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862B1 - 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862B1
KR101951862B1 KR1020170118366A KR20170118366A KR101951862B1 KR 101951862 B1 KR101951862 B1 KR 101951862B1 KR 1020170118366 A KR1020170118366 A KR 1020170118366A KR 20170118366 A KR20170118366 A KR 20170118366A KR 101951862 B1 KR101951862 B1 KR 10195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membrane
filtration
inner tube
flui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일
오상현
박기호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8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8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8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10Cross-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33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66Pulsated flow
    • B01D2321/2075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comprising: an inner tube through which a fluid is supplied and flows and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 outer tub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and in which the inner tube connected to a flow path through the through holes is formed so that the inner tube can move relative to the axial direction; a filtration membrane module including a filtration membrane that is movable between a filtration position where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inner tube flows into the outer tub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n is filtered and discharged and a cleaning position where cleaning is possible; and an ultrasonic oscillator provided around the filtration membrane at the cleaning position to oscillate ultrasonic vibrations. As a result,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increased, the performance is maintained, and the life is prolonged.

Description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PPARATUS}[0001] 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유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스 플로우형 유체 여과가 가능하고, 여과막에 축적된 퇴적물인 케이크의 제거가 가능한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filtr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nd capable of removing a cake as a deposit accumulated in a filtration membrane.

오염수를 처리 및 정수하는 방법에는 침전, 자외선, 미생물, 염소처리, 막여과를 이용하는 방법 등으로 다양하며, 최근 들어 정수 또는 하수처리 수질의 고도화, 시설의 콤팩트화를 실현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Methods for treating and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include various methods such as precipitation, ultraviolet rays, microorganisms, chlorine treatment, and membrane filtration. In recent years,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alize water purification or water treatment quality improvement and compactness of facilities have.

이는 부족한 수자원 확충과 환경보존에 대한 필요성 및 일정규모 이상의 폐수배출설비는 처리수를 반드시 재이용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기인한다.This is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water resources and the need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the waste water discharge facilities above a certain scale require the treatment water to be reused.

이 중에서 하수처리의 고도화, 시설 컴팩트화가 용이한 여과막을 이용한 유체처리 시장이 큰 각광을 받고 있다.Among them, the fluid treatment market using the filtration membrane which is easy to make the sewage treatment advanced and the facility compact is in the spotlight.

상기 여과막은 막을 개개하여 원수 및 오염수인 농축수 내의 입자성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조작을 일컫는 것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여과막은 제거대상, 관통공 크기, 조작 압력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The filtration membrane refers to an operation for separating particulate pollutants in raw water and concentrated water, which are separated water, and the filtration membrane that can be use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remove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the operation pressure, and the like.

여과막을 이용한 여과장치 중에 순환 방식이면서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에 의한 여과막의 수명 저하가 상대적으로 적은 크로스 플로우 방식의 여과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A filtration system using a filtration membrane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a cross-flow type filtration system in which the lifetime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relatively low due to contamination that may occur on the surface while circulating in the filtration system using the filtration membrane.

이러한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는 펌프 등의 동력을 이용한 순환 방식으로 여과하고자 하는 물질을 보관하는 용기, 펌프 등의 강제 이송장치, 이송관, 여과막, 압력, 조절을 위한 밸브 및 압력계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여과하고자 하는 유체는 펌프 등에 의해 강제 이송되어 여과막을 투과하는 흐름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 플로우 여과 시스템에 사용되는 여과막은 유체가 순환 흐름을 가질 수 있는 통로를 가지고 있다. Such a cross-flow fluid filtration device is composed of a container for storing a substance to be filtered by a circulating system using a power such as a pump, a forced transfer device such as a pump, a transfer pipe, a filtration membrane, a valve for pressure control, and a pressure gauge. At this time, the fluid to be filtered is forcedly conveyed by a pump or the like to have a flow that permeates the filtration membrane. Therefore, the filtration membrane used in the cross-flow filtration system h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have a circulating flow.

상기 펌프 등에 의해 유체의 순환을 유지한 채 여과막 후단에 위치한 밸브 등의 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여과막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면 유량은 감소하는 반면 여과막 내부에서 여과막 외부 쪽으로 향하는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이때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여과막에 의해 관통공보다 큰 물질은 통과하지 못하고 농축 순환되며 관통공보다 작은 물질은 여과막 외부 표면으로 여과되어 회수하게 된다.When the pressure in the filtration membrane is increased by using a pressure regulator such as a valve located at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ltration membrane while the circulation of the fluid is maintained by the pump or the like, the flow rate is decreased while the pressure toward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membrane inside the filtration membrane is increased. At this time, the filtration membrane provided with the through-holes allows the substances larger than the through-holes to pass therethrough without being passed through, and the substances smaller than the through-holes are filter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and recovered.

