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100B1 -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 Google Patents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100B1
KR101966100B1 KR1020170095726A KR20170095726A KR101966100B1 KR 101966100 B1 KR101966100 B1 KR 101966100B1 KR 1020170095726 A KR1020170095726 A KR 1020170095726A KR 20170095726 A KR20170095726 A KR 20170095726A KR 101966100 B1 KR101966100 B1 KR 10196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emitting layer
light emitting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572A (ko
Inventor
김은일
조호준
황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유트로닉스 주식회사
엑사옵토닉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유트로닉스 주식회사, 엑사옵토닉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1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a singl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 B60Q3/745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using lighting panels or mats, e.g. electro-luminescent panels, LED m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1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permanently, e.g. welding, gluing or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H05B33/084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차량의 실내 조명 등에서 발광다이오드가 측부에 결합된 도광 필름이 복수층 적층되어 박형 구조를 이루면서 각 도광 필름의 발광 패턴에 따라 복수 종류의 면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여 면발광하는 적어도 한 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필름;과,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단위 발광층이 복수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 발광층 중 제1 단위 발광층과 제2 단위 발광층의 도광 필름의 광출사부에는 서로 다른 발광 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ASSEMBLY FOR LIGHTING USING MULTI-LAYER LIGHT GUIDE FILM}
본 발명은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 조명 등에서 발광다이오드가 측부에 결합된 도광 필름이 복수층 적층되어 박형 구조를 이루면서 각 도광 필름의 발광 패턴에 따라 복수 종류의 면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실내 조명 등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에는 어두운 실내를 밝히기 위한 룸 램프(room lamp)와 실내 장식 목적 등으로 사용되는 무드 램프(mood lamp)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조명을 위한 룸 램프와 무드 램프 등이 서로 독립되어 구성되면서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점 및 제약이 따랐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배열하여 룸 램프를 구성하는 경우,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당한 두께를 가지는 돌출 형상으로 인하여 탑승자의 헤드룸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었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배열에 따라 휘도가 균일하지 못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및 복잡한 구조를 사용함에 따라 제작 단가가 과다하게 상승하는 문제점 등이 나타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무드 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도,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룸 램프와의 간섭 등을 회피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간을 정해 선발광 형태로 구성하는 등 실내 조명의 디자인 및 구현에 제약이 따를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자동차의 실내 조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된 도광판을 이용하여 룸 램프나 무드 램프 등을 구현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출 성형 공정의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도광판의 두께 및 경량화 등에 제약이 따르게 되고, 입체 이미지 등 다양한 이미지 패턴을 구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나아가 곡면 등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구조에서는 적절한 조명 품질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여전히 남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가 출시되고, 주행 등 필수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평준화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기능적 요소 외에 디자인적 요소나 감성적 요소가 더욱 중시되는 경향이 있는데, 자동차용 조명은 그 자동차의 개성 내지 특징을 표현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룸 램프와 무드 램프 등을 포함하는 실내 조명을 구현함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을 덜 수 있고, 제조 단가 상승, 휘도의 불균일, 부품 복잡도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조명용 부재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48340호 특허문헌 2: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25962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실내 조명 등에서 돌출 형상 등으로 인한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할 수 있고, 다수 광원의 배열에 따른 휘도의 불균일 및 제작 단가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출성형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단가가 극히 저렴하고, 자동차 업체의 자동차 설계변경, 신차 디자인 등의 경우에도 부품 단가와 부품 복잡도에 대한 우려 없이 쉽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 부품으로서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 경량화, 유연성을 구비한 조명용 부재의 공급을 통해, 자동차 업체에서 고급화되고 다양한 디자인을 쉽게 구현하기 위해 활용이 가능한,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여 면발광하는 적어도 한 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필름;과,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단위 발광층이 복수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 발광층 중 제1 단위 발광층과 제2 단위 발광층의 도광 필름의 광출사부에는 서로 다른 발광 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의 광출사부에는 전체 면에서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발광 패턴이 구비되는 반면,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의 광출사부에는 미리 정해진 특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발광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의 도광 필름을 투과하여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과 합쳐져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발광층에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는 실장기판; 및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장기판과 상기 도광 필름을 접착하여 결합시키는 접착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 인접하는 제2 단위 발광층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복수 종류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는,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광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상기 