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746B1 -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746B1
KR101944746B1 KR1020170083769A KR20170083769A KR101944746B1 KR 101944746 B1 KR101944746 B1 KR 101944746B1 KR 1020170083769 A KR1020170083769 A KR 1020170083769A KR 20170083769 A KR20170083769 A KR 20170083769A KR 101944746 B1 KR101944746 B1 KR 10194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input member
unit
input
stop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95A (ko
Inventor
김재호
황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70083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7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7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82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8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레버의 조작으로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로서, 펌핑레버와 일체로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입력부재, 입력부재와 쐐기공간부를 형성하는 제어부재, 쐐기공간부에 상기 입력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토퍼, 입력부재의 캠면과 제어부재의 내주면에 대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계합자, 및 계합자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스토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쪽에 구비된 계합자들 사이의 간격이 다른 스토퍼의 양쪽에 구비된 계합자들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가공 공차를 최소화하여 작동손실을 줄임으로써 작동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력으로 시트 하부에 설치된 별도의 링크기구를 작동시켜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에 탑승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맞추기 위해 제공되는 편의장치로, 전후방향으로 시트쿠션(seat cushion)을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 더불어 등받이에 해당하는 시트백(seat back)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및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시트쿠션의 높이를 조절하는 시트 높이 조절(height adjustment) 기능이 구비된다.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트 높이 조절기능을 구현하는 일 예로 펌핑장치가 있다. 펌핑장치는 시트의 측면에 구비된 펌핑레버를 사용자가 업/다운시켜 시트의 내부에 구비된 링크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이다.
종래의 펌핑장치는 펌핑레버의 조작력을 출력유닛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유닛, 클러치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를 시트의 링크유닛으로 전달하는 출력유닛, 링크유닛으로부터 역 입력되는 토크에 대하여 출력유닛을 구속하는 브레이크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클러치유닛은 특허문헌 2에 상세히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입력부재가 계합자를 매개로 클러치드럼을 구속 또는 해제하여 토크를 출력부재로 전달하게 된다. 클러치유닛은 이러한 단속적 전달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입력부재(3)의 토크가 클램핑롤러(2)를 매개로 클러치드럼에 해당하는 부재(4)에 전달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재(3)와 클램핑롤러(2)를 비롯하여 클러치유닛의 부품들은 가공시 공차를 고려하여 부품간에 유격(gap)을 두게 된다. 가령, 입력부재(3)의 외경이 최대질량상태(Maximum Material Condition, MMC)를 가지게 가공된 경우는 물론, 최소질량상태(Least Material Condition, LMC)를 가지게 가공된 경우에도 클램핑롤러(2)를 결합할 수 있도록 클램핑롤러(2)와 사이의 유격을 두도록 설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격으로 인해 입력부재(3)의 회전 후 클램핑롤러(2)가 입력부재(3) 및 클러치드럼 부재(4)를 구속하여 연동시키기 위한 마찰이 발생하는데까지 동작시간이 지연되어 작동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토퍼(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롤러(6)와 접촉하는 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클램핑롤러(6)의 내마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국제공개특허 WO2015-139993A1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5059호 한국공개특허 제2008-0028088호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405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가공 공차를 최소화하여 작동손실을 줄임으로써 작동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펌핑레버의 조작력을 출력유닛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유닛, 상기 클러치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를 시트의 링크유닛으로 전달하는 출력유닛, 상기 링크유닛으로부터 역 입력되는 토크에 대하여 상기 출력유닛을 구속하는 브레이크유닛을 포함하여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로서,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펌핑레버와 일체로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주면이 복수개의 캠면으로 형성된 입력부재, 상기 입력부재와 쐐기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브레이크유닛으로 상기 입력부재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어부재, 상기 쐐기공간부에 상기 입력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토퍼, 상기 각 스토퍼의 양쪽에 대칭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입력부재의 캠면과 상기 제어부재의 내주면에 대하여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입력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제어부재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계합자, 및 상기 계합자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계합자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쪽에 