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312B1 -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312B1
KR101940312B1 KR1020170147252A KR20170147252A KR101940312B1 KR 101940312 B1 KR101940312 B1 KR 101940312B1 KR 1020170147252 A KR1020170147252 A KR 1020170147252A KR 20170147252 A KR20170147252 A KR 20170147252A KR 101940312 B1 KR101940312 B1 KR 10194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orce
suction
electrolytic solution
main body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림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림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림이피
Priority to KR102017014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91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Cleaning battery or cell casings
    • H01M2/36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는, 전원 인가시 회전하는 팬모터 또는 진공펌프가 내장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으로 용접틈새에 있는 전해액을 흡입하는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전해액을 수용하는 전해액 집진부; 및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본체의 흡입력을 점차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흡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Electrolyte forced removal device using vacuum suction}
본 발명은 전해액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해연마를 진행한 열처리 챔버의 용접틈새에 남아있는 전해액을 고압의 진공흡입을 통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연마(Electro polishing)는 금속 제품의 표면에서 전기분해를 일으켜, 금속 제품의 표면을 연마하는 방법이다.
전해연마를 이용하여 금속 제품을 연마하기 위해서는 전해조에 전해액(電解液)을 채우고, 연마하고자 하는 금속 제품을 양극(+)으로 설치하고, 전해액에 용해하지 않는 음극(-)을 설치한 다음에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원을 인가하면, 금속 제품이 강제적으로 조금씩 용해되면서 양극으로부터 용해된 금속이온을 다량 함유한 고점도 액체층(점성층)이 양극을 둘러싸게 되어 금속이온으로 포화된 점성층에서는 더 이상 금속이 용해되지 않고 높은 양극 전위를 형성하므로 산소와 활발히 결합하여 산화물 피막을 형성한다.
이때, 용해된 금속이온은 금속 표면의 오목한 부분에 주로 축적되며, 오목한 부분에서는 금속이온의 이동과 확산이 적어 전기가 잘 통하지 않으므로 금속이 용해되지 않는다. 반면, 금속 표면의 볼록 부분에서는 금속 이온층이 얇게 형성되므로 전류가 집중되어 금속 표면을 쉽게 용해시켜, 전체적으로 제품 표면을 평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금속 표면에 거울 같은 광택면을 얻을 수 있어 외관이 양호하고, 내식성이 향상되며, 금속표면에 미세하게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며, 부동태화, 평활성, 세정성, 부착물의 박리성, 청정도가 향상되어 주로 반도체 열처리 챔버, 반도체용 고순도 약품 저장용 탱크나 드럼, 제약 등 정밀화학 분야의 반응 탱크 및 식품관련 저장조 등에 주로 사용한다.
한편, 도 1 및 도 1a는 전해연마 작업이 진행된 열처리 챔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1a에는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부품을 열처리하는 열처리 챔버가 도시되어 있다.
열처리 챔버는 내부에서 가공물을 고온처리하는 작업을 진행하므로, 작업과정에서 열처리 챔버 자체가 수축 및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열처리 챔버의 외부면에는 수축 및 팽창의 반복으로 인한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부위를 연속적으로 용접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피치용접을 하여 열처리 챔버를 제작한다.
이와 같은 열처리 챔버는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도록 전해연마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해 연마할 경우 전해액이 용접구간 사이에 존재하는 틈(10)에 스며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용접구간 사이의 틈(10)에 스며든 전해액은, 아주 조금씩 오랜 시간동안 외부로 유출되므로 세척 및 중화작업을 거치더라도 틈새에 스며든 전해액을 완전히 제거하기 힘들다. 전해액은 황산, 인산 등과 같은 강산성 성분이 많으므로 전해액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을 경우 흘러나온 강산성 성분이 틈새에 고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용접된 부위에 부식이 발생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종래에는 틈새에 스며든 전해액을 제거하기 위해 틈(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열처리 챔버의 위치를 변경시키고 자연 배출되는 과정을 진행하였으나, 이는 작업시간을 지연시키면서도 전해액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183219호의 "전해액 침투 방지를 위한 전해연마 대상물의 보호 마스킹 부재"는, 전해액의 침투 방지를 위한 보호 마스킹 부재를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전해 연마를 피해야 할 부분에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 한계가 있다.
