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438B1 - 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 - Google Patents

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438B1
KR101966438B1 KR1020180088771A KR20180088771A KR101966438B1 KR 101966438 B1 KR101966438 B1 KR 101966438B1 KR 1020180088771 A KR1020180088771 A KR 1020180088771A KR 20180088771 A KR20180088771 A KR 20180088771A KR 101966438 B1 KR101966438 B1 KR 10196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
pet
air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경호
유시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베크
(주)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베크, (주)씨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베크
Priority to KR102018008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4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type pet healthcare device with an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ssembly-type pet healthcare device with the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system, in which a space where a pet can be accommodated is easily assembled by mutually coupling grooves and protrusions formed on a front plate, a rear plate, left and right plates, and a bottom plate, and also the bottom plate and the rear plate of the space in which the pet is accommodated are provided with a healthcare device, which is a system that can purify, antibacterialize, and sterilize air in an accommodation portion, thereby providing a pleasant accommodation space for the pet.

Description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et health care device equipped with a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본 발명은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et health care apparatus equipped with a bacteria elimin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정면판, 후면판, 좌우측판 및 바닥판에 형성된 각 판의 홈에 이웃하는 다른 판을 서로 결합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수용될 공간의 바닥판 및 후면판에 수용부의 공기를 정화, 제균 및 살균할 수 있는 시스템인 헬스케어디바이스를 구비하여 애완동물에게 쾌적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A space in which the pet can be accommodated can be easily assembled by being joined to the front plate, the rear plate,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nd the other plates adjacent to the grooves of the plates formed on the bottom plate so that anyone can easily assemble, And a sanitizing and sterilizing system for providing a comfortable accommodation space for a pet by providing a healthcare device which is a system that can purify, sterilize, and sterilize the air in the receptacle on the back plate.

최근, 생활의 질이 향상됨과 더불어 개와 고양이 등과 같은 각종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정에서 키워지는 애완동물은 주거문화가 아파트, 연립, 오피스텔 등과 같이 별도로 마당이 없어 집안에 애완동물의 집을 만들어 실내에서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mproved, and households such as dogs and cats have been increasingly home. In this case, the pet that is raised in such a home is not a house, such as an apartment, a coalition building or an office building,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to live together indoors by building animals.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용 집은 주로 천, 목재 및 합성수지재로 지은 집으로서, 울타리 형이나 바구니 형태로 지은 집이 대부분이다.The above-mentioned pet houses are mainly houses made of cloth, wood and synthetic resin, and most of them are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fence or a baske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용 집은 집 자체가 견고한 장점이 있긴 하지만 대개 중량이 비교적 무겁고 분해할 수 없다. 또한, 애완동물용 집은 제작방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취급 및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pet house is relatively heavy in weight and can not be disassembled, although the house itself has a solid advantage. In addition, the pet house has a complicated manufacturing method, consumes a large amount of cost, and can not be easily handled, transported, and stored.

관련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4248호(2017.04.25.)에 조립식 애완동물집이 기재되어 있다.As a related art, a prefabricated pet house is disclosed in the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44248 (Apr. 25, 2017).

상기 기술은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 배치한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과 결합하는 바닥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좌우측면에 결합하는 두개를 구성하여 애완동물집의 벽면을 구성하는 측면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상측면에 결합하는 두개의 지붕판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애완동물집이다. The technique includes a front plate; A rear plat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A bottom plate coupled to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Side plates constituting wall surfaces of pet houses constituting two front and rear side plates; And two roof plate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그러나 집안에서 사용되는 애완동물 수용공간이 바닥판과 지면이 맞닿아 집안 온도에 따라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공간의 온도가 변화하고, 애완동물 수용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아 애완동물 수용부를 조립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 및 배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공기순환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애완동물 수용부의 내부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et accommodation space used in the house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e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ouse, and the handle is not formed in the pet accommodation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move and arrange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nside the pet accommodating portion is contaminated because the filter for purifying air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pet and the air circulating device are not provided.

제10-2017-0044248호(2017.04.25.)10-2017-0044248 (April 25,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에서 키우는 애완동물의 집을 만들 때, 볼트와 너트가 필요없이 각각의 판에 형성되는 홈에 이웃하는 다른 판을 서로 결합하여 애완동물 집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t house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by joining other plates adjacent to the groove formed in each plate to each other without requiring a bolt and a nut,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용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순환시키는 헬스케어디바이스가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로 인해 오염된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health care device for purifying and circulating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keep the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pet is accommodated in a pleasant state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to remove various fine dusts And a bacteria elimin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ffectively removing dead follicles from the house dust mite fungus spores and molting period.

또한, 조립된 펫 헬스케어 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pet healthcare apparatus having a sterilizing and disinfection system in which a handl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assembled pet healthcare apparatus to a position desired by a user.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저면 및 좌우측에 헬스케어디바이스에서 정화, 제균 및 살균된 공기를 수용부 공간으로 유도하는 공기유로 및 수용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이중각도로 형성하여, 이중 모로 되어 있는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털 사이로 바람이 깊이 침투되도록 하여 수분과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air flow path for guiding purified air, sterilized air, and sterilized air from the healthcare device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re formed at the bottom and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et health car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efabricated pet health care device provided with a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for effectively removing moisture and fine dust by allowing the wet hairs of the pet to be easily dried,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은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의 전면에 애완동물이 출입하는 정면 관통구(21)가 형성되는 정면판(20)과, 상기 정면판(20)과 대응되는 수용부(S)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30)과, 상기 정면판(20) 및 후면판(30) 사이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과, 상기 수용부(S) 하측에 지면과 이격되는 바닥판(50) 및 상기 바닥판(50)과 대응되는 상부에 형성되는 천정판(60)이 상호 조립에 의해 수용부(S)가 형성되는 펫 헬스케어 장치에 있어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theter having a front plate (20) having a front opening (21) through which a pet enters and exits, A rear plate 30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S corresponding to the plate 20 and side plates 40 formed on both sides between the front plate 20 and the rear plate 30, A bottom plate 50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plate S and a ceiling plate 60 formed on the top of the top plate 5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late 50, In this case,

상기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는 상기 수용부(S)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제균 및 살균한 후 수용부(S)로 배출하는 헬스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고,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에는 상기 수용부(S)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제균 및 살균한 후 수용부(S)로 배출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 상에는 동코팅핀히터(180, 180`)가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다.The prefabricated pets healthcare device is provided with a healthcare device 10 for sucking air from the receptacle S and purifying, sterilizing and sterilizing the air, and discharging the sterilized air to the receptacle S, An air flow path is formed in which the air in the receiving part S is sucked and cleaned, sterilized and steriliz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art S, and the coin fin heaters 180 and 180 ' A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is provided.

또한,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상기 후면판에 구비되는 흡입부(300), 상기 바닥판(5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디바이스(100), 상기 수용부(S)의 바닥판(50)의 상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배출부(200)로 구성된다.The healthcare device 10 includes a suction unit 300 provided on the back plate, a lower device 10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50, a bottom plate And a discharge unit 200 provid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charge chamber.

상기 흡입부(300)는, 항균소재로 사출되며, 애완동물의 털과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P)와, 미세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하고 제균 및 살균하는 살균 헤파필터(H)와, 살균 기능을 하는 UV-C LED램프(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uction unit 300 includes a filter P that is injected with an antibacterial material and collects hairs and dust of a pet, a sterile HEPA filter H that collects and sterilizes micro dust and fungus spores and bacteria, And a UV-C LED lamp (R)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또한, 상기 배출부(200)에는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5° 및 13°의 이중 경사각도로 이루어진다.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are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200 and 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are formed at 5 ° and 13 °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에는 팬(160)과, 제1가이드(170) 및 제2가이드(1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팬(160)의 상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팬(160)의 팬 배출부(161)로 배출될 때, 상기 공기유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The lower device 100 includes a fan 160 and a first guide 170 and a second guide 171. Between 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And the air suck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160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an outlet 161 of the fan 160. [

또한,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는 팬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2개가 형성되고, 상기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상기 팬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형성된 공기유로 상에 구비된다.In addition, two air flow paths formed between 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an, and the copper coating pin heaters 180 and 180 ' And is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formed on both sides.

또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팬(16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람이 형성되고, 팬에 의해 형성된 회전바람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수용부로 배출될 때 배출부에 구비된 제1배출홀(220) 및 제2배출홀(230)에 의해 회전바람이 가속되어 수용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rotating wind rotating in one direction is formed by a fan 160 provided inside the lower device 100, and the rotating wind formed by the fan is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discharging portion, So that the rotating wind is accelerated by 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to be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정면판(20)은, 정면 관통구(21)를 중심으로 양측 하부에 돌출된 정면 다리부(22)와, 상기 정면 다리부(22)와 대응되는 정면 관통구(21) 상부에 정면 손잡이홈(27a)이 형성되는 정면 손잡이부(27)와, 정면 다리부(22)와 정면 손잡이부(27) 사이 양측에 정면 손잡이부(27)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정면 외측부(24)와, 정면 외측부(24) 상측이 정면 관통구(2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 절곡부(26)를 포함하되, 상기 양측 정면 절곡부(26) 일단에 각각 정면 다리부(22) 방향으로 측면 결합홈(28)이 형성되고,The front plate 20 includes a front leg 2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through hole 21 and a front through hole 21 corresponding to the front leg 22, A front grip portion 27 on which a front gripping groove 27a is formed and a front outer side portion 24 which is narrowed toward the front grip portion 27 on both sides between the front leg portion 22 and the front grip portion 27 And a front bending portion 26 whos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portion 24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through hole 21. The front side bending portion 26 is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a side connecting groove 22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leg portion 22, (28) is formed,

상기 어느 하나의 정면 절곡부(26)에서 정면 손잡이부(27) 측으로 천정 결합홈(29)이 형성되며, 상기 정면 관통구(21)와 정면 연장부(23) 사이의 정면 외측부(24)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바닥 결합홈(25)이 형성된다.A ceiling coupling groove 29 is formed in the front bending portion 26 on the side of the front handle 27 and a front side outer portion 24 between the front through hole 21 and the front extension 23 A bottom coupling groove 25 is form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또한, 상기 상기 후면판(30)은, 중심에 흡입부(300)의 관통홈커버(312)가 결합되는 후면 관통구(3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관통구(31) 양측 하부에는 후면 다리부(32)가 형성되고, 후면 다리부(32)에는 하부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후측면 결합부(38)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된 방향의 후면판의 외측단부 중 일측에는 단부에서 후면 손잡이부(36) 방향으로 천정판 고정홈(37)이 형성된다.The rear plate 30 is formed with a rear through-hole 31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cover 312 of the suction unit 300 is coupled. The rear through- And the rear leg portion 32 is formed with a side engagement portion 38 inclined upward from the lower end portion and a rear handle portion 36 capable of being held by the user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ceiling plate fixing groove 37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end of the rear pl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handle 36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andle 36 from the end.

