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213B1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213B1
KR101953213B1 KR1020170155879A KR20170155879A KR101953213B1 KR 101953213 B1 KR101953213 B1 KR 101953213B1 KR 1020170155879 A KR1020170155879 A KR 1020170155879A KR 20170155879 A KR20170155879 A KR 20170155879A KR 101953213 B1 KR101953213 B1 KR 10195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inlet
case
sound wa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현
Original Assignee
(주)퍼시픽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시픽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퍼시픽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7015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7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음파 유입 구멍;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입구; 및 상기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따라서 진행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기{SILENCER}
아래의 설명은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소음기는 유체가 이송되는 이송관을 통해 유체는 자유롭게 이송되지만 소리는 차단되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종래기술로는 헬름홀츠 공명기를 사용한 소음기가 있으며, 엔진, 컴프레샤, 브로어 등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 공명 주파수 근처에서 작동하는 헬름홀츠 공명기의 특성 때문에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잘 작동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공명기로서는 기 설정된 길이의 관을 들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가 단일 주파수에서 공명을 일으키는 반면에 이 관 안에서는 여러 개의 주파수에서 정상파가 발생하며 정상파가 생기는 주파수는 공명 주파수로 볼 수 있으므로 기 설정된 길이의 관은 여러 개의 공명 주파수를 갖는 공명기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길이의 관을 관형 공명기라고 부르기로 한다. 관형 공명기는 저주파에서 공명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관의 길이가 길어야 하는데, 긴 관을 구불구불하게 형성하여 덩어리로 뭉쳐 놓은 경우라 할지라도 그 총 부피가 너무 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관형 공명기는 현재 소음기의 구성요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헬름홀츠 공명기와 관형 공명기의 단점을 보완하는 공명기를 이용한 소음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음파 유입 구멍;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입구; 및 상기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따라서 진행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입구로부터 진행될수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경로로 분지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통로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통로의 방향은,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원주 방향 및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소음기의 일 면을 형성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1 격벽을 포함하는 제 1 분리부; 및 상기 소음기의 타 면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2 격벽을 포함하는 제 2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분리부 및 제 2 분리부가 체결될 때,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 개의 제 2 격벽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 1 격벽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외곽 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분리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서 상기 제 1 분리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 1 외곽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분리부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서 돌출하여 제 2 분리부의 테두리 면을 형성하는 제 1 외벽; 및 상기 외벽을 따라서 상기 외벽으로부터 상기 제 2 분리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 2 외곽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분리부 및 제 2 분리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 1 외곽 돌기 및 제 2 외곽 돌기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외곽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곽 돌기는, 상기 제 1 외곽 돌기의 단부에 상기 제 1 외곽 돌기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 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외곽 돌기는, 상기 제 2 외곽 돌기의 단부에 상기 제 2 외곽 돌기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분리부 및 상기 제 2 분리부가 서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 1 우회부는,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우회부 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제 3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3 분리부는, 제 3 플레이트;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벽과 통로를 형성하는 제 3 격벽;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벽과 통로를 형성하는 제 4 격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3 격벽의 모양은 상기 제 1 격벽의 모양과 동일하고, 상기 제 4 격벽의 모양은 제 2 격벽의 모양과 동일하고, 상기 제 3 분리부는 상기 제 1 분리부 및 제 2 분리부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분리부는, 상기 제 1 분리부 및 제 2 분리부 사이에서 복수개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는, 중공형으로 형성된 음파 유입 구멍을 통해 관형 부재의 둘레에 장착될 수 있어서, 관형 부재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는, 내부에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통로를 구비하고 있고, 있어서 음파를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감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로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수차례 절곡되고 분지되는 긴 진행 경로를 가질 수 있음에 따라 음파를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감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는 제 1 분리부 및 제 2 분리부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수리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는 제 1 분리분 및 제 2 분리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3 분리부가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소음기의 구성을 원하는 만큼 적층하여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절개선 IV-IV를 따라 절개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분리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1)는 케이스(17), 음파 유입 구멍(15), 입구(141), 통로(14) 및 체결 구멍(16)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7)는 소음기(1)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7)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케이스(17)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음파 유입 구멍(15)은 케이스(17)를 가로지르도록 케이스(17)에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유입 구멍(15)에는 배관, 덕트, 호스 등과 같은 원형의 관형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형 부재의 둘레를 따라 방출되는 소음 또는 음파가 소음기(1)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 유입 구멍(15)은 도 1과 같이, 케이스(17)에 하나만 구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도 8 및 도 9와 같이 2 개로 구성될 수 있고, 2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입구(141)는 음파 유입 구멍(15)의 원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141)는 음파 유입 구멍(15)의 원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입구(141)를 통해서 관형 부재에서 발생하는 음파가 입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141)는 음파 유입 구멍(15)이 아닌 케이스(17)의 외벽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소음기(1)는 관형 부재로 형성된 음향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 음향원으로부터 음파를 전달받을 수 있다.
