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887B1 - 병세척용구 - Google Patents

병세척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887B1
KR101963887B1 KR1020160135470A KR20160135470A KR101963887B1 KR 101963887 B1 KR101963887 B1 KR 101963887B1 KR 1020160135470 A KR1020160135470 A KR 1020160135470A KR 20160135470 A KR20160135470 A KR 20160135470A KR 101963887 B1 KR101963887 B1 KR 10196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main
sole
sole body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911A (ko
Inventor
이겸수
Original Assignee
(주) 대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일코리아 filed Critical (주) 대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3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8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2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the bristles being fixed or joined in rubber bodies, e.g. in soft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세척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결합된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봉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솔부를 갖는 병세척용구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관형태의 메인솔바디부와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외표면에 기립 형성된 다수의 메인세척모를 구비한 메인솔부와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전단으로부터 중공(中空) 형태로 연장 형성된 종단솔바디부와 상기 종단솔바디부의 외표면에 기립 형성된 다수의 종단세척모를 구비한 종단솔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봉이 상기 메인솔바디부에만 삽입되고 상기 종단솔바디부에는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세척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병세척용구{Washing Tool for Bottle}
본 발명은 병세척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솔부를 구비한 병세척용구에 관한 것이다.
바닥이 깊은 병(물병, 우유병, 보온병 등)은 병 내부로 손을 넣어 세척하기 어렵기 때문에 병세척용구가 사용되고 있다.
병세척용구는 병 내부에 진입하여 마찰동작에 의해 병내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하는 솔부를 갖고 있다.
종래 솔부의 재질로 스폰지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마찰력이 적어 이물질 제거능력이 떨어지고 이물질이 묻은 솔부를 세척하기 어려우며 내구성도 떨어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솔부를 갖는 병세척용구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7은 종래 병세척용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8은 종래 병세척용구의 요부단면도이다.
종래의 병세척용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중앙영역에서 1회 절곡된 형태의 지지봉(111)과, 지지봉(111)에 결합된 손잡이부(112)와, 지지봉(111)에 결합된 실리콘재질의 솔부(120)를 갖고 있다.
지지봉(111)은 대략 중간영역에 걸림단턱(111a)이 형성되어 있다.
솔부(120)는 일단이 밀폐된 관형태의 솔바디부(121)와, 솔바디부(121)의 외표면에 기립 형성된 다수의 메인세척모(122)와, 솔바디부(121)의 종단에 방사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다수의 종단세척모(123)를 갖고 있다.
솔바디부(121)는 손잡이부(112)에 인접한 종단에 걸림플랜지(1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솔부(120)는 억지끼움방식으로 지지봉(111)에 결합된다.
솔부(120)의 결합은 지지봉(111)의 종단이 솔바디부(121)의 내표면 종단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지고, 지지봉(111)에 대한 솔부(120)의 결합상태는 걸림플랜지(121a)와 걸림단턱(111a) 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병세척용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손으로 병을 잡은 상태에서 솔부(120)를 병 내부로 삽입한다.
다음에 메인세척모(122)와 종단세척모(123) 중 적어도 일방을 병의 내표면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한 손으로 병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손잡이부(112)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12)를 돌리거나 또는 병을 돌리면 세척작업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병세척용구를 사용하여 세척작업을 하는 동안 솔바디부(121)는 변형되지 않고 메인세척모(122)와 종단세척모(123)는 절곡된다. 절곡된 메인세척모(122)와 병 내표면 사이의 마찰동작 또는 절곡된 종단세척모(123)와 병 내표면 사이의 마찰동작에 의해 세척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병세척용구에 따르면, 솔바디부(121)가 일단이 밀폐된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봉(111)의 종단이 솔바디부(121)의 내표면 종단에 접촉하도록 솔부(120)가 지지봉(111)에 결합되기 때문에, 종단세척모(123)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종단세척모(123)가 병의 내표면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세척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세척작업 중 종단세척모(123)가 개별적으로 병의 내표면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종단세척모(123) 각각에 의해 개별적으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척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1379506호(등록일자: 2014년 3월 24일, 발명의 명칭: 병세척용구)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병세척용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 병세척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결합된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봉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솔부를 갖는 병세척용구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관형태의 메인솔바디부와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외표면에 기립 형성된 다수의 메인세척모를 구비한 메인솔부와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전단으로부터 중공(中空) 형태로 연장 형성된 종단솔바디부와 상기 종단솔바디부의 외표면에 기립 형성된 다수의 종단세척모를 구비한 종단솔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봉이 상기 메인솔바디부에만 삽입되고 상기 종단솔바디부에는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세척용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종단솔바디부의 절곡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종단솔바디부는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종단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상기 메인솔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연결종단솔바디부와, 상기 연결종단솔바디부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상기 연결종단솔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상기 종단세척모가 형성되어 있는 모형성종단솔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척작업 중 종단솔바디부에 지지봉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은 