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239B1 - Multi-useful lantern - Google Patents

Multi-useful lan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239B1
KR101953239B1 KR1020180022700A KR20180022700A KR101953239B1 KR 101953239 B1 KR101953239 B1 KR 101953239B1 KR 1020180022700 A KR1020180022700 A KR 1020180022700A KR 20180022700 A KR20180022700 A KR 20180022700A KR 101953239 B1 KR101953239 B1 KR 10195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ain body
lighting
lanter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즘
Priority to KR102018002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2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02J2007/0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tern which can be variously used in outdoor and indoor activities such as fishing, climbing or camping. More specifically, for a main body of an upper and lower opening structure, a light-transmitting cover having a resilient pressing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finishing cover having a clip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 LED light source body composed of a horizontal circuit board and a vertical circuit board,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charging terminal are embedded in the main body. Each of the LED light emitting elements formed on the LED light source body is selectively turned on or off through the operation of a switch element and an object senso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to a hat visor when a user fishes with a single lantern, can be used as a head lantern during climbing or nighttime work through a separate wearing band, and is placed on a table or is hung inside a tent to be used.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spotlight, diffuse light, or extended light, and control the brightness of each light as well as can perform contact type lighting using the switch element and perform non-contact type lighting using the object sensor for each light such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nighttime activities that require lighting.

Description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Multi-useful lantern}Multi-use lantern with division lighting and sensor lighting structure {Multi-useful lantern}

본 발명은 낚시나 등산 혹은 캠핑 등의 야외 및 실내 활동시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랜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 결합된 클립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본체로부터 집중조명과 확산조명 및 확장조명이 선택적으로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물체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각각의 구분 조명을 비접촉 상태로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랜턴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tern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outdoor and indoor activities, such as fishing, mountain climbing or camping, and more specifically, from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rotatable hinge to the hinged clips, The extended illumination can be selectively produced, as well as the object detection sensor can be turned on or off each of the separate lights in a non-contact state, for a multi-purpose lantern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various forms.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낚시 혹은 캠핑 등의 야간 여가 활동 또는 야간 작업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야 전방을 밝게 비추기 위한 헤드 랜턴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헤드 랜턴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게 되므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In general, a head lantern for illuminating the front of the user's field of vision is mainly used for night leisure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fishing or camping, and the head lantern is worn on the user's head so that both hands can be freely use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특히, 낚시와 같은 경우에는 착용밴드를 사용하는 헤드랜턴이 아닌 낚시 모자의 챙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클립형 랜턴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밤낚시의 경우 랜턴이 너무 밝거나 넓은 지역을 비추게 되면 낚시에 방해가 되어 미끼를 끼우거나 채비를 손질하는 목적으로 최소한의 면적만 비출 수 있도록 한 클립형 랜턴이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shing, a clip-type lantern that can be used to fit into the visor of a fishing hat is mainly used, not a head lantern that uses a wearing band. In the case of night fishing, when the lantern is too bright or illuminates a large area, it interferes with fishing. Clip lanterns are usually used to light the minimum area for the purpose of inserting bait or trimming.

또한, 상기의 등산이나 야간 작업을 위한 헤드 랜턴은 통상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착용밴드 상에 배터리가 내장된 랜턴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랜턴에는 전방의 렌즈부 및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 등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d lantern for mountaineering or night work is generally a combination of a built-in lantern on the wearable adjustable band, the lantern is to intercept the power of the front lens unit and the built-in battery It is equipped with a switch.

특히, 이와 같은 헤드 랜턴은 렌즈부의 회전을 통해 점등 빛에 대한 집중 또는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고, 상기의 배터리 역시 충전식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며, 상기 랜턴은 착용밴드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되고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such a head lantern is made to be concentrated or diffused to the lighting ligh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lens unit, the battery is also being replaced by a rechargeable, the lantern is a rotation by the wear band It is being improved to make the angle adjustment.

이어, 캠핑과 같은 여가 생활을 즐기는 동안 텐트 내부에 걸어 사용하는 랜턴은 비교적 밝고 넓은 면적에 대하여 고른 조명 효과를 연출하여야 하는 것으로 상기의 헤드 랜턴이나 클립형 랜턴에 비하여 좀 더 많은 수의 광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로프나 걸이구 등을 통해 텐트 내부에 쉽게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Then, the lantern used to hang inside the tent while enjoying a leisure life such as camping should produce a light effect over a relatively bright and large area, more light sources than the head lantern or clip lantern is provided. It is designed to be easily used inside the tent through ropes or hooks.

