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372B1 -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 Google Patents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372B1
KR101959372B1 KR1020180098231A KR20180098231A KR101959372B1 KR 101959372 B1 KR101959372 B1 KR 101959372B1 KR 1020180098231 A KR1020180098231 A KR 1020180098231A KR 20180098231 A KR20180098231 A KR 20180098231A KR 101959372 B1 KR101959372 B1 KR 101959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inclined surface
cut
area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0286A (en
Inventor
서재일
김영균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372B1/en
Publication of KR2018010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02F2001/1333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뷰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되고, 상기 뷰 영역과 일체형인 논-뷰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논-뷰 영역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odule. The disclosed display module includes a view area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And a non-view area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the non-view area being integral with the view area, and cutting at least one outermost corner of the plurality of angular outline corners provided in the non-view area.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0002]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which affect the external design of the portable terminal.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나 메시지 전송 등이 간단한 기능만을 수행하여도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었으나, 점차 멀티미디어 환경이 도래하면서, 유저는 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요구하고 있다. 제조업자도 유저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고기능의 휴대 단말기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do not hinder the use of simple voice calls or message transmissions even if they perform only simple functions. However, as the multimedia environment gradually comes, users are demanding portable terminals having more functions. Manufacturers are also devoting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portable terminals to meet user needs.

한편, 휴대 단말기는 경량, 소형, 슬림 등을 고려하여 유저의 휴대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주요 부품들 중, 데이터 입력장치나 데이터 출력 장치가 매우 중요하다. 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weight, small size, and slimness. Of the major component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 data input device and a data output device are very important.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데이터 입력 장치는 종래에는 주로 누름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현재에는 터치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 각광받고 있고, 향후 터치 방식이나 동작 또는 모션 인식 등의 방식으로 원하는 데이터 입력방식이 발전될 것이다.Conventionally, a data input device used in a portable terminal has mainly been a method of inputting data by a pushing method, but nowadays, a method of inputting data by touching method is attracting attention. In future, a touch input method, The desired data input method will be developed.

데이터 출력 장치는 과거에는 주로 엘씨디 모듈이 사용되었고, 현재에는 엘씨디 모듈 이외에 아몰레드 모듈이 사용되며, 향후 슬림화에 유리하고, 저전력 이점이 있는 아몰레드 모듈이 점차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In the past, mainly the LCD module was used as the data output device, and now, the AMOLED module is used in addition to the LCD modul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AMOLED module, which is advantageous for slimming down and has low power advantage in the future, will be gradually increased.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10) 중, 현재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1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100)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00) 상부에 스피커(110)와 카메라 모듈(112)이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100) 하부에 온/오프 스위치(114)가 배치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114) 좌우측으로 제1,2터치 영역(116,118)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윈도우 또는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외부에서는 윈도우를 통해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도 2에 도시됨)의 뷰 영역을 지칭하며,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표시되어서,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1,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currently in the spotlight among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0 includes a display 100 dispos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speaker 110 and a camera module 112 disposed on the display 100. The on / off switch 114 is disposed under the display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touch areas 116 and 118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n / off switch 114. The display 100 includes a display module, a window or a touch window, and externally refers to a view area of a display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via a window. Data is displayed to the user, ≪ / RTI > < RTI ID = 0.0 >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 전면에는 상기 구성 부품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검은 색상의 BM(Black Matrix) 영역(BM)이 위치한다.A BM (Black Matrix) area BM of a black color is loc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except the component part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은 크게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볼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두 개의 영역은 뷰 영역(121)(거의 대부분을 차지함)과, 논-뷰 영역인 엘디아이(LDI) 영역(122)을 의미한다. 상기 뷰 영역(121)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엘디아이 영역(121)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구비되지만,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영역으로서, 외부에서는 BM 영역에 의해 보이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As shown in FIG. 2,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20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divided into two area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displayed data can be viewed. The two areas mean a view area 121 (which occupies most of the area) and an LDI area 122 that is a non-view area. The view area 121 is an area where data is displayed and can be viewed by the user. The ELDIA area 121 is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120 but is not visible to the user. As shown in FIG.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두 개의 연성 회로를 구비하는데, 제1연성 회로(FPCB1)는 뷰 영역(121) 저면에 구비되고, 다른 연성 회로(FPCB2)는 엘디아이 영역(122)에 배치된다.The display module 120 includes two flexible circuits. The first flexible circuit FPCB1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iew area 121, and the other flexible circuit FPCB2 is disposed on the Eltree area 122.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대략적으로 평탄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뷰 영역(121)과 엘디아이 영역(122)도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4개의 외곽 모서리들(123)들, 즉 상부에 서로 대치하는 좌우 외곽 모서리와, 하부에 서로 대치하는 좌우 외곽 모서리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2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rectangular panel shape. In addition, the view area 121 and the Eltidine area 122 are also rectangular. Accordingly, the display module 120 has four outer corners 123, that is, left and right outer corners that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portion, and left and right outer corners that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portion.