통로(14)는 입구(141)와 연통되어 케이스(17)의 내부 공간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14)는 내부 공간에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격벽들(111, 121)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14)는 내부 공간을 따라서 진행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통로(14)의 단면적의 감소율은 통로(14)의 진행 경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통로(14)의 단면적이 진행할수록 작아지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공명기의 원리에 따라 통로(14)에 입사되는 음파 중 특정한 주파수 영역이 차단되고 감쇄될 수 있고, 또한, 통로(14)의 단면적의 감소율이 통로(14)의 구간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어서, 넓은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감쇄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통로(14)는 진행 경로에 따라서 수 차례 절곡될 수 있다. 또한, 통로(14)는 진행 경로에 따라서 2개 이상의 경로로 분지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통로(14)가 수 차례 절곡되고 또한 분지되어 형성됨에 따라 음파의 진행 경로가 길어져서 음파가 다시 반사되어 밖으로 나오는 과정에서 점성 마찰에 의해 음파의 진폭이 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141)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통로(14) 또한 복수개의 입구(141)로부터 복수개의 진행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입구에서 연결되는 통로(14)들은 진행 경로에 따라서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14)는 도 3과 같이 음파 유입 구멍(15)의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14)는 음파 유입 구멍(15)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음파 유입 구멍(15)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통로(14)는 음파 유입 구멍(15)의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으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고, 원주 방향의 통로(14)는 음파 유입 구멍(15)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케이스(17)의 원통형 형상에 따라서 케이스(17)의 내부 공간에서 통로(14)를 빈틈없이 컴팩트 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14)에는 직물, 금속, 플라스틱, 섬유, 솜, 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음향 감쇄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음향 감쇄 수단은 발포재, 솜과 같은 흡음재 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14)는 입구(141)로부터 원형 경로를 이루며 회전하면서 외측으로 발산하거나 내측으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달팽이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로(14)는 복수개의 격벽에 의해 진행 경로가 수 차례 이상 절곡되는 미로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통로(14)는 입구(141)로부터 원형 경로를 이루며 회전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체결 구멍(16)은 케이스(17)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멍(16)은 케이스(17) 상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멍(16)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용 부재가 삽입되고 너트로 체결되어, 케이스(17)를 단단히 결속할 수 있고, 도 2 내지 5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케이스(17)가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케이스(17)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기(1)는 케이스(17) 및 통로(14)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도 가능하지만, 도 2 내지 5와 같이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17)는 서로 탈부착 가능한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분리부(11)는, 제 2 분리부(12)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분리부(11)는 제 1 플레이트(115), 제 1 격벽(111), 제 1 외곽 돌기(112), 제 1 체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15)는, 케이스(17)의 마주보는 2 면 중 하나의 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케이스(17)의 저면일 수 있다.
