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723B1 -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723B1
KR101949723B1 KR1020180107733A KR20180107733A KR101949723B1 KR 101949723 B1 KR101949723 B1 KR 101949723B1 KR 1020180107733 A KR1020180107733 A KR 1020180107733A KR 20180107733 A KR20180107733 A KR 20180107733A KR 101949723 B1 KR101949723 B1 KR 10194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measurement display
fluid
maximum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규
Original Assignee
(주)백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백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0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는 교량 상부 구조물의 신축작용에 대응하여 지승의 하답 상에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답 변위량이 유체 압축력으로 전환되어 멀티 위치에서 계측표시부를 통한 최대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므로 검침자가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도 상부에서 손쉽게 측정가능되고, 특히 동절기와 하절기를 포함하는 일년 주기로 계측표시부가 자동 초기화되어 측정주기를 수년 주기로 연장하더라도 측정 해당 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정확하게 검출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기준부(10),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제1, 2 계측표시부(30)(30'), 단속밸브(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Measuring device for the maximum movent distance of a movable bridge bearing}
본 발명은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상부 구조물의 신축작용에 대응하여 지승의 하답 상에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답 변위량이 유체 압축력으로 전환되어 멀티 위치에서 계측표시부를 통한 최대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므로 검침자가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도 상부에서 손쉽게 측정가능되고, 특히 동절기와 하절기를 포함하는 일년 주기로 계측표시부가 자동 초기화되어 측정주기를 수년 주기로 연장하더라도 측정 해당 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정확하게 검출되는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상부구조에서 받는 힘을 하부구조로 전달하기 위해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경계에 상, 하답 조합의 지승을 설치하며, 교량의 상부구조물은 온도변화나 주행 차량에 의한 진동 등 여러 외적 요건에 의하여 신축하게 된다. 이러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신축 변위량은 교량 안전 및 수명에 치명적 영향을 미침에 따라 안전점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공개번호 특2000-0000347에서, 측정계는 눈금이 인쇄된 측정판과 상기 측정판에 인쇄된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침이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지시계로 이루어지며, 측정판에 인쇄된 눈금을 지시하는 측정침을 구비하고, 교량받침에 측정계가 설치되면 기후조건, 교통량 등에 의해 교량의 상판이 신축되어 교량받침의 상부 플레이트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측정판이 함께 움직임에 따라 지시계의 지시침이 측정판에 인쇄된 눈금의 중앙부분을 지시하던 상태가 변하게 되어 눈금의 중앙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을 지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측정구도 지시침에 의해 그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후 받침의 상측이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 지시침은 다시 눈금의 중앙을 지시하게 되나, 측정구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지 못하고 외측으로 이동된 지점에 있게 되며, 이 위치에서 측정구의 측정침이 지시하는 눈금을 읽은 값이 교량이 신축되는 최대의 값이 되는 기술이 공개된바 있지만, 이는 상시변위시에는 변위량을 측정하는데 대단히 유용할 수 있으나 변위량이 상시변위를 초과하여 눈금 영역을 넘어가는 경우, 이에 대한 변위량의 측정이나 추적이 불가능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10-1618229호에서, 교량받침의 하부 플레이트 측면에 부착되는 지침과, 지침에 대응하는 상측에서 교량받침의 상부 플레이트 측면에 부착되며, 전면에는 지침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의 상시변위 이동량을 측정 가능하도록 한 눈금을 구비하고, 내부에는 몸체를 좌우로 관통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한 게이지 본체와, 게이지 본체를 중심으로 그 좌측에서 가이드홀에 삽입된 상태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침의 상대 변위량이 게이지 본체의 눈금으로 표시된 상시변위를 초과하는 경우 지침에 의해 밀리면서 좌측으로 진출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의 상시변위를 초과한 좌측 이동량을 표시하도록 한 좌측 이동체와, 게이지 본체를 중심으로 그 우측에서 가이드홀에 삽입된 