한편, 현재 출시되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BM 영역(BM)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121)을 극대화에 유리한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을 추구하고 있다.Meanwhil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currently being marketed is seeking to minimize a BM area (BM) and to install a display module which is advantageous for maximizing the view area 121.

휴대성을 고려하여 무한정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뷰 영역을 크게 할 수는 없으며, 휴대 단말기의 BM 영역이 크면, 외관 디자인에도 좋지 않아서, 외관 디자인 제약을 받게 된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BM 영역이 작고, 뷰 영역이 클수록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휴대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이 수월하다.The view area of the display module can not be enlarged indefinitely in consideration of the portability. If the BM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arge, it is not suitable for the appearance design, and the appearance design is restricted. Particularly, the portable terminal has a small BM area, and the larger the view area, the easier it is for the designer to design the exterior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영역에 곡률을 주어서 외관 디자인이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BM 영역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휴대 단말기에 본체 케이스(11)에 외곽 모서리 영역에 장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3 and 4, in order to minimize the BM area and to maximize the view area in th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external design is performed by giving curvature to the corner area, the conventional display module 120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The following problem arises when the outer case 11 is mounted on the outer corner area.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 하부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123)는 본체 케이스(11) 좌우 외곽 모서리 영역에 장착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SVR(Super View Resin) 공정에 의해 윈도우(12)가 일체로 부착되어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다. The left and right outer corners 123 of the display module 120 should b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outer corners of the main body case 11. [ The display module 120 is attached to the body case 11 by integrally attaching the windows 12 by a super view resin (SVR) process.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좌우 모서리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일체형인 윈도우(12)를 본체 케이싱(11)에 부착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윈도우(12)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20) 외곽 모서리 부분을 본체 케이싱(11)에 부착하기 난해하고, 테이핑 영역, 즉 양면 테이프(13)를 이용한 부착 면적이 작아서 조립성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4, due to the narrow space for attaching the window 12 integrated with the display module 120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main body casing 11 to the main body casing 11,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module 120 to the main body casing 11 and the mounting area using the taping area, that is, the double-sided tape 13 is small, which is problematic from the viewpoint of assemblability.

아울러, 상기 구조는 휴대 단말기의 좌우 외곽 모서리 영역의 구조적 강성이 약해져서, 낙하 등에 취약한 문제가 있고, 이를 고려하여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 디자인에 제약, 즉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 곡률을 크게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참조부호 14는 표시부 브라켓을 말한다.In addition, the above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al stiffness of the left and right outer corner areas of the portable terminal is weakened, which is vulnerable to dropping,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large curvature of the outer edge corner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Reference numeral 14 denotes a display section bracket.

