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337B1 -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337B1
KR101969337B1 KR1020150024058A KR20150024058A KR101969337B1 KR 101969337 B1 KR101969337 B1 KR 101969337B1 KR 1020150024058 A KR1020150024058 A KR 1020150024058A KR 20150024058 A KR20150024058 A KR 20150024058A KR 101969337 B1 KR101969337 B1 KR 101969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thin film
solvent
substrate
copolymer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766A (ko
Inventor
구세진
최은영
윤성수
김정근
이제권
이미숙
박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2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3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09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organic liquid
    • C08J3/092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량 블록 공중합체(PS-b-PMMA 등)의 수직 배향된 자기 조립 패턴을 대면적에 걸쳐 제작할 수 있는 용매 어닐링 공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00,000 g/mol 이상의 고분자량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 열 처리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종래의 용매 어닐링 챔버 없이도 대면적 스케일로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 조립 구조를 제어할 수 있는 용매 어닐링 공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Solvent annealing process and device of block copolymer thin film}
본 발명은 고분자량 블록 공중합체(PS-b-PMMA 등)의 수직 배향된 자기 조립 패턴을 대면적에 걸쳐 제작할 수 있는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용매 어닐링 챔버를 사용하지 않고 용매를 담은 용기의 내부에서 용매와 블록 공중합체 박막을 마주보게 배치함으로써 대면적의 블록 공중합체 박막에 대해서도 전면에 걸쳐 균일한 팽윤(swelling)을 유도할 수 있으며, 용매와 박막간 거리를 가까이 하여 팽윤 속도를 높임으로써 빠른 어닐링 공정을 통해 수직 배향된 블록 공중합체 자기 조립 구조를 제어할 수 있는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나노 패터닝 기술은 주로 포토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고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공정 개발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 기술은 빛의 파장으로부터 기인하는 분해능의 한계로 인해, 이미 그 기술의 한계에 도달하였다. 이에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 조립 구조 제어 공정이 나노 리소그래피에 대한 새로운 대안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블록 공중합체는 서로 다른 화학적 조성과 구조를 가지는 블록들이 공유 결합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있는 고분자로서, 한 분자 내에 존재하는 다른 특성의 블록들은 상 분리를 일으키려는 특성이 공유 결합으로 상쇄되면서 미세상 분리를 일으키게 됨으로써, 결국 특정 형태(구형, 원기둥형, 층상형 등)의 주기적인 배열을 통해 나노 구조체를 이루게 된다. 이를 통해 고분해능의 미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가 이루는 나노 구조체는 그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의 조절도 가능하며, 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도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노 기술 분야에 적용하는 데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블록 공중합체를 나노 리소그래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어닐링 공정을 통해 자기 조립된 나노 구조체를 제어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어닐링 공정은 열 처리 어닐링 공정 및 용매 어닐링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열 처리 어닐링 공정은 고온의 진공 챔버를 사용하여 블록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열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높은 재현성과 박막 전면에 걸쳐 균일한 나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100,000 g/mol 이상의 고분자량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 23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어닐링을 요구하여 그 공정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용매 어닐링은 열 처리 어닐링 공정에 비해 고분자량의 블록 공중합체의 유동성을 부여하는데 효과적인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용매 어닐링 공정의 경우, 용매 증기압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온도 및 습도 그리고 챔버(용기)의 크기 및 샘플과 용매간 거리에 따라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 조립 구조의 수직 배향성이 크게 달라질 뿐 아니라, 샘플의 크기가 커질수록 샘플 가장자리(edge)에서 필름 디웨팅(dewetting) 현상도 심해져, 대면적 스케일로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 조립 구조를 제어하기에는 그 한계가 있었다.