또한, 상기 측면판(40)은, 상부에 평면부(47)가 형성되고, 평면부(47)의 후면 일측에는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가 결합되는 후면 수직결합홈(48)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1 및 제2 측면 다리부(41, 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 다리부(42)의 일측에는 정면판(20)의 측면 결합홈(28)에 결합되는 정면 경사결합홈(49)이 형성되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40)에만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된다.The side surface plate 40 is formed with a flat surface portion 47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rear vertical coupling recessed portion 42 at a rear surface side of the flat surface portion 47, And the side surface engaging groove 28 of the front plate 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ide leg portion 42. The first and second side leg portions 41 and 42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plate 20, And a side control through hole 44 is formed in only one of the side plates 40 of the side plates 40 formed on both sides.

또한, 상기 바닥판(50)은, 전면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측의 단부에는 정면판(20)의 바닥 결합홈(25)이 결합되는 정면 결합홈(54)이 형성되고, 후면의 양측 단부에는 후면판(30)의 후면 연장부(33)의 굴곡진 단부에 후면 결합홈(56)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디바이스(100)가 구비되고, 양측면의 내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측면홈(57)의 상부에는 배출부(200)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바닥판(50)의 바닥 단턱부(55)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단턱부(55)에는 흡입부(300)가 구비된다.The bottom plate 50 is formed with a front engaging groove 54 to which the bottom engaging groove 25 of the front plate 20 is coupled at one end of both side ends of the front face, A rear connection groove 56 is formed at a bent end of the rear extension portion 33 of the rear plate 30 and a lower device 10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bottom side groove And a bottom stepped portion 55 of the bottom plate 5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bottom side groove 57. The bottom stepped portion 5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groove 57, A suction unit 300 is provided.

또한, 상기 천정판(60)에는, 중앙에 수용부(S)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환기케이스(65)가 구비되는 환기 케이스 홈(66)이 형성된다.The ceiling plate 60 is formed with a ventilation case groove 66 provided with a ventilation case 65 for discharging contaminated air inside the receptacle S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환기 케이스(65)의 내부에는, 수용부(S)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필터(P)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lter P is installed inside the ventilation case 65 so as to purify contaminated air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S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천정판(60)은, 전면부에 손잡이부(27) 및 도어(70)의 손잡이부(74)가 결합되는 정면 고정홈(61)이 형성되고, 후면부에 후면판(30)의 손잡이부(36)가 결합되는 후면 고정홈(62)이 형성된다.The top plate 60 is formed with a front fixing groove 61 to which the handle 27 and the handle 74 of the door 70 are coupled and a rear plate 30 A rear fixing groove 62 to which the handle portion 36 is coupled is formed.

또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는, 하부디바이스(100)의 내측에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과 관통하여 배출부(200)의 관통구(240)와 결합되는 측면 배출구(142)가 양측에 형성된다.The lower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side discharge port (not shown)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40 of the discharge unit 200 through the bottom side groove 57 of the bottom plate 50, 142 are formed on both sides.

본 발명의 효과는 가정에서 키우는 애완동물의 집을 만들 때, 볼트와 너트가 필요없이 각각의 판에 형성되는 홈에 이웃하는 다른 판을 서로 결합하여 애완동물 집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not only bolts and nuts are necessary but also other pet plates adjacent to the grooves formed in the respective plates are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a pet house,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용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순환시키는 헬스케어디바이스가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로 인해 오염된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A health care device for purifying and circulating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keep the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pet is accommodated in a pleasant state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to remove various fine dusts , House dust mite fungus spores and dead hair during molting season.

또한, 조립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립된 펫 헬스케어를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ed pet health care device, it is easy to move the pet health care assembled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user.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저면 및 좌우측에 헬스케어디바이스에서 정화, 제균 및 살균된 공기를 수용부 공간으로 유도하는 공기유로 및 수용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이중각도로 형성하여, 이중 모로 되어 있는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털 사이로 바람이 깊이 침투되도록 하여 수분과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n air flow path for guiding purified air, sterilized air, and sterilized air from the healthcare device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re formed at the bottom and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et health care device, The wet hairs of the pet can be easily dried and the moisture penetrates deeply between the hairs to remove water and fine dust.

또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하부에 헬스케어디바이스가 구비되어 수용부에 오염된 공기를 5단계 케어를 통해 수용부 공간을 쾌적한 상태를 갖도록 공기를 순환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health care device is provided under the receptacle where the pet is accommodated, thereby circulating the air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in the receptacle is kept in a comfortable state through the five-step ca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디바이스가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에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A는 정면판의 평면도이고, B는 후면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C는 측면판의 평면도이고, D는 바닥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E는 천정판의 평면도이고, F는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부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health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orporated inside a pet health care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t healthcare apparatus to which a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front plate and B is a plan view of the rear plate according to the pet healthca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side plate and D is a plan view of a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the ceil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 is a plan view of the door.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lth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ir is circulated in the health 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of the health 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은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의 전면에 애완동물이 출입하는 정면 관통구(21)가 형성되는 정면판(20)과, 상기 정면판(20)과 대응되는 수용부(S)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30)과, 상기 정면판(20) 및 후면판(30) 사이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과, 상기 수용부(S) 하측에 지면과 이격되는 바닥판(50) 및 상기 바닥판(50)과 대응되는 상부에 형성되는 천정판(60)이 상호 조립에 의해 수용부(S)가 형성되는 펫 헬스케어 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ets health care apparatus provided with a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ets health care apparatus comprising a front face A rear plate 30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S corresponding to the front plate 20 and a side plate 30 formed on both sides between the front plate 20 and the rear plate 30, A bottom plate 50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elow the receiving portion S and a ceiling plate 60 formed on an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late 5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by receiving portions S A pet care apparatus comprising: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에는 수용부(S)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제균 및 살균한 후 수용부(S)로 배출하는 헬스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sanitizing and steriliz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t care apparatus includes a health care device (10) for sucking air in the receptacle (S), purifying, sterilizing and sterilizing the 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et health care device.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디바이스가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에 결합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lth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pet health care apparatus,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t health care apparatus to which a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S)가 형성되는 펫 헬스케어 장치(1)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et care apparatus 1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S for receiving a pet.

상기 수용부(S)는, 수용부(S)의 전방(20)에 형성되는 정면판(20)과, 정면판(20)과 대응되는 후면판(30)과, 정면판(20)과 후면판(30) 사이 양측의 측면판(40)과, 수용부(S) 하측의 바닥판(50)과, 바닥판(50)과 대응되는 상부에 천정판(60)를 포함하는 펫 헬스케어 장치(1)이다.The receptacle S includes a front plate 20 formed at the front 20 of the receptacle S, a rear plate 30 corresponding to the front plate 20, a front plate 20, A bottom plate 50 on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S and a ceiling plate 60 on the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late 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40 between the plates 30, (1).

상기 후면판(30)의 중심에 관통구(31)가 형성되어 후술될 흡입부(300)가 결합되며, 양측의 측면판(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40)에 컨트롤러(141)가 결합될 수 있는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된다.A through hole 3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plate 30 so that a suc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and a controller 141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side plates 40 on both side plates 40 Side control through-holes 44 are formed.

그리고 바닥판(50)의 양측에 관통되는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된다. And bottom side grooves 57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50 are formed.

또한, 천장판(60)의 중심에 환기 케이스(65)가 구비된다.Further, a ventilation case 65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eiling plate 60. [

도 3은,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A는 정면판의 평면도이고, B는 후면판의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front plate and B is a plan view of the rear plate according to the pet healthca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는 정면판(20)으로써, 상기 정면판(20)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판 형태를 가지며 중심에 다각형 형태를 갖는 정면 관통구(21)가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구(21)는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관통구 형태를 가지며, 정면 관통구(21)의 하측 양단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면 다리부(22)와, 정면 다리부(22) 양측 사이에 정면 관통구(21) 방향으로 굴곡지며 양측 정면 다리부(22)를 연장하는 정면 연장부(23)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A of FIG. 3 is a front plate 20, and the front plate 20 has a front through-hole 21 having a plate shape that becomes narrower from the lower part toward the upper part and has a polygonal shape at the center The through-hole 21 has a through-hole shape through which a pet can be inserted. A front leg 22 protru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ront through-hole 21, A front extension portion 23 is formed between both sides of the front leg portion 22 so as to ben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through hole 21 and extend the both front leg portions 22. [

그리고 정면 다리부(22)의 외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정면 외측부(24)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정면 외측부(24)는, 정면 관통구(21)와 바닥판 결합홈(25) 사이에 바닥판 결합홈(25)이 형성된다. 바닥판 결합홈(25)은, 일측의 정면 외측부(24)에서 타측 정면 외측부(24)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며 후술될 바닥판(50)의 정면 결합홈(54)와 바닥판 결합홈(25)이 결합된다.The front outer side portion 24 is formed between the front through hole 21 and the bottom plate coupling groove 25 so as to extend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of the front leg portion 22. [ A plate engaging groove 25 is formed. The bottom plate engaging groove 25 is formed with gro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front outer side portion 24 from one side of the front side outer side portion 24 and includes a front engaging groove 54 and a bottom plate engaging groove 25 ).

그리고 상기 정면 외측부(24) 상단이 정면 관통구(2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 절곡부(26)와, 양측 정면 절곡부(26) 사이에 상부로 돌출되는 정면 손잡이부(27)가 형성된다.A front handle portion 27 is formed between the front folded portion 26 and the front folded portion 26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side outer portion 24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through hole 21.

