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607B1 - Leak sensor assembly - Google Patents

Leak sens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607B1
KR101955607B1 KR1020170024561A KR20170024561A KR101955607B1 KR 101955607 B1 KR101955607 B1 KR 101955607B1 KR 1020170024561 A KR1020170024561 A KR 1020170024561A KR 20170024561 A KR20170024561 A KR 20170024561A KR 101955607 B1 KR101955607 B1 KR 101955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contact
communication hole
valv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7862A (en
Inventor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이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민 filed Critical 이동민
Priority to KR102017002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607B1/en
Publication of KR20180097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는, 리크의 검출을 위한 연통홀을 갖는 배관 부품의 상기 연통홀에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 센서바디부; 상기 연통홀을 밀폐시킬 있게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형 또는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 판막; 상기 판막에 얹혀질 수 있게 형성되는 도전성의 이동체; 및 상기 판막의 변형 또는 변위에 따라 상기 이동체에 접촉하거나 상기 이동체에 대하여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바디부에 설치되는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A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or body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be fastened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a piping component having a communication hole for detection of a leak; A valve membrane formed to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and deformable or displaceable according to a change in pressure of the communication hole; A conductive moving body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placed on the valve film; And a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sensor body portion to contact the moving body o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body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valve film.

Description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LEAK SENSOR ASSEMBLY}LEAK SENSOR ASSEMBLY}

본 발명은 배관용 클램프나 밸브 등의 리크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assembly configured to detect leaks such as piping clamps and valves.

배관용 클램프 장치는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요소로서, 연결할 대상인 배관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에 플랜지가 있는 경우, 배관용 클램프 장치는 플랜지와 연결할 배관의 플랜지가 맞대어져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게 설계된다.The clamping device for piping is a component for connecting a pipe to a pipe,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ipe to be connected. For example, if a pipe has a flange, the clamping device for the pipe is designed so that the flange of the pipe to be connected to the flang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xert a force in the direction of mutual close contact.

배관과 배관의 사이에는 유체의 누설 또는 진공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이나 가스켓이 설치되는데, 이들 부품도 시간의 경과 또는 사용조건에 따라 노후화 또는 파손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누설(leak)이 발생하기도 한다. 진공시스템에 사용되는 배관에서의 누설은 공정을 위하여 요구된 진공의 제어를 어렵게 하거나, 제품의 불량을 야기하기도 하며 에너지를 낭비하거나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점에서 배관용 클램프 장치는 밀폐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노후된 오링이나 이음 구조를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확대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O-rings or gaskets are installed between the piping and piping to prevent fluid leakage or vacuum leakage. These parts may also be aged or broken depending on the passage of time or conditions of use, which may cause leakage do. Leakage in piping used in vacuum systems can make it difficult to control the vacuum required for the process, cause product failure, waste energy, or increase costs. In this respect, the clamping device for piping needs to be structured so as to minimize the expansion loss by easily replacing or repairing the aged O-ring or joint structure while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stably.

이외에도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진공 시스템이 사용되며, 진공의 누설 감지 및 그에 따른 유지 관리 기술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아이솔레이션 밸브는 시스템에 진공을 차단하거나 흐르게 하는 배관 부품으로써, 챔버 내부의 흄(fume)이나 부식성(corrosive) 물질이 포함된 가스를 진공 배기하는 과정에서 밸브 내부, 즉, 오링이나 밀봉요소에 이물질이 부착되기 쉽다. 아이솔레이션 밸브에 포함된 벨로우즈는 반복적인 밸브의 개폐 및 부식성 가스의 부착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파열되어 리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리크는 장비나 챔버 내에 치명적인 문제를 줄 수 있으므로 발생 즉시 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배관계의 어느 부위인지 바로 알기 어렵고 그에 따라 적시에 유지 보수가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many vacuum systems are used in order to carry ou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there is a need for vacuum leakage detection and maintenance techniques. For example, an isolation valve is a piping component for shutting off or flowing a vacuum to a system. In the process of evacuating a gas containing a fume or a corrosive substance inside the chamber, the inside of the valve, that is, Foreign matter is likely to adhere to the element. The bellows included in the isolation valve may be damaged or ruptured due to repetitive valve opening and closing, attachment of corrosive gas, or the like, and may cause leakage. In this case, the leakage may be a fatal problem in the equipment or the chamb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kage be immediately treated, but it is difficult to know which part of the piping system is right, and accordingly, maintenance can not be performed in a timely manner.