광출사부에서의 영역별 광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도광 필름은 0.2mm이상 1.5mm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가 상기 광입사부와 대향하는 타측의 두께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상기 도광 필름은 단면이 테이퍼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입사부 측의 두께가 상기 광입사부와 대향하는 타측의 두께보다 얇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은,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여 면발광하는 적어도 한 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실장기판에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을 상기 도광 필름과 결합하여 단위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발광층을 복수개 적층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 발광층 중 제1 단위 발광층과 제2 단위 발광층의 도광 필름의 광출사부에 서로 다른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의 광출사부에 전체 면에서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발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의 광출사부에 미리 정해진 특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발광층을 복수개 적층하여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을 적층하여 결합하여,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의 도광 필름을 투과하여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과 합쳐져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 인접하는 제2 단위 발광층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실내 조명 등에서 돌출 형상 등으로 인한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할 수 있고, 다수 광원의 배열에 따른 휘도의 불균일 및 제작 단가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사출성형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단가가 극히 저렴하고, 자동차 업체의 자동차 설계변경, 신차 디자인 등의 경우에도 부품 단가와 부품 복잡도에 대한 우려 없이 쉽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 부품으로서의 범용성을 향상시킨,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모듈화, 경량화, 유연성을 구비한 조명용 부재의 공급을 통해, 자동차 업체에서 고급화되고 다양한 디자인을 쉽게 구현하기 위해 활용이 가능한,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발광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조의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가 차량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필름의 광출사부의 표면에 형성된 발광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발광 패턴을 가지는 단위 발광층을 이용하여 구성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 8은 도 7에서 각 단위 발광부에서의 발광되는 빛이 합쳐져 발광되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무드 램프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다양한 색상으로 조절이 가능한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무드 램프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영역별로 명암이 조절된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무드 램프의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을 예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발광층(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는 상기 단위 발광층(10)이 복수개 적층되어 구성되는 바, 도 2에서는 먼저 상기 단위 발광층(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발광층(10)은 광입사부(24)와 광출사부(22)를 포함하는 도광 필름(20)과 상기 광입사부(24)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30)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는 실장기판(40) 및 상기 실장기판(40)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5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광 필름(20)은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는 가시광의 파장 영역에 대해 높은 투과율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PMMA)나, 역시 높은 투과율을 가지면서 기계적 강도가 보다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C)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필름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보다 얇은 경우에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C)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광투과성 수지 필름은 0.2mm 이상 3.0mm 이하 두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0.2mm이상 1.5mm이하의 두께 범위의 것이 사용될 경우 기계적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유연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러한 범위의 광투과성 수지 필름은 사출성형 등 고가의 공정에 의하지 않고서도 롤링(rolling) 등 방법에 의해 쉽게 양산이 가능하므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조명용 부재(100)의 제조 단가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유연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 및 두께의 도광 필름(2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도광 필름(20)은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이 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절단될 수 있으며, 도시된 이외의 더 복잡한 형상으로 절단될 수도 있어 곡면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자동차 실내의 구조(예를 들어, 자동차의 천장이나 도어 등)에 맞도록 쉽게 가공될 수 있으며, 이때 사출성형 공정과 같은 고가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양산 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고, 자동차 설계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장식적 효과와 시인성을 감안하여 자동차 실내 조명 등을 위한 디자인의 폭을 매우 넓힐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 공정을 통해서는 최소 두께 3~4mm 이상의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구조물만이 제작 가능하며 얇은 필름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과 같이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도광 필름(20)을 사용함으로써 사출성형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인성 및 장식적 효과를 보다 극대화한 초슬림 선광원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광 필름(20)은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또는 에지)에 의해 형상이 정해지게 되는데, 도광 필름(20)의 이러한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입사부(24)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입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여 면발광하는 적어도 한 면이 광출사부(22)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가 광입사부(24)에 근접하여 도광 필름(20)으로 광을 입사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실장기판(40) 등을 이용하여 배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로부터 출사된 광은 대향하는 인접 광입사부(24)으로 입사되어, 도광 필름(20)을 통해 광출사부(22)으로 방출된다.