이러한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에서, 여과를 수행하는 동안 여과막의 내측 표면에는 오염수 중의 고형물 즉, 케이크가 퇴적되게 되는 데, 이로 인해 여과막의 투과 성능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In such a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a solid matter in the contaminated water, that is, a cake, i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during filtration,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permeation performan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seriously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수 플로우 식의 유체 여과가 가능하고, 유체 여과 과정에서 여과막에 퇴적된 퇴적물인 케이크를 제거하는 여과막 세정이 가능한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ration membrane capable of filtrating fluid of the crossflow type and capable of cleaning a filtration membrane for removing a cake which is deposited on a filtration membrane in a fluid filtration process And to provide a cross-flow fluid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막이 여과 위치와 세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여과막의 표면에 퇴적된 케이크의 위치가 반전된 상태에서, 내부관의 스윙동작에 의해 상기 내부관에 연결된 여과막이 반복적인 접힘 및 펴짐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여과막에 퇴적되어 있는 케이크의 제거가 가능한 크로스 플로우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ration membrane that is repeatedly folded and spread by a swinging operation of an inner tube while a filtration membrane is moved between a filtration position and a cleaned position and a position of a cake deposited on a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reversed Flow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a cake deposited on a filtration membrane by performing an op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막의 세정 위치에서 초음파 발진기에 의해 여과막에 미세하게 침투한 케이크까지 제거 가능하여 여과막의 세정 효율이 향상된 크로스 플로우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ss-flow filtration device capable of removing a fine-permeated cake in a filtration membrane by an ultrasonic oscillator at a cleaning position of the filtration membrane, thereby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membra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외부관의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동하는 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관의 상기 유입구 측과 상기 외부관의 상기 배출구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유체가 이송될 때 여과가 이루어지게 하는 여과막을 포함하는 여과막 모듈; 및 상기 여과막의 세정 시에 초음파 진동을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nal tub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fluid is supplied to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fluid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 outer tub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and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is discharged; Wherein a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is provid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outlet of the outer tube flows, and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side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let of the outer tube A filtration membrane module including a filtration membrane that allows filtration to occur when the fluid is transported; And an ultrasonic oscillator for oscillating the ultrasonic vibration when cleaning the filtration membra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과막 모듈의 상기 여과막은, 상기 여과막이 상기 관통공과 상기 외부관의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여 케이크가 상기 여과막의 상기 내부관을 마주보는 측으로 퇴적되는 여과 위치와, 퇴적된 케이크가 상기 여과막의 상기 외부관을 마주보는 측으로 위치하는 세정 위치를 가지며, 상기 여과 위치와 상기 세정 위치 사이에서 반전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membran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has a filtration position in which the filtration membrane is located between the through-hole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outer tube so that the cake is deposited on the side of the filtration membrane facing the inner tube, Having a cleaning position in which the cakes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ltration membrane facing the outer tube, and is reversed between the filtration position and the cleaning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관은 상기 외부관에 대해 상기 내부관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막은 상기 내부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여과위치와 상기 세정 위치 사이에서 반전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ube is form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outer tub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d the filtration film is moved between the filtration position and the cleaning position It is rever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과막의 일단은 상기 내부관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되고, 상기 여과막의 타단은 상기 외부관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되되, 여과 위치에서 상기 여과막의 일단은 상기 여과막의 타단과 대비하여 상기 내부관의 상기 배출구 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관통공과 상기 외부관의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관이 이동하여 상기 여과막이 세정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여과막의 일단은 상기 여과막의 타단에 대비하여 상기 내부관의 상기 유입구 측으로 위치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Is positioned between the through hole and the outlet of the outer tube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and when the inner tube moves and the filtration membrane moves to the cleaning position, one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connected to the filtration membrane Is positioned on the inlet side of the inner tube relative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정 위치에서 상기 내부관은 스윙 동작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ube swings at the cleaning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관 및 상기 외부관은 원형의 중공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여과막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re formed of a circular hollow tube, and the filtration film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세정 위치에서의 상기 여과막에 인접하여 배치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sonic oscillato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ltration film at the cleaning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과막 모듈은, 상기 여과막의 세정 위치에서 상기 여과막의 외측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여과막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includes a support body that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at a cleaning position of the filtration membran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ltration membra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과막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의 내부관의 외측 둘레면과 외부관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될 수 있는 환형의 제1 및 제2연결고정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nular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ixing portions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respectively, which can b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타측 상기 배출구 측에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들이 설치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lve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are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on the other sid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에 의하면, 유체 처리 과정에서 오염되는 여과막과 연결된 내부관의 스윙동작과 함께 초음파 발진을 통해 케이크의 탈리를 발생시켜, 여과막에 침투한 미세한 케이크까지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여과막의 처리 효율 증대, 성능 유지 및 수명 연장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wirling operation of the internal pip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membrane contaminated in the fluid treatment process is accompanied by the separation of the cake through the ultrasonic wave oscilla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ake.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membran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and extending the service lif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에 의한 오염수의 처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의 여과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의 세정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reating contaminated water by a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filtration operation state of the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leaning operation state of the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수를 처리 및 정수하는 장치는 원수와 농축수와 같은 피처리액 유체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1)와, 상기 피처리액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유체여과장치(2)와, 상기 유체여과장치(2)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필터링된 여과수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n apparatus for treating and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includes a first storage tank 1 for storing a liquid to be treated such as raw water and concentrated water, a fluid filtration for filtering the liquid to be treated (2) and a second storage tank (3) for storing filter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fluid filtration device (2).

