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867B1 -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 Google Patents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867B1
KR101962867B1 KR1020170012168A KR20170012168A KR101962867B1 KR 101962867 B1 KR101962867 B1 KR 101962867B1 KR 1020170012168 A KR1020170012168 A KR 1020170012168A KR 20170012168 A KR20170012168 A KR 20170012168A KR 101962867 B1 KR101962867 B1 KR 101962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lip
wire
engag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7740A (en
Inventor
황중보
홍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to KR102017001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867B1/en
Publication of KR2018008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7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8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의 고정 시 클립의 위치 변동이 없어 정확한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며, 구동부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핸들 슬라이더와, 상기 공간부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핸들 슬라이더 또는 상기 핸들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와이어 홀더와,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일단에 결합되는 아우터 시스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우터 시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시스와, 상기 와이어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이너 시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클립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e clip device that can be fixed at a precise position without any positional variation of the clip when the clip is fixed, and is simple and easy to operate. A handle member slidably movable in the space portion; a wire holder movably installed in the handle portion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handle slider or the handle portion; An inner sheath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nd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ath, a wire connected to the wire holder, a wire disposed inside the inner sheath, and a clip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The endoscope clip device comprising:

Description

내시경용 클립장치{CLIPPING DEVICE FOR ENDOSCOPE}[0001]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0002]

본 발명은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의 고정 시 클립의 위치 변동이 없어 정확한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며, 구동부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 device for an endoscope that can be fixed at a precise position without a change in position of the clip when the clip is fixed, and is simple and easy to operate.

내시경용 클립장치는 생체 조직을 지혈 및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내시경 의료기기로서, 위, 대장의 궤양으로 인한 동맥파열 등 체내 조직의 출혈과 관련된 모든 상황에서 클립을 통해 지혈하거나 천공 부위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클립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An endoscopic clip device is an endoscopic medical device used for hemostasis and suturing of living tissue. It is used for clipping through the clip or sealing the puncture site in all situations related to hemorrhage of body tissues such as arterial rupture due to stomach ulcer.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it is important to fix the clip in the correct position.

아래에서는, 도 1 내지 2c를 참고하여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1)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endoscope clip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C.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1)는 개략적으로 아우터 시스(10), 상기 아우터 시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시스(20), 상기 이너 시스(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30), 연결 훅(40), 베이스부(50), 슬라이더부(60) 및 아우터 받침(70)으로 이루어져 있다. 1, a conventional endoscope clip device 1 roughly includes an outer sheath 10, an inner sheath 20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ath 10, The connecting hook 40, the base portion 50, the slider portion 60,

상기 슬라이더부(60)는 베이스외통(62)과 슬라이더(64)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외통(62)의 외부에는 아우터 받침(70)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64)에는 상기 와이어(30)의 일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다. The slider portion 60 includes a base outer cylinder 62 and a slider 64. An outer base 70 is slidably support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e outer cylinder 62, (30) is connected and fixed.

상기 아우터 시스(10)의 일단은 아우터 받침(70)에 접속 고정되어 일체로 슬라이드 되며, 상기 베이스부(50)는 고정 베이스(52)와 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베이스(54)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 베이스(52)의 중앙에는 상기 이너 시스(20)의 일단이 접속 고정된다. One end of the outer sheath 1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outer support 70 and is slid integrally with the base 50. The base 50 includes a fixed base 52 and a rotary base 54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xed base 52 , And one end of the inner sheath (2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ixed base (52).

상기 회전 베이스(54)는 상기 슬라이더부(60)의 위치를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슬라이더부를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슬라이더부를 규제하지 않는 비규제 위치를 가진다. 이는,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The rotating base 54 has a regulating position f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he slider portion 60 and a non-regulating position for not regulating the slider portion. This is discussed in detail below.

상기 와이어(30)의 선단에 고정되는 연결 훅(40)은 상기 이너 시스(20)와의 협동에 의해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의 두 가지 상태를 취해 클립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connection hook 40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wire 30 takes two states, that is,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by cooperating with the inner sheath 20 so that the clips are engaged.

다음으로는, 도 2a 내지 2c를 참고하여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1)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endoscope clip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상기 슬라이더부(60)와 상기 아우터 받침(70)의 위치결정은 판스프링과 위치 결정홈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64)의 내부에는 판스프링(65)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50)에 형성된 위치 결정홈 53a, 53b, 53c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으로써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아우터 받침(70)의 내부에도 판스프링(75)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외통(62)에 형성된 위치 결정홈 63a 또는 63b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으로써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The positioning of the slider part (60) and the outer bearing (70) is performed by a leaf spring and a positioning groove. A leaf spring 65 is housed in the slider 64 and is positioned by resiliently engaging with one of the positioning grooves 53a, 53b, and 53c formed in the base portion 50. [ The leaf spring 75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bearing 70 and is positioned by resiliently engaging the positioning groove 63a or 63b formed in the outer base 62 of the base.

우선, 도 2a에 도시된 클립을 결합하기 위한 준비상태는, 상기 슬라이더의 판스프링(65)은 상기 위치 결정홈 53a에, 상기 아우터 받침의 판스프링(75)은 상기 위치 결정홈 63a에 걸려있는 상태로, 상기 연결 훅(40)은 상기 이너 시스(20)에 대해 돌출되어 열린 상태가 된다. 2A, the plate spring 65 of the slider is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groove 53a, and the plate spring 75 of the outer holder is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groove 63a The connection hook 40 protrudes from the inner sheath 20 and is opened.