결국,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어서, BM 영역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을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에 한계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 영역에 배치하여 장착하기 쉽지 않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display module is employ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ich limits the BM area and maximizes the view area, thus limi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is is not easy to place in the outer corner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onventional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외곽 모서리를 커팅하여 휴대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서, BM 영역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을 극대화하는데 유리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module which is advantageous in minimizing a BM area and maximizing a view area by cutting an outer edge of a display module and mounting the same on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display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윈도우가 일체화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 케이스에 장착하기 용이하여 조립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module in which a display module integrated with a window can be easily mounted on a main body case, thereby improving assembling performan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외관 디자인 및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 영역의 디자인에 제약을 받지 않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module that is not limited by the design of the outer shape of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뷰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다수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view area, wherein at least one outer edge of the plurality of angled outer edges of the display module is cut.

또한, 본 발명은 뷰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다수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라운드 형상으로 처리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view area, wherein at least one outermost corner of the plurality of angular outline corners included in the display module is processed in a round shape.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뷰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되고, 상기 뷰 영역과 일체형인 논-뷰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논-뷰 영역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on-view area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the non-view area being integral with the view area, and cutting at least one outermost corner of the plurality of angular outline corners provided in the non-view area.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 및 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 외곽 모서리 영역에 근접하게 장착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case; And a display module mounted on the main body case, wherein the main body case includes at least one outer edge of a plurality of angled outer edges of the display module, And is mounted close to the corner area.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 및 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상기 본체 케이스 외곽 모서리 영역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장착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case; And a display module mounted on the body case, wherein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utermost corner of a plurality of angled outer corners of the display module, As shown in Fig.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하여 휴대 단말기 외곽 모서리 영역에 근접하게 장착함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BM 영역을 최소화하고, 뷰 영역이 극대화되어, 휴대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의 제약을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실장 문제를 해결하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is cut and mounted close to the corner of the outer edg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BM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inimized, the view area is maximized, Respectively.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mounting problem of the display module.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에 채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에 채용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일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하나의 외곽 모서리 영역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휴대 단말기 외곽 모서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2 is a plan view showing a display module employ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3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display module is employed at an outer edge of a portable terminal.
4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problem that occurs when a conventional display module is employed at an outer edge of a portable terminal.
5 is a plan view showing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one outer corner area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orner of the outer edge of the portable terminal.
9 is a plan view showing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채용되는 기술로서,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능한 모든 정보통신 기기들을 지칭한다. 휴대 정보기기는 사용자와 항시 휴대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편리한 휴대성을 고려하여 경량이면서, 소형이고, 슬림한 것이 휴대가 편리하며, 사용자의 관점에서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인 감성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다. 아울러, 휴대 정보기기는 항시 휴대하기 때문에 외관 디자인이 중요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employed in a display modul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ll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ince the portable information device has to be carried with the user at all time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portable device is light, compact, slim, portable, and visually, auditory, and tactile . In addition, since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are always portable, appearance design is important.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일예로서, 셀룰러 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PC 등)가 포함될 수 있다.(UMTS) terminal, a WCDMA terminal, a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terminal, a cellular phone, a smart phone, ,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an E-Book, a portable computer (Notebook, Tablet PC, etc.).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3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300)(도 5에는 윈도우 또는 터치 윈도우 만이 사용자에게 보여짐)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300) 상측으로 스피커(310)와 카메라 모듈(312)(카메라 렌즈)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300)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20)(도 6에 도시됨)의 뷰 영역(view area)이 윈도우를 통해 보여지는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 전면은 디스플레이와, 스피커 및 카메라 모듈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BM 영역(BM)으로 이루어진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30 employing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 mobile terminal 30 to which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display 300 (only a window or a touch window is shown to the user in FIG. 5) The speaker 310 and the camera module 312 (camera lens) are disposed. The display 300 refers to a portion where a view area of a display module 320 (shown in FIG. 6) described later is viewed through a window.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up of the BM area (BM) except for the display, the speaker and the camera module area.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 모서리를 휴대 단말기 본체 케이스의 외곽 모서리에 더 근접하게 배치하여, BM 영역을 최소화하면서 뷰 영역을 극대화한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은 윈도우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본체 케이스에 부착하는데 용이한 구조를 제공한다.The display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is disposed closer to the outer edge of the ca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n comparison with the display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sy structure for attaching a window-attached display module to a body case.

