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949B1 -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949B1
KR101943949B1 KR1020180078834A KR20180078834A KR101943949B1 KR 101943949 B1 KR101943949 B1 KR 101943949B1 KR 1020180078834 A KR1020180078834 A KR 1020180078834A KR 20180078834 A KR20180078834 A KR 20180078834A KR 101943949 B1 KR101943949 B1 KR 10194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dy frame
buoyancy
hitting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앤테크
Priority to KR102018007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63C9/19Arrangements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2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격실 및 제2격실로 구획 형성되는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 프레임과, 상기 제1격실에 배치되고, 고압의 기체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압력탱크와, 상기 제2격실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고압 기체에 의해 부풀려져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와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 입구에 마련된 차단구를 타격하여 고압 기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부력 발생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타격부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격부가 가압됨에 따라 작동을 가이드 하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Buoyancy occurring device for life saving}
본 발명은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며 수상 활동 도중 위급 상황 발생 시 부력을 제공하여 구명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튜브는 해상 또는 수상에서 조난을 당한 사람을 구하기 위하여 기체가 충진된 수지재의 구명도구이며, 물 밖의 안전한 위치에서 조난자의 주변으로 투척하여 조난자가 구명튜브에 의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구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물놀이 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는 대부분 사고 발생 후 수 초 또는 수십 초 이내의 극히 짧은 시간내에 구명 활동이 이루어져야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수상에서의 안전사고 시 대부분의 경우 근처에 밧줄이나 튜브 등이 비치되어 있으면 신속하게 이들을 투척하여 인명구조에 나설 수도 있지만, 수상활동의 범위가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사고의 예측 또한 불가능해서 사고 발생 시 그 근처에 튜브나 밧줄 등과 같은 구명기구가 비치되어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해상 또는 수상의 조난자를 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구명튜브는 그 특성 상 기체가 충진된 상태로 조난자 주변으로 투척되어야 하지만, 기체가 충진된 구명튜브는 투척 시 공기의 저항을 받아 상대적으로 투척거리가 짧아 지상 등의 안전이 확보된 투척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사고지점까지 튜브를 던져주는 것이 쉽지 않아 조난자를 구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선박에는 구명용 복수개의 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밧줄을 이용해 묶어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이들 구명용 튜브를 이용해 인명구조에 나서게 되지만, 개인적으로는 수상활동 시 이들을 휴대하기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휴대가 가능하도록 부피가 축소되어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해상 또는 수상에서 물놀이 도중 위급 발생 시에만 선택적으로 부피가 팽창하여 부력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조난자 스스로 구명 활동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보급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목 등과 같은 신체 상에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 형상의 몸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위급 상황 발생 시 부력 주머니 형상의 팽창수단으로 고압기체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팽창수단이 몸체 프레임의 외부로 팽창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라 부력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상 활동 중 조난자 스스로 자가 구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제1격실 및 제2격실로 구획 형성되는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 프레임, 상기 제1격실에 배치되고, 고압의 기체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압력탱크, 상기 제2격실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고압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 입구에 마련된 차단구를 타격하여 고압 기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부력 발생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타격부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격부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는 상기 타격부를 무선으로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무선 작동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작동부는 상기 몸체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무선으로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보내는 발신부, 상기 제1격실에 구비되며, 상기 발신부로부터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 및 상기 타격부로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배터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는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되어 주변 영역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 신호를 상기 발신부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는 상기 몸체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착용 대상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상기 발신부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착용 부위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발신부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신부는 상기 몸체 프레임과 이격된 위치에서 착용 대상에게 선택적으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음성 신호 전송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프레임은,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형성되는 스피커부 및 조명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회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조명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타격부 수동 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발신부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타격부는 상기 차단구를 수용하는 타격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구를 항해 이동하여 상기 차단구를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타격핀, 상기 