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520B1 -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520B1
KR101968520B1 KR1020180042481A KR20180042481A KR101968520B1 KR 101968520 B1 KR101968520 B1 KR 101968520B1 KR 1020180042481 A KR1020180042481 A KR 1020180042481A KR 20180042481 A KR20180042481 A KR 20180042481A KR 101968520 B1 KR101968520 B1 KR 10196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upply
crushing
beans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티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티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티빈스
Priority to KR102018004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30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having perforated container for the ground material; having si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판에 의해 내부 공간이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급로와 분쇄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실로 구분되는 공급 케이스; 상기 공급로의 상단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공급 케이스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공급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실에 구비된 분쇄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 칼날을 수용하는 분쇄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격판은 상기 공급 케이스로 공급되는 원두가 상기 모터실로 유입되지 않고 공급로를 통해서만 상기 분쇄 케이스로 낙하할 수 있도록 공급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모터실을 독립시키며, 상기 공급로는 상기 공급 케이스와 분쇄 케이스의 분리과정 없이도 원두를 상기 분쇄 케이스를 향해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Portable coffee grinder assembly}
본 발명은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두를 분쇄하고 분쇄된 원두 가루를 여과할 수 있는 드립 커피 제조수단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야외활동에서나 실내공간에서 간편하게 드립 커피를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커피를 즐겨 섭취하는 음식 문화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맛볼 수 있는 커피 전문 매장이 늘어나고 있다. 커피 전문 매장에서는 로스팅된 원두를 가공하여 고풍미의 원두커피를 제공하며 이는 일반적인 인스턴트 커피의 맛과 향에서 차별성을 이룬다.
이렇게, 원두커피의 섭취 욕구가 늘어남에 따라 커피 전문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고풍미의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가정용 에스프레소 머신을 구비하거나,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할 수 있는 분쇄장치와 분쇄된 원두가루를 여과시키는 여과장치를 함께 구비하여 커피 전문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고풍미의 원두 커피를 장소의 제약 없이 섭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에스프레소 머신과 분쇄장치는 많은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극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야외활동시 원두커피를 섭취하기 위해선 반드시 커피 전문 매장을 방문하거나 미리 제조된 원두 커피를 보온병에 담아 휴대해야 하는데, 주변에 커피 전문 매장이 존재하지 않으면 원두 커피의 섭취가 불가능해지며, 미리 제조된 원두 커피를 보온병에 담아 휴대할 경우엔 원두 커피의 맛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분쇄장치가 없이도 일반 가정에서 원두를 간편하게 분쇄할 수 있는 핸드 블렌더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236호에 개시된 바와 있다.
그러나, 상기 핸드 블렌더의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두를 원두 장입공간으로 투입시키려면 반드시 분쇄본체(21)와 감속몸체(11)의 분리과정을 통해 원두장입공간을 개방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분쇄본체(21)와 감속몸체(11)는 그 내부로 원두의 분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쇄를 위한 부재들이 설치되고 이러한 부재들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기밀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런데 분쇄본체(21)와 감속몸체(11)의 분리·조립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경우 분쇄본체(21)와 감속몸체(11)의 결합지점에 유격이 발생하여 기밀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분쇄본체(21)와 감속몸체(11)의 분리 과정에서 분쇄된 원두 가루가 주변으로 비산되어 주변을 원두 가루로 오염시키거나, 이와 반대로, 외부의 먼지 등으로부터 회전축(23), 원두장입공간, 제1 및 제2분쇄날(22a,22b) 등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23), 원두장입공간, 제1 및 제2분쇄날(22a, 22b) 등의 부재들은 복잡한 구조로 서로 연계 설치되기 때문에 분쇄본체(21)와 감속몸체(11)의 분리 또는 조립 과정이 번거로울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23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원두를 분쇄하고 분쇄된 원두 가루를 여과할 수 있는 드립 커피 제조수단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야외활동에서나 실내공간에서 간편하게 드립커피를 제조하여 섭취 가능하도록 하는 그라인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두의 충전시 드립 커피 제조수단을 분리할 필요 없이도 원두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분리 과정에서 원두 가루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 서로 연동하는 부재들이 외부요인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청결한 위생관리가 가능한 