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600B1 -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600B1
KR101950600B1 KR1020170111722A KR20170111722A KR101950600B1 KR 101950600 B1 KR101950600 B1 KR 101950600B1 KR 1020170111722 A KR1020170111722 A KR 1020170111722A KR 20170111722 A KR20170111722 A KR 20170111722A KR 101950600 B1 KR101950600 B1 KR 10195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rame
foreign matter
flow r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256A (ko
Inventor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170111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60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로를 통해 배수되는 우수 및 오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외부로 유도하여 유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을 특정위치에 누적시켜 청소가 용이하며, 우수 및 오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적정량의 우수 및 오수를 배출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DRAINAGE SYSTEM THAT REMOVES FOREIGN MATTER AND ADJUSTS FLOW RATE}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로를 통해 배수되는 우수 및 오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외부로 유도하여 유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을 특정위치에 누적시켜 청소가 용이하며, 우수 및 오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적정량의 우수 및 오수를 배출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토실은 외부에서 우수 및 오수가 배수관을 통해 배수할 때, 정화가 필요한 초기 오수 및 우수는 정화처리장으로 배수시켜 정화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깨끗한 우수는 하천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에 구비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때, 오수 및 우수에는 이물질이 혼합되어 배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유량이 적은 경우 이물질이 누적되어 유입구가 막혀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유량이 많은 경우 이물질과 함께 배수가 이루어져 배수관이 막히거나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물질과 같이 배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오수 및 우수가 유입되는 정화처리장에서 별도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24137호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배수구 덮개 내에 이물질을 저장하는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우수가 유입되면서 이물질을 이물질제거장치에서 제거한 후 우수를 배출하고 있다.
하지만, 이물질이 누적됨에 따라 우수가 원활히 배출되지 않아 침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이루어진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로변 및 도랑 등에 설치하여 사람, 차량 및 물건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우수 및 오수를 정화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배수되는 오수 및 우수를 유입하기 위해 설치됨에 따라 배수처리장으로 유도되는 오수 및 우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 및 오수가 배수로를 통해 하천 또는 정화처리장으로 유입될 때 이물질을 제거하고 정화처리장치의 정화처리 용량에 맞춰 우수 및 오수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 및 오수의 수위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많은 양의 이물질을 퇴적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에 의해 오수 및 우수의 배출이 가능한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위치의 규격을 측정하여 용이하게 제작 설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편리하고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한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우수토실의 입구부분의 둘레에 밀착 설치되며, 하단이 내부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병렬 배치되어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절곡부에 결합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지지판의 상단은 중앙부분이 양측 끝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지지판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고정지지판을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수직지지판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나사결합되는 장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유량조절판이 교차되게 적층되어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의 상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지지판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일치하도록 너트가 결합된 다수개의 고정평판과, 상기 너트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삽입체결되되 끝단은 상기 프레임의 절곡부에 밀착되는 높이조절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를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에 따르면, 우수 및 오수가 배수로를 통해 하천 또는 정화처리장으로 유입될 때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에서 정화처리장의 정화처리 용량에 맞춰 우수 및 오수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되는 위치의 오수토실의 규격에 맞춰 제작되어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며, 단일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 및 오수의 수위에 따라 유입되는 이물질을 퇴적시킴과 동시에 퇴적량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많은양의 이물질이 퇴적되고 우수 및 오수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제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제거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로를 통해 배수되는 우수 및 오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외부로 유도하여 유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을 특정위치에 누적시켜 청소가 용이하며, 우수 및 오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적정량의 우수 및 오수를 배출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우수토실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배수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10) 및 고정지지판(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우수토실(100)의 입구부분의 둘레에 밀착 설치되며, 하단이 내부로 절곡된 절곡부(11)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지지판(20)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병렬 배치되어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절곡부(11)에 결합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의 절곡부분에 상기 고정지지판(20)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병렬배치함에 따라 이격된 공간을 통해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판(20)의 상단에는 중앙부분이 양측 끝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돌출면(21)을 구비하고 있어 우수 및 오수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면(21)은 중앙부분이 양측 끝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형상으로써, 중앙 부분이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굴곡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면(21)은 중앙부분에서 양끝단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면(21)은 중앙부분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어 우수 및 오수와 같이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돌출면(21)에 접촉된 상태에서 경사 및 굴곡에 의해 양측 끝단으로 이동시켜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는 부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판(20)에는 직각으로 배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고정지지판(20)을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수직지지판(30)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지지판(30)은 상기 병렬배치된 다수의 상기 고정지지판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직각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지지판(20)의 비틀림 및 절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직지지판(30)은 하나 이상 배치되며, 우수 및 오수의 유입에 방해가 가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병렬 배치된 상기 고정지지판(20)의 양 끝단에 상기 수직지지판(30)을 결합하여 가공,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며, 설치되는 상기 우수토실(100)의 규격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판의 비틀림, 절곡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추가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판(30)은 상기 고정지지판(20)의 상단 및 하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지지판(20)은 상기 수직지지판(30)에 의해 연결되어 간격조절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하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부(4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절곡부(11)에는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2)에 나사결합되는 장홈(42)이 형성된 다수개의 유량조절판(41)이 교차되게 