타격핀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탄성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타격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타격핀과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라운드진 외주면을 가지며,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 홀이 형성되는 구동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90 도 간격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연결 홀을 관통하여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타격핀을 가압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타격부는 상기 차단구를 수용하는 타격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구를 항해 이동하여 상기 차단구를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타격핀, 상기 타격핀과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마주보게 배치되고,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타격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이격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맞물리게 결합되고, 회전 구동 시 상기 이격 영역에서 승강 및 이탈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타격핀을 타격하도록 마련되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격 영역은, 상기 타격핀 및 상기 가이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동부재와 맞물리는 기어 이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이격 영역의 내부에서 승강 및 이탈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타격부는 상기 차단구를 수용하는 타격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구를 항해 이동하여 상기 차단구를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타격핀, 상기 타격핀과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마주보게 배치되고,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타격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이격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맞물리게 결합되고, 회전 구동 시 상기 이격 영역에서 승강 및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부재 및 상기 이격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상기 타격핀과 맞물리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제1구동부재와 함께 상기 이격 영역에서 승강 및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상기 제2구동부재가 상기 이격 영역 내부에서 승강 및 이탈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재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몸체 프레임은 착용 영역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제2격실의 외부 커버를 형성하며 힌지 결합되고, 상기 부력 발생부가 팽창됨에 따라 발생된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 발생부는 고압 기체의 압력이나 외부 충격에 강한 열가소성우레탄, 압축 PCV 원단 및 압축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 프레임은 복수의 착용 대상에게 착용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착용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고유 ID가 부여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는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 프레임의 주변 영역으로 전자기장을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자기장 방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손목 등과 같은 신체 상에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 형상의 몸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위급 상황 발생 시 부력 주머니 형상의 팽창수단으로 고압 기체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팽창수단이 몸체 프레임의 외부로 팽창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라 부력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상 활동 중 조난자 스스로 자가 구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몸체 프레임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고, 위급 상황 발생 시 리모컨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팽창수단으로 고압 기체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어린이, 장애인 등과 같이 자가 구명 활동이 어려운 사용자로 하여금 구명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의 부력 발생부에 대한 팽창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버튼부의 동작에 따른 타격부의 제1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무선 작동부의 동작에 따른 타격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카메라부 및 전자기장 방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버튼부의 동작에 따른 타격부의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 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버튼부의 동작에 따른 타격부의 제3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의 부력 발생부에 대한 팽창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몸체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몸체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압력탱크(200)가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버튼부(400)가 누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몸체 프레임(100)의 결합되는 압력탱크(200)는 결합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압력탱크(200)를 사용한 이후 제거하여 다른 압력탱크(200')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몸체 프레임(100)의 전면에는 작동을 위한 전원 버튼(102)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에 누수감지부가 구비되어 수중에서 누수되는 것을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 누수감지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LCD 표시창(104)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몸체 프레임(10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착용 대상으로 하여금 착용 가능한 형태로 이루지는데, 각각의 몸체 프레임(100)은 서로 다른 고유의 ID를 부여받게 되고, 그에 따라 후술될 무선 작동부(600)를 통한 원격 작동 시 각각의 고유 ID에 해당하는 발신부(610)를 통해서만 원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혼선으로 인해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 프레임(100)은 밴드부(110) 및 개방부(120)를 구비한다.
밴드부(110)는 몸체 프레임(100)의 저면에 결합되며, 전술된 바와 같이 손목, 발목 등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 가능할 수 있도록 착용 영역을 가지는 밴드의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밴드부(110)는 수상에서 사용되므로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착용 영역은 그 재질적 특성에 의해 사용자의 손목, 발목 등의 굵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있을 수 있고, 벨크로, 버클 타입 등으로 이루어져 착용 영역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게 될 수도 있다.