이와 같은 헤드 랜턴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32788호와 같이 하우징 양단에 외감되며 일단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속구와,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공과 나사공으로 고정나사를 체결할 수 있게 제1통공이 형성되어 결속구와 결합되며 양단으로 벨트를 결속하도록 된 벨트결합체와, 상기 벨트결합체에 결합된 결속구가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결속구의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헤드 랜턴의 구조가 등록된 바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uch a head lantern, as shown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32788, the outer ring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housing, and a hook is formed at one end and a screw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hook hole and a screw hole in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A first through-hole is formed to fasten the fixing screw and is coupled to the binding sphere, and includes a belt coupling member configured to bind the belt at both ends, and a rotation means of the binding mechanism for allowing the binding sphere coupled to the belt assembly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tructure of the head lantern has been registered.

또한, 등록특허 제10-1433185호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광원과;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상기 광원 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을 커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서 원래의 형태로 유지되어 있는 노말 모드에서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눌려져서 형상 변형되는 프레싱 상태로 전환시 상기 광원에서의 빛을 상기 노말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앙부로 더 많이 집광시켜 직진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쉐이드와; 상기 쉐이드를 눌러서 상기 프레싱 상태로 사용시 상기 쉐이드가 상기 광원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프레싱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헤드 램프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In addition, Patent No. 10-1433185 has a base; A light source provided in the base; In the normal mode which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provided in the base and at the same tim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and coupled to the base to cover the light source, the base is maintained in its original form. A shade configured to focus mor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a center portion than to the normal mode and radiate in a straight direction when switching to a pressing state depressed in a base direction; A headlamp containing a pressing support means for holding the shad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when the shade is used in the pressing state has been conceived and registered.

또한, 공개특허 제10-2016-0080765호와 같이 충전용 배터리를 헤드 랜턴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와, 전동공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 중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호환 가능하게 구성한 헤드 랜턴을 제공함에 따라 대용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랜턴부의 라이트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사용자가 배터리의 용량 때문에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배터리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 헤드 랜턴이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80765, the battery can be interchangeably used so that the user can artificially select and use the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d lantern and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tool. By providing the configured head lantern,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 of the lantern part using a large capacity battery, which prevents the user from causing troubles due to the capacity of the battery and also allows the user to work for a long time due to the large capacity of the battery. The head lantern has been put out.

또한, 클립형 랜턴의 경우 등록실용신안 제20-0282975호와 같이 후레쉬 몸체에 집게판를 형성하여, 후레쉬를 모자의 챙이나 의복에 부착되어 있는 장신구를 비롯한 여러 곳에 쉽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후레쉬의 부착과 탈착이 용이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사물을 고정하는 집게판 내부에 미끄림 방지고무 홀더를 결합하여, 금속이나 기타 표면에 미끄러운 부분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후레쉬를 파지하지 않고 착용하고 있는 의복이나 기타 장신구에 후레쉬를 고정하여 사용하므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활동성을 보장받을 수 있어, 행동이 불편하여 넘어지거나 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집게판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고무 홀더로 인해, 표면이 미끄러워 집게판의 악력으로도 쉽게 고정할 수 없었던, 유리면이나 낚시대 꽂지에도 단단히 고정할 수 있어, 후레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레져용 후레쉬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lip-type lantern, a tong plate is formed on the fresh body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2975 so that the fresh cake can be easily fixed and used in various places, including jewelry attached to a visor or clothes of a hat.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it is easy to use.In particular, by attaching an anti-slip rubber holder to the inside of the tong plate for fixing objects, it is easy to fix on slippery parts on metal or other surfaces, so that the user grasps the flash. Since the flash is fixed to clothes or other jewelry worn without being used,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activity of using both hands freely, which prevents accidents that fall due to uncomfortable behavior, especially the slip formed on the plate Due to the anti-rubber holder, the surface is slippery The flash for the leisure, which could not be easily fixed to the glass surface or the fishing rod holder, can be fixed and registered so that the flash can be conveniently used.

그러나, 기존의 랜턴이나 후레쉬 등은 각기 사용 목적에 알맞도록 만들어진 것이어서 낚시를 하거나 캠핑 또는 등산이나 야간 작업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기 알맞게 제작된 낚시용 후레쉬 또는 등산용 헤드랜턴 또는 캠핑용 랜턴 등을 개별적으로 모두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However, conventional lanterns and flashlights are made for each purpose of use, so when fishing, camping, hiking or night work, the fishing flashes, climbing head lanterns, camping lanterns, etc. As there is a hassle to purchase and use all.

또한, 이들 각각의 조명 제품은 각기 고유의 목적으로 개발된 상태에서 부가적으로 각도 조절 혹은 조명 면적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사용 목적에 따른 호환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어서 지극히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것이다.In addition, each of these lighting products has been improved to additionally adjust the angle or the lighting area in the state developed for their own purpose, but still has the problem of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which is extremely uneconomical It is inefficient.