상기 제1저장탱크(1)에는 여과 처리가 필요한 원수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1저장탱크(1)에는 상기 유체여과장치(2)를 통과한 농축수가 반송될 수 있다. 상기 농축수는 여과막을 통과한 원수 중 농축된 오염물을 포함하는 유체로서, 농축수반송관(4)을 통해 제1저장탱크(1)로 반송되어 재처리 대상이 된다.The first storage tank (1) stores raw water requiring filtration. Also, the concentr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luid filtration device 2 may be conveyed to the first storage tank 1. The concentrated water is a fluid containing enriched contaminants in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membrane and is transported to the first storage tank 1 through the concentrated concentrator 4 to be reprocesse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의 여과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여과막이 여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FIG. 2 is a view showing a filtration operation state of a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ltration membrane is in a filtration posi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체여과장치(2)는, 내부관(100), 외부관(200), 여과막 모듈(3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fluid filtering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tube 100, an outer tube 200, and a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상기 내부관(100)은, 상기 제1저장탱크(1)로부터 원수 및 농축수와 같은 피처리액 유체가 공급되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관(100)은 상기 외부관(200)에 삽입되어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관(100)과 외부관(200)이 만나는 위치에는 상기 외부관(200)으로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관(100) 및 상기 외부관(200)은 중공의 원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pipe (10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iquid to be treated, such as raw water and concentrat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storage tank (1). The inner tube 100 is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200 and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axial direction. At this time, a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er tube 200 meet to prevent the fluid flowing to the outer tube 200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er tube 200 may be formed as hollow circular tubes.

상기 내부관(100)의 일측으로 피처리액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농축된 농축액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 사이에는 관통공(130)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0) 측에는 밸브(150)가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된다. An inlet 110 through which the liquid to be treated flows into the one side of the inner tube 100 is formed and an outlet 120 through which the concentrated fluid is concentrated to the other side is formed. A through hole 130 is formed between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and a valve 150 is provided on the outlet 120 to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상기 외부관(200)은 상기 내부관(1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관(200)의 내부는 상기 관통공(130)을 통해 상기 내부관(100)과 유로가 연결된다. 상기 외부관(200) 내부에는 상기 여과막 모듈(300)이 설치되어 여과 세정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측으로 상기 관통공(13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여과막 모듈(300)을 통과한 여과수가 배출되는 경로가 되는 배출구(210)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관(200)의 상기 배출구(210) 측에는 밸브(250)가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된다. The outer tube 20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100.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200 is connected to the inner tube 100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is installed in the outer tube 200 so that the filtration membrane 300 can be filtered and cleaned. The filtered water flowing through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is introduced into the other side through the through- And a discharge port 210 as a path is provided. A valve 250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210 of the outer tube 200 to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상기 내부관(100)과 상기 외부관(200)의 타측 상기 배출구(120,210) 측에 설치된 상기 밸브(150,250)는 여과막(310)의 세정 시와 같은 특정 시점에 작동하여 상기 내부관(100) 및 상기 외부관(20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The valves 150 and 25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let 120 and 210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tube 200 operate at a specific point of time such as whe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cleaned, The flow path of the outer tube 200 can be selectively blocked.

즉, 상기 밸브(150, 250)에 의해 상기 내부관(100) 및 상기 외부관(200)의 타측 상기 배출구(120,210) 측 유로를 차단한 후 여과막(310)의 세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도 3참조). That is, the valve (150, 250) is capable of performing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after shutting off the flow path on the side of the inner pipe (100) and the outlet (120, 210)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ipe (See FIG. 3).

상기 관통공(130)은 상기 내부관(100)의 주면에 관통하여 복수개 형성되므로, 상기 내부관(100) 내부의 유체가 관통하여 상기 내부관(100)을 둘러싸고 있는 상기 외부관(200)으로 흐를 수 있게 한다. Since the plurality of penetrating holes 130 penetrate the main surface of the inner tube 100, the fluid inside the inner tube 100 passes through the outer tube 200 surrounding the inner tube 100 To flow.