개방부(120)는 몸체 프레임(110) 내부를 형성하는 제2격실(B)의 외부 커버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2격실(B)의 내부에 마련된 부력 발생부(300)가 팽창됨에 따라 발생된 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개방부(120)는 회전 축(120a)에 의해 몸체 프레임(11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만일 압력탱크(200)에 저장된 고압의 기체가 부력 발생부(300)로 유입되게 되면, 부력 발생부(300)가 팽창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발생된 압력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프레임(110) 단부에서 회전 이동하여 제2격실(B)에 대한 개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외부로 팽창된 부력 발생부(300)에 의해 몸체 프레임(110)이 부력체가 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수상 활동 중 위급 상황 발생 시 조난자 스스로 버튼부(500)를 조작하여 부력 발생부(300)가 팽창되게 함으로써, 부력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몸체 프레임(110)에 의해 스스로 구명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몸체 프레임으로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전달하도록 리모컨,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진 발신부(610)을 구비하고, 위급 상황 발생 시 발신부(610)의 조작에 따른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부력 발생부(300)로 고압 기체가 유입되게 하여 부력 발생부(300)가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장애인 등과 같이 자가 구명 활동이 어려운 사용자로 하여금 원격으로 구명 활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발신부(610)는 몸체 프레임(100)과 이격된 위치에서 착용 대상에게 선택적으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버튼의 형태로 이루어진 음성 신호 전송 스위치(6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몸체 프레임(100)에는 전송 스위치(612)를 통해 전달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형성되는 스피커부(미도시) 및 조명을 통해 음성 신호에 대한 회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즉 발신부(610)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착용 대상에게 전달되었음을 조명의 형태로 응답하도록 형성되는 조명 스위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몸체 프레임(100)에는 알림 스위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만일 몸체 프레임(100)과 이격된 위치, 다시 말해 발신부(610)에서 보다 착용 대상이 먼저 위험 상황을 감지하게 되면, 알림 스위치부(미도시)를 눌러 위험 상황을 발신부(610)로 전달, 외부에서 용이하게 착용 대상의 위험 상황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버튼부의 제1동작에 따른 타격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무선 작동부의 동작에 따른 타격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몸체 프레임(100), 압력탱크(200), 부력 발생부(300), 타격부(400) 및 버튼부(500)를 포함한다.
몸체 프레임(100)은 제1격실(A) 및 제2격실(B)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전술된 바와 같이 밴드부(110)에 의해 사용자의 손목, 발목 등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된다.
압력탱크(200)는 제1격실(A)에 배치되고, 고압의 기체, 더욱 자세하게는 CO2 가 충진되어 형성된다.
부력 발생부(300)는 도면에 표현되지는 않았으나, 밀봉된 상태로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되게 접혀 보관되고, 그 일단은 압력탱크(200)에 연결된 연결관(400a)에 역류방지밸브(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즉, 부력 발생부(300)는 제2격실(B)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관(400a)을 통해 압력탱크(200)와 연결되며, 상기와 같이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압력탱크(200)로부터 유입되는 고압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부력을 발생시킨다.
부력 발생부(300)는 고압 기체의 압력이나 외부 충격에 강한 열가소성우레탄, 압축 PVC 원단 및 압축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고압의 기체가 충진, 부력 발생부(300)가 팽창되어 부력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부력 발생부(30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주면에 별도의 과팽창 방지 밸브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과팽창 방지 밸브는 선택적인 개방을 통해 부력 발생부(300) 내부의 고압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부력 발생부(300)의 과팽창 상태에서 장시간 수상에 노출될 경우 햇빛의 열에 의해 더욱 팽창되어 폭발이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부력 발생부(300)는 과팽창 방지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가압하여 부력 발생부(300)의 부피를 초기 상태로 축소시킬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부력 발생부(300)를 제2격실(B)의 내부에 재배치한 상태에서 개방부(120)를 닫고, 압력 탱크(200)를 교체하여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가 재사용 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부력 발생부(300)에는 공기 주입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압력탱크(200)로부터 유입되는 고압 기체 양이 적을 경우 직접 입으로 불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공기 주입부(미도시)는 공기 주입 시에만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그 이외에는 차단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공기 주입 시를 제외하고는 내부의 고압 기체가 공기 주입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타격부(400)는 압력탱크(200)와 연결되며, 압력탱크(200)의 입구에 마련된 차단구(210)를 타격하여 고압 기체가 부력 발생부(3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타격부(400)는 타격핀(410), 하우징(420), 가이드 부재(430) 및 구동부재(440)를 구비한다.
타격핀(410)은 차단구(210)를 포함한 압력탱크(200)의 단부를 수용하고 있는 타격몸체(400b)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단구(210)를 향해 이동하여 차단구(210)를 타격하도록 형성된다.
