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146B1 - 교합 스플린트 장치 - Google Patents

교합 스플린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146B1
KR101943146B1 KR1020147029461A KR20147029461A KR101943146B1 KR 101943146 B1 KR101943146 B1 KR 101943146B1 KR 1020147029461 A KR1020147029461 A KR 1020147029461A KR 20147029461 A KR20147029461 A KR 20147029461A KR 101943146 B1 KR101943146 B1 KR 101943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
miniplast
mandibular
positioning
max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566A (ko
Inventor
콘라트 호프만
Original Assignee
콘라트 호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라트 호프만 filed Critical 콘라트 호프만
Publication of KR2014013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상악골 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및 치아의 하악골 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를 포함하고,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가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특히, 수면 무호흡 요법을 위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과 적어도 하나의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22)을 포함하고, 서로를 향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의 상대적 위치는 상악골 및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들(05, 22) 간의 형태 맞춤에 의해 길이 방향 X 및/또는 횡 방향 Y로 규정될 수 있고,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및/또는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수단(15)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위치설정 수단(22a, 22b, 22c)이 동일한 장착 수단(15)에 상호 교체부로서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 간에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상대적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합 스플린트 장치{OCCLUSAL SPLINT ARRANGEMENT}
본 발명은, 교합 스플린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상악골과 하악골 스플린트를 포함하는, 수면 무호흡 요법을 위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면 무호흡 요법을 위해, 교합 스플린트 장치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에 알려져 있다. 이 교합 스플린트 장치들은 기본적으로 아래턱, 혀 근육, 및 연구개가 후방으로 가라앉는 것을 적절한 정도로 제한하여 기도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아래턱에 대한 위턱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특히 적합한 일 실시예는 문헌 DE 103 41 260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치아의 대응하는 열들에 각각 끼워질 수 있는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와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은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접촉면들을 갖는다.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필요한 상대적 위치를 실현하도록, 하나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잠금 핀을 포함하는 조절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상보 잠금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대한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위치는 잠금 핀이 잠금 유도부에 체결된다는 점에서 규정된다.
또한, 전술한 문헌은 대체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조절 디바이스를 갖는다. 상기 조절 디바이스에 의해,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대한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개별적인 위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인용 문헌의 경우에, 이는, 조절 디바이스의 잠금 핀이 조절 스크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상악골과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위치설정이 당해 기술에 알려져 있는 실시예들에 의해 가능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 자체의 각각은 여전히 다양한 단점들이 있다. 또한, 이 실시예들은 불필요하게 복잡한 구조 및 연관된 고 제조 비용에 관련된다. 또한, 먼지가 쌓이기 쉽다는 점은 청소하기 힘든 스폿들에서 특히 단점으로 되며, 따라서, 위생 관점에서 볼 때 문제되며 매번 사용 후마다 대응하는 화학적 청소를 필요로 한다.
US 2011/0155144 A1은 상악골과 하악골 스플린트가 2개의 연결 레버를 통해 연결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를 개시한다. 상부 턱과 하부 턱에 대한 조정은 열가소성의 필러(thermoplastic filler) 재료에 의해 발생한다.
US 6 516 805 B1은 상악골과 하악골 스플린트가 하방으로 연장된 고정 돌출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를 개시한다. 고정 돌출부는 가이딩 그루브(guiding groove)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고정 스크류로 잠겨진다.
US 2005/0028826 A1은 상악골과 하악골 스플린트가 스플린트를 서로에 대해 포지셔닝하기 위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포지셔닝 수단(positioning means)을 갖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를 개시한다. 포지셔닝 수단을 부착하기 위해, 스플린트의 플라스틱에 넣어지는 부착 플레이트가 사용되고, 각각에는 2개의 원형 부착 와이어가 부착된다. 부착 플레이트가 스플린트의 플라스틱 내로 넣어진 후에, 부착 와이어가 스플린트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포지셔닝 수단이 옆으로부터 부착 와이어로 꽃혀진다. 거기에서의 문제는, 포지셔닝 수단을 스플린트에 부착하는 것이 충분히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더욱이, 예를 들어 만약 포지셔닝 수단이 수면 도중 무의식의 턱 운동에 의해 부착 와이어를 이탈하면, 헐거워진 포지셔닝 수단이 삼켜지거나 흡입될 위험이 있고, 이것은 상당한 건강상의 위험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악골과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 간의 완전히 안전한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기존의 실시예들에 비해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기재 내용이다.
