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961B1 - 기능성 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961B1
KR101969961B1 KR1020170103685A KR20170103685A KR101969961B1 KR 101969961 B1 KR101969961 B1 KR 101969961B1 KR 1020170103685 A KR1020170103685 A KR 1020170103685A KR 20170103685 A KR20170103685 A KR 20170103685A KR 101969961 B1 KR101969961 B1 KR 10196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ter
door
functiona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921A (ko
Inventor
진배동
박인철
Original Assignee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비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9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기능성 물질을 함유시킨 혼합수를 공급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수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1 챔버와, 제1 챔버와 유로가 연결되어 유입수의 일부를 공급받아 혼합수를 제1 챔버로 공급하는 제2 챔버로 이루어진 본체부; 기능성 물질이 제2 챔버 내부에 공급되도록, 제2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부; 유로를 통과하는 유입수와 혼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기능성 물질의 교체가 편리하고, 원하는 기능을 바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여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물 공급장치{A FUNCTION WATER SUPPLYING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기능성 물질을 함유시킨 혼합수를 공급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 헤드, 수도꼭지 등은 상수원으로부터 상수관을 통해 가정이나 공중목욕탕 등으로 공급되는 물을 토출시키는 토수기구이다. 이러한 토수기구는 밸브에 의해 수돗물을 토출시키거나 토출을 중단한다.
최근 샤워 시에, 피부를 부드럽게 하거나, 보습, 향기 등의 이유로 아로마오일, 바디오일, 바디로션 등의 바디 제품을 사용한다.
이러한 바디 제품 등은 개별 용기에 저장되어 샤워 도중 또는 샤워 이후에 일정량을 토출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바디 제품은 샤워 도중 사용하는 경우, 바디 제품 사용 이후에 물로 씻어주어야 하고, 샤워 이후에 사용하는 경우, 바디 제품이 손에 묻어 다시 손을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샤워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과 같이 손이 닿지 않는 부위에 제품을 도포하기 어려워 목욕 타월을 이용하면, 목욕 타월이 제품을 흡수하여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7131호는, 샤워 헤드의 손잡이 몸체의 내부에 액상 또는 겔 상태의 비타민을 수용한 카트리지와; 비타민출구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물의 유속에 따라 물레방아식으로 회전 작동하여 비타민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비타민 공급부를 포함함으로써,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속에 따라 적절한 양의 비타민을 기계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샤워기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비타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모 비타민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제작 및 소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샤워기용 비타민 공급 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9342호는, 급수 통로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혼입 용액을 수용한 수용실 및 희석실이 규정된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를 고정하여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희석실은 지속 방출구를 통하여 급수 통로에 연통되어 수용실로부터 혼입 용액을 공급을 받음으로써, 혼입 용액을 수돗물의 유량에 맞는 적절한 양으로 방출할 수 있고, 혼입 용액을 낭비하지 않고 유효하게 사용하여 카트리지의 수명 및 교환 시기를 길게 할 수 있는 혼입 용액 지속 방출 기능을 가지는 급수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은, 샤워 헤드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기능성 물을 공급하나, 기능성 물질이 샤워 헤드의 손잡이 부분에 대용량으로 구비되어 오랜 시간 사용함에 따라 기능성 물질의 위생관리 및 손실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2566호는, 유입구와 배출구와 유입구에서 일측면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개방된 제1 유로와,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개방된 제2 유로와, 배출구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개방된 제3 유로를 포함하는 바디; 바디의 일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제2 유로의 단부가 위치되는 제1 캡; 바디의 타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제3 유로의 단부가 위치되는 제2 캡; 제1 캡에 구비되어 물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제2 캡에 구비되어 유입된 물에 휩쓸려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기능성 캡슐; 을 포함하는 토수기구용 필터링 및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는 일회용의 기능성 캡슐을 사용하여 위생관리가 철저하고, 샤워 시마다 원하는 기능의 기능성캡슐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1, 제3 유로가 수직으로 꺾여 소음이 심하고, 제1, 제2 캡을 나사식으로 탈착하여 필터 및 기능성캡슐의 교체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샤워 헤드로 물이 토출되는 도중, 기능성 캡슐을 교체하기 위해 제2 캡을 탈거하면, 유로를 통과하는 물이 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샤워 도중에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을 씻어낼 필요가 없고, 샤워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이 닿지 않는 부위에도 편리하게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고, 기능성 물질의 도포를 위한 도구가 필요 없어 기능성 물질의 낭비 또는 손실을 저감시키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 사용 시, 위생관리가 철저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가 편리하여 원하는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소음을 완화시킨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의 교체 시, 장치로부터 