오링, 벨로우즈 등의 노후화나 클램프의 이완 등에 따른 누설 등을 감지하기 위한 기술들도 소개되고 있다. 그럼에도, 선행기술들은 리크의 감지를 위한 기구적 구성이 복잡하거나, 리크감지요소를 클램프 등에 별도로 연결함에 따른 관리 및 취급의 불편성이 문제된다.O-rings, bellows, etc., as well as leakage due to the relaxation of the clamp. Nevertheless, the prior arts have a complicated mechanical structure for detection of leaks, and inconvenience of management and handling due to separately connecting leak detection elements to clamps or the like is a problem.

관련선행문헌:Related Preceding Documents: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5935호(2014.02.07 공개)에 개시된 "배관 연결부 누설검사장치"1. "Piping connection part leakage inspection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15935 (published on April 20,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1333호(2017.02.01 공고)에 개시된 "배관용 클램프 장치"2. "Clamping device for piping"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701333 (published on Feb. 21, 201)

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0719호(2012.11.12 공고)에 개시된 "배관 연결용 클램프 장치"3. "Clamping device for piping connec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00719 (published on November 12,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리크의 감지 대상인 클램프 장치나 밸브 등에 직접 설치하여 클램프 또는 밸브와 일체화되어 관리되거나 취급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이면서도리크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키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vice while enhancing convenience by being installed directly on a clamp device or a valve, which is an object of leak detection, and being integrated with a clamp or a valve so as to be managed or handled.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클램프 장치나 밸브 등에서 발생하는 리크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 pressure change due to a leak occurring in a clamp device, a valve, or the like, and to confirm the pressure change.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는, 리크의 검출을 위한 연통홀을 갖는 배관 부품의 상기 연통홀에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 센서바디부; 상기 연통홀을 밀폐시킬 있게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형 또는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 판막; 상기 판막에 얹혀질 수 있게 형성되는 도전성의 이동체; 및 상기 판막의 변형 또는 변위에 따라 상기 이동체에 접촉하거나 상기 이동체에 대하여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바디부에 설치되는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A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or body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be fastened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a piping component having a communication hole for detection of a leak; A valve membrane formed to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and deformable or displaceable according to a change in pressure of the communication hole; A conductive moving body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placed on the valve film; And a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sensor body portion to contact the moving body o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body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valve film.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는, 외부단자가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ensor body so that an external terminal can be connected thereto.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센서바디부 내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판막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ody may be formed to be able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valve membrane by self weight in the sensor body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체는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ody may be formed in a ball shap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접점부는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ir of pins spaced apart in paralle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부; 및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추가 이동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moving bod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and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moving body by its own weigh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추가 이동체는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moving body may be formed in a ball shap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센서바디부는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추가 이동체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통로홀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홀의 단부에 캡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body portion includes a passage hole for providing a moving space of the moving body and the additional moving body, and a cap may be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passage hol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로홀은 상기 판막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age hole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alve film.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판막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membrane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판막은, 중심부에 상기 이동체가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돌기형 접촉부; 및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링(ring) 형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plate may include a protruding contact portion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so that the moving body can be held in contact with the center portion; And a ring-shaped portion formed along the edg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센서바디부는 상기 연통홀에 접하는 제1센서바디와 상기 이동체가 배치되는 제2센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판막은 상기 제1센서바디와 상기 제2센서바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body includes a first sensor body in contact with the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sensor body in which the moving body is disposed, and the valve body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body and the second sensor body As shown in FIG.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관 부품은 클램프 또는 아이솔레이션 밸브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ing component may be a clamp or an isolation valve.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에 의하면, 연통홀을 밀폐시키는 판막에 얹혀지는 도전성 이동체에 의하여 접점부가 리크 여부를 전기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것으로, 배관 부품에 직접 사용이 용이하며 간단하고 소형이면서도 리크 여부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eakage sensing sens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can be informed of the leakage by the conductive moving body placed on the valve membrane that seals the communication hole, so that it is easy to use directly to the piping component, Can be accurately detec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도전성의 이동체는 볼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접점부에 대하여 하중이나 외력의 작용방향이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상이하더라도 정확한 접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uctive moving body is formed in a ball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ccurate contact can be achieved even when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load or the exter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is different from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경사 형태로 형성된 통로홀은, 배관이 수평이거나 수직 등 임의의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라도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된 배관 부품의 방향을 조절하여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세팅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ipe holes are arranged in a certain direction such as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the passage hole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operate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piping component mounted with the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it as possible.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는 연통홀이 형성된 클램프 또는 아이솔레이션 밸브 등 리크감지 및 유지관리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The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requiring a leak detection and maintenance such as a clamp or an isolation valve having a communication hol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배관용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관용 클램프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클램프(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리크검출링 조립체(15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리크검출링 조립체(150)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6(a)는 내부에서 리크가 없는 상태이고, 도 6(b)는 내부에서 진공 리크가 있는 상태이며, 도 6(c)는 내부에서 양압 리크가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냄
도 7은 도 6의 각 상태에 대응하는 단면도들로서, 도 7(a)는 도 6(a)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b)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6(c)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클램프(110)가 수직 방향의 배관(P1', P2')에 장착된 경우를 보인 단면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ing device for a pipe equipped with a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amping device for piping of Fig. 1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ssembling a leak detection ring assembly 150 that can be mounted inside a clamp 110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ak detection ring assembly 150 of Figure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6 (a) , And Fig. 6 (c) shows a state in which there is a positive pressure leak insid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each state of Fig. 6, wherein Fig. 7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6 (a) Fig. 7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6C;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where a clamp 110 equipped with a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vertical pipes P1 'and P2'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는 다양한 배관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배관 부품은 클램프, 아이솔레이션 밸브, 게이트 밸브, 배관 자체, 펌프, 고압용 밸브나 클램프, 액체용 밸브나 클램프 등일 수 있다. 도 1은 그러한 배관 부품 중 클램프 장치에 응용된 것을 보인다. The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iping components. Such piping components may be clamps, isolation valves, gate valves, piping itself, pumps, valves or clamps for high pressure, valves or clamps for liquids, and the like. Fig. 1 shows application of such a piping component to a clamping device.