교합 스플린트 장치는 특히 수면 무호흡 요법에서 기능을 한다.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본 실시예는 주로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요법에 사용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 실시예를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다른 종류에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교합 스플린트 장치는 치아의 이상 위치의 치료에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밤 등에 이갈이를 방지하기 위한 바이트 스플린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포괄적인 교합 스플린트 장치는, 치아의 상악골 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및 치아의 하악골 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포함한다.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을 서로에 대하여 위치설정하도록,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적어도 하나의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적어도 하나의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점에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 상의 위치설정 수단의 유형, 설계, 및 배치는 초기에는 중요하지 않다. 적어도, 서로에 대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위치설정은 상악골과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들 간의 형태 맞춤(form fit)을 필요로 하며, 이에 의해, 서로에 대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상대적 위치를 길이 방향 및/또는 횡 방향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을 연결함으로써 치아의 열들에 배치되기 전에 입 외부에서 형태 맞춤이 확립되는지 여부도 초기에는 중요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일단 치아의 열들 상에 배치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이 입을 닫음으로써 서로 접촉하게 될 때에만 형태 맞춤이 발생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적어도, 위치설정 수단들 간의 대응하는 형태 맞춤은, 늦어도 치아가 닫혀 서로를 향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상대적 위치가 규정될 때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이 서로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상기 상대적 위치는, 길이 방향, 즉, 환자의 관점에서 볼 때 전방과 후방 연장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혹은 동시에, 횡 방향으로 상대적 위치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약간의 작용(play)이 내부에 제공되는지 여부는 초기에는 중요하지 않다.
전술한 방향에 관하여, 환자의 관점에서 볼 때, 길이 방향은 뒤에서 앞으로 이어지는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며, 수직 방향은 교합면에 대략 수직으로 위치하고, 횡 방향은 대응하여 수직 방향에 수직이며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이어지며, 즉, 환자의 관점에서 볼 때 좌측으로부터 우측(및 반대로)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상악골 및/또는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가 적어도 하나의 장착 수단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그러나, 당해 기술에 알려져 있는 실시예들과는 대조적으로, 위치설정 수단은, 이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상에 존재하는 장착 수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악골과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 간의 서로 다른 상대적 위치를 허용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장착 수단에 고정되는 위치설정 수단이 기하학적으로 상이한 다른 위치설정 수단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이는, 장착 수단에 고정되는 각 위치설정 수단이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개별적인 상대적 위치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장착 수단에 고정된 위치설정 수단을 교체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원칙적으로 교체 가능한 단일 위치설정 수단만이 존재할 수 있는 것처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제2 위치설정 수단이 없는 결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복잡한 조절 디바이스에 의해 상대적 조절에의 적응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하며 오히려 위치설정 수단만이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 수단에 고정되고 필요시 빠르게 교체되는 것이다. 따라서, 복잡성을 최소로 줄일 수 있고, 특히,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을 사용 후마다 화학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더 이상 불필요하다. 대신에, 많은 경우에,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을 간단히 린스하고 가끔 화학적으로 세척하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일단 비상근의 또는 치과의사가 필요한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였다면 대응하는 위치설정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상대적 위치 변화가 필요한 경우에, 필요한 위치설정 수단을 비상근의로부터 환자에게 우편으로 보낼 수 있다. 불완전한 조절일 발생할 수 없으며, 환자는 필요한 위치설정 수단을 장착 수단에 스스로 고정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당해 기술에서는, 비상근의나 치과 의사의 조절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각 비상근의나 치과 의사에게 방문하지 않고서는 환자에 의한 상대적 위치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각 환자에 의해 조절이 어떻게든 수행된다면, 조절이 상당히 불완전할 수 있는 위험성이 뒤따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은 대향하는 접촉면들과 함께 설계된다. 이는 치아가 닫힐 때 접촉면들에서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서로에 대한 대응하는 지지로 이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면들은 바람직하게 교합면에 배치되며, 여기서, 교합면들은 고르도록, 즉, 평평하도록 설계된다.
횡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는 두 개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간의 규정된 상대적 위치를 생성하게끔 상악골과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들 간의 형태 맞춤을 실현하도록,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은,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악골 유도면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악골 유도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점에서, 유도면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되도록 설계되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치아가 닫힐 때 유도면들 간의 그리고 이에 따라 위치설정 수단 간의 형태 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수직이며 중심면에 대략 평행한 유도면들의 대응하는 배향에 의해, 횡 방향으로 상대적 위치를 유리하게 규정할 수 있다.