구비된 상기 계합자들 사이의 간격이 다른 스토퍼의 양쪽에 구비된 상기 계합자들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호상의 폭이 다른 스토퍼의 원호상의 폭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계합자와 접촉하는 지지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에 의하면, 클러치유닛을 이루는 부품간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가공 공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작동손실을 줄여 작동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합자와 스토퍼를 면접촉시킴으로써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국소적인 마모를 최소화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를 나타낸 일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클러치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는, 펌핑레버의 조작력을 출력유닛(300)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유닛, 상기 클러치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를 시트의 링크유닛으로 전달하는 출력유닛(300), 상기 링크유닛으로부터 역 입력되는 토크에 대하여 상기 출력유닛(300)을 구속하는 브레이크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펌핑레버와 일체로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입력부재(110), 상기 브레이크유닛으로 상기 입력부재(110)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어부재(120), 상기 입력부재(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토퍼(130), 상기 입력부재(110)의 외주면과 상기 제어부재(120)의 내주면에 대하여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입력부재(110)의 회전력을 상기 제어부재(120)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계합자(140), 및 상기 계합자(14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입력부재(110)는 사용자의 업/다운 조작력을 입력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재(110)의 외주면은 복수개의 캠면(1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캠면(111)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캠면(111)이 120도의 등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캠면(111)은 양단에 언덕부(111a)를 구비하고 언덕부(111a)의 사이에 바닥부(11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력부재(110)의 외경은 상기 바닥부(111b)보다 상기 언덕부(111a)에서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쐐기공간부(115)는 상기 언덕부(111a)에서보다 상기 바닥부(111b)에서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재(120)는 링 형상의 드럼부(121)와, 상기 브레이크유닛의 롤러어셈블리(410)를 수용하는 제어돌기(1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드럼부(121)의 내주면은 상기 입력부재(110)의 캠면(111)과 함께 쐐기공간부(115)를 형성한다. 상기 쐐기공간부(115)에 상기 스토퍼(130)와 상기 계합자(140) 및 상기 탄성부재(150)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쐐기공간부(115)에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하우징(200)에 고정되어 상기 계합자(14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스토퍼(130)가 120도의 등각을 이루며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공간부(115)는 3개의 스토퍼(130)에 의해 3개로 구분되고, 각 쐐기공간부(115)에 상기 계합자(140)와 상기 탄성부재(15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스토퍼(130)의 양쪽에 1쌍의 계합자(140)가 대칭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계합자(140)들의 사이에 1개의 탄성부재(1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계합자(140)는 상기 입력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입력부재(110)의 캠면(111)과 상기 제어부재(120)의 내주면에 대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그로 인해 상기 제어부재(120)가 상기 입력부재(110)에 구속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계합자(140)는 캠면(111)과 제어부재(120)의 내주면 사이에 구속됨으로써 입력부재(110)의 회전시 캠면(111)과 함께 이동하며 제어부재(12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 형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다른 형상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계합자(140)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캠면(111)으로 인해 상기 쐐기공간부(115)가 상기 언덕부(111a)에서보다 상기 바닥부(111b)에서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계합자(140)가 상기 캠면(111)의 언덕부(111a)에 위치할 때 상기 제어부재(120)와 상기 입력부재(110)에 동시에 접촉되면서 두 부재를 구속하여 연동시키게 된다. 상기 캠면(111)에 의해 상기 계합자(140)가 상기 입력부재(110)와 상기 제어부재(120)를 구속하는 원리는 선행특허문헌 1 내지 3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고 통상의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1쌍의 계합자(140)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50)의 양단에 상기 계합자(140)가 각각 구비되어 1개의 탄성부재(150)가 1쌍의 계합자(140)를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쪽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먼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클러치유닛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스토퍼(130) 중 오른쪽에 아래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제1스토퍼(131)라 하고 시계방향을 따라 제2스토퍼(132)와 제3스토퍼(133)라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131)의 양단에 위치하는 1쌍의 계합자들을 시계방향으로 제1계합자(141) 및 제2계합자(142)라 하고, 상기 제2스토퍼(132)의 양단에 위치하는 1쌍의 계합자들을 제3계합자(143) 및 제4계합자(144)라 하며, 상기 제3스토퍼(133)의 양단에 위치하는 1쌍의 계합자들을 제5계합자(145) 및 제6계합자(146)라 하였다.