특히, 폴리스티렌-블록-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S-b-PMMA)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 가장 잘 알려진 블록 공중합체로서, 대부분 진공 챔버에서의 고온에서 장시간 열 처리 공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공정성을 확보하기 힘들고, 100,000 g/mol 이상의 고분자량인 경우 열 처리만으로는 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용매 어닐링 공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PS-b-PMMA의 경우 낮은 플로리 허긴스 파라미터(Flory-Huggins parameter)(x)로 인해 디웨팅이 심하게 발생하여 용매 어닐링 공정성을 확보하기 힘들고, 웨이퍼 스케일의 면적에 걸쳐 자기 조립 구조를 구현한 보고는 아직까지 없었다. 대면적 블록 공중합체 박막에 용매 어닐링으로 자기 조립 구조를 제어하는데 성공한 예는, 최근 하이 엑스(high x) 물질인 폴리스티렌-블록-폴리디메틸실록산(PS-b-PDMS) 블록 공중합체 박막에 폴리머 겔 패드(polymer gel pad)를 사용하여 전체 필름 박막의 균일한 팽윤을 유도한 보고가 유일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분자량 블록 공중합체(PS-b-PMMA 등)의 수직 배향된 자기 조립 패턴을 대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용매 어닐링 공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블록 공중합체 박막을 용매 표면과 마주보게 배치한 후, 용매 어닐링을 통해 수직 배향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스티렌-블록-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50,000 내지 500,000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톤, 클로로포름, 사이클로헥산, 디옥산, 클로로벤젠, 벤젠, 톨루엔, 자일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블록 공중합체 박막과 용매 표면의 거리는 15 ㎝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크기는 12인치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밀폐된 용기 내부에서 용매는 하부에 배치되고, 블록 공중합체 박막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블록 공중합체 박막은 기판에 형성되거나 부착되고, 기판은 용기에 고정, 지지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판은 실리콘 웨이퍼, 유리 기판, 금속 기판, 금속 산화물 기판,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용기의 내부 중 하부에 배치되는 용매; 용기의 내부 중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 및 블록 공중합체 박막 상부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열 처리 어닐링 공정으로 제어하기 힘든 고분자량 블록 공중합체의 수직 배향 자기 조립 구조를 유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용매 어닐링의 한계를 극복하여 대면적에 디웨팅 없이 균일하게 형성된 자기 조립 나노 구조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매 어닐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용매 어닐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디웨팅 현상이 일어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SEM(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SEM(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SEM(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의 AFM(원자력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은 블록 공중합체 박막을 용매 표면과 마주보게 배치한 후, 용매 어닐링을 통해 수직 배향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공중합체로서 사용 가능한 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블록-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S-b-PMM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수평균분자량(Mn)으로서 50,000 내지 5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500,000 g/mol일 수 있다. 분자량은 예를 들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용매로서 사용 가능한 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아세톤, 클로로포름, 사이클로헥산, 디옥산, 클로로벤젠, 벤젠, 톨루엔, 자일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과 용매 표면의 거리는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과 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대면적에 걸쳐 균일한 나노 구조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1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일 수 있다. 거리의 하한치는 예를 들어 0.1 ㎝일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과 용매 표면의 거리는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하면 및 하부에 배치되는 용매 표면(계면)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크기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예를 들어 12인치 이하일 수 있다. 크기의 하한치는 예를 들어 0.1인치일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크기는 두께를 제외한 면의 크기에 대한 것으로, 원의 경우 직경을 의미할 수 있고, 정사각형의 경우 한 변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다른 형상의 경우 평균 직경 또는 평균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 내지 500 nm,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 nm일 수 있다.
밀폐된 용기 내부에서 블록 공중합체 박막 및 용매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하부에 배치되고, 블록 공중합체 박막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은 기판에 형성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기판에 박막을 형성한 후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박막을 제1기판에 형성한 후 제1기판으로 박막을 떼어낸 다음 제2기판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부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기판으로 사용 가능한 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리콘 웨이퍼, 유리 기판, 금속 기판, 금속 산화물 기판 등과 같은 단단한(rigid) 기판뿐만 아니라,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필름 등과 같은 유연 기판에도 적용 가능하다. 기판은 용기에 고정, 지지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용매 어닐링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일 수 있다. 용매 어닐링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0.5 내지 100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매 어닐링 장치의 개략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매 어닐링 장치는 용기(10), 용매(20), 블록 공중합체 박막(30), 기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1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육면체, 원통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1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 또는 본체와 뚜껑 등과 같이 2개 이상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용기(10)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용기(10)는 용매(20), 블록 공중합체 박막(30) 및/또는 기판(40)의 유입과 배출을 위해 개구부를 포함하거나 개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의 상단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용기(10)가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 또는 본체와 뚜껑 등으로 분할되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는 용매(20)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용매 유입구 및 용매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용매(20)는 용기(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기(10)의 내부 중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용매(20)는 일반적으로 액체이므로, 용매(20)의 표면과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이 마주보려면, 용매(20)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20)는 용기(10) 내부에서 가열 및/또는 감압 등에 의해 증발될 수 있고, 증발된 용매(20)의 증기는 도 1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부에 배치된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어닐링이 진행될 수 있다. 용매(20)의 부피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용기(10) 부피의 70%,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일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은 바람직하게는 용기(10)의 내부 중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은 기판(40)에 형성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기판(40)에 코팅하여 기판에 블록 공중합체 박막(3)을 형성한 후,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이 형성된 기판(40)을 그대로 용기(10)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을 제1기판에 형성한 후, 제1기판으로부터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을 떼어낸 다음, 분리된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을 제1기판과 동일하거나 다른 제2기판(40)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부착한 것을 용기(10)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기판(40) 없이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을 용기(10)에 직접 고정하거나 지지하거나 부착할 수도 있다.