더욱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부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악골 위치설정 면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은,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부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악골 위치설정 면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위치설정 면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위치설정 면들의 형태 맞춤에 의해, 결국,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상대적 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설정 수단을 유도면들과 위치설정 면들 모두와 함께 설계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상대적 위치를 길이 방향과 횡 방향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또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이 배치되기 전에,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이 위치설정 수단과 접촉하여 형태 맞춤을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먼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 각각을 치아의 대응하는 열들 상에 배치하고 치아가 닫힐 때에만 형태 맞춤이 발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점에서, 치아의 닫힘이 시작될 때 또는 단지 최종적으로 일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이 서로에 대하여 완벽하게 지지하게 되면 형태 맞춤 및 이에 따른 상대적 위치가 발생하는지 여부는 초기에는 중요하지 않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편안한 착용감에 관하여 그리고 필요한 상대적 위치를 보장하도록, 유도면들이 1도 내지 10도의 각도로 수직 방향으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경사지면 특히 유리하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이 횡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중심에서 대향하지 않으면, 유도면들의 이러한 경사는, 치아의 닫힘시 방해받지 않는 닫힘이 여전히 발생할 수 있음을 보장하고,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대응하는 상대적 변위가 횡 방향으로 소망 위치에 있게 되면서 치아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유도면들이 서로 슬라이딩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마찬가지로, 위치설정 면들이 10도 내지 40도의 각도로 수직 방향으로부터 이탈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면 특히 유리하다. 치아가 열릴 때 길이 방향으로 서로를 향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잠재적으로 더욱 큰 이탈에 대응하여, 위치설정 면들의 대응하는 경사도, 치아가 닫힐 때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을 서로를 향하여 유리하게 유도한다. 유도면과 위치설정 면이 수직 방향으로부터 이탈하여 경사지는 방향은, 개방 치아로부터 시작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닫힘 가능성을 고려할 때 당해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에겐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설정 수단은 어금니 영역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상에 배열되도록 의도된다. 이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당 적어도 두 개의 위치설정 수단이 존재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착용하는 환자에게 지나치게 손상을 가하지 않고서 위치설정 수단에 필요한 구조적 공간 또는 각 어금니 공간에서 필요한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점에서, 위치설정 수단들이 치아의 열의 외측에 위치하면 특히 유리하다. 이는, 위치설정 수단들이 치아와 볼 사이에서 볼의 영역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이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의 외부와 정면에 배치되면 수면 무호흡 요법에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유리한 유도면들의 경우에, 이는, 상악골 유도면이 치아의 열들과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결국 볼과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 사이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치아의 상악골 열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향하는 이동으로 치아를 닫을 때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와 치아의 하악골 열을 유도함으로써, 상악골 위치설정 면 앞에 하악골 위치설정 면을 유리하게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위치설정 면들이 유리하게 경사지면 치아를 닫음으로써, 위치설정 면을 따라 전방으로 당겨질 수 있다.
위치설정 수단들이 교합 면 위에 그리고 각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관하여 접촉면 위에 각각 배치되면, 착용이 매우 편안하며 또한 특히 저가 해결책이며 유리한 세척이라는 면에서 유리한 실시예를 보장하게 된다. 이는,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가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과 함께 완전히 교합 면 위에 그리고 접촉 면 위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는,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이 교합 면 위에 그리고 접촉 면 위에 따라서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레벨에서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교합 스플린트 장치에서 상악골 또는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가 위치설정 수단을 일체형으로 포함한다면 특히 비용 효과적인 구현예 및 동시에 쉬운 세척을 보장한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당 두 개의 위치설정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두 개의 연관된 위치설정 수단이 각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일체형 부품으로서 지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식으로,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특히 일체형 구조 때문에, 불필요한 조인트와 크랙이 형성될 수 없으며, 이는 먼지 축적을 최소화한다. 또한, 집적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각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상의 위치설정 수단의 안정성에 유리하게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가 대응되게 단일 재료로 단일 부품으로서 제조되면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이는, 예를 들어, 와이어 보우(wire bows) 등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임베딩되는 강화 요소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 수단을 일체형으로 포함해야 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실제 캐리어와는 다른 재료에 의해 치아의 각 열 상에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치아 리셉터클이 형성되는 실시예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서로 교체 가능하며 서로를 대체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설정 수단에 관하여, 장착 수단에 관한 길이 방향으로 볼 때 위치설정 수단들이 서로를 향하여 다르게 배치되는 위치설정 면들을 가지면 특히 유리하다. 이는, 각 위치설정 수단이 위치설정 면부터 장착 수단까지의 대응하는 개별적인 거리를 갖는다는 점에서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상대적 위치의 변동이 실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위치설정 수단을 스위칭함으로써, 위치설정 면들이 변하게 되고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상대적 위치가 변동하게 된다.