특히, 기존의 조명 제품은 조명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고자 하는 경우 접촉에 의한 스위치의 작동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장갑을 착용하고 있거나 손이 오염된 상태 또는 사정에 의해 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등 조명을 쉽게 켜고 끄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더욱이 모자의 챙에 끼워 사용하는 클립형 랜턴이나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 랜턴 등의 경우에는 조명등 자체가 비교적 작고 전원스위치 역시 매우 작게 형성되어 있어 이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고자 하는 경우 모자 또는 머리로부터 이를 분리 및 제거한 상태에서 육안을 통해 해당 전원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In particular, existing lighting products must operate the switch by contact when the lighting is to be turned on or off, such as wearing gloves or when hands are not available due to contaminated hands or circumstances. The lighting is not easily turned on and off, and in the case of a clip-type lantern that is used to fit into the visor of a hat or a head lantern that is worn on the head, the lamp itself is relatively small and the power switch is also made very small to turn it on. If you want to turn off, the power switch must be operated through the naked eye in a state of removing and removing it from the hat or head, so the inconvenience in use is very large.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32788 (2001.05.21 등록)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232788 (registered May 21, 2001)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33185 (2014.08.18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433185 (2014.08.18 registration)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080765 (2016.07.08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6-0080765 (2016.07.08 published)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82975 (2002.07.10 등록)Utility Model Registration of Korea 20-0282975 (registered on July 10, 2002)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상하 개방구조의 본체에 대하여 상,하측에 각기 탄력누름구를 갖는 투광커버와 클립을 갖는 마감커버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는 본체의 수평회로기판과 수직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엘이디 광원체와 충전지 및 충전단자를 내장하되, 상기 엘이디 광원체에 형성된 각각의 엘이디 발광소자는 스위치소자 및 물체감지센서의 작동을 통해 각기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with the upper and lower open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the coupling formed with a transparent cover having a transparent pusher and a closing cover having a clip, the main body horizontal circuit The LED light source body composed of a substrate and a vertical circuit board,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charging terminal are built in, and each LED light emitting element formed on the LED light source body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turned on or off through the operation of a switch element and an object detecting sensor. follow,

탁자 위나 모자 혹은 머리에 착용하거나 텐트 내부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있어 단일 개체의 랜턴으로도 다양한 목적으로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물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에서도 상기 엘이디 광원체를 간편하게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도록 한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It can be worn on a table, a hat or a head, or hanged inside a tent, so i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without a single object as a lantern, and the LED light source can be easily turned on or off even in a non-contact state using an object sens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lantern to which the division lighting and sensor lighting structure is applied so that it can be turned off.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개방된 본체에 대하여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탄력누름구를 갖는 투광커버를 결합하고, 본체의 하측에는 클립이 힌지 결합된 마감커버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수평회로기판과 수직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엘이디 광원체와 충전지를 삽입 형성하되,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body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light-transmitting cover having a resilient pressing hole,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s combined to form a hinge hinged finish cover The inside of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LED light source body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consisting of a horizontal circuit board and a vertical circuit board,

상기 수평회로기판에는 투광커버를 향하는 복수 개의 확장발광소자와 상기 탄력누름구의 하부에 위치되게 한 스위치소자와 상기 본체의 후측으로 노출되게 한 충전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회로기판에는 상기 본체의 전면을 향하는 집중발광소자가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집중발광소자의 양측에는 각기 확산발광소자와 물체감지센서가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을 통해 각기 노출되게 구성함에 따라,The horizontal circuit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expansion light emitting devices facing the floodlight cover, a switch device positioned below the elastic pressing hole, and a charging terminal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vertical circuit board has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s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device facing toward the center and the diffused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device are configured to be exposed through the front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상기 스위치소자 및 물체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확장발광소자와 집중발광소자 및 확산발광소자에 대한 선택 점등과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element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and off for the extended light emitting device,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diffusion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하나의 랜턴을 통해 낚시를 즐기는 경우에는 모자의 챙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착용밴드를 통해 등산이나 야간 작업시의 헤드 랜턴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탁상에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텐트의 내부에 걸어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집중조명이나 확산조명 또는 확장조명등을 선택할 수도 있고 각각의 조명에 대한 밝기의 조절은 물론 각각의 조명에 대하여 스위치를 이용한 접촉식 점등과 소등 또는 물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점등과 소등도 가능하므로 조명등이 필요한 다양한 레저 활동 및 야간 활동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enjoy fishing through a lantern can be used to fit in the visor of the hat and can be used as a head lantern at the time of climbing or night work through a separate wearing band, put it on a table or use a tent It can be used to hang inside, and can choose intensive light, diffused light or extended light, and adjust brightness for each light, as well as contact light and switch off or non-contact using object sensor for each light. It can be turned on and off, so it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night activities that require ligh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집중조명부 전체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확산조명부 전체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물체감지부 전체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구분 점등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사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또 다른 사용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또 다른 사용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또 다른 사용 예시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ulti-use lanter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centralized lighting unit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mbined lighting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ire object detection unit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the division lighting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multi-purpose lanter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other example of the use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other example of the use of the multi-purpose lanter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other example of the use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집중조명부 전체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확산조명부 전체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랜턴의 물체감지부 전체 결합 단면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ulti-us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multi-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ull sectional view of the centralized lighting unit of the lantern, Fig. 5 is a full sectional view of the diffusion lighting unit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ull sectional view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of the multi-purpos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랜턴은 상,하로 개방된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결합되는 투광커버(20) 및 상기 본체(20)의 하측에 결합되는 마감커버(40)에 의한 조립식 케이스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As shown, the multi-purpose lan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and bottom open body 10 and a transparent cover 2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closing cover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 It has a prefabricated case structure by 40).

