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24B1 -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 Google Patents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24B1
KR101959524B1 KR1020180112066A KR20180112066A KR101959524B1 KR 101959524 B1 KR101959524 B1 KR 101959524B1 KR 1020180112066 A KR1020180112066 A KR 1020180112066A KR 20180112066 A KR20180112066 A KR 20180112066A KR 101959524 B1 KR101959524 B1 KR 10195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ocaine
iontophoresis
cataplasma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Priority to KR102018011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24B1/en
Priority to PCT/KR2019/006048 priority patent/WO202005999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anesthetizing a local area by making lidocaine permeate into skin by applying iontophoresis to the lidocain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taplasma patch, a conductive cream, and an ion application device.

Description

리도카인을 포함한 이온토포레시스용 점착성 카타플라스마 시스템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0001]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0002]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의 원리를 이용하여 약물을 피부로 침투시키기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국소 마취를 위한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를 만드는 것과, 이온 도입장치 및 전도성 크림을 이용하여 위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의 리도카인을 피부 통증이나 발적 현상 없이 피부 속으로 단 시간 내에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nfiltrating a drug into the skin using the principle of iontophoresi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lidocaine cataplasma for local anesthesia, and a method for delivering lidocaine from a ureidocaine cataplasma to a skin in a short time without causing skin pain or fever using an ion introducing device and a conductive cream .

[국소 마취][Local anesthesia]

주사를 통한 약물 투여는 병원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법이지만,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피부가 약한 사람들에게는 매우 아프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될 수 있다. 또한 병원 시술 중에는 수면 마취가 아닌 부분적 마취가 적절한 시술들이 있는데, 이러한 시술에서 필요 이상의 마취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들이 적용되면 환자 입장에서 불편할 수 있다.Drug-medication is a technique often used in hospitals, but it can be very painful and stressful for children, elderly people or people with weak skin. In addition, during hospitalization, partial anesthesia rather than sleep anesthesia is appropriate. If methods that provide unnecessary anesthesia time are applied in these procedures, it may be inconvenient for the patient.

즉 간편하지만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시술에 대해서는 짧은 시간 동안 특정 부위에 국소 마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환자 입장에서 편리하고 아주 효과적인 마취 기법이 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convenient and highly effective anesthesia technique to apply local anesthesia system to a specific site for a short period of time for simple but painful procedures.

본 발명은 리도카인을 이용한 국소 마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리도카인을 마취가 필요한 특정 부위에 도포한 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킴으로써 국소 마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l anesthesia system using lidocain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local anesthesia by applying lidocaine to a specific site requiring anesthesia and infiltrating into the skin.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경피투여 방식은 약물에 따라 피부침투력이 부족해 유효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온성, 약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약물을 경피투여할 때 약물의 효과적인 피부침투를 유도하고자 전기적 추진력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예컨대 이온토포레시스, 일렉트로오스모시스, 일렉트로포레이션 등이 약물분자나 약물을 포함한 용매분자의 이온을 전류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The transdermal administration method may be limited in its effectiveness due to the lack of penetration of the skin depending on the drug. To compensate for this, there is a method of using electrical propulsion to induce effective penetration of the drug into the skin when an ionic, ionic or nonionic drug is transdermally administered. For example, iontophoresis, electro-osmosis, and electroporation are methods for current-transferring ions of solvent molecules including drug molecules and drugs.

전기적 추진력을 이용하는 방법 중에는 이온토포레시스가 가장 대표적인데, 이는 (+) 극과 (-) 극 사이에서의 전류의 흐름에 있어서 이온을 띤 분자에 같은 전하를 부여하여 약물을 보다 빠르게 피부 속으로 전달시키는 방법이다. Iontophoresis is one of the most popular methods of using electrical thrust force because it gives the same charge to ionic molecules in the flow of current between the (+) and (-) poles, .

이온토포레시스는 이온화된 약물을 전류의 흐름에 따라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는 원리이므로 이온토포레시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뿐 아니라, 그 효율의 향상을 위해 전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전해액도 요구된다. Iontophoresis is a principle that penetrates ionized drug into the skin according to current flow.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iontophoresis, not only the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ity but also the current flow can be smoothly An electrolyte solution is also required.

1970년대에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약물의 경피투여 방법이 소개된 이래로 미국특허 제 4,842,577호, 미국특허 제 5,084,0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0112420호 등에서 이온토포레시스에 적합한 전기 발생 장치 또는 전해액 조성물 등이 제안되어 왔다.Since the introduction of a transdermal drug delivery method using iontophoresis in the 1970s,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an electric generator suitable for iontophoresis in U.S. Patent No. 4,842,577, U.S. Patent No. 5,084,006,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112420 Electrolytic solution compositions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본 발명은 리도카인을 목적하는 국소 부위에 도포한 후, 이의 피부 침투를 위해 이온토포레시스 기법을 적용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lidocaine to a desired local site, followed by iontophoresis for its penetration into the skin.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리도카인 제제][Lidocaine preparation using iontophoresis]

종래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리도카인 제제로서 아이오메드사에서 출시한 장치 및 약물 조성이 있다. 위 제품은 약물 조성이 이온화된 이온토카인 용액에 배합되어 있다. 이는 장치와 약물 조성을 하나의 키트로 제공하는데, 목적하는 국소 부위에 약물 조성인 이온토카인 용액을 솜으로 적신 다음, 여기에 장치를 연결하여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한다. As a lidocaine preparation using conventional iontophoresis, there is a device and drug composition released from IOMAD. The product is formulated in an iontophoric solution in which the drug composition is ionized. This provides a device and a drug composition in one kit, which is used by wetting a solution of iontocaine, which is a drug composition, with a desired local site, and then connecting the device to generate an electric current.

미국특허 제 4,842,577호U.S. Patent No. 4,842,577 미국특허 제 5,084,006호U.S. Patent No. 5,084,00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011242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0112420

그런데 아이오메드사의 장치는 15V 전압을 제공하는데, 그 전류가 피부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다 보니 사용 후 피부 발적이 심하며, 사용 중에도 전기적인 자극이 심하다. 또한 장치와 더불어 전극이 노드형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함에 불편함이 많다. 아울러 이온화된 이온토카인 용액을 사용하나 리도카인을 이온화시키는데 효율적이지 않고, 이온화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용액 자체에 약간의 피부 독성이 있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However, IOMAD 's device provides 15V voltage, which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kin, and it has a lot of skin flare after use, and electric stimulation is severe during use.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s are formed in a node shape in addition to the device,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in use. In addition, ionized iontocaine solution is used but it is not effective to ionize lidocaine, and even if it is ionized, the solution itself may have some skin toxicity, which is not desirable.

이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연구개발들이 이뤄졌으며, 이후 전압을 낮추어서 피부 발적을 줄이며, 이온토카인 용액을 프리-로드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장치를 일체형으로 만들어서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술들이 나왔다. Many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s have been carried out to improve this, and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hat reduce the skin's redness by lowering the voltage, apply the method of pre-loading the iontokine solution, and make the device unified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하지만 이런 기술마저도 큰 단점이 있다. But even this technology has major drawbacks.

프리-로드 또는 레저버 타입, 겔 흡수형 패치 등은 약물을 적시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이런 기법들은 사용 시 약물 용액을 적셔서 사용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는 것과 정량적 약물 로딩이 되지 않는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실제로 용액이 단순히 적셔져 있거나 일시적으로 흡수되어 있는 형태로서 약물의 보존성과 안정성이 상당히 떨어지며, 오염에 노출될 수 있어 이로 인한 피부 부작용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Pre-loaded or reservoir-type, gel-absorbing patches have been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of wetting the drug, such as improving the inconvenience of wetting and using the drug solution during use, However, in reality, the solution is simply wetted or temporarily absorbed. As a result, the preservability and stability of the drug are considerably poor, and the skin may be exposed to the contamination, which may cause skin side effects to be more serious.

두 번째로 발적을 줄이면서 사용기기를 일체형으로 만들다 보니, 대부분 종이 베터리를 이용한 붙이는 방식으로 개발이 되었는데, 이 시스템은 두 가지 치명적 단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이 베터리로 만든 일체형은 일회성으로 만들어진 제품이며 일회성으로 사용하기엔 가격이 비싸고, 사용된 소재들이 친환경적이지 못하다. 또한 종이 베터리의 출력이 너무 낮아서 적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효과가 아주 미미하다. Secondly, when we use the device as a unit while reducing flare, most of them have been developed by sticking with paper batteries. This system has two fatal disadvantages. First, the one-piece type made of paper batteries is a one-time product. It is expensive to use as one-time use, and the materials used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Also, since the output of the paper battery is too low, it takes a long time to apply or the effect is very small.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카타플라스마라는 레저버 형태가 아닌 매트릭스 형태의 제형을 사용하였고, 이는 카타플라스마 제조시 정확한 양의 약물이 이미 포함되어 있으며,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굉장히 안정된 제형이다. 보통 메트릭스형의 제형을 만들면 그 제형의 점착력이 낮아 피부에 사용할 때 밀착포를 이용하지만, 본 발명은 카타플라스마 제형 자체가 접착력이 있어서 다른 접착물질이 필요하지 않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trix type formulation, not a reservoir type,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 chemically and physically very stable formulation that already contains an accurate amount of drug in the production of kata plasma. Generally, when a dosage form of the matrix type is made, the adhesive force of the dosage form is low, so that the adhesive can be used when used on the sk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ny other adhesive material because the cataplasma form itself has an adhesive force.

또한 종래의 이온토카인 용액은 이온토포레시스를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그 이유는 용액의 pH 가 너무 낮으며(3정도), 리도카인이 완전 이온화된 형태가 아니어서 전기적 흐름에 따른 효율이 미흡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iontophoretic solutions are not suitable for applying iontophoresi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H of the solution is too low (about 3) and lidocaine is not fully ionized, so th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electric current may be insufficient.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카타플라스마 제형은 리도카인 염산염을 물에 녹여서 제조했고, pH 자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이온화 정도가 다른 기법들에 비해 훨씬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용 카타플라스마 제형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리도카인 국소마취에 영향을 주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들인 카타플라스마 이온 전도도, 카타플라스마 수분 함량, 카타플라스마 pH 조건이 가장 최적화된 상태로 구현된 결과물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리도카인이 상당히 효과적으로 이온화가 되어 있다. However, the cataplasma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dissolving lidocaine hydrochloride in water, and since the pH itself is adjusted so that the degree of ionization is much higher than that of other techniques.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lidocaine local anesthesia in constituting a cataplasma formulation for iontophoresis are cataplasma ion conductivity, cataplasma moisture content, and cataplasma pH conditions are optimized It is the result.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lidocaine ionized considerably effectively.