물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관로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기능성 물질을 혼합한 혼합수를 유출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상기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와 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유입수의 일부를 공급받아 상기 혼합수를 상기 제1 챔버로 공급하는 제2 챔버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기능성 물질이 상기 제2 챔버 내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2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유입수와 상기 혼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는, 욕실의 수관 중간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구는, 샤워 헤드의 손잡이 내부 관로와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의 하류에 살수판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수판은, 상기 제1 챔버의 하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수판은, 상기 제1 챔버를 개폐하도록 탈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챔버를 개폐하는 뚜껑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은, 상기 제2 챔버 내부를 투시하도록, 적어도 일부를 투명부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챔버는, 내부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 폐쇄 시, 상기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일측을 천공하도록 내측면에 돌출된 천공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 외측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본체 돌기; 상기 본체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잠금편; 및 상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돌기에 안착되어 상기 잠금편이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본체 돌기에 고정되는 도어 돌기;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격벽에 형성되고,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격벽과 밀착된 상태로 상대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격벽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가 변경되도록 상기 조절판의 상하를 관통하는 조절구; 및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조절판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조절편;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절편의 상기 유로 폐쇄 시,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조절편의 상기 유로 개방 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조절편의 이동 경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도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편은, 상기 도어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에 상기 도어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 돌기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격벽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챔버는, 복수개의 상기 유로 중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유로의 유입수량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격벽에 유로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도어부를 구비하여 기능성 물질의 교체가 편리하고, 원하는 기능을 바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부가 구비되어 제2 챔버에 수납된 캡슐을 천공함으로써, 캡슐 내부의 기능성 물질을 유입수에 빠르게 혼합시켜 혼합수를 단시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잠금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부를 잠금하여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량 조절부와 도어 잠금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부를 잠금하여 뚜껑이 개방된 상태에서 장치로부터 물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여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제2 챔버로의 유입수 유입과 혼합수 유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로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제1 챔버로 유입된 유입수 중, 유입구와 인접한 유로로 유입되는 유입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출구의 하류에 살수판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수압이 높은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수판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제1 챔버의 청소, 수리 및 유지 관리와 살수판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부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 챔버 내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워 도중에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을 씻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샤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워 시 몸에 직접 도포되므로, 손이 닿지 않는 부위도 편리하게 도포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다른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기능성 물질의 낭비 또는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므로, 기능성 물질의 위생관리가 철저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가 편리하여 원하는 기능을 바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꺾인 형태의 유로가 형성되지 않아 소음 발생을 최소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의 분해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로 가이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로 가이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의 (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절판의 조절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의 (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격벽에 