적층되어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4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판(41)은 양측면에 상기 결합홈(12)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상기 장홈(42)이 형성되되 상기 장홈(42)의 길이만큼 상기 유량조절판(41)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유량조절부(40)는 다수개의 상기 유량조절판(41)이 상기 장홈(4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우수토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판(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평판(51) 및 높이조절부재(52)로 이루어진 높낮이조절부(5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평판(51)은 상기 프레임(10)의 절곡부 상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지지판(20)에 결합되며, 관통공(53)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평판(51)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관통공(53)과 일치하도록 너트가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52)는 상기 관통공(53) 및 너트에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너트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절곡부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높낮이조절부(50)의 조작을 통해 상기 고정지지판(20)이 상기 우수토실(100)의 상부로 노출되거나 내부에 삽입되도록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레임(10) 및 상기 고정지지판(20)은 상기 우수토실(100)의 규격에 맞춰 편리하게 제작 및 설치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이 설치되는 우수토실(100)의 내측 실 치수의 높이, 폭 및 길이를 측정하며, 설치를 위해 측정된 치수대비 -5mm 정도의 오차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여기서 오차범위는 설치가 간편하여 억지 끼움 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규격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할 수 있도록 오차를 가지고 것이 바람직하며, 보편적으로 -5mm 정도의 오차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설치되는 우수토실(100)의 규격에 맞춰 상기 프레임(10)을 제작한 후,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병렬배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지지판(20)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판(30)은 상기 프레임(10)의 규격에 맞춰 병렬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고정지지판(20)을 상호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다수개 배치하되, 상기 수직지지판(30)은 상기 고정지지판(20)의 양단 및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지지판(20)은 상기 수직지지판(30)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틀을 갖추고 있어 상기 프레임(10)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0), 상기 고정지지판(20) 및 상기 수직지지판(30)은 설치되는 상기 우수토실(100)의 규격에 맞춰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규격에 상관없이 하나의 프레임(10)을 통해 제작 및 설치가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10)과 프레임(10)이 밀착되는 공간에 의한 유속 및 유입량의 저하를 방지하여 유입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작은 집수정 및 협소한 공간에서도 규격에 맞춰 제작이 이루어져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절곡부(11)의 하부면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유량조절판(41)이 교차되게 적층되어 상기 장홈(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모서리 내측부분에는 상기 고정지지판(20)과 상기 고정지지판(20)의 이격된 위치에 상기 높낮이조절부(50)가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평판(51)은 상기 고정지지판(20)과 상기 고정지지판(20)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재(52)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높낮이조절부(5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52)의 끝단은 상기 프레임(10)의 절곡부(11)에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레임(10) 및 상기 고정지지판(20)에 의한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우수토실(100)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를 하천 또는 정화처리시설로 각각 보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배수로(200)에 설치되는 상기 우수토실(100)의 규격에 맞춰 제작된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고정지지판(20), 상기 수직지지판(30), 유량조절부(40) 및 높낮이조절부(50)를 결합한다.
이를 통해 상기 우수토실(100)의 내측 규격보다 미세하게 작은 규격으로 제작되어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우수 및 오수의 유입이 용이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에 병렬 배치된 다수개의 고정프레임(10)을 통해 상기 우수토실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상기 고정지지판(20)의 상기 돌출면(21)을 따라 외측으로 유도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 및 오수의 유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높낮이조절부(50)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지지판(20)을 상기 우수토실(100)의 상단으로 노출시켜 우수 및 오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기 돌출면(21)을 따라 외측에 이물질을 누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량이 적은경우에는 상기 높낮이조절부(50)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지지판(20)을 상기 우수토실(100)의 상단에 매립되도록 하여 상기 우수 및 오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기 돌출면(21)을 따라 외측에 이물질을 누적시키고, 우수 및 오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우수토실(100)이 설치된 상기 배수로(200)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 및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판(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우수 및 오수가 원활하게 흐르면서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부(40)를 통해 상기 우수토실(100)로 유입되는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량조절부(40)는 다수개의 상기 유량조절판(41)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량조절판(41)은 상기 절곡부(11)의 하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고 상기 유량조절판(41)에 형성된 상기 장홈(4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고정된 나사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다수개의 상기 유량조절판(41)을 상기 장홈(4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구(60)의 크기를 조절한 뒤, 나사를 조여 상기 유량조절판(41)을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절곡부(11)의 하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60)의 크기를 조절하여 우수 및 오수가 상기 우수토실(100)로 유입되는 유입량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유입구(60)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량은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설치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조절하거나, 계산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설치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유량조절판(41)을 조절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유량조절판(41)을 최소로 닫은 상태를 유지해 가장 작은 상기 유입구(60)의 크기를 가지도록 조절한 후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의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판(41)을 길이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켜 상기 유입구(60)를 열면서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가 쌓이지 않는 상기 유입구(60)의 크기를 찾아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기 유량조절판(41)을 고정한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유입되는 오수 및 우수의 유량에 따라 최적의 유입량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계산법을 통해 상기 유입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유량계산법은,
Figure 112017085028498-pat00001
여기서 Q: 유량, c: 유량계수, a: 오리피스 단면적, g: 중력가속도 H: 속도로써, [수학식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우수 및 오수를 유입 및 배출하는 상기 우수토실(100)과 상기 배수로(200)의 규격에 따라 유량을 계산하여 유입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한 유량계산법을 통해 쉽고 정확하게 상기 우수토실(100)로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수토실(100)의 설치된 장소, 날씨 등의 조건이 변화하여도 설치장소의 우수 및 오수의 유입량 및 데이터를 통해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상기 배수로(200)에서 일정량의 우수 및 오수를 정화처리장으로 배출하고 이후 유입되는 오수 및 우수는 하천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량의 조절은 설치 장소에 따른 우수 및 오수의 배출량과, 이러한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어 정화처리를 진행하는 정화처리장의 정화처리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정화처리장의 과도한 용량의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정량의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어 정화처리 시설을 효율성을 향상시켜 수자원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60)는 상기 유량조절부(40)를 조절하여 넓은상태(A1)로 조절하여 많은양의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될 수 있고, 좁은상태(A2)로 조절하여 적은양의 우수 및 오수를 유입할 수 있다.