다음은 도 2b에 도시된 클립을 결합하기 위한 단계로, 우선 상기 회전 베이스(54)를 상기 고정 베이스(52)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규제 위치로 설정한다. 규제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 베이스(54)의 외형이 상기 고정 베이스(52)의 외형의 일부와 서로 겹치지 않고 일부가 돌출된 상태가 되어, 상기 슬라이더부(60)를 상기 베이스부(50) 쪽으로 밀어넣는 경우 상기 고정 베이스(52)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가능하지만, 상기 회전 베이스(54)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가능하지 않다. 이에 따라, 클립을 상기 연결 훅(40)에 파지 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더부(60)를 상기 베이스부(50) 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상기 슬라이더부(60)는 상기 회전 베이스(54)에 당접해 슬라이드가 강제적으로 정지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판스프링(65)은 상기 위치 결정홈 53b에 걸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와이어(30)와 상기 와이어의 선단에 고정된 상기 연결 훅(40)은 상기 이너 시스(20)의 내부로 매몰되고, 상기 연결 훅(40)은 닫힌 상태가 되어 클립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립은 상기 이너 시스(2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The following is a step for engaging the clip shown in Fig. 2B. First, the rotating base 54 is rotated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ixed base 52 to set it as a regulating position. The outer shape of the rotating base 54 does not overlap with a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fixed base 52 and a part of the rotating base 54 protrudes to push the slider portion 60 toward the base portion 50 It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ase 52 but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rotary base 54. [ The slider 60 is supported on the rotation base 54 so that the slider 60 is slid toward the base 50. When the slider 60 is slid toward the base 50, The abutting slide is forcibly stopped, and the leaf spring 65 of the slider is caught in the positioning groove 53b. As a result, the wire 30 connected to the slider and the connection hook 40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wire are buried in the inner sheath 20, and the connection hook 40 is closed, . At this time, the clip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inner sheath 20.

다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클립장치를 신체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아우터 받침(70)을 클립 쪽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아우터 받침의 판스프링(75)이 상기 위치 결정홈 63b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아우터 받침(70)에 접속된 상기 아우터 시스(10)를 일체로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 시스(20)부터 클립까지 상기 아우터 시스(10)의 내부로 매몰될 수 있으며, 진입 후에는 다시 상기 아우터 받침(70)을 상기 슬라이더부(60) 쪽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아우터 받침의 판스프링(75)이 상기 위치 결정홈 63a에 걸리게 한다. Nex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by sliding the outer bearing 70 to the clip so as to insert the clip device into the body, the leaf spring 75 of the outer bearing is caught in the positioning groove 63b, The outer sheath 10 connected to the support 70 can be integrally slid forward. Accordingly, the inner sheath 20 can be buried in the inner sheath 10 from the inner sheath 20 to the outer sheath 10. After the inner sheath 10 is slid into the inner sheath 10, the outer sheath 70 is further slid toward the slider 60, So that the leaf spring 75 is caught in the positioning groove 63a.

상기와 같이 신체 내부로 진입한 후에는 상기 클립을 결착하기 위해 알맞은 위치에 상기 클립을 배치시킨다. 클립의 위치 조정이 끝났다면, 상기 회전 베이스(54)를 상기 고정 베이스(52)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비규제 위치로 설정한다. 비규제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 베이스(54)의 외형과 상기 고정 베이스(52)의 외형이 겹쳐 대략 동일 형상이 되므로, 상기 슬라이더부(60)를 상기 베이스부(50)쪽으로 밀어넣는 경우 상기 고정 베이스(52)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베이스(54)에 대해서도 슬라이드 가능하다. Af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body as described above, the clip is plac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for binding the clip. When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clip is completed, the rotation base 5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ixed base 52 to set the non-regulation position. Since the outer shape of the rotating base 54 and the outer shape of the fixed base 52 are overlapped and substantially the same in shape at the non-regulating position, when the slider portion 60 is pushed toward the base portion 50, (52) as well as the rotary base (54).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60)를 상기 베이스부(50) 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도 2c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슬라이더부(60)는 상기 고정 베이스(52)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베이스(54)까지 슬라이드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판스프링(65)이 상기 위치 결정홈 53c에 걸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30)가 상기 이너 시스(20)의 내부로 추가적으로 끌어 들여지고, 상기 클립까지 상기 이너 시스(20)의 내부로 매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훅의 닫힌 상태와 유사하게 상기 클립 또한 닫힌 상태가 되어 클립의 결착이 이루어진다. When the slider 60 is slid toward the base 50 as shown in FIG. 2C, the slider 60 slides not only to the fixed base 52 but also to the rotating base 54, The leaf spring 65 of the slider is caught in the positioning groove 53c. As a result, the wire 30 connected to the slider is further pulled into the inner sheath 20 and buried in the inner sheath 20 until the clip. Therefore, the clip is also closed as in the closed state of the connection hook, and the clip is engaged.

위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 클립을 결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이에 접속된 상기 와이어를 슬라이드시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클립을 상기 이너 시스의 내부로 매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process, in order to bond a conventional clip, a method of slidably pulling the slider portion and the wire connected thereto to bury the clip into the inner sheath is used.

하지만, 이와 같이 와이어의 후진 운동을 통해 클립을 결착함에 따라 상기 클립의 결착 시 위치 변동이 발생하여 결착 전 클립의 위치 조정 시에 후진되는 거리를 감안하여 본래 클립이 결착되어야 할 위치보다 더 깊은 곳에 클립을 위치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clip is tied through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wire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clip is changed at the time of the binding, so that the original clip is placed deep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clip is to be fastened The clip should be positione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ccurate position can not be easily found.

또한, 다수의 판스프링과 위치 결정홈을 포함하여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정 베이스 이외에 회전 베이스를 구비하여 작동 과정에 따라 알맞은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며, 상기 와이어는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아우터 시스는 아우터 받침을 통해 각각 움직여야 하므로 작동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to a complicated configur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leaf springs and positioning grooves, the rotary bas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base in addition to the fixed base, and rotated in an appropriate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cess. The wire is slid through the slider, Since each of them must be moved through the outer support,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립의 고정 시 클립의 위치 변동이 없어 정확한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며, 구동부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ip device for an endoscope that can be fixed at a precise position withou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lip when the clip is fixed, .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핸들 슬라이더와, 상기 공간부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핸들 슬라이더 또는 상기 핸들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와이어 홀더와,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일단에 결합되는 아우터 시스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우터 시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시스와, 상기 와이어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이너 시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클립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handle slider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 handle portion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space portion, An outer sheath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slider, an inner sheath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nd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ath, and a wire holder,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a clip to one end of the wire, the wire being disposed inside the inner sheath.