그라인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격판에 의해 내부 공간이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급로와 분쇄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실로 구분되는 공급 케이스; 상기 공급로의 상단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공급 케이스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공급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실에 구비된 분쇄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 칼날을 수용하는 분쇄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격판은 상기 공급 케이스로 공급되는 원두가 상기 모터실로 유입되지 않고 공급로를 통해서만 상기 분쇄 케이스로 낙하할 수 있도록 공급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모터실을 독립시키며, 상기 공급로는 상기 공급 케이스와 분쇄 케이스의 분리과정 없이도 원두를 상기 분쇄 케이스를 향해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 케이스의 상단과 상기 격판의 상벽 사이에는 단차가 부여되고 상기 격판의 측벽은 상기 공급로가 하방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유연한 호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공급로에 저장된 원두의 하방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쇄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쇄 칼날에 의해 분쇄된 원두 가루가 낙하하여 수납되는 가루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루받침부는, 중공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부로 올려지는 여과지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대가 돌설되며 중심에는 배출공이 관통되는 거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루받침부는, 컵에 상기 가루받침부를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의 내주면과 거름부재의 하면을 연결하는 스포크; 및 상기 바디의 개방된 하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쇄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쇄 칼날에 의해 분쇄된 원두 가루가 낙하하여 수납되는 가루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루받침부는, 제1 공간을 가지는 제1 컵부재; 상기 제1 컵부재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공간을 가지는 제2 컵부재; 및 상기 제1 컵부재의 제1 공간에 설치되고 상부로 올려지는 여과지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대가 돌설되며 중심에는 배출공이 관통되는 거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는 원두를 분쇄하고 분쇄된 원두 가루를 여과할 수 있는 드립 커피 제조수단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야외활동에서나 실내공간에서 간편하게 드립커피를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로 또는 원두낙하공간에 원두가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 공급 케이스와 분쇄 케이스를 분리하여 원두낙하공간에 직접 원두를 충전할 필요 없이 공급로의 상부에서 원두를 부어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샤프트, 분쇄 칼날 등의 복잡한 내부 구조로 이루어진 공급 케이스와 분쇄 케이스를 굳이 분리할 필요 없이 공급로를 통해 분쇄 케이스의 원두낙하공간으로 원두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원두의 충전을 위해 공급 케이스와 분쇄 케이스를 서로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분리 과정에서 원두 가루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 서로 연동하는 부재들이 외부요인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청결한 위생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케이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원두 공급통이 장착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루받침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루받침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5는 종래 핸드 블렌더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케이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원두 공급통이 장착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격판(120)에 의해 내부 공간이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급로(140)와 분쇄 모터(M)가 설치되는 모터실(130)로 구분되는 공급 케이스(100), 상기 공급로(140)의 상단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공급 케이스(1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커버(UC) 및 상기 공급 케이스(1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실(130)에 구비된 분쇄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 칼날(N)을 수용하는 분쇄 케이스(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는 그라인더 조립체의 상부에서 원두를 투입하게 되면 원두가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를 각각 통과하여 분쇄가 이루어지고 분쇄된 원두 가루는 분쇄 케이스(200)의 하부에 저장되거나 가루받침부(300, 400)에 별도 저장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루받침부(300, 400)의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 케이스(100)는 중공 형상의 공급본체(110) 및 상기 공급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본체(110)와 격판(120)은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격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원통 형상의 공급본체(110)를 예시한다. 한편, 공급본체(110)의 형상은 원통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본체(110)에 격판(120)이 설치되면 공급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은 모터실(130)과 공급로(140)로 각각 구획된다.