타격핀(410)은 타격 시 차단구(210)가 눌러지면서 오픈되어 압력탱크(200)에 충진된 고압 기체가 부력 발생부(300)로 유입되도록 차단구(210)를 향하는 단부가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420)은 타격핀(410)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탄성부재(422)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하우징(420)에는 탄성부재(422)의 탄성 복원 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내부에 위치 가이드(420a)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부재(430)는 하우징(420) 내부에서 일단부가 탄성부재(422)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우징(420)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동부재(440)와 접하게 배치되며, 탄성부재(4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타격핀(410)을 가압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430)의 폭 길이(직경)는 구동부재(440)에 형성된 연결 홀(H)의 폭 길이(직경)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구동부재(440)는 타격핀(410)과 가이드 부재(430)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 부재(430)의 이동을 제한하고, 가이드 부재(430)가 접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 형상의 라운드진 외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동부재(440)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 홀(H)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연결 홀(H)의 내부로 가이드 부재(43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4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430)가 타격부(410)를 가압하도록 한다.
타격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재(450)를 더 구비하며, 이러한 동력 전달부재(450)는 버튼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버튼부(500)가 조작됨에 따라 구동부재(440)를 90 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동력 전달부재(450)는 구동부재(440)를 90 도 간격으로 회전 이동시킴에 따라, 연결 홀(H)의 위치와 가이드 부재(430) 위치가 일치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4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430)가 연결 홀(H)을 관통하여 타격핀(410)을 가압하게 할 수 있다.
버튼부(500)는 몸체 프레임(10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타격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격부(400), 더 자세하게는 타격부(400)를 구성하는 동력 전달부재(450)의 작동을 가이드 한다.
한편, 버튼부(500) 조작에 따른 타격부(400)의 작동을 통해 압력탱크(200)의 차단구(210)를 타격, 고압 기체가 타격몸체(400a) 및 연결관(400a)을 통해 부력 발생부(300)로 유입되게 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상 활동 중 위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밴드부(110)를 통해 몸체 프레임(110)을 착용한 상태에서 버튼부(500)를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버튼부(500)가 조작되면, 버튼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력 전달부재(450)가 구동부재(440)를 90 도 간격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구동부재(440)가 회전하여 가이드 부재(430)와 연결 홀(H)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430)가 연결 홀(H)을 관통하며 타격핀(410)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타격핀(410)의 단부가 압력탱크(200)의 차단구(210)를 타격하게 되고, 차단구(210)가 눌러지면서 오픈되어 압력탱크(200)에 충진된 고압 기체가 타격몸체(400b) 및 연결관(400a)을 따라 이동하여 부력 발생부(300)로 유입되게 된다.
이를 통해, 부력 발생부(300)가 팽창하게 되고, 이렇게 팽창된 상태로 개방부(120)를 밀어 몸체 프레임(100)의 외부로 팽창되면서 수면 위로 떠올라 부력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버튼부(500) 조작을 통해 수상 활동 중 조난자 스스로가 자가 구명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타격부(400)를 무선으로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무선 작동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작동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부(610), 수신부(620), 제어부(630) 및 배터리(640)를 구비한다.
발신부(610)는 리모컨,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지며, 몸체 프레임(10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무선으로 동력 전달부재(450)로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보낸다.