상태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침의 상대 변위량이 게이지 본체의 눈금으로 표시된 상시변위를 초과하는 경우 지침에 의해 밀리면서 우측으로 진출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의 상시변위를 초과한 우측 이동량을 표시하도록 한 우측 이동체로 구성되어, 상시 변위 뿐만 아니라 이를 초과하는 중간변위, 지진변위 및 기타 이상변위의 신뢰도 높은 단계별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지만, 상시변위량에 대한 최대 신축 변위량 측정이 불가능하고, 또 지진변위 발생시 이동체가 부러진 상태로 남은 것을 보고 상시변위를 휠씬 초과한 지진변위가 발생했음을 파악할 뿐, 지진변위에 대한 최대 신축변위량을 정확하게 검출 불가능하고, 또 이동체 교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기술들은 변위량을 검침시, 검침자가 교량 하부로 내려가야 하므로 작업시간 지연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고, 특히 동절기와 하절기를 포함하는 일년 주기를 기준으로 측정주기를 2 ~ 3년주기로 검침시, 해당 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이전 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측정이 불가능한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교량 상부 구조물의 신축작용에 대응하여 지승의 하답 상에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답 변위량이 유체 압축력으로 전환되어 멀티 위치에서 계측표시부를 통한 최대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므로 검침자가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도 상부에서 손쉽게 측정가능되고, 특히 동절기와 하절기를 포함하는 일년 주기로 계측표시부가 자동 초기화되어 측정주기를 수년 주기로 연장하더라도 측정 해당 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정확하게 검출되는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교량 하부 구조물(1)에 설치되는 지승의 하답(1a)과, 교량 상부 구조물(2)에 설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상부 구조물(2) 신축작용에 대응하여 하답(1a)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승의 상답(2a)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답(1a)에 설치되어, 양측에 접지면(12)이 구비되는 고정기준부(10); 상기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상답(2a)과 함께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의 접지면(12)에 가압시 유체를 토출하도록 피스톤로드(22)가 구비되는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상기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의 내부 유체 압력이 공유되도록 유체관(32)으로 연결되어, 피스톤로드(22) 이동에 따른 유체 압력변화량을 이용하여 상답(2a) 이동거리를 각각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제1, 2 계측표시부(30)(30'); 상기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에서 토출되는 유체 이동을 허용하고,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서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측으로 역류하는 유체 이동은 레버(42) 조작에 의해 제한적으로 허용되도록 구비되는 단속밸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1, 2 유압실린더부(20)(20')는 상부 구조물(2)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로드(22)가 고정기준편(10)의 어느 일측 접지면(12)에 가압되면, 유체 토출 압력에 의해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서 상답(2a) 횡방향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고,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측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더라도 단속밸브(40)에 의해 유체 역류가 차단되어 상답(2a)의 횡방향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 보존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2 계측표시부(30)(30')는 유체관(32)에 의해 연장되어, 교량 상부 구조물(2) 상에서 육안으로 식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속밸브(40)는,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에 연결되는 제 1유로(44a)와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 연결되는 제 2유로(44b)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44)과, 밸브하우징(44) 내에 탄성체(46a)와 함께 설치되어 제 2유로(44b)에서 제 1유로(44a) 방향으로 유체 역류를 차단하는 단속볼(46)과, 밸브하우징(44)에 삽입 설치되어 단속볼(46)을 강제 이동시켜 유체 역류를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레버(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 계측표시부(30)(30')는 바형태로 표시되고, 제1, 2 계측표시부(30)(30') 일측에는 레일홈(34)을 타고 위치조절되어, 제1, 2 계측표시부(30)(30')를 통하여 계측된 상답(2a) 위치를 영점 설정하는 마킹부(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답(2a) 위치를 영점 설정시, 레버(42) 조작에 의해 단속밸브(40)를 모두 개방하면 피스톤로드(22)가 인출되어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2 