여기에, 상기 투광커버(20)의 중앙에는 하측으로부터 상향 밀착된 탄력누름구(3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마감커버(40)의 저면에는 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는 클립(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마감커버(40)의 하측으로부터 별도의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여 이들 본체(10)와 투광커버(20) 및 마감커버(40)의 동시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center of the floodlight cover 20 is coupled to the elastic pressing hole 30 in close contact from the bottom side and the clip 50 is hinged by the shaf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losing cover 40 is formed As such, by using a separate fastening bolt or the like from the lower side of the closing cover 40, simultaneous coupling and fixing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loodlight cover 20 and the closing cover 40 may be made.

또한, 상기의 본체(10)는 전면 중앙에 관통의 렌즈노출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노출공(11)의 양측에는 각기 소자노출공(12)과 센서노출공(13)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들 소자노출공(12) 및 센서노출공(13)의 내측면에는 유백색으로 된 반투명의 소자투광편(14)과 센서투광편(15)이 각기 밀착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has a penetrating lens exposure hole 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element exposure hole 12 and the sensor exposure hole 13 respectively penetrate through both sides of the lens exposure hole 11.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element exposure hole 12 and the sensor exposure hole 13, the milky translucent element light-transmitting piece 14 and the sensor light-emitting piece 15 are each closely fixed to each other.

이어, 상기의 투광커버(20)는 반투명의 유백색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본체(10) 내부의 광원이 점등되면 그 점등 빛이 상기 투광커버(20)를 통해 확산되는 것이고, 상기 투광커버(20)의 하부 일측에는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점등표시부(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점등표시부(21)는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floodlight cover 20 is made of a translucent milky white synthetic resin, and when the light source inside the main body 10 is turned on, the light is diffused through the floodlight cover 20, and the floodlight cover 20 The lower one sid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ighting indicators 21 protruding downward, the lighting indicator 21 is used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he remaining battery.

즉,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엘이디 광원체(60)와 충전지(7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의 엘이디 광원체(60)는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전원인가를 통해 점등되거나 상기 충전지(70)를 통해 점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엘이디 광원체(60)는 투광커버(20)를 향하는 수평회로기판(61)과 상기 렌즈노출공(1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의 전면을 향하는 수직회로기판(6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충전지(70)는 엘이디 광원체(60)의 하측인 마감커버(4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다.That is, the LED light source body 60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70 ar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LED light source body 60 is turned on by applying power directly from the outside or through the rechargeable battery 70. The LED light source body 60 may be turned on, and the horizontal circuit board 61 facing the floodlight cover 20 and the vertical circuit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lens exposure hole 11 is formed. It is composed of a substrate 62, the above-mentioned rechargeable battery 70 is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nishing cover 40 which is the lower side of the LED light source (60).

특히, 상기 수평회로기판(61)에는 상부 전체에 고르게 배열 형성되어 있는 확장발광소자(61a)와 상기 탄력누름구(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위치소자(61b)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회로기판(61)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본체(10)의 배면부로 노출되게 한 충전단자(6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회로기판(61) 상에는 상기 투광커버(20)의 점등표시부(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배터리표시소자(61d)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horizontal circuit board 61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light emitting element 61a that is evenly arranged on the entire upper portion and a switch element 61b positioned below the elastic pressing hole 30. A charging terminal 61c is formed at one end of the 61 to expose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corresponds to the lighting display portion 21 of the floodlight cover 20 on the horizontal circuit board 61. The battery display element 61d formed at the position is provided.