기판(40)은 바람직하게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30)과 함께 용기(10)의 내부 중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 상단에 기판(40)이 배치될 수 있고,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은 기판(40)에 형성되거나 부착된 상태에서 기판(40) 바로 밑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40)은 용기(10)에 고정, 지지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40)은 나사 결합이나 용접 등을 통해 용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나사 결합의 경우, 용기(10) 개구부 및 기판(40) 각각은 원형으로 구성되고, 용기(10) 개구부 및 기판(40) 각각에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40)은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을 통해 용기(10)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40)은 걸림 구조 등에 의해 용기(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의 개구부에 기판(4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걸림 턱을 형성함으로써, 기판(40)을 용기(10)에 올려 놓을 때 기판(40)이 용기(10)의 걸림 턱에 걸리면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판(40)은 힌지 결합 등에 의해 용기(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40)은 지지대 및 지지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40) 없이 블록 공중합체 박막(30)을 지지대 및 지지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용매(20)의 증기가 용기(10)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용기(10)의 연결부위 및 용기(10)와 기판(40)의 연결부위에는 밀봉재 등을 이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블록 공중합체(PS-b-PMMA 등) 박막의 균일한 팽윤을 유도하기 위해, 용매 위에 블록 공중합체 박막을 마주보게 배치하고 용매와 박막간 거리를 좁힘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자기 조립 구조를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열 처리로 자기 조립 구조를 제어하기 힘든 고분자량(100,000 g/mol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박막에 적용하여, 디웨팅 없이 수직 배향된 자기 조립 구조를 유도할 수 있는 나노 패터닝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용매 어닐링 장치의 개략도로서, 용기(1), 지지대(2), 용매(3), 기판(4), 블록 공중합체 박막(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2)는 용기(1)의 내부 하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 및 수직 지지대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4)은 지지대(2)의 수평 지지대 위에 올려 놓아 배치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5)은 기판(4)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용매(3)는 용기(1)의 내부 중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장치의 경우, 블록 공중합체 박막(5)은 지지대(2)와 기판(4)에 가려서 용매(3)와 직접 마주보도록 배치되지 않고, 기판(4)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며, 용매(3)와의 거리도 상대적으로 멀다. 따라서, 용매(3)의 증기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용기(1)의 상단부까지 올라간 후 내려오면서 블록 공중합체 박막(5)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공정 윈도우(window)가 좁고 디웨팅 현상이 수반되어 블록 공중합체 박막(5)의 두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 1]
PS46k-b-PMMA21k(PS 46,000 g/mol, PMMA 21,000 g/mol, 실린더 중심간 거리 Lo = 40 nm)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실리콘 웨이퍼에 스핀 코팅하였다. 형성된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두께는 약 45 내지 60 nm 정도이었고, 박막 샘플의 크기는 약 1 ㎝ × 1 ㎝이었다. 도 1과 같은 회분식(batch) 장치를 준비하였고, 용매로는 THF를 사용하였다. 블록 공중합체 박막 샘플을 유리 기판에 붙인 후 용기에 엎어서, 박막과 용매가 마주보도록 배치시켰다. 이때 용매와 블록 공중합체 박막 사이의 거리는 약 1 ㎝ 정도로 조절하였다.