이하에는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module employed in a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32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대략 다각형, 구체적으로 사각형 패널 형상으로서, 특히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6 is a plan view showing a display module 3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module 320 has a substantially polygonal shape, specifically, a rectangular panel shape, in particular, a rectangular panel shap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뷰 영역(321)과,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논-뷰 영역(non-view area)인 엘디아이 영역(32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뷰 영역(321)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엘디아이 영역(121)은 디스플레이 모듈(320) 하단에 구비되지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볼 수 없는 영역으로서, 외부에서는 BM 영역으로 간주된다.The display module 320 includes a view area 321 and an ElDee area 322 which is a non-view area tha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 view area 321 displays data And the ELDIA area 12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module 320. However, the ELDIA area 121 is regarded as a BM area outside the area where the user can not see the displayed data.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대략적으로(substantially) 평탄한 직사각형 패널형으로 구성되어서, 다수 개의 외곽 모서리들(323a;323b)(edge)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각 형상(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 포함)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외곽 모서리들(323a;323b)은 4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일례가 도 6에 도시되었다. 상기 4개의 외곽 모서리들 중, 상부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323a)는 상기 뷰 영역(321)에 위치하고, 하부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상기 논-뷰 영역인 엘디아이(LDI;LCD Drive IC)) 영역(322)에 위치한다. 상기 언급된 외곽 모서리라는 의미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가장 외곽에서 각진 부위를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은 서로 대칭인 4개의 모서리를 구비한다.The display module 320 is configured in a substantially flat rectangular panel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outer edges 323a and 323b. For example, if the display modul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cluding a rectangular shape or a square shape), four outer edges 323a and 323b are provided.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The left and right outer corners 323a of the four outer corners are located in the view area 321 and the left and right outer corners 323b of the four outer corners are located in the non-view area LDI IC) < / RTI > The above-mentioned outer edge means an angled portion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Typically, the rectangle has four corners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323a;323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가 커팅되어 삭제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커팅된 부분은 휴대 단말기 외관 디자인과 조립성에 기여한다. 상기 커팅 공정은 외곽 모서리(323a;323b) 일부를 절개하는 공정으로서, C-커팅 공정으로 수행된다. 상기 좌우 모서리(323b)에서 커팅된 부분(325)은 삼각 기둥 형상이다. At least one of the outer corners of the plurality of angled outer corners 323a and 323b is cut and delet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ut portion contributes to the exterior design and assembly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utting process is a process of cutting a part of the outer edges 323a and 323b, and is performed in a C-cutting process. The cut portion 325 at the left and right corners 323b is triangular prismatic.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되는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상기 뷰 영역(321)에 위치한 외곽 모서리(323a)가 아니라, 상기 논-뷰 영역인 엘디아이 영역(322)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323b)에서 각각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좌우 모서리(323b)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팅 공정에 따라서,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각각 좌우 제1경사면(324)을 구비한다. 