수신부(620)는 제1격실(A)에 구비되며, 발신부(610)로부터 송신된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630)는 수신부(620)로부터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전송받아 타격부(400), 더 자세하게는 동력 전달부재(450)가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30)는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전송받을 뿐만 아니라, 전술된 바와 같이 조난자 스스로가 버튼부(500)를 조작하여 부력 발생부(300)가 팽창될 경우 발생되는 타격부 수동 작동 신호를 전송받아 발신부(6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그에 따라 착용 대상 스스로가 부력 발생부(300)를 팽창시킨 상황을 외부의 발신부(610)에서 인지하여 착용 대상의 위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배터리(640)는 제어부(630)에 의해 구동되며, 동력 전달부재(450)가 구동부재(440)를 90 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도록 동력 전달부재(450)로 전기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몸체 프레임(100)을 착용한 사용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전달하도록 발신부(610)를 구비하고, 위급 상황 발생 시 발신부(610)의 조작에 따른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부력 발생부(300)로 고압 기체가 유입되게 하여 외부로 팽창되면서 수면 위로 떠올라 부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장애인 등과 같이 버튼부(500)를 직접 조작하여 자가 구명 활동이 어려운 사용자로 하여금 구명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카메라부 및 전자기장 방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는 카메라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900)는 몸체 프레임(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몸체 프레임(100)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 신호를 발신부(610)로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발신부(610)는 스마트 폰에 해당할 수도 있기 때문에, 촬영된 촬영 영상은 스마트폰의 액정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착용 대상의 현재 상황에 대한 용이한 파악이 가능할 수 있고, 만일 위험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타격부 원격 작동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원격으로 부력 발생부(300)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촬영된 영상은 중앙 서버(미도시)로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중앙 서버(미도시)에서 복수의 착용 대상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개별 착용 대상에 대한 각각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만일 익수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장 인접한 구조대원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력 발생 장치는 전자기장 방출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장 방출부(950)는 몸체 프레임(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몸체 프레임(100)의 주변 영역으로 전자기장을 방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전자기장 방출부(950)는 상어를 퇴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어는 로렌치니 기관이라는 전류 감지기관으로 물고기에서 나오는 약한 전류를 감지하여 먹이를 찾는데, 이러한 로렌치니 기관은 상어의 뇌와 바로 연결되어 있어 다소 높은 전류나 전자기장을 방출하게 되면, 상어의 신경을 마비시키고 경련을 일으켜 접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방출부(950)는 몸체 프레임(100)의 주변으로 전자기장을 방출하여 상어가 착용 대상의 주변으로 접근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장 방출부(950)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자기장이 몸체 프레임(100) 주변으로 방출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부에 구비된 자석(미도시)을 이용하여 전자기장을 생성, 몸체 프레임(100)의 주변으로 전자기장이 방출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버튼부의 동작에 따른 타격부의 제2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타격부(402)를 포함하며, 이러한 타격부(402)는 타격핀(412), 가이드 부재(432) 및 구동부재(442)를 구비한다.
타격핀(412)은 차단구(210)를 포함한 압력탱크(200)의 단부를 수용하고 있는 타격몸체(400b)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단구(210)를 향해 이동하여 차단구(210)를 타격하도록 형성된다.
타격핀(412)은 타격 시 차단구(210)가 눌러지면서 오픈되어 압력탱크(200)에 충진된 고압의 기체가 부력 발생부(300)로 유입되도록 차단구(210)를 향하는 일단부가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구동부재(442)와 접하는 타단부가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432)는 타격핀(412), 더욱 자세하게는 타격핀(312)의 타단부와 이격 영역(C)을 형성하며 그 일단부가 타격핀(312)의 타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하우징(420)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4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타격핀(412)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타격)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432)의 형상은 타격핀(4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 또한 타격핀(412)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구동부재(442)는 톱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격 영역(C)의 내부에서 타격핀(412) 및 가이드 부재(432)와 맞물리게 결합되고, 회전 구동 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영역(C)에서 승강 및 이탈되어 탄성부재(4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432)가 타격핀(412)을 타격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이격 영역(C)은 맞물림 결합을 통해 구동부재(442)에 대한 승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타격핀(412) 및 가이드 부재(432) 중 어느 하나,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432)의 일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타격핀(412)의 타단부 및 가이드 부재(432)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 톱니 형상의 구동부재(442)와 맞물리는 기어 이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타격핀(412)에는 탄성부재(422)가 결합되어 있어, 가이드 부재(432)가 타격핀(412)을 타격함에 따라 파격핀(412)이 차단구(210)로 이동하게 된 이후 탄성 복원력에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형성된다.
한편, 타격부(402)는 버튼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축(452a)을 통해 설치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동력 전달부재(452)를 더 구비한다.