장착 수단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 내에 주조된 센터링 핀(centering pin)을 사용하도록 의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센터링 핀은, 위치설정 수단들의 센터링 및 위치설정 수단들을 위한 잠금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응하여, 교체 가능 위치설정 수단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장착되도록 센터링 핀에 상보적인 센터링 오목부를 갖는다. 예를 들어, 센터링 핀은, 예를 들어, 주조에 의해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에 앵커링될 수 있는 블랭크 시트(blanked sheet) 금속 부품일 수 있다.
센터링 오목부를 갖는 위치설정 수단의 설계에 대응하여, 위치설정 면들은, 서로를 향하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서로 다른 상대적 위치들을 실현하도록 센터링 오목부까지의 서로 다른 거리로 설계된다.
경사진 위치설정 면을 고려하여, 특히, 약간 경사진 유도면과 입 내에서의 마모 특성을 고려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면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을 핀(fin)의 형상으로 설계하도록 의도된다. 이 경우,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은 연관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접촉면에 대하여 하부측과 연결되며, 여기서, 측면 플랭크(flank)의 적어도 일부는 유도면을 형성하고, 정면 에지의 적어도 일부는 위치설정 면을 생성한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예상되는 구조적 크기 및 편안함을 악화시키지 않고서 사용 가능한 가용 공간을 고려할 때,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이 접촉면 위로 5mm 내지 30mm의 높이, 특히, 12mm 내지 18mm의 높이를 가지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점에서,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은 각각의 다른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를 벗어나 약간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상악골과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들 간의 신뢰성 있는 형태 맞춤 및 신뢰성 있는 유도를 보장하게 된다.
유도면의 성형은, 치아를 닫을 시 대응하는 형태 맞춤과 서로에 대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연관이 가능하기만 하다면 초기에는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유도면은 곡선형 또는 평면형일 수 있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규칙적 성형 및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 상의 위치설정 수단의 배치를 고려하고 수직 방향으로부터 이탈되는 약간의 경사를 고려할 때, 유도면들은 바람직하게 주로 고르게 또는 매우 작은 곡률을 갖도록 설계된다.
위치설정 면들의 설계는, 또한, 치아를 닫을 때 위치설정 면들 간의 대응하는 형태 맞춤이 가능하기만 하면 초기에는 중요하지 않다. 위치설정 면들은 곡선형으로 또는 평면으로 설계될 수 있다. 위치설정 면들의 곡선형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으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의 상대적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치아의 닫힘 이동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연관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와 함께 앞에서 대응하여 놓여 있는 위치설정 수단이 초기에 전방으로 향하고 최종적으로 느리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성형이 복잡해질수록 하악골과 상악골 위치설정 면들 간의 상보적 형상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특히, 위치설정 수단의 교체 가능성을 고려할 때, 불리하다. 결국, 이 경우에는 평면 설계가 특히 적합하다.
다음에 따르는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 및 교환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을 위한 가능한 변형예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설계를 위한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도.
도 3은 도 1의 설계를 위한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도.
도 4는 도 1의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도.
도 6은 도 4의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의 도.
도 7은 도 4의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도.
도 8은 교합 스플린트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서로 다른 상대적 위치를 위한 다른 위치설정 수단의 도.
도 10은 위치설정 면의 대체 실시예들의 도.
도 1에는, 예시적인 교합 스플린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측 상의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와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를 포함하는 구조를 볼 수 있다.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는, 치아의 상악골 열 상에 배치되도록 대응하는 치아 리셉터클(03)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는, 대응하여, 치아의 하악골 열 상의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 배치되도록 (아래에 덮여 있는) 치아 리셉터클(13)을 포함한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은 각각 어금니 영역의 양측에 위치설정 수단(05, 22)을 포함한다. 우측 상의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r)과 좌측 상의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l)이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일체형 부품을 형성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22)은, 우측에 대하여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22r) 및 좌측에 대하여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22l)으로서 설계된다. 각 경우에, 이는 센터링 핀(15r, 15l)의 형태로 장착 수단 상에 각각 장착된다.
위치설정 수단들(05, 22)의 각각은 유도면들(07, 24)을 갖는다. 이 유도면들은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을 횡 방향 Y로 서로에 대하여 센터링하고 유도하도록 기능한다. 길이 방향 X로의 위치설정은 대향하는 위치설정 면들(06, 23)에 의해 실현된다.