이러한 정면 손잡이부(27)는, 정면 관통구(21) 상부에 정면 손잡이홈(27a)이 형성되고, 손잡이부(27)의 정면 손잡이홈(27a)을 통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front handle 27 has a front handle groove 27a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through hole 21 and is configured to be gripped by the user through the front handle groove 27a of the handle 27. [

또한, 상기 정면 관통구(21) 측의 정면 절곡부(26) 일단이 정면 외측부(24)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측면 결합홈(28)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측면 결합홈(28)은 후술될 측면판(40)의 정면 경사결합홈(49)과 결합된다.A side surface coupling groove 28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ront bending portion 26 on the side of the front through hole 21 with a slope equal to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side portion 24, And is engaged with the front face inclined engagement groove 49 of the side plate 40. [

그리고 측면 결합홈(28)의 일단에는 정면 손잡이부(27)의 정면 손잡이홈(27a) 방향으로 천정 결함홈(29)이 형성되고, 이러한 천정 결함홈(29)은, 후술될 천정판(60)의 정면 고정홈(61)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A ceiling defect groove 29 is formed in one end of the side coupling groove 28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pull tab 27a of the front handle 27. The ceiling defect groove 29 is formed on the ceiling plate 60 (Not shown).

이러한 정면판(20)은, 서로 대응되는 양측에 동일한 형태의 정면 다리부(22), 정면 외측부(24), 정면 절곡부(26), 측면 결합홈(28)이 형성되고, 동일한 하나의 측에만 바닥판 결합홈(25) 및 천정판 결합홈(29)이 형성된다.The front plate 20 is formed with front leg portions 22, front outer side portions 24, front folding portions 26 and side coupling grooves 28 of the same shape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ly the bottom plate coupling groove 25 and the top plate coupling groove 29 are formed.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B는 후면판(30)으로써, 상기 후면판(30)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판 형태로 중심에 후면 관통구(31)가 형성되는데, 후면 관통구(31)은 후술될 흡입부(300)의 관통홈 커버(312)가 결합될 수 있는 홈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후면 관통구(31) 하측 양단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면 다리부(32)가 형성되고, 양측 후면 다리부(32) 사이에 후면 연장부(33)가 형성된다.3, reference numeral B in FIG. 3 denotes a rear plate 30, and a rear through-hole 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plate 30 in the form of a plate becoming narrower from the lower portion toward the upper portion. The through-hole 31 has a groove shape into which the through-hole cover 312 of the suction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A rear leg portion 32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rear through hole 31 and a rear extending portion 33 is formed between the both side leg leg portions 32.

상기 후면 연장부(33)는, 후면 관통구(31) 방향으로 굴곡지다가 굴곡진 단부로부터 후면 관통구(31) 방향으로 다단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후면 연장부(33)는 바닥판(50)의 후면 결합홈(56)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rear extension 33 is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through hole 31 and has a multi-step shape from the bent end toward the rear through hole 31. The rear extension portion 33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ear engagement groove 56 of the bottom plate 50.

그리고 상기 후면 다리부(32) 외측에 후면 다리부(32)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후면 외측부(34)가 형성되고, 후면 외측부(34)의 상부에 후면 관통구(31)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면 절곡부(35)가 형성된다.A rear outer side portion 34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leg portion 32 so as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rear leg portion 32 and a rear outer side portion 34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portion 34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through hole 31 The rear bending portion 35 is formed to be bent.

이러한 후면 절곡부(35)는, 후면 관통구(31) 방향의 절곡부(35)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며 돌출된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관통구(31) 상부에 손잡이홈(36a)이 형성된다. 손잡이홈(36a)은, 사용자가 후면판(30)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정면판(20)의 정면 손잡이홈(27a)과 동일한 홈으로 형성된다.The rear bending portion 35 is formed with a rear bending portion 36 whose one end of the bending portion 35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through hole 31 is inclined upward and protruded. A handle groove 36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through- The handle groove 36a is formed in the same groove as the front handle groove 27a of the front plate 20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back plate 30. [

그리고 후면 절곡부(35)의 일단에 천정판 고정홈(37)이 형성된다.A ceiling plate fixing groove 37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ear bending portion 35.

천정판 고정홈(37)은, 절곡부(35) 일단이 손잡이홈(36a) 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천정판 고정홈(37)과 후술될 천정판(60)의 후면 고정홈(62)이 결합된다.One end of the bent portion 35 of the ceiling plate fixing groove 37 is formed with a groove on the side of the handle groove 36a so that the ceiling plate fixing groove 37 and the rear fixing groove 62 of the ceiling plate 60, do.

한편, 후면판(30)의 후면 다리부(32)에는 하부 단부에서, 후면 외측부(34)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후측면 결합부(38)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후측면 결합부(38)에는 후술될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과 결합될 수 있는 홈 형태를 갖는다.The rear leg portion 32 of the rear plate 30 is formed at its lower end with a rear side engaging portion 38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s that of the rear side portion 34, And can be engaged with the rear vertical coupling groove 48 of the side plate 40 to be joined.

이러한 후측면 결합부(38)는, 후술될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이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에 후술될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가 결합된다.The rear side coupling portion 38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ar vertical coupling groove 48 of the side plate 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rear side coupling portion 38 of the rear plate 30, The engaging groove 48 is engaged.

이러한 상기 후면판(30)은, 서로 대응되는 양측에 동일한 형태의 후면 다리부(32), 후면 외측부(34) 및 후면 절곡부(35)가 형성되고, 동일한 하나의 측에만 천정판 고정홈(37)이 형성된다.The rear plate 30 is formed with rear leg portions 32, rear outer side portions 34 and rear bent portions 35 of the same shape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37 are formed.

도 4는,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C는 측면판의 평면도이고, D는 바닥판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a side plate and D is a plan view of a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C는 측면판(40)으로써, 상기 측면판(40)은 사다리꼴 형태의 판 형태로 측면판(40)의 하측 양단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면 다리부(41) 및 제2 측면 다리부(42)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side plate 40 of FIG. 4 is a side plate 40 having a trapezoidal plate shape and a first side leg portion 41 and the second side legs 42 are formed.

이러한 제1 측면 다리부(41) 넓이는 제2 측면 다리부(42)보다 넓은 형태를 가지며, 제1 측면 다리부(41)와 제2 측면 다리부(42) 사이를 연장하는 측면 연장부(43)가 형성된다. The width of the first side leg portion 41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leg portion 42 and the width 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41 extending between the first side leg portion 41 and the second side leg portion 42 43 are formed.

측면 연장부(43)은,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며 단턱진 형태를 갖는다. 이를 통해 측면 연장부(43)는 지면과 맞닿지 않고 제1 측면 다리부(41)와 제2 측면 다리부(42)만 지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The side extension 43 is inclined to the upper inside and has a stepped shape. So that the side surface extending portion 43 does not come in contact with the paper surface but only the first side leg portion 41 and the second side leg portion 42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per surface.

그리고 제2 측면 다리부(42) 측의 측면 연장부(43) 상부에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측면 컨트롤 관통구(44)는 후술될 하부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41)가 결합될 수 있는 넓이의 홈을 갖는다.A side control through hole 44 is formed on the side extension portion 43 on the side of the second side leg portion 42. The side control through hole 44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41 of the lower device 100 )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한편, 제1 측면 다리부(41)의 일측에는 수직 형태를 갖는 측면 평면부(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 평면부(45)와 대응되는 타측 제2 측면 다리부(42)에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측면 평면부(45) 방향으로 경사진 측면 경사부(46)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side surface portion 45 having a vertical sha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ide surface leg portion 41. The other side second leg portion 42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portion 45 is formed with a side surface inclined portion 46 inclined toward the side surface portion 45 in the upward direction.

상기 측면 경사부(46)와 측면 평면부(45)의 일단을 연결하는 측면 상부평면부(47)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평면부(45) 측의 측면 상부평면부(47)에 후면 수직결합홈(48)가 형성된다. A side surface upper flat surface portion 47 connecting the side surface inclined portion 46 and one end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lanar portion 45 is formed and a rear surface vertical surface portion 47, Grooves 48 are formed.

이러한 후면 수직결합홈(48)는, 상부평면부(47)의 일측이 제1 측면 다리부(41)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 경사부(46) 측의 제2 측면 다리부(42)에 정면 경사결합홈(49)이 형성된다. 상기 정면 경사결합홈(49)은, 제2 측면 다리부(42)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측면 경사부(46)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홈이 형성된다.In this rear vertical groove 48, one side of the upper flat surface portion 47 is formed with a gro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de leg portion 41. And a front slant engagement groove 49 is formed in the second side leg portion 42 on the side of the side slope portion 46. The front inclined engagement groove 49 is formed with a groove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s the side inclined portion 46 from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leg portion 42.

상기 측면판(40)은, 정면판(20)과 후면판(30) 사이 양측에 결합 되는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40)에만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하부디바이스(100)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에만 컨트롤러(141)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The side plates 40 are coupled to both sides between the front plate 20 and the rear plate 30 so that only one side plate 40 of the side plates 4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40 is provided with the side control through- Is formed. This is because the controller 141 is provided only on either side of the lower devic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D는 바닥판(50)으로써, 상기 바닥판(50)은, 전면에 바닥 정면(51)과, 바닥판 정면(51)과 대응되는 후면판(30) 방향의 바닥 후면(52)과, 바닥 정면(51)과 바닥 후면(52) 사이 양측에 형성되는 방향의 바닥 측면(53)을 통해 애완동물이 앉을 수 있는 판 형태를 갖는다.4D is a bottom plate 50. The bottom plate 50 has a bottom surface 51 on the front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51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plate 3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late front surface 51 And has a plate shape in which the pet can sit through the bottom rear face 52 and the bottom face 53 in the direction formed on both sides between the bottom front face 51 and the bottom rear face 52. [

전면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측의 단부에는 정면판(20)의 바닥 결합홈(25)이 결합되는 정면 결합홈(54)이 형성된다.A front engaging groove 54 to which the bottom engaging groove 25 of the front plate 20 is engaged is formed at an end of one of the opposite side ends of the front face.

이러한 정면 결합홈(54)은, 일측의 바닥 측면(53) 방향에 형성되어, 정면판(20)의 바닥판 결합홈(25)이 바닥판(50)의 정면 결합홈(54) 일단까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front engaging groove 54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53 on one side so that the bottom plate engaging groove 25 of the front plate 20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gaging groove 54 of the bottom plate 50 .

그리고 바닥판(50)의 바닥측면(53) 내측에는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된다.A bottom side groove (57) is formed in the bottom side (53) of the bottom plate (50).