제 1 격벽(111)은 제 1 플레이트(115)로부터 돌출하는 복수개의 격벽일 수 있고, 제 2 분리부(12)의 제 2 격벽(121)과 함께 통로(1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격벽(111)은 후술할 제 2 분리부(12)의 인접한 2개의 제 2 격벽(12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외곽 돌기(112)는 제 1 플레이트(115)의 테두리를 따라서 제 1 분리부(1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돌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곽 돌기(112)는 후술할 제 2 외곽 돌기(122)와 결합되어 소음기(1)의 외곽 부분에 통로(14)의 말단을 형성하는 외곽 통로(142)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외곽 돌기(112)는 돌출된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 우회부(1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4)는 제 1 플레이트(115) 상에서 돌출될 수 있고, 후술할 제 2 분리부(12)의 제 2 체결부(124)와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분리부(12)는, 제 1 분리부(11)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분리부(12)는 제 2 플레이트(125), 제 2 격벽(121), 제 1 외벽(123), 제 2 외곽 돌기(122), 제 2 체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125)는, 제 1 플레이트(115)와 마주보는 케이스(17)의 일면일 수 있다.
제 2 격벽(121)은, 제 2 플레이트(125)로부터 돌출하는 복수개의 격벽일 수 있다. 제 2 격벽(121)은 제 1 격벽(111)과 함께 통로(14)를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2 격벽(121)은 인접한 2개의 제 1 격벽(11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외벽(123)은, 제 2 플레이트(125)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하여 제 2 분리부(12)의 테두리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외벽(123)은 소음기(1)의 외곽 테두리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외곽 돌기(122)는, 제 2 플레이트(125)의 제 1 외벽(123)을 따라서 제 2 분리부(12)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돌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곽 돌기(122)는 제 1 외곽 돌기(112)와 결합되어 외곽 통로(142)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외곽 돌기(112) 및 제 2 외곽 돌기(122)에 의하면,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의 체결을 가이드 할 수 있고, 체결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과 더불어 통로(14)와 연통되어 통로(14)의 말단을 형성하는 외곽 통로(142)를 형성할 수 있다.
외곽 통로(142)는, 통로(14)의 모든 구간 중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곽 통로(142)로 입사되는 음파를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제 2 외곽 돌기(122)는 돌출된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우회부(1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우회부(1121) 및 제 2 우회부(1221)에 의하면, 외곽 통로(142)의 단면적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외곽 통로(142)의 경로를 절곡시킴에 따라 외곽 통로(142)로 입사되는 음파의 감쇄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체결부(124)는, 제 2 플레이트(125)에서 돌출하여 제 1 체결부(114)와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체결부(114) 및 제 2 체결부(124) 중 하나는 체결 구멍(16)과 연통하는 중공을 가진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나머지 체결부(124)는 원기둥 형상의 체결부(114)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어서, 제 1 체결부(114) 및 제 2 체결부(124)는 서로 끼워 맞춰져서 고정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가 서로 정확한 위치 및 위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더불어 체결 구멍(16)으로 임의의 체결용 부재가 삽입되어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를 서로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고,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7b를 참조하면, 소음기(2)는 도 1 내지 5의 케이스(17)가 적층 되는 구조를 갖는 케이스(27), 관형 부재가 장착되는 음파 유입 구멍(25) 및 케이스(27)의 고정 및 결속을 위한 체결 구멍(2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음기(2)는 분리될 수 있어서 서로 탈부착 가능한 제 1 분리부(11), 제 2 분리부(12) 및 제 3 분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는 도 2 내지 도 5의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는 직접 결합되지 않고 중간에 제 3 분리부(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분리부(13)는 제 3 플레이트(136), 제 3 격벽(131), 제 4 격벽(132), 제 2 외벽(133) 제 3 외곽 돌기(134) 및 제 4 외곽 돌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플레이트(136)는 제 1 플레이트(115) 및 제 2 플레이트(125) 사이에 위치하는 면일 수 있다.
제 3 격벽(131)은 제 3 플레이트(136)의 일면으로부터 돌출(예를 들어 상측방향, 도 7a)하는 복수개의 격벽 일 수 있고, 제 2 분리부(12)의 제 2 격벽(121)과 함께 통로(1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격벽(131)은 제 1 격벽(111)의 모양과 패턴이 동일할 수 있다.