도 2에는, 이러한 점에서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가 한번 더 도시되어 있다. 환자 치아의 상악골 열 상에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를 배치하기 위한 치아 리셉터클(03)의 배치를 다시 볼 수 있다. 또한, 어금니 영역의 위치설정 수단들(05r, 05l)을 볼 수 있으며, 각각은 유도면(07)과 위치설정 면(06)을 갖는다. 접촉면(04)은, (덮여 있는) 하측 상에 위치하며, 이 경우에는, 평평한 형상을 갖고, 다른 각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 대하여 지지하려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를 도시하며, 치아 리셉터클(13)이 (도 1에서와 같이) (덮여 있는)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예시한 상측은 접촉면(14)을 형성하며, 이 접촉면도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상악골 접촉면(04)에 대하여 당접하려는 것이다.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 간의 상대적 위치는 이 경우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들(22r, 22l)에 의해 실현되며, 이러한 위치설정 수단들의 각각은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에 상보적인 유도면(24) 및 대응하는 상보적인 위치설정 면(23)을 갖는다. 또한,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상의 위치설정 수단(22)의 부착의 개략적인 방식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의 베이스 본체에 앵커링된 센터링 핀들(15l 15r)에 의해 발생한다. 이 경우,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22)은 핀의 방식으로 보이며, 여기서, 센터를 향하는 면은 유도면(24)을 형성하고, 후방을 향하여 높인 핀의 정면 에지는 위치설정 면(23)을 형성한다.
도 4에는, 도 1의 교합 스플린트 장치(01)의 측면도가 다시 도시되어 있다.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접촉면(14)에 대향하는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접촉면들(04)의 배치를 볼 수 있으며, 상기 접촉면들(04)은 치아가 닫힐 때 교합면(09)에 대략 있다. 여기서,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이 완전히 접촉면(04) 위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22)은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대응하는 접촉면(14) 위에 배치되어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평평하게 설계되었지만 수직 방향 Z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진, 위치설정 면들(06, 23)의 설계를 볼 수 있다. 또한(도 1 비교),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22)이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의 외부와 앞에 위치하고 있음을 고려한다. 이러한 식으로, 치아가 닫힐 때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와 따라서 아래 턱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효과적인 수면 무호흡 요법을 보장한다.
도 5에는, 도 4에 더하여,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측면도가 다시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위치설정 면(06)은 횡 방향 Y와 수직 방향 Z로 배향되고,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의 유도면(07)은 길이 방향 X와 수직 방향 Z로 배향되어 있다.
도 4에 더하여, 도 6은, 위치설정 수단(22)을 대응하여 연관된 센터링 핀(15) 상에 배치하도록 센터링 오목부(25)를 갖는 핀의 방식으로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22)을 도시한다. 여기서, 위치설정 수단(22)으로서의 핀의 측면은 유도면(24)을 형성하고, 핀의 정면 에지는 위치설정 수단(22)의 위치설정 면(23)을 형성한다. 또한, 위치설정 면(23)과 센터링 오목부(25) 간의 거리(26)를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이 거리(26)는 서로를 향하는 두 개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12)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도 4에 더하여, 도 7은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를 도시하지만, 연관된 위치설정 수단(22)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장착 수단은 센터링 핀(15)으로서 볼 수 있으며, 이는 접촉면(14)을 벗어나 돌출되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 앵커(16)와 함께 임베딩된다.
또한, 도 8은, 교합 스플린트 장치(01)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교합 스플린트 장치는 좌측에서는 분해도로 우측에서는 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와 상악골 치아 리셉터클(03)의 배치, 및 반대측에서의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와 대응하는 치아 리셉터클(13)의 배치를 볼 수 있다.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은, 대응하는 접촉면들(04, 14)을 각각 갖고, 이러한 접촉면들은 치아가 닫힐 때 교합면(09)에서 서로 지지하게 된다. 유도면들(24)과 접하는 유도면들(07)에 의해 횡 방향 Y로의 상대적 유도를 보장하게 된다. 상기 유도면들(07, 24)은, 19도의 각도로 수직 방향 Z에 관하여 외측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치아를 닫을 때,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22)이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의 접촉면(04)과 충돌하지 않고서 유도면들(07, 24)이 서로 접하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센터링 오목부(25)를 센터링 핀(15) 상에 배치함으로써 교체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22)을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 부착하는 방식을 볼 수 있다.