종단으로부터 상기 메인솔바디부만큼 이격된 위치에 지지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부는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일단이 상기 지지플랜지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솔부와 지지봉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은 외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솔바디부는 내표면에 상기 결합요홈에 대응하도록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부는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결합요홈에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젖꼭지 등과 같이 단면적이 작고 깊이가 큰 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종단솔바디부는 첨두형(尖頭形)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관형태의 메인솔바디부와 메인솔바디부의 전단으로부터 중공형태로 연장 형성된 종단솔바디부를 포함하도록 솔부를 구성하는 한편, 지지봉이 메인솔바디부에만 삽입되고 종단솔바디부에는 삽입되지 않도록 솔부를 지지봉에 결합함으로써, 세척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세척용구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세척용구의 분해사시도,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세척용구의 요부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봉의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세척용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종래 병세척용구의 결합사시도,
도8은 종래 병세척용구의 요부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세척용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세척용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세척용구의 요부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봉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세척용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지지봉(11)과, 지지봉(11)에 결합된 손잡이부(12)와, 지지봉(11)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솔부(20)를 갖고 있다.
솔부(20)는 지지봉(11)에 삽입된 메인솔부(30)와, 메인솔부(30)로부터 연장 형성된 종단솔부(40)를 갖고 있다.
지지봉(11)은 종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결합요홈(11a), 정렬돌부(11c) 및 지지플랜지(1b)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요홈(11a)은 지지봉(11)의 외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정렬돌부(11c)는 지지봉(11)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지지플랜지(1b)는 지지봉(11)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지지플랜지(1b)는 지지봉(11)의 종단으로부터 후술하는 메인솔바디부(31)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메인솔부(30)는 관형태의 메인솔바디부(31)와, 메인솔바디부(31)의 외표면에 기립 형성된 다수의 메인세척모(32)를 갖고 있다.
메인솔바디부(31)는 내표면에 결합요홈(11a)에 대응하도록 결합돌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종단솔부(40)는 메인솔바디부(31)의 전단으로부터 중공(中空) 형태로 연장 형성된 종단솔바디부(41)와, 종단솔바디부(41)의 외표면에 기립 형성된 다수의 를 갖고 있다.
종단솔바디부(41)는 메인솔바디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연결종단솔바디부(41a)와, 연결종단솔바디부(41a)로부터 연장 형성된 모형성종단솔바디부(41b)를 갖고 있다.
연결종단솔바디부(41a)는 메인솔바디부(31)의 종단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모형성종단솔바디부(41b)는 연결종단솔바디부(41a)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종단세척모(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형성종단솔바디부(41b)는 내표면에 정렬홈(31b)이 정렬돌부(11c)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단솔바디부(41)는 첨두형(尖頭形)으로 형성된다.
솔부(20)는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결합돌부(31a)가 결합요홈(11a)에 억지끼움되고 정렬홈(31b)에 정렬돌부(11c)가 진입하고 메인솔바디부(31)의 일단이 지지플랜지(1b)에 접촉하도록 지지봉(11)에 결합된다.
솔부(20)가 지지봉(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종단솔바디부(41)에 지지봉(11)이 삽입되지 않는다(지지플랜지는 지지봉의 종단으로부터 메인솔바디부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세척용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손으로 병을 잡은 상태에서 솔부(20)를 병 내부로 삽입한다.
다음에 메인세척모(32)와 종단세척모(42) 중 적어도 일방을 병의 내표면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한 손으로 병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손잡이부(12)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2)를 돌리거나 또는 병을 돌리면 세척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병세척용구를 사용하여 세척작업을 하는 동안 종단솔바디부(41), 메인세척모(32) 및 종단세척모(42)는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절곡된 메인세척모(32)와 병 내표면사이의 마찰동작 또는 절곡된 종단세척모(42)와 병 내표면 사이의 마찰동작에 의해 세척작업이 이루어진다.
종단솔바디부(41)가 절곡될 때 발생하는 종단솔바디부(41)의 탄성력에 의해 종단세척모(42)가 병의 내표면에 가압접촉되기 때문에 세척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도6 참조).
그리고 종단솔바디부(41)가 절곡될 때 다수개의 종단세척모(42)가 한꺼번에 병의 내표면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다수개의 종단세척모(42)에 의해 동시에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도6 참조) 세척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한편 세척작업시 절곡되는 종단솔바디부(41)를 첨두형으로 형성하면 젖꼭지(젖병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 등과 같이 단면적이 작고 깊이가 큰 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태의 메인솔바디부(31)와 메인솔바디부(31)의 전단으로부터 중공형태로 연장 형성된 종단솔바디부(41)를 포함하도록 솔부(20)를 구성하는 한편, 지지봉(11)이 메인솔바디부(31)에만 삽입되고 종단솔바디부(41)에는 삽입되지 않도록 솔부(20)를 지지봉(11)에 결합함으로써, 세척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메인솔바디부(31)의 종단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메인솔바디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종단솔바디부(41a)를 포함하도록 종단솔바디부(41)를 구성함으로써, 종단솔바디부(41)의 절곡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봉(11)의 종단으로부터 메인솔바디부(31)만큼 이격된 위치에 지지플랜지(1b)를 형성함으로써, 세척작업 중 종단솔바디부(41)에 지지봉(11)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봉(11)의 외표면에 형성된 결합요홈(11a)에 메인솔바디부(31)에 형성된 결합돌부(31a)가 억지끼움되도록 솔부(20)를 지지봉(11)에 결합함으로써, 솔부(20)와 지지봉(11)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단솔바디부(41)를 첨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젖꼭지 등과 같이 단면적이 작고 깊이가 큰 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다.
11, 111 : 지지봉 12, 112 : 손잡이부
20, 120 : 솔부 30 : 메인솔부
31 : 메인솔바디부 32, 122 : 메인세척모
40 : 종단솔부 41 : 종단솔바디부
42, 123 : 종단세척모 121 : 솔바디부