계측표시부(30)(30')를 통하여 계측된 상답(2a) 위치가 마킹부(36)에 의해 영점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속밸브(40)의 레버(42)는 멀티컨트롤부(50)에 의해 누름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멀티컨트롤부(50)는, 접지면(12)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자성블록(52)과, 자성블록(52)에 연결되는 견인로프(54)와, 견인로프(54)가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레버(42)가 연결되며 축(59a)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는 바(59)로 구성되고, 상부 구조물(2)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답(2a)이 횡방향으로 이동시 견인로프(54)가 당겨지면 바(59)가 축(59a)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면서 레버(42)가 누름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컨트롤부(50)는, 견인로프(54) 단부에 연결되어 제 2 유압실린더부(20')와 평행선상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인출관(56)과, 인출관(56)에 신축조절되도록 삽입되면서 단부에 자성블록(52)이 구비되는 인출봉(58)이 구비되며, 인출봉(58)의 최대 인출위치까지 상답(2a)이 횡방향으로 이동된 시점부터 견인로프(54) 당김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유압실린더부(20)는 상부 구조물(2)의 동절기 수축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 접지면(12)에 가압되면 유체 토출 압력에 의해 제 1 계측표시부(30)에 상답(2a)의 동절기 최대 변위량이 표시되고, 제 2 유압실린더(20')는 하절기 상부 구조물(2)의 팽창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에 가압되면 유체 토출 압력에 의해 제 2 계측표시부(30')에 상답(2a)의 하절기 최대 변위량이 표시되며, 멀티컨트롤부(50)의 자성블록(52)은 하절기 상부 구조물(2)의 팽창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 접지면(12)에 부착되며, 기온 하강으로 상부 구조물(2) 수축작용에 의해 상답(2a)이 인출봉(58)의 최대 인출위치까지 이동되어 마킹부(36)에 의해 영점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견인로프(54) 당김력이 작용하여 단속밸브(40)가 모두 개방되면서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의 피스톤로드(22)가 모두 인출되어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에 접촉되고, 견인로프(54)가 당김 이송 한계점에 도달하면 자성블록(52)이 고정기준부(10) 상에서 떨어지면서 단속밸브(40)의 유체 역류 차단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교량 상부 구조물의 신축작용에 대응하여 지승의 하답 상에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답 변위량이 유체 압축력으로 전환되어 멀티 위치에서 계측표시부를 통한 최대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므로 검침자가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도 상부에서 손쉽게 측정가능되고, 특히 동절기와 하절기를 포함하는 일년 주기로 계측표시부가 자동 초기화되어 측정주기를 수년 주기로 연장하더라도 측정 해당 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정확하게 검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의 제 1, 2 유압실린더부 작동에 따른 제 1, 2 계측표시부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의 단속밸브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의 영점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의 멀티컨트롤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의 멀티컨트롤부와 연계작동되는 단속밸브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의 멀티컨트롤부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는 교량 상부 구조물의 신축작용에 대응하여 지승의 하답 상에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답 변위량이 유체 압축력으로 전환되어 멀티 위치에서 계측표시부를 통한 최대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므로 검침자가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도 상부에서 손쉽게 측정가능되고, 특히 동절기와 하절기를 포함하는 일년 주기로 계측표시부가 자동 초기화되어 측정주기를 수년 주기로 연장하더라도 측정 해당 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정확하게 검출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기준부(10),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제1, 2 계측표시부(30)(30'), 단속밸브(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교량 하부 구조물(1)에 설치되는 지승의 하답(1a)과, 교량 상부 구조물(2)에 설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상부 구조물(2) 신축작용에 대응하여 하답(1a)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승의 상답(2a)으로 구성된다. 