형성된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의 (c)는 본 발명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d)는 본 발명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e)는 본 발명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른 형태의 조절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9의 (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른 형태의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d)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e)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의 (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또 다른 형태의 조절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의 (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또 다른 형태의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의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의 (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의 (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경질 캡슐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연질 캡슐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어댑터와 경질 캡슐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어댑터와 연질 캡슐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제2 실시예에 의하여 조절편이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제2 실시예에 의하여 조절편이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제2 실시예에 의하여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관로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기능성 물질을 혼합한 혼합수를 유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욕실, 공중 목욕탕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 도어부(200), 유량 조절부(300) 및 도어 잠금부(400)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00)는 제1 챔버(110), 제2 챔버(120), 유로(130) 및 격벽(14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챔버(110)는 유입수가 공급되는 유입구(111),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112) 및 제1 챔버(110)를 개폐하는 살수판(114)을 포함한다.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각각 관로 중간 또는 관로의 하류에 결합되며, 욕실의 수관 중간 또는 하류에 연결된다.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수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거나 플랜지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샤워 헤드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1)는 샤워 헤드의 손잡이(10) 내부 관로(11)와 연결되고, 유출구(112)의 하류에 살수판(114)이 설치된다. 이로써, 샤워 헤드의 손잡이(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살수판(114)을 통해 분사된다. 이는 유출되는 혼합수가 살수판(114)에 의해 수압이 높아지므로 사용자는 적당한 수압의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살수판(114)은 제1 챔버(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손잡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살수판(114)으로 분사되는 혼합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살수판(114)은 제1 챔버(110)에 탈부착되며, 나사식, 플랜지 형식 등 제1 챔버(110)를 개폐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챔버(110)는 살수판(114)에 의해 개폐되며, 제1 챔버(110) 내부의 청소, 수리 및 유지 관리와 살수판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챔버(120)는 제1 챔버(110)와 유로(130)가 연결되어 유입수의 일부를 공급받아 혼합수를 제1 챔버(110)로 공급한다. 즉, 유로(130)를 통해 제1 챔버(110)와 연통되며, 제1 챔버(110)와 제2 챔버(120) 사이는 격벽(140)에 의해 구분된다. 이로써, 유입수는 제1 챔버(110)를 통해 유출구(112)로 바로 유출되는 경로와, 유로(130)를 통해 제2 챔버(120)로 유입된 뒤, 다시 제1 챔버(110)로 유출되어 유출구(112)로 유출되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제2 챔버(120)는 내측면에 돌출된 천공부(121)를 더 포함한다.
천공부(121)는 내부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부(200) 페쇄 시,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일측을 천공시킨다.
이로써,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천공부(121)에 의해 천공된 부분으로부터 기능성 물질을 분출한다. 분출된 기능성 물질은 제2 챔버(120)로 유입된 유입수에 빠르게 혼합되므로, 사용자는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수납한 시각으로부터 단시간에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유로(130)는 제1, 제2 챔버(110, 120)를 연통시키는 통로로, 제1, 제2 챔버(110, 120) 사이의 격벽(140)에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도 6과 같이, 유로(130)는 격벽(140)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유입구(111)에 인접한 제1 유로(131)와 제1 유로(131)에 비하여 유입구(111)와의 거리가 멀게 위치한 제2 유로(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는 제2 챔버(120)로 유입수와 혼합수가 유입, 유출되는 유로를 별개로 구성하여 제2 챔버(120)로의 유입수 유입과 혼합수 유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 챔버(110)는 격벽(140)으로부터 유로 가이드(113)가 제1 챔버(110)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유로 가이드(113)는 제1, 제2 유로(131, 132) 사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제1 유로(131)를 통해 제2 챔버(120)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로써, 유입수가 바로 유출구(112)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로 가이드(113)를 구비함으로써, 제1 유로(131), 즉 유입구(111)와 인접한 유로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로 가이드(113)는 도 6, 도 7과 같이, 유로 가이드(113)의 크기, 형태 및 설치 위치 등을 조절하여 제1 유로(131)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유로 가이드(113)의 수평단면을 나타낸다.