이어, 상기 수직회로기판(62)에는 중앙에 집중발광소자(62a)가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집중발광소자(62a)의 양측에는 각기 확산발광소자(62b)와 물체감지센서(62c)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확산발광소자(62b)는 본체(10)의 소자노출공(12)을 향하게 되고 상기 물체감지센서(62c)는 본체(10)의 센서노출공(13)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a concentrated light emitting device 62a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circuit board 62, and diffused light emitting devices 62b and an object detecting sensor 62c are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device 62a. As such, the diffusion light emitting device 62b faces the device exposure hole 12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bject detecting sensor 62c faces the sensor exposure hole 13 of the main body 10.

또한, 상기의 집중발광소자(62a)의 전방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도 상기 렌즈노출공(11)으로 노출되게 한 별도의 집광렌즈(8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의 집광렌즈(80)는 외향 확장 형태의 렌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집광렌즈(80)의 외표면 전체에는 반사코팅층(8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광렌즈(80)의 외측에는 불투명의 렌즈홀더(82)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집광렌즈(80)의 일측 중앙에는 전기한 집중발광소자(62a)가 삽입되게 한 소자삽입부(8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separate condenser lens 80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exposed to the lens exposure hole 11 is inserted in front of the intensive light emitting element 62a. 80 is formed of an outwardly extending type lens, and the reflective coating layer 81 is form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condenser lens 80, and an opaque lens holder 8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denser lens 80.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condenser lens 80, an element insertion portion 83 into which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element 62a is inserted is form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 및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다용도 랜턴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전기한 탄력누름구(30)를 가압하여 하부에 위치한 스위치소자(61b)가 눌려지면 그로 인해 충전지(70) 혹은 충전단자(61c)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엘이디 광원체(60)에 전달되게 된다.Therefore, the multi-purpose lan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witch element (61b)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by pressing the elastic pressing hole 30, which is op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rechargeable battery 70 or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61c is transmitted to the LED light source body 60.

이때, 상기 스위치소자(61b)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탄력누름구(30) 역시 투 버튼 형태로 구분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스위치소자(61b)가 눌려 작동되게 하면 상기 확장발광소자(61a) 또는 집중발광소자(62a) 또는 확산발광소자(62b) 중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도록 하고,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가 점등된 상태에서 나머지 선택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각 발광소자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switch element (61b) is composed of a pair and the elastic pressing sphere 30 is also divided into two-button form, if any one of the switch element (61b) is pressed to operate the expansion light emitting element (61a) Alternatively, on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of the intensive light emitting device 62a or the diffused light emitting device 62b is turned on, and when on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is turned on and the remaining selection switch is pressed, each light emitting device is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It may be configured as possible.

또한,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가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소자(61b)를 지속적으로 누르게 되면 점등된 발광소자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스위치소자(61b)를 눌러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스위치소자(61b)가 일정시간 이상 눌려 작동되게 하면 상기 물체감지센서(62c)의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f on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turned on continuously pressing the switch device (61b) can be applied to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ed light emitting device, by pressing the switch device (61b) to operate In the process, if the switch element 61b is pressed and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function of the object detecting sensor 62c may be activated.

즉, 상기 전원을 담당하는 스위치소자(61b)를 가볍게 터치하는 경우에는 발광소자의 점등 또는 소등이 단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명 전환을 담당하는 스위치소자(61b)를 눌러 발광소자의 점등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을 담당하는 스위치소자(61b)를 일정시간 이상 연속으로 누르는 경우에는 전원의 인가와 동시에 물체감지센서(62c)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회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when lightly touching the switch element 61b in charge of the power supply,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simply turned on or off, and the lighting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varied by pressing the switch element 61b in charge of switching the light.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is designed to be pressed, the control circuit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 object detecting sensor 62c is activated at the same time as the power is applied when the switch element 61b responsible for the power is continuously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따라서, 상기의 물체감지센서(62c)가 활성화된 상태로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가 점등되면 사용자는 상기 물체감지센서(62c)를 이용하여 점등 상태인 발광소자에 대한 점등과 소등을 비접촉 형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any on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is turned on while the object detecting sensor 62c is activated, the user controls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in the non-contact state by using the object detecting sensor 62c. You can do it.

즉,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가 점등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물건 등을 상기 물체감지센서(62c)의 전방에서 움직이면 상기 물체감지센서(62c)가 이를 인지하여 점등 상태인 발광소자를 소등시키게 되고 다시 손이나 물건 등을 일정 속도로 물체감지센서(62c)의 전방에서 움직이게 되면 다시 이를 인지하여 소등 상태인 발광소자를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ny user's hand or object is moved in front of the object detecting sensor 62c while any on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is turned on, the object detecting sensor 62c recognizes this and turns off the light emitting device which is in the lit state. When a hand or an object is moved in front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c at a constant speed, the light is again turned on by recognizing it.