지승은 교량의 교대(橋臺) 또는 교각상에 상부 구조물(강거더)의 하중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상부공(上部工)의 반력을 하부의 전체 받침면에 균등하게 분포시킴과 아울러 지진이나 온도변화에 따라 상부 구조물의 신축을 허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준부(10)는 상기 하답(1a)에 설치되어, 양측에 접지면(12)이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준부(10)는 하부가 하답(1a)에 고정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양측 접지면(12)이 후술하는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고정기준부(10)는 교량 하부구조물(1)의 하답(1a)에 고정되고, 상부 구조물(2)이 지진이나 온동변화에 따른 신축작용으로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시, 상답(2a) 설치된 후술하는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가 접지면(12)에 가압되어 압축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는 상기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상답(2a)과 함께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의 접지면(12)에 가압시 유체를 토출하도록 피스톤로드(22)가 구비된다.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는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작동시켜서 유압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피스톤은 피스톤로드(22)와 연결되고, 피스톤로드(22)는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과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22)는 상부 구조물(2)이 지진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작용으로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시 고정기준부(10)의 어느 일측 접지면에 가압되어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내부 유체를 압축하고, 압축된 유체는 유체관(32)을 통하여 제1, 2 계측표시부(30)(30')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2 계측표시부(30)(30')는 상기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의 내부 유체 압력이 공유되도록 유체관(32)으로 연결되어, 피스톤로드(22) 이동에 따른 유체 압력변화량을 이용하여 상답(2a) 이동거리를 각각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제1, 2 계측표시부(30)(30')는 투명한 관을 종방향으로 설치하여 유체관(32)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높낮이가 육안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거나, 유체관(32)의 유체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게이지 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2 계측표시부(30)(30')는 유체관(32)에 의해 연장되어, 교량 상부 구조물(2) 상에서 육안으로 식별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교량 상부 구조물(2)의 ㅁ축작용에 대응하여 지승의 하답(1a) 상에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답(2a) 변위량이 유체 압축력으로 전환되어 멀티 위치(예컨대, 교량 상부 구조물(2) 위)에서 제1, 2 계측표시부(30)(30')를 통한 최대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므로 검침자가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도 상부에서 손쉽게 검침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계측표시부(30)(30')는 원형 게이지 또는 일자형 바형태로 표시되는바, 이때 도 1에서 제1, 2 계측표시부(30)(30')는 일자형 바형태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며, 제1, 2 계측표시부(30)(30')는 유체관(32)을 통하여 전달되는 유체 압력이 바형 눈금게이지 상에 표시되어 피스톤로드(22) 이동거리가 육안으로 식별되도록 표시된다.
그리고, 제1, 2 계측표시부(30)(30') 일측에는 레일홈(34)을 타고 위치조절되어, 제1, 2 계측표시부(30)(30')를 통하여 계측된 상답(2a) 위치를 영점 설정하는 마킹부(36)가 구비된다. 이에 상답(2a) 위치를 영점 설정시, 도 4와 같이 후술하는 레버(42) 조작에 의해 단속밸브(40)를 모두 개방하면 피스톤로드(22)가 인출되어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2 계측표시부(30)(30')를 통하여 계측된 상답(2a) 위치로 마킹부(36)를 이용하면 영점 설정이 완료되고, 이후 마킹부(36) 위치를 기준으로 교량 상부구조물(2)의 신축변위량이 검출 된다. 이에 고정기준부(10)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간단하게 영점 설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속밸브(40)는 상기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에서 토출되는 유체 이동을 허용하고,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서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측으로 역류하는 유체 이동은 레버(42) 조작에 의해 제한적으로 허용되도록 구비된다. 도 3에서 단속밸브(40)는,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에 연결되는 제 1유로(44a)와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 연결되는 제 2유로(44b)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44)과, 밸브하우징(44) 내에 탄성체(46a)와 함께 설치되어 제 2유로(44b)에서 제 1유로(44a) 방향으로 유체 역류를 차단하는 단속볼(46)과, 밸브하우징(44)에 삽입 설치되어 단속볼(46)을 강제 이동시켜 유체 역류를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레버(42)를 포함하여 이루진다.