제 4 격벽(132)은 제 3 플레이트(136)의 타면으로 돌출(예를 들어 하측방향, 도 7b)하는 복수개의 격벽일 수 있고, 제 1 분리부(11)의 제 1 격벽(111)과 함께 통로(1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격벽(132)은 제 2 격벽(121)의 모양과 동일할 수 있다.
제 2 외벽(133)은 제 3 플레이트(136)로부터 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제 3 플레이트(136)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하는 하는 벽일 수 있다.
제 3 외곽 돌기(134)는 제 3 플레이트(136)의 일면(상면, 도 7a)의 테두리를 따라서 제 3 분리부(13)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돌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외곽 돌기(134)는 제 2 외곽 돌기(122)와 결합되어 외측 통로(14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외곽 돌기(134)는 제 1 외곽 돌기(11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4 외곽 돌기(135)는 제 3 플레이트(136)의 타면으로부터 형성된 제 2 외벽(133)에서 제 3 분리부(13)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돌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외곽 돌기(135)는 제 1 외곽 돌기(112)와 결합되어 외측 통로(14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외곽 돌기(135)는 제 2 외곽 돌기(12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정리하면, 제 3 분리부(13)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가 하나의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양면에 동시에 구성된 것으로 이해하여도 무방할 수 있다.
제 3 분리부(13)에 의하면, 제 1 분리부(11) 및 제 2 분리부(12) 사이에 결합되어 적층된 형태의 소음기(2)를 제공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제 3 분리부(13)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서 소음기(2)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된 소음기(2)의 각각의 층의 단면은 도 3과 동일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소음기(2)의 내부 공간 및 통로(14)가 복수개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소음기(2)의 음파 유입 구멍(25)의 길이 또한 역시 길게 형성될 수 있어서 배관, 덕트, 호스등의 관형 부재에 대하여 보다 넓은 면적으로 설치 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절개선 IV-IV를 따라 절개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2 개의 음파 유입 구멍(35a, 35b)을 갖는 소음기(3)가 도시되어 있고, 2 개의 음파 유입 구멍(35a, 35b)에는 2 개의 관형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기(3)는 케이스(30), 제 1 음파 유입 구멍(35a), 제 2 음파 유입 구멍(35b), 체결 구멍(36), 복수개의 격벽(31, 32), 제 1 입구(341a), 제 2 입구(341b), 제 1 통로(34a), 제 2 통로(34b), 외벽(33), 제 1 외측 돌기(37), 제 2 외측 돌기(38), 제 1 체결부(361) 및 제 2 체결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0)는 소음기(3)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30)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9에 도시된 케이스(30)는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케이스(30)일 수 있지만, 도 2 내지 5과 같이, 케이스(27)의 부분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도 6 내지 도 7b와 같이 적층될 수 있는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제 1 음파 유입 구멍(35a)은 케이스(30)의 일측에서 케이스(3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구멍일 수 있고, 제 2 음파 유입 구멍(35b)은 케이스(30)의 타측에서 케이스(3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30)의 내부 공간은 케이스(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음파 유입 구멍(35a) 및 케이스(3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음파 유입 구멍(35b)의 위치 따라 케이스(30)의 중심을 기준으로 2 개의 내부 공간으로 나뉘어 질 수 있고, 2 개의 내부 공간은 케이스(3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간 격벽(39)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공간 중 제 1 음파 유입 구멍(35a)이 형성된 내부 공간을 "제 1 내부 공간"이라 칭할 수 있고, 제 2 음파 유입 구멍(35b)이 형성된 내부 공간을 "제 2 내부 공간"이라 칭할 수 있다.