이와 같이 비접촉 상태로 선택된 일정 방향의 발광소자를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으므로 장갑을 끼거나 물건을 들고 있는 상태 또는 손이 오염된 상태는 물론 모자나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a certain direction selected in the non-contact state can be turned on or off, so that the lighting can be easily controlled even while wearing gloves, holding an object, contaminated hands, or wearing a hat or head. will be.

또한, 상기 엘이디 광원체(60)의 수평회로기판(61)에 나열 배치되어 있는 확장발광소자(61a)는 수평회로기판(61)의 넓은 면적에 걸쳐 위치하고 있어 이들이 점등되는 경우 투광커버(20)를 통해 넓은 범위에 대한 확장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수직회로기판(62)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집중발광소자(62a)가 점등되는 경우 집중발광소자(62a)의 점등 빛은 전방의 집광렌즈(80) 및 반사코팅층(81)과 렌즈홀더(82)를 통해 사방으로 확산되지 않고 우수한 직진성을 갖고 한정된 범위만을 집중하여 조명하는 형태가 연출될 것이며, 상기 수직회로기판(62)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확산발광소자(62b)가 점등되는 경우에는 확산발광소자(62b) 자체의 고유한 점등 영역 그대로 확산 조명이 연출되므로 상기 집중발광소자(62a)에 비해서 좀더 넓은 범위에 대한 조명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expansion light emitting device 61a arranged on the horizontal circuit board 61 of the LED light source 60 is located over a large area of the horizontal circuit board 61 so that the floodlight cover 20 is turned on when they are turned on. Through a wide range of illumination can be made through, and when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device 62a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circuit board 62 is turned on, the light of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device 62a is focused in front Through the lens 80 and the reflective coating layer 81 and the lens holder 82, it will not be diffused in all directions but will have a good straightness and focus only a limited range of illumination, an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circuit board 62 When the diffused light emitting element 62b is turned on, the diffused light is produced as it is in the unique lighting area of the diffused light emitting element 62b itself, so that the illumination of a wider range is compared with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element 62a. Will be done.

이에, 사용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클립(50)이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10)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형태의 조명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스위치소자(61b)를 직접 눌러 조명의 선택 혹은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거나 물체감지센서(62c)를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로 조명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user can rotate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clip 50 is fixed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desired shape of illumination can be produced in a desired direction, and the switch element 61b is directly Press to control the selection of lighting or to turn on or off, or to turn on or off the lights in a non-contact state by using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c.

또한, 상기 수평회로기판(61) 상에 형성된 배터리표시소자(61d)는 내장된 충전지(70)를 이용하여 조명이 점등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충전지(70)의 충전 잔량에 따라 점등 개수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배터리의 잔량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표시소자(61d)가 점등되면 그 점등 빛은 투광커버(2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점등표시부(21)를 간접 점등시키면서 해당의 점등표시부(21)의 점등 상태를 외부에서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lighting is turned on by using the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70, the battery display element 61d formed on the horizontal circuit board 61 may vary the number of lighting according to the remaining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70. Is to enable the user to quickly check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display element 61d is turned on, the lit light indirectly lights up the lighting display portion 21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loodlight cover 20 while the corresponding lighting display portion is lit. The lighting state of (21) can be recognized quickly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충전지(70)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충전단자(61c)에 전원케이블을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표시소자(61d)가 점등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충전지(70)에 대한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회로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cab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61c without using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70, the battery display element 61d is turned on and 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70 is performed. You can design the circuit to be done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랜턴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체(10)로부터 상기 클립부재(50)를 일정 각도 회전 전개시켜 이들을 통해 탁상 등의 테이블 상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도 9의 도시와 같이 낚시 등을 즐기는 경우 모자의 챙에 끼워 원하는 방향 혹은 원하는 형태의 조명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도 10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착용밴드를 상기 클립부재(50)에 끼워 헤드 랜턴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Such a multi-purpose lan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may be used by rotating the clip member 50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main body 10 and placing it on a table such as a tabletop through them, as shown in FIG. 9. If you enjoy fishing, such as to be able to use the lighting of the desired direction or the desired shape to be fitted to the visor of the hat, as shown in Figure 10 by inserting a separate wearing band to the clip member 50 for the purpose of the head lantern Could be used.