이처럼 상기 단속밸브(40)의 유체 역류방지 구조로 인해, 상답(2a) 동절기 변위량에 의해 유체 압력이 상승 후, 하절기 상답(2a)의 역방향 이동으로 유체 압력이 하강하더라도 제1, 2 계측표시부(30)(30')로 투입된 유체의 역류현상이 차단되어 최대 신축 변위량이 보존되고, 특히 상답(2a) 변위량이 유체 압력으로 전환되어 멀티 위치에서 제1, 2 계측표시부(30)(30')를 통하여 최대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므로 검침자가 교량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도 상부에서 손쉽게 측정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상기 1, 2 유압실린더부(20)(20')는 온도변화에 따른 상부 구조물(2)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로드(22)가 고정기준편(10)의 어느 일측 접지면(12)에 가압되면, 유체 토출 압력에 의해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서 상답(2a) 횡방향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고, 이후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측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더라도 단속밸브(40)에 의해 유체 역류가 차단되어 상답(2a)의 횡방향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 보존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1, 2 유압실린더부(20)(20')의 피스톤로드(22)는 탄성체 또는 내부 압력에 의해 압축 이동 후 원점 복귀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어, 레버(42) 작동에 의해 단속밸브(40)를 강제 개방시 피스톤로드(22)가 자동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5 내지 7에서, 상기 단속밸브(40)의 레버(42)는 멀티컨트롤부(50)에 의해 누름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멀티컨트롤부(50)는, 접지면(12)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자성블록(52)과, 자성블록(52)에 연결되는 견인로프(54)와, 견인로프(54)가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레버(42)가 연결되며 축(59a)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는 바(59)로 구성되고, 상부 구조물(2)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답(2a)이 횡방향으로 이동시 견인로프(54)가 당겨지면 바(59)가 축(59a)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면서 레버(42)가 누름작동되도록 구비된다.
도 5 및 도 7에서, 상기 멀티컨트롤부(50)는, 견인로프(54) 단부에 연결되어 제 2 유압실린더부(20')와 평행선상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인출관(56)과, 인출관(56)에 신축조절되도록 삽입되면서 단부에 자성블록(52)이 구비되는 인출봉(58)이 구비되며, 인출봉(58)의 최대 인출위치까지 상답(2a)이 횡방향으로 이동된 시점부터 견인로프(54) 당김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즉, 인출관(56) 내에서 슬라이드 이송되는 인출봉(58)의 무부하 신축거리(인출관(56) 내에서의 최대 인출길이)는 상답(2a)이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마킹부(36)에 의해 영점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는 지점까지로 설정되고, 상답(2a)이 마킹부(36)에 의해 영점 표시된 위치를 벗어나는 시점부터 인출봉(58)이 인출관(56) 내에서 최대 인출길이에 도달하여 당김력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 인출봉(58)은 인출관(56) 내에서 탄성체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탄지되도록 구비되어 자성블록(52)이 고정기준부(10) 접지면(12)에 부착 준비상태로 대기된다.
작동상에 있어서, 도 2 (a)와 같이 상기 제 1 유압실린더부(20)는 상부 구조물(2)의 동절기 수축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도 2 기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 접지면(12)에 가압되면 유체 토출 압력에 의해 제 1 계측표시부(30)에 상답(2a)의 동절기 최대 변위량이 표시되고, 이후 도 2 (b)처럼 하절기 상부 구조물(2)의 팽창작용에 의해 제 2 유압실린더(20')가 상답(2a)과 함께 횡방향(도 2 기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에 가압되면 유체 토출 압력에 의해 제 2 계측표시부(30')에 상답(2a)의 하절기 최대 변위량이 표시된다. 이후 제1, 2 계측표시부(30)(30')는 단속밸브(40)의 레버(42)에 의해 수동으로 초기화하거나, 후술하는 멀티컨트롤부(50)에 의해 자동으로 초기화된다.