상기 펌핑레버의 작동 전 초기 위치에서 상기 계합자(140)는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캠면(111)의 언덕부(111a)에 위치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계합자(140)가 상기 언덕부(111a)에 위치하더라도 실제 동작시에는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력만으로 상기 입력부재(110)와 상기 제어부재(120)를 연동시킬 수 있는 구속력의 발생위치까지 가압하기 어려우나, 작동 설명의 편의상 도 8의 상태에서 상기 계합자(140)는 상기 입력부재(110)와 상기 제어부재(120)를 연동시킬 수 있는 구속력이 발생한 상태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도 8의 초기 상태에서 이미 상기 계합자(140)에 구속력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할 때 시트의 높이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펌핑레버를 업/다운하여 상기 입력부재(110)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재(120)가 일체로 회전하여 도 9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입력부재(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계합자(142)와 제4계합자(144) 및 제6계합자(146)가 상기 입력부재(110) 및 상기 제어부재(120)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2계합자(142)와 제4계합자(144) 및 제6계합자(146)가 상기 입력부재(110) 및 상기 제어부재(120)와 회전 전에 이미 유격이 없이 접촉된 상태에서는 유격으로 인한 작동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계합자(142)와 제4계합자(144) 및 제6계합자(146)가 상기 입력부재(110) 및 상기 제어부재(120)와 함께 회전하게 되면, 그와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50)가 탄성적으로 압축변형되면서 상기 제1계합자(141)를 상기 제1스토퍼(131) 쪽으로, 상기 제3계합자(143)를 상기 제2스토퍼(132) 쪽으로, 상기 제5계합자(145)를 상기 제3스토퍼(133)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제1계합자(141)가 상기 제1스토퍼(131)에 상기 탄성부재(150)의 압축 전에 이미 유격이 없이 접촉된 상태에서는 유격으로 인한 작동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회전동작 전에 상기 계합자(140)가 상기 입력부재(110) 및 상기 제어부재(120)에 즉시로 구속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가정은 상기 계합자(140)가 상기 입력부재(110)의 캠면(111)과 상기 제어부재(12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유격이 없이 결합된 경우인데, 이러한 이상적인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토퍼(13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쪽에 구비된 상기 계합자(140)들 사이의 간격(D1)이 다른 스토퍼(130)의 양쪽에 구비된 상기 계합자들 사이의 간격(D2)(D3)과 다르게 구비되어 있다.(도 8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130)들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토퍼(13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호상의 폭이 다른 스토퍼(130)의 원호상의 폭과 다르게 형성된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130)의 원호상의 폭(d1)은 상기 제2스토퍼(130) 및 상기 제3스토퍼(130)의 원호상의 폭(d2)(d3)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130)들의 원호상의 폭을 다르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130)의 양쪽에 구비되는 1쌍의 계합자(140)들 사이의 간격(D1)(D2)(D3)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계합자(140)들과 상기 스토퍼(130)의 사이의 유격(g), 상기 계합자(140)와 상기 입력부재(110) 사이의 유격 또는 상기 계합자(140)와 상기 제어부재(12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입력부재(110)와 상기 제어부재(120), 상기 스토퍼(130) 및 상기 계합자(140)의 가공시 발생할 수 있는 공차로 인해 상기 쐐기공간부(1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계합자(140)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계합자(140)의 위치이동량 만큼 상기 제1스토퍼(131)의 원호상의 폭(d1)을 줄여 이를 보정한 것과 같다. 여기서, 상기 제1스토퍼(131)의 폭(d1)을 줄인 것은 상기 제2스토퍼(d2)와 상기 제3스토퍼(d3)의 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실제 가공시 발생하는 공차량의 분포를 분석하여 어느 스토퍼의 폭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131)를 상기 제2스토퍼(132) 및 제3스토퍼(133)와 다른 폭으로 형성한 경우, 공차가 없이 이상적인 상태로 가공되었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이 0도로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실제가공에서는 어느 정도의 공차는 발생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럼에도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클러치유닛은 가공공차가 발생하지 않은 이상적으로 가공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가공공차가 3/100의 최소질량상태(LMC)로 가공되었을 때를 가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가공상태에서는 유격이 0도이고 도 10의 가공상태에서 유격은 1.2도 정도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스토퍼(제1스토퍼)의 원호상의 폭을 다른 스토퍼들(제2스토퍼 및 제3스토퍼)과 다르게 형성하였으나, 이는 상기 계합자(140)들 사이의 거리를 다르게 구현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모든 스토퍼들의 원호상의 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30)와 상기 하우징(200)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사출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하우징(200)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130)가 상기 하우징(200)에 일체로 사출성형됨으로써 별품으로 제조된 후 조립되는 것이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강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계합자(140)와 접촉하는 지지면(141)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계합자(140)와 면접촉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면(141)은 그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곡률이 상기 계합자(140)보다 조금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원통형상으로 된 계합자(140)의 외주면과 면접촉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계합자(140)가 상기 스토퍼(130)에 면접촉됨으로써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점접촉에 비해 국소적인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입력부재 111 : 캠면