유로 가이드(113)의 대표적인 두 가지 형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로 가이드(113)는 제1, 제2 챔버(110, 120) 사이의 격벽으로부터 제1 챔버(120)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판 형태의 부재이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가이드(113)는 평면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로 가이드(113)의 상단은 격벽과 접하고, 하단은 제1 챔버(110)의 저면과 이격되며, 양단은 제1 챔버(110)의 측면과 접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가이드(113)는 제1 유로(131)를 향해 오목한 곡면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로 가이드(113)의 상단은 격벽과 접하고, 하단은 제1 챔버(110)의 저면과 이격되며, 양단은 제1 챔버(110)의 측면과 이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로 가이드는 하단이 제1 유로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유로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도어부(200)는 기능성 물질이 제2 챔버(120) 내부에 공급되도록, 제2 챔버(120)를 개폐한다. 도어부(200)는 본체부(100)와 힌지부(220)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제2 챔버(120)를 개폐하는 뚜껑(210)으로 이루어진다.
뚜껑(210)은 제2 챔버(120)를 개폐하며, 뚜껑(210)이 개방되면 제2 챔버(120)가 개방되고, 뚜껑(210)이 폐쇄되면 제2 챔버(120)가 밀폐된다.
힌지부(220)는 도 2와 같이,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의 유입 방향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뚜껑(21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힌지부는 유입수의 유입 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뚜껑을 회동시킬 수 있으며, 본체부의 배치 위치 및 방향 등에 따라 힌지부가 배치되는 위치와 뚜껑의 회동축이 결정될 수 있다.
뚜껑(210)은 적어도 일부를 투명하게 형성한 투명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투명부(230)를 구비함으로써, 뚜껑 폐쇄 시 사용자는 제2 챔버(12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2 챔버(120) 내부에 수납된 기능성 물질의 수납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제2 챔버(120) 내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뚜껑(210)은 폐쇄 시, 걸림부(240)에 의하여 고정되며, 힌지부(220)가 구비된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240)는 버튼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 개방 시, 뚜껑(210)의 외측에 돌출 구비된 버튼을 누르면, 뚜껑(210)과 본체부(100) 사이의 걸림 부분이 해제되어 뚜껑(21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반대로 뚜껑 폐쇄 시, 뚜껑(21)을 힌지부(22)에 의해 본체부(100)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뚜껑(210)과 본체부(100) 사이의 걸림 부분이 결합되어 뚜껑(210)의 폐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걸림부(240)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뚜껑(210)을 개방하고, 뚜껑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뚜껑(210)을 폐쇄할 수 있어 한 손으로도 간단하게 뚜껑(210)을 개폐할 수 있다. 이는 기능성 물질의 교체가 편리하고, 원하는 기능의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바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량 조절부(300)는 유로(130)를 통과하는 유입수와 혼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유로(130)의 개방 크기를 조절한다. 유량 조절부(300)는 격벽(140)과 밀착된 상태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유로(130)의 개방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유량 조절부(300)는 조절판(310), 조절구(320) 및 조절편(330)으로 이루어진다.
조절판(310)은 격벽(140)과 밀착되어 회전하며, 격벽(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판(310)은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가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챔버(120)가 뚜껑(210)과 조절판(310)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조절판(310)의 회전 시, 안정적으로 본체부(100)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조절구(320)는 조절판(310)의 회전에 따라 유로(130)의 개방 크기가 변경되도록 조절판(310)의 상하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조절구(320)는 조절판(310)의 회전에 의해 유로(130)와 대응되는 위치가 변경된다. 이때, 유로(130)와 겹치는 부분의 크기에 따라 유로(130)를 통과하는 유입수량과 혼합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유로(130)를 개폐할 수 있다.
조절구(320)는 제1, 제2 조절구(321, 32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조절구(321)는 유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제2 조절구(322)는 제1 조절구(321)에 비하여 유입구보다 먼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제2 조절구(321, 322)는 조절판(310)의 회전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편(330)은 조절판(310)을 회전시키도록 조절판(310)으로부터 본체부(100)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사용자는 조절편(330)을 이동시켜 뚜껑(210)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제2 챔버(120)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판(3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조절편(330)은 본체부(100)의 내, 외부를 관통하는 조절편 관통홀(331)을 통해 조절판(310)으로부터 본체부(100) 외측으로 연장된다.