한편, 상기 멀티컨트롤부(50)에 의한 자동 초기화 작동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상부 구조물(2)의 팽창작용에 의해 제 2 유압실린더(20')가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시, 멀티컨트롤부(50)가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 접지면(12)에 부착되고, 이후 도 7 (a)와 같이 기온 하강으로 상부 구조물(2) 수축작용에 의해 상답(2a)이 인출봉(58)의 최대 인출위치까지 이동되어 마킹부(36)에 의해 영점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도 7 (b)처럼 견인로프(54) 당김력이 작용하여 단속밸브(40)가 모두 개방되면서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의 피스톤로드(22)가 모두 인출되어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에 접촉되고, 이어서 도 7 (c)와 같이 견인로프(54)가 당김 이송 한계점(예컨대, 견인로프(54)의 최대 당김이송 길이)에 도달하면 자성블록(52)이 고정기준부(10) 상에서 떨어지면서 견인로프(54)가 원점 복귀되어 단속밸브(40)의 유체 역류 차단기능이 활성화된다. 이후 도 2 (a)의 작동과 도 2 (b)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의 동, 하절기 최대 신축 변위량이 측정된다.
이처럼 멀티컨트롤부(50)에 의해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 표시된 동, 하절기 교량 상부 구조물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일년 주기(예컨대, 동절기 1회와 하절기 1회를 포함하는 주기)로 계측표시부가 자동 초기화됨에 따라 측정주기를 수년 주기로 연장하더라도 측정 해당 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정확하게 검출되는 이점이 있다. 즉, 2년 주기로 최대 신축 변위량을 검침하는 조건에서, 해당 검친년도 대비 이전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크더라도, 일년 주기로 제1, 2 계측표시부(30)(30')가 초기화되므로 해당 검침년도의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정확하게 검출된다.
1: 하부 구조물 1a: 하답
2: 상부 구조물 2a: 상답
10: 고정기준부 12: 접지면
20, 20': 제 1, 2 유압실린더부 22: 피스톤로드
30, 30': 제1, 2 계측표시부 32: 유체관
34: 레일홈 36: 마킹부
40: 단속밸브 42: 레버
44: 밸브하우징 44a: 제1유로
44b: 제2유로 46: 단속볼
46a: 탄성체 50: 멀티컨트롤부
52: 자성블록 54: 견인로프
56: 인출관 58: 인출봉

Claims (8)

  1. 교량 하부 구조물(1)에 설치되는 지승의 하답(1a)과, 교량 상부 구조물(2)에 설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상부 구조물(2) 신축작용에 대응하여 하답(1a)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승의 상답(2a)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답(1a)에 설치되어, 양측에 접지면(12)이 구비되는 고정기준부(10);
    상기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상답(2a)과 함께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의 접지면(12)에 가압시 유체를 토출하도록 피스톤로드(22)가 구비되는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상기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의 내부 유체 압력이 공유되도록 유체관(32)으로 연결되어, 피스톤로드(22) 이동에 따른 유체 압력변화량을 이용하여 상답(2a) 이동거리를 각각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제1, 2 계측표시부(30)(30');
    상기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에서 토출되는 유체 이동을 허용하고,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서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측으로 역류하는 유체 이동은 레버(42) 조작에 의해 제한적으로 허용되도록 구비되는 단속밸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1, 2 유압실린더부(20)(20')는 상부 구조물(2)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로드(22)가 고정기준편(10)의 어느 일측 접지면(12)에 가압되면, 유체 토출 압력에 의해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서 상답(2a) 횡방향 신축 변위량이 표시되고,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 측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더라도 단속밸브(40)에 의해 유체 역류가 차단되어 상답(2a)의 횡방향 최대 신축 변위량이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 보존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단속밸브(40)는,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에 연결되는 제 1유로(44a)와 제1, 2 계측표시부(30)(30')에 연결되는 제 