상기 바닥 측면홈(57)은, 바닥 측면홈(57)의 상부에는 배출부(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바닥 측면홈(57)은, 바닥 정면(51)과 바닥 단턱부(55) 방향으로 긴 홈 형태를 가지며 후술될 하부디바이스(100)의 측면 배출구(142)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The bottom side groove 57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art 200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ide groove 57. The bottom side groove 57 has a long groove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51 and the bottom end jaw 55 and has a size such that the side discharge port 142 of the lower device 100, .

상기 양측 바닥 후면(52) 사이에 바닥 단턱부(55)가 형성된다.And a bottom step portion 55 is formed between the both side bottom back surfaces 52. [

바닥 단턱부(55)는, 바닥 정면(51) 방향으로 단턱진 형태를 가지며 바닥 단턱부(55)의 일면에 후술될 흡입부(300)의 흡입 몸체(310)가 구비될 수 있도록 바닥 정면(51) 방향으로 단턱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다.The bottom end step portion 55 has a stepped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51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tep portion 55 so that the suction body 310 of the suction portion 300, 51) direction.

그리고 바닥 후면(52) 측의 바닥 측면(53)에 후면 결합홈(56)이 형성된다.And a rear engaging groove 56 is formed on the bottom side 53 of the bottom rear face 52 side.

상기 후면 결합홈(56)은 바닥 단턱부(55)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 결합홈(56)에 후면판(30)의 굴곡진 연장부(33)가 결합된다.The rear engagement groove 56 is formed with a groove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tep portion 55. And the bent extension portion 33 of the back plate 30 is engaged with this rear surface coupling groove 56. [

상기 바닥판(50)은, 서로 대응되는 양측에 동일한 형태의 바닥 측면(53), 바닥 후면(52) 및 후면 결합홈(56)이 형성되고, 동일한 하나의 측면에 정면 결합홈(54)이 형성된다.The bottom plate 50 is formed with bottom surfaces 53, bottom surfaces 52 and rear fitting grooves 56 of the same shape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front fitting groove 54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

도 5는,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E는 천정판의 평면도이고, F는 도어의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of the ceil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 is a plan view of the door.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E는 천정판(60) 이다.Referring to Fig. 5, E in Fig. 5 is a ceiling plate 60. Fig.

상기 천정판(60)은, 전면부에 손잡이부(27) 및 도어(70)의 손잡이부(74)가 결합되는 정면 고정홈(61)이 형성되고, 후면부에 후면판(30)의 손잡이부(36)가 결합되는 후면 고정홈(62)이 형성된다.The top plate 60 is formed with a front fixing groove 61 to which the handle 27 and the handle 74 of the door 70 are coupled and a rear fixing plate And a rear fixing groove 62 to which the rear fixing plate 36 is coupled.

상기 정면 고정홈(61)은, 일단에 제1 천정고정부(61a) 및 제1 천장단턱부(61b)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천정고정부(61c) 및 제2 천정단턱부(61d)가 형성된다.The front fixing groove 61 is formed with a first ceiling fixing portion 61a and a first ceiling tuck portion 61b at one end and a second ceiling fixing portion 61c and a second ceiling tuck portion 61d at the other end .

먼저, 정면 고정홈(61)의 일단에는 천정판(60)의 외측 방향으로 제1 천정고정부(61a)고, 일단에 천정판(60)의 외측 방향으로 제1 천정고정부(61a)고, 상기 제1 천정고정부(61a)는 정면 고정홈(61)의 넓이보다 좁은 넓이를 가짐에 따라 후면 측으로 제1 천장단턱부(61b)가 형성된다.A first fixing part 61a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eiling plate 60 and a first fixing part 61a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eiling plate 60 at one end, The first ceiling fixing portion 61a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fixing groove 61, so that the first ceiling step 61b is formed on the rear side.

상기 제1 천장단턱부(61b)는, 단턱진 형태를 가지며 제2천정고정부(61c)의 대응 되는 타단에 형성되게 된다.The first ceiling step 61b has a stepped shape an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eiling fixing part 61c.

상기 제2 천정고정부(61c)는, 정면 고정홈(61)의 타단에는 천정판(60)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며, 제1 천정고정부(61a) 보다 좁은 넓이를 가지며 전면 방향에 제2 천정단턱부(61d)가 형성된다.The second ceiling fixing portion 61c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ront fixing groove 61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eiling plate 60 and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first ceiling fixing portion 61a, A jaw portion 61d is formed.

상기 제2 천정단턱부(61d)는, 제1 천정고정부(61a)와 정면 고정홈(61)의 넓이 차이에 의해 단턱진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제2 천정단턱부(61d)와 대응되는 타측에 제1 천정고정부(61a)가 형성된다.The second ceiling tongue 61d has a stepped shape due to the difference in area between the first ceiling fixing portion 61a and the front fixing groove 61. [ The first ceiling fixing portion 61a is formed on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eiling trench 61d.

그리고 정면 고정홈(61)의 제1 천정고정부(61a)에 정면판(20)의 정면 손잡이부(27)가 결합되고, 고정홈(61)의 제2 천정단턱부(61d)에 정면판(20)의 천정 결합홈(29)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front handle grip portion 27 of the front plate 20 is engaged with the first top end fixing portion 61a of the front side fixing groove 61 and the front end plate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정면판(20)의 정면 절곡부(26)에 천정판(60)가 구비되게 된다.Accordingly, the ceiling plate 60 is provided on the front bent portion 26 of the front plate 20.

그리고 정면 고정홈(61)의 제2 천정고정부(61c)에 후술될 도어(70)의 도어 손잡이부(74)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door handle portion 74 of the door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second ceiling fixing portion 61c of the front fixing groove 61.

이에 따라, 정면 고정홈(61)의 제2 천정고정부(61c)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하여 도어(20)의 정면 관통구(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ont through-hole 21 of the door 20 can be opened or closed by being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second fixed ceiling portion 61c of the front surface fixing groove 61. [

상기 후면 고정홈(62)은, 후면판(30)의 후면 손잡이부(36)에 결합될 수 있는 관통홈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정면 고정홈(61)와 대응되는 천정판(60) 내측에 후면판(30)의 후면 손잡이부(36)에 결합될 수 있는 관통홈을 갖는 후면 고정홈(62)으로 구성된다.The rear fixing groove 62 has a shape of a through-hol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rear handle 36 of the rear plate 30. And a rear fixing groove 62 having a through groov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rear handle 36 of the rear plate 30 on the inner side of the top plate 60 corresponding to the front fixing groove 61.

그리고 천정판(60)은, 제1 천정고정부(61a)에 후술될 도어(70)의 도어 손잡이부(74)가 결합되고, 제1 천정고정부(61a)에 정면판(20)의 정면 손잡이부(27)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면판(30)의 후면 절곡부(35)에 천정판(60)가 결합된다.The door handle portion 74 of the door 7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first ceiling fixing portion 61a and the first ceiling fixing portion 61a is fixed to the front handle 20 of the front plate 20, (27). Thus, the ceiling plate 60 is coupled to the rear bent portion 35 of the rear plate 30. [

그리고 천정판(60)의 중심에 환기케이스(65)가 결합된다.The ventilation case 65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ceiling plate 60.

상기 환기케이스(65)는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환기케이스(65)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환기 케이스 홈(66)이 결합된다. 상기 환기 케이스 홈(66)은, 복수 개의 관통형태를 가지며, 환기케이스(65)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이 환기케이스(65) 내측 중공에 필터(P)가 결합된다.The ventilation case 65 has the same shape a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ventilation case groove 66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ntilation case 65. The ventilation case groove 66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 hollow is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case 65, and the filter P is coupled to the hollow inside the ventilation case 65.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F는 도어(7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F of FIG. 5 is composed of a door 70.

상기 도어(70)는, 반투명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가 헬스케어 구조(1)의 수용부(S)에 수용된 애완동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oor 70 is configured to be semi-transparent and to allow the user to observe the pet housed in the receptacle S of the healthcare structure 1. [

또한, 상기 도어(70)는, 정면판(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판 형태로 중심에 도어 관통구(71)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 관통구(71)는 도어(70)를 관통한 것이 아니라 도어(7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1mm 단차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관통구(71)는, 투명하여 동물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oor 70 has a door through-hole 7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n the form of a plate for opening or closing the front plate 20. The door through hole 71 does not penetrate through the door 70 bu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a 1 mm step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70 in the rear direction. The door through-hole 71 is made transparen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animal can be observed.

이러한 도어 관통구(71)의 하측 양단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어 다리부(72)가 형성되고, 양단의 도어 다리부(72) 사이에 도어 연장부(73)가 형성된다.A door leg portion 72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door through hole 71 and a door extending portion 73 is formed between the door leg portions 72 at both ends.

상기 도어 연장부(73)는, 도어 관통구(71) 방향으로 경사지며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도어 연장부(73)는 지면과 맞닿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door extension part 73 is inclined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through hole 71 and the door extension part 73 is configured not to touch the ground.

그리고 도어 관통구(71) 상부에 도어(70)의 내측으로 경사진 도어 손잡이부(74)가 형성되고, 도어 관통구(71) 상부에 도어 손잡이홈(47a)가 형성된다.A door handle 74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through hole 71 and a door handle groove 47a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through hole 71.

상기 도어 손잡이홈(47a)는,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부(74)를 파지할 수 있도록 관통홈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펫 헬스케어 장치(1)의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개방하거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oor handle groove 47a has a shape of a through-hole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door handle 74. Thereby opening or clos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et healthcare apparatus 1.

본체의 조립은, 정면판(20), 후면판(30), 측면판(40), 바닥판(50), 천정판(60) 및 도어(70)를 각각 형성되는 홈 부분끼리 결합하는 것으로서,Assembly of the main body is performed by joining the groove portions formed with the front plate 20, the rear plate 30, the side plate 40, the bottom plate 50, the top plate 60 and the door 70,

상기 정면판(20)은, 정면판(20)의 바닥판 결합홈(25)에 바닥판(50)의 정면 결합홈(54)이 결합되고, 정면판(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홈(28) 각각에 측면판(40)의 정면 경사결합홈(49)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고, 정면판(20)의 천정판 결합홈(29)에 천정판(6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20 is formed by joining the front engaging grooves 54 of the bottom plate 50 to the bottom plate engaging grooves 25 of the front plate 20, The ceiling plate 6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ceiling plate coupling grooves 29 of the front plate 20 by being coupled to the respective grooves 2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inclined engagement groove 49 of the side plate 40 have.