더불어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부분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아이오메드사의 기기와 같이 전압을 15V 로 사용하지만, 부직포에 도포된 카타플라스마에 전도성 크림을 적용하여 저항을 낮추었고, 그에 따라 발적을 상당히 줄였다. In addition, in the iontophoresis device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voltage of 15 V was used as in the case of an instrument of IOMAD Co., but a conductive cream was applied to the non-woven coated cataplasma to lower the resistanc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redness.

전도성 크림은 친수성 고분자와 물을 섞어 만든 겔형태의 크림인데,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Conductive cream is a gel-type cream made by mixing a hydrophilic polymer with water.

부직포를 적셔서 부직포 위에 전류를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직접 전류를 부여하는 경우와 대등하게 전기가 잘 흐르도록 하며, 20분 ~ 30 분까지 마르지 않아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와 피부 사이의 저항을 계속 낮추어 발적을 최소화 하는데 도움을 준다. Even though the nonwoven fabric is soaked to apply electric current to the nonwoven fabric, the electric current flows equally to the case where the direct current is applied to the skin, and the resistance between the iontophoresis device and the skin is continuously lowered for 20 to 30 minutes Helps minimize flare.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발적이 적으며, 10분~15분 가량의 마취효과를 이온토포레시스 기기를 10분~15분 적용하여 나타낼 수 있도록 최적화하였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ized to exhibit an anesthetic effect of about 10 minutes to 15 minutes by applying the iontophoresis device for 10 minutes to 15 minutes with little redness.

반면 현재 시제품으로 나와있는 엠라 크림은 약 한 시간 동안 바르고 있어야 하며, 마취 지속 시간은 두 시간으로 필요 이상의 마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엠라 크림은 피부의 위치에 따라 국소 마취되는 효과가 다르며, 환자 마다 마취 효과가 다를 수 있어서 경제적이지 못하다.On the other hand, emra cream, which is currently in trial, should be applied for about one hour, and duration of anesthesia is more than necessary by two hours. In addition, emra creams differ in local anesthetic effect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kin, and the anesthetic effect may be different for each patient, which is not economical.

이상 정리한 것처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이온토포레시스 카타플라스마 제제 시스템인 리도카인 염산염 카타플라스마 패치와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그리고 고분자 폴리머 전도성 크림을 이용해, 효과적인 국소 마취 방법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a lidocaine hydrochloride kata plasma patch, an iontophoresis device, and a polymeric polymer Using conductive cream, provide an effective local anesthetic method.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그리고 고분자 폴리머 전도성 크림을 이용한 리도카인 국소 마취용 이온토포레시스 카타플라스마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ntophoresis catheter plasma system for lidocaine local anesthesia using lidocaine cataplasma, iontophoresis device, and polymeric polymer conductive cream.

구체적인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The concret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1. 염산염 리도카인 및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전도성 카타플라스마 조성물로서, 친수성 고분자가 부분적으로 중성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1. A conductive cataplasm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a lidocaine hydrochloride and a hydrophilic polymer, wherein the hydrophilic poly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ates, polyvinylpyrrolidone and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 / RTI >

위에서 친수성 고분자가 부분적으로 중성화되었다라 함은 폴리아크릴레이트의 COOH 의 H 이온을 Na 이온 등으로 치환하여 중성화한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50% 중성화된 것 또는 70% 중성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term "partial neutralization of the hydrophilic polymer" means neutralization by substituting H ion of COOH of polyacrylate with Na ion or the like, preferably 50% neutralized or 70% neutralized.

2. 상기 1 에 따른 조성물이 부직포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타플라스마 패치.2. A cataplasma pa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1. above is applied to a nonwoven fabric.

3. 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크림 조성물로서, 이온성은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중에서 선택하고, 음이온성은 카복실산염, 질산염, 인산염 및 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며, 양이온성은 아민염, 이민염 및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고, 고분자는 카복실산염, 질산염, 인산염 및 황산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3. A conductive cream composition comprising an ionic polymer, wherein the ionic property is selected from anionic or cationic, and the anionic property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xylate, a nitrate, a phosphate and a sulfate, Wherein the polymer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alt and an ammonium salt, and the polymer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xylate, a nitrate, a phosphate and a sulfate.

4. 상기 3 에 있어서, 이온성 고분자가 아크릴아미드/소듐 아크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카보머, 알긴산염, 카라기난, 키토산 및 폴리에틸렌이민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4.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3 above, wherein the ionic poly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mide / sodium acroyl dimethyl taurate copolymer, carbomer, alginate, carrageenan, chitosan and polyethyleneimine.

5. 상기 2 에 따른 패치를 국소부위에 부착하는 단계, 부착된 패치의 부직포 위에 상기 3 또는 4 에 따른 전도성 크림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전도성 크림 조성물 위에 이온 도입 기기를 물리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 이온 도입 기기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5. Attaching the patch according to 2 above to the localized area, applying the conductive cream composition according to 3 or 4 above onto the nonwoven fabric of the attached patch, physically contacting the iontophoretic device on the conductive cream composition, And generating an electric current in the introduction device.

6. 상기 5 에 있어서, 이온 도입 기기가 (+) 극은 도포된 전도성 크림에 접촉될 수 있고, (-) 극은 손잡이에 구성되어 있어 한 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6. The iontophoresis system according to item 5, wherein the ion-introducing device is capable of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ated conductive cream and the (-) electrode is formed in the handle, .

즉 예컨대 손바닥으로 기기를 잡고 있는 쪽에 (-) 극이 있고, 패치 위에 도포된 전도성 크림에 (+) 극이 접촉될 수 있도록 이온 도입 기기가 구현되어 있어, 전극이 출력부, 손잡이가 접지무가 되어 한 손으로 잡고 있으면 전기가 체내로 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That is, for example, there is a (-) pole on the side holding the device with the palm of the hand, and an ion introducing device is implemented so that the (+) pole contacts the conductive cream applied on the patch. It is characterized by that electricity can pass through the body when held with one hand.

7. 상기 5 또는 6 에 있어서, 이온 도입 기기의 전류 조건이 0.01 - 1.2 mA/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7. The iontophoresis system according to 5 or 6, wherein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iontophoretic device is 0.01 - 1.2 mA / cm 2 .

8.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온 도입 기기의 전압 조건이 1 - 15 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8. The iontophoresis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5 to 7, wherein the voltage condition of the iontophoretic device is 1 to 15 V.

9. 상기 5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온 도입 기기의 도입 시간이 5 - 60 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9. The iontophoresis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5 to 8 above, wherein the iontophoresis device has an introduction time of 5 to 60 minutes.

10. 상기 5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온 도입 기기의 전류의 파형이 일반직류 또는 맥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10. The iontophoresis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5 to 9 above, wherein the waveform of the current of the ion-introducing device is a general direct current or a pulsating current.

11. 상기 5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온 도입 기기의 (+) 전극은 순도 92.5 - 99% 의 스테인리스 스틸, 백금 및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며, (-) 전극은 순도 92.5 - 99% 의 은, 구리, 실리콘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 11. The iontophoresis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5 to 10,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inless steel, platinum and titanium having a purity of 92.5 to 99% Wherein the iontophoresis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copper, silicon and aluminum having a purity of 92.5 to 99%.

12. 상기 2 에 따른 패치, 상기 3 또는 4 에 따른 전도성 크림 조성물 및 이온 도입 기기를 포함하는 키트로서, 상기 2 에 따른 패치를 국소부위에 부착하고, 부착된 패치의 부직포 위에 상기 3 또는 4 에 따른 전도성 크림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전도성 크림 조성물 위에 이온 도입 기기를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이온 도입 기기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데 적합한 키트.12. A kit comprising the patch according to 2, the conductive cream composition according to 3 or 4, and the iontophoretic device, wherein the patch according to the above 2 is attached to the local region and the above- A kit suitable for applying an electroconductive cream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and then physically contacting the electroconductive cream composition with the iontophoretic device and generating an electric current in the iontophoretic devic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약물 투여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된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idocaine cataplasma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herein the drug administ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와 이온 기기 사이의 저항을 줄이고, 약물 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시스템 또는 키트 구성을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ptimal system or kit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resistance between lidocaine cataplasma and ionic devices and increasing drug permea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정량화된 리도카인 약물을 처방할 수 있고, 무엇보다 사용상에 있어서 도 6 에서 종래의 이온 도입 기기와 비교한 바 같이 종래 시스템보다 환자에게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온토포레시스 기기와 고분자 폴리머 전도성 크림을 이용하여, 저 전압, 고 전류로 약물을 피부 자극 없이 전달하며, 환자에게 적절한 국소 마취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quantified lidocaine drug can be prescribed, and in particular,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iontophoretic device in FIG. 6,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ontophoretic device, convenience for a patient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ontophoresis device and polymeric polymer conductive cream can deliver drug at low voltage and high current without skin irritation and provide appropriate local anesthesia to patien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 기기의 일 구현예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인체 피부 및 내부 저항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카타플라스마 속 물의 함량에 따른 리도카인 상대적 경피 투과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카타플라스마 pH 에 따른 리도카인 상대적 경피 투과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는 전도성 크림의 염화 나트륨 함량에 따른 리도카인 상대적 경피 투과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전류 파형에 따른 리도카인 경피 투과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온 도입 기기와 종래 이온 도입 기기의 차이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리도카인이 피부로 침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Fig. 1 shows a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ion-intro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ircuit diagram of human skin and internal resistance.
Fig. 3 shows the relative transdermal permeability of lidocain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Kata plasma mass.
Figure 4 shows the relative transdermal permeability of lidocaine according to Kata plasma pH.
Figure 5 shows the relative transdermal permeability of lidocaine according to the sodium chloride content of the conductive cream.
Figure 6 shows a comparison of lidocaine transdermal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current waveform.
FIG. 7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an ion-int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ion-introducing apparatus.
FIG. 8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lidocaine penetrates into the sk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이 간편하고, 피부자극이 덜하며, 리도카인이 효과적으로 피부 속으로 침투될 수 있는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 또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또는 키트는 크게 패치, 전도성 크림, 이온 도입 기기를 포함한다. 각 구성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tophoresis system or kit which is easy to use, less irritating to the skin, and can be effectively penetrated into the skin by lidocaine. The system or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comprises a patch, a conductive cream, and an iontophoretic device.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패치][Lidocaine Kita Plasma Patch]

본 발명의 패치는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조성물을 채택한다. 카타플라스마란 종래 사전에 수재되어 있는 기술적 의미 그대로를 뜻하는 것으로서, 파스와 같은 조성물을 말한다. 카타플라스마의 특징을 나타내는 성분 및 그의 조합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카타플라스마제” 에는 대한민국 약전 제제총칙에 게시되어 있는 카타플라스마의 특징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첨가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lidocaine cataplasma composition. The term "cataplasma" refers to a composition such as PAS, which means the same technical meaning as conventionally known. Components representing the features of kataplasma, and combinations thereof, are known, and such " kataplasma agents " may include any additive components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impai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ataplasma, .