또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가 그 표면에 배열되는 실장기판(40)은 유연성을 갖는 플렉시블 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으로 구현가능하며, 일반적으로 구부리거나 휠 수 있도록 된 회로 기판으로서, 유연성이 있는 전기절연체 위에 전도성을 갖는 도체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실장기판(40)은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실장하고 결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실장 밀도가 극히 높을 필요는 없어 제조가 간단하여 저가인 단면 PCB(Single Side PCB)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회로가 상하 양면으로 형성된 PCB로 단면 PCB에 비해 고밀도 부품 실장이 가능한 양면 PCB(Double Side PCB)를 적용하거나, 내층과 외층 회로를 가진 입체구조의 PCB로 입체배선에 의한 고밀도 부품실장 및 선거리 단축이 가능한 다층 피시비(Multi Layer Board)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고성능 소형화에 따라 여러 기판간의 접속이 필요할 때 한정된 기기 공간의 최대한 활용 및 접속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경질 부분에 굴곡성이 있는 유연한 PCB 부분을 일체화시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RF 피시비(Rigid-Flex PCB)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실장기판(40)의 유연성을 요하지 않거나, 도광 필름(20) 그 자체의 유연성만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실장기판(40)의 경우는 FR4 등을 재료로 하는 보다 저가의 PCB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발광층(10)은, 실장기판(40)과 연결되고,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50)은 실장기판(40)과 일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현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모듈(50)은 실장기판(40)과 동일한 기판재료 또는 상이한 기판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발광층(10)은 도광 필름(20)의 상하 중 일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사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도광 필름(20)의 상부에 광출사부(22)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광 필름(20)의 하면에 반사층을 구비함으로써 광 전달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가 자동차 등 구조물에 조립될 경우 조명용 부재(100) 외부의 기타 부품과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도광 필름(20)이 결합될 구조물의 표면에 반사층을 형성하거나 색상을 광반사율이 높은 백색으로 함으로써 광 전달 효율을 높이는 반사층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의 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는,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24)와,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입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여 면발광하는 적어도 한 면인 광출사부(22)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22)는 상기 광입사부(24)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필름(20)과, 상기 광입사부(24)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포함하는 단위 발광층(10)이 복수개 적층되어 구성되며, 이때 상기 복수개의 단위 발광층(10) 중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의 도광 필름(20)의 광출사부(22)에는 서로 다른 발광 패턴이 구비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을 적층하였는데, 이와 같이 적층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 또는 제2 단위 발광층(10b) 중 하나를 발광시켜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 의한 조명 또는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에 의한 조명을 선택하거나,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 및 제2 단위 발광층(10b)을 동시에 발광시켜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 의한 조명 및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에 의한 조명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를 룸 조명을 위한 룸 램프로 할당하고, 상기 제2 발광층(10b)를 무드 조명을 위한 무드 램프로 할당하는 경우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는 매우 얇은 구조를 가지는 룸 램프와 무드 램프가 면발광하는 조명 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 나아가 유연성을 갖추어 자동차의 실내 등과 같이 복잡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단위 발광층(10)의 광출사부(22)에 형성되는 발광 패턴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이미지의 발광이 가능하여, 자동차의 실내 조명 등을 위한 고급화되고 다양한 디자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명용 부재(100)는 자동차 제조회사의 설계자들이 이러한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부품 인프라를 제공하는 데에 큰 의의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의 광출사부(22)에는 전체 면에서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발광 패턴(25)이 구비되어 룸 조명 등을 위한 룸 램프 등으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전체 면에서 백색 발광되도록 제1 발광 패턴(25)이 균일하게 형성), 또한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a)의 광출사부(22)에는 미리 정해진 특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발광 패턴(25)이 구비되어, 무드 조명 등을 위한 무드 램프 등으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예를 들어, 원형, 삼각형, 사각형 패턴이 나열된 이미지가 현출되도록 제2 발광 패턴(25)을 형성).