그리고 후면판(30)은,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를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38)는 2개가 1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 2개가 각각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에 각각 결합되야 한다. The rear plate 30 engages the rear side engagement portion 38 of the rear plate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vertical engagement groove 48 of the side plate 40. [ At this time, since the two coupling portions 38 are formed as one pair, two rear vertical coupling grooves 48 of the side plate 40 should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ar side coupling portion 38 of the rear plate 30 .

또한,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와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판(30)의 천정판 고정홈(47)에 천정판(60)의 후면 고정홈(6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vertical coupling groove 48 of the side plate 40 and the rear side coupling portion 38 of the rear plate 30 may be engaged. And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rear fixing groove 62 of the ceiling plate 60 in the ceiling plate fixing groove 47 of the rear plate 30. [

또한, 후면판(30)의 후면 연장부(33) 양측에 굴절되며 다단 형태를 갖는 부분이 바닥판(50)의 후면 결합홈(56)에 결합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multi-stepped shape bent to both sides of the rear extension portion 33 of the back plate 30 can be coupled to the rear engagement groove 56 of the bottom plate 50.

이렇게 정면판(20), 후면판(30), 측면판(40), 바닥판(50) 및 천정판(60)이 결합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어(70)를 천정명(60)의 제 천정고정부(61a)에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1)는 천정판(60)의 정면 고정홈(61) 및 후면 고정홈(62)으로 돌출된 정면판(20)의 정면 손잡이부(27) 및 후면판(30)의 후면 손잡이부(36)를 들고 본체(1)를 옮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When the front plate 20, the rear plate 30, the side plate 40, the bottom plate 50 and the ceiling plate 60 are coupled, the door 70 is moved to the ceiling-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ngage or disengage from the portion 61a. The main body 1 includes a front gripping portion 27 and a rear gripping portion 27 of the front plate 20 protruding from the front fixing groove 61 and the rear fixing groove 62 of the top plate 60, (36) to move the main body (1).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실시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의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부의 사시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lth ca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mbodiment in which air is circulated in the healthca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ottom view of the healthca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펫 헬스케어 장치(1) 내측 하부에 헬스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6 to 10, a health care device 10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pet healthcare apparatus 1.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하부디바이스(100), 바닥판(50), 배출부(200), 흡입부(300)를 포함한다.The healthcare device 10 includes a lower device 100, a bottom plate 50, a discharge unit 200, and a suction unit 300.

또한,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펫헐스케어 장치(1)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반려동물의 안전을 위하여 과전류 방지 FUSE/과열방지/BI-METAL를 통해 정밀한 온도제어를 위한 온도센서가 장착되고 이를 통한 3중 안전장치를 구현 반려동물과 반려인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The healthcare device 10 is mount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pipette scaler 1 and has a temperature sensor for precise temperature control through over-current prevention FUSE / overheat prevention / BI-METAL for safety of companion animals In addition, the safety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mpanion is being promoted.

상기 하부디바이스(1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케이스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케이스(110)로 구성된다.The lower device 100 includes a case 110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case space portion 111 formed therein.

상기 케이스(110)는, 케이스 공간부(111)의 전방에 정면부재(120)과, 정면부재(120)의 일측에 외부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관통구로 이루어진 정면 흡입구(121)가 형성된다.The case 110 includes a front member 120 at the front of the case space 111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t one side of the front member 120 so that external air can enter into the case space 111 A front suction port 121 is formed.

이러한 정면부재(120)와 대응되는 케이스 공간부(111) 후방에는 후면부재(130)이 형성되고, 후면부재(130)의 중심에 후면 결합홈(131)이 형성되고, 후면 결합홈(131)에 후술될 흡입구(300)의 배출구(330)가 결합된다.A rear member 13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case space 111 corresponding to the front member 120. A rear connection groove 1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member 130, The discharge port 330 of the suction por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engaged.

또한,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모아서 제거하는 집진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and removing solid or liquid fine particles floating in the gas may be mounted inside the suction unit 300.

또한, 상기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산소이온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웨이브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purifier having a plasma wave function for generating oxygen ion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unit 300.

또한,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의 냄새 및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deodorization filter for removing odors and odors from the inside of the pet healthcare apparatu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unit 300.

그리고 후면부재(130)와 정면부재(120) 사이 양측에 측면부재(140)가 형성된다.A side member 140 is formed on both sides between the rear member 130 and the front member 120.

상기 측면부재(140)은 외측에 사용자가 헬스케어디바이스(10)를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러(141)가 외부 일측에 형성되고, 이러한 컨트롤러(141)는 측면부재(1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140)에만 형성된다.A controller 141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member 14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healthcare device 10 and the controller 14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ide member 140, Member 140 only.

또한, 측면부재(140)은 케이스 공간부(111) 방향의 내측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면 배출구(142)가 형성되며, 이러한 측면 배출구(142)는 후술될 제1 가이드(170)와 제2 가이드(171) 사이 간격과 동일한 넓이를 가질 수 있다.The side member 140 is formed with a side outlet 142 protruding upward i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case space 111. The side outlet 140 includes a first guide 170 and a second guide 170, And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interval between the guides 171.

그리고 상기 측면 배출구(142)는, 내측 상부에 하부까지 관통되는 측면 관통홈(143)이 형성되며, 후술될 팬(160)에 의해 공기가 측면 관통홈(143)으로 배출되는 유로 형태를 갖는다.The side discharge port 142 is formed with a side through hole 143 penetrat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ide upper portion and has a flow path shape in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side through hole 143 by a fan 16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측면 배출구(142)는, 하부디바이스(100)의 내측에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과 관통하여 배출부(200)의 관통구(240)와 결합되도록 하부디바이스(100)의 양측에 형성된다.The side outlet 142 is connected to the bottom device 100 through the bottom side groove 57 of the bottom plate 50 and to the through hole 240 of the outlet 200, As shown in Fig.

상기 케이스 공간부(111)의 하측에는 하부부재(150)가 형성된다.A lower member 15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space 111.

상기 하부부재(150)의 중심에는 후술될 흡입부(300)의 배출구(330)를 통해 공간부(111)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 배출구(142)의 측면 관통홈(143)로 배출하는 팬(160)이 구비된다. 상기 팬(160)은 하부부재(150) 중심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되며, 팬(160)의 측면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 팬 배출부(161)가 형성된다.The lower member 150 sucks the air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space 111 through the discharge port 330 of the suc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charges the discharged air into the side through hole 143 of the side discharge port 142 A fan 160 is provided. The fan 16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member 150 through a bolt and a nut and the fan 160 is formed with a fan discharge portion 161 having an open side.

상기 팬(160)은, 상부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팬(160)의 측면에 형성된 팬 배출부(16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한다.The fan 160 sucks air from the upper portion and discharges the sucked air through the fan discharging portion 161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an 160.

이때, 팬(160)의 팬 배출부(161)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후술될 제1 가이드(170)와 제2 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to the fan discharge portion 161 of the fan 160 is discharged through an air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 가이드(170)는 팬(160)을 중심으로 후면부재(130) 방향에 '

Figure 112018075349023-pat00001
'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가이드(171)는 제1 가이드(170)와 대응되는 정면판(20) 측에 '
Figure 112018075349023-pat00002
'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guide 170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member 130 around the fan 160,
Figure 112018075349023-pat00001
And the second guide 17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ront plate 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170,
Figure 112018075349023-pat00002
'.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는 바닥판(50)의 내측 상부에 결되어 바닥판(50)의 중심에 결합되는 팬(160)의 팬 배출부(161)로 배출되는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 사방으로 배출되지 않고,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are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50 and are discharged to the fan discharge portion 161 of the fan 16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50 The air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without discharging the air to the case space part 111. [

이때,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에 형성된 공기유로는 측면부재(140)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142)의 공기유로와 동일한 넓이를 갖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flow path formed in 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air flow path of the side discharge port 142 provided in the side member 140.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에는 동코팅핀히터(180, 18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단부에 각각 1개가 씩 연결부(181, 181`)가 구비될 수 있다.Coating fin heaters 180 and 180 'may be provided in the air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The copper coating pin heaters 180 and 180 'may be provided with connection portions 181 and 181', one at each end thereof.

이러한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팬(160)을 중심으로 측면판(40)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170)의 평평한 일면에 '∪' 형태를 갖는 동코팅핀히터(180)의 연결부(181)가 관통하여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의 반대 측면판(40)에 제2 가이드(171)의 평평한 일면에 '∩' 형태의 동코팅핀히터(180`)의 연결부(181`)가 관통하여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The copper coating fin heaters 180 and 180 'are form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first guide 170 formed on the side plate 40 around the fan 160. The copper coating fin heaters 180 and 18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bolt. The connecting portion 181 'of the copper coating pin heater 180' in the form of ∩ 'penetrates through the bolt to the flat surface of the second guide 171 on the opposite side plate 40 thereof.

이에 따라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팬(160)을 중심으로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의 평평한 일면에 각각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열을 방출하여 공기를 살균하는 작용과 공기를 애완동물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는 작용을 한다.Accordingly, the coating pin heaters 180 and 180 'are fixedly coupled to the flat surfaces of 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with the fan 160 as a center. These copper coating fin heaters 180 and 180 'act to dissipate heat to sterilize the air and to heat the air to a temperature most suitable for a pet.

상기와 같은 하부디바이스(100)의 상부에 애완동물이 안착할 수 있는 판 형태를 갖는 바닥판(50)이 결합된다. 이러한 바닥판(50)의 양측면에는 바닥 측면홈(57)이 구비되고, 바닥 측면홈(57)에는 측면부재(140)의 측면 배출구(142)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A bottom plate 50 having a plate shape capable of placing a pe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late 50 has bottom side grooves 57 on its both sides and the side side discharge ports 142 of the side members 140 penetrate through the bottom side grooves 57.

이때, 측면부재(140)의 측면 배출구(142)의 상부가 바닥판(50)의 상부면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된 형태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에는 배출부(200)가 각각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side discharge port 142 of the side member 140 may protrude further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50. And a discharge part 200 is provided in the bottom side groove 57 of the bottom plate 50, respectively.