카타플라스마는 친수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 및 가교제와 함께 필요에 따라 기타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조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타 기능성 첨가제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부형제, 경화제, 가교 완충제, 가교 촉진제, 항산화제, 방부제,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cataplasma may be formulated with hydrophilic polymers, polyhydric alcohols and crosslinking agents, as well as other functional additives if desired. For example, as another functional additi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excipients, hardeners, crosslinking buffers, crosslinking accelerators, antioxidants, preservatives and pigments.

다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카타플라스마 조성에서 채택할 수 있는 친수성 고분자 중에서도 부분적으로 중성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에 주목한 것이 특징이다. 위 친수성 고분자가 리도카인을 함유한 카타플라스마 제형의 구현에 있어서 바람직하며, 전류의 흐름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다.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ates, polyvinylpyrrolidone and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mong the hydrophilic polymers generally adoptable in the cataplasm composition to be. The above hydrophilic polymer is prefer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ataplasma formulation containing lidocaine, and is also preferred for current flow.

위 친수성 고분자는 카타플라스마 총 중량 기준으로 3% - 7% 함량이 수분 포집 및 가교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The above hydrophilic polymer is preferably 3% to 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taplasma for the water trapping and crosslinking effect.

본 발명에 따른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패치의 조성비는 디퓨전 셀로 털이 없는 쥐에서의 경피 투과 실험을 통해 리도카인 투과량을 기준으로 비교하였고, 이외 패치의 물리적 상태를 비교하면서 그 효과를 확인했다.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lidocaine cataplasma p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ared based on the permeability of lidocaine through a transdermal permeation experiment in a hairless mouse in a diffusion cell and the effect of the patches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physical states of the patches.

카타플라스마는 단순히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제형의 물리적 상태도 역시 중요하다. 가교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약물과 다른 성분들이 빠져나오게 되기 때문에 카타플라스마로써의 약물 전달을 균등하게 할 수가 없다. 자세히 살펴보면 물리적 성질을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은 가교제, 친수성 고분자, 가교 완충제, 가교 촉진제의 비율을 조절하고, 첨가제로서 경화제와 부형제가 물리적 성질을 보정해준다. 부형제 같은 경우 물리적으로 안정성을 부여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약물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담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학적 안정성으로도 사용된다. The physical state of the formulation is also important, as it is simply a drug. If cross-linking is not done properly, drugs and other components will be released, making it impossible to equalize drug delivery as cataracts. In detail, the physical properties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crosslinking agent, hydrophilic polymer, crosslinking buffer and crosslinking accelerator, and the hardening agent and excipient as additives, correct the physical properties. In the case of excipients, it is also used as a chemical stabilizer because it acts as a carrier that can physically provide stability but can also contain the drug.

부형제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카올린, PVP, 소듐 알지네이트, 소듐 CMC 등의 코폴리머가 있다. 부형제는 카타플라스마 총 중량 기준으로 각 성분별로 3 % 이상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Examples of excipi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opolymers such as kaolin, PVP, sodium alginate, sodium CMC, and the like. For excipients, it may be preferable not to use more than 3% of each compon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taplasma.

본 발명에서 다가 알코올은 비제한적으로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은 카타플라스마 총 중량 기준으로 20% - 40% 함량이 수분 유지 및 제제 형성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polyhydric alcohol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glycerin. The polyhydric alcohol is preferably 20%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taplasma in terms of water retention and formulation-forming effect.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함량은 카타플라스마 총 중량 대비 50 - 65 % 가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content is preferably 50 to 65%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taplasma.

본 발명에서 가교제는 비제한적으로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카타플라스마 총 중량 기준으로 0.01% - 0.3% 함량이 가교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luminum glycinate. The crosslinking agent content is preferably 0.01% to 0.3%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taplasma for the crosslinking effect.

가교촉진제는 타르타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카타플라스마 총 중량 기준으로 0.1% - 0.5% 배합할 수 있다.As the crosslinking accelerator, tartaric acid or the like can be used, and it is possible to blend 0.1% to 0.5%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cataplasma.

항산화제와, 방부제, 색소 등 첨가물은 카타플라스마 제조보다는 제조 이후 카타플라스마 보존 역할을 한다. 항산화제를 넣음으로 변색 및 부패를 방지하고 방부제를 넣어 부패를 방지한다. 이산화 티타늄은 UV와 같은 자외선 차단제 역할이기도 하며 흰색의 색소로 사용된다. Antioxidants, antiseptics, pigments and other additives play a role in the preservation of kata plasma after its manufacture, rather than the production of kata plasma. Antioxidants are added to prevent discoloration and decay, and preservatives to prevent corruption. Titanium dioxide also acts as an ultraviolet (UV) blocker, such as UV, and is used as a white pigment.

항산화제로는 소듐 메타비설파이트 우레아 등을 배합할 수 있고, 방부제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을 배합할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antioxidant, sodium metabisulfite urea and the like can be added. As the preservative, methylparaben, propylparaben and the like can be add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리도카인은 제한 없이 공지의 주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온화 정도에 있어서 리도카인염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으며, 예로써 리도카인 염산염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lidocaine can be a known main component without limitation. However, lidocaine salt may be more preferable for the degree of ionization, and for example, lidocaine hydrochloride can be used.

리도카인의 함량은 마취 효과의 관점에서 카타플라스마 총 중량 기준으로 1%-8% 로 할 수 있다.The lidocaine content can be from 1% to 8%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taplasma in terms of anesthetic effect.

본 발명의 패치는 위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조성물을 부직포에 도포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patch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pplying a gastric cancer plaster composition to a nonwoven fabric.

부직포는 흡수 접착 특성의 것이 균일 도포 효과에서 바람직하다.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조성물은 1mm~2mm 두께로 부직포에 코팅하는 것이 균일 도포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0mm ~ 1.4mm 의 두께가 피부 발적의 최소화에 있어서 탁월하다.The nonwoven fabric preferably has an absorbent adhesion property in a uniform coating effect. The lidocaine cataplasma composition is preferably applied to a nonwoven fabric with a thickness of 1 mm to 2 mm in a uniform application. Particularly preferably, the thickness of 1.0 mm to 1.4 mm is excellent in minimizing skin redness.

제조방법은 공지의 제조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온항습 챔버 기기로 40~50 온도, 수분 조건에서 숙성 과정을 통해 부직포에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패치를 제작할 수 있다.A known preparation method can be adopted. For example, a patch can be produced by coating a lidocaine cataplasma composition on a nonwoven fabric through aging at a temperature of 40 to 50 at a temperature of from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to a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본 발명에 따른 패치는 특별히 점착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더라도 점착력이 우수하여 마취가 필요한 국소 부위에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국소 부위에 패치를 부착한 후 부직포 겉면에 전도성 크림을 바르고, 그 위에 이온 도입 기기로써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특징인데, 부직포 위에 전류를 발생시킴에도 불구하고, 전류의 전달이 상당히 원활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The p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effectively adhere to a local site requiring anesthesia because of its excellent adhesive strength even if it does not contain any tacky component.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ductive cream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after attaching a patch to a local site, and a current is caused to flow through the nonwoven fabric with an ion-introducing device. Even though current is generated on the nonwoven fabric, .

아마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과 그 함량비가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효과적으로 전류를 전달시키는 역할에 보조를 한 것으로 추측된다.It is presumed that the composition and the content rat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recisely known but assisted in effectively transferring the electric current.

[이온 도입 기기][Ion introduction equipment]

본 발명의 이온 도입 기기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원리는 종래의 이온 도입 기기와 유사하나, (+) 극을 본 발명에 따른 카타플라스마 패치 위의 부직포 상에 도포한 전도성 크림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 극을 같은 기기의 손잡이에 배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ion-intro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ion-introducing device in that the principle of generating the electric current is such that the (+) electrod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ductive cream applied on the nonwoven fabric on the cataplasma p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pole is placed on the handle of the same device.

본 발명의 이온 도입 기기의 일반적인 내용은 공지의 기술에서 적절히 치환이 가능할 것이나 아래에서 일 구현예를 예시한다.The general contents of the iontophore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ropriately substituted in the known art, but one embodiment is exemplified below.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국소 피부 마취 실험용 회로도 구성은 도 1 과 같이 ICL7660 칩 1개, 10V 제너다이오드 1개, 50V 4001다이오드 2개, 100 Ohm 저항 1개, 510 Ohm 저항 1개, 10μF 캐패시터 2개를 사용할 수 있다. 전원은 9V 알칼리 베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ICL7660 칩은 전원의 전압을 2배로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제너다이오드는 전극부의 출력 전압을 10V 또는 15V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1, a circuit diagram for a local skin anesthesia exper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ICL7660 chip, one 10V zener diode, two 50V 4001 diodes, one 100 Ohm resistor, one 510 Ohm resistor, Two can be used. The power supply can use a 9V alkaline battery. The ICL7660 chip doubles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The zener diode serves to maintain the output voltage of the electrode part at 10V or 15V.