조절편 관통홀(331)은 조절판(3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이동하는 조절편(330)의 이동 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실링부재(340)는 본체부(100)와 조절판(310)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제2 챔버(120) 내부의 유입수 및 혼합수가 본체부(10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조절판(310)에 형성된 조절구(320)와 격벽(140)에 형성된 유로(130)의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a) 도면은 각 실시예에 의한 조절판(310)의 조절구(32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 도면은 각 실시예에 의한 격벽(140)에 형성된 유로(13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c), (d), (e) 도면은 각 실시예에 의한 조절판(310)과 격벽(140)이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c) 도면은 유로(13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 (d) 도면은 유로(130)가 일부 개방된 상태, (e) 도면은 유로(130)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상 좌측으로부터 유입수가 유입된다고 가정하고, 도면상 빗금 친 부분은 유로가 개방된 부분을 표시하며, 조절판(310)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로, 도 8의 (a)와 같이, 제1, 제2 조절구(321, 322)는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8의 (b)와 같이, 제1, 제2 유로(131, 132)는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제2 유로(131, 132)는 제1, 제2 조절구(321, 322) 각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8의 (c)와 같이, 조절구(320)와 유로(130)는 완전히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최대로 형성된다. 조절편(330)을 회전시키면, 도 8의 (d)와 같이, 유로(130)는 조절구(130)에 의해 일부 폐쇄되고, 나머지 일부가 개방되어 유로의 개방 크기가 감소된다. 조절편(330)을 더 회전시키면, 도 8의 (e)와 같이, 유로(130)는 조절구(130)와 겹치는 부분이 없어 폐쇄된다.
두 번째로, 도 9의 (a)와 같이, 제1, 제2 조절구(321, 322)는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9의 (b)와 같이, 유로(130)는 제1, 제2 큰 유로(131a, 132a), 제1, 제2 작은 유로(131b, 132b)로 구성된다.
제1, 제2 큰 유로(131a, 132a)는 조절구(320)에 비하여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짧은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제1, 제2 작은 유로(131b, 132b)는 조절구(320)에 비하여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짧고, 제1, 제2 큰 유로(131a, 132a)와 동일한 각도인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9의 (c)와 같이, 조절구(320)는 제1, 제2 큰 유로(131a, 132a)와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최대로 형성된다. 조절편(330)을 회전시키면, 도 9의 (d)와 같이, 조절구(320)는 제1, 제2 작은 유로(131b, 132b)와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감소된다. 조절편(330)을 더 회전시키면, 도 9의 (e)와 같이, 유로(130)는 조절구(130)와 겹치는 부분이 없어 폐쇄된다.
세 번째로, 도 10의 (a)와 같이, 제1, 제2 조절구(321, 322)는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원주 방향으로 길이가 짧은 사각형의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10의 (b)와 같이, 제1, 제2 유로(131, 132)는 반경 방향의 길이가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10의 (c)와 같이, 조절구(320)는 제1, 제2 유로(131, 132)의 반경 방향 길이가 가장 긴 부분과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최대로 형성된다. 조절편(330)을 회전시키면, 도 10의 (d)와 같이, 조절구(320)는 제1, 제2 유로(131, 132)의 반경 방향 길이가 더 짧은 부분과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감소된다. 조절편(330)을 더 회전시키면, 도 10의 (e)와 같이, 유로(130)는 조절구(130)와 겹치는 부분이 없어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구(320)와 유로(130)를 형성하여 조절판(310)을 회전시킴으로써,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고, 개폐시킬 수 있다. 이는, 유로(130)를 통과하는 유입수와 혼합수의 양을 조절하여 제2 챔버(120)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물에 함유되는 기능성 물질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어 잠금부(400)는 본체부(100) 외측의 제1 위치에서 도어부(200)의 잠금을 해제하고,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도어부(200)를 잠금한다. 이러한 도어 잠금부(400)는 본체 돌기(410), 잠금편(420) 및 도어 돌기(430)로 이루어진다.