이러한 배출부(200)는, 바닥판(50)의 양측에 구비되되, 정면판(20)과 후면판(30)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지며 양단이 수용부(S) 방향으로 굴절되는 굴곡돌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돌출부(210)에는, 복수 개의 제1 배출홀(2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굴곡돌출부(2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갖는 제2 배출홀(230)이 형성된다.The discharge part 2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50 and has a shape elong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plate 20 and the back plate 30 and has bent protrusions 210 are formed.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s 220 are formed in the curved protrusions 210 and a second discharge hole 23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formed between the curved protrusions 210.

이때, 양측면에 구비된 배출부(200)의 제2 배출홀(230)은, 정면판(20)에서 후면판(30)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구의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고, 타측의 배출부(200)의 제2 배출홀(230)은, 후면판(30)에서 정면판(20)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구의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second discharge holes 230 of the discharging part 200 provided on both sides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through-holes is increased as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plate 20 toward the rear plate 30 is increased, 200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through-hole increases from the rear plate 30 toward the front plate 20.

즉, 제2 배출홀(230)은 좌/우 대칭구조를 가짐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수용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수용부 내에서 회전바람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has a left / right symmetrical structure, the air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changed into rotating wind in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배출부(200)의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의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배출부(200)의 중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배출부(200)의 하부에는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구(240)가 형성된다.A hollow is formed inside 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of the discharge unit 200 and a discharge port 20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2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of the discharge unit 200 A through hole 240 having the same size as the bottom side groove 57 of the bottom plate 50 is formed.

그리고 상기 관통구(240)는,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을 관통하는 측면부재(140)의 측면 배출구(142)와 결합 구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40 may be coupled with the side outlet 142 of the side member 140 passing through the bottom side groove 57 of the bottom plate 50.

또한, 배출부(200)의 내측 중공에는 수용부(S) 방향으로 405nm 파장을 내는 자외선 LED 무드 램프와, IR LED 램프가 복수 개 구비되어, LED 무드 램프와 IR LED 램프는 다수 개가 교대로 직렬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ltraviolet LED mood lamps and IR LED lamps each having a wavelength of 405 nm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S and a plurality of IR LED lamps are provid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discharge portion 200. A plurality of LED mood lamps and IR LED lamps It is connected.

이러한, 405nm 파장을 내는 자외선 LED 무드 램프는 애완동물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형성하고 아울러 살균작용을 하며, IR LED 램프는 탈취 및 건조하는 작용을 한다.Such an ultraviolet LED mood lamp having a wavelength of 405 nm forms an atmosphere for a pet to have a psychological stability, acts as a sterilizing agent, and acts to deodorize and dry an IR LED lamp.

그리고 이러한 제1 배출홀(220)과 제2 배출홀(230)은, 5° 및 13°의 경사각도를 갖는다.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have inclination angles of 5 ° and 13 °.

또한,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이중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에 의해 바닥판 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고, 다른 하나의 각도에 의해 수용부의 횡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wind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by any one of the double angles and the wind is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by the other angle .

이에 따라,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바닥판(50)과 수용부(S) 방향으로 분사되는 바람이 회전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이중 모를 갖는 애완동물의 털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눈, 코, 등으로 분사되지 않아 애완동물의 눈, 코 등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cause the wind blown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50 and the receiving portion S to generate rotating wi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matter, quickly dry the wet hairs of the pet, and prevent the eyes, nose, etc. of the pet from drying out because they are not sprayed by the eyes, nose, or the like of the pet.

그리고 상기 배출부(200)를 통해 분사되는 바람이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이물질, 초미세먼지, 애완동물털 및 곰팡이에 의해 수용부(S)의 공기가 오염되면, 흡입부(300)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정화하고 수용부(S)로 배출되도록 한다.When the air blown through the discharging part 200 is contaminated with the air in the receiving part S due to foreign matter, ultrafine dust, pet hair and molds attached to the hair of the pet, the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300 So that contaminated air is sucked and purified and discharg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S).

상기 흡입부(300)는 항균소재를 포함하여 사출되며, 케이스(110)의 후면부재(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판(50) 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흡입몸체(310), 흡입몸체(310)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구, 상기 관통구(311) 내측에 프리필터 형태로 구비되는 필터(P)가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ction unit 300 includes an antibacterial material and is mounted on the rear member 130 of the case 110. The suction unit 300 includes a suction body 310 formed above the bottom plate 50, And a filter P provided in the form of a pre-filter inside the through-hole 311. The filter P includes a filter P,

상기 필터(P)는, 애완동물의 털을 포집하여 건조시 털이 사방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애완동물의 털과 공기 중에 포함된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포자를 포집하고, 필터(P)에 포집된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는 물세척을 통해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서 관리가 용이하다.The filter P collects hairs of the pet to prevent the hairs from blowing in all directions during drying and collects house dust mites and mold spores contained in the hairs of the pet and the air, The spores of mites and fungi are easy to manage because they can be cleaned by washing with water.

그리고 관통구(311)에는 관통홈 커버(312)가 구비되며, 관통홈 커버(312)는 필터(P)가 흡입구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도록 역할을 한다. 이때 관통홈 커버(312)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공기가 필터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through hole 311 is provided with a through groove cover 312 and the through groove cover 312 serves to fix the filter P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hol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penetrating groove cover 312 so that air can easily flow into the filter.

그리고 흡입부(300)의 흡입 몸체(310) 하부에는 케이스 공간부(111) 방향으로 돌출된 흡입 돌출부(320)가 형성되고, 흡입 돌출부(320)는 돌출된 일단이 후면부재(130)의 후면 결합홈(131)에 결합되며, 흡입 돌출부(320)의 단부에는 흡입부(30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로 배출되도록 배출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30)에는 UV-C LED램프(R) 및 살균 헤파필터(H)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A suction protrusion 320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ase space 111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body 310 of the suction unit 300. One end of the suction protrusion 320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member 130 And a discharge port 33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ction protrusion 320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00 is discharged to the case space 111. The discharge port 33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330, A UV-C LED lamp R and a sterilizing HEPA filter H are sequentially combined.

즉, 본체(1)의 수용부(S)에 있는 균을 헤파필터 있는 곳으로 제균되고 헤라필터에 포집된 균을 UVC LED로 살균하여 없애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bacteria in the receiving portion S of the main body 1 are sterilized to the place with the hepar filter, and the bacteria collected in the Hera filter are sterilized by the UVC LED.

상기 UV-C LED램프(R)는 UV LED 의료기기용 살균 램프기능을 하고, 살균 헤파필터(H)는 필터(P)로 걸러지지 않은 초미세먼지, 곰팡이균 포자 등을 걸러내고 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한다. 그리고 UV-C LED램프(R)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UV-C LED lamp (R) functions as a sterilizing lamp for a UV LED medical device, and the sterilized hepafar filter (H) filters ultrafine dust and fungus spores not filtered by a filter (P) Collect spores and bacteria. And sterilization is performed by the UV-C LED lamp (R).

이러한 상기 UV-C LED램프(R)는, 반도체 칩의 특성상 원하는 단일 스펙트럼만 나오게 할수 있어 수은 (Hg) UV램프와 같이 파워분산이 되지 않으므로수은램프보다 효율이 훨씬 높을 뿐만 아니라 파장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Since the UV-C LED lamp (R) can emit only a single desired spectrum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miconductor chip, the power can not be dispersed like a mercury (Hg) UV lamp, and thus the efficiency is much higher than that of a mercury lamp. .

그리고 수은 UV 램프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형광등의 유리관 안쪽에 형광막이 코팅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백색 빛이 나지 않고 수은 방전으로 인해 발생한 자외선이 그대로 방출된다. And the mercury UV lamp has the structure that the fluorescent film is not coated inside the glass tube of the fluorescent lamp which is commonly known, so that the white light is not emitted and the ultraviolet ray generated by the mercury discharge is directly emitted.

따라서 UV 램프의 유리재질은 충격에 깨질 수 있고 다루기가 불편한 반면에UVLED는 고체 소자에 반도체 패키지를 이용하여 충격에 깨지지 않는다.특히 수은과 같은 중금속 규제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친환경적인 소재로RoHS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제재로부터 자유롭다.수명 면에서도70%의 출력에서UV 램프가 일반적으로2천시간 정도의 수명을 가지지만,UVLED는 수만 시간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아 (Small form-factor) 여러 디자인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glass material of the UV lamp can be broken by impact and uncomfortable to handle, while the UVLED does not break the impact by us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in the solid device. Especially, it does not contain the heavy metal regulated substance such as mercury,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UV lamps typically have a lifetime of about 2,000 hours at a power output of 70%, but UVLEDs can sustain tens of thousands of hours of life. Also,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signs with small size (small form-factor).

기존 UV 램프의 경우는 복사열로 인하여 거리가 가까우면 조사면의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UV Lamp와 조사면 간 일정 거리 이상을 두거나 조사면 온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 광원과 조사면이 멀어지면 광량이 감소해 효율이 저하되지만 UV LED의 경우엔 복사열이 적어 광원과의 거리를 가깝게 두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UV lamps, if the distance is short due to radiant heat,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rradiation surface is rai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irradiation surface temperature by setting a distance between the UV lamp and the irradiation surfac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irradiation surface is reduced, the light amount decreases and the efficiency decreas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UV LED, it is possible to keep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close to the light source.

UV LED는 대부분 상용 전원을 그대로 쓸 수 있고 에너지 소비를 절대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리고 순간적으로 on/off가 가능하여, 수은 UV 램프처럼 가동을 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도 켜놓을 필요가 없다. 또한 수은 램프는 오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공기정화 기구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근로자의 호흡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비해 UVLED는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는다.UV LEDs can be mostly used as commercial power sources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absolutely. And instantly on / off is possible, so you do not need to turn it on when not in use, like a mercury UV lamp. Since the mercury lamp generates ozon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 air purifier to remove it. Otherwise, it can cause problems in workers' respiratory system. On the other hand, UVLED does not generate ozone.

따라서, UV LED는 수은 UV 램프에 비해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Thus, UV LEDs have the advantage of not generating ozone compared to mercury UV lamps.