본 발명의 이온 도입 기기의 (+)극은 면적 4.5 cm2 의 원형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소재는 순도 92.5 - 99% 의 스테인리스 스틸, 백금 및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위 성분이 낮은 저항 및 산화하지 않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기판에 백금을 도금할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ion-intro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circular substrate having an area of 4.5 cm 2 , and the material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inless steel, platinum and titanium having a purity of 92.5 to 99% .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components are low in resistance and not oxidized. More preferably, the titanium substrate can be plated with platinum.

(+) 극의 두께는 2mm 이고 백금은 0.3μm로 코팅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 electrode is 2 mm and the platinum is 0.3 μm.

본 발명의 이온 도입 기기는 (-) 극이 손잡이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 극의 코팅된 면은 은, 구리, 실리콘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위 성분이 저항을 줄이고, 산화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은 입자, 구리 입자가 섞인 혼합물 코팅제이다. The ion-intro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 pole is disposed on the handle. The coated surface of the (-) electrod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copper, silicon and aluminum. The above components are preferable in terms of reducing the resistance and not being oxidized. More preferably, the coating composition is a mixture of silicon, silver particles and copper particles.

(-) 극은 에탄올 95% 용액과 실리콘, 은 입자, 구리 입자 혼합물 코팅제를 1대 1 비율로 혼합하여 스프레이로 코팅면에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온에서 약간 말린 뒤, 60℃ 오븐에 넣어 30분간 말린다. 이때 전도성은 순도 92.5% 의 은과 비슷하게 나올 수 있다. (-) poles can be sprayed onto the coated surface by mixing a 95% ethanol solution with silicon, silver, and copper particle mixture coatings in a 1: 1 ratio. After drying at room temperature, it is put in an oven at 60 ℃ for 30 minutes. Conductivity can be similar to that of silver with a purity of 92.5%.

인체 피부의 저항 회로도는 아래 도 2 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The resistance circuit diagram of the human skin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below.

피부의 저항은 약 3000 Ohm인데 이는 건조한 상태를 말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카타플라스마와 전도성 크림을 바르고, 시험전에 피부를 충분히 씻어주기 때문에 500 Ohm까지 떨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반대편 손잡이는 일반 피부가 아닌 손바닥이며 손바닥은 땀샘이 다른 피부보다 많기 때문에 저항이 또한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마취 실험할 때 인체에 존재하는 저항은 약 2000 ~2500 Ohm으로 추정된다. Skin resistance is about 3000 Ohm, which is dry. However, in this study, it is said that it has fallen to 500 Ohm because it applies the cataplasma and the conductive cream and rinses the skin thoroughly before the test. In addition, the opposite hand is palm rather than normal skin, and palms have lower resistance because sweat glands are larger than other skin. Therefore, the resistance existing in the human body during the anesthetic experiment is estimated to be about 2000 ~ 2500 Ohm.

또한 직류를 흘려주면 RC(Resistance-Capacitance)회로에서는 시간이 지나면 커패시터의 저항은 거의 사라진다. 따라서 마취 시작 후 점점 저항이 감소하면서 마취의 효율은 상승할 수 있다. Also, if the DC is flowing, the resistance of the capacitor almost disappears over time in the RC (Resistance-Capacitance) circuit. Therefore, after the start of anesthesia, the efficiency of anesthesia may increase as the resistance gradually decreases.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 기기는 전류 조건을 0.01 - 1.2 mA/cm2 로 할 수 있다. 위 전류 조건을 만족할 때 마취 효과가 있다.The current condition of the ion-int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01 to 1.2 mA / cm 2 . There is an anesthetic effect when the above current condition is satisfied.

이온 도입 기기의 전압 조건은 마취 효과의 관점에서 1 - 15 V 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V 로 할 수 있다. 다만 15 V 로 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면 피부 자극이 거의 없다.The voltage condition of the iontophoretic device can be 1 - 15 V in terms of anesthetic effect. Preferably 10V. Even if it is set to 15 V,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rdly stimulates the skin.

이온 도입 기기의 도입 시간은 마취가 필요한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약 5 - 60 분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The introduction time of the iontophoretic device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requiring anesthesia, and can be selected in about 5 to 60 minutes.

이온 도입 기기의 전류의 파형은 일반직류 또는 맥류로 구현할 수 있다. 이 점이 피부자극이 적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The waveform of the current of the ion-introducing device can be realized as a general direct current or pulsating current. This is effective in that there is little skin irritation.

[전도성 크림][Conductive cream]

전도성 크림은 이온성 고분자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uctive cream may comprise an ionic polymer and a surfactant.

이온성 고분자의 이온성은 고분자의 성질에 따라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음이온성은 카복실산염, 질산염, 인산염 및 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고, 양이온성은 아민염, 이민염 및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The ionic properties of ionic polymers can be selected from anionic or cationic,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olymer. At this time, at least one an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xylic acid salts, nitrate salts, phosphate salts and sulfate salts, and cationic one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e salts, imine salts and ammonium salts.

이온성 고분자는 카복실산염, 질산염, 인산염 및 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황산염을 선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미드/소듐 아크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를 선택할 수 있다. 위 고분자가 전도성 및 안정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함량은 분산, 크림 형성 효과의 점에서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5% 가 바람직하다. The ionic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xylate, a nitrate, a phosphate and a sulfate. Preferably, the sulfate can be selected. More preferably, an acrylamide / sodium acrylate dimethyl taurate copolymer can be selected. The above polym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conductivity and stability. The content is preferably 0.5% to 5%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n terms of dispersion and cream-forming effect.

계면활성제는 분산, 크림 형성 효과에 있어서 탁월하다. 계면활성제로는 예컨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자극의 최소화를 위해 폴리솔베이트 8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1% 가 분산, 크림 형성 효과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Surfactants are excellent for dispersing and cream forming effects. As the surfactant, for example, a nonionic surfactant can be used. Preferably, polysorbate 80 or the like may be used for minimizing skin irritation. The content is preferably 0.5% to 1%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is preferable for the cream-forming effect.

전도성 크림은 이온성 고분자와 계면활성제 그리고 물을 섞어서 제조할 수 있다. Conductive cream can be prepared by mixing ionic polymer with surfactant and water.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Iontophoresis System]

본 발명의 시스템은 패치를 목적하는 국소부위에 부착하는 단계, 부착된 패치의 부직포 위에 전도성 크림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전도성 크림 조성물 위에 이온 도입 기기를 물리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 이온 도입 기기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리도카인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는 것이 특징이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ttaching the patch to a desired local site, applying the conductive cream composition onto the nonwoven of the attached patch, physically contacting the iontophoretic device on the conductive cream composition, Thereby causing the lidocaine to penetrate into the skin.

전도성 크림 조성물은 부직포에 이온 도입 기기를 접촉시키는 면 정도가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적당량 바른다.The conductive cream composition is applied in an appropriate amount so that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contacting the ion-introducing device can be evenly coated.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즉 종래의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과 달리 본 발명은 국소 부위에 패치를 부착하고, 부직포 위에 전도성 크림 조성물을 바른 후, 전도성 크림 조성물 위에 직접 이온 도입 기기를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 극은 전도성 크림 조성물 쪽에 (-) 극은 손잡이 쪽에 구성함으로써, 한 손만 이용하여 바로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을 실시할 수 있다.It is 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iontophoresis system can be applied with one hand.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iontophoresis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tch is attached to a local site, a conductive cream composition is applied on the nonwoven fabric, and then the iontophoresis device is physically contacted directly with the conductive cream composition, The (-) pole on the cream composition side can be constructed on the handle side, and the iontoporesis system can be performed directly using only one hand.

이온토포레시스는 전류의 흐름을 이용하여 리도카인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는 것이 원리이기 때문에, 종래는 전류의 흐름을 피부쪽으로 유발하기 위해 (+) 극과 (-) 극을 피부에 접촉하는 패치나 조성물에 직접 연결해야만 한다고 생각했었다. 때문에 종래에는 도 1 과 같이 (+) 극과 (-) 극을 접촉시키는 선이 따로 존재하는 이온 도입 기기를 국소 부위에 도포한 조성물이나 패치 등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했고, 사용상에 상당히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특히 전류가 국소 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이 있었다.Iontophoresis uses a current to penetrate the lidocaine into the skin. Therefore, in order to induce the flow of current to the skin, a patch (-) and a I thought I had to connect directly to the composition. Therefore,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an ion-introducing device having a line for contacting the (+) pole and the (-) pole is directly connected to a composition or patch applied to a local site, did. In particular, there was skin irritation because the curren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cal area.

그러나 본 발명은 위 종래의 발상과 달리 (+) 극이 피부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패치의 부직포 위의 전도성 크림에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 극도 국소 부위 쪽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 쪽에 연결한다. 이로써 (+) 극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 자극이 거의 없고, (-) 극이 손잡이에 있기 때문에 한 손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unlike the above conventional idea, the (+) pole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skin but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ream o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atch. Also connect to the handle rather than the (-) extreme local area. This makes it easy to use with one hand because there is little skin irritation because the (+) pole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skin, and the (-) pole is on the handle.

본 발명은 위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카타플라스마 패치, 전도성 크림 및 이온도입기기를 포함한 키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comprised of kits comprising cataplasma patches, conductive creams and iontophoretic devices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above system.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를 소개하는 것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illustrat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실시예][Example]

카타플라즈마 제형은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The Kata plasma formulation was made as follows.

글리세린에 먼저 다음과 같은 성분을 분산한다. TiO2, Aluminum glycinate, methyl paraben, propyl parabec, Sodium metabisulfite,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ate, Sodium alginate, EDTA, Na CMC 가 들어간다. 정제수에는 다음과 같은 성분을 용해한다. PVP-90, PVP-k30, Lidocaine HCl, tartaric acid 이 들어간다. 글리세린 층에 정제수 층을 넣고 섞어준다. 잘 섞은 카타플라즈마 액을 도포한다. 부직포는 방수부직포를 사용하였으며, roll coating 공정을 거쳐 카타플라즈마 액을 이형 필름과 부직포에 카타플라스마 조성을 도포하였다. 하루 이상 온도 40도 이상의 조건에서 숙성하고 난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The following components are first dispersed in glycerin. TiO2, Aluminum glycinate, Methyl paraben, Propyl parabec, Sodium metabisulfite,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ate, Sodium alginate, EDTA and Na CMC. The following components are dissolved in purified water. PVP-90, PVP-k30, Lidocaine HCl, and tartaric acid. Add the purified water layer to the glycerin layer and mix. Apply well mixed Kata plasma liquid. Waterproof nonwoven fabric was used for the nonwoven fabric, and the Kata plasma solution was applied to release film and nonwoven fabric by roll coating process. After aging at a temperature of 40 ° C or higher for more than one day, it was used in the experiment.