도 9의 시퀀스는, 본 발명의 핵심인,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와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간의 상대적 배치 가능성을 도시한다. 여기서, 위치설정 면(23)과 센터링 오목부(25) 간의 상대적 거리(26)는 각 경우마다 가변되는데, 짧은 거리(26a)는 도 9a, 중간 길이의 거리(26b)는 도 9b에, 긴 거리(26c)는 도 9c에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위치설정 수단(22)의 위치설정 면(23)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보적 위치설정 면(26)이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은 명백하다. 위치설정 면(23u)의 오목 형상은 도 10a에서 볼 수 있으며, 볼록한 위치설정 면(23v)은 도 10b에서 볼 수 있으며, 경사진 볼록한 위치설정 면(23w)은 도 10c에서 볼 수 있다.

Claims (14)

  1. 치아의 상악골 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및 치아의 하악골 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를 포함하고, 상기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는 상기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 대하여 견딜 수 있되,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은 교합면(09)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고른 접촉면들(04, 14)로 구현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과 적어도 하나의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22)을 포함하고, 서로를 향한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상악골 및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들(05, 22) 간의 형태 맞춤(form fit)에 의해 길이 방향 X 또는 횡 방향 Y로 규정될 수 있되,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12)당 하나의 위치설정 수단(05r, 05l, 22r, 22l)이 각각 어금니 영역의 좌측에 그리고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또는 상기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수단(15)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위치설정 수단(22a, 22b, 22c)이 동일한 장착 수단(15)에 상호 교체부로서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 간에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상대적 위치를 규정할 수 있는, 수면 무호흡 요법을 위한 교합 스플린트 장치(01)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은 상기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 내에 주조됨으로써 앵커링되는 센터링 핀(centering pin; 15)이고, 상기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접촉면을 넘어 위쪽으로 돌출되고, 교환 가능한 상기 위치설정 수단(22)은 상기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에 장착되도록 상기 센터링 핀(15)에 대하여 상보적인 센터링 오목부(25)를 갖고,
    교환 가능한 상기 위치설정 수단(22)은 상기 센터링 오목부(25)를 상기 센터링 핀(15)에 위치시킴에 의해 부착가능하고, 상기 센터링 핀(15)은 상기 위치설정 수단(22)의 센터링과 상기 위치설정 수단(22)의 부착을 동시에 허용하고,
    교환 가능한 상기 위치설정 수단(22)은 핀(fin)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측은 상기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12)의 접촉면(14)과 연결되고, 측면 플랭크의 일부는 유도면(24)을 형성하고 정면 에지의 일부는 위치설정 면(2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은 길이 방향 X로 그리고 수직 방향 Z로 연장되는 상악골 유도면(07)을 갖고, 상기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22)은, 길이 방향 X로 그리고 수직 방향 Z로 연장되는, 상보적인 하악골 유도면(24)을 갖고, 서로를 향하는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유도면들(07, 24)의 형태 맞춤에 의해 횡 방향 Y로 규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은, 횡 방향 Y로 그리고 수직 방향 Z로 연장되는 상악골 위치설정 면(06)을 갖고, 상기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22)은, 횡 방향 Y로 그리고 수직 방향 Z로 연장되는 상보적인 하악골 위치설정 면(23)을 갖고, 서로를 향하는 상기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위치설정 면들(06, 23)의 형태 맞춤에 의해 길이 방향 X로 규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면(07, 24)은 수직 방향 Z로부터 벗어나 1도 내지 10도의 각도(19)로 외부로 경사지고, 또는 상기 위치설정 면(06, 23)은 수직 방향 Z로부터 벗어나 10도 내지 40도의 각도(18)로 전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22)이 상기 상악골 위치설정 수단(05)의 외부와 정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골 및 하악골 위치설정 수단들(05, 22)은 각각 상기 상악골과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들(02, 12)의 각 접촉면(04, 14) 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골 또는 하악골 미니플라스트 스플린트(02, 12)는 상기 위치설정 수단(05)을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8.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교체되는 교환 가능한 상기 위치설정 수단(22)은, 상기 장착 수단(15)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위치설정 면들(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9. 제8항에 있어서, 서로 교체되는 상기 교환 가능한 위치설정 수단(22a, 22b, 22c)은 상기 센터링 오목부(25)에 대한 상기 위치설정 면(23)의 서로 다른 거리(2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0. 제1항에 있어서, 교환 가능한 상기 위치설정 수단(22)은 접촉면(14) 위로 5mm 내지 30mm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 스플린트 장치(01).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7029461A 2012-03-26 2012-03-26 교합 스플린트 장치 KR101943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DE2012/000314 WO2013143511A1 (de) 2012-03-26 2012-03-26 Okklusionsschienen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566A KR20140130566A (ko) 2014-11-10