본체 돌기(410)는 본체부(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잠금편(420)은 본체 돌기(410)에 결합되어 제1,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도어 돌기(430)는 도어부(2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본체 돌기(410)에 안착되고, 잠금편(420)이 제2 위치일 때 도어 돌기(43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잠금편(420)은 제1 위치에서 본체 돌기(410)에 결합되고, 도어 돌기(430)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도어부(200)의 잠금이 해제된다. 반대로, 잠금편(420)은 제2 위치에서 본체 돌기(410)와 도어 돌기(430)에 결합되므로 도어 돌기(430)가 잠금편(420)에 의해 본체 돌기(410)에 고정되어 도어부(200)를 잠금한다.
사용자는 잠금편(42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걸림부(240)에 의하여 뚜껑(210)의 개폐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잠금편(420)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걸림부(240)의 버튼을 눌러 걸림 부분이 해제되더라도 도어 돌기(430)가 잠금편(420)에 걸려 본체 돌기(410)에 고정되므로 뚜껑(210)을 개방할 수 없다.
즉, 사용자는 잠금편(420)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킨 뒤, 걸림부(240)의 걸림 부분을 해제시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걸림부(240)를 눌러 뚜껑이 개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유량 조절부(300)에 의해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잠금부(400)를 제2 위치에 위치시켜 도어부(200)를 잠금하여 개방을 방지하고, 유량 조절부(300)에 의해 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 잠금부(400)를 제1 위치로 이동시켜 도어부(200)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도어부(200)는 걸림부(240)와 도어 잠금부(400)에 의해 이중으로 잠금하여 도어부(200)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챔버(120) 내부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수납된 상태를 도 11,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내부에 기능성 물질이 내장된 경질 캡슐(510) 또는 연질 캡슐(520)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챔버(120)는 내부에 경질 캡슐(510)이 수납된다.
경질 캡슐(510)은, 몸체부(511)와 마감부(512)로 이루어진다.
몸체부(511)는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며, 단단한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마감부(512)는 몸체부(511)를 밀폐하며, 몸체부(511)에 비하여 파손되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부(200) 폐쇄 시, 경질 캡슐(510)은 밀폐된 제2 챔버(120) 내부에서 가압되어 천공부(121)에 의해 마감부(512)의 일측이 천공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챔버(120) 내부에 연질 캡슐(520)이 수납된다. 연질 캡슐(520)은 기능성 물질을 수용하며, 수용되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부(200) 폐쇄 시, 연질 캡슐(520)은 밀폐된 제2 챔버(120) 내부에서 가압되어 천공부(121)에 의해 연질 캡슐(520)의 일측이 천공된다.
연질 캡슐(520)은 기능성 물질을 감싸는 케이스 부분이 수용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2 챔버(120)에 수납 시, 유입수에 의해 서서히 녹아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 물질이 물에 혼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질 캡슐(520)을 천공하지 않더라도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연질 캡슐(520)을 천공시키는 경우에 연질 캡슐(520) 내부의 기능성 물질이 즉각적으로 분출되므로 사용자는 단시간에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챔버(120)의 내부 공간에 비하여 캡슐의 크기가 작아, 캡슐이 천공부(121)에 의해 천공되지 못하는 경우, 어댑터(5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어댑터(530)는 도 13, 도 14와 같이, 뚜껑(210) 내측에 구비하여, 제2 챔버(120)의 내부 공간을 감소시키도록 추가 부피를 제공한다. 이로써, 크기가 작은 캡슐은 어댑터(530)에 삽입되어 추가 부피를 얻음으로써, 천공부(121)에 도달하여 천공될 수 있다.