상기 격판(120)은 상기 공급 케이스(100)로 공급되는 원두가 상기 모터실(130)로 유입되지 않고 공급로(140)를 통해서만 상기 분쇄 케이스(200)로 낙하할 수 있도록 공급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서 모터실(130)을 독립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격판(120)은 상벽(121), 측벽(122), 하벽(123)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본체(110)의 내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격판(120)에 의해 구분되는 모터실(130)은 사방이 상기 상벽(121), 측벽(122), 하벽(123), 공급본체(110)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독립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실(13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쇄 모터(M) 외에 기판, 배터리, 기타 전기적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들이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실(130)에 설치되는 분쇄 모터(M) 및 기타 부재들은 공급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격리 구조를 이루게 된다.
전술한 격판(120)의 상벽(121), 측벽(122), 하벽(123)에 의해 형성되는 모터실(130)의 구조는 분쇄 모터(M), 기판, 배터리 등이 배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공급 케이스(100)의 부피를 최소화시키도록 하여 그라인더 조립체의 휴대성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격판(120)의 상벽(121), 측벽(122), 하벽(123)의 구조적인 특징은 공급 케이스(100)의 상부에서 제공되는 원두가 공급로(140)를 타고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공급로(140)는 원두가 분쇄 케이스(200)를 향해 이송되는 통로로써 원두가 모터실(130)에 수용된 부재들과의 간섭 없이 분쇄 케이스(200)를 향해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의 분리과정 없이도 원두를 상기 분쇄 케이스(200)를 향해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공급로(140)에는 분쇄를 위한 원두가 충전될 수 있으며 분쇄에 의해 공급로(140)에 수용된 원두가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되면 공급로(140)의 상부로 원두를 주입하여 원두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의 분리 없이도 분쇄 케이스(200)의 분쇄 칼날(N)이 위치한 부분으로 원두를 공급하여 원두의 분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공급로(140)에 충전된 원두가 뒤엉켜 공급로(140)의 관로를 막을 경우 원두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커피 가루를 제조할 수 없게 된다. 즉, 공급로(140)에 충전된 원두가 원활하게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급로(140)를 단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격판(120)의 측벽(1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로(140)가 하방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유연한 호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공급로(140)에 저장된 원두의 하방 이동을 유도한다. 분쇄 케이스(200)로의 원활한 원두의 배출을 유도하여 공급로(140)의 관로가 원두의 뒤엉킴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벽(121)은 공급본체(110)의 내주면에서부터 공급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되 공급본체(110)의 상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공급 케이스(100)의 상단과 상기 격판(120)의 상벽(121) 사이에는 단차(G)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공급본체(110)의 상단보다 상벽(121)의 상, 하 높이를 낮게 형성함으로써 공급로(140)의 상측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원두 충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로(140)의 상부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공급본체(110)의 상부를 향해 원두를 공급할 때 원두가 튀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보다 수월하게 원두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판(120)의 하벽(123)에는 상기 분쇄 모터(M)의 샤프트(S)가 통과하는 보스(123a)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S)는 분쇄 모터(M)와 분쇄 칼날(N)을 상호 축결합시켜 분쇄 모터(M)의 구동력을 분쇄 칼날(N)에 인가한다.
그리고, 공급본체(110)의 외측으로는 제어버튼(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버튼(111)은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며 조작하게 되는 방식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버튼(111)은 분쇄 모터(M)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 시간 등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분쇄 모터(M)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커버(UC)는 공급 케이스(100)의 상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하여 공급본체(110)의 상단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때, 도 4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UC)의 용이한 탈착을 위하여 상부 커버(UC)와 공급 케이스(100)는 서로 억지 끼워 맞춤 방식의 결합 방식이 채용되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는 원통 형상의 공급 케이스(100)를 예시한다. 그러나, 모터실(130)의 격리 구조를 가지면서 공급로(140)를 형성할 수만 있다면 공급 케이스(100)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으로 표현되어도 무관함을 밝힌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케이스(100)의 상부로 원두 공급통(H)이 설치될 수 있다. 원두 공급통(H)에는 충분한 양의 원두가 수납되어 있으며 원두 공급통(H)이 설치될 경우 상부 커버(UC)는 공급 케이스(100)의 상부에서 제거된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원두 공급통(H)이 공급 케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는 상부 커버(UC)가 공급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서로 연통하는 복수의 원두 공급통(H)이 다단 적층된 상태에서 공급 케이스(110)의 상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원두 공급통(H)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원두를 수시로 공급해주지 않아도 충분한 양의 원두 가루를 생산해낼 수 있다.