상기 와이어 홀더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와 상기 핸들 슬라이더에는 상기 돌출결합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홈 또는 제2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Wherein the wire holder includes a protruding engag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nd the handle slider have first and second engaging groove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respectively, Or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1 결합홈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가 상기 핸들부와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가 상기 핸들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부가 상기 와이어 홀더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recess, the wire holder moves integrally with the handle portion, and when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recess, So that the handle portion can slide relative to the wire holder.

상기 와이어 홀더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ire holde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내면에 상기 제2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1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2 결합홈이 형성된 곳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Wherein the wire holder is deformed by the handle slider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engaging groove is no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so that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 is retained in the engaged state with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can be retained in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상기 핸들부는, 일단에 상기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may include a holder supporting portion formed with the first coupling groove at one end thereof and supporting the wire holder.

또한,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홀더 지지부가 관통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뻗어나오는 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암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1 결합홈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wir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main body through which the holder supporting portion passes and an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wherein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arm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may be formed of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respectively.

상기 홀더 지지부와 상기 암부는 나란하게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홀더 지지부의 상기 각 암부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홀더 지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holder support portion and the arm portion are formed as a pair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engagement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holder support portion facing the arm portions,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holder support portion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ngag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at 36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로부터 뻗어나온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may include a handle ring formed at one end extending from the handle slider.

상기 핸들 슬라이더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slider may include a handl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공간부의 길이 이내로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may be restricted from sliding within a length of the space portion of the handle slider.

또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오는 한 쌍의 클립 암부와,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lip further includes a pair of clip arm portions extending in a widened form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protrude inward to face each other at the ends of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And a tightening ring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상기 연결부는 인장력이 가해지면 파단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broken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파단 부분을 감싸는 보호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protection tube surrounding the rupture part of the connection part.

또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되며, 플렉서블(flexible)한 한 쌍의 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and may include a pair of flexible bending portions.

또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되는 돌출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 연결부가 결합하기 위한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and a connection hol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lip for coupling the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따르면, 핸들부를 밀어넣으면 상기 핸들부에 접속된 이너 시스가 클립의 조임링을 전진 이동시켜 클립의 결착이 이루어짐으로써, 클립의 결착 시 클립의 위치 변동이 없어 정확한 위치에 고정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ndoscope clip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le portion is pushed in, the inner sheath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dvances the fastening ring of the clip to bind the clip, It is possible to fix the light emitting diode on the light emitting diode.

또한, 와이어 홀더가 핸들부 또는 핸들 슬라이더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홀더가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와 일체로 이동할 수도 있고, 상기 와이어 홀더가 상기 핸들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가 와이어 홀더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으므로, 하나의 핸들부로 이너 시스와 와이어를 모두 구동할 수 있어 구동부의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조작이 용이하다. Further, the wire holder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or the handle slider so that the wire holder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to move integrally with the handle portion, and the wire holder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slider, Since it is possible to move independently of the holder, both the inner and the wire can be driven by one handle portion,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portion is simple and the operation is easy.

또한,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홀더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핸들부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클립의 방향 결정이 가능하고, 다른 구조물은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Also, since the wire is connected by the wire holder so that the wire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the direction of the clip can be easily determined by operating the handle, and other structures are not affected by rot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a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7 내지 9는 연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3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일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도 3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일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연결부가 파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lip device for an endoscope.
FIG. 2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in FIG. 1; FIG.
FIG. 2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tate of FIG. 2A. FIG.
FIG. 2C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tate of FIG. 2A.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ndoscope cl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Fig. 3; Fig.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endoscope clip apparatus of Fig. 3;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ndoscope clip apparatus of Fig. 3;
Figs. 7 to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endoscope clip apparatus of Fig. 3;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endoscope clip apparatus of Fig. 3;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ng portion is broken;

이하, 본 발명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ndoscope cli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attached hereto.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elements reci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우선, 도 3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the structure of an endoscope cl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는 크게 클립부,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클립부의 조작이 가능한 시스부 및 상기 시스부에 연결되어 시스부의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ndoscope cl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lip portion, a sheath portion to which the clip portion can be operated by relative movement, and a dr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heath portion to drive movement of the sheath portion.

우선, 상기의 구동부는 핸들 슬라이더(100)와 핸들부(200) 및 와이어 홀더(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handle slider 100, a handle 200, and a wire holder 300.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클립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손잡이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02)의 양측은 손잡이부(102)의 몸통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02)를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The handle slider 100 has a space formed therein to form a body of a clip device. A handle 102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100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handle 102 ar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body of the handle 102 so that the handle 102 can be held easily by hand.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내면에는 후술할 바와 제2 결합홈(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 second engaging groove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1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핸들부(200)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공간부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200)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공간부 내에서부터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외부로 뻗어나오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핸들부(2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후술할 와이어 홀더(300)가 설치된다. The handle portion 200 is install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space portion of the handle slider 100. Specifically, the handle portion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from the space portion of the handle slider 100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slider 100, and the handle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handle 4, a hol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may be formed. A wire hold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 the hole.

또한, 상기 핸들부(200)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로부터 뻗어나오는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 고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핸들 고리(202)를 잡아 상기 핸들부(200)를 용이하게 앞뒤로 전,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200 may include a handle ring 202 formed at one end extending from the handle slider 100. Accordingly, the user can grip the handle ring 202 by hand and move the handle unit 200 forward and backward easily.

이때, 상기 핸들부(200)의 일부 외면에는 상기 핸들부(200)가 약한 힘에 의해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 friction groove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200 to prevent the handle 200 from moving relative to the handle slider 100 by a weak force.

아래에서는, 도 3을 기준으로 아래측, 즉 클립(800)이 형성된 측을 전방으로, 상측, 즉 핸들 고리(202)가 형성된 측을 후방으로 정하여, 상기 핸들부(200)를 밀어 넣는 것을 전진, 상기 핸들부(200)를 당기는 것을 후진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following, the pushing of the handle portion 200 is advanced by setting the lower side on the basis of Fig. 3, that is, the side where the clip 800 is formed forward and the upper side, that is, the side where the handle ring 202 is formed, , And pulling the handle portion 200 will be described as backward movement.

