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668B1 - 팬 플루트 - Google Patents

팬 플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668B1
KR101964668B1 KR1020180046745A KR20180046745A KR101964668B1 KR 101964668 B1 KR101964668 B1 KR 101964668B1 KR 1020180046745 A KR1020180046745 A KR 1020180046745A KR 20180046745 A KR20180046745 A KR 20180046745A KR 101964668 B1 KR101964668 B1 KR 101964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hickness
present
sound
fl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이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102018004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26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air currents blown into an opening arranged on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tube, e.g. transverse flutes, piccolos or fif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 플루트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 원료에 의한 성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되, 선단에 취구부가 형성되고 그 길이가 다르게 단차진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음계관들을 포함하는 팬 플루트에 있어서, 상기 음계관의 취구부 주변의 선단측 두께와 후단측 두께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팬 플루트{Panflute}
본 발명은 팬 플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음계관의 직경을 얇게 형성하되, 취구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만 상대적으로 직경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음계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명음(明音)을 낼 수 있도록 한 팬 플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 플루트는 18세기 말까지만 하더라도 8개의 대나무관을 연결시켜 연주하였으나, 점차 그 수가 증가해 18관, 20관, 22관, 25관으로 늘어 현재는 30관까지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팬 플루트의 음계 또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팬 플루트는 음계가 7음계로 되어 있으며, 각 조(調) 별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나 보편적으로 G장조(Em), F장조(Dm), C장조(Am)의 악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팬 플루트는 세계적 표준 음높이인 라(A) 440Hz에 조율되어 생산되고 있지만 연주하는 사람의 입술 모양과 실력에 따라 음높이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초보자의 경우 악기를 입술에 대는 위치와 각도, 바람의 세기 등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팬 플루트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나무관을 수작업으로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또는 장미목 등과 같이 목재를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가공하여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그 제작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음계관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하지 못함에 따라 각 음계에 맞는 음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각 음계관마다 충분한 체적을 확보해야 함으로써, 전체적인 음계관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목재 팬 플루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팬 플루트를 연주자가 연주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음계관(20)들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팬 플루트(10)는, 고음일수록 음계관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저음일수록 음계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데, 각 음계관(20)의 두께를 상기와 같은 이유로 조절할 수 없게 됨으로써, 각 음계의 음을 발생시키도록 충분한 내부 공간의 체적을 확보하도록 음계관(20)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즉, 각 음계관(20)의 취구부(30) 직경과 내부 공간(40)의 직경이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하도록 제작됨으로써, 각 음계의 음을 발생시키도록 충분한 내부 공간(40)의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음계관(20)의 길이는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저음에 가까운 음계관 일수록 그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내부 공간의 깊이가 깊어지게 되는바, 숙련자를 제외한 초보자나 일반인들의 경우 공기를 음계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충분히 불어주지 못하게 됨에 따라 명음을 낼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48359호(2010.03.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합성수지재의 사출로서 제작함에 따라 각 음계관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전체적인 음계관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초보자를 비롯한 일반인들도 명음을 낼 수 있도록 하는 팬 플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각 음계관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작함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함에도 불구하고 내부 공간의 체적은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숨을 깊게 내쉬지 않아도 명음을 낼 수 있도록 하는 팬 플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합성수지재의 사출에 의해 제작함에 따라 양산이 가능함은 물론 그에 따라 제작비용을 줄여 결국 단가가 낮은 팬 플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는, 합성수지재 원료에 의한 성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되, 선단에 취구부가 형성되고 그 길이가 다르게 단차진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음계관들을 포함하는 팬 플루트에 있어서, 상기 음계관의 취구부 주변의 선단측 두께와 후단측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음계관의 취구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설정 두께를 갖는 제1 단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부의 끝단으로부터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후단까지는 상기 제1 단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2 단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음계관들은, 상기 취구부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내부 공간의 직경이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계관의 취구부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복수의 단차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에 의하면, 합성수지재의 사출로서 제작됨에 따라 각 음계관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음계관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초보자를 비롯한 일반인들도 용이하게 명음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각 