상기 복수의 관통공(130)은 상기 내부관(100)에서 상기 여과막 모듈(300)의 상기 여과막(31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형성된 제1 관통공(132)과, 상기 여과막(31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상류 영역에 형성된 제2 관통공(134)을 포함한다. 상기 상류 영역이라 함은, 상기 내부관(100)에서 상기 여과막(31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과 대비하여 유체가 흘러오는 상기 유입구(110) 측으로 위치하는 영역이다.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0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132 formed in an area surrounded by the filtration film 310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in the inner pipe 100, And a second through hole 134 formed in an upstream region of the enclosed area. The upstream region is a region located at the inlet port 110 side where the fluid flows in comparison with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n the inner tube 100.

상기 외부관(200)은 상기 내부관(1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은 막혀있고 타측으로 배출구(210)가 형성되어 있다. The outer tube 2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100, and one side is closed and the outlet 21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내부관(100)의 상기 유입구(110) 측과 상기 외부관(200)의 상기 배출구(210) 측 간에는 유체 펌프에 의한 압력 차(

Figure 112017089749177-pat00001
)가 존재하므로, 상기 여과막(310)이 여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부관(100)의 상기 관통공(130)을 통과한 유체는 상기 내부관(100)의 유로와 별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외부관(200)으로 유입되어 상기 여과막 모듈(300)을 통해 여과되고, 유로를 따라 상기 배출구(210)측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배출구(210)는 상기 제2저장탱크(3)에 연결되므로, 여과수는 상기 제2저장탱크(3) 방향으로 흐름이 유지된다.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port 110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let port 210 of the outer tube 200
Figure 112017089749177-pat00001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of the inner tube 100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of the inner tube 100 when the filtration film 310 is in the filtration position, Flows into the outer pipe 200, is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and flows toward the discharge port 210 along the flow path. Since the discharge port 2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tank 3, the filtered water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torage tank 3.

한편, 상기 내부관(100)에서 상기 여과막 모듈(300)의 설치 위치를 통과한 유체에는 상기 여과막 모듈(300)을 통과하지 못한 고형물 등이 농축되므로 농축수가 되어 상기 내부관(100)의 상기 배출구(120)로 유동한다.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in the inner tube 100 is concentrated in the fluid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120).

상기 여과막 모듈(300)은 상기 외부관(200)의 내측으로 상기 내부관(100)의 유입구(100)에서 상기 외부관(200)의 배출구(210) 사이의 유로에 설치된다.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inlet port 100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let port 210 of the outer tube 200 to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200.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에 의하면, 상기 여과막 모듈(300)은 여과막(310)과 지지체(32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includes a filtration membrane 310 and a support body 320.

상기 여과막(310)은, 피처리액인 유체를 여과막(310)으로 통과시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 고형물 등을 필터링하여 분리하는 것으로서, 구부리거나 펴짐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The filtration membrane 310 separates contaminants, solid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fluid by passing the fluid through the filtration membrane 310,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bending or expanding.

상기 여과막(310)은 일단과 타단의 직경이 다른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데, 여과 위치에서 상기 내부관(100)의 제1 관통공(132)을 둘러싸고 배치된다.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different diameters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through-hole 132 of the inner tube 100 at the filtration position.

상기 여과막(310)의 직경이 작은 일단은 상기 내부관(100)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타측은 상기 외부관(200)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된다. 상기 여과막(310)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상기 내부관(100)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외부관(200)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될 수 있는 환형의 제1 및 제2연결고정부(311,312)가 형성된다. One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having a small diameter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other end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200. Annular first and second connection fixing portions 311 and 312 which can b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200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

상기 여과막(310)의 여과 위치에서, 상기 내부관(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관통공(130)을 통과하여 여과막(310)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막(310)은 상기 내부관(100)의 배출구(120)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여과막(310)의 일단은 상기 내부관(100)의 상기 배출구(120) 측 방향으로 상기 내부관(100)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되고, 상기 여과막(310)의 타단은 상기 내부관(100)의 상기 유입구(110)측 방향으로 상기 외부관(200)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된다. The filtration membrane 31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110 of the inner tube 100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and enter the filtration membrane 310 at the filtration position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 Is formed to be narrower toward the discharge port (120) side of the inner tube (100), thereby blocking the flow path. That is, one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00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20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connected to the inner tube 100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200)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110) of the outer tube (100).

