-11-10 2018-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제박스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N106637841B (zh) * 2016-12-29 2023-03-3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喷瀑组件、洗涤桶组件及洗衣机
CN109737920A (zh) * 2019-01-07 2019-05-10 太原理工大学 基于双灵敏传感器的静力水准仪
USD1012388S1 (en) * 2022-01-11 2024-01-23 Mary Thomas Washing machine for cloth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0838A (ja) * 2000-05-17 2004-04-08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洗剤または洗浄剤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1911A (en) * 1958-09-17 1961-07-11 John S Spain Liquid dispenser for washing appliance
US3401834A (en) * 1967-04-17 1968-09-17 Gen Motors Corp Laundry conditioner dispenser system
US4467627A (en) * 1982-12-16 1984-08-28 Whirlpool Corporation Pump for a dispensing system for an automatic washer
KR890007318Y1 (ko) * 1987-02-12 1989-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액체 세제 자동 투입장치
KR100765278B1 (ko) * 2005-04-04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향분사 세탁기
KR20070049406A (ko) * 2005-11-08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20070054525A (ko) * 2005-11-23 200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 발생기를 구비한 건조 장치
WO2007058477A1 (en) * 2005-11-15 2007-05-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of supplying and dicharging fluid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E102007052076B3 (de) * 2007-10-31 2009-01-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spülschale für Flüssigkeiten
EP2055824B1 (en) * 2007-11-02 2014-07-30 LG Electronics Inc. Dryer
US7950088B2 (en) * 2008-07-01 2011-05-3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indicating operational information for a dispensing system having both single use and bulk dispensing
CN102362028A (zh) * 2009-04-02 2012-02-22 Lg电子株式会社 具有使用热空气加热器的蒸汽发生器的干衣机
EA018893B1 (ru) * 2009-05-05 2013-11-29 Бсх Бош Унд Сименс Хаусгерете Гмбх 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с парогенератором
ES2377039T3 (es) * 2009-06-25 2012-03-22 Miele & Cie. Kg Dispositivo de generación de vapor para una máquina de tratamiento de ropa y máquina de tratamiento de rop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0838A (ja) * 2000-05-17 2004-04-08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洗剤または洗浄剤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68885A (zh) 2014-03-26
EP2703543B1 (en) 2021-03-31
US20140060123A1 (en) 2014-03-06
EP2703543A1 (en) 2014-03-05
US9347169B2 (en) 2016-05-24
CN103668885B (zh) 2016-05-04
KR20140030988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247B1 (ko) 첨가제투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148367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RU201111280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моющих средств в бак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KR1017541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381634B1 (ko) 다상유체 분사장치
KR10107255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110526B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13183257A1 (ja) 衣類処理装置
KR20180045041A (ko) 세제 자동 첨가 시스템 및 세탁기
EP2860297B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JP2014054400A (ja) 衣類処理装置
KR101739385B1 (ko)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0872870B1 (ko) 순환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 장치
CN203475160U (zh) 具有清洁装置的衣物清洗设备
JP7222454B2 (ja) 衣類処理設備用のエアウォッシュ装置及び衣類処理設備
JP2022553132A (ja) 洗濯機の自動投入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146270B1 (ko) 드럼세탁기의 증기분사장치
KR101529912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US20190234011A1 (en) Ozone process for color removal and drain system
CN219972747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219951484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BR102013022609A2 (pt) Additive injection apparatus and dirty clothing treatment machine
CN111334968B (zh) 衣物处理设备
CN101397739B (zh) 一种碱性功能性水雾的杀菌洗涤方法
KR20100042988A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