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시켜 THF 증기로 인한 용매 어닐링을 통해 수직 배향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한 후, 표면 형상을 SEM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블록 공중합체로서 PS65k-b-PMMA35k(PS 65,000 g/mol, PMMA 35,000 g/mol, 실린더 중심간 거리 Lo = 50 nm)를 사용하고, 박막의 두께를 약 45 내지 140 nm 정도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준하는 방식으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한 후, 표면 형상을 SEM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블록 공중합체로서 PS140k-b-PMMA65k(PS 140,000 g/mol, PMMA 65,000 g/mol, 실린더 중심간 거리 Lo = 85 nm)를 사용하고, 박막의 두께를 약 85 내지 150 nm 정도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준하는 방식으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한 후, 표면 형상을 SEM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블록 공중합체 박막 샘플의 크기가 4인치 웨이퍼 크기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 준하는 방식으로 약 30분간 용매 어닐링하여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한 후, 표면 형상을 SEM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용매와 블록 공중합체 박막 사이의 거리가 약 10 ㎝ 이하가 되도록, 높이가 높은 용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 준하는 방식으로 약 30분간 용매 어닐링하여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한 후, 표면 형상을 SEM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70 mL 부피의 바이엘(vial)에 도 2와 같이 샘플의 크기가 약 1 ㎝ × 1 ㎝인 블록 공중합체 박막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샘플 스테이지가 있는 밀폐 용기(closed vessel)을 준비하였다. PS65k-b-PMMA35k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두께가 약 45 nm이고 샘플의 크기가 약 1 ㎝ × 1 ㎝인 샘플을 스테이지에 올리고, THF 용매를 약 1 mL 이하로 주입한 후, 용기를 닫고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시켜 THF 증기로 인한 용매 어닐링을 통해 수직 배향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한 후, 표면 형상을 AFM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PS140k-b-PMMA65k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박막의 두께를 85 내지 150 nm 정도로 조절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에 준하는 방식으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한 후, 표면 형상을 AFM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용매 어닐링한 블록 공중합체의 나노 패턴의 표면 형상을 SEM과 AFM으로 관찰함으로써, 수직 배향 실린더 자기 조립 구조 형성에 적정한 용매 어닐링 시간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적정 용매 어닐링 시간 이전에는, 수직 배향된 실린더 구조의 헥사고널 오더(hexagonal order)가 낮았고, 수평 배향된 실린더 구조의 결함이 섞여 있는 표면 형상이 관찰되었다. 적정 용매 어닐링 시간 이후에는, 초기 디웨팅으로 인해 블록 공중합체 박막 필름에서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시간이 길어질수록 디웨팅 현상이 심해져 육안으로 관찰 가능할 정도의 디웨팅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용매 어닐링 시간 자기 조립 구조
실시예 1 3분 이내 수직 배향 실린더(도 4)
실시예 2 10분 ~ 20분 수직 배향 실린더(도 5)
실시예 3 10분 ~ 50분 수직 배향 실린더(도 6)
비교예 1 15분 ~ 20분 수직 배향 실린더(도 7)
/ 필름 두께 편차 발생
비교예 2 20분 ~ 25분 수직 배향 실린더(도 7)
/ 필름 두께 편차 발생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PS-b-PMMA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100,000 g/mol 이상으로 높아질수록, 수직 배향된 실린더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용매 어닐링 공정 윈도우가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과 같이, 분자량이 약 200,000 g/mol로 높은 PS-b-PMMA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빠른 속도로 잘 제어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웨팅 없이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 윈도우도 넓어서, 균일하게 잘 제어된 수직 배향 실린더 패턴을 형성하는데도 용이하였다.
실시예 4와 같이, 4인치 웨이퍼 크기의 샘플을 준비하여 박막의 위치에 따른 나노 구조체의 균일도를 확인할 결과 역시, 샘플의 위치에 무관하게 대면적에 걸쳐 도 6과 같이 잘 제어된 수직 배향 실린더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높은 분자량으로 인한 낮은 유동성(mobility)으로 열 처리 공정 적용이 힘들었던 종래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온도나 증기압 조절이 필요한 챔버 없이도 비교적 간단한 설비로 빠른 시간 안에 용매 어닐링을 통해 수직 배향된 실린더 자기 조립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및 2와 같이, 종래의 밀폐 용기를 사용한 용매 어널링 방법의 경우, 수직 배향 실린더 구조를 형성할 수는 있으나, 그 공정 윈도우가 좁고, 부분적인 초기 디웨팅 현상이 동시에 수반되어 박막 필름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이로 인해 자기 조립 패턴 제조 공정의 재현성이 낮아 그 응용성에 한계가 있다.