마취 실험을 다음과 같이 진행했다. Anesthesi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s follows.

먼저 마취 할 부위를 미온수로 약 30초에서 1분정도 씻어준다. 씻고 나서 물기를 닦거나 마르면 안 된다. 또는 식염수를 부은 물티슈를 부위에 바른다. 다음으로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패치를 붙인다. 그 위에 고분자 폴리머 전도성 크림을 적당량 바른다. 그 위에 이온 도입 기기의 (+) 전극부를 대면서 (-) 전극부는 손으로 잘 감싸서 잡는다. 이온 도입기기를 켜고 15분동안 잘 누르면서 마취를 한다. 15분이 지나면 이온 도입기기를 끄고,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패치를 제거한다. First, rinse the area to be anesthetized with lukewarm water for about 30 seconds to 1 minute. Do not wash or dry after washing. Or saline wet wipes are applied to the area. Next, attach a lidocaine kata plasma patch. A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polymeric polymer conductive cream over it. The (+) electrode part of the ion-introducing device is placed on the electrode while the (-) electrode part is held by hand. An iontophoresis device is turned on and anesthesia is performed by pressing it well for 15 minutes. After 15 minutes, switch off the iontophoresis device and remove the lidocaine plasma plasma patch.

리도카인 투과량 실험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The lidocaine permeability experiment was carried out as follows.

털이 없는 쥐에서의 경피 투과 실험용 회로는 9V 베터리를 전원으로 하며, 저항 4.3kOhm으로 전류를 약 1.4mA로 흘린다. 털이 없는 쥐 피부 위에 패치를 붙이고, 다음으로 전도성 크림을 적당량 바른다. 그리고 은 판을 덧댄다. 디퓨전 셀 안에 5mL의 pH 6.0 PBS 용액을 넣고 털이 없는 쥐 피부 반대 편에 은 선을 넣어 (-)극으로 한다. The circuit for the percutaneous permeation experiment in a hairless rat is a 9V battery, and a current of about 1.4 mA is passed to a resistance of 4.3 kOhm. Patch on patches of mouse skin without hair, then a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conductive cream. And padded with silver plates. Add 5 mL of pH 6.0 PBS solution to the diffusion cell and add silver wir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ouse without hair (-).

실험은 베터리 전원을 켠 이후 8분, 14분 20분 마다 1mL의 용액을 뽑고 새로운 PBS 용액을 1mL 보충해주는 식으로 한다. 용액의 분석은 HPLC를 통해 UV detector 254nm에서 측정한다. HPLC 분석 결과를 취합하여 시간별 리도카인 투과량을 확인한다. After the battery is turned on, take 1 mL of solution every 8 minutes, 14 minutes and 20 minutes and replenish 1 mL of fresh PBS solution. Analysis of the solution is performed at 254 nm UV detector through HPLC. The results of HPLC analysis are collected to confirm the permeation amount of lidocaine over time.

카타 플라즈마의 전기적 전도성 실험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The electrical conductivity test of Kata plasma was carried out as follows.

측정법은 99% 메탄올 용액 50ml 과 세로 5cm 가로 5cm 크기의 카타플라즈마를 가위로 여러 번 잘라서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2시간동안 초음파기계로 추출한다. 추출된 용액을 여과지에 걸러서 100mL volumetric flask 에 옮겨 담는다. 추출했던 삼각플라스크에 30mL의 메탄올을 넣고 2시간동안 초음파 기계로 추출한다. 추출된 용액을 여과지에 걸러서 이전의 100mL volumetric flask 에 옮겨 담는다. 그리고 충분히 추출된 용액이 식으면 메탄올을 추가하여 100mL 를 맞춘다. 그리고 이 용액의 전기 전도도를 전해질 농도 측정 기기로 측정하였다. For the measurement, 50 ml of 99% methanol solution and 5 ml of Kita plasma with 5 cm length and 5 cm length are cut several times with scissors and placed in an Erlenmeyer flask and extracted with an ultrasonic machine for 2 hours. The extracted solution is filtered and transferred to a 100 mL volumetric flask. 30 mL of methanol is added to the extracted Erlenmeyer flask and extracted with an ultrasonic machine for 2 hours. The extracted solution is filtered onto a filter paper and transferred to a previous 100 mL volumetric flask. When the extracted solution is cooled down, add methanol to make 100 mL.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is solution was measured by an electrolyte concentration meter.

전도성 크림의 전기적 전도성 측정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했다.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of the conductive cream proceeded as follows.

전도성 크림은 친수성 고분자를 먼저 계면활성제와 섞어준 뒤, 잘 분산된 상태에서 물을 부어 잘 섞어준다. 추가적인 부형제는 크림이 만들어지면 첨가하였다. 크림을 10mL 채취하여 전해질 농도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The conductive cream mixes the hydrophilic polymer with the surfactant first, then pours the water in a well-dispersed state and mixes it well. Additional excipients were added once cream was made. 10 mL of cream was collected and measured with an electrolyte concentration meter.

성능비교 시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The performance comparison test was carried out as follows.

카타플라즈마 제형 실시예 5과 전도성 크림 실시예 8을 이용하여 iontophoresis 시험을 했고, IOMED 장비와 TransQ1 패치를 사용하여 대조실험을 진행하였다. The iontophoresis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Kata plasma formulation example 5 and the conductive cream example 8, and a control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IOMED equipment and TransQ1 patch.

피부(팔)에 카타플라즈마 또는 IOMED 사 TransQ1 제품을 부착하고 동일 시간 동일 밀도의 전압을 걸어주어 15분간 15V로 진행하였다. 마취 정도는 실험자의 관능시험으로 하였고, 마취 면적은 관능시험으로 마취된 부위를 찾아 면적을 계산 하였다. 계산은 붙힌 패치의 면적 대비 실제 마취된 면적으로 계산하였다. 발적 지속 시간은 피부에 붉은 자국이 없어지는 시점으로 측정하였다.Kata plasma or IOMED TransQ1 product was attached to the skin (arm) and voltage of the same density was applied for 15 minutes at 15 V for 15 minutes. The degree of anesthesia was determined by the sensory test of the experimenter, and the area of anesthesia was calculated by finding the anesthetic area by the sensory test. Calculation was calculated as the area actually anesthetized versus the patch area. The duration of the redness was measured as the point at which the red mark disappears on the skin.

[카타플라스마 조성에 대한 실험][Experiments on the composition of cataracts]

글리세린과 카타플라스마 패치 제조에 필요한 각종 파우더 형태의 성분을 먼저 섞고, 증류수에 염산염 리도카인과 타르타르산을 넣어서 물에 녹인다. 글리세린 층에 증류수 층을 넣어 섞으면서 폴리머 가교를 시킨다. pH, 전도도, 수분 함량은 아래의 표 1 과 같이 성분 함량 변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Glycerin and various powder-like component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cataplasma patch are mixed first, and lidocaine hydrochloride and tartaric acid are added to distilled water and dissolved in water. Add the distilled water layer to the glycerin layer and mix the polymer. The pH, conductivity and moisture conten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al change as shown in Table 1 below.

부직포는 방수부직포를 사용하였으며, roll coating 공정을 거쳐 카타플라즈마 액을 이형 필름과 부직포에 카타플라스마 조성을 도포하였다. 도포의 두께는 1.5mm 로 통일시켜 제조한 후 실험을 진행했다. 또한 전도성 크림은 실시예 8 의 조성으로 사용하였다.Waterproof nonwoven fabric was used for the nonwoven fabric, and the Kata plasma solution was applied to release film and nonwoven fabric by roll coating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was made to be 1.5 mm,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Conductive cream was also used as the composition of Example 8.

아래의 표 1 은 친수성 고분자의 중성화정도에 따라 pH 를 변화시켜 보았고, 수분함량을 변화시켜 보았다. 참고로 친수성 고분자를 중성화가 되도록 치환할수록 pH 는 올라간다. 예컨대 폴리아크릴산을 친수성 고분자로 채택한 경우 COOH 를 COONa 로 치환할수록 전체 카타플라스마 조성의 pH 는 상승한다.Table 1 below shows the change in pH depending on the degree of neutralization of the hydrophilic polymer, and the water content was varied. For reference, the more the hydrophilic polymer is substituted for neutralization, the higher the pH. For example, when polyacrylic acid is adopted as a hydrophilic polymer, the pH of the entire cataplasm composition rises as COOH is replaced with COONa.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7Example 7 리도카인
염산염
Lidocaine
Hydrochloride
5%5% 5%5% 5%5% 5%5% 5%5% 5%5% 0%0%
pHpH 66 66 66 77 66 77 77 부분적으로
중성화된 폴리
아크릴산 50%
partially
The neutralized poly
Acrylic acid 50%
5%5% 5%5% 5%5% 0%0% 5%5% 0%0% 0%0%
부분적으로
중성화된 폴리
아크릴산 70%
partially
The neutralized poly
Acrylic acid 70%
0%0% 0%0% 0%0% 5%5% 0%0% 5%5% 0%0%
소듐 CMCSodium CMC 2%2% 2%2% 2%2% 0%0% 2%2% 2%2% 0%0% 소듐
알지네이트
Sodium
Alginate
1%One% 1%One% 1%One% 0%0% 1%One% 1%One% 0%0%
EDTA-NaEDTA-Na 0.05%0.05% 0.05%0.05% 0.05%0.05% 0%0% 0.05%0.05% 0.05%0.05% 0%0% 전도도(μS)Conductivity (μS) -- -- -- 240240 -- 340340 4040 수분 함량Moisture content 50%50% 60%60% 70%70% 65%65% 65%65% 65%65% 65%65%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같은 수분함량에 있어서는 pH 가 높을수록 전도도가 우수했다. 이는 pH 가 높을수록 리도카인 염산염이 많이 이온화될 수 있음을 추측하게 한다. 바람직한 pH 범위는 7 이다. 다만 pH 가 더 높아지도록 친수성 고분자를 더 중성화하게 되면 접착력이 사라져서 국소부위에 접착함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같은 pH 에서는 물 함량이 65% 정도에서 전도도의 효율이 가장 좋았고, 물의 함량이 더 많으면 효율이 저하되었다. 마찬가지로 물의 함량이 이보다 적어도 효율이 저하되었다. 즉 물의 함량은 카타플라스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60% 초과 70% 미만이 바람직하다.As shown above, the higher the pH, the better the conductivity at the same moisture content.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pH, the more lidocaine hydrochloride can be ionized. The preferred pH range is 7. However, if the hydrophilic polymer is further neutralized so that the pH is higher, the adhesive force may disappear and problems may occur in adhering to the local site. At the same pH, the conductivity was the best at 65% of the water content and the efficiency decreased at the higher water content. Likewise, the water content was at least reduced in efficiency. That is, the content of water is preferably more than 60% and less than 7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ataplasma composition.