도 1에 의하면, 배관용 클램프 장치는 크게 클램프 바디(110)와, 풀림방지유닛(120) 및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풀림방지유닛(120)이 본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구성되거나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the piping clamp device may include a clamp body 110, a loosening prevention unit 120, a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and the like. In some cases, the release prevent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or omitt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present embodiment.

클램프 바디(110)는 맞대어지는 한 쌍의 플랜지(F1, F2)가 상호 가압되도록 플랜지(F1, F2; 도 2 참조)의 외주를 둘러싼 상태로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클램프 바디(110)는 한 쌍의 플랜지(F1, F2)의 일측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된 제1클램프 바디(111)와, 한 쌍의 플랜지(F1, F2)의 타측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된 제2클램프 바디(112)와, 제1클램프 바디(111)와 제2클램프 바디(112)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113) 및, 힌지부(113)의 반대쪽에서 제1클램프 바디(111)와 제2클램프 바디(112)를 체결시킬 수 있게 구성된 나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mping body 110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fasten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flanges F1 and F2 (see Fig. 2) so that the pair of flanges F1 and F2 to be abutted against each other. Specifically, the clamp body 110 includes a first clamp body 111 formed to cover one side of the pair of flanges F1 and F2, and a second clamp body 111 formed to cover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flanges F1 and F2 A hinge portion 113 for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clamp body 111 and the second clamp body 112 and a hinge portion 113 for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clamp body 112 111 and the second clamp body 112. The first and second clamp bodies 112,

제1클램프 바디(111) 및 제2클램프 바디(112)의 힌지부(113)의 반대쪽은 개방된 한 쌍의 플랜지(F1, F2)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제1클램프 바디(111) 및 제2클램프 바디(112)의 단부에는 나사부(125)가 걸려지기 위한 잠금홈을 가질 수 있다.The opposite sides of the hinge portions 113 of the first clamp body 111 and the second clamp body 112 are configured to be openable so as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air of open flanges F1 and F2. The ends of the first clamp body 111 and the second clamp body 112 may have locking grooves for hooking the threaded portions 125.

풀림방지유닛(120)은, 나사부(125)를 힌지 형태로 지지하는 요크부(121)와, 나사부(125)의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코류게이션(corrugation) 형상부(126) 및, 코류게이션 형상부(126)에 나사부(125)의 체결 각도에 따라 탄성적으로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된 탄성걸림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부(121)는 제2클램프 바디(112)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나사부(125)가 통과되기 위한 요크 헤드(122)가 구비된다. 탄성걸림부(124)는 그 내부에 스프링과 볼(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걸림부(124)의 볼이 코류게이션 형상부(126)의 오목한 부분에 걸려있을 때는, 체결이 완료된 나사부(125)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로서 작용한다. The unlocking prevention unit 120 includes a yoke portion 121 for supporting the screw portion 125 in a hinge form, a corrugation portion 126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screw portion 125, And an elastic engagement portion 124 formed to be able to be elastically hooked to the shape portion 126 according to the engagement angle of the screw portion 125. The yoke portion 1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lamp body 112 by a hinge and a yoke head 122 for passing the screw portion 125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The resilient latching portion 124 may include a spring and a ball (not shown) therein. When the ball of the elastic engaging portion 124 is caught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eugenizing feature 126, it functions as a lock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unthreading of the threaded portion 125 that has been fastened.