이처럼 어댑터(53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캡슐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용성 재질의 케이스로 이루어진 연질 캡슐(520)의 경우, 단시간에 캡슐 내 기능성 물질의 혼합수를 사용하고자 하지 않는다면, 수용성의 케이스가 물에 녹으므로 별도로 천공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는 천공부(121)를 생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샤워 도중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간단히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샤워 도중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을 씻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샤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워 시 샤워 헤드, 살수판 등을 통해 몸에 직접 도포되므로, 손이 닿지 않는 등과 같은 부위도 편리하게 도포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다른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기능성 물질의 낭비 또는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일회용의 경질 캡슐 또는 연질 캡슐로 사용되므로, 기능성 물질의 위생 관리가 철저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구(111)에서 유출구(112)까지의 경로, 유입구(111)에서 제2 챔버(120)를 거쳐 유출구(112)로 유출되는 경로에 꺾인 형태의 유로가 형성되지 않아 제1, 제2 챔버(110, 120)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유량 조절부와 도어 잠금부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어 잠금부(400)는 조절편(330)의 유로 폐쇄 시, 제1 위치에서 도어부(200)의 잠금을 해제하고, 조절편(330)의 유로 개방 시, 제2 위치에서 도어부(200)를 잠금한다.
도어 잠금부(400)는 조절편(330)의 이동 경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부(2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 돌기(430)를 포함한다.
도어 돌기(430)는 조절편 관통홀(331)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도어부(2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조절편 관통홀(33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유량 조절부(300)의 조절편(330)은 도어 돌기(430)가 삽입되는 삽입홈(332)이 형성된다. 이로써, 조절편(330)은 조절편 관통홀(331)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도어 돌기(430)와 결합된 상태로 도어 돌기(430)를 따라 제1,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어 돌기(430)의 길이가 조절편 관통홀(331)의 길이에 비하여 짧기 때문에 조절편(330)은 제1 위치에서 도어 돌기(430)와 결합되어 도어부(200)를 잠금하고, 제2 위치에서 도어 돌기(43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부(2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즉, 조절편(330)은 제1 실시예의 잠금편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는 조절편(330)이 도어 돌기(430)와 결합이 해제된 구간의 위치를 의미하며, 제2 위치는 조절편(330)이 도어 돌기(430)와 결합된 구간의 위치를 의미한다.
조절편(330)의 위치에 따른 도어부(200)의 개방 과정을 살펴보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편(330)은 제2 위치에 위치하며, 도어 돌기(430)와 결합된 상태로 도어부(200)를 잠금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편(330)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어 돌기(43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부(200)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부(200)를 개방하면, 도어부(2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도어부(2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조절편(33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유로(130)가 폐쇄된 상태이고, 조절편(33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유로(130)가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조절편(330)을 제1, 제2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유로(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부(200)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할 수 있고, 유로(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부(200)를 잠금할 수 있다.
이로써, 유로(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부(200)가 개방되어 기능성 물 공급장치로부터 물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유로(130)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편(330)이 도어부(200)의 잠금 상태를 결정하므로, 사용자는 조절편(330)을 이동시켜 유로(130)의 개폐 상태와 도어부(200)의 잠금 상태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중심으로 그 변형물 또는 균등물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120 : 제1, 제2 챔버
130 : 유로
140 : 격벽
200 : 도어부
210 : 뚜껑
220 : 힌지부
230 : 투명부
240 : 걸림부
300 : 유량 조절부
310 : 조절판
320 : 조절구
330 : 조절편
400 : 도어 잠금부
410 : 본체 돌기
420 : 잠금편
430 : 도어 돌기

Claims (16)

  1. 물이 공급되는 관로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기능성 물질을 혼합한 혼합수를 유출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상기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와 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유입수의 일부를 공급받아 상기 혼합수를 상기 제1 챔버로 공급하는 제2 챔버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기능성 물질이 상기 제2 챔버 내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2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제2 챔버로 공급되는 유입수의 유량과 상기 제2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로 공급되는 혼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폐쇄 시, 상기 유입수는 상기 제1 챔버만을 통과하여 유출되고,