물이 많으면 리도카인 염산염이 더 많이 이온화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오히려 카타플라스마 제형이 무너져서 전류가 잘 투과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Lidocaine hydrochloride is expected to be ionized more if there is a lot of water, but it is presumed that the kata plasma form collapses and current does not permeate well.

한편 실시예 6 의 경우 전도도는 가장 높게 나왔으나 Na 이온에 의한 전도도로, 실제 리도카인의 투과력을 보면 실시예 6 은 오히려 실시예 4 보다 낮게 나타난다. 이는 Na 이온과 리도카인이 서로 경쟁을 하게 되어 리도카인 투과 효율이 낮아지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 6, the conductivity was the highest, but the conductivity by Na ion and the permeation power of the actual lidocain showed that Example 6 is lower than Example 4. It is presumed that Na ion and lidocaine compete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lowered lidocaine permeation efficiency.

[전도성 크림을 포함한 전체적인 실험][Overall experiment with conductive cream]

전도성 크림 제조는 다음과 같다. 증류수에 고분자 폴리머와 계면 활성제인 폴리솔베이트를 먼저 섞어준다. 그리고 염화나트륨을 넣어서 제조한다. Conductive cream production is as follows. Mix the polymer and the surfactant Polysolvate first in distilled water. It is prepared by adding sodium chloride.

화학 성분Chemical composition 실시예 8Example 8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10Example 10 아크릴아미드/소듐 아크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Acrylamide / sodium acroyl dimethyl taurate copolymer 4%4% 4%4% 4%4%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1%One% 1%One% 1%One% 증류수Distilled water 95%95% 94.9%94.9% 94.75%94.75%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0%0% 0.1%0.1% 0.25%0.25%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카타플라스마 패치의 두께 최적화.Optimization of thickness of cataplasma patch.

카타플라스마 패치는 전도체 이긴 하나 저항이 비교적 전도성 금속 보다는 높다. 또한 전기 저항은 저항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저항이 높아진다. 이점을 고려하면 패치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보다 저항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전류 효율이 낮아지고, 발적이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카타플라스마 패치보다 좀더 ?은 두께로 카타플라스마 패치를 제조하였다. 카타플라스마 패치는 실시예 4 로 실험하였다. 카타플라스마의 패치 두께 기준은 카타플라스마를 도포할 때 두 롤러 사이 간격을 기준으로 했다.The cataplasma patch is a conductor, but the resistanc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conductive metal. Also, the electrical resistance becomes higher as the thickness of the resistor becomes thicker. Considering this point, the thicker the patch, the higher the resistance, the lower the current efficiency and the higher the firing.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taplasma patch having a thickness of more than that of a conventional cataplasma patch was prepared. The cataplasma patch was tested in Example 4. The patch thickness criterion of the Kata plasma was based on the gap between the two rollers when applying the Kata plasma.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전압Voltage 전도성 크림Conductive cream 패치의 두께Patch thickness 부위part 마취 면적Anesthetic area 발적Flare 1One 15V15V 실시예 8 사용Example 8 Use 1.65 mm1.65 mm 얼굴 볼Face ball 1.18 cm2 1.18 cm 2 있음has exist 22 15V15V 실시예 8 사용Example 8 Use 1.2 mm1.2 mm 얼굴 볼Face ball 3.14 cm2 3.14 cm 2 약간 있음Has a little 33 15V15V 실시예 8 사용Example 8 Use 0.9mm0.9mm 얼굴 볼Face ball 3.14 cm2 3.14 cm 2 심하게 있음.Severely in stock.

위 실험은 전압 15V를 유지하며 15분간 마취 실험을 진행했고, 모두 실시예 8번 전도성 크림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위에서 알 수 있듯이 패치의 두께가 얇을수록 마취 면적이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패치다 두꺼워서 전체적인 저항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저항열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국소 마취 이후 피부에 발생하는 발적이 조금 더 심해진 것을 알 수 있다. 두께를 더 낮추어 봤을 때는 전극이 피부에 거의 직접 닿아서 발적이 생겼다. 이 경우 발적은 저항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전극 표면에서 전기분해가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OH 그룹에 의한 피부의 pH상승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The abov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15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voltage of 15 V. All of the conductive creams of Example 8 were applied.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thinner the patch, the larger the anesthetic area. In addition, the patches are thicker so that the overall resistance rises and thus the resistance heat is generated. This shows that the flare that occurs on the skin after local anesthesia becomes more severe. When the thickness was further lowered, the electrode almost directly contacted the skin, resulting in redness. In this case, the firing is not due to the resistance, but because the pH of the skin is increased due to the OH group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at the electrode surface.

따라서 바람직한 패치의 두께는 1.0~1.4mm 이다.Therefore, the preferable thickness of the patch is 1.0 to 1.4 mm.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2

염산염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의 최적화Optimization of hydrochloride lidocaine kata plasma

- 카타플라스마 속 수분 함량에 따른 리도카인 투과량- permeability of lidocaine according to water content in kataplasma

염산염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에서 염산염 리도카인이 잘 투과되는 요소는 몇 가지가 있다. 먼저 카타플라스마의 수분량이다. 카타플라스마 내부에 수분이 많을수록 이온화된 염산염 리도카인이 이동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카타플라스마의 수분 함량에 따라 염산염 리도카인의 투과량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카타플라스마 패치로 실험을 하였다. 도 3 을 참고하였을 때, 카타플라스마 속 물의 함량과 리도카인의 투과량이 비례하지 않았다. 물의 양이 많을수록 리도카인이 잘 투과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오히려 60%와 50%가 70%보다 높게 나왔다. 따라서 바람직한 수분 함량은 카타플라스마 총 중량 대비 50 - 65 % 이다.Hydrochloride in Lidocaine Kata Plasma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lead to the permeation of hydrochloric acid lidocaine. First is the water content of Kata plasma. The more water inside the cataplasm, the more ionized the hydrochloride lidocaine helps to mov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meation amount of lidocaine hydrochloride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of Kata plasma.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e cataplasma patches of Examples 1, 2, and 3. 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of Kata plasma mass was not proportional to the permeation amount of lidocaine. The greater the amount of water, the better the lidocaine was expected to penetrate, but 60% and 50% were higher than 70%. Therefore, the preferred moisture content is 50-65% of the total weight of the cataplasma.

통상의 카타플라스마는 제형을 만들 때 물의 함량이 40%정도가 적당하다. 수분이 있으면서 다른 성분들과도 배합성이 좋게 완성되기 때문이다. Typical cataplasma is about 40% water content when making formulations. This is because it is well-mixed with other ingredients with moisture.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전기가 통해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물의 양을 더 늘려야 함을 깨달았다. 물의 양이 늘어남과 동시에 투과 효율이 좋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물의함량이 70%까지 올라갔을 때는 카타플라스마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고, 친수성 고분자들이 수분을 제대로 포집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래서 실험할 때 이미 수분이 많이 날라가서 60% 이하일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실험하기 직전에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서 수분함량의 기준은 제조할 때 기준이고, 70%가 더 낮은 것은 카타플라즈마 제형이 제조적으로 불완전하게 제조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rtion to which electricity had to be passed, so that it was necessary to further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water is increased and the permeation efficiency is improved. However, when the water content increased to 70%, the kata plasma did not form properly and the hydrophilic polymers seemed to be not capturing the water properly. So, when I experiment, it seems to be already 60% or le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immediately before the experiment, so the moisture content standard is based on the preparation, and the lower 70% is due to the fact that the kata plasma formulation is manufactured imperfectly.

- 카타플라스마 속 리도카인 함량에 따른 리도카인 투과량 - Lidocaine permeability according to cataclasma lidocaine content

리도카인 염산염의 성분 함량이 높을수록 경피투과량이 많아진다. 하지만 카타플라스마 제형에 리도카인 염산염이 많이 들어가면, 오히려 pH가 함량 증가에 따라 떨어지고, 카타플라스마의 물성에 큰 영향을 받아서 카타플라스마 제형으로써 역할을 하기 힘들어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리도카인 염산염을 담을 수 있는 함량의 범위가 있으며, USP(미국 약전) 에 있는 카타플라스마 제형의 면적 당 함량은 100mg/10cm2 이에 맞게 카타플라스마 제형연구를 하였다. The higher the content of lidocaine hydrochloride, the greater the transdermal permeability. However, when a large amount of lidocaine hydrochloride is added to the cataplasma formulation, the pH is lowered as the content increases, and it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ataplasma, making it difficult to serve as a cataplasma formul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ange of content capable of containing lidocaine hydrochloride, and the content per area of the cataplasma formulation in USP (USP) is 100 mg / 10 cm 2.

최종적으로 카타플라스마에 담을 수 있는 리도카인 염산염의 범위는 카타플라스마 총 중량 대비 1%~8%이며, 5%부터는 카타플라스마의 두께를 더 얇게하여 기준 함량을 조절하였다. 실시예 4번을 기준으로 Lidocaine HCl의 함량만 바꾸어 실험하였다.Finally, the range of lidocaine hydrochloride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cataplasma is 1% to 8% of the total weight of the cataplasma, while the reference content is adjusted by thinning the thickness of the cataplasma from 5%. The content of Lidocaine HCl was changed only in accordance with Example 4.