이때,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의 도광 필름(20)을 투과하여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에서 발광되는 빛과 합쳐져 외부로 발광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위 발광층(10)의 발광 색상은 특정한 파장의 발광다이오드(30)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겠으나, RGB 등 복수 파장의 발광다이오드(30)를 조합하여 특정한 색상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상기 복수 파장의 발광다이오드(30)를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단위 발광층(10)의 발광 색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에는 접착층(6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의 실장기판(40)과 도광 필름(20)을 접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장기판(40)과 도광 필름(20)은 접착층(60) 외에도 기구물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도 3과 다른 구조를 가지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도 4(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에서 발광다이오드(30)가 구비되는 실장기판(40)은 동일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실장기판(40)은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의 도광 필름(20)의 하면 및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의 도광 필름(2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실장기판(40) 또는 접착층(60)의 두께에 의하여 도광 필름(20)의 일부 영역이 밀착되지 못하거나 휘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에서 발광다이오드(30)가 구비되는 실장기판(40)은 서로 반대 측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실장기판(40)을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의 도광 필름(20)의 하면 및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의 도광 필름(20)의 상면에 부착하여, 상기 실장기판(40) 또는 접착층(60)의 두께에 의하여 도광 필름(20)의 일부 영역이 밀착되지 못하거나 휘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4(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의 일부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배열하면서, 상기 일부 영역에 상기 발광다이오드(30)가 구비되는 실장기판(40)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실장기판(40) 또는 접착층(60)의 두께에 의하여 도광 필름(20)의 일부 영역이 밀착되지 못하거나 휘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에서 발광패턴(25)은 상기 실장기판(40) 및 접착층(60)이위치하지 않는 (A)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실장기판(40) 및 접착층(60)에 의한 왜곡 없이 다양한 이미지의 발광 및 다양한 시각적 효과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가 차량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가 차량 실내의 천정 등의 구조물(기재)에 장착되고, 상기 조명용 부재(100) 위로 원단을 부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제1 단위 발광층(10a)은 룸 조명 등을 위한 룸 램프 등으로서 기능하고(예를 들어, 전체 면에서 백색 발광되도록 제1 발광 패턴(25)이 균일하게 형성), 또한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a)는 무드 조명 등을 위한 무드 램프 등으로서 기능하는 경우(예를 들어, 원형, 삼각형, 사각형 패턴이 나열된 이미지가 현출되도록 제2 발광 패턴(25)을 형성), 차량 실내의 천정에서 소정의 영역에 면발광하는 룸 램프 및 무드 램프가 적층되어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30)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 인접하는 제2 단위 발광층(10b)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30)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30)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의 두께를 보다 얇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필름(20)의 광출사부(22)의 표면에 형성된 발광 패턴(25)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출사부(22)의 표면에는 소정의 발광 패턴(25)이 형성되어 광출사부(22)에서는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입사되어 진행하는 빛 중 일부를 출사시키게 된다.
또한, 도 6에서는 상기 광출사부(22)의 표면에 삼각형 형상의 광학 패턴(25)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광학 패턴(25)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학 패턴(25)을 연속, 불연속적으로 배열하거나 그 간격을 조절하는 등의 방법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광학 패턴(25)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광출사부(22)의 표면에는 특정 방향으로 휘도 차이가 나타나도록 광학 패턴(25)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입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광학 패턴(2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발광 패턴(25)을 가지는 단위 발광층(10)을 이용하여 구성된 조명용 부재(100)를 예시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의 광출사부(22)에는 전체 면에서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발광 패턴(25)이 구비되어 룸 조명 등을 위한 룸 램프 등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으며(도 6에서, 제1 단위 발광층(10a)의 광출사부(22) 전체 면에서 백색 발광되도록 제1 발광 패턴(25)을 균일하게 형성), 또한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a)의 광출사부(22)에는 미리 정해진 특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발광 패턴(25)이 구비되어, 무드 조명 등을 위한 무드 램프 등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도 6에서, 제2 단위 발광층(10b)의 광출사부(22)에서 별 패턴이 나열된 이미지가 현출되도록 제2 발광 패턴(25)을 형성).
이때,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 또는 제2 단위 발광층(10b) 중 하나를 발광시켜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 의한 조명 또는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에 의한 조명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거나,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 및 제2 단위 발광층(10b)을 동시에 발광시켜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 의한 조명 및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에 의한 조명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는 도 7의 각 단위 발광부(10)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개별 발광되거나, 동시에 구동되어 각 단위 발광부(10)의 빛이 합쳐져 발광되는 형상을 설명하고 있다. 도 8(a-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위 발광층(10a)만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1 단위 발광층(10a)의 광출사부(22) 전체 면에서 균일하게 발광되면서 룸 램프 등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되며, 도 8(a-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단위 발광층(10b)만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2 단위 발광층(10b)의 광출사부(22)면에서 별 패턴이 나열된 이미지가 현출되면서 무드 램프 등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 8(a-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이 모두 구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이 모두 발광하면서, 전체 면에서의 균일 발광과 별 패턴이 나열된 이미지 발광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위와 같이 룸 램프와 무드 램프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서로 다른 발광을 가지는 다양한 경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b-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위 발광층(10a)만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1 단위 발광층(10a)의 광출사부(22)에서 원 패턴이 나열된 이미지가 현출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도 8(b-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단위 발광층(10b)만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2 단위 발광층(10b)의 광출사부(22)면에서 별 패턴이 나열된 이미지가 현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 8(b-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이 모두 구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이 모두 발광하면서, 원 패턴과 별 패턴이 함께 나열된 이미지가 발광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도 9에서는 차량의 천장에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를 이용하여 실내 조명을 구현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어 자동차의 천정 등 복잡한 구조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넓은 면적에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특히 룸 램프와 무드 램프가 동일한 영역에 적층되어 구현되어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자동차의 실내 조명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고급화되고 다양한 디자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가 차량의 실내 천장에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 차량의 실내 도어면에 구현되거나, 대시보드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상기 색상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서는 차량의 천장에 선형 패턴이 배열되어 백색 발광하는 무드 램프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또한 도 10(b)와 도 10(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무드 램프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위 발광층(10b)에는 RGB 등 다양한 파장의 발광다이오드(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을 통해 무드 램프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역별로 명암이 조절된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무드 램프를 예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위 발광층(10b)에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30)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광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상기 광출사부(22)에서의 영역별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무드 램프에서 영역별로 명암이 조절된 이미지 패턴을 현출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무드 램프에서의 이미지 패턴은 광출사부(22)에 형성되는 발광패턴(25)을 조절하여 영역별로 명암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에서는 여러 색상 및 명암의 조절하여 이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a 내지 도 12c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 및 이를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를 예시하고 있다.