KR101943146B1 true KR101943146B1 (ko) 2019-01-28

Family

ID=4602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461A KR101943146B1 (ko) 2012-03-26 2012-03-26 교합 스플린트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585785B2 (ko)
EP (1) EP2830550B1 (ko)
JP (1) JP6157583B2 (ko)
KR (1) KR101943146B1 (ko)
AU (1) AU2012375641B2 (ko)
CA (1) CA2866929C (ko)
DE (1) DE112012006109A5 (ko)
DK (1) DK2830550T3 (ko)
ES (1) ES2554517T3 (ko)
HK (1) HK1205673A1 (ko)
HU (1) HUE026225T2 (ko)
PL (1) PL2830550T3 (ko)
PT (1) PT2830550E (ko)
WO (1) WO2013143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692B1 (ko) 2014-03-28 2021-10-22 콘라트 호프만 교합 스플린트 장치
CN105310788B (zh) * 2014-08-07 2018-08-17 沈刚 一种刺激下颌前导、抑制上颌生长的矫形装置
US10010313B2 (en) 2015-05-18 2018-07-03 Richard L. Arden Mandibular subluxation device and method
US10258319B2 (en) 2015-05-18 2019-04-16 Richard L. Arden Airway assist device and method
USD756520S1 (en) * 2015-05-28 2016-05-17 Respire Medical Holdings, LLC Oral sleep appliance lower component
USD756521S1 (en) * 2015-05-28 2016-05-17 Respire Medical Holdings, LLC Oral sleep appliance upper component
US10342526B2 (en) 2015-07-01 2019-07-09 Richard L. Arden Airway assist device and method
WO2017132638A1 (en) * 2016-01-29 2017-08-03 ProSomnus Sleep Technologies, Inc. Fin sleeves for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206880919U (zh) * 2016-03-30 2018-01-16 奥温特斯医疗有限公司 用于提供呼吸辅助的设备
US20180024530A1 (en) * 2016-07-22 2018-01-25 ProSomnus Sleep Technologies, Inc. Computer aided design matrix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devices
IT201600082134A1 (it) * 2016-08-04 2018-02-04 Leone Spa Dispositivo di avanzamento mandibolare, processo per la realizzazione di un apparecchio per l’avanzamento mandibolare e relativo apparecchio realizzato.
EP3522820B1 (en) * 2016-10-05 2021-08-11 Panthera Dental Inc. Set of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s with adjustable advancement, kit for mandibular advancement and method of adjusting mandibular advancement using same
US20200121493A1 (en) * 2016-12-27 2020-04-23 Mitsui Chemicals, Inc. Mouthpiece
EP3216430B1 (en) * 2017-06-05 2019-11-13 Laboratorio Ortoplus, S.L. Intra-oral device for mandibular adjustment
EP3893801A4 (en) * 2018-12-11 2022-01-26 Gary B. Wiele ARRANGEMENT AND TREATMENT PROCEDURE FOR PROVIDING NON-INVASIVE CONTROLLED POSITIONING AND MOVEMENT OF A PATIENT'S JAW
USD888249S1 (en) * 2019-01-15 2020-06-23 Ryan Bruss Mouthguard
KR102153429B1 (ko) 2019-01-17 2020-09-08 김효정 턱관절 치료용 장치
US11369510B2 (en) 2019-02-15 2022-06-28 Steven Wen-Ku Huang Dental appliance
US11484435B2 (en) * 2019-11-15 2022-11-01 Raghavendra Vitthalrao GHUGE Dynamic mandibular and lingual repositioning devices, controller station, and methods of treating and/or diagnosing medical disorders
USD932626S1 (en) * 2020-05-13 2021-10-05 ProSomnus Sleep Technologies, In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comfort bumps
USD955583S1 (en) * 2020-08-24 2022-06-21 Sleeping Well Llc Oral appliance
JP1721736S (ja) * 2021-04-30 2022-08-05 シェル矯正用具
WO2023279040A1 (en) * 2021-07-02 2023-01-05 Ghuge Raghavendra Vitthalrao Maxillary and mandibular devices that increase the smallest concentric airway cross-sectional area of a user for improvements during physical activities
USD1019955S1 (en) * 2022-07-19 2024-03-26 Ortho Solutions, LC Oral sleep appliance
USD1019956S1 (en) * 2022-07-19 2024-03-26 Ortho Solutions, LC Oral sleep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9137A (ja) * 1998-07-06 2002-07-02 リチャード・ジョージ・パルミサノ 下顎前進装置
US6516805B1 (en) 1993-09-29 2003-02-11 W. Keith Thornto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snoring and improved breathing during sleep
EP2157945A1 (en) 2007-05-17 2010-03-03 Michael Stubbs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20110155144A1 (en) 2008-09-06 2011-06-30 Winfried Tousssaint Adjustable mandibular protrusion splint for treat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69820C (nl) * 1979-05-09 1982-09-01 Gaba Bv Inrichting voor het behandelen van een gebit.