체결 구멍(36)은 케이스(3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멍(36)은 케이스(30) 상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구멍(36)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용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30)를 단단히 결속할 수 있고, 케이스(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격벽(31, 32)은 도 9와 같이 내부 공간에서 특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통로(34a, 34b)와 제 1 및 제 2 입구(341a, 341b)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30)가 분리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는 경우, 케이스(30)의 마주 보는 2 개의 면 중 하나의 면에 복수개의 격벽의 일부(31)가 설치될 수 있고, 2 개의 면중 나머지 면에 복수개의 격벽의 나머지 일부(32)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입구(341a)는, 제 1 음파 유입 구멍(35a)의 원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구(341a)는 제 1 음파 유입 구멍(35a)의 원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입구(341b)는, 제 2 음파 유입 구멍(35b)의 원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구(341b)는 제 2 음파 유입 구멍(35b)의 원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통로(34a)는, 제 1 입구(341a)와 연통되어 케이스(30)의 제 1 내부 공간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제 1 입구(341a)가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제 1 통로(34a) 또한 복수개의 제 1 입구(341a)로부터 복수개의 진행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제 1 통로(34a)는 진행 경로에 따라서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로(34a)는 제 1 공간 내부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31, 3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통로(34b)는, 제 2 입구(341b)와 연통되어 케이스(30)의 제 2 내부 공간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제 2 입구(341b)가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제 2 통로(34b) 또한 복수개의 제 2 입구(341b)로부터 복수개의 진행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제 2 통로(34b)는 진행 경로에 따라서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로(34b)는 제 2 공간 내부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제 격벽(31, 3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로(34a) 및 제 2 통로(34b)는 중간 격벽(39)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로(34a) 및 제 2 통로(34b)는, 내부 공간을 따라서 진행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로(34a) 및 제 2 통로(34b)는, 각각 제 1 입구(341a) 및 제 2 입구(342b)로부터 진행될수록 적어도 2 개 이상의 경로를 통해서 분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로(34a) 및 제 2 통로(34b)는 각각 그 일부가 제 1 음파 유입 구멍(35a) 및 제 2 음파 유입 구멍(35b)의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 통로(34a) 및 제 2 통로(34b)는 제 1 음파 유입 구멍(35a) 및 제 2 음파 유입 구멍(35b)의 각각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로(34a) 및 제 2 통로(34b)의 일부는 도 8과 같이 미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벽(33)은 타원형 케이스(3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벽일 수 있다.
제 1 외곽 돌기(37)는, 케이스(30)의 일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돌기일 수 있다. 제 1 외곽 돌기(37)는 인접한 제 2 외곽 돌기(38)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외곽 돌기(38)는, 외벽(33)의 둘레를 따라서 케이스(30)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돌기일 수 있다. 제 2 외곽 돌기(38)는 인접한 제 1 외곽 돌기(37)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외곽 돌기(37) 및 제 2 외곽 돌기(38)에 의하면 각각 제 1 통로(34a) 및 제 2 통로(34b)와 연통하는 제 1 외곽 통로(342a) 및 제 2 외곽 통로(342b)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곽 통로(342a) 및 제 2 외곽 통로(342b)는 각각 제 1 통로(34a) 및 제 2 통로(34b)의 모든 구간 중 단면적이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외곽 돌기(37) 및 제 2 외곽 돌기(38)는, 케이스(30)의 외곽 부분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케이스(30)가 도 2, 도 7a, 7b와 같이 케이스의 부분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적층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경우, 분리되는 부분들의 체결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361)는, 케이스(3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제 2 체결부(362)와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체결부(362)는, 케이스(3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제 1 체결부(362)와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체결부(361) 및 제 2 체결부(362) 중 하나의 체결부(361)는 체결 구멍(36)과 연통하는 중공을 가진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나머지 체결부(362)는 원기둥 형상의 체결부(361)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어서, 제 1 체결부(361) 및 제 2 체결부(362)는 서로 끼워 맞춰져서 고정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도 2 및 도 7a 와 같이 케이스의 부분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적층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경우, 분리되는 부분들이 서로 정확한 위치 및 위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더불어 체결 구멍(36)으로 임의의 체결용 부재가 삽입되어 분리되는 부분들을 서로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음파 유입 구멍;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입구; 및
    상기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따라서 진행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일 면을 형성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1 격벽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 1 외곽 돌기를 포함하는 제 1 분리부; 및
    타 면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2 격벽,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서 돌출하여 테두리 면을 형성하는 제 1 외벽 및 상기 외벽을 따라서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 2 외곽 돌기를 포함하는 제 2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리부 및 제 2 분리부가 체결될 때,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 개의 제 2 격벽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 1 격벽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상기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외곽 돌기 및 제 2 외곽 돌기는 서로 결합되어 외곽 통로를 형성하는 소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입구로부터 진행될수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경로로 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통로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방향은,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원주 방향 및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소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곽 돌기는, 상기 제 1 외곽 돌기의 단부에 상기 제 1 외곽 돌기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 우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외곽 돌기는, 상기 제 2 외곽 돌기의 단부에 상기 제 2 외곽 돌기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우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리부 및 상기 제 2 분리부가 서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 1 우회부는,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우회부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소음기.