또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클립부재(50)에 비너 등을 결합하여 텐트의 내부 조명등으로 걸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조명의 연출 형태 및 조명의 방향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과 조절이 가능하여 더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clip member 50 may be combined with a binner or the like to be used as an inner lamp of a tent, and the free selection and adjustment of the lighting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lighting may be performed.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re provid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10 : 본체 11 : 렌즈노출공
12 : 소자노출공 13 : 센서노출공
14 : 소자투광편 15 : 센서투광편
20 : 투광커버 21 : 점등표시부
30 : 탄력누름구
40 : 마감커버
50 : 클립
60 : 엘이디광원체 61 : 수평회로기판
62 : 수직회로기판
70 : 충전지
80 : 집광렌즈 81 : 반사코팅층
82 : 렌즈홀더 83 : 소자삽입부
10: main body 11: lens exposure hole
12: element exposure hole 13: sensor exposure hole
14 element emission piece 15 sensor emission piece
20: Floodlight 21: Light display
30: elastic presser
40: finish cover
50: Clip
60: LED light source 61: horizontal circuit board
62: vertical circuit board
70: rechargeable battery
80: condenser lens 81: reflective coating layer
82: lens holder 83: element insertion portion

Claims (5)

상,하로 개방된 본체(10)에 대하여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탄력누름구(30)를 갖는 투광커버(20)를 결합하고, 본체(10)의 하측에는 클립(50)이 힌지 결합된 마감커버(4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수평회로기판(61)과 수직회로기판(62)으로 구성된 엘이디 광원체(60)와 충전지(7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수평회로기판(61)에는 투광커버(20)를 향하는 복수 개의 확장발광소자(61a)와 상기 탄력누름구(30)의 하부에 위치되게 한 스위치소자(61b)와 상기 본체(10)의 후측으로 노출되게 한 충전단자(61c)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회로기판(62)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향하는 집중발광소자(62a)가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집중발광소자(62a)의 양측에는 각기 확산발광소자(62b)와 물체감지센서(62c)가 위치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통해 각기 노출되게 구성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소자(61b) 및 물체감지센서(62c)의 작동에 의해 확장발광소자(61a)와 집중발광소자(62a) 및 확산발광소자(62b)에 대한 선택 점등과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The top and bottom of the main body 10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transparent cover 20 having an elastic pressing hole 30,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clip 50 is hinged The finished cover 40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ED light source body 60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70 including the horizontal circuit board 61 and the vertical circuit board 62 are inserted into the body 10.
The horizontal circuit board 61 includes a plurality of expansion light emitting elements 61a facing the floodlight cover 20 and a switch element 61b positioned below the elastic pressing hole 30 and the main body 10. The charging terminal 61c exposed to the side is formed, and the vertical circuit board 62 has a concentrated light emitting element 62a fac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t the center and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element 62a. As the diffusion light emitting device 62b and the object detecting sensor 62c are positioned to be expos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element (61b) and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c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turned on and off for the extended light emitting element (61a), concentrated light emitting element (62a) and diffusion light emitting element (62b) Multi-purpose lantern with structure lighting and sensor lighting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61b)는 확장발광소자(61a)와 집중발광소자(62a) 및 확산발광소자(62b)의 선택 점등 및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소자(61b)에 의해 선택된 발광소자의 점등 상태에서 상기 물체감지센서(62c)의 감지 작동시 선택된 발광소자의 점등과 소등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element 61b turns on and off the extended light emitting element 61a,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element 62a, and the diffused light emitting element 62b, and lights up the light emitting element selected by the switch element 61b. The multi-purpose lantern to which the division lighting and sensor lighting structur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of the selected light emitting element during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object detection sensor (62c) in the state.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의 전면 중앙에는 렌즈노출공(11)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노출공(11)의 양측에는 각기 소자노출공(12)과 센서노출공(1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렌즈노출공(11)의 내측에는 집중발광소자(62a)와의 사이에 집광렌즈(80)가 삽입되게 하고, 상기 소자노출공(12) 및 센서노출공(13)이 위치하는 본체(10)의 내면에는 각기 소자투광편(14) 및 센서투광편(15)을 밀착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s exposure hole 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element exposure hole 12 and the sensor exposure hole 13 are formed in both sides of the lens exposure hole 11, respectively. The condenser lens 80 is inserted between the intensive light emitting element 62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element exposure hole 12 and the sensor exposure hole 13 are located. A versatile lantern to which the division lighting and sensor lighting structur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light emitting piece 14 and the sensor light emitting piece 15 are fixed and fixed.
제 3항에 있어서,
집광렌즈(80)는 외향 확장형의 모양으로 구성되고 외면에는 반사코팅층(81)이 형성되며, 상기 집광렌즈(80)의 외측에는 불투명의 렌즈홀더(82)가 결합되어 상기 집광렌즈(80)를 포함한 렌즈홀더(82)가 본체(10)에 내장되게 하되,
상기 집광렌즈(80)의 일측은 상기 본체(10)의 측부를 통해 노출되게 하고, 상기 집광렌즈(80)의 타측에는 전기한 집중발광소자(62a)가 삽입되게 한 소자삽입부(83)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denser lens 80 has an outwardly extending shape, and a reflective coating layer 8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n opaque lens holder 82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ndenser lens 80 to thereby condense the condenser lens 80. To include the lens holder 82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10,
One side of the condenser lens 80 is exposed through the side of the body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denser lens 80, the element insertion portion 83 for inserting the concentrated light emitting element 62a is inserted Multi-purpose lantern applied to the division lighting and sensor ligh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rm.
제 1항에 있어서,
수평회로기판(61)의 상부 일측에는 배터리표시소자(61d)를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표시소자(61d)와 대응하는 위치의 투광커버(20) 저면에는 하향 돌출의 점등표시부(21)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표시소자(61d)의 점등 및 점등표시부(21)의 간접 점등 작용에 의해 상기 충전지(70)의 충전 잔량에 대한 육안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The method of claim 1,
A battery display element 61d is formed at on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circuit board 61, and a lighting display portion 21 of downward projection is form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dlight cover 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display element 61d. Accordingly, the division lighting and sensor lighting structure of the battery display element 61d and the indirect lighting of the lighting display unit 21 are configured to visually check the remaining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70. Multi-purpose lantern with.
KR1020180022700A 2018-02-26 2018-02-26 Multi-useful lantern KR101953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00A KR101953239B1 (en) 2018-02-26 2018-02-26 Multi-useful lan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00A KR101953239B1 (en) 2018-02-26 2018-02-26 Multi-useful lante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239B1 true KR101953239B1 (en) 2019-02-28