상기 좌우 제1경사면(324)은 각각 평탄한 면으로서, 각각 수직 벽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커팅 공정에 의해서, 상기 좌우 경사면(324)이 형성되어 짐으로서,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각각 두 개의 각진 부분을 구비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는 가장 각진 부분이 커팅되어, 기존에 비해 보다 곡률 형상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게 된다. 달리,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323b)가 각각 구비한 2개의 모서리들을 추가적으로 커팅하여서, 더욱 곡률 형상에 가깝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324)은 대략 45도 정도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경사면(324)의 커팅된 경사 각도는 휴대 단말기의 외곽 모서리부분 디자인에 따라서 변경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right and left outer edges 323b of the display module are not the outer edges 323a located in the view area 321 but the outer edges 323a of the left and right outer edges 322a, 323b. Each of the left and right edges 323b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display module 320. In accordance with the cutting process, the left and right outer edges 323b have left and right first inclined surfaces 324, respectively. Each of the left and right first inclined surfaces 324 is a flat surface and each has a vertical wall shape. The right and left outer edges 323b are formed by the cutting process so that the left and right outer edges 323b have two angled portions. However, the left and right outer corners 323b are cut at the most angled portions, so that they have a shape that is closer to a curved shape than the conventional one. Alternatively, the two corners of each of the right and left outer edges 323b may be further cut to be made closer to a curved shape. The inclined angl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324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outer edg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뷰 영역(321)에는 저면에 제1연성 회로(FPCB1)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엘디아이 영역(322)에 제2연성 회로(FPCB2)가 배치되는데, 상기 커팅된 영역 바로 옆에 배치된다. In the view area 321, a first flexible circuit (FPCB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A second flexible circuit (FPCB2) is disposed in the ELDIC region 322,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ut region.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좌우 외곽 모서리가 커팅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논-뷰(non-view) 영역인 엘디아이 영역(322)의 좌우 외곽 모서리가 커팅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outer edges of the display module 320 are cut. Specifically, left and right outer edges of the non-view area 322 are cu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브라켓(34)을 이용하여 본체 케이스(31)에 장착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의 좌우 외곽 모서리는 각각 상기 본체 케이스(31) 외곽 모서리 영역에 보다 근접하게 장착된다. 도 7에는 우측 외곽 모서리만의 장착 상태가 도시되었다.As shown in FIG. 7, the display module 320 is mounted to the main body case 31 using a bracket 34. The left and right outer corners of the display module 320 are mounted closer to the outer corner areas of the main body case 31, respectively. In Fig. 7, only the mounting condition of the right outer edge is shown.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윈도우(32;도 8에 도시됨)와 부착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34)에 장착된다. 상기 브라켓(34)은 이후 '디스플레이 브라켓'이라 지칭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이 디스플레이 브라켓(34)에 장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에 구비된 제1경사면(324)과 간극으로 대면하는 제2경사면(340)이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34)에 구비된다. 상기 제2경사면(340)은 수직 벽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경사면(324,340)은 서로 간극지게 대면한다. The display module 320 is mounted to the bracket 34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a window 32 (shown in Fig. 8). The bracket 34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display bracket ". When the display module 320 is mounted on the display bracket 34, a second inclined surface 340 fac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324 of the display module 320 is formed on the display bracket 34 Respectivel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40 is formed in a vertical wall shape.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324 and 340 face each other.