음계관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작됨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내부 공간의 체적은 유지됨으로써, 숨을 깊게 내쉬지 않아도 명음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에 의하면, 합성수지재의 사출에 의해 제작됨에 따라 양산이 가능함은 물론 그에 따라 제작비용이 줄어 결국 단가가 낮아지게 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재 팬 플루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팬 플루트를 연주자가 연주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를 연주자가 연주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종래의 팬 플루트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의 음계관 내부 구성을 비교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의 음계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의 음계관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를 연주자가 연주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100)는, 한쪽 방향을 향해 점차적으로 길이가 길어지거나 또는 짧아지면서 단차를 이루는 복수의 음계관(11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계관(110)들의 선단은 연주자가 입에 대고 공기를 불어넣음에 따라 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취구부(120)가 형성되고, 이 취구부(120)와 대향되는 반대쪽에는 코르크 또는 고무 등에 의해 막혀 있다.
이 때, 각 음계관(110)들의 취구부(120)는 동일 수평면을 이루고, 이에 따라 코르크 또는 고무 등에 의해 막힌 부분이 단차를 이룸에 따라 음계관(110)들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각 음계관(110)들의 취구부(120)에 입을 가까이 대고 불게 되면,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음계관(110)의 취구부(120)를 통해 내부 공간(130)으로 유입된 후, 다시 돌아 나오면서 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길이가 긴 음계관(110) 일수록 저음을 발생시키고, 길이가 짧은 음계관(110) 일수록 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팬 플루트(100)는 합성수지재를 원료로 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목재(대나무 또는 장미목 등)를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양산성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를 원료로 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금형에 따라 각 음계관(110)들의 직경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계관(110)의 취구부(120)로부터 일정 길이까지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제1 단부(200)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이 제1 단부(200)의 끝단으로부터 경사면(220)을 이룬 후, 제1 단부(200)보다는 얇은 두께를 갖는 제2 단부(210)를 이루도록 단차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경사면(220)의 구성을 배제하고, 제1 단부(200)와 제2 단부(210)를 수평면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의 유동이 제한됨에 따라 명음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바, 제1 단부(200)와 제2 단부(210) 사이에는 경사면(220)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종래의 팬 플루트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의 음계관 내부 구성을 비교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100)의 대비 구성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도면은, 종래의 목재 팬 플루트의 음계관(20) 단면도이고,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의 음계관(110) 단면도이다.
종래 음계관(20)의 경우, 목재를 가공하여 제작됨에 따라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데에는 한계가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취구부의 직경과 그 내부 공간(130)(40)의 직경은 모두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하게 제작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 음계관(20)의 경우 내부 공간(40)의 충분한 체적 확보를 위하여 전체적으로 그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초보자를 비롯한 일반인들은 명음 발생이 어렵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계관(110)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구부(120)로부터 일정 길이만큼은 일정 두께를 갖는 제1 단부(200)와, 이 제1 단부(200)의 끝단으로부터 경사면(220)을 이룬 후 제1 단부(200)보다는 얇은 두께의 제2 단부(210)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바, 비교적 짧은 길이로도 내부 공간(130)의 충분한 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종래의 팬 플루트 음계관(20)의 경우 그 두께가 a로 제작됨에 따라 내부 공간(40) 체적 확보를 위해서는 일정 길이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 음계관(110)의 경우 제1 단부(200)의 두께는 a+α로 형성되고, 제2 단부(210)는 a-α로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짐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음계관(20) 내부 공간(40)의 체적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계관(110) 내부 공간(130)의 체적을 동일하게 하면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계관(110)은 그 길이를 더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바, 초보자를 비롯한 일반인들도 보다 용이하게 명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숙련자의 경우에도 보다 짧은 호흡으로 연주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100)의 음계관(110)에서 제1 단부(200)는 종래의 팬 플루트 음계관(20)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취구부의 직경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종래의 음계관(20)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100)에 의하면, 합성수지재 원료를 사출성형으로 제작함에 따라 음계관(110)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음계관(110)의 전체적인 길이를 종래에 비하여 짧게 형성하면서도 내부 공간(130)의 동일 체적 유지로 인해 동일한 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바, 초보자 또는 일반인들의 경우에도 짧은 호흡으로 용이하게 연주를 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작용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의 음계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계관(110a)의 둘레부(210a)는 취구부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함에 따라 내부 공간의 직경이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작용효과를 그대로 거둘 수도 있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팬 플루트의 음계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계관(110b)의 취구부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복수의 단차부(210b)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작용효과를 그대로 거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팬 플루트 110,110a,110b : 음계관
120 : 취구부 130 : 내부 공간
200 : 제1 단부 210 : 제2 단부
220 : 경사면