상기 여과막(310)은 상기 내부관(100)의 외측 및 상기 외부관(200)의 내측에 맞닿는 형태로 유로를 차단하며, 상기 내부관(100)의 상기 유입구(110) 측과 상기 외부관(200)의 상기 배출구(210) 측 간에는 유체 펌프에 의한 압력 차(

Figure 112017089749177-pat00002
)가 존재할 때, 상기 내부관(100)의 상기 관통공(130)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여 상기 여과막 모듈(300)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관(200)의 상기 배출구(210)로 흐른다. The filtration membrane 310 cuts off the flow path in the form of com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ube 200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110 side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er tube 200 200) between the discharge port (210) side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y the fluid pump
Figure 112017089749177-pat00002
The fluid flows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of the inner tube 100 and flows to the outlet 210 of the outer tube 200 through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상기 여과막 모듈(300)은 상기 여과막(310)을 여과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체(320)를 포함한다.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300 includes a support body 320 for supporting the filtration membrane 310 at a filtration position.

상기 지지체(320)는 상기 여과막(310)과 동일한 원추 형상으로 상기 외부관(20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체(320)는 유체 압력을 받고 있는 상기 여과막(310)을 여과 위치에 지지한다. 상기 지지체(320)는 상기 여과막(310)의 외측 표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 및 와이어이거나 다공의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32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200 in the same conical shape as the filtration membrane 310. The support 320 supports the filtration membrane 310 under fluid pressure in a filtration position. The support 3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ribs and wires or porous meshes that are hel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상기 지지체(320)의 일측은 환형의 제1지지부(321)를 따라 상기 외부관(200)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된다. 상기 지지체(320)의 타측은 상기 내부관(100)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형성된 환형의 제2지지부(322)에 고정된다. 상기 환형의 제2지지부(322)는 상기 외부관(200)의 내측면과 연결된 연결부(32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환형의 제2지지부(322)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관(100)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323)는 상기 지지체(320)의 구성과 유사하게 여과수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는 복수의 리브 및 와이어이거나 다공의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support 320 is fix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200 along the annular first support portion 321.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ody 320 is fixed to an annular second support portion 322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00. The annular second support portion 322 is fixed by a connection portion 323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200. Inside the annular second support portion 322, the inner tube 100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he connection portion 32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ribs and wires or a porous mesh which is not disturbed by the flow of the filtered water,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body 320.

이와 같이 구성된 유체여과장치(2)에서 상기 제1저장탱크(1)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및 농축수의 유체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에 대한 여과가 진행됨에 따라 여과막(310)의 내측 표면은 오염물질이 퇴적되어 케이크(c)화로 인한 막힘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As the filtration of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storage tank 1 and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fluid of the concentrated water proceeds in the fluid filtration apparatus 2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 clogging occurs, thereby increasing the internal pressure.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는, 오염물질의 케이크(c)화로 인한 여과막(310)의 막힘 현상과 내부 압력 상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막(310)을 세척하는 세정 공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cross-flow fluid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cleaning process for cleaning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possible in order to prevent the clogging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ake (c) do.

여기서, 상기 여과막(310)은, 상기 여과막(310)이 상기 관통공(130)과 상기 외부관(200)의 배출구(210) 사이에 위치하여 케이크(c)가 상기 여과막(310)의 상기 내부관(100)을 마주보는 측으로 퇴적되는 여과 위치와, 퇴적된 케이크(c)가 상기 여과막(310)의 상기 외부관(200)을 마주보는 측으로 위치하는 세정 위치를 가지게 된다.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positioned between the through hole 130 and the discharge port 210 of the external pipe 200 so that the cake c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And the deposited cake c has a cleaning posi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opposite to the outer tube 200.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의 세정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 와 대비하여 여과막이 세정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Fig. 3 is a view showing a cleaning operation state of the cross-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ltration membrane is moved to the cleaning position in comparison with Fig.

도 3을 참조하면,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에서 여과막 세정 작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내부관(100) 및 상기 외부관(200)의 상기 배출구(120, 210) 측 밸브(150, 250)가 동작하여 유체의 외부 이송이 차단된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filtration membran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cross flow fluid filtration apparatus, the valves 150 and 250 at the discharge ports 120 and 210 of the inner pipe 100 and the outer pipe 200 are operated The external transfer of the fluid is blocked.

그리고 상기 외부관(200) 내에서 상기 내부관(100)을 상기 내부관(100)의 상기 유입구(110)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수행된다.The operation of moving the inner tube 100 in the outer tube 200 toward the inlet 110 of the inner tube 100 is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관(100)을 상기 유입구(100) 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내부관(100)에 고정된 상기 여과막(310)의 작은 직경의 일단이 상기 유입구(110)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여과막(310)이 뒤집어지는 반전 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즉, 상기 여과막(310)이 제2연결고정부(312)를 중심으로 상기 제1연결고정부(311)가 고정된 내부관(100)과 함께 유입구(1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반전된다. 이때의 상기 여과막(310)의 위치를 세정 위치로 지칭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ner tube 100 is moved toward the inlet 100, one end of the small diameter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fixed to the inner tube 100 is connected to the inlet 110 The reverse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occurs. That is,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reversed while moving toward the inlet 110 together with the inner pipe 100 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fixing portion 311 is fix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fixing portion 312 as the center. The position of the filtration film 310 at this time is referred to as a cleaning position.