도 2는 도 1의 배관용 클램프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1플랜지(F1)와 제2플랜지(F2)의 사이에는 제1오링(15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오링(151)은 제1배관(P1)과 제2배관(P2)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실질적인 기밀을 담당하며, 이의 노후화 또는 파손 등에 의한 누설을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검출한다. 제1오링(151)의 내주면에는 제1오링(15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링(152)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링(152)은 제1오링(151)이 걸려지기 위한 외주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지지링(152)은 제1오링(151)의 형태 및 위치를 유지시킨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ping clamping device of Fig. 1; A first O-ring 15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ange F1 and the second flange F2. The first O-ring 151 substantially hermi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and detects leakage due to aging or breakage thereof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200. A support ring 152 for supporting the first O-ring 15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ring 151. The support ring 152 may have an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to which the first O-ring 151 is caught. Thus, the support ring 152 maintains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rst O-ring 151.

클램프바디(110)의 내부에는 리크검출링 조립체(1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리크검출링 조립체(150)는, 클램프 바디(110)의 내부에서 제1오링(151)을 둘러쌀 수 있게 형성되며 일 위치에 연통홀(154)이 형성된 리크검출링(153)과, 리크검출링(153)의 내측에서 제1플랜지(F1)와 제2플랜지(F2)의 외주면과 리크검출링(153)의 내측면이 각각 기밀되도록 하고 연통홀(154)과 제1오링(151)의 외측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게 배치된 한 쌍의 제2오링(161, 163) 및, 제2오링(161, 163)이 리크검출링(153)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오링(161, 163)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게 형성된 이탈제한링(162, 164)을 포함할 수 있다.A leak detection ring assembly 1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lamp body 110. 3, the leak detection ring assembly 150 includes a leak detection ring 153 (see FIG. 3) having a communication hole 154 formed at one position so as to surround the first O-ring 151 inside the clamp body 11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F1 and the second flange F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ak detection ring 153 are hermetically sealed inside the leak detection ring 153 and the communication hole 154 and the first A pair of second O-rings 161 and 163 arranged so as to communicate the outer space of the O-ring 151 and a second O-ring 161 and 163 in a state where the second O-rings 161 and 163 are fitted to the leak detection ring 153, 161, 163,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도 4와 같이, 리크검출링(153)은 내측면에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된 금속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154)은 실질적으로 제2오링(161, 163)에 의해 밀폐된 제1오링(151)의 주위의 공간을 외부로 연결하는 통로이다. 연통홀(15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가 장착된다. 연통홀(154)의 주위에는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의 탈착을 위한 나사홀(159)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154) 및 나사홀(159)의 가공 및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의 설치공간을 위하여 리크검출링(153)의 일측에는 설치 가공면(155)이 형성될 수 있다.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가 통과되어 연통홀(154)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1클램프바디(111)에는 통과홀(117, 도 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4, the leak detection ring 15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tal ring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its inner surface. The communication hole 154 is a passage that connects the space around the first O-ring 151 that is sealed by the second O-rings 161 and 163 to the outside. The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2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the communication hole 154. A screw hole 159 for detachment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200 may be formed around the communication hole 154. A mounting surface 155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ak detection ring 153 for the processing of the communication hole 154 and the screw hole 159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200. A through hole 117 (see FIG. 1) may be formed in the first clamp body 111 so that the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may pass through and be mounted in the communication hole 154.

리크검출링(153)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그루브는, 제1오링(151)이 끼워져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제1그루브(156)와, 제1그루브(156)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제2오링(161, 163)이 각각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제2그루브(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그루브(157)의 외측에는 이탈제한링(162, 164)이 걸려질 수 있도록 턱형상부(158)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ak detection ring 15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156 and the first groove 156 formed so that the first O-ring 151 can be fitted and seated And a pair of second grooves 157 formed to allow the second O-rings 161 and 163 to be seated, respectively. A jaw-like portion 158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groove 157 so that the release limiting rings 162 and 164 may be engaged.

이탈제한링(162, 164)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링의 형태로서, 단면도로 보았을 때 턱형상부(158)에 걸려질 수 있게 형성된 수직돌출부(162a)와 수직돌출부(162a)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링부(16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lease restricting rings 162 and 164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vertical protrusion 162a and the vertical protrusion 162a which are formed to be able to be hooked on the jaw-shaped portion 158 when seen in a sectional view, And a horizontal ring portion 162b.