Claims (4)

  1. 합성수지재 원료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일체 형을 이루도록 제작되고, 선단에 취구부가 형성되며, 그 길이가 다르게 단차진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음계관들을 포함하는 팬 플루트에 있어서,
    상기 음계관의 취구부 주변의 선단측 두께와 후단측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되,
    종래의 음계관 두께가 a인 경우, 상기 음계관은 취구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a+α의 두께를 갖는 제1 단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부의 끝단으로부터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후단까지는 상기 제1 단부 및 종래의 음계관 보다 얇은 a-α의 두께를 갖는 제2 단부로 형성되어,
    상기 음계관은 종래의 음계관에 비하여 동일한 체적을 확보하면서도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플루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46745A 2018-04-23 2018-04-23 팬 플루트 KR101964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45A KR101964668B1 (ko) 2018-04-23 2018-04-23 팬 플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45A KR101964668B1 (ko) 2018-04-23 2018-04-23 팬 플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668B1 true KR101964668B1 (ko) 2019-04-02

Family

ID=6616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745A KR101964668B1 (ko) 2018-04-23 2018-04-23 팬 플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6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435A (ko) * 1999-03-26 2000-10-16 이양원 팬파이프
WO2006027819A1 (ja) * 2004-09-03 2006-03-16 Yamagishi, Sachi 唄口、接続管及びそれを有する管楽器
KR200448359Y1 (ko) 2007-11-27 2010-04-07 우광혁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435A (ko) * 1999-03-26 2000-10-16 이양원 팬파이프
WO2006027819A1 (ja) * 2004-09-03 2006-03-16 Yamagishi, Sachi 唄口、接続管及びそれを有する管楽器
KR200448359Y1 (ko) 2007-11-27 2010-04-07 우광혁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670A (en) Whistle
US7326840B2 (en) Mouthpiece for a musical instrument
CN106098033B (zh) 一种排箫
JP2005316419A (ja)
KR101964668B1 (ko) 팬 플루트
KR101405991B1 (ko) 울림통을 갖는 악기용 마우스피스
US291548A (en) Hexey c
CN207818168U (zh) 一种适用于幼儿吹奏的八孔高音竖笛
US10699680B2 (en) Elliptical high-mass mouthpiece for brass musical instruments
KR200448359Y1 (ko) 피치 조절이 용이한 키플류트
CN210722425U (zh) 一种宽音域埙
US2232608A (en) Mouthpiece for all brass musical instruments
KR101812481B1 (ko) 색소폰 마우스피스용 공명 스티커
CN220340894U (zh) 一种长号的吹嘴
TWM540369U (zh) 薩克斯風管體結構
US20240194169A1 (en) Barrel for a Woodwind Instrument
CN209843231U (zh) 一种贴膜唢呐
Day Chang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Jinashi Shakuhachi in the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KR102507438B1 (ko) 악기용 마우스피스
JP6985655B1 (ja) ドラムスティック
CN217214123U (zh) 一种简易加键普及型唢呐
CN210722428U (zh) 一种音域超过两个八度的埙
JP3244526U (ja) マレット
CN210271752U (zh) 一种笛子
CN214752899U (zh) 一种新型哨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