다시 말해, 상기 케이크(c)가 상기 여과막(310)의 상기 내부관(100)을 마주보는 측으로 퇴적되는 여과 위치에서, 퇴적된 케이크(c)가 상기 여과막(310)의 상기 외부관을(200) 마주보는 측으로 위치하는 세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반전으로 지칭한다.In other words, at the filtration position where the cake (c) is deposited on the side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facing the inner tube (100), the deposited cake (c) separates the outer tube of the filtration membrane ) To the cleaning posi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s referred to as reversal.

상기 내부관(1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여과막(310)이 세정 위치로 이동하면, 케이크(c)의 퇴적위치가 상기 여과막(310)의 외측 표면으로 반전된다. Whe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moves to the cleaning posi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inner tube 100, the deposition position of the cake c is inver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상기 내부관(100) 및 상기 외부관(200)의 상기 배출구(120, 210) 측 유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관(200) 내의 내부관(100)을 좌우로 흔들어 스윙 동작을 계속 수행하게 되면 내부관(100)에 연결된 여과막(310)이 접힘과 펴짐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여과막(310)에 퇴적되어 있는 케이크(c)가 분말화되면서 탈리된다. The inner tube 100 in the outer tube 200 is shaken to the left and right while the flow path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er tube 200 at the discharge ports 120 and 210 are blocked, The filtration membrane 310 connected to the inner tube 100 repeatedly performs the folding and spreading operations, so that the cake c deposited o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desorbed while being pulverized.

상기 여과막(310)이 세정 위치에 있을 때, 외측 표면에 케이크(c)가 퇴적되어 있으므로, 케이크(c)는 여과막(310)의 반복적인 접힘과 펴짐 동작에 의해 상기 여과막(310)으로부터 상기 외부관(200)으로 탈리된다. 탈리된 케이크(c)는 상기 관통공(130)을 통해 상기 내부관(100)으로 유입되어 추후 여과 공정 시 농축수가 되어 상기 내부관(100)의 상기 배출구(120) 측으로 배출된다. Whe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in the cleaning position, the cake c is deposi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so that the cake c is discharged from the filtration membrane 3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peated folding and spreading operations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And is discharged to the pipe 200. The separated cake c flows into the inner tube 100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and is condensed in the filtration process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120 of the inner tube 10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관(100)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막(310)을 반전시키는 반전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여과막(310)이 여과 위치와 세정 위치 사이에서 반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과막 반전 수단은, 상기 내부관(100)의 외주면에 실링이 유지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고정부(311)가 고정된다. 따라서 여과막 반전 수단이 이동되면 제1연결고정부(311)에 의해 연결된 여과막(31)의 일측이 상기 여과막(310)에 대해 제2연결고정부(312)를 중심으로 상기 제1연결고정부(311)를 유입구(110) 방향으로 이동시켜 여과막(310)을 여과 위치에서 세정 위치로 반전시키게 된다. 이때 여과막 반전 수단은 내부관(100)을 따라 스윙동작을 하면서 여과막(310)에 쌓인 케이크를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ube 100 includes inverting means for inverting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n a fixed state so that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inverted between the filtration position and the cleaned position can do. The filtration membrane reversing means is installed so as to be slidable in a state where sealing is maintai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first connection fixing portion 311 is fixed. When the filtration membrane inverting means is moved, one side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 connected by the first connection fixing unit 31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fixing unit (not shown) around the second connection fixing unit 312 with respect to the filtration membrane 310 311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110 to invert the filtration membrane 310 from the filtration position to the clean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filtration membrane reversing means can sweep the inner tube 100 to separate the cake accumulated i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다시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는 상기 여과막(310)이 세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여과막(310)의 세정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초음파 진동을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기(400)를 포함한다. 초음파 발진기(400)는, 상기 외부관(200)의 일측에 상기 여과막(310)이 세정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여과막(31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2 and 3, the cross-flow fluid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oscillating ultrasonic vibration to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whe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in the cleaning position, And an oscillator 400. The ultrasonic oscillator 4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ltration membrane 310 whe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moves to the cleaning posi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tube 200.