상기 핸들부(200)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공간부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되, 상기 공간부의 길이 이내로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200 is slidable in the space portion of the handle slider 100, but the slide movement can be restricted within the length of the space portion.

즉, 상기 핸들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클립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That is, the handle part 200 can move backward as far as possible as shown in FIG. 4, and can move forward as far as possible as shown in FIG.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i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도 5 및 6을 참고하여 상기 와이어 홀더(300)를 살펴보면, 상기 와이어 홀더(300)는 상기 핸들부(200)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 또는 상기 핸들부(2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5 and 6, the wire holder 300 is relatively movably installed in the handle 200, and the handle slider 100 or the handle 200 is relatively movable. (200). ≪ / RTI >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홀더(300)는 돌출결합부(360)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200)와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에는 상기 돌출결합부(360)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 결합홈(222) 및 제2 결합홈(1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결합부(360)는 상기 제1 결합홈(222) 또는 제2 결합홈(1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wire holder 300 includes a protruding engaging portion 360. The handle portion 200 and the handle slider 100 are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recess 360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360,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36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recess 222 or the second engaging recess 120. [

이에 따라, 상기 돌출결합부(360)가 상기 제1 결합홈(222)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300)가 상기 핸들부(200)와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돌출결합부(360)가 상기 제2 결합홈(12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300)가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부(200)가 상기 와이어 홀더(30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홀더(300)는 상기 핸들부(20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The wire holder 300 moves integrally with the handle 200 when the protruding engaging part 360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groove 222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art 360 The wire holder 300 is fixed to the handle slider 100 so that the handle 200 is slidably moved relative to the wire holder 300 when the wir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do. The wire holder 300 is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handle 200.

아래에서는, 본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와이어 홀더(300)와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 또는 상기 핸들부(200)와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coupling the wire holder 300 with the handle slider 100 or the handl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상기 핸들부(200)는, 일단에 제1 결합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홀더(300)를 지지하는 홀더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부(220)는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20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홀 내에 설치되며,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홀더(3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지지, 설치될 수 있다. The handle part 200 may include a holder support part 220 having a first coupling groove 222 at one end thereof and supporting the wire holder 300. Specifically, the holder supporting part 220 is provided in a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200 and is formed into a rod shape so that the wire holder 300 can be slidably fitted, have.

본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홀더 지지부(220)는 상기 핸들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 지지부(220)로 이루어져 있다. The holder support 220 includes a pair of holder supports 220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200.

또한, 상기 와이어 홀더(300)는, 상기 홀더 지지부(220)가 관통하는 본체(320) 및 상기 본체(320)로부터 뻗어나오는 암부(3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결합부(360)는 상기 암부(340)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결합홈(222)과 상기 제1 결합홈(222)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 돌출부(362) 및 제2 돌출부(364)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ire holder 300 further includes a main body 320 through which the holder supporting portion 220 passes and an arm portion 340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320.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360 may be formed of a non- A first protrusion 362 and a second protrusion 364 protruding from opposite ends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222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222 at one end of the arm portion 34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본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320)는 상기 한 쌍의 홀더 지지부(220)가 관통하도록 2개의 홀이 형성된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암부(340) 또한 상기 한 쌍의 홀더 지지부(22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핸들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암부(340)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암부(340)는 상기 본체(320)의 양단부에서 뻗어나와 상기 한 쌍의 홀더 지지부(220)의 바깥쪽(반경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320 is formed of a member having two holes such that the pair of holder supporting portions 220 pass therethrough, and the arm portion 340 is also connected to the pair of holder supporting portions 220 And a pair of arm portions 340 that ar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00. Particularly, the pair of arm portions 340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main body 320 and are located outside (radially outward) of the pair of holder supporting portions 220.

상기 제1 결합홈(222)은 상기 홀더 지지부(220)의 일단에 상기 제1 돌출부(36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각 홀더 지지부(220)의 상기 각 암부(34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The first engaging recess 22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lder supporter 2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362. The first engaging recess 222 is formed to face the arm portions 340 of the holder supporter 220 Plane.

또한, 상기 제2 결합홈(120)은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돌출부(36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핸들부(200)와 이에 결합된 와이어 홀더(300)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제2 돌출부(364)가 상기 제2 결합홈(1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결합홈(120)은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길이방향 중 일정 위치에 형성되되, 형성 위치는 또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second engaging recess 1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100 and may be formed at 36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364. [ This is to allow the second projection 364 to engage with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handle 200 and the wire holder 300 coupled thereto, We will explain in detail below.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slider 100,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특히, 상기 와이어 홀더(30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홀더(300)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내면에 상기 제2 결합홈(120)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1 결합홈(222)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2 결합홈(120)이 형성된 곳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홈(12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wire holder 3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wire holder 300 is deformed by the handle slider 100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20 is no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100, The first engaging groove 222 is retained in a state where it is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recess 120. When the second engaging recess 120 is formed, the first engaging recess 220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 홀더(300), 특히 상기 한 쌍의 암부(340)가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암부(340)가 휘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길이방향 중 상기 제2 결합홈(120)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내면에 의해 상기 암부(340)가 핸들부(200)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휘어지는 힘을 받아 상기 암부(340)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1 돌출부(362)가 상기 제1 결합홈(222)에 결합되어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홀더(300)는 상기 핸들부(200)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되는 상태이다. Specifically, since the wire holder 300, particularly the pair of arm portions 34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arm portion 340 can be bent, and accordingly,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andle slider 100 The arm portion 340 receives the force that the arm portion 340 is bent in the inner side radi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00 by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100 at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20 is not formed, The first protrusion 362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22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groove 222. [ That is, the wir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andle unit 200 and is moved integrally.