이탈제한링(162, 164)은 일측이 개방된 'C'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제2오링(161, 163)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2오링(161, 163)을 제2그루브(157)에 삽입한 후, 이탈제한링(162, 164)을 살짝 오므려 수직돌출부(162a)가 턱형상부(158)의 내측으로 진입되도록 하고, 오므렸던 이탈제한링(162, 164)을 놓으면 탄성에 의해 이탈제한링(162, 164)이 벌려져 수직돌출부(162a)가 턱형상부(158)에 걸려진다. 이러한 이탈제한링(162, 164)은 제2오링(161, 163)의 기밀을 위한 정확한 위치와 형상을 유지시키는 요소이며, 제1클램프 바디(111)와 제2클램프 바디(112)의 조임 작용에 의하여 배관(P1, P2)의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이탈제한링(162, 164)도 함께 제1클램프 바디(111)와 제2클램프 바디(112)에 의하여 이동되어 제2오링(161, 163)의 기밀작용을 돕는다. The release limiting rings 162 and 164 may be formed in a 'C' shape with one side open. 3, in order to install the second O-rings 161 and 163, the second O-rings 161 and 163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s 157 and then the release limiting rings 162 and 164 The vertical protrusions 162a are slightly protruded to allow the vertical protrusions 162a to enter the inside of the jaw portion 158. When the cleaved release limiting rings 162 and 164 are released, the release limiting rings 162 and 164 are opened by elasticity, (162a) is caught by the jaw (158). These release limiting rings 162 and 164 are elements for maintaining the precise position and shape for the airtightness of the second O-rings 161 and 163 and the tightening action of the first clamp body 111 and the second clamp body 112 The release limit rings 162 and 164 are also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clamp body 111 and the second clamp body 112 so that the second O-rings 161 , 163).

도 4와 같이, 리크검출링(153)의 제1그루브(156)와 제2그루브(157)의 사이의 돌출 부위(156a)에는 내부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누설 기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월류홈(1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월류홈(165)은 제1오링(151)의 주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누설이 발생하더라도 누설에 의한 압력의 변화가 리크검출링(153)의 연통홀(154)에 전달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4, the protrusion 156a between the first groove 156 and the second groove 157 of the leak detection ring 15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6a, A flow passage groove 165 may be formed. Even if leakage occurs at an arbitrary position around the first O-ring 151, the flow of the pressure due to the leakag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154 of the leak detection ring 153, It can be used for immediate detection.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는, 센서바디부(210, 220), 판막(230), 이동체(240), 접점부(260, 27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에는 외부단자가 접속 가능하도록 센서바디부(210, 22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포트(2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이들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age sensing sensor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ensor body parts 210 and 220, a plate film 230, a moving body 240, contact parts 260 and 27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280 formed at one side of the sensor body units 210 and 220 so that an external terminal can be connected thereto.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센서바디부(210, 220)는, 앞서 설명된 리크의 검출을 위한 연통홀(154)을 갖는 배관 부품의 연통홀(154)에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센서바디부(210, 220)는 연통홀(154)에 접하는 제1센서바디(210)와 이동체(240)가 배치되는 제2센서바디(220)를 가질 수 있다. 판막(230)은 제1센서바디(210)와 제2센서바디(220)의 사이에 배치된다. The sensor body portions 210 and 220 are formed so as to be fastened to the communication hole 154 of the piping component having the communication hole 154 for detection of the above-described leak. The sensor body portions 210 and 220 may have a first sensor body 210 in contact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54 and a second sensor body 220 in which the moving body 240 is disposed. The plate 2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body 210 and the second sensor body 220.

판막(230)은 배관 부품의 연통홀(154)을 밀폐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연통홀(154)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형 또는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다. 판막(230)은 고무, 실리콘 고무나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구체적인 예로서, 판막(230)은 기밀 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막(230)은 센서바디부(210, 220)에 고정되어 연통홀(154)에 작용된 리크에 따른 압력의 변화(배관 부품이 진공시스템인 경우 진공 압력을, 배관 부품이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사용하는 경우 양압을 말한다)에 따라 연통홀(154) 내부 방향으로 변형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판막(230)에 지지된 이동체(240)의 이동을 유도한다. 제1센서바디(210)에는 판막(230)의 안착을 위하여 판막 안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valve plate 230 is formed to be able to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154 of the piping component and is formed to be deformable or displaceabl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pressure of the communication hole 154. The plate film 230 may be made of rubber, silicone rubber,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s such a specific example, the valve film 230 may contain a fluororesin having excellent hermetic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The valve plate 230 is fixed to the sensor body portions 210 and 220 so that a change in pressure due to leakage acting on the communication hole 154 (a vacuum pressure when the piping component is a vacuum system, (Or positive pressure when used) of the valve body 230 is de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hole 154 or is de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by inducing movement of the moving body 240 supported on the plate 230. The first sensor body 210 may have a valve seat 211 for seating the valve 230 therein.