상기 초음파 발진기(400)는 전원이 인가되면 유체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여과막(310)에 퇴적되어 있는 케이크(c)가 유체의 진동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탈리된다. 상기 초음파 발진기(400)는 여과막(310)의 외측 표면의 넓은 범위에 퇴적되어 있는 케이크(c)에 유체의 진동이 전달되므로 케이크(c)의 탈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내부관(100)의 스윙 동작에 의한 상기 여과막(310) 세정 시 오염물질에 따라 세정율이 불균일할 수 있는데, 상기 초음파 발진기(400)에 의해 상기 여과막(310)에 퇴적되어 있는 케이크(c)가 효과적으로 탈리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여과막(310)에 미세하게 침투된 케이크(c)까지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he ultrasonic oscillator 400 generates vibration in the fluid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so that the cake (c) deposited o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effectively removed due to vibration of the fluid. The ultrasonic oscillator 400 transmits the vibration of the fluid to the cake c deposited in a wide ran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310 so that the cake c can be effectively desorbed. The cleaning rate may be uneven depending on the contaminants whe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cleaned by the swinging motion of the inner tube 100. Since the cake c deposited on the filtration membrane 310 by the ultrasonic oscillator 400,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the cake (c) that has been finely infiltrated into the filtration membrane 310. As a result,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의 여과 과정에서 오염되는 여과막(310)과 연결된 내부관(100)의 스윙 동작과 함께 초음파 발진을 통해 케이크(c)의 탈리를 발생시켜 케이크(c)의 제거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inner tube 100 connected to the filtration membrane 310, which is contaminated in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fluid, is accompanied by the separation of the cake c through ultrasonic oscill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도 3 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세정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내부관(100)이 상기 외부관(200)에 대해 상기 배출구(120) 측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여과막(310)은 여과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관(100) 및 상기 외부관(200)의 상기 배출구(120, 210) 측 유동을 차단하고 있는 상기 밸브(150, 250)가 개방되면서 유체의 여과 작동이 다시 수행된다. 3, the inner tube 100 moves toward the outlet 1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200, and thereby the filtration membrane 310 is moved back to the filtration position do. The valves 150 and 250 blocking the flow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er tube 200 at the discharge ports 120 and 210 are opened and the filtration operation of the fluid is performed agai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de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내부관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관통공
132: 제1관통공 134 : 제2관통공
150 : 밸브 200 : 외부관
210 : 배출구 250 : 밸브
300 : 여과막 모듈 310 : 여과막
320 : 지지체 400 : 초음파 발진기
100: inner tube 110: inlet
120: exhaust port 130: through hole
132: first through hole 134: second through hole
150: valve 200: outer tube
210: outlet 250: valve
300: filtration membrane module 310: filtration membrane
320: support 400: ultrasonic oscillator

Claims (10)

일측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타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외부관의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동하는 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관의 상기 유입구 측과 상기 외부관의 상기 배출구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유체가 이송될 때 여과가 이루어지게 하는 여과막을 포함하는 여과막 모듈; 및
상기 여과막의 세정 시에 초음파 진동을 발진하는 초음파 발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막 모듈의 상기 여과막은,
상기 여과막이 상기 관통공과 상기 외부관의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여 케이크가 상기 여과막의 상기 내부관을 마주보는 측으로 퇴적되는 여과 위치와, 퇴적된 케이크가 상기 여과막의 상기 외부관을 마주보는 측으로 위치하는 세정 위치를 가지며, 상기 여과 위치와 상기 세정 위치 사이에서 반전되되,
상기 내부관은 상기 외부관에 대해 상기 내부관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막은 상기 내부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여과위치와 상기 세정 위치 사이에서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
An inner tub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fluid is supplied to one 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fluid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 outer tub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and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is discharged;
Wherein a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is provid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outlet of the outer tube flows, and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side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let of the outer tube A filtration membrane module including a filtration membrane that allows filtration to occur when the fluid is transported; And
And an ultrasonic oscillator for oscillating the ultrasonic vibration when cleaning the filtration membrane,
The filtration membran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Wherein the filtration membrane is located between the through-hole and the outlet of the outer tube so that the cake is deposited on the side of the filtration membrane facing the inner tube, and a cleaning position where the deposited cake is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outer tube of the filtration membrane Wherein the filter is reversed between the filtration position and the cleaning position,
Wherein the inner tube is form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Wherein the filtration membrane is reversed between the filtration position and the cleaning position by movement of the inner tu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의 일단은 상기 내부관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되고, 상기 여과막의 타단은 상기 외부관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되되,
여과 위치에서 상기 여과막의 일단은 상기 여과막의 타단과 대비하여 상기 내부관의 상기 배출구 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관통공과 상기 외부관의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관이 이동하여 상기 여과막이 세정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여과막의 일단은 상기 여과막의 타단에 대비하여 상기 내부관의 상기 유입구 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one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Wherein one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at the filtration position is located between the through-hole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outer tube, the discharge port being locat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inner tube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end of the filtration film,
Wherein one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is positioned on the inlet side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when the inner tube moves and the filtration membrane moves to the cleaning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위치에서 상기 내부관은 스윙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ner tube swings in the cleaning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 및 상기 외부관은 원형의 중공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여과막은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re formed of a circular hollow tube, and the filtration film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진기는 세정 위치에서의 상기 여과막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ltrasonic oscillato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ltration membrane at the cleaning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 모듈은,
상기 여과막의 세정 위치에서 상기 여과막의 외측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여과막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includes:
And a support bod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at a cleaning position of the filtration membran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ltration membra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의 내부관의 외측 둘레면과 외부관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될 수 있는 환형의 제1 및 제2연결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one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ration membrane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annular connecting and securing portions that can b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respective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타측 상기 배출구 측에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로우 유체여과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valve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ner pipe and the outlet of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ipe.
KR1020170118366A 2017-09-15 2017-09-15 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pparatus KR1019518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66A KR101951862B1 (en) 2017-09-15 2017-09-15 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66A KR101951862B1 (en) 2017-09-15 2017-09-15 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862B1 true KR101951862B1 (en) 2019-02-26