이러한 필터(P), UV-C LED램프(R) 및 살균 헤파필터(H)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ilter P, the UV-C LED lamp R, and the sterilizing HEPA filter H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와 같은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이물질, 먼지, 초미세먼지, 세균 등이 펫 헬스케어 장치(1)의 수용부(S)에 머물지 않고 항균소재가 포함된 배출부(200) 및 흡입부(300), 필터(P), 살균 헤파필터(H), UV-C LED램프(R) 및 동코팅핀히터(180, 180`)의 5단계 케어를 통해 정화됨으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쾌적한 상태로 유지 관리되게 된다.The healthcare device 1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oreign matter, dust, ultrafine dust, bacteria, etc. adhered to the hair of the pet do not stay in the receiving portion S of the pet health care device 1, Is cleaned through the five-step care of the filter 200 and the suction unit 300, the filter P, the sterilizing HEPA filter H, the UV-C LED lamp R and the copper coating pin heaters 180 and 180 ' The accommodation space S in which the pet is accommodated can be maintained and managed in a pleasant condition.

즉, 구체적으로, 1단계 케어는 배출부(200) 및 흡입부(300) 제조시 포함된 항균소재에 의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단계이다.Specifically, the first stage care is a step showing an antibacterial effect by the antibacterial material included in the manufacturing of the discharge unit 200 and the suction unit 300.

그리고 2단계 케어는, 흡입부(300) 내측에 프리필터가 결합되어 수용부(S)의 집먼지진드기와 곰팡이균 포자를 포집하는 단계이다.In the second stage care, a prefilter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unit 300 to collect house dust mites and mold spores of the accommodation unit S.

그리고 3단계 케어는, 광촉매로 코팅된 살균 헤파필터(H)를 통해 2단계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하는 단계이다.The third level of care is the collection of fine dust and fungus spores and bacteria that have not been removed in stage 2 through the photocatalytically coated sterile HEPA filter (H).

그리고 4단계 케어는, UV-C LED램프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균 및 살균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is to sterilize and sterilize airborne bacteria through UV-C LED lamps.

그리고 5단계 케어는, 상기 1 내지 4단계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동코팅핀히터(180, 180`)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한번 더 살균하고, 공기를 정화하며, 공기를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이다.In the fifth step care,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steps 1 to 4 is sterilized once more through the copper coating fin heaters 180 and 180 ', air is purified, and air is heated to a proper temperature And heating.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의 하측에 결합되는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의 내측 수용부에 정화된 공기가 순환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The health care device 1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t health care apparatus 1 can circulate and supply purified air to the inner receiving portion of the pet healthcare apparatus 1, Fine dust, house dust mite, mold spores and dead hair during the molting season.

즉, 산책 또는 집구석구석을 돌아다닌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목욕 후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것으로, 오염된 애완동물을 펫 헬스케어 장치(1) 수용부(S)에 수용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하부디바이스(100)의 측면부재(140)에 형성되는 컨트롤러(141)를 원격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면, 5단계 펫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it is possible to remove contaminated pets from the pet health care device 1 by removing foreign matters such as strolling or dust adhering to the pet's hair that has roamed around the corner of the house, or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pet's hairs after bathing,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ler 141 formed on the side member 140 of the lower device 100 remotely or manually, the fifth step of the pets health care is performed.

이때, 하부디바이스(100)의 팬(160)의 가동에 의해, 하부디바이스(100)의 정면부재(120)에 형성된 정면 흡입구(121)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이루어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ront suction port 121 formed in the front member 120 of the lower device 100 by operating the fan 160 of the lower device 100.

이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부(S)에 수용된 애완동물에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fresh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pet healthcare apparatus 1 to supply fresh air to the pet housed in the receiving section S. [

또한, 배출부(200)의 내측 중공에 구비된 405nm 파장을 내는 자외선 LED 무드 램프 및 IR LED 램프에 의해 애완동물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공기를 추가로 살균하며, 탈취 및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In addition, an ultraviolet LED mood lamp and an IR LED lamp having a wavelength of 405 nm provid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discharge unit 200 are used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a pet can have a psychological stability feeling, further sterilize air, Thereby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1) 하부에는,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에 구비된 팬(160) 및 유로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람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회전바람이 상기 배출부(200)에 의해 배출되면서 배출부(200)에 형성된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에 의해 회전바람이 가속되어 수용부로 배출되어 수용부(S) 내의 공기가 수용부 내 전체를 유동하게 된다.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t health care apparatus 1, a rotating wind whic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 fan 160 and a flow path provided in the lower device 100 is formed, The rotating wind is accelerated by 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formed in the discharging part 200 and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art so that the air in the receiving part S flows in the entire receiving part .

이러한 회전공기에 의해,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이 더욱 용이하게 제거되고, 목욕 후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물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Such rotating air makes it possible to more easily remove foreign matters such as dusts adhering to the hair of the pet, and to efficiently dry the water on the hair of the pet after the bath.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n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nd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hereof.

1 : 펫 헬스케어 장치
20 : 정면판
21 : 정면 관통구 22 : 정면 다리부
23 : 정면 연장부 24 : 정면 외측부
25 : 바닥 결합홈 26 : 정면 절곡부
27 : 정면 손잡이부 27a : 정면 손잡이홈
28 : 측면 결합홈 29 : 천정 결합홈
30 : 후면판
31 : 후면 관통구 32 : 후면 다리부
33 : 후면 연장부 34 : 후면 외측부
35 : 후면 절곡부
36 : 후면 손잡이부 36a : 후면 손잡이홈
37 : 천정판 고정홈 38 : 후측면 결합부
40 : 측면판
41 : 제1 측면 다리부 42 : 제2 측면 다리부
43 : 측면 연장부 44 : 측면 컨트롤 관통구
45 : 측면 평면부 46 : 측면 경사부
47 : 측면 상부평면부 48 : 후면 수직결합홈
49 : 정면 경사결합홈
50 : 바닥판
51 : 바닥 정면 52 : 바닥 후면
53 : 바닥 측면 54 : 정면 결합홈
55 : 바닥 단턱부 56 : 후면 결합홈
57 : 바닥 측면홈
60 : 천정판
61 : 정면 고정홈
61a : 제1 천정고정부 61b : 제1 천정단턱부
61c : 제2 천정고정부 61d : 제2 천정단턱부
62 : 후면 고정홈
65 : 환기 케이스 66 : 환기 케이스 홈
70 : 도어
71 : 도어 관통구 72 : 도어 다리부
73 : 도어 연장부 74 : 도어 손잡이부
74 a: 도어 손잡이홈
10 : 헬스케어디바이스
100 : 하부디바이스
110 : 케이스 111 : 케이스 공간부
120 : 정면부재 121 : 정면 흡입구
130 : 후면부재 131 : 후면 결합홈
140 : 측면부재 141 : 컨트롤러
142 : 측면 배출구 143 : 측면 관통홈
150 : 하부부재
160 : 팬 161 : 팬 배출부
170 : 제1 가이드 171 : 제2 가이드
180, 180` : 동코팅핀히터 181, 181` : 연결부
200 : 배출부
210 : 굴곡돌출부 220 : 제1 배출홀
230 : 제2 배출홀 240 : 관통구
300 : 흡입부
310 : 흡입 몸체 311 : 정화 관통구
312 : 관통홈 커버 320 : 흡입 돌출부
330 : 배출구
S : 수용부 H : 살균 헤파필터 R : UV-C LED램프 P : 필터
1: Pet healthcare device
20: front plate
21: front through hole 22: front leg
23: front extension part 24: frontal side part
25: bottom joint groove 26: front bend
27: front handle portion 27a: front handle groove
28: side coupling groove 29: ceiling coupling groove
30: rear plate
31: rear through hole 32: rear leg
33: rear extension portion 34: rear outer portion
35: rear bend
36: rear handle portion 36a: rear handle groove
37: ceiling plate fixing groove 38: rear side coupling portion
40: side plate
41: first side leg part 42: second side leg part
43: side extension part 44: side control through hole
45: side surface portion 46: side surface inclination portion
47: side upper plane portion 48: rear vertical coupling groove
49: Front inclined joining groove
50: bottom plate
51: bottom front 52: bottom rear
53: bottom side 54: front joining groove
55: bottom step jaw portion 56: rear joining groove
57: bottom side groove
60: ceiling plate
61: front fixing groove
61a: first ceiling fixing section 61b: first ceiling tile portion
61c: a second ceiling fixing unit 61d: a second ceiling stage jaw
62: rear fixing groove
65: ventilation case 66: ventilation case groove
70: Door
71: door through hole 72: door leg portion
73: Door extension part 74: Door handle part
74 a: Door handle groove
10: Health care device
100: Lower device
110: Case 111: Case space part
120: front member 121: front inlet
130: rear member 131: rear joining groove
140: side member 141: controller
142: side outlet 143: side through groove
150:
160: Fan 161: Fan outlet
170: first guide 171: second guide
180, 180`: copper coating pin heater 181, 181`: connection part
200:
210: bending protrusion 220: first discharge hole
230: second discharge hole 240: through hole
300:
310: Suction body 311:
312: penetrating groove cover 320: suction protrusion
330: Outlet
S: Receiving part H: Sterile HEPA filter R: UV-C LED lamp P: Filter