US6729335B1 (en) * 1993-04-13 2004-05-04 Silent Knights Ventures Inc.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20050028826A1 (en) 2001-03-07 2005-02-10 Palmisano Richard Georg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JP3589456B2 (ja) * 2002-08-19 2004-11-17 優一郎 河原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DE10341260B4 (de) 2003-09-04 2005-11-24 Konrad Hofmann Okklusionsschienenanordnung
JP4936061B2 (ja) * 2007-07-24 2012-05-23 晃 北村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S1069826Y (es) * 2008-07-17 2009-09-04 Carlos Villafranca Felix De Dispositivo de avance mandibular mejorado
US8215312B2 (en) * 2009-07-07 2012-07-10 Charles Garabadian Therapeutic mouthpiece for treating sleep disorders
DE102011003557B9 (de) * 2011-02-03 2012-09-06 Sirona Dental Systems Gmbh Bohrschablone für ein dentales Implantat,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Bohrschablone sowie eine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der Bohrschablone und deren Verwend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6805B1 (en) 1993-09-29 2003-02-11 W. Keith Thornto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snoring and improved breathing during sleep
JP2002519137A (ja) * 1998-07-06 2002-07-02 リチャード・ジョージ・パルミサノ 下顎前進装置
EP2157945A1 (en) 2007-05-17 2010-03-03 Michael Stubbs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20110155144A1 (en) 2008-09-06 2011-06-30 Winfried Tousssaint Adjustable mandibular protrusion splint for treat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0550B1 (de) 2015-08-26
CA2866929A1 (en) 2013-10-03
EP2830550A1 (de) 2015-02-04
HUE026225T2 (en) 2016-06-28
JP2015511513A (ja) 2015-04-20
ES2554517T3 (es) 2015-12-21
US20150157491A1 (en) 2015-06-11
JP6157583B2 (ja) 2017-07-05
AU2012375641B2 (en) 2015-09-10
HK1205673A1 (en) 2015-12-24
DE112012006109A5 (de) 2014-12-18
KR20140130566A (ko) 2014-11-10
US9585785B2 (en) 2017-03-07
PL2830550T3 (pl) 2016-03-31
NZ630638A (en) 2016-08-26
WO2013143511A1 (de) 2013-10-03
AU2012375641A1 (en) 2014-10-30
CA2866929C (en) 2018-08-07
DK2830550T3 (en) 2015-12-07
PT2830550E (pt)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146B1 (ko) 교합 스플린트 장치
US8517029B2 (en) Device for treating night time breathing problems
ES2346704T3 (es) Aparato intraoral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del sueño.
US20170304107A1 (en) Oral appliance fixed to lower teeth
KR100856672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교정구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JP2009539559A (ja) いびきおよび睡眠時無呼吸の処置のための口腔装置
KR20170030015A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US20130269712A1 (en) Adjustable bite plane appliance
KR101481801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CN213588537U (zh) 一种加强无托槽隐形矫治技术磨牙支抗的复合装置
BRMU8902352Y1 (pt) braquete autoligável reversível de baixo perfil com dupla trava
US20180036164A1 (en) Therapeutic dental appliance
CN208725923U (zh) 一种调节式牙颌矫治器
NZ630638B2 (en) Occlusion splint arrangement
KR200467349Y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용 치아기구
KR101319924B1 (ko) 치열교정기
CN220158425U (zh) 一种活动正畸基牙调整装置
CN215079974U (zh) 一种下颌前导装置
KR102582975B1 (ko) 블럭형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CN219480379U (zh) 牙齿矫正附件及矫正***
AU2016203236A1 (en) A mandibular advancement apparatus for sleep apnoea
KR20190002860U (ko) 코골이 방지기구
KR101572127B1 (ko)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