동력 전달부재(452)는 구동부재(442)가 이격 영역(C)의 내부에서 승강 및 이탈하도록 구동부재(442)를 향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부재로서, 톱니 형상의 구동부재(442)의 회전시켜 이격 영역(C)의 내부에서 승강 및 승강 위치의 가변을 통해 이격 영역(C)의 내부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탄성 복원력에 의한 가이드 부재(432)의 타격핀(412) 타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타격핀(410)을 통해 차단구(210)가 눌러지면서 오픈되어 압력탱크(200)에 충진된 고압 기체가 부력 발생부(300)로 유입되어 팽창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 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버튼부의 동작에 따른 타격부의 제3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타격부(404)를 포함하며, 이러한 타격부(404)는 타격핀(414), 가이드 부재(434) 및 제1구동부재(444) 및 제2구동부재(446)를 구비한다.
여기서, 타격핀(414), 가이드 부재(434) 및 하우징(520)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된 타격부(402)의 제2동작을 통해 전술되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구동부재(444)는 이격 영역(C)의 내부에서 가이드 부재(434)와 맞물리는 톱니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구동 시 이격 영역(C), 더욱 자세하게는 가이드 부재(434)의 일단부에서 승강 및 이탈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구동부재(446)는 제1구동부재(44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격 영역(C)의 내부에서 제1구동부재(444) 및 타격핀(414)의 타단부와 맞물리게 결합된다.
또한, 제2구동부재(446)는 제1구동부재(444)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제1구동부재(444)와 함께 이격 영역(C)에서 승강 및 이탈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동력 전달부재(454)에 의해 제1구동부재(444)가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 제2구동부재(446)는 제1구동부재(444)와 맞물리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그에 따라 타격핀(414)의 타단부를 따라 승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1구동부재(444) 및 제2구동부재(446)가 이격 영역(C)에서 승강 및 이탈되어 하우징(420)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4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432)가 타격핀(412)을 타격하게 된다.
그에 따라, 타격핀(414) 일단부를 통해 차단구(210)가 눌러지면서 오픈되게 되고, 압력탱크(200)에 충진된 고압의 기체가 부력 발생부(300)로 유입되어 팽창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격부(404)는 동력 전달부재(454)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동력 전달부재(454)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재(444) 및 제2구동부재(446)가 이격 영역(C) 내부에서 승강 및 이탈하도록 제1구동부재(444)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동력 전달부재(454)는 버튼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구동부재(444) 및 제2구동부재(446)가 승강할 수 있도록 힌지 축(454a)에 의해 설치 각도에 대한 가변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하,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에 대한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는 제1센서부(700) 및 제2센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서부(700)는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몸체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착용 대상에 대한 심박수를 측정하여 발신부 (610)로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센서부(700)는 정상 상태의 심박수를 체크하여 미리 저장하고, 만일 심박수가 저장된 정상 상태의 심박수를 초과하거나, 또는 미만일 경우 착용자의 의지 대로 버튼부(500)를 동작시킬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발신부(610), 다시 말해 외부의 단말기 등으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발신부(610)를 통해 위험 상황을 인지, 타격부 원격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부력 발생부(300)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 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신부(610), 일례로 스마트폰에 해당하는 발신부(610)의 액정을 통해 실시간으로 착용 대상의 심박수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부(800)는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몸체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착용 부위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여 발신부(610)로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센서부(800)은 평소 수치, 일례로 수영 등과 같은 규칙적인 움직임이나, 또는 패턴이 있는 움직임에 해당하는 가속도 값을 미리 저장하고, 만일 평소 수치의 가속도 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가속도 값에 대한 입력이 없는 경우 버튼부(500)를 동작시킬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발신부(610)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발신부(610)를 통해 위험 상황을 인지, 타격부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부력 발생부(300)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센서부(800)는 제1센서부(700)와 동일하게 스마트폰의 액정을 통해 실시간으로 착용 대상의 움직임에 대한 가속도 값을 체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발신부(610)는 스마트폰의 액정을 통해 GPS를 이용한 착용 대상의 위치의 체크가 가능할 수도 있으며, 또한 위치 확인을 위한 소리발생. 즉 소정의 거리 밖으로 착용 대상이 이동한 경우 소리, 조명 등을 제공하는 등의 알림의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손목 등과 같은 신체 상에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 형상의 몸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위급 상황 발생 시 부력 주머니 형상의 팽창수단으로 고압 기체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팽창수단이 몸체 프레임의 외부로 팽창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라 부력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상 활동 중 조난자 스스로 자가 구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몸체 프레임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고, 위급 상황 발생 시 리모컨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팽창수단으로 고압 기체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어린이, 장애인 등과 같이 자가 구명 활동이 어려운 사용자로 하여금 구명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프레임 102 : 전원버튼