반면에,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길이방향 중 일정 위치에 상기 제2 결합홈(120)이 형성된 위치에서는 상기 암부(340)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2 돌출부(364)가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결합홈(120)에 결합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돌출부(362)는 상기 제1 결합홈(222)에서 빠져나와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즉, 상기 와이어 홀더(300)는 상기 핸들부(200)와의 고정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와 고정 결합하게 되어 상기 핸들부(200)의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다만, 이때에도 상기 핸들부(200)의 회전에는 영향을 받아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engaging recess 1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slider 100, the second protrusion 364 formed at the end of the arm portion 340 is elastically restored The first protrusion 362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engaging recess 222 and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state. That is, the wire holder 300 is disengaged from the handle portion 200 and fixedly coupled with the handle slider 100, so that the wire holder 300 is not affected by the movement of the handle portion 200. At this time, however, it is affec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200 and is rotated integrally.

다음으로, 상기의 시스부는 크게 아우터 시스(400), 이너 시스(500) 및 와이어(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the sheath portion may include an outer sheath 400, an inner sheath 500, and a wire 600.

상기 아우터 시스(400)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끝단에서 전방으로 뻗어나간다. 상기 아우터 시스(400)는 가요성을 가지는 중공의 긴 튜브형으로 형성되며, 본 일 실시 예에서는 코일 튜브로 이루어지고 있다. The outer sheath 4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slider 100 and extends forward from the end of the handle slider 100. The outer sheath 400 is formed as a hollow long tubular shape having flexibility, and is formed of a coil tube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아우터 시스(400)의 끝단에는 강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아우터 파이프팁이 형성될 수도 있다. An outer pipe tip formed of a rigid material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outer sheath 400.

상기 이너 시스(500)는, 상기 핸들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아우터 시스(4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너 시스(500)는 상기 핸들부(200)의 일단에 접속되어 일체로 전, 후진 운동할 수 있다. The inner sheath 500 is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200 and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ath 400. The inner sheath 5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andle part 200, I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이너 시스(500)는 가요성을 가지는 중공의 긴 튜브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코일 튜브로 이루어지고 있다. The inner sheath 500 may be formed as a hollow long tube having flexibilit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sheath 500 is formed of a coil tube.

상기 이너 시스(500)는 상기 아우터 시스(4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아우터 시스(40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즉, 상기 핸들부(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너 시스(500)가 일체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며, 상기 이너 시스(500)의 전단이 상기 아우터 시스(40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아우터 시스(4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 시스(500)는 상기 아우터 시스(40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sheath 500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inner sheath 400 and is slidable within the outer sheath 400. That is, the inner sheath 50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integrally with the handle 20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200, and the front end of the inner sheath 50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ath 400, And may be arrang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heath 400. For this, the inner sheath 500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sheath 400.

또한, 상기 이너 시스(500)의 끝단에는 강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이너 파이프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 파이프팁은 상기 이너 시스(50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 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Also, an inner pipe tip formed of a rigid material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inner sheath 500. Accordingly, the inner pipe tip can facilitate the inner sheath 500 to move easily when moving forward or backward.

상기 와이어(600)는, 상기 와이어 홀더(300)와 연결되며 상기 이너 시스(5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와이어(600)는 상기 와이어 홀더의 본체(320)에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홀더 지지부(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홀더(300)와 일체로 전, 후진 운동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와이어 홀더(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600)도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The wire 600 is connected to the wire holder 300 and is disposed inside the inner sheath 500. The wire 600 is connected to the body 320 of the wire holder 600, And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wire holder 300 integrally. Further, as the wire holder 300 rotates, the wire 600 also rotates integrally.

상기 와이어(600)는 가요성을 가지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시스(5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너 시스(50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와이어(600)는 상기 이너 시스(50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re 600 is made of a flexible wire and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inner sheath 500 and can slide within the inner sheath 500. The wire 600 is preferably longer than the inner sheath 500.

다음으로, 상기의 클립부는 연결부(700)와 클립(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the clip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700 and a clip 800.

상기 연결부(700)는 상기 와이어(600)의 일단에 클립(80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700)는 인장력이 가해지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700)는 제1 연결부(720)와 제2 연결부(74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700)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연결부(720)와 제2 연결부(740)로 파단 가능하다. The connection unit 700 connects the clip 800 to one end of the wire 6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unit 700 is broken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hereto. 4, the connection unit 7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unit 720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740.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unit 700, the first connection unit 72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740 And can be broken by the connecting portion 740.

상기 제1 연결부(720)와 제2 연결부(740)는 각각 상기 와이어(600)의 끝단과 상기 클립(800)의 끝단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7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740 may be integrally joined to the end of the wire 600 and the end of the clip 800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제2 연결부(740)는 파단을 위해 상기 제1 연결부(720)와 대향하는 측에 원뿔의 상단 일부를 자른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740 may be formed by cutting a top portion of the cone at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720 for breaking.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700)는 연결부의 파단 부분을 감싸는 보호 튜브(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부(700)의 파단에 의해 뾰족한 부분이 발생하여 신체 내부에 위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 튜브(760)는 상기 제2 연결부(74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on unit 70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tube 760 surrounding the broken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This is to prevent a sharp portion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breakage of the connection portion 700 and to increase the risk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this, the protection tube 760 is preferably fix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740.

또한, 도 8a 및 8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1700)를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1700)는 상기 와이어(600)의 끝단에 결합되며, 플렉서블(flexible)한 한 쌍의 밴딩부(17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A and 8B, the connecting portion 1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1700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600, and a pair of flexible (Not shown).

상기 한 쌍의 밴딩부(172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800)의 일단부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을 향해 밴딩(bending) 가능하며, 또한 일정한 강도를 가져 클립(800)이 결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연결부(1700)를 당기는 힘, 즉 상기 클립(800)이 병변 부위에 결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700)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져 일정한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밴딩부(1720)가 원래대로 펴지며 상기 클립(800)의 결합 상태가 풀어져 상기 클립(800)이 탈락될 수 있다.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1720 may bend toward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to engage one end of the clip 800 as shown in FIG. 8B, ) May be fixed. However, when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700 to pull the connecting portion 1700 backward, that is, when the clip 800 is tied to the lesion, a certain amount of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700,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1720 are unfolded and the clip 800 is loosened so that the clip 800 can be removed.