Claims (5)

  1.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결합된 손잡이부와, 관형태의 메인솔바디부와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외표면에 기립 형성된 다수의 메인세척모를 구비한 메인솔부와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전단으로부터 중공(中空) 형태로 연장 형성된 종단솔바디부와 상기 종단솔바디부의 외표면에 기립 형성된 다수의 종단세척모를 구비한 종단솔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봉이 상기 메인솔바디부에만 삽입되고 상기 종단솔바디부에는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봉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솔부를 갖는 병세척용구에 있어서,
    상기 종단솔바디부는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종단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상기 메인솔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연결종단솔바디부와, 상기 연결종단솔바디부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상기 연결종단솔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상기 종단세척모가 형성되어 있는 모형성종단솔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은 외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솔바디부는 내표면에 상기 결합요홈에 대응하도록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부는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결합요홈에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세척용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종단으로부터 상기 메인솔바디부만큼 이격된 위치에 지지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부는 상기 메인솔바디부의 일단이 상기 지지플랜지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세척용구.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솔바디부는 첨두형(尖頭形)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세척용구.

KR1020160135470A 2016-10-19 2016-10-19 병세척용구 KR10196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70A KR101963887B1 (ko) 2016-10-19 2016-10-19 병세척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470A KR101963887B1 (ko) 2016-10-19 2016-10-19 병세척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11A KR20180042911A (ko) 2018-04-27
KR101963887B1 true KR101963887B1 (ko) 2019-04-01

Family

ID=6208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470A KR101963887B1 (ko) 2016-10-19 2016-10-19 병세척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531B1 (ko) 2023-01-18 2024-03-08 재단법인 한국환경측정분석원 오염토양 시료 채취용 병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969B1 (ko) * 2012-07-04 2014-04-18 오세우 젖꼭지 세척용 브러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mathosloreley.co.krfrontphpproduct.phpproduct_no=49&main_cate_no=40&display_group=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11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7262B2 (ja) 口又は歯清浄器具
US20210227961A1 (en) Cleaning devices having selectively flexible or rigid handles
US10694719B2 (en) Self-cleaning pet grooming scrub brush
JP2007068945A (ja) 流し台排水口用洗浄ブラシ
US8336156B1 (en) Baby bottle microfiber drying wand
US1758011A (en) Golf-ball washer
US6978507B2 (en) Bottle wash and dry device
KR101963887B1 (ko) 병세척용구
JP3722799B2 (ja) 哺乳瓶洗浄ブラシ
US20170127817A1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KR200447964Y1 (ko) 병세척구
KR100685173B1 (ko) 젖병세척용 실리콘 세척솔
JP5001312B2 (ja) 柄付き摺洗具
KR200462561Y1 (ko) 변기 세척 브러쉬
EP3020363B1 (en) Portable interdental brush
KR200463110Y1 (ko) 컵 닦이용 수세미
US20160051117A1 (en) Cleaning wand and cloth system
KR101840193B1 (ko) 세척용 솔
CN202636024U (zh) 可弯曲马桶刷
TWM576852U (zh) Sweeping appliance
NL2002794C2 (en) A device for cleaning drinking glasses.
US1570761A (en) Irrigated brush
KR200463212Y1 (ko) 전면에 돌기부가 부착된 클리너
KR200225412Y1 (ko) 젖병 바닥세척용 청소구
CN216147935U (zh) 一种刷头可更换的马桶刷及其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0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20

Effective date: 20190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