원두 공급통(H)은 그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케이스(100)의 외주면과 동일한 외주면을 갖는 외부 케이스(H1), 상기 외부 케이스(H1)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H2), 상기 배출구(H2)와 외부 케이스(H1)를 연결하며 외부 케이스(H1)의 하부면을 형성하며 외부 케이스(H1)로부터 배출구(H2)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H3) 및 상기 외부 케이스(H1)의 하부에서 연장되되, 외주면은 공급 케이스(100)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공급 케이스(100)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H4)가 형성되는 결합부(H5)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쇄 케이스(200)는 중공 형상의 분쇄본체(210), 상기 분쇄본체(21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되 원두낙하공간(260)이 형성되도록 중심이 하방을 향해 함몰되고 중심이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된 볼(220), 상기 볼(22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샤프트(S)의 외주면을 감싸는 부싱(230), 상기 부싱(230)과 볼(220)의 상면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브라켓(240) 및 상기 볼(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쇄 칼날(N)을 수용하는 칼날 하우징(25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케이스(100)에서 원두가 낙하하면 원두낙하공간(260)에 저장된다. 그리고 분쇄 모터(M)가 분쇄 칼날(N)을 회전시키게 되면 원두낙하공간(260)에 저장된 원두가 칼날 하우징(250) 측으로 공급되면서 분쇄 칼날(N)과 칼날 하우징(250)의 내주면 사이에서 으깨져 분쇄된다.
한편, 분쇄 케이스(200)에는 탈착 가능한 하부 커버(BC)가 장착될 수 있다. 하부 커버(BC)는 분쇄 케이스(200)의 개방된 하면을 개폐하는 작용을 담당할 수 있다.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는 내부 공간의 기밀성 향상을 위해 최소한 서로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분리·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분쇄본체(210)의 상단과 공급본체(110)의 하단에는 각각 서로 치합되는 나사산(B)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를 이용해 원두를 분쇄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먼저, 공급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방하여 공급로(140)를 향해 원두를 공급한다. 공급되는 원두는 공급로(140)를 타고 이송하여 분쇄 케이스(200)의 원두낙하공간(260)으로 낙하한다.
원두의 분쇄를 위해 제어버튼(111)을 조작하여 분쇄 모터(M)를 구동시키고 분쇄 모터(M)와 연동하는 분쇄 칼날(N)로 원두를 분쇄한다. 이때, 분쇄 모터(M)의 구동시간은 기설정된 시간 동안만 구동되고 자동으로 구동이 종료되는 분쇄 모터(M)를 예로 든다. 즉, 분쇄 모터(M)가 기설정 된 시간 동안 구동되면 1인분의 원두 가루를 제조할 수 있으며 분쇄 모터(M)의 구동 종료 후 제어버튼(111)을 반복 조작하면 반복 조작한 횟수만큼의 원두 가루를 인분 별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모터실(130)에 설치되는 분쇄 모터(M), 기판, 배터리 등의 전기구동을 위한 부재들은 비산되는 원두 가루로부터 안전하게 이격될 수 있다.