이동체(240)는 판막(230)에 얹혀진 상태로서, 도전성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체(240)는 센서바디부(210, 220) 내에서 자중에 의해 판막(23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형상 면에서 이동체(240)는 도전성 금속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 형태의 이동체(240)는 이동방향과 외부의 힘이나 하중의 작용방향이 상호 일치되지 않는 경우라도 후술하는 접점부(260, 270)에 대한 접촉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The moving body 240 is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plate film 230 and having conductivity. The moving body 240 can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plate 230 by self weight in the sensor body parts 210 and 220. The moving body 2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nductive metal ball. The ball-shaped moving body 240 can accurately contact the contact portions 260 and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ven whe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external force or load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이동체(240)의 상부에는 자중에 의하여 이동체(240)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추가 이동체(250)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 이동체(250)도 이동체(240)와 같이 금속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바디부(210, 220)에는 이러한 이동체(240) 및 추가 이동체(250)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통로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240) 및 추가 이동체(250)가 통로홀(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로홀(221)의 입구는 캡(290)에 의하여 씌워질 수 있다. 캡(290)은 수지재 등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대기압이 판막(230) 상부의 통로홀(221)로도 연결될 수 있게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body 240 may be provided with an additional moving body 250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moving body 240 due to its own weight. The additional moving body 2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tal ball like the moving body 240. The sensor bodies 210 and 220 may be formed with a passage hole 221 for providing a moving space for the moving body 240 and the additional moving body 250. [ The entrance of the passage hole 221 can be covered by the cap 290 in a state where the moving body 240 and the additional moving body 250 are inserted into the passage hole 221. [ The cap 290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n opening so that the atmospheric pressure can be also connected to the passage hole 221 on the plate film 230.

접점부(260, 270)는 판막(230)의 변형 또는 변위에 따라 이동체(240)에 접촉하거나 이동체(240)에 대하여 이격될 수 있게 센서바디부(210, 220)에 설치된다. 리크가 진공 압력일 경우 이동체(240)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양압일 경우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들 각 경우의 리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접점부(260, 270)는 이동체(2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부(260)와 이동체(24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접점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s 260 and 270 are installed in the sensor body portions 210 and 220 so as to contact the moving body 240 o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body 240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late film 230. When the leak is a vacuum pressure, the moving body 240 is moved downward, and when the leak is positive pressure, the moving body 240 is moved upward. The contact portions 260 and 27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260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240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260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240 270).

각 접점부(260, 270)는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재료면에서 접점부(260, 270)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점부(260)는 연결포트(28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점부(260)의 고정 및 설치를 위하여 제2센서바디(220)에는 제1접점부 장착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점부(270)는 제1접점부(26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짧은 수평 방향의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점부(270)의 고정 및 설치를 위하여 제2센서바디(220)에는 제2접점부 장착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contact portions 260 and 270 may be formed as a pair of pins spaced apart in parallel. In terms of material, the contact portions 260 and 270 may include a conductive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or aluminum. The first contact part 260 may be formed in an L shape so as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280. A first contact part mounting hole 223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ensor body 220 for fixing and installing the first contact part 260. [ The second contact part 270 may be formed in a short horizontal direction pin shap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260. The second sensor body 220 may have a second contact portion mounting hole 225 for fixing and install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0.

판막(230)은 이동체(240)가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돌기형 접촉부(231)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링(ring) 형상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 또는 수지 재질의 판막(230)은 이러한 돌기형 접촉부(231)와 링 형상부(232)를 일체로 성형하는데 유리하다. 링 형상부(232)는 제1센서바디(210)와 제2센서바디(220)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연통홀(154)의 밀폐를 유도한다.The plate 230 may include a protruding contact portion 231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so that the moving body 240 can be contacted and supported and a ring shaped portion 232 formed along the edge. The plate film 230 made of rubber or resin is advantageous for integrally molding the protruding contact portion 231 and the ring-shaped portion 232. The ring shaped portion 232 is fixed by the first sensor body 210 and the second sensor body 220 to thereby induce the sealing of the communication hole 154.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6(a)는 내부에서 리크가 없는 상태이고, 도 6(b)는 내부에서 진공 리크가 있는 상태이며, 도 6(c)는 내부에서 양압 리크가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다. 도 7은 도 6의 각 상태에 대응하는 단면도들로서, 도 7(a)는 도 6(a)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b)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6(c)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6 (a) and 6 (b) are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6 (a) , And Fig. 6 (c) shows a state in which there is a positive pressure leak insid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each state of Fig. 6, wherein Fig. 7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6 (a) And Fig. 7 (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6 (c).