    상기 유로 개방 시, 상기 유입수 일부는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제2 챔버를 통과하며 상기 제2 챔버에 공급된 상기 기능성 물질과 혼합된 뒤, 상기 제1 챔버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는, 욕실의 수관 중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샤워 헤드의 손잡이 내부 관로와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의 하류에 살수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살수판은, 상기 제1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살수판은, 상기 제1 챔버를 개폐하도록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챔버를 개폐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제2 챔버 내부를 투시하도록, 적어도 일부를 투명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내부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 폐쇄 시, 상기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일측을 천공하도록 내측면에 돌출된 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외측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본체 돌기; 상기 본체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잠금편; 및 상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돌기에 안착되어 상기 잠금편이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본체 돌기에 고정되는 도어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격벽에 형성되고,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격벽과 밀착된 상태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격벽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가 변경되도록 상기 조절판의 상하를 관통하는 조절구; 및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조절판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조절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의 상기 유로 폐쇄 시,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조절편의 상기 유로 개방 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조절편의 이동 경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도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편은, 상기 도어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에 상기 도어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 돌기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격벽에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복수개의 상기 유로 중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유로의 유입수량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격벽에 유로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1020170103685A 2017-08-16 2017-08-16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10196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85A KR101969961B1 (ko) 2017-08-16 2017-08-16 기능성 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85A KR101969961B1 (ko) 2017-08-16 2017-08-16 기능성 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21A KR20190018921A (ko) 2019-02-26
KR101969961B1 true KR101969961B1 (ko) 2019-04-17

Family

ID=6556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685A KR101969961B1 (ko) 2017-08-16 2017-08-16 기능성 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016B1 (ko) * 2019-03-20 2020-06-26 성종현 샤워기
KR102240012B1 (ko) * 2020-03-20 2021-04-14 이수만 미세버블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샤워기헤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266B1 (ko) * 2010-07-27 2011-11-08 허성열 자석모듈이 구비된 유니버셜 어댑터
JP6033216B2 (ja) * 2010-04-24 2016-11-30 カーマ カルチュア エルエルシー 供給用カプセ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0999B1 (en) * 2014-03-28 2015-02-24 Gudpod Holdings, Llc System for mixing beverages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KR102188651B1 (ko) * 2014-08-25 2020-12-08 코웨이 주식회사 캡슐 펀칭 구조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KR101838268B1 (ko) * 2016-01-21 2018-03-14 조옥남 목욕용재 수납형 샤워헤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3216B2 (ja) * 2010-04-24 2016-11-30 カーマ カルチュア エルエルシー 供給用カプセル
KR101081266B1 (ko) * 2010-07-27 2011-11-08 허성열 자석모듈이 구비된 유니버셜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21A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961B1 (ko) 기능성 물 공급장치
US11649619B2 (en) Faucet device
US9289784B2 (en) Showerhead for generating micro air bubbles
KR20140023539A (ko) 멀티컨테이너를 갖는 화장수 분사장치
KR101737866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KR200488259Y1 (ko) 거품발생 샤워장치
KR20190025272A (ko) 기능성 물 공급장치
JP4162576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980306B1 (ko) 기능성 물 공급장치
JP4287164B2 (ja) ノズル用首振りアダプタおよび該アダプタを備えた加湿器
JP4259989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50138553A (ko) 기능성 캡슐 장착이 가능한 샤워 헤드
JP2004042027A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1259488A (ja) 吐出装置
JP4260943B2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JP4498055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JP4169684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KR20200146035A (ko) 에센스 샤워기
JP4756779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90137336A (ko) 병과 볼의 겸용이 가능한 미용액 혼합용기
JP2001152518A (ja) 温水洗浄装置のノズル掃除装置
KR100296796B1 (ko) 세탁기
KR20200094866A (ko) 에센스 샤워기
JP6715458B2 (ja) 添加液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3305391A (ja) 二剤混合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