1, 10: 용기
2: 지지대
3, 20: 용매
4, 40: 기판
5, 30: 블록 공중합체 박막

Claims (10)

  1. 밀폐된 용기; 밀폐 용기의 내부 중 하부에 배치되는 용매; 밀폐 용기의 내부 중 상부에 배치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 및 블록 공중합체 박막 상부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장치를 이용하고,
    블록 공중합체 박막을 용매 표면과 마주보게 배치한 후, 용매 어닐링을 통해 수직 배향된 자기 조립 구조를 형성하며,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스티렌-블록-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블록 공중합체 박막과 용매 표면의 거리는 1 ㎝ 이상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5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톤, 클로로포름, 사이클로헥산, 디옥산, 클로로벤젠, 벤젠, 톨루엔, 자일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크기는 12인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 박막은 기판에 형성되거나 부착되고, 기판은 용기에 고정, 지지 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기판은 실리콘 웨이퍼, 유리 기판, 금속 기판, 금속 산화물 기판,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10. 삭제
KR1020150024058A 2015-02-17 2015-02-17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 KR101969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58A KR101969337B1 (ko) 2015-02-17 2015-02-17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58A KR101969337B1 (ko) 2015-02-17 2015-02-17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66A KR20160101766A (ko) 2016-08-26
KR101969337B1 true KR101969337B1 (ko) 2019-04-17

Family

ID=5688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058A KR101969337B1 (ko) 2015-02-17 2015-02-17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8211B2 (ja) * 2016-11-30 2022-05-3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分子組成物
KR102517991B1 (ko) * 2018-09-28 2023-04-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072B1 (ko) 2007-02-08 2014-01-1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서브 리소그래픽 패터닝을 위해 블록 공중합체 자기 조립을 사용하는 방법
KR101449850B1 (ko) * 2013-05-21 2014-10-13 한국과학기술원 용매 어닐링 방법, 이를 이용한 블록 공중합체 패턴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 패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90B1 (ko) * 2010-01-08 2016-06-16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조립물질을 이용한 그라핀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072B1 (ko) 2007-02-08 2014-01-1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서브 리소그래픽 패터닝을 위해 블록 공중합체 자기 조립을 사용하는 방법
KR101449850B1 (ko) * 2013-05-21 2014-10-13 한국과학기술원 용매 어닐링 방법, 이를 이용한 블록 공중합체 패턴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 패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ulie N. L. Albert 외, ‘Self-assembly of block copolymer thin films’, materialstoday, Vol.13, No.6 (2010) 1부.*
Yang Yang 외, ‘Large [6,6]-phenyl C61 butyric acid methyl (PCBM) hexagonal crystals grown by solvent-vapor annealing’,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145, PP.327-333 (201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66A (ko) 201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ler et al. Fabrication of flexible pressure sensors with microstructured polydimethylsiloxane dielectrics using the breath figures method
US9299381B2 (en) Solvent annealing block copolymers on patterned substrates
US9962733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self-assembled block copolymer films
Alf et al.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conformal, functional, and responsive polymer films
Galeotti et al. Self-functionalizing polymer film surfaces assisted by specific polystyrene end-tagging
Hernández-Guerrero et al. Honeycomb structured polymer films via breath figures
Chau et al. Dependence of the quality of adhesion between poly (dimethylsiloxane) and glass surfaces on the composition of the oxidizing plasma
Wang et al. Deterministic reshaping of breath figure arrays by directional photomanipulation
US2010015139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ano-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 using the method
KR101969337B1 (ko) 블록 공중합체 박막의 용매 어닐링 방법 및 장치
US8829062B1 (en) Stimuli-responsive polymer membra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i et al. Morphology and wettability control of honeycomb porous films of amphiphilic fluorinated pentablock copolymers via breath figure method
Shanmugharaj et al. Modification of rubber surface by UV surface grafting
Voicu et al. Alignment of Lamellar Block Copolymers via Electrohydrodynamic‐Driven Micropatterning
Seguini et al. Enhanced lateral ordering in cylinder forming PS-b-PMMA block copolymers exploiting the entrapped solvent
Hulkkonen et al. Automated solvent vapor annealing with nanometer scale control of film swelling for block copolymer thin films
Kim et al. Degassed micromolding lithography for rapid fabrication of anisotropic hydrogel microparticles with high-resolution and high uniformity
Zhang et al. Formation of breath figure arrays in methanol vapor assisted by surface active agents
Bousquet et al. pH responsive surfaces with nanoscale topography
Tufani et al. Permeability of small molecules through vapor deposited polymer membranes
De León et al. Switchable and pH responsive porous surfaces based on polypeptide-based block copolymers
Wang et al. Fabrication of honeycomb-patterned porous films from PS-b-PNIPAM amphiphilic diblock copolymers synthesized via RITP
Kumar et al. Formation of self-rolled polymer microtubes studied by combinatorial approach
KR20090081532A (ko) 나노 실린더형 템플레이트 및 나노 점 어레이 제조 방법
Muñoz‐Bonilla et al. Engineering polymer surfaces with variable chemistry and top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