도 6(a)와 같이, 리크가 없는 상태에서 이동체(240) 및 추가 이동체(250)는 통로홀(221) 내에서 판막(230)에 의하여 얹혀져 있으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약간의 공간을 갖는다. 이때, 도 7(a)와 같이, 이동체(240)는 제1접점부(260) 및 제2접점부(270)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6A, the moving body 240 and the additional moving body 250 are placed in the passage hole 221 by the plate film 230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leakage, and a slight amount of the moving body 240 can be moved upward or downward Spac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a), the moving body 240 is in a state of not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26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0.

진공 리크가 있는 경우, 도 6(b)와 같이, 판막(230)은 진공에 의하여 하방으로 변형되며, 그에 따라 이동체(240) 및 추가 이동체(250)도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7(b)와 같이 이동체(240)는 하부에 있는 제1접점부(260)에 접촉하게 된다. 제1접점부(260)와 이동체(240)의 접촉이 발생되면, 그에 따른 전기적 상태는 연결포트(280)에 연결된 외부단자를 통하여 컨트롤러 등에 알려지게 된다.In the case of vacuum leak, as shown in FIG. 6 (b), the valve film 230 is deformed downward by vacuum, and accordingly, the moving body 240 and the additional moving body 250 are also moved downwar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b), the moving body 2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26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260 and the moving body 240 occurs, the electrical state is informed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280.

만약, 반대로 양압 리크가 있는 경우, 도 6(c)와 같이 판막(230)은 양압에 의하여 상방으로 변형되며, 그에 따라 이동체(240) 및 추가 이동체(250)도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7(c)와 같이 이동체(240)는 상부에 있는 제2접점부(270)에 접촉하게 된다. 제2접점부(270)와 이동체(240)의 접촉이 발생되면, 마찬가지로 그에 따른 전기적 상태가 연결포트(280)에 연결된 외부단자를 통하여 컨트롤러 등에 알려진다.6 (c), the valve 230 is deformed upward by the positive pressure, so that the moving body 240 and the additional moving body 250 are also moved upwar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c), the moving body 2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270 at the upper portion.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int part 270 and the moving body 240 occurs,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state is informed to the controller through an exter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280.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클램프(110)가 수직 방향의 배관(P1', P2')에 장착된 경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와 같이 통로홀(221)은 판막(230)에 대하여 경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판막(230) 방향은 배관의 임의의 접선방향과 평행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경사 형태의 판막(230)은 다양한 배관의 배치에 대하여 동작이 가능한 상태를 지원한다. 즉, 도 2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배관(P1, P2)에 체결된 클램프(110)에 설치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에서 이동체(240) 및 추가 이동체(250)는 통로홀(221) 내에서 자중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며, 도 8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배관(P1', P2')에 체결된 클램프(110)에 설치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200)에서도 이동체(240) 및 추가 이동체(250)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where a clamp 110 equipped with a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vertical pipes P1 'and P2'. As shown in FIG. 5, the passage holes 221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plate 230. Here, it is assumed that the direction of the plate film 230 is parallel to any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ipe. The slanted valve plate 230 supports a state in which operation is possible for various piping arrangements. 2, the moving body 240 and the additional moving body 250 in the leak sensing sensor assembly 200 provided in the clamp 110 fastened to the pipes P1 and P2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inserted into the passage holes 221, As shown in FIG. 8, even in the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200 provided in the clamp 110 fastened to the pipes P1 'and P2'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allowing movement of the additional moving body 250 by its own weight.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배관용 클램프 장치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lamping device for piping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and the method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s.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11: 제1클램프 바디 112: 제2클램프 바디
120: 풀림방지유닛 121: 요크부
126: 코류게이션 형상부 150: 리크검출유닛
153: 리크검출링 154: 연통홀
200: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210: 제1센서바디
220: 제2센서바디 230: 판막
240: 이동체 250: 추가 이동체
260: 제1접점부 270: 제2접점부
280: 연결포트 290: 캡
F1, F2: 플랜지 P1, P2: 배관
111: first clamp body 112: second clamp body
120: release preventing unit 121: yoke
126: an eutectic configuration part 150: leak detection unit
153: leak detection ring 154: communication hole
200: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210: first sensor body
220: second sensor body 230: valve
240: Moving object 250: Additional moving object
260: first contact part 270: second contact part
280: connection port 290: cap
F1, F2: flange P1, P2: piping

Claims (14)