111a : 언덕부 111b : 바닥부
115 : 쐐기공간부 120 : 제어부재
121 : 드럼부 122 : 제어돌기
130 : 스토퍼 140 : 계합자
141 : 지지면 150 : 탄성부재

Claims (4)

  1. 펌핑레버의 조작력을 출력유닛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유닛, 상기 클러치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를 시트의 링크유닛으로 전달하는 출력유닛, 상기 링크유닛으로부터 역 입력되는 토크에 대하여 상기 출력유닛을 구속하는 브레이크유닛을 포함하여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닛은,
    상기 펌핑레버와 일체로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주면이 복수개의 캠면으로 형성된 입력부재;
    상기 입력부재와 쐐기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브레이크유닛으로 상기 입력부재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어부재;
    상기 쐐기공간부에 상기 입력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토퍼;
    상기 입력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입력부재의 캠면과 상기 제어부재의 내주면에 대하여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입력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제어부재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계합자; 및
    상기 계합자들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계합자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쪽에 구비된 상기 계합자들 사이의 간격이 다른 스토퍼의 양쪽에 구비된 상기 계합자들 사이의 간격과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이 다른 스토퍼의 폭과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계합자와 접촉하는 지지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사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KR1020170083769A 2017-06-30 2017-06-30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KR10194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69A KR101944746B1 (ko) 2017-06-30 2017-06-30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769A KR101944746B1 (ko) 2017-06-30 2017-06-30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95A KR20190003195A (ko) 2019-01-09
KR101944746B1 true KR101944746B1 (ko) 2019-02-07

Family

ID=6501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769A KR101944746B1 (ko) 2017-06-30 2017-06-30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787A (ko) 2019-04-19 2020-10-28 한국기계연구원 배관 손상 검출장치, 이를 이용한 배관 손상 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손상 검출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994B1 (ko) 2013-06-03 2014-06-27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KR101607203B1 (ko) 2014-11-20 2016-03-29 대원정밀공업(주) 펌핑 디바이스
KR101657068B1 (ko) 2015-01-12 2016-09-19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펌핑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994B1 (ko) 2013-06-03 2014-06-27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의 펌핑 디바이스
KR101607203B1 (ko) 2014-11-20 2016-03-29 대원정밀공업(주) 펌핑 디바이스
KR101657068B1 (ko) 2015-01-12 2016-09-19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펌핑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95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685B2 (en) Pu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8042872B2 (en) Recliner for vehicle seats
JP6692142B2 (ja) 回転力伝達制御機構及び座席構造
US9821685B2 (en)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419700B1 (ko) 소형 라운드 리클라이너
JP200703885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41752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49188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CN109094433B (zh) 用于车辆座椅的倾斜器
US9694720B2 (en) Reclining device
JP6163074B2 (ja) ブレーキ装置
KR20150003100A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44746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장치
JP455913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13767229B (zh) 反向输入切断离合器
JP2010088682A (ja) 角度調節金具
JP7017190B2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US10569671B2 (en) Brake device of vehicular seat adjuster
WO2012001769A1 (ja) シートバックを傾動可能に保持する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732373B1 (ko) 차량용 시트 펌핑장치
JP6154238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6154233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2015023927A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
KR101117796B1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JP2023083777A (ja) 一方向継ぎ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