원두낙하공간(260)에 원두가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 핸드 블렌더(등록특허공보 제10-1692236호)와 같이 파워본체(10)와 분쇄유닛(20)을 서로 분리하여 원두장입공간으로 원두를 충전할 필요 없이 공급로(140)의 상부로 원두를 부어 원두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원두의 충전을 위해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를 서로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분리 과정에서 원두 가루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 서로 연동하는 부재들이 외부요인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청결한 위생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샤프트(S), 분쇄 칼날(N) 등의 복잡한 내부 구조로 이루어진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를 굳이 분리할 필요 없이 공급로(140)를 통해 분쇄 케이스(200)의 원두낙하공간(260)으로 원두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다른 실시에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루받침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루받침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한편, 본 실시에에서는 앞서 기술한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것 외 가루받침부(3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차이점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 커버(UC), 공급 케이스(100), 분쇄 케이스(200) 및 가루받침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에 의해 분쇄된 원두 가루는 최종적으로 가루받침부(300)에 수납될 수 있으며 원두 가루가 수납된 가루받침부(300)는 별도 구비된 컵에 올려지고 그 위에 온수를 부으면 그 즉시 드립 커피를 컵에 내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가루받침부(300)는 상기 분쇄 케이스(2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쇄 칼날(N)에 의해 분쇄된 원두 가루가 낙하하여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례로, 중공 형상의 바디(310) 및 상기 바디(3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부로 올려지는 여과지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대(321)가 돌설되며 중심에는 배출공(322)이 관통되는 거름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310)의 상단에는 분쇄 케이스(200)와 나사결합 방식으로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름부재(320)는 깔대기 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바디(31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거름부재(320)의 상부로는 원추형의 여과지가 올려질 수 있고 여과지는 적정 사용횟수를 고려하여 새것으로 교체사용할 수 있다.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에 의해 분쇄된 원두 가루는 거름부재(320)에 올려진 여과지에 적층되며 원두 가루가 적층된 여과지에 온수를 부을 경우 온수가 원두 가루를 통과하면서 원두 가루는 여과지에 의해 걸러짐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배출공(322)을 통해 드립 커피가 배출된다.
이때, 간격유지대(321)는 여과지가 거름부재(320)의 상면에 늘러 붙는 것을 방지하고 온수의 배수 작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편의를 위해 원두 가루가 적층된 상태에서의 가루받침부(300)를 별도 구비된 컵에 올려놓고 가루받침부(300)를 향해 온수를 부어 컵에 드립 커피를 바로 내려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루받침부(300)는 컵에 상기 가루받침부(300)를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310)의 내주면과 거름부재(320)의 하면을 연결하는 스포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막대부재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스포크(330)를 예시한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 케이스(200)에서 분리된 가루받침부(300)를 별도 구비된 컵의 상부에 거치시킬 수 있으며 컵의 상부에 거치된 가루받침부(300)를 향해 온수를 부으면 컵에 드립 커피를 내릴 수 있다. 이때, 거름부재(320)의 중심부분은 컵의 내부 공간으로 일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루받침부(300)를 컵에 거치해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바디(310)의 개방된 하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바디(310)의 하부에는 하부 커버(BC)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에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그라인더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한편, 본 실시에에서는 앞서 기술한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것 외 가루받침부(4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차이점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조립체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 커버(UC), 공급 케이스(100), 분쇄 케이스(200) 및 가루받침부(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공급 케이스(100)와 분쇄 케이스(200)에 의해 분쇄된 원두 가루는 최종적으로 가루받침부(400)에 수납될 수 있으며 원두 가루가 수납된 가루받침부(400)를 향해 온수를 부어 드립 커피를 가루받침부(400)를 향해 내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가루받침부(400)는 상기 분쇄 