2유로(44b)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44)과, 밸브하우징(44) 내에 탄성체(46a)와 함께 설치되어 제 2유로(44b)에서 제 1유로(44a) 방향으로 유체 역류를 차단하는 단속볼(46)과, 밸브하우징(44)에 삽입 설치되어 단속볼(46)을 강제 이동시켜 유체 역류를 허용하도록 구비되는 레버(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계측표시부(30)(30')는 유체관(32)에 의해 연장되어, 교량 상부 구조물(2) 상에서 육안으로 식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계측표시부(30)(30')는 바형태로 표시되고, 제1, 2 계측표시부(30)(30') 일측에는 레일홈(34)을 타고 위치조절되어, 제1, 2 계측표시부(30)(30')를 통하여 계측된 상답(2a) 위치를 영점 설정하는 마킹부(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답(2a) 위치를 영점 설정시, 레버(42) 조작에 의해 단속밸브(40)를 모두 개방하면 피스톤로드(22)가 인출되어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2 계측표시부(30)(30')를 통하여 계측된 상답(2a) 위치가 마킹부(36)에 의해 영점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밸브(40)의 레버(42)는 멀티컨트롤부(50)에 의해 누름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멀티컨트롤부(50)는, 접지면(12)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자성블록(52)과, 자성블록(52)에 연결되는 견인로프(54)와, 견인로프(54)가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레버(42)가 연결되며 축(59a)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는 바(59)로 구성되고,
    상부 구조물(2)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답(2a)이 횡방향으로 이동시 견인로프(54)가 당겨지면 바(59)가 축(59a)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면서 레버(42)가 누름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컨트롤부(50)는, 견인로프(54) 단부에 연결되어 제 2 유압실린더부(20')와 평행선상에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인출관(56)과, 인출관(56)에 신축조절되도록 삽입되면서 단부에 자성블록(52)이 구비되는 인출봉(58)이 구비되며, 인출봉(58)의 최대 인출위치까지 상답(2a)이 횡방향으로 이동된 시점부터 견인로프(54) 당김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실린더부(20)는 상부 구조물(2)의 동절기 수축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 접지면(12)에 가압되면 유체 토출 압력에 의해 제 1 계측표시부(30)에 상답(2a)의 동절기 최대 변위량이 표시되고, 제 2 유압실린더(20')는 하절기 상부 구조물(2)의 팽창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에 가압되면 유체 토출 압력에 의해 제 2 계측표시부(30')에 상답(2a)의 하절기 최대 변위량이 표시되며, 멀티컨트롤부(50)의 자성블록(52)은 하절기 상부 구조물(2)의 팽창작용에 의해 상답(2a)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기준부(10) 접지면(12)에 부착되며, 기온 하강으로 상부 구조물(2) 수축작용에 의해 상답(2a)이 인출봉(58)의 최대 인출위치까지 이동되어 마킹부(36)에 의해 영점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견인로프(54) 당김력이 작용하여 단속밸브(40)가 모두 개방되면서 제 1, 2 유압실린더부(20)(20')의 피스톤로드(22)가 모두 인출되어 고정기준부(10)의 양측 접지면(12)에 접촉되고, 견인로프(54)가 당김 이송 한계점에 도달하면 자성블록(52)이 고정기준부(10) 상에서 떨어지면서 단속밸브(40)의 유체 역류 차단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KR1020180107733A 2018-09-10 2018-09-10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KR10194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733A KR101949723B1 (ko) 2018-09-10 2018-09-10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733A KR101949723B1 (ko) 2018-09-10 2018-09-10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723B1 true KR101949723B1 (ko) 2019-02-19

Family

ID=6552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733A KR101949723B1 (ko) 2018-09-10 2018-09-10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0084A (zh) * 2021-11-05 2021-12-03 杭州获锡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轮毂检测方法
KR102588788B1 (ko) 2023-03-03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 받침의 이동량 측정장치