리크의 검출을 위한 연통홀을 갖는 배관 부품의 상기 연통홀에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 센서바디부;
상기 연통홀을 밀폐시킬 있게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형 또는 변위 가능하게 고무 재질에 의해 형성된, 판막;
상기 판막에 얹혀질 수 있게 형성되는 도전성의 이동체;
상기 판막의 변형 또는 변위에 따라 상기 이동체에 접촉하거나 상기 이동체에 대하여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바디부에 설치되는 접점부;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추가 이동체; 및
외부단자가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센서바디부 내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판막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추가 이동체는 볼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접점부; 및
상기 이동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점부 및 상기 제2접점부는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핀 형태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판막은,
중심부에 상기 이동체가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돌기형 접촉부; 및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링(ring) 형상부를, 포함하는,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A sensor body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be fastened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a piping component having a communication hole for detecting a leak;
A valve plate formed to seal the communication hole and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be deformed or displaceable according to a change in pressure of the communication hole;
A conductive moving body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placed on the valve film;
A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sensor body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moving body or be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body according to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valve film;
An additional moving body positioned above the moving body and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moving body by its own weight; And
And a connection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ensor body portion so that an external terminal can be connected thereto,
Wherein the moving body is formed to be able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valve membrane by self weight in the sensor body portion,
Wherein the moving body and the additional moving body are formed in a ball shape,
The contact portion
A first contact portion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And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orm of a pair of pins spaced apart in parallel,
The valve plate may be formed,
A protruding contact portion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so that the moving body can be contacted and supported at a center portion; And
And a ring featur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assemb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바디부는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추가 이동체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통로홀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홀의 단부에 캡이 구비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body portion includes a passage hole for providing a moving space of the moving body and the additional moving body, and a cap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assage ho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홀은 상기 판막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passage hole is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alve fil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바디부는 상기 연통홀에 접하는 제1센서바디와 상기 이동체가 배치되는 제2센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판막은 상기 제1센서바디와 상기 제2센서바디 사이에 배치된,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body includes a first sensor body in contact with the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sensor body in which the moving body is disposed,
Wherein the valve membran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body and the second senso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부품은 클램프 또는 아이솔레이션 밸브인,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iping component is a clamp or isolation valve.
KR1020170024561A 2017-02-24 2017-02-24 Leak sensor assembly KR101955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561A KR101955607B1 (en) 2017-02-24 2017-02-24 Leak sens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561A KR101955607B1 (en) 2017-02-24 2017-02-24 Leak sens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862A KR20180097862A (en) 2018-09-03
KR101955607B1 true KR101955607B1 (en) 2019-03-07

Family

ID=6360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561A KR101955607B1 (en) 2017-02-24 2017-02-24 Leak sens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6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747B1 (en) * 2017-09-05 2020-01-06 이동민 Leak sensor assembly
KR102594146B1 (en) * 2022-06-22 2023-10-25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Leak detection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668A (en) * 2001-02-26 2002-09-06 Hajime:Kk Liquid leak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153A (en) * 1994-11-18 1996-06-04 Hino Motors Ltd Transmission
KR100387179B1 (en) * 2001-07-26 2003-06-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Blast switch
KR100929415B1 (en) * 2007-08-22 2009-12-03 윤영수 Fluid flow detector
US8844561B2 (en) * 2010-05-20 2014-09-30 Eaton Corporation Isolation valve with integrated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668A (en) * 2001-02-26 2002-09-06 Hajime:Kk Liquid leak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862A (en)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173A (en) Diaphragm valve with leak detection
KR101955606B1 (en) Pipe clamp
RU2485383C2 (en) Control valve device and seal
US5261442A (en) Diaphragm valve with leak detection
US6106246A (en) Free-diaphragm pump
TWI554703B (en) Valve apparatus
KR100610770B1 (en) Diaphragm valve
KR101684637B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KR101955607B1 (en) Leak sensor assembly
US20150028245A1 (en) External seal structure of vacuum valve
KR20150010949A (en) Diaphragm Valve
JPWO2020012828A1 (en) Fluid control equipment
US8613450B2 (en) Pipe connecting mechanism for seal device and mechanical seal device
KR101997107B1 (en) Leak detectable isolation valve for vacuum process
US7077611B2 (en) O-ring forming sealing washer
KR102424593B1 (en) Leak detectable isolation valve for vacuum process
KR101536588B1 (en) Tight seal construction
US4098490A (en) Valve body-bonnet joint
KR102062747B1 (en) Leak sensor assembly
US11339881B2 (en) Valve device and fluid control device
KR101701333B1 (en) Pipe clamp apparatus
KR101911719B1 (en) Auto clearance compensation on-off valve
KR20240047673A (en) Leak detection sensor that electrically detects whether leak occurs by contact of conductive moving contact part in vacuum syste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KR20220087563A (en) Poppe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and use thereof
KR101643627B1 (en) Leak proof device of isolation valve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