케이스(2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쇄 칼날(N)에 의해 분쇄된 원두 가루가 낙하하여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례로, 원통 형상의 상부거치부(411), 상기 상부거치부(411)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거치부(4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수용부(412), 상기 상부거치부(411)와 하부수용부(412)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내부면에는 내부단턱(413)이 형성되고, 외부면에는 외부단턱(414)이 형성되는 연결부(415)를 포함하며 제1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컵부재(410), 제2 공간을 가지며 외경은 상부거치부(411)의 외경과 동일하고, 내경은 하부수용부(412)의 외경과 동일하여 하부수용부(412)의 외측으로 결합될 경우에 상기 외부단턱(414)에 밀착되어 상부거치부(411)와 단차가 없이 결합되는 제2 컵부재(420) 및 상기 제1 컵부재(410)의 제1 공간에 설치되되 내부단턱(413)에 안착되는 거름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름부재(430)의 중심에는 배출공(431)이 관통되며 상기 배출공(431)은 제1 컵부재(410)의 내부단턱(413)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컵부재(410)는 분쇄 케이스(200)의 하부를 향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컵부재(420)는 제1 컵부재(410)의 외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1 컵부재(410)와 제2 컵부재(420)의 제1 공간과 제2 공간은 각각의 내부 공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거름부재(4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거름부재(320)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분쇄 케이스(200)에 가루받침부(400)가 장착이 되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쇄된 원두 가루는 거름부재(430)의 상부에 올려지는 여과지에 적층된다. 원두 가루가 구비된 가루받침부(400)를 분쇄 케이스(200)에서 분리하고 그 위로 온수를 부어 제1 컵부재(410)의 제1 공간에 드립 커피가 내려지게 하는 방법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 케이스(200)에서 가루받침부(400)를 분리한 후 이어서, 제2 컵부재(420)를 제1 컵부재(410)에서 분리한다. 그 후, 제2 컵부재(420)의 제2 공간에 온수를 받아온 다음 제2 컵부재(420)에 받아진 온수를 제1 컵부재(410)에 설치된 거름부재(430)를 향해 부어 제1 컵부재(410)의 제1 공간에 드립 커피가 내려지는 방법으로 가루받침부(400)가 이용될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공급 케이스 200: 분쇄 케이스 300, 400: 가루받침부
110: 공급본체 120: 격판 130: 모터실
140: 공급로 210: 분쇄본체 220: 볼
230: 부싱 240: 브라켓 250: 칼날 하우징
260: 원두낙하공간 121: 상벽 122: 측벽
133: 하벽

Claims (5)

  1. 격판에 의해 내부 공간이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급로와 분쇄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실로 구분되는 공급 케이스;
    상기 공급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실에 구비된 분쇄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 칼날을 수용하는 분쇄 케이스;
    상기 분쇄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쇄 칼날에 의해 분쇄된 원두 가루가 낙하되어 수납되는 가루받침부; 및
    원두가 수납되며 상기 공급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두를 공급하는 원두 공급통;을 포함하며,
    상기 격판은 상기 공급 케이스로 공급되는 원두가 상기 모터실로 유입되지 않고 공급로를 통해서만 상기 분쇄 케이스로 낙하할 수 있도록 공급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모터실을 독립시키며,
    상기 공급로는 상기 공급 케이스와 분쇄 케이스의 분리과정 없이도 원두를 상기 분쇄 케이스를 향해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격판은 상벽, 측벽, 하벽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상벽은 공급본체의 내주면에서부터 공급본체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되 공급본체의 상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급 케이스의 상단과 상기 격판의 상벽 사이에 단차가 부여되고 상기 격판의 측벽은 상기 공급로가 하방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유연한 호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공급로에 저장된 원두의 하방 이동을 유도하며,
    상기 원두 공급통은,
    상기 공급 케이스의 외주면과 동일한 외주면을 갖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와 외부 케이스를 연결하며 외부 케이스의 하부면을 형성하며 외부 케이스로부터 배출구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에서 연장되되, 외주면은 공급 케이스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공급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루받침부는,
    원통 형상의 상부거치부,
    상기 상부거치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거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수용부,
    상기 상부거치부와 하부수용부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내부면에는 내부단턱이 형성되고, 외부면에는 외부단턱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1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컵부재;
    제2 공간을 가지며 외경은 상부거치부의 외경과 동일하고, 내경은 하부수용부의 외경과 동일하여 하부수용부의 외측으로 결합될 경우에 상기 외부단턱에 밀착되어 상부거치부와 단차가 없이 결합되는 제2 컵부재; 및