Family

ID=6556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366A KR101951862B1 (en) 2017-09-15 2017-09-15 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8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5057A (en) * 2023-07-07 2023-08-29 江苏海容水务股份有限公司 Filtering device for waste water discharge of thermal power plant and filte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0749B1 (en) * 1983-03-10 1992-08-12 C.P.C. Engineering Corp. Method for enhancing the flux rate of cross-flow filtration systems
KR20000015249A (en) * 1998-08-27 2000-03-15 김승철 Cleansing method for filter film of filter and cleansing system using it
US7008540B1 (en) * 2003-04-07 2006-03-07 The Ohio State University Ultrasonically cleaned membrane filtration system
JP2006205127A (en) * 2005-01-31 2006-08-10 Toyobo Co Ltd Production method of selective permeable membrane module, and selective permeable membrane module
JP2008517754A (en) * 2004-10-27 2008-05-29 エウリングス、マーティン Cross-flow filter device with concentric filter elements
KR101720460B1 (en) * 2016-04-05 2017-03-27 (주)프라임 텍 인터내쇼날 Cleaning agent for fouled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with microbubbl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0749B1 (en) * 1983-03-10 1992-08-12 C.P.C. Engineering Corp. Method for enhancing the flux rate of cross-flow filtration systems
KR20000015249A (en) * 1998-08-27 2000-03-15 김승철 Cleansing method for filter film of filter and cleansing system using it
US7008540B1 (en) * 2003-04-07 2006-03-07 The Ohio State University Ultrasonically cleaned membrane filtration system
JP2008517754A (en) * 2004-10-27 2008-05-29 エウリングス、マーティン Cross-flow filter device with concentric filter elements
JP2006205127A (en) * 2005-01-31 2006-08-10 Toyobo Co Ltd Production method of selective permeable membrane module, and selective permeable membrane module
KR101720460B1 (en) * 2016-04-05 2017-03-27 (주)프라임 텍 인터내쇼날 Cleaning agent for fouled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with microbubb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5057A (en) * 2023-07-07 2023-08-29 江苏海容水务股份有限公司 Filtering device for waste water discharge of thermal power plant and filtering method thereof
CN116655057B (en) * 2023-07-07 2024-03-01 江苏海容水务股份有限公司 Filtering device for waste water discharge of thermal power plant and filte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9377C1 (en) Method for producing pure water and device for its embodiment
JP7175636B2 (en) Scrubber waste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salinity concentration difference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40114149A (en) Central baffle, pressuriz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the same and cleaning method thereof
JPH07313973A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washing porous filtration membrane in the same
KR101951862B1 (en) Cross-flow type fluid filtration apparatus
JP4456632B2 (en) Density control type fiber yarn microfiltration equipment
KR20160101852A (en) Filtration device,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 and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said filtration device
JP2015112505A (en) Pleat filter,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
JP2002336615A (en) Filtration equipment
JP2016087519A (en) Filter device and fluid purification system, and replaceable filter cartridge
US20050167372A1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2055806A (en) Backwashing type filter device
KR102304411B1 (en) Mobile water pipe washing wastewater treatment device Utilizing fiber balls
KR200191691Y1 (en) Automatic recleanable water purifier system with air drop
JPS5849285B2 (en) "Filtration" device
JP2001259381A (en) Membrane filter apparatus
US20040188332A1 (en) Self-cleaning filter system within reaction or retention vessels
JP2002028649A (en) Fluid cleaner
RU2188700C1 (en) Method of fluids purification and device for method embodiment
JP2004130211A (en) Filtration unit, fil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ilter
KR101517724B1 (en) Elutriation apparatus of wastewater
US813779A (en) Means for filtering or purifying water.
CN216366974U (en) Cleaning device for circulating water filter
CN217535537U (en) Medicine waste water enrichment facility
RU57628U1 (en) FILTER FOR CLEANING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