Claims (15)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의 전면에 애완동물이 출입하는 정면 관통구(21)가 형성되는 정면판(20)과, 상기 정면판(20)과 대응되는 수용부(S)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30)과, 상기 정면판(20) 및 후면판(30) 사이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과, 상기 수용부(S) 하측에 지면과 이격되는 바닥판(50) 및 상기 바닥판(50)과 대응되는 상부에 형성되는 천정판(60)이 상호 조립에 의해 수용부(S)가 형성되는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는 상기 수용부(S)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제균 및 살균한 후 수용부(S)로 배출하는 헬스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고,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상기 후면판에 구비되는 흡입부(300), 상기 바닥판(5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디바이스(100), 상기 수용부(S)의 바닥판(50)의 상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배출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의 내부에는 팬(160)이 구비되고,
상기 팬(16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람이 형성되고, 팬에 의해 형성된 회전바람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수용부로 배출될 때 배출부에 구비된 제1배출홀(220) 및 제2배출홀(230)에 의해 회전바람이 가속되어 수용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A front plate 20 having a front through hole 21 through which a pet enters and exits on the front surface of a receiving portion S in which a pet is accommodated and a front plate 20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S corresponding to the front plate 20 A side plate 40 formed at both sides between the front plate 20 and the rear plate 30 and a bottom plate 50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elow the receiving portion S, And a ceiling plate (60) formed on an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late (50), the receiving portion (S) being formed by mutual assembly,
The prefabricated pets health care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healthcare device 10 for sucking air in the receptacle S, purifying, sterilizing and sterilizing the air, and discharging the sterilized gas to the receptacle S,
The healthcare device (10)
A lower device 10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50 and a discharge uni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op plate 50 of the receiving unit S, 200,
A fan 160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device 100,
The rotating wind formed by the fan is formed in 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20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ion when the rotating wind is discharged to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rotating wind is accelerated by the rotating body (230) and discharg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300)는,
항균소재로 사출되며, 애완동물의 털과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P)와, 미세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하고 제균 및 살균하는 살균 헤파필터(H)와, 살균 기능을 하는 UV-C LED램프(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unit (300)
A sterilizing HEPA filter (H) for collecting, sterilizing and sterilizing micro dust and fungus spores and bacteria, a sterilizing UV- C LED lamp (R). ≪ RTI ID = 0.0 > 11.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5° 및 13°의 이중 경사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charge hole (2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30) have a dual inclination angle of 5 ° and 13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에는 제1가이드(170) 및 제2가이드(171)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팬(160)의 상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팬(160)의 팬 배출부(161)로 배출될 때, 상기 공기유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guide 170 and a second guide 171,
An air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And the air suck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160 is discharged toward the air outlet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an outlet 161 of the fan 160. [ Pet healthcare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는 팬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2개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의 공기유로 상에는 동코팅핀히터(180, 180`)가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wo air flow paths formed between the first guide 170 and the second guide 171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an,
Wherein the coating pin heaters (180, 180 ') are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s on both sid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20)은,
정면 관통구(21)를 중심으로 양측 하부에 돌출된 정면 다리부(22)와, 상기 정면 다리부(22)와 대응되는 정면 관통구(21) 상부에 정면 손잡이홈(27a)이 형성되는 정면 손잡이부(27)와, 정면 다리부(22)와 정면 손잡이부(27) 사이 양측에 정면 손잡이부(27)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정면 외측부(24)와, 정면 외측부(24) 상측이 정면 관통구(2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 절곡부(26)를 포함하되, 상기 양측 정면 절곡부(26) 일단에 각각 정면 다리부(22) 방향으로 측면 결합홈(28)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정면 절곡부(26)에서 정면 손잡이부(27) 측으로 천정 결합홈(29)이 형성되며, 상기 정면 관통구(21)와 정면 연장부(23) 사이의 정면 외측부(24)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바닥 결합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plate (20)
A front leg 2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through hole 21 and a front leg opening 21 corresponding to the front leg 22, A front outer side portion 24 whic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ont side grip portion 27 on both sides between the front side leg portion 22 and the front side grip portion 27 and a front side outer side portion 24 which is narrowed toward the front side grip portion 27, And a front bending portion 26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ill 21 so that a side coupling groove 28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th side front bent portions 26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leg portion 22,
A ceiling coupling groove 29 is formed in the front bending portion 26 on the side of the front handle 27 and a front side outer portion 24 between the front through hole 21 and the front extension 23 And a bottom coupling groove (25) is form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30)은,
중심에 흡입부(300)의 관통홈커버(312)가 결합되는 후면 관통구(3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관통구(31) 양측 하부에는 후면 다리부(32)가 형성되고, 후면 다리부(32)에는 하부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후측면 결합부(38)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된 방향의 후면판의 외측단부 중 일측에는 단부에서 후면 손잡이부(36) 방향으로 천정판 고정홈(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plate (30)
And a rear leg portion 3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rear leg opening 31. A rear leg portion 32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r leg opening 31, A rear grip portion 36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rear grip portion 36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grip portion 36. When the rear grip portion 36 is formed And a ceiling plate fixing groove (37)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end of the rear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andle (36)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andle (3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40)은,
상부에 평면부(47)가 형성되고, 평면부(47)의 후면 일측에는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가 결합되는 후면 수직결합홈(48)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1 및 제2 측면 다리부(41, 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 다리부(42)의 일측에는 정면판(20)의 측면 결합홈(28)에 결합되는 정면 경사결합홈(49)이 형성되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40)에만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plate (40)
A rear vertical coupling groove 48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surface portion 47 and the rear side coupling portion 38 of the rear plate 30 is coupled with the rear vertical coupling groove 48, 1 and second side legs 41 and 4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plate 20 and a front inclined engagement groove 49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ide legs 42 to be engaged with the side engagement groove 28 of the front plate 20. [ , And a side control plate (44) is formed in only one side plate (40) of the side plates (4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4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0)은,
전면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측의 단부에는 정면판(20)의 바닥 결합홈(25)이 결합되는 정면 결합홈(54)이 형성되고, 후면의 양측 단부에는 후면판(30)의 후면 연장부(33)의 굴곡진 단부에 후면 결합홈(56)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디바이스(100)가 구비되고, 양측면의 내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측면홈(57)의 상부에는 배출부(200)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바닥판(50)의 바닥 단턱부(55)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단턱부(55)에는 흡입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late (50)
A front engaging groove 54 is formed at an end of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front face to engage with the bottom engaging groove 25 of the front plate 20. A rear engaging groove 54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rear face of the rear plate 30, A bottom side groove 57 is formed in the front side and rear side in the inside of both sides of the lower device 100, a bottom side groove 57 is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ide groove 57, A bottom end stop 55 of the bottom plate 5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55 and a suction unit 300 is provided on the bottom end stop 55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rilizing and steriliz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60)에는, 중앙에 수용부(S)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환기케이스(65)가 구비되는 환기 케이스 홈(6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eiling plate (60)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case groove (66) provided with a ventilation case (65) so that contaminated air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S) And a sterilizing syste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환기 케이스(65)의 내부에는, 수용부(S)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필터(P)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riliz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a filter (P) is contained in the ventilation case (65) so that contaminated air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S) Pet healthcar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60)은,
전면부에 손잡이부(27) 및 도어(70)의 손잡이부(74)가 결합되는 정면 고정홈(61)이 형성되고, 후면부에 후면판(30)의 손잡이부(36)가 결합되는 후면 고정홈(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iling plate (60)
A front fixing groove 61 to which the handle 27 of the door 70 is coupled and a front fixing groove 61 to which the handle portion 74 of the door 70 is coupled, And a groove (62)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는,
하부디바이스(100)의 내측에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과 관통하여 배출부(200)의 관통구(240)와 결합되는 측면 배출구(142)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device (100)
A side discharge port 14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device 100 to be coupled with the through hole 240 of the discharge unit 200 through the bottom side groove 57 of the bottom plate 50 And a sterilizing and sterilizing system.
KR1020180088771A 2018-07-30 2018-07-30 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 KR101966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71A KR101966438B1 (en) 2018-07-30 2018-07-30 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71A KR101966438B1 (en) 2018-07-30 2018-07-30 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438B1 true KR101966438B1 (en) 2019-04-05

Family

ID=6610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771A KR101966438B1 (en) 2018-07-30 2018-07-30 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43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78A (en) * 2019-07-05 2021-01-13 손효근 Health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KR20210128086A (en)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쏘쿨 Rest area and management system for pet animal
CN114793938A (en) * 2022-04-12 2022-07-29 周丽梅 Feeding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102635573B1 (en) * 2023-05-31 2024-02-08 김대칠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for animal skin disease causative bacteri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35Y1 (en) * 2003-08-29 2003-11-17 강봉희 Pet house
KR20150024521A (en) * 2013-08-27 2015-03-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house for pet
KR20150041757A (en) * 2013-09-14 2015-04-17 가부시키가이샤 도리무산교 Box type pet dryer
JP2015148432A (en) * 2014-01-10 2015-08-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leaner
KR20170044248A (en) 2015-10-14 2017-04-25 주식회사 두나미스 Assemble a pet ho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35Y1 (en) * 2003-08-29 2003-11-17 강봉희 Pet house
KR20150024521A (en) * 2013-08-27 2015-03-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house for pet
KR20150041757A (en) * 2013-09-14 2015-04-17 가부시키가이샤 도리무산교 Box type pet dryer
JP2015148432A (en) * 2014-01-10 2015-08-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leaner
KR20170044248A (en) 2015-10-14 2017-04-25 주식회사 두나미스 Assemble a pet hous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78A (en) * 2019-07-05 2021-01-13 손효근 Health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KR102320951B1 (en) * 2019-07-05 2021-11-04 손효근 Health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KR20210128086A (en)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쏘쿨 Rest area and management system for pet animal
KR102411466B1 (en) 2020-04-16 2022-06-22 주식회사 쏘쿨 Rest area and management system for pet animal
CN114793938A (en) * 2022-04-12 2022-07-29 周丽梅 Feeding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CN114793938B (en) * 2022-04-12 2023-10-03 周丽梅 Raising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102635573B1 (en) * 2023-05-31 2024-02-08 김대칠 The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device for animal skin disease causative bacteri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438B1 (en) 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
KR101937181B1 (en) Pet healthcare device with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KR101186045B1 (en) Human body disinfection device for entrance to Domestic Animals Shed
KR101030583B1 (en) A visitor sterilizing room
KR200472302Y1 (en) Pet Drying Equipment
US8617479B2 (en) Foot/footwear sterilization system
JP2023525761A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urifying air
KR102219356B1 (en) Air Cleaner Comprising Ultraviolet Air Sterilizer
KR101554178B1 (en) Air supply apparatus having combined functions fo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nd heating of air
KR101636009B1 (en) Pet care system
KR20110031810A (en) Sterilization air curtain apparatus
KR102329659B1 (en) Air purifier for dressing 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100034A (en) Toilet for a pet
KR20210093104A (en) Shoe management apparatus
US20220249729A1 (en) Led light troffer with uv sanitized air return
KR102263083B1 (en)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KR100903404B1 (en) A air ventilation cleaning for elevator
KR101083478B1 (en) Air cleaner that feet disinfector device
KR20200084733A (en) Things Internet-based Pet Healthcare System
KR101961748B1 (en) Companion animal of styler house
KR20110010387U (en) Pets house with uv led and photocatalyst filt
KR20110042799A (en) An air cleaner of illuminating-lamp combination
KR101640865B1 (en) The desk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KR20100001770U (en)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equipment for pet
KR100643751B1 (en) Sterilizer for elevator having the function of sign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