또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2700)를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2700)는 상기 와이어(600)의 끝단에 결합되는 돌출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800)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 연결부가 결합하기 위한 연결홀(802)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connecting portion 2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600, A connection hole 802 for coupling the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 연결부는 상기 클립(800)을 결합하기 위한 방향으로는 상기 연결홀(802)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으나, 상기 클립(800)이 탈락되는 방향으로는 상기 연결홀(802)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형성되되,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연결홀(802)에 결합된 것이 빠져 상기 클립(800)이 탈락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protruding connection part can easily enter the connection hole 802 in a direction for coupling the clip 800, but the protrusion connection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80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lip 800 is disengaged The clip 800 can not be easily pulled out.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he clip 800 is not engaged with the connection hole 802, so that the clip 800 can be dropped.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클립(800)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클립(800)은 상기 연결부(700)를 통해 상기 와이어(600)의 단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800)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오는 한 쌍의 클립 암부(820)와,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840) 및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86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clip 80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6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700. Referring to FIG. Specifically, the clip 800 includes a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extending in a widened form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a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protruding inward facing each other at the ends of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And a tightening ring 860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rip portion 840 and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는 대략 U자의 형상을 이루어 나란하게 형성되다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지며 뻗어나오는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and ar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are formed of a metal plate or the like having elasticity.

이때, 상기 각 암부(820)에는 조직을 과도하게 집었을 때 조직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을 형성함으로써, 조직을 과도하게 집었을 때에도 클립의 결착이 잘 안되거나 다시 벌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결착력이 좋아질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arm portions 820 may be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issue can be extracted when the tissue is excessively picked up. By forming the hol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ip from being easily or not reapplied even when the tissue is picked up excessively, so that the binding force can be improved.

상기 조임링(860)은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 상에서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폭이 다양한 링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조임링(860)이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에 대해 후방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가 열린 상태가 되며,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는 닫힌 상태가 된다. The tightening ring 860 is disposed on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and may be formed of metal, and is generally ring-shaped in various widths. When the tightening ring 860 is position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are opened, and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are moved forward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are closed.

상기 파지부(840)는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가 닫힌 상태가 될 때 서로 맞물리게 된다. 하나의 파지부에는 일정 모양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파지부에는 그에 대응하는 일정 모양으로 홈이 파인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서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rip portions 840 are formed so as to project inward to oppose each other at the ends of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and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are closed . It is preferable that a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one grip portion and a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grip portion in the other grip por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다음으로는, 도 4 및 도 10 내지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가 생체 조직을 지혈 또는 봉합하기 위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s. 4 and 10 to 14, a procedure in which an endoscope cl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to hemostasis or seal a living tissue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4를 참고하여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신체 내부로 진입하기 위한 상태를 살펴본다. First, a state for entering the endoscope clip device into the bod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상기 핸들부(200)가 최대한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부(200)와 와이어 홀더(300)에 각각 연결된 상기 이너 시스(500)와 와이어(600)가 최대한 후방으로 당겨져 상기 아우터 시스(4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아우터 시스(400)가 상기 이너 시스(500)부터 상기 클립(800)까지 모두 감싸게 된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handle 200 is retracted as far as possible and the inner sheath 500 and the wire 600 connected to the handle 200 and the wire holder 300, respectively,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outer sheath 400. That is, the outer sheath 400 is entirely wrapped from the inner sheath 500 to the clip 800.

이때,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내면에는 상기 제2 결합홈(120)이 형성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 홀더(300)의 제1 돌출부(362)는 상기 홀더 지지부(220)의 제1 결합홈(22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홀더(300)가 상기 핸들부(200)와 결합되어 일체로 전, 후방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Since the second engaging recess 120 is no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100 at this time, the first protrusion 362 of the wire holder 300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recess of the holder supporter 220, The wire holder 300 is coupled with the handle unit 200 and is capable of moving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handle unit 200. [

또한, 상기와 같이 핸들부(200)와 와이어 홀더(300)는 서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이너 시스(500)와 와이어(60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이너 시스(500)가 와이어(600)에 대해 전방으로 밀리지 않으므로 상기 클립의 조임링(860)이 전방으로 밀리면서 클립(800)을 결착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Since the handle 200 and the wire holder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s of the inner sheath 500 and the wire 600 are relatively fixed, So that the tightening ring 860 of the clip is pushed forward and the clip 800 is not caught.

이와 같은 상태로 클립장치가 신체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진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such a state, the clip device enters the inside of the body, so that it is possible to enter the clip device more safely and easily.

다음으로는, 도 10 및 11을 참고하여 클립장치가 신체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 클립(800)이 상기 아우터 시스(4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Next, a state in which the clip 80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heath 400 after the clip device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bod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상기와 같이 신체 내부로 진입이 끝났으면, 상기 클립(800)을 신체 내부의 병변 부위에 결착시키기 위해 상기 클립(800)의 위치를 알맞게 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클립(800)이 아우터 시스(400)의 외부로 돌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핸들부(200)를 전방으로 전진시켜야 한다. Once the entry of the clip 800 into the body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clip 800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order to bind the clip 800 to a lesion site inside the body. In order to do this, the clip 800 mus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heath 400, and the handle unit 200 should be advanced forward.

이때, 상기 핸들부(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다 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내면에 길이방향 중 일정 위치에 제2 결합홈(120)이 형성된 곳이 나오게 되며, 상기 제2 결합홈(120)이 형성된 곳에서는 상기 한 쌍의 암부(3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 홀더(300)의 제1 돌출부(362)가 상기 제1 결합홈(222)으로부터 빠지며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와이어 홀더(300)의 제2 돌출부(364)가 상기 제2 결합홈(120)에 결합하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handle 200 is moved forward,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100,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362 of the wire holder 300 is pulled out of the first engagement groove 222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pair of arm portions 340 at the place where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20 is formed, And the second protrusion 364 of the wire holder 300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홀더(300)가 상기 핸들부(200)와 일체로 이동하던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홀더(300)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핸들부(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핸들부(200)만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The wire holder 300 is fixedly coupled to the handle slider 100 and the handle portion 200 is moved forwardly in the state in which the wire holder 300 is mov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portion 200. [ Only the handle unit 200 is moved.