  9.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음파 유입 구멍;
    상기 음파 유입 구멍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입구; 및
    상기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따라서 진행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일 면을 형성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1 격벽을 포함하는 제 1 분리부;
    타 면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2 격벽을 포함하는 제 2 분리부; 및
    제 3 플레이트,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벽과 통로를 형성하는 제 3 격벽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벽과 통로를 형성하는 제 4 격벽을 포함하는 제 3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분리부 및 제 2 분리부가 체결될 때,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 개의 제 2 격벽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 1 격벽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 3 격벽의 모양은 상기 제 1 격벽의 모양과 동일하고, 상기 제 4 격벽의 모양은 제 2 격벽의 모양과 동일하고, 상기 제 3 분리부는 상기 제 1 분리부 및 제 2 분리부 사이에 체결되는 소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분리부는,
    상기 제 1 분리부 및 제 2 분리부 사이에서 복수개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KR1020170155879A 2017-11-21 2017-11-21 소음기 KR101953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79A KR101953213B1 (ko) 2017-11-21 2017-11-21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79A KR101953213B1 (ko) 2017-11-21 2017-11-21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213B1 true KR101953213B1 (ko) 2019-02-28

Family

ID=6558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879A KR101953213B1 (ko) 2017-11-21 2017-11-21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2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2355B2 (ja) * 1996-06-06 1999-06-07 株式会社塩崎鉄工所 吸気用サイレンサー
KR101732067B1 (ko) * 2016-09-05 2017-05-02 (주)퍼시픽시스템즈 달팽이관형 공명기 및 이를 이용한 소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2355B2 (ja) * 1996-06-06 1999-06-07 株式会社塩崎鉄工所 吸気用サイレンサー
KR101732067B1 (ko) * 2016-09-05 2017-05-02 (주)퍼시픽시스템즈 달팽이관형 공명기 및 이를 이용한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6217B2 (en) Air-transparent selective sound silencer using ultra-open metamaterial
US7942239B2 (en) Exhaust muffler
US7798286B2 (en) Exhaust muffler having a horizontally extending sound attenuation chamber
JPH0271300A (ja) 吸音体とそれを利用した吸音ダクト
KR101908833B1 (ko) 소음기
JP6530977B2 (ja) 建設機械の吸気構造
JP2019143478A (ja) 消音装置
KR20150095435A (ko) 차량용 공명기
US4333544A (en) Muffler for combustion engines
JP2020026748A (ja) 消音装置
KR102042910B1 (ko)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서 압력 진동을 댐핑하기 위한 음향 감쇠기, 그 감쇠기를 사용하는 음향 감쇠 시스템, 및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서 압력 진동을 댐핑하는 방법
JP5872536B2 (ja) 吸気ダクト
KR101953213B1 (ko) 소음기
JP6576923B2 (ja) 圧縮機用音響減衰器装置
WO2016125505A1 (ja) 消音器
US20180306191A1 (en) Supercharger inlet panels
JP2011027038A (ja) マフラ
KR100835709B1 (ko)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KR101986215B1 (ko) 송풍 모터 하우징
JP2008303662A (ja) 消音器
KR102640388B1 (ko) 소음저감장치
KR200441754Y1 (ko) 원적외선 히터의 소음기
KR101829253B1 (ko) 머플러의 구조
US20230057475A1 (en) Compact air cleaner assembly wth noise reduction device
WO2021153193A1 (ja) 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