리도카인 염산염 함량Lidocaine hydrochloride content 상대적인 리도카인 투과량(오차범위 5%)Relative lidocaine permeation (error range 5%) 1%One% 55%55% 3%3% 67%67% 5%5% 73%73% 7%7% 94%94% 8%8% 100%100%

특히 5%~8%가 적당하다. 5%부터는 국제 약전에 따라 면적당 리도카인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패치 두께를 얇게 하여 약물의 농도를 올리면서 리도카인 함량을 늘릴 수 있다. 즉 두께를 줄이면 리도카인 함량을 8%까지 늘릴 수 있다.- 카타플라스마 속 양이온 처방에 대한 리도카인 투과량 Especially, 5% ~ 8% is suitable. From 5%, the amount of lidocaine per area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pharmacopoeia, so the thickness of the patch can be thinned to increase the drug concentration and increase the lidocaine content. In other words, reducing the thickness can increase the lidocaine content to 8%. - Lidocaine permeability for cationic plasmapheresis

양이온이 이온화된 염산염 리도카인과 경쟁을 하게 되면 나트륨이온은 분자량이 작아서 빨리 투과되고 그만큼 염산염 리도카인의 투과효율은 감소한다. 따라서 카타플라스마 패치 내부에 타 양이온의 양을 최대한 줄였다. 리도카인 염산염과 이온 성분이 없는 카타플라스마에서 40정도의 양이 나왔고, 리도카인 염산염만 있는 처방에서는 240대가 나왔다. 따라서 순수 리도카인 염산염의 전도도는 약 200정도 수준으로 예상되며 소듐 알지네이트, 소듐 CMC, EDTA 등을 뺀 것이 전도도 80정도 감소를 가져왔다. 전체 290 정도 이온 중 80 정도가 제거되고, 원래 카타플라스마 제형과 부직포에 있는 이온이 43 정도 이다. 즉 소듐을 성분을 빼면서 리도카인 이온토포레시스에 방해되는 이온들을 3분의 2가량 줄였다. 이에 따라 경피 투과율도 각각 다르며 Na 이온이 제거된 카타플라스마에서 가장 높은 투과율이 나왔다. 실험 1은 실시예 6, 실험 2 는 실시예 4, 실험 3은 실시예 7으로 실험하였다. When the cation competes with the ionized hydrochloride lidocaine, the sodium ion is small in molecular weight and permeates quickly, and the permeation efficiency of the hydrochloride lidocaine decreases accordingly. As a result, the amount of cation ions inside the cataplasma patch wa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40 doses of lidocaine hydrochloride and no ionic component of cataplasma, and 240 doses of lidocaine hydrochloride alone. Therefore, the conductivity of pure lidocaine hydrochloride is expected to be about 200, and subtraction of sodium alginate, sodium CMC, and EDTA has resulted in a reduction of conductivity of about 80. About 80% of the total 290 ions are removed, and the original Kata plasma form and nonwoven fabric have about 43 ions. That is, by subtracting the sodium component, the amount of ions that interfere with lidocaine iontophoresis was reduced by about two-thirds. As a result, the transdermal permeability was also different, and the highest transmittance was obtained in Na-ionized cataplasma. Experiment 1 was performed in Example 6, Experiment 2 was conducted in Example 4, and Experiment 3 was conducted in Example 7. [

실험 1Experiment 1 실험 2Experiment 2 실험 3Experiment 3 상대적인 리도카인 투과량Relative lidocaine permeability 85%85% 100%100% 없음none Na 이온 제거 여부Na ion removal OO XX XX Lidocaine HCl 유무Presence or absence of Lidocaine HCl OO OO XX 전해질 농도 측정 결과 (μS)Electrolyte concentration measurement result (μS) 340340 240240 4040

- 첨가물 성분에 따른 카타플라스마 내 양이온의 함량 측정법.카타플라스마 속에 있는 양이온과 리도카인이온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법은 99% 메탄올 용액에 카타플라스마를 2시간동안 초음파기계로 추출한다. 그리고 이 용액의 전기 전도도를 전해질 농도 측정 기기로 측정하였다. - Determination of the amount of cations in the cataplasma according to the additive components The amount of cations and lidocaine ions in the kata plasma was measured. For the measurement, cataplasma is extracted with a 99% methanol solution for 2 hours by an ultrasonic machin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is solution was measured by an electrolyte concentration meter.

- 카타플라스마의 pH에 따른 리도카인 투과- lidocaine permeation according to the pH of kataparisma

카타플라스마의 pH에 따라 리도카인의 투과효율이 다르다. 카타플라스마 속에 이온화 되어있는 리도카인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염산염 리도카인은 카타플라스마 속에서 이온화 되어야 양의 극성을 지닌다. 염산염 리도카인이 양 극성이 많이 띄게 하려면 그만큼 많은 양이 해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카타플라스마의 pH를 최대한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위해 여러가지 폴리머를 사용하면서 pH에 따른 염산염 리도카인 투과량에 대해 비교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5 를 실험에 사용하였다.The permeation efficiency of lidocaine differs depending on the pH of the cataplasma. It is because the amount of lidocaine ionized in kataplasma is different. The hydrochloride lidocaine has positive polarity when it is ionized in the katta plasma. It is important to maximize the pH of the cataplasma as the hydrochloride lidocaine needs to dissociate as much as it needs to have a high bipolarity.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olymers were used for this purpose and compared with the permeation amount of lidocaine hydrochloride according to pH. Example 2, Example 4 and Example 5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도 4 에서는 카타플라스마 속 물의 양이 60%인 것과 65% 인것을 비교했는데 65%에서의 리도카인 투과량이 조금 높을 뿐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65%의 물 함량이더라도, pH를 높게 하여 제조했을 때는 리도카인의 투과량이 약 3배이상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 리도카인 투과 효율은 물의 함량보다 pH의 변화가 훨씬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Fig. 4, the amount of Kata plasma mass was 60% and 65%, respectively, but the permeation amount of lidocaine at 65% was slightly high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even at the same water content of 65%, the permeation amount of lidocaine is about three times or more different when the pH is made high. The results show that the lidocaine permeation efficiency is much more affected by the change in pH than the water content.

- 고분자 폴리머 전도성 크림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Polymer Polymer Conductive Cream

고분자 폴리머는 아크릴아마이드와 염이 포함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를 주로 사용하였다. 보통 순수한 물은 전도성이 굉장히 낮기 때문에 염화나트륨과 같은 전해질을 소량 첨가하면 전해질이 좋아진다. 이런 점을 참고하여 고분자 폴리머와 물을 섞고, 소량의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였다. 이때 만들어진 전도성 크림의 전도성은 염화나트륨의 함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상승한다. pH는 거의 변화가 없다. The polymeric polymer was mainly acrylonyldimethyltaurate containing acrylamide and salt. Generally pure water is very low in conductivity, so adding a small amount of electrolyte, such as sodium chloride, will improve the electrolyte. With reference to this point, the polymer polymer and water were mixed and a small amount of sodium chloride was added.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cream made at this time increases proportionally with the content of sodium chloride. The pH is almost unchanged.

실시 예Example NaCl함량NaCl content 전도도(μS)Conductivity (μS) pHpH 점도Viscosity 1010 NaCl 0.25% 함유Containing 0.25% NaCl 70007000 4.924.92 낮음lowness 99 NaCl 0.1% 함유0.1% NaCl content 60006000 5.025.02 중간middle 88 NaCl 0% 함유0% NaCl content 30003000 5.275.27 높음height

하지만 경피 투과 실험에서 리도카인의 투과량은 염화나트륨의 함량에 반비례한다. 그 이유는 염화 나트륨이 먼저 이온화 되어 양이온의 나트륨이 생성된다. 이는 이온 도입 과정에서 역시 양이온 극성인 리도카인과 경쟁하게 된다. 그 효과로 인해 상대적으로 염화 나트륨이 없는 처방에서 더 좋은 리도카인 투과량을 보인다. 도 5 를 참고하면, 실시예 3으로 제조한 전도성 크림이 이온 도입 시스템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ercutaneous permeation experiment, the permeability of lidocain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tent of sodium chloride. The reason is that the sodium chloride is first ionized to produce the sodium of the cation. This compete with the positive polarity of lidocaine during the iontophoresis. The effect results in better lidocaine penetration in prescriptions that are relatively free of sodium chloride.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aid that the conductive cream prepared in Example 3 is most suitable for an iontophoretic system.

또한 전도성 크림에 염화 나트륨이 첨가되면 고분자 폴리머에 있는 염에 영향을 주어 폴리머간의 삼투압에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염화 나트륨의 함량이 많을수록 크림의 점도가 낮아진다. 점도가 낮아지면 크림이 카타플라스마에 있는 부직포에 흡수를 빨라지지만 그만큼 수분 증발량이 많아 져서 금방 말라버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요인들을 고려하여 실시예 3으로 최적화된 전도성 크림 처방을 고안했다.The addition of sodium chloride to the conductive cream also affects the salts in the polymeric polymer and affects the osmotic pressure between the polymers. For this reason, the higher the sodium chloride content, the lower the viscosity of the cream. When the viscosity is lowered, the cream quickly absorbs into the nonwoven fabric in the cataplasma, but there is a drawback in that the amount of water evaporation increases and it dries quickly. Thus, in this study, we devised a conductive cream prescription optimized to Example 3, taking into account the above factors.