즉,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장마철 및 우수철 등과 같이 기간에 따라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화처리장으로 유입되지 못한 오수 및 우수는 하천으로 배수하여 원활하게 침수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프레임 11: 절곡부
12: 결합홈 20: 고정지지판
21: 돌출면 30: 수평지지판
40: 유량조절부 41: 유량조절판
42: 장홈 50: 높낮이조절부
51: 고정평판 52: 높이조절부재
53: 관통공 60: 유입구
100: 우수토실 200: 배수로

Claims (5)

  1. 우수토실(100)의 입구부분의 둘레에 밀착 설치되며, 하단이 내부로 절곡된 절곡부(11)를 구비하되, 상기 절곡부(11)에는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병렬 배치되어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절곡부(11)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고정지지판(20);
    상기 결합홈(12)에 나사결합되는 장홈(42)이 형성된 다수개의 유량조절판(41)이 교차되게 적층되어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40);
    상기 절곡부(11)의 상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지지판(20)에 결합되며 관통공(5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3)과 일치하도록 너트가 결합된 다수개의 고정평판(51)과, 상기 너트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53)에 삽입체결되되 끝단은 상기 프레임(10)의 절곡부(11)에 밀착되는 높이조절부재(52)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지지판(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판(20)의 상단은 중앙부분이 양측 끝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면(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판(2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고정지지판(20)을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수직지지판(3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1722A 2017-09-01 2017-09-01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KR101950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22A KR101950600B1 (ko) 2017-09-01 2017-09-01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22A KR101950600B1 (ko) 2017-09-01 2017-09-01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256A KR20170106256A (ko) 2017-09-20
KR101950600B1 true KR101950600B1 (ko) 2019-05-08

Family

ID=6003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722A KR101950600B1 (ko) 2017-09-01 2017-09-01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6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388B1 (ko) * 2010-06-25 2012-03-20 박병태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틸그레이팅
KR101453668B1 (ko) * 2013-05-03 2014-10-22 전상훈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689857B1 (ko) * 2015-12-01 2016-12-26 명성테크 주식회사 우수 저수 및 활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514A (ko) * 2007-06-25 2008-12-31 전순남 악취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물
KR20120124698A (ko) * 2011-05-04 2012-11-14 명진철강산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388B1 (ko) * 2010-06-25 2012-03-20 박병태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틸그레이팅
KR101453668B1 (ko) * 2013-05-03 2014-10-22 전상훈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689857B1 (ko) * 2015-12-01 2016-12-26 명성테크 주식회사 우수 저수 및 활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256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5261B2 (en) Stormwater bioretention filtration system with overflow/bypass capability
US7497234B2 (en) Storm water flow restri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90152181A1 (en) Backwashing filter basket
US7285211B2 (en) Process and system for separating solids from combined sewer overflows
US6899231B2 (en) Settling device
US9222248B2 (en) Stormwater treatment device
EP3033456B1 (en) A separator module for a stormwater gully chamber
KR101453668B1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20200133656A (ko) 초기 우수 배제 및 여과 장치
US6719490B2 (en) Stormwater receiving assembly
US10653983B2 (en) Connector pipe screen
US20130008841A1 (en) Water transfer device for underground water collection and storage chambers
KR101097817B1 (ko) 경사판 침전장치
CN106563298A (zh) 一种污水沉淀池
RU25483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монтируемое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м колодце
KR100605037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950600B1 (ko)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US6926464B1 (en) Detention pond water quality apparatus and system
KR10174716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US6035580A (en) Self-priming drain guard siphon
US20080035570A1 (en) Catch basin insert
KR101846404B1 (ko) 지능형 분리장치가 추가된 교량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125814B1 (ko) 우수정화장치
US11939759B2 (en) Sew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