다만, 상기 와이어 홀더의 본체(320)는 상기 핸들부(200)의 홀더 지지부(220)를 관통하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 홀더(300)가 상기 핸들부(200)와 일체로 전, 후방 이동할 순 없더라도 일체로 회전은 가능하다. Since the main body 320 of the wire holder is installed to be slidable through the holder supporting portion 220 of the handle portion 200, the wire holder 3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portion 200 Even if you can not move backward or forward, it is possible to rotate as a whole.

이를 위해, 특히 상기 제2 결합홈(120)은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제2 결합홈(120)은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내면 중 도 11과 같이 상기 클립(800)이 상기 아우터 시스(4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800), 즉 상기 클립(800)과 연결된 와이어(6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1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distance of 360 degrees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100 The clip 80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lip 800 can be fixed to the wire 600 connected to the clip 800 in a state where the clip 80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outer sheath 400 .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목적 위치에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가 위치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핸들부(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 홀더(300) 및 와이어(6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클립(800)의 방향 또한 알맞게 조정할 수 있다. The clip arm portion 820 is positioned at the target position in such a state and the clip portion 800 connected to the wire holder 300 and the wire 600 by rotating the handle portion 200 ) Can also be adjusted appropriately.

다음으로, 도 12 및 13을 참고하여 상기 클립(800)이 결착되는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Next, a state in which the clip 800 is attach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FIG.

상기와 같이 클립(800)의 위치 조정이 모두 끝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200)를 최대한 전방으로 밀어 넣어 이에 연결된 상기 이너 시스(500)가 핸들부(200)와 함께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12, when the handle 800 is pushed forward as far as possible, the inner sheath 500 connected to the handle 200 is moved to the maximum extent together with the handle 200 as shown in FIG. Move forward.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홀더(300)의 제2 돌출부(364)는 상기 제2 결합홈(120)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와 고정되어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으며 상기 핸들부(200)만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Since the second protrusion 364 of the wir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20 and fixed to the handle slider 100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ve slide movement is performed.

또한, 상기 핸들부(200)의 끝단에는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의 끝단에는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같은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200)를 최대로 밀어 넣었을 때 안정감있게 멈출 수 있다. A protruding stopper is formed at an end of the handle portion 200. A groove having the sam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is formed at an end of the handle slider 100 facing the handle portion 200, It can be stopped in a stable manner.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600)와 이에 연결된 클립(800)은 움직이지 않으며 상기 핸들부(200)와 이에 접속된 이너 시스(50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너 시스(500)가 상기 클립의 조임링(860)과 맞닿아 상기 조임링(860)을 전방으로 밀고 가면서 상기 이너 시스(500)가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를 닫힌 상태로 만들어 클립을 결착시키게 된다. The wire 600 and the clip 800 connected to the wire 600 do not move and the inner sheath 500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200 moves forward, When the inner sheath 500 is moved forward as far as the clamping ring 860 is pushed forward by pushing the tightening ring 860 forward,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are closed So that the clip is engaged.

상기와 같이 와이어는 그대로 위치한 상태에서 이너 시스를 전진 이동시켜 클립을 결착함에 따라 결착 시 처음 클립이 위치한 자리에서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결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결착 위치의 결정이 용이하며 정확한 위치에 클립을 결착할 수 있다. As the wire is left as it is, as the clip is fastened by advancing the inner sheath, the first clip can be fastened without moving at the place where the first clip is located. Therefore, the binding position can be easily determined and the clip can be stuck at the correct position.

또한,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820)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탄성을 이용하여 일정 구간 내, 즉 상기 이너 시스(500)를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조임링(860)을 조절할 수 있는 구간 내에서는 클립 암부를 닫았다 펴는 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처음 위치 설정에 실패하여도 다시 재결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clip arm portions 820 are formed to have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ightening ring 860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without moving the inner sheath 500 as far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close and expand the clip arm portion in the section, so that even if the initial position setting fails, reattachment is possible.

마지막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800)을 알맞게 결착시킨 후 상기 핸들 슬라이더(10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클립이 병변 부위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연결부(700)에 인장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700)의 파단, 즉 상기 제1 연결부(720)와 제2 연결부(740)로 분리가 이루어지며 클립(800)은 그대로 위치시킨 채 내시경용 클립장치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14, when the clip 800 is properly fastened and then the handle slider 100 is pulled backward, the clip is fixed to the lesion site, and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700 The end portion of the clip 7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7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740 so that the end clip device can be pulled out while the clip 800 is left as it is.

본 발명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따르면, 핸들부의 전진 이동을 통해 클립의 결착이 이루어짐으로써 결착 시 클립의 위치 변동이 없어 정확한 위치에 결착이 가능하며, 하나의 핸들부로 구동이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 과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ndoscope cli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ip is fastened through the forward movement of the handle portion, there is no positional variation of the clip at the time of fastening and binding at the correct position is possible. And the process is easy.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and descrip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핸들 슬라이더 102: 손잡이부
120: 제2 결합홈 200: 핸들부
202: 핸들 고리 220: 홀더 지지부
222: 제1 결합홈 300: 와이어 홀더
320: 본체 340: 한 쌍의 암부
360: 돌출결합부 362: 제1 돌출부
364: 제2 돌출부 400: 아우터 시스
500: 이너 시스 600: 와이어
700: 연결부 720: 제1 연결부
740: 제2 연결부 760: 보호 튜브
800: 클립 802: 연결홀
820: 한 쌍의 클립 암부 840: 파지부
860: 조임링 1700: 연결부
1720: 한 쌍의 밴딩부 2700: 연결부
100: handle slider 102: handle portion
120: second coupling groove 200: handle portion
202: handle collar 220: holder support
222: first coupling groove 300: wire holder
320: main body 340: a pair of arm portions
360: protruding engaging portion 362: first protruding portion
364: second protrusion 400: outer sheath
500: Inner sheath 600: Wire
700: connection part 720: first connection part
740: second connection part 760: protective tube
800: Clip 802: Connection hole
820: a pair of clip arm portions 840:
860: tightening ring 1700: connection
1720: a pair of bending parts 2700:

Claims (17)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핸들 슬라이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 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핸들 슬라이더 또는 상기 핸들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와이어 홀더;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일단에 결합되는 아우터 시스;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우터 시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시스;
상기 와이어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이너 시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클립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와 상기 핸들 슬라이더에는 상기 돌출결합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홈 또는 제2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A handle slider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 handle portion slidably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A wire holder install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handle portion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handle slider or the handle portion;
An outer sheath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slider;
An inner sheath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nd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ath;
A wire connected to the wire holder and disposed inside the inner sheath; And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a clip to one end of the wire,
Wherein the wire holder includes a projecting engagement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and the handle slider have first and second engaging groove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groove or the second engaging groov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1 결합홈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가 상기 핸들부와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가 상기 핸들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부가 상기 와이어 홀더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groove, the wire holder moves integrally with the handle portion,
Wherein when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groove, the wire holder is fixed to the handle slider so that the handle portion slides relative to the wire hol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re hold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내면에 상기 제2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1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2 결합홈이 형성된 곳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re holder is deformed by the handle slider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engaging groove is no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so that the projecting engaging portion is retained in the engaged state with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is retained in a state where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일단에 상기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 지지부;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holder support portion hav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supporting the wire holder;
And the endoscope clip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홀더 지지부가 관통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뻗어나오는 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결합부는 상기 암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1 결합홈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ire holder includes:
A main body through which the holder supporting portion passes; And
And an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Wherein the protruding engaging portion is formed of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opposite ends of the first engaging recess and the first engaging recess at one end of the arm portion, respective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와 상기 암부는 나란하게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홀더 지지부의 상기 각 암부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홀더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older support portion and the arm portion are formed as a pair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engagement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holder support portion facing the arm portions,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holder supporting portion of the endosco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홈은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at 36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로부터 뻗어나온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 고리;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ring formed at one end extending from the handle slider;
And the endoscope clip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슬라이더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slider
A grip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slid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endoscope clip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 슬라이더의 공간부의 길이 이내로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limited in sliding movement within a length of the space portion of the handle sli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오는 한 쌍의 클립 암부;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클립 암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
을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lip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clip,
A pair of clip arm portions extending in a widened form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 grip portion protruding inwardly opposite to each other at an end of the pair of clip arm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tightening ring for adjus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ir of clip arms;
And the endoscope clip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인장력이 가해지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broken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hereto.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파단 부분을 감싸는 보호 튜브;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necting portion
A protective tube surrounding the rupture part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endoscope clip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되며, 플렉서블(flexible)한 한 쌍의 밴딩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pair of flexible bending portions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되는 돌출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 연결부가 결합하기 위한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And one end of the clip is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for coupling the protruding connection portion.
KR1020170012168A 2017-01-25 2017-01-25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KR1019628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168A KR101962867B1 (en) 2017-01-25 2017-01-25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168A KR101962867B1 (en) 2017-01-25 2017-01-25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40A KR20180087740A (en) 2018-08-02
KR101962867B1 true KR101962867B1 (en) 2019-03-28

Family

ID=6325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168A KR101962867B1 (en) 2017-01-25 2017-01-25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8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128B1 (en) * 2019-01-04 2020-12-04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KR20220149790A (en) 2021-04-23 2022-11-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ndoscope clip and its detection system using a hall sensor
KR102441389B1 (en) * 2022-01-28 2022-09-13 유정선 Hemostatic clip for endoscop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767A (en) 1999-10-18 2001-04-24 Olympus Optical Co Ltd Ligator for endoscope
JP2002224124A (en) 2001-02-06 2002-08-13 Olympus Optical Co Ltd Ligating device
JP3523712B2 (en) * 1995-04-13 2004-04-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Ligation device
JP2014138637A (en) 2013-01-21 2014-07-31 Sumitomo Bakelite Co Ltd Clip 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3712B2 (en) * 1995-04-13 2004-04-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Ligation device
JP2001112767A (en) 1999-10-18 2001-04-24 Olympus Optical Co Ltd Ligator for endoscope
JP2002224124A (en) 2001-02-06 2002-08-13 Olympus Optical Co Ltd Ligating device
JP2014138637A (en) 2013-01-21 2014-07-31 Sumitomo Bakelite Co Ltd Clip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40A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2451B1 (en) Clip apparatus for ligaturing living tissue
JP5198010B2 (en) Suture clasp with relaxation mechanism
JP5329058B2 (en) Suture fastening system with strain relief
US10966711B2 (en) Suture clip deployment devices
RU2597771C2 (en) Improved clip advancer
KR101962867B1 (en)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US20140336677A1 (en) Endoscopic purse string surgical device
BR122015008496A2 (en) ENDOSCOPIC SUTURE SYSTEM
KR101816631B1 (en)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TWI556786B (en) Laparoscopic surgery of the suture and knotting integration device and related surgery with the knot composition
BR112014014681B1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to apply a plurality of surgical staples to the tissue
JPWO2004082488A1 (en) Clip and biological tissue clip device
JP6158206B2 (en) Suture device
US9693769B2 (en) Suture device
JP2020054833A (en) Devices for minimally invasive suturing
KR102115491B1 (en)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JP2012501227A (en) Perforating and closing stapling device
JP5977896B2 (en) Thread fixing system
JP2006055287A (en) Clip and clip apparatus
JP2019501685A (en) Laparoscopic suturing device with stripper plate
RU2723729C1 (en) Surgical device for tissue closure
JP2004305231A (en)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KR102187128B1 (en)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KR101419116B1 (en) Knotting device for continuous suturing instrument
CN114126499A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