    상기 제1 컵부재의 제1 공간에 설치되되 내부단턱에 안착되는 거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부재의 중심에는 배출공이 관통되며 상기 배출공은 제1 컵부재의 내부단턱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42481A 2018-04-12 2018-04-12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KR10196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81A KR101968520B1 (ko) 2018-04-12 2018-04-12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81A KR101968520B1 (ko) 2018-04-12 2018-04-12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520B1 true KR101968520B1 (ko) 2019-04-15

Family

ID=6610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481A KR101968520B1 (ko) 2018-04-12 2018-04-12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47B1 (ko) 2021-04-16 2021-06-16 정수빈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EP4218512A1 (en) * 2022-01-27 2023-08-02 Ningbo Chefshere Kitchen Technology Co., Ltd Small grind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081A (ja) * 1994-08-15 1996-02-27 Shoei:Kk コーヒー粉の分離装置
KR19990085571A (ko) * 1998-05-13 1999-12-06 박명진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0280326Y1 (ko) * 2002-03-25 2002-07-02 (주)아마레또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WO2012120363A2 (en) * 2011-03-07 2012-09-13 Cerreti Gianfranco Portable coffee mill-doser for moka coffee makers or coffee machines or similar
KR20140079584A (ko) * 2012-12-17 2014-06-27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KR101692236B1 (ko) 2015-06-29 2017-01-03 이진수 핸드 블렌더
KR20170129418A (ko) * 2016-05-17 2017-11-27 김영래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081A (ja) * 1994-08-15 1996-02-27 Shoei:Kk コーヒー粉の分離装置
KR19990085571A (ko) * 1998-05-13 1999-12-06 박명진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0280326Y1 (ko) * 2002-03-25 2002-07-02 (주)아마레또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WO2012120363A2 (en) * 2011-03-07 2012-09-13 Cerreti Gianfranco Portable coffee mill-doser for moka coffee makers or coffee machines or similar
KR20140079584A (ko) * 2012-12-17 2014-06-27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KR101692236B1 (ko) 2015-06-29 2017-01-03 이진수 핸드 블렌더
KR20170129418A (ko) * 2016-05-17 2017-11-27 김영래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47B1 (ko) 2021-04-16 2021-06-16 정수빈 수동식 커피원두 분쇄기
EP4218512A1 (en) * 2022-01-27 2023-08-02 Ningbo Chefshere Kitchen Technology Co., Ltd Small grin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377B2 (en)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method for brewing coffee,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 material
JP6321727B2 (ja) コーヒー飲料システム、コーヒー抽出装置、コーヒー豆包装カートリッジおよびコーヒー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RU2555800C2 (ru) Кофемашина эспрессо с управлением дозировкой с помощью мельницы
CN100475110C (zh) 结合多个饮料收集腔的饮料机
KR101488882B1 (ko)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US20050017107A1 (en) Coffee grinder with coffee bean container
JP2016064145A (ja)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9645850B (zh) 电动运行的厨用机器
KR101968520B1 (ko)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JP2012510335A (ja) コーヒー豆を定量供給するシステム、パッケージ、機器及び方法
US11529013B2 (en) Coffee grinder apparatus
KR101011692B1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JP2007520264A (ja) 自動供給装置
CN107049034B (zh) 一种磨豆滴落咖啡机
KR200493831Y1 (ko) 드립퍼 장착이 가능한 핸드밀
KR101544308B1 (ko) 캐니스터 그라인더
KR200473090Y1 (ko) 커피 원두 분쇄기용 덮개
JP6376909B2 (ja) 撹拌ユニットおよび飲料製造装置
KR20060108043A (ko) 멀티 푸드메이커
KR101584181B1 (ko)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KR101414274B1 (ko)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KR100675750B1 (ko) 분쇄공정 및 커피제조공정 수행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KR200474091Y1 (ko) 커피 원두 분쇄 장치
JP3135377U (ja) コーヒーミル
KR20180076600A (ko) 자동판매기용 원두 콩 캐니스터의 탈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