앞에서는 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필름(20)은 도 1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a에서 도광 필름(20)의 일측은 얇은 두께(a)를 가지는 반면(예를 들어, 0.3mm ≤ a ≤ 3mm), 상기 도광 필름(20)의 타측은 보다 두꺼운 두께(a+b)를 가지는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이룰 수 있다(예를 들어, 0.3mm < a+b ≤ 10mm).
특히,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광 필름(20)의 경우 그 두께가 최소 3~4mm 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사출성형 공정을 통한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광 필름(20)이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도광 필름(20)의 일측 두께(a)가 3~4mm 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상기 도광 필름(20)의 타측 두께(a+b)가 3~4mm 이상의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경우 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한 제작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아크릴계 수지(PMMA)나 폴리카보네이트(PC) 등 적절한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성형 공정을 적용해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b와 도 12c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하고 있다.
앞서, 도 2의 경우와 같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사용하는 경우, 그 두께에 따라 채택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30)가 제한될 수 있었다(예를 들어, 3mm 두께에 맞출 수 있도록 측면 발광다이오드(side-view LED)를 사용).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1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발광다이오드(side-view LED)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 발광다이오드(top-view LED)를 용이하게 채택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우수한 방열 특성 및 광량 특성을 얻거나, 보다 저렴한 단가의 발광다이오드(30)를 선택할 수 있는 등 조명용 부재의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도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광 필름(20)은 보다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멸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20)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도광 필름(20)은 도 1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경우 뿐만 아니라, 도 1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 및 하면이 모두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경우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도광 필름(20)은 도 13b내지 도 1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의 구간과 함께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구간(도 13b 및 도 13c의 c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필름(20)은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개선된 구조 및 특성을 가지는 조명용 부재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도광 필름(20)은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서도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 제조 방법에 대하여 살핀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해가 가능한 바,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 제조 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 제조 방법은,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24)와,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입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여 면발광하는 적어도 한 면인 광출사부(22)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22)는 상기 광입사부(24)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필름(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24)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실장기판(40)에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40)을 상기 도광 필름(20)과 결합하여 단위 발광층(1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발광층(10)을 복수개 적층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도광 필름(2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광 필름(20)은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광투과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광 필름(2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 발광층(10) 중 제1 단위 발광층(10a)과 제2 단위 발광층(10b)의 도광 필름(20)의 광출사부(22)에 서로 다른 발광 패턴(2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필름(2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의 광출사부(22)에 전체 면에서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발광 패턴(25)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의 광출사부(22)에 미리 정해진 특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발광 패턴(2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발광층(10)을 복수개 적층하여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을 적층하여 결합하여,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의 도광 필름(20)을 투과하여 상기 제2 단위 발광층(10b)에서 발광되는 빛과 합쳐져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발광층(10)을 형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실장기판(40)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50)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발광층(1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30)가, 상기 제1 단위 발광층(10a)에 인접하는 제2 단위 발광층(10b)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30)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위 실시예 및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본 발명 중 방법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계들은 반드시 그 선후의 순서에 대한 구속을 의도한 것이 아니며, 각 공정의 본질에 따라 반드시 어느 단계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 한 순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요소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10: 단위 발광층
10a: 제1 단위 발광층
10b: 제2 단위 발광층
20: 도광 필름
22: 광출사부
24: 광입사부
25: 발광 패턴
30: 발광다이오드
40: 실장기판
50: 구동모듈
60: 접착층
100: 조명용 부재

Claims (17)