상기 표시부 브라켓(34)에는 테이핑 영역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윈도우가 부착된다. 상기 테이핑 공정은 양면 테이프(33)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20)을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34)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말한다.The display unit bracket 34 is provided with a taping area, and a window described later is attached. The taping process is a process of attaching and fixing the display module 320 to the display bracket 34 using a double-sided tape 3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 좌우 외곽 모서리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320)과 일체형인 윈도우(32)를 본체 케이스(31) 외곽 모서리에 부착하는 공정에서, 부착 면적이나 부착 공간이 기존에 비해서 넓어져서, 상기 윈도우(32)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320) 외곽 모서리 부분을 본체 케이싱(21) 외곽 모서리에 테이핑하기가 용이하고, 부착력도 증가된다. 상기 테이핑 영역, 즉 양면 테이프(33)를 이용한 부착은 부착 면적이 넓어지고, 부착 공간도 커져서 디스플레이 모듈 부착 공정이 용이하다.8,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window 32 integral with the display module 320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outer edges of the main body case to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dy case 31, So that it is easy to tap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320 with the window 32 to the outer edge of the main casing 21 and the adhesive force is also increased. Adhesion using the taping area, that is, the double-faced tape 33, increases the attachment area and increases the mounting space, there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display module.

도 9에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420)이 도시되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의 하부 좌우 모서리 영역의 커팅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곽 모서리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9, a display module 4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Referring to FIG. 9, the display module 42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isplay module shown in FIG. 6 except for a cut-off portion of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display module 420,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corner will be described.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은 다수개의 외곽 모서리들(423a;423b)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개의 외곽 모서리(423a;423b)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를 라운드 형상으로 처리한다. 상기 외곽 모서리의 라운드 형상 처리는 커팅 공정으로 수행되거나, 연마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 형상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진 형상을 포함한다.The display module 420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corners 423a and 423b. At least one outermost corner of the plurality of outer corners 423a and 423b is rounded. The rounding of the outer edges may be performed by a cutting process or by a polishing process. The round shape includes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상기 외곽 모서리들 중, 하부에 있는 좌우 외곽 모서리(423b)는 각각 라운드 형상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상기 좌우 모서리는 곡면을 구비한다.Of the outer corners, the left and right outer corners 423b at the bottom are processed into round shapes. In this shape, the left and right edges have curved surfaces.

아울러,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20)이 디스플레이 브라켓을 이용하여 본체 케이스 외곽 모서리에 근접하게 장착되면, 상기 좌우 모서리는 디스플레이 브라켓(미도시됨)의 좌우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좌우 외곽 모서리 곡면(424)에 대면하는 곡면(미 도시됨)이 디스플레이 브라켓에 간극지게 구비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display module 420 is mounted close to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dy casing using the display bracket, the left and right edges are disposed in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display bracket (not shown). In addition, a curved surface (not shown) facing the left and right outer corner curved surfaces 424 of the display module is provided in a gap in the display bracke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엘씨디 모듈이거나, 아몰레드 모듈을 포함하며,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패널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LCD module or an AMOLED module, and need not be limited to a roughly rectangular flat panel typ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curved display module.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이라도, 뷰 영역이 다각 형상,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직사각형 뷰 영역을 가진다면, 소정의 외곽 모서리를 커팅하여 휴대 단말기에 동일한 원리로 장착될 수 있다.Even if the display module is bent, if the view area has a polygonal shape,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or a rectangular view area, it is possible to cut the predetermined outer edge and mount the same on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 형상은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커팅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ing shape of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and the cutting shape can be realized in various shap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 형상은 휴대 단말기 외곽 모서리 영역에 따른 형상으로 커팅 또는 연마되어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런 구조인 경우, 디스플레이 브라켓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팅 형상과 대면하게 간극지게 대면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In addition, the cutting shape of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ut or polish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an edge corner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n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ase of this structure, the display bracket is formed in such a shape as to face the clearance facing the cutting shape of the display module.