KR102690316B1 (ko) * 2021-12-27 2024-07-31 주식회사 한국표준안전연구원 교량의 온도에 따른 신축량 측정기록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47A (ko) * 1999-10-13 2000-01-15 배석동 교량받침 신축 측정계
JP2002054680A (ja) * 2000-08-10 2002-02-20 Takenaka Komuten Co Ltd アクティブ制震装置
KR200323994Y1 (ko) * 2003-05-07 2003-08-21 배석동 교량의 신축량 측정계
KR100521010B1 (ko) * 2005-06-30 2005-11-15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교량 구조물용 탄성고무받침의 안전 점검장치
KR100857162B1 (ko) * 2008-05-23 2008-09-05 주식회사 신영이엔씨 교량 교좌장치의 변형감지를 위한 정밀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100901008B1 (ko) * 2008-12-23 2009-06-08 한국씨엠이엔지(주) 교량기초 변이측정 안전진단장치
KR101112180B1 (ko) * 2011-01-04 2012-03-13 영동이앤지(주) 교량받침의 연단거리 측정 및 점검장치
KR101585341B1 (ko) * 2014-09-29 2016-01-15 정진석 유량자동조절밸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47A (ko) * 1999-10-13 2000-01-15 배석동 교량받침 신축 측정계
JP2002054680A (ja) * 2000-08-10 2002-02-20 Takenaka Komuten Co Ltd アクティブ制震装置
KR200323994Y1 (ko) * 2003-05-07 2003-08-21 배석동 교량의 신축량 측정계
KR100521010B1 (ko) * 2005-06-30 2005-11-15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교량 구조물용 탄성고무받침의 안전 점검장치
KR100857162B1 (ko) * 2008-05-23 2008-09-05 주식회사 신영이엔씨 교량 교좌장치의 변형감지를 위한 정밀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100901008B1 (ko) * 2008-12-23 2009-06-08 한국씨엠이엔지(주) 교량기초 변이측정 안전진단장치
KR101112180B1 (ko) * 2011-01-04 2012-03-13 영동이앤지(주) 교량받침의 연단거리 측정 및 점검장치
KR101585341B1 (ko) * 2014-09-29 2016-01-15 정진석 유량자동조절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0084A (zh) * 2021-11-05 2021-12-03 杭州获锡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轮毂检测方法
CN113740084B (zh) * 2021-11-05 2022-02-22 杭州获锡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轮毂检测方法
KR102690316B1 (ko) * 2021-12-27 2024-07-31 주식회사 한국표준안전연구원 교량의 온도에 따른 신축량 측정기록장치
KR102588788B1 (ko) 2023-03-03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 받침의 이동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723B1 (ko) 안전진단용 교량 지승 최대 이동량 측정 장치
KR100894440B1 (ko) 밸브 테스트장치
CN107941163B (zh) 一种全分布式光纤应变系数标定装置及方法
KR20040024310A (ko) 유압실린더 검사장치
CN201057518Y (zh) 预应力锚具和连接器综合试验台
CN205561826U (zh) 一种透明双测量***静力水准仪
CN113740155A (zh) 一种金属料断后伸长率、最大力总延伸率、断面收缩率自动测量设备
CN213335939U (zh) 一种桥梁支座的检测装置
CN114482041B (zh) 一种智能地锚桩及其工作方法
RU148401U1 (ru)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с фиксированной степенью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обжатия на статический изгиб
CN209673567U (zh) 抗弯和抗拔试验设备及抗弯和抗拔试验装置
DE10201712327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ynamischen Belastungsprüfung
CN209602885U (zh) 一种钢轨接头、间隔铁、限位器纵向阻力综合测量装置
CN112378375A (zh) 一种桥梁支架沉降监测装置
EP1416259B1 (de) Verfahren zum Prüfen der Stabilität eines Mastes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CN109468900B (zh) 一种钢轨接头、间隔铁、限位器纵向阻力综合测量装置
CN219757938U (zh) 卧式拉力机绳索断裂延伸率检测机构
US20230193566A1 (en) Real-time detecting system for the mechanical quality state of ballast bed based on tamping car
CN2362115Y (zh) 锚杆受力随机检测仪
CN108225928A (zh) 一种金属幕墙及屋面拉拔性能快速检测装置
CN214373053U (zh) 一种在役缆索桥梁拉索锚下索力测试装置
CN221424545U (en) Hydraulic engineering is with measuring device who is convenient for observe water level
CN220893969U (zh) 一种反拉法中夹片脱空量检测装置
CN110207652A (zh) 一种利用连通器原理的压力管线沉降观测装置
CN208455491U (zh) 推顶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