  1.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여 면발광하는 적어도 한 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필름;과,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단위 발광층이 복수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위 발광층 중 제1 단위 발광층과 제2 단위 발광층의 도광 필름의 광출사부에는 서로 다른 발광 패턴이 구비되되,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의 광출사부에는 전체 면에서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발광 패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의 광출사부에는 미리 정해진 특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 발광 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의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의 도광 필름을 투과하여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과 합쳐져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발광층에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는 실장기판; 및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이 더 포함되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기판과 상기 도광 필름을 접착하여 결합시키는 접착층이 더 포함되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 인접하는 제2 단위 발광층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복수 종류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 조명용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는,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광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상기 광출사부에서의 영역별 광량을 제어하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 조명용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도광 필름은 0.2mm이상 1.5mm이하의 두께를 갖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가 상기 광입사부와 대향하는 타측의 두께와 서로 다른 것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도광 필름은 단면이 테이퍼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가 상기 광입사부와 대향하는 타측의 두께보다 얇은 것인,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12.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에 의해 형상이 정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여 면발광하는 적어도 한 면인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실장기판에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을 상기 도광 필름과 결합하여 단위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발광층을 복수개 적층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 발광층 중 제1 단위 발광층과 제2 단위 발광층의 도광 필름의 광출사부에 서로 다른 발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의 광출사부에는 전체 면에서 균일하게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발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의 광출사부에는 미리 정해진 특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2 발광 패턴을 형성하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발광층을 복수개 적층하여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을 적층하여 결합하여,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의 도광 필름을 투과하여 상기 제2 단위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과 합쳐져 발광되도록 하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단위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제1 단위 발광층에 인접하는 제2 단위 발광층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는,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KR1020170095726A 2017-07-27 2017-07-27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KR10196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726A KR101966100B1 (ko) 2017-07-27 2017-07-27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726A KR101966100B1 (ko) 2017-07-27 2017-07-27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572A KR20190012572A (ko) 2019-02-11
KR101966100B1 true KR101966100B1 (ko) 2019-04-05

Family

ID=6536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726A KR101966100B1 (ko) 2017-07-27 2017-07-27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663A (zh) * 2019-06-18 2019-08-27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无缓冲区域的光导结构及包含其的车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60729B4 (de) 2003-12-23 2007-03-01 Daimlerchrysler Ag Innenraumleuchte für ein Verkehrsmittel
KR20110015919A (ko) * 2009-08-10 2011-02-17 한국과학기술원 가요성 정보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표시등 장치
KR101652818B1 (ko) * 2010-04-10 2016-08-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장치
KR101646364B1 (ko) 2014-10-24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통합형 룸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572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914B1 (ko)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CN103718293B (zh) 使用具有设置在其中或设置在小厚度应用中的集成发光二极管的光活性片材的边缘照明装置
KR102314674B1 (ko) 다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US8123384B2 (en) Optical elements with internal optical fea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US20160231493A1 (en) Light assembly for illuminating an emblem
CN106016127A (zh) 一种具有不同功能的车灯照明装置
US10823362B2 (en) Vehicular lamp fitting
TWM467186U (zh) 軟性led光源模組
US20210023979A1 (en) Illuminatable vehicle assembly and vehicle assembly illumination method
TWI723921B (zh) 面光源之led裝置
JP4831097B2 (ja) 車両室内照明装置
KR101966100B1 (ko)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JP2008189067A (ja) 車両用内装材
JP5447945B2 (ja) 発光機能付き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50063B1 (ko)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CN103270365A (zh) 照明***和制造方法
CN116964378A (zh) 具有面式光导体的装饰件
WO2021099789A1 (en) Uniform lighting device
CN114446178B (zh) 显示盖板
CN218257221U (zh) 装饰膜片、发光模组以及电子设备
CN218287616U (zh) 一种车标及车辆
CN115823510A (zh) 发光模组和电子设备
CN115056563A (zh) 装饰膜片、发光模组以及电子设备
CN116105084A (zh) 超薄面光源结构及包括其的汽车内饰
CN115836180A (zh) 像素化照明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