Claims (19)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
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일체형인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곽 모서리가, 상기 본체 케이스 외곽 모서리 영역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팅되어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커팅된 적어도 하나의 외곽 모서리는, 커팅되지 않은 모서리 영역보다 상기 본체 케이스에 근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뷰 영역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In a portable terminal,
Body case;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view area and mounted on the main body case; And
And a window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integral with the display module,
At least one outermost corner of the plurality of angular outer corners provided on the display module is cut and moun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orner corner of the main body case,
Wherein the at least one outer edge of the cut out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is mounted closer to the main body case than an uncut corn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so that the view region exposed through the window is exte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본체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의 모서리 영역은, 상기 커팅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 모서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bracket for mounting the display module to the main body case,
Wherein a corner area of the display bracke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er corner shape of the cut display modul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뷰 영역 및 및 상기 뷰 영역과 일체형인 논-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된 적어도 하나의 외곽 모서리는, 상기 논-뷰 영역에 구비된 다수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non-view area integral with the view area and the view area,
Wherein the at least one outer edge of the cut i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angular outer edges provided in the non-view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된 외곽 모서리는 평탄한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수직 벽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t outer edge includes a flat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a vertical wall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된 외곽 모서리는 평탄한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은 상기 제1경사면과 대면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ut outer edge includes a flat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display bracket includes a second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서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의 외곽 모서리 영역에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in an outer corner area of the display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평탄한 직사각형 패널로 구성되고, 4개의 외곽 모서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module comprises a flat rectangular panel and includes four outer corn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팅된 외곽 모서리는, 상기 4개의 외곽 모서리들 중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좌우 모서리이고,
상기 좌우 모서리는 서로 대칭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t least one cut out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is a pair of left and right edge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our outer edges,
Wherein the right and left edges are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팅된 외곽 모서리는, 상기 4개의 외곽 모서리들 중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좌우 모서리이고,
상기 좌우 외곽 모서리 각각은, 상기 본체 케이스 좌우 외곽 모서리 영역과 대응된 형상으로 대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t least one cut out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is a pair of left and right edge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our outer edges,
Wherein each of the right and left outer edges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right and left outer edge regions of the main body case.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
뷰 영역 및 상기 뷰 영역과 일체형인 논-뷰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일체형인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논-뷰 영역에 구비된 다수 개의 각진 외곽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모서리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곽 모서리 영역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팅되어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커팅된 적어도 하나의 외곽 모서리는 커팅되지 않은 모서리 영역보다 상기 본체 케이스에 근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뷰 영역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In a portable terminal,
Body case;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view area and a non-view area integral with the view area; And
And a window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nd integral with the display module,
At least one outer edge of a plurality of angular outer edges provided in the non-view region is cut and moun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n outer corner area of the main body case,
Wherein the at least one cut edge of the display module is mounted closer to the main body case than an uncut corner area, and the view area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is extended.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된 디스플레이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의 모서리 영역은, 상기 커팅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외곽 모서리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display bracket o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module is mounted,
Wherein a corner area of the display bracket is forme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uter corner shape of the cut display modu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커팅된 외곽 모서리는 평탄한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브라켓의 모서리 영역은 상기 제1경사면과 대면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t least one cut out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flat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corner area of the display bracket includes a second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수직 벽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have a vertical wall shap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서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98231A 2018-08-22 2018-08-22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KR1019593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31A KR101959372B1 (en) 2018-08-22 2018-08-22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231A KR101959372B1 (en) 2018-08-22 2018-08-22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854A Division KR101908006B1 (en) 2012-02-24 2012-02-24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286A KR20180100286A (en) 2018-09-10
KR101959372B1 true KR101959372B1 (en) 2019-03-18

Family

ID=6359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231A KR101959372B1 (en) 2018-08-22 2018-08-22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37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8973A (en) * 2007-06-29 2009-01-15 Hitachi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854A (en) * 2007-03-09 2008-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8973A (en) * 2007-06-29 2009-01-15 Hitachi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286A (en) 201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202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ide speaker hole
US6342776B1 (en) Acoustic charger for electronic devices
CN104052838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module
KR20040033223A (en) Portable computer system
JP7241896B2 (en) Electronics, display screen assemblies and cover plates
CN110992827A (en) Flexible film, panel assembly and display
WO2014070330A1 (en) New phone construction/lens design to reduce lens borders
KR102210861B1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it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210075346U (en) Electronic equipment
CN110687968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13037894B (en) Electronic equipment
JP2007264365A (en) Double-sided display type liquid crystal module
CN110167304A (en) Electronic equipment
KR101959372B1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CN211928483U (en) Electronic device
JP7228713B2 (en) Mobile terminals and middle frames
CN211654169U (en) Electronic equipment and display module thereof
CN209823799U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phone middle frame
CN209823797U (en) Electronic equipment, display screen assembly and cover plate
KR101908006B1 (en) Display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CN209787210U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phone middle frame
EP4207230A1 (en) Key and electronic device
US11397353B1 (en) Display panel,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15022435A (en) Electronic equipment
CN113741075A (en)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