104 : LCD 표시창 110 : 밴드부
120 : 개방부 120a : 회전 축
200 : 압력탱크 210 : 차단구
300 : 부력 발생부 400, 402, 404 : 타격부
400a : 연결관 400b : 타격몸체
410, 412, 414 : 타격핀 420, 422, 424 : 하우징
420a : 위치 가이드 422 : 탄성부재
430, 432, 434 : 가이드 부재 440, 442 : 구동부재
444 : 제1구동부재 446 : 제2구동부재
450, 452, 454 : 동력 전달부재 452a, 454a : 힌지 축
500 : 버튼부 600 : 무선 작동부
610 : 발신부 612 : 음성 신호 전송 스위치
620 : 수신부 630 : 제어부
640 : 배터리 700 : 제1센서부
800 : 제2센서부 900 : 카메라부
950 : 전자기장 방출부 A : 제1격실
B : 제2격실 C : 이격 영역
H : 연결 홀

Claims (17)

  1. 제1격실 및 제2격실로 구획 형성되는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 프레임;
    상기 제1격실에 배치되고, 고압의 기체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압력탱크;
    상기 제2격실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고압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 입구에 마련된 차단구를 타격하여 고압 기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부력 발생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타격부;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격부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차단구를 수용하는 타격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구를 항해 이동하여 상기 차단구를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타격핀;
    상기 타격핀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탄성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타격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타격핀과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라운드진 외주면을 가지며,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 홀이 형성되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2. 제1격실 및 제2격실로 구획 형성되는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 프레임;
    상기 제1격실에 배치되고, 고압의 기체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압력탱크;
    상기 제2격실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고압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 입구에 마련된 차단구를 타격하여 고압 기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부력 발생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타격부;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격부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차단구를 수용하는 타격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구를 항해 이동하여 상기 차단구를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타격핀;
    상기 타격핀과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마주보게 배치되고,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타격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이격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맞물리게 결합되고, 회전 구동 시 상기 이격 영역에서 승강 및 이탈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타격핀을 타격하도록 마련되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격 영역은, 상기 타격핀 및 상기 가이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구동부재와 맞물리는 기어 이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3. 제1격실 및 제2격실로 구획 형성되는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 프레임;
    상기 제1격실에 배치되고, 고압의 기체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압력탱크;
    상기 제2격실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고압 기체에 의해 팽창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부;
    상기 압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탱크 입구에 마련된 차단구를 타격하여 고압 기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부력 발생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타격부;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격부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차단구를 수용하는 타격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구를 항해 이동하여 상기 차단구를 타격하도록 형성되는 타격핀;
    상기 타격핀과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마주보게 배치되고,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타격핀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이격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맞물리게 결합되고, 회전 구동 시 상기 이격 영역에서 승강 및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부재; 및
    상기 이격 영역의 내부에서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상기 타격핀과 맞물리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제1구동부재와 함께 상기 이격 영역에서 승강 및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를 무선으로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무선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작동부는,
    상기 몸체 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무선으로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보내는 발신부;
    상기 제1격실에 구비되며, 상기 발신부로부터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타격부 원격 작동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 및
    상기 타격부로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되어 주변 영역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 신호를 상기 발신부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착용 대상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상기 발신부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착용 부위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발신부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부는,