Family

ID=6558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700A KR101953239B1 (en) 2018-02-26 2018-02-26 Multi-useful lante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23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55U (en) * 2019-08-07 2021-02-17 (주)국제산업 Shoulder wearing type warning light
KR20220009002A (en) * 2020-07-15 2022-01-24 용 목 박 Portable lamp device with safety of use
KR102488686B1 (en) 2022-11-10 2023-01-18 한병옥 multifunctional lanter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975Y1 (en) 2002-04-11 2002-07-24 병 진 이 leisure flash
KR101366829B1 (en) * 2013-08-19 2014-02-25 슈펙스주식회사 Portable led lighting device
KR101433185B1 (en) 2012-11-22 2014-08-26 이문재 Head lamp
US20150131276A1 (en) * 2012-05-18 2015-05-14 Jack Sealey Limited Lighting device
KR20160080765A (en) 2014-12-30 2016-07-08 남우현 Head Lantern
KR101719271B1 (en) * 2017-01-05 2017-04-06 (주)프리즘 Multi-useful head lanter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975Y1 (en) 2002-04-11 2002-07-24 병 진 이 leisure flash
US20150131276A1 (en) * 2012-05-18 2015-05-14 Jack Sealey Limited Lighting device
KR101433185B1 (en) 2012-11-22 2014-08-26 이문재 Head lamp
KR101366829B1 (en) * 2013-08-19 2014-02-25 슈펙스주식회사 Portable led lighting device
KR20160080765A (en) 2014-12-30 2016-07-08 남우현 Head Lantern
KR101719271B1 (en) * 2017-01-05 2017-04-06 (주)프리즘 Multi-useful head lanter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55U (en) * 2019-08-07 2021-02-17 (주)국제산업 Shoulder wearing type warning light
KR200493578Y1 (en) * 2019-08-07 2021-04-26 (주)국제산업 Shoulder wearing type warning light
KR20220009002A (en) * 2020-07-15 2022-01-24 용 목 박 Portable lamp device with safety of use
KR102439891B1 (en) * 2020-07-15 2022-09-01 박용목 Portable lamp device with safety of use
KR102488686B1 (en) 2022-11-10 2023-01-18 한병옥 multifunctional lanter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71B1 (en) Multi-useful head lantern
KR101953239B1 (en) Multi-useful lantern
US8282233B2 (en) Compact flashlight
US7703937B2 (en) Hands free light emitting diode (LED) illumination device
US20100053942A1 (en) Lantern with mood light and rotating collar dimmer switch
US8851697B2 (en) Compact flashlight
US8550648B2 (en) Directional hands-free wrist illumination device
US20060067071A1 (en) Pocket light
US7168824B2 (en) Utility light
KR200260980Y1 (en) sunshade flash
US20070236961A1 (en) Night light
KR101969069B1 (en) Multi-useful lantern
KR20100078283A (en) Portable lighting device
KR101981248B1 (en) Band type head lantern
KR20210055541A (en) Band type head lan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61058B1 (en) Portable lanterns
TWM378349U (en) Structure of small lamp
KR100922972B1 (en) Lamp wearing on wrist
KR20180003523U (en) Length and angle control Portable lighting device
KR200456219Y1 (en) Lighting lamp
CN205979322U (en) Even type desk lamp of light source
CN205402328U (en) Headlamp
CN208634923U (en) A kind of half luminous Ceiling light for showroom
KR101074045B1 (en) Desk lamp having decorative function
CN207849154U (en) A kind of LED voice controls head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