- 전류 파형 실험- Current Waveform Experiment

본 발명에서 사용한 전류는 직류이나 전류의 파형에 변화를 줌으로써 염산염 리도카인의 투과 효율이 개선 될 수 있다. 피부의 저항은 단순 임피던스 저항이 아니고 캐패시턴스의 저항 형태가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일반 직류(Constant Direct Current) 와 맥류성 직류 (Pulsed Direct Current)를 비교하였다. 카타플라스마 패치는 제조 실시예 5와 실시예 8을 공통적으로 사용하였다. 맥류성 전류의 경우 사각파를 사용하였고, Duty ratio 는 1:1이며 2000Hz 의 조건을 사용하였다. 맥류성 직류의 전류의 세기는 Duty ratio 에 따른 평균값으로 직류의 평균 전류의 세기와 같게 만들었다. 도 6 의 시간에 따른 염산염 리도카인 투과량을 참고하면 맥류성 직류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curr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hydrochloride lidocaine by changing the DC or current waveform. This is because the resistance of the skin is not a simple impedance resistance but a resistance type of capacita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ant direct current and a pulsed direct current are compared. The cataplasma patch used in Manufacturing Example 5 and Example 8 in common. For the pulsating current, a rectangular wave was used. The duty ratio was 1: 1 and the condition of 2000Hz was used. The intensity of the pulsating DC current is the average value according to the duty ratio, which is made equal to the DC current average intensity. Referring to the permeation amount of lidocaine hydrochloride over time in FIG. 6, the efficiency of the pulsatile direct current decreases.

- 성능 비교 시험.- Performance comparison test.

본 발명을 사용하여 마취 정도, 발적 정도를 비교하였다. 아이오메드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 같은 조건으로 실험을 했다. 카타플라스마 패치는 제조 실시예 5 와 실시예 8을 공통적으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은 아이오메드사 장비보다 전기 자극, 발적이 적었고, 마취 효과는 비슷하였다. The degree of anesthesia and degree of flaring were compar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sold by IOMAD Inc.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cataplasma patch used in Manufacturing Example 5 and Example 8 in common. The iontophore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less electrical stimulation, less redness, and similar anesthetic effect than the IOMED equipment.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에서 전도성 크림을 제외하고 실험을 했을 때는 발적도 없었고, 마취효과도 없었다. 그 이유는 부직포가 적셔져 있지 않기 저항이 너무 높아서 때문에 아예 전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In the iontophore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conductive cream, there was no flare or anesthetic effect wh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reason is that the nonwoven fabric is not soaked, and the resistance is too high, so that electricity is not supplied at all.

비교 사항Compare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
The
Iontophoresis system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
(전도성 크림 제외)
Iontophoresis
system
(Excluding conductive cream)
아이오메드 장비
(+, - 극이 직접 접촉)
Iomed equipment
(+, - pole contact directly)
평균 마취 정도
(전극면적 대비
마취 면적, %)
Average degree of anesthesia
(Relative to electrode area
Anesthesia area,%)
90 %90% 0%0% 105%105%
평균 마취 강도 (0~5점)Average anesthetic intensity (0-5 points) 4.5점4.5 points 0%0% 4.8점4.8 points 마취 유지 시간Anesthesia Maintenance Time 5~7분5 to 7 minutes 0분0 minutes 7분7 minutes 시술 중 이상Abnormalities during the procedure 느낌 없음.No feeling. 느낌 없음.No feeling. 찌릿한 전기 자극
계속 있음
A stinging electrical stimulus
Continued
시술 후 이상Abnormal after the procedure 약간의 발적.Slight flare. 발적 없음.No flare. 발적이 심함.
피부가 민감해짐.
Severe redness.
Skin becomes sensitive.
발적 지속 시간Fever duration 10분10 minutes 없음.none. 1시간 40분1 hour 40 minutes

Claims (6)

염산염 리도카인 및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전도성 카타플라스마 조성물로서, 친수성 고분자가 부분적으로 중성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pH 가 6 내지 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전도성 카타플라스마 조성물.A conductive cataplasm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a lidocaine hydrochloride and a hydrophilic polymer, wherein the hydrophilic poly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tially neutralized polyacrylates, polyvinylpyrrolidone and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lt; RTI ID = 0.0 > 6-7. < / RTI >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이 부직포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카타플라스마 패치.A cataplasma patch for iontophores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is applied to a nonwoven fabric. 제 1 항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용 전도성 카타플라스마 조성물, 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겔 조성물 및 이온 도입 기기를 포함하는 키트로서, 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겔 조성물이 이온성은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중에서 선택하고, 음이온성은 카복실산염, 질산염, 인산염 및 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며, 양이온성은 아민염, 이민염 및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고, 고분자는 카복실산염, 질산염, 인산염 및 황산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며, 이온 도입 기기를 (+) 극은 이온토포레시스용 전도성 카타플라스마 조성물 위에 도포된 전도성 겔 조성물에 접촉시키고, (-) 극은 손에 접촉시켜, 한 손으로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키트.A kit comprising a conductive cataplasm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according to claim 1, a conductive gel composition comprising an ionic polymer, and an iontophoretic device, wherein the conductive gel composition comprising an ionic polymer is anionic, cationic or cationic And the anion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xylate, a nitrate, a phosphate and a sulfate, and the ca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mine salt, an imine salt, and an ammonium salt, and the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xylic acid salt, (+) Electrode is contacted with the conductive gel composition applied on the conductive cataplasma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and the (-)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the han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iontophoresis by one hand. 제 3 항에 있어서, 이온성 고분자가 아크릴아미드/소듐 아크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카보머, 알긴산염, 카라기난, 키토산 및 폴리에틸렌이민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The k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ionic poly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mide / sodium acroyl dimethyl taurate copolymer, carbomer, alginate, carrageenan, chitosan, and polyethyleneim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12066A 2018-09-19 2018-09-19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KR101959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66A KR101959524B1 (en) 2018-09-19 2018-09-19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PCT/KR2019/006048 WO2020059998A1 (en) 2018-09-19 2019-05-21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66A KR101959524B1 (en) 2018-09-19 2018-09-19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524B1 true KR101959524B1 (en) 2019-03-18

Family

ID=6594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066A KR101959524B1 (en) 2018-09-19 2018-09-19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9524B1 (en)
WO (1) WO2020059998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98A1 (en) * 2018-09-19 2020-03-26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KR102318386B1 (en) 2021-02-02 2021-10-27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Gel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2577A (en) 1986-10-20 1989-06-27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Plaster structural assembly for iontophoresis
US5084006A (en) 1990-03-30 1992-01-28 Alza Corporation Iontopheretic delivery device
KR20010110754A (en) * 1999-04-13 2001-12-13 나까도미 히로다카 Iontophoresis device
KR20010112420A (en) 1999-04-12 2001-12-20 나까도미 히로다카 Device for iontophoresis
KR20080003814A (en) * 2005-04-15 2008-01-08 트란스큐 리미티드 External preparation, method of applying external preparation, iontophoresis device and transdermal patch
KR20150085069A (en) * 2012-11-20 2015-07-22 알레간 인코포레이티드 Topical dapsone and dapsone/adapale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KR20160097202A (en) * 2013-11-03 2016-08-17 더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Ionic liquid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KR20170081838A (en) * 2016-01-05 2017-07-13 바이오센서연구소 주식회사 Iontophoresis device for drug deliv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494A (en) * 1995-06-09 1997-04-22 Takeda Chem Ind Ltd Drug dissolving liquid for iontophoresis
JP4154017B2 (en) * 1997-12-30 2008-09-24 久光製薬株式会社 Iontophoresis device and drug unit
US8295923B2 (en) * 2008-09-02 2012-10-23 Teikoku Pharma Usa, Inc. Sacrificial electrode design and delivery species suitable for prolonged iontophoresis application periods
KR101959524B1 (en) * 2018-09-19 2019-03-18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2577A (en) 1986-10-20 1989-06-27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Plaster structural assembly for iontophoresis
US5084006A (en) 1990-03-30 1992-01-28 Alza Corporation Iontopheretic delivery device
KR20010112420A (en) 1999-04-12 2001-12-20 나까도미 히로다카 Device for iontophoresis
KR20010110754A (en) * 1999-04-13 2001-12-13 나까도미 히로다카 Iontophoresis device
KR20080003814A (en) * 2005-04-15 2008-01-08 트란스큐 리미티드 External preparation, method of applying external preparation, iontophoresis device and transdermal patch
KR20150085069A (en) * 2012-11-20 2015-07-22 알레간 인코포레이티드 Topical dapsone and dapsone/adapale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KR20160097202A (en) * 2013-11-03 2016-08-17 더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Ionic liquid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KR20170081838A (en) * 2016-01-05 2017-07-13 바이오센서연구소 주식회사 Iontophoresis device for drug deliv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98A1 (en) * 2018-09-19 2020-03-26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KR102318386B1 (en) 2021-02-02 2021-10-27 주식회사 우신라보타치 Gel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9998A1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1607B2 (en) Composition for transdermal delivery of cationic active agents
Okabe et al. New iontophoretic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the beta-blocker metoprolol
US7643874B2 (en) Dermal patch
Khan et al. Iontophoretic drug delivery: history and applications
RU2372113C2 (en) Method, apparatus and kit for onychomycosis treatment with using electrokinetic mass transport
JPH0688912B2 (en) Transdermal flow rate improv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itable for iontophoresis with a current of 100 μA or more in local administration of a drug
CH690751A5 (en) Device for the transdermal electrotransport delivery of fentanyl and sufentanil.
JPH0217186B2 (en)
JP4033382B2 (en) Insulin administration device
KR101959524B1 (en) Adhesive cataplasma system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JPH05508643A (en) Reduction or prevention of skin irritation caused by drugs
KR20120096675A (en) Low-frequency stimulation electrode conductive hydrogel patch containing ingredients for alleviating pain and inflammation
Al-Khalili et al. Iontophoretic transdermal delivery of buspirone hydrochloride in hairless mouse skin
CH690562A5 (en) Device for the transdermal electrotransport delivery of fentanyl and sufentanil.
KR102022336B1 (en) Local pain relief cataplasma patch
JP2000219623A (en) Tacky gel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and device therefor
EA026988B1 (en) Polyamine enhanced formulations for triptan compound iontophoresis
JP3261501B2 (en) Drug delivery method by improved iontophoresis
JP2007044258A (en) Percutaneous absorption patch with a syringe needle insertion hole
Panzade Iontophoresis: A functional approach for enhancement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KR20010080563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gel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and apparatus therefor
KR102318386B1 (en) Gel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lidocaine
EP0910432B1 (en) Enhanced electrotransport of therapeutic agents having polybasic anionic counter-ions
Nandy et al. Transdermal iontophoretic delivery of atenolol in combination with penetration enhancers: Optimization and evaluation on solution and gels
JPH0349589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