    상기 몸체 프레임과 이격된 위치에서 착용 대상에게 선택적으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음성 신호 전송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프레임은,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형성되는 스피커부 및 조명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회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조명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타격부 수동 작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발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90 도 간격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연결 홀을 관통하여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타격핀을 가압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이격 영역의 내부에서 승강 및 이탈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상기 제2구동부재가 상기 이격 영역 내부에서 승강 및 이탈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재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은,
    착용 영역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제2격실의 외부 커버를 형성하며 힌지 결합되고, 상기 부력 발생부가 팽창됨에 따라 발생된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발생부는,
    고압 기체의 압력이나 외부 충격에 강한 열가소성우레탄, 압축 PCV 원단 및 압축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은,
    복수의 착용 대상에게 착용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착용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고유 ID가 부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 프레임의 주변 영역으로 전자기장을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자기장 방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17. 삭제
KR1020180078834A 2018-07-06 2018-07-06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KR10194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34A KR101943949B1 (ko) 2018-07-06 2018-07-06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34A KR101943949B1 (ko) 2018-07-06 2018-07-06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949B1 true KR101943949B1 (ko) 2019-01-30

Family

ID=6527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834A KR101943949B1 (ko) 2018-07-06 2018-07-06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0837A (zh) * 2019-11-25 2020-03-27 深圳技术大学 一种自动防溺水救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595B1 (ko) * 2005-04-11 2007-05-15 김정선 구명동의의 해상위치추적을 통한 긴급구조 시스템
KR100870640B1 (ko) * 2008-05-14 2008-11-26 주식회사 브이아이지에스 생활무전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방송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639395A (zh) * 2009-12-04 2012-08-15 A·佐勒卡斯 救生马甲
KR20140026994A (ko) * 2010-07-13 2014-03-06 사이오 소프트, 에스.엘. 선외 낙수자 상황을 위한 선박 위의 패시브 안전 시스템 및 장비
KR20150059334A (ko) * 2013-11-22 2015-06-01 김기준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KR101569880B1 (ko) * 2015-03-31 2015-11-17 넥시스 주식회사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595B1 (ko) * 2005-04-11 2007-05-15 김정선 구명동의의 해상위치추적을 통한 긴급구조 시스템
KR100870640B1 (ko) * 2008-05-14 2008-11-26 주식회사 브이아이지에스 생활무전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방송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639395A (zh) * 2009-12-04 2012-08-15 A·佐勒卡斯 救生马甲
KR20140026994A (ko) * 2010-07-13 2014-03-06 사이오 소프트, 에스.엘. 선외 낙수자 상황을 위한 선박 위의 패시브 안전 시스템 및 장비
KR20150059334A (ko) * 2013-11-22 2015-06-01 김기준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KR101569880B1 (ko) * 2015-03-31 2015-11-17 넥시스 주식회사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0837A (zh) * 2019-11-25 2020-03-27 深圳技术大学 一种自动防溺水救生***
CN110920837B (zh) * 2019-11-25 2020-11-10 深圳技术大学 一种自动防溺水救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5325B2 (en) Water safety garment, related apparatus and methods
US10583904B2 (en) Emergency detection and ascent device for a diver
AU668312B2 (en) A device for warning when a person is submerged beneath water
JP7195926B2 (ja) 水難事故から守るため、特に溺者等を早期に発見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5416530B (zh) 一种救生装置及救生控制方法
KR20190131322A (ko)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WO2017202182A1 (zh) 一种救生绳索装置及救生衣、水上救生设备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KR101943949B1 (ko)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WO2014110632A1 (en) Safety device
CN105026258A (zh) 安全装置和用于该安全装置的适配器
CN105923124B (zh) 一种智能防溺水自救装置
KR101973861B1 (ko) 휴대용 구명장치
KR101919954B1 (ko) 물 감지센서 및 타이머가 장착된 휴대용 구명조끼
KR102322567B1 (ko) 스마트 안전구명조끼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N205022831U (zh) 便捷式自动充气防溺手环
KR101702095B1 (ko) 구명용 에어밴드
CN211076293U (zh) 一种防溺水智能手环
KR102474256B1 (ko) 스마트 구명 장치
CN209080128U (zh) 一种海员防溺水装置
KR102120587B1 (ko) 투척형 장구함이 구비된 자동 팽창 구명장구
CA2720574C (en) Electronic aquatic survival device
CN206068098U (zh) 一种新型的智能防溺水自救装置
KR200260989Y1 (ko) 무인 인명 구조 보트
CN205795067U (zh) 水中报警手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