KR 10-1183219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소정의 주기마다 흡입력을 점차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면서 용접틈새에 스며들어 있는 전해액을 흡입할 수 있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흡입노즐의 하부의 흡착판이 가요성 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흡착판에 복수의 타원형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열처리 챔버의 용접틈새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인가시 회전하는 팬모터 또는 진공펌프가 내장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으로 용접틈새에 있는 전해액을 흡입하는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전해액을 수용하는 전해액 집진부 및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본체의 흡입력을 점차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흡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는 전해액을 중화시키기 위한 중화액이 수용되는 중화액 탱크 및 상기 흡입노즐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화액 탱크로부터 튜브를 통해 상기 중화액을 제공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흡입력 제어부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본체의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시키거나, 선형적(linear)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흡입력 제어부는 흡입력 증가구간에서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본체의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흡입력 증가구간 이후의 흡입력 감소구간에서는 상기 본체의 흡입력을 선형적(linear)으로 감소시키되, 상기 흡입력 증가구간 및 상기 흡입력 감소구간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흡입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흡입노즐은 하부의 흡착판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열처리 챔버의 용접틈새에 밀착되어 전해액을 흡입함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반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타원형 돌기 및 타원형 돌기 사이마다 흡입영역이 형성되되 상기 흡입영역에는 복수의 흡입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타원형 돌기는 외곽방향에 형성된 타원형 돌기일수록 돌출길이가 점점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는, 소정의 주기마다 흡입력을 점차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면서 흡입력을 조절하여, 용접틈새에 스며들어 있는 전해액을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는 흡입노즐의 하부의 흡착판이 가요성 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흡착판에 복수의 타원형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열처리 챔버의 용접틈새에 용이하게 밀착됨으로써 전해액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타원형 돌기 중 외곽에 위치한 타원형 돌기일수록 돌기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므로, 용접틈새 주변이 굴곡진 형태이더라도 타원형 돌기에 의해 용접틈새 주변을 보다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된 돌기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물체와 접촉할 때 유연하게 굽어지면서 물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므로 밀폐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및 도 1a는 전해연마 작업이 진행된 열처리 챔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의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흡입노즐(200)이 용접틈새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의 사시도
도 3a는 플러그(612)의 구성도
도 4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의 흡입노즐(200)의 저면도
도 4a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의 흡입노즐(200)의 단면도
도 5는 내지 도 5c는 흡입력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흡입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의 개념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흡입노즐(200)이 용접틈새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는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는, 본체(100), 흡입노즐(200), 전해액 집진부(300), 흡입력 제어부(400), 중화액 탱크(500), 분사노즐(600)을 구비한다.
참고적으로, 중화액 탱크(500) 및 분사노즐(600)은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해액 집진부(300), 흡입력 제어부(400) 및 중화액 탱크(5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전해액 집진부(300) 및 중화액 탱크(500)는 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본체 외부에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는 전원 인가시 회전하는 팬모터 또는 진공펌프가 내장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본체(100)에는 0 RPM ~ 150,000 RPM 범위에서 가변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팬모터가 구비되어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150,000 RPM 에 근접한 속도로 팬모터가 회전할 경우 팬모터가 과열되어 동작시킬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2000 RPM ~ 120,000 RPM 범위 내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0)는 전해액 등과 같은 산성 물질과, 중화액 등과 같은 알카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팬모터 대신에 로터, 베인, 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로터리 베인 펌프(Rotary Vane Pump)나, 로터리 피스톤 펌프(Rotary Piston Pump), 로터리 기어펌프, 피스톤 펌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본체(100)에 내장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흡입노즐(200)은 본체(100)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으로 용접틈새에 있는 전해액을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흡입노즐(200)의 하부의 흡착판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므로, 열처리 챔버의 용접틈새에 밀착됨으로써 본체(100)에서 발생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틈새의 전해액을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흡입노즐(200)의 하부의 흡착판은 가요성 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열처리 챔버의 용접틈새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전해액 집진부(300)는 흡입노즐(200)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전해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외부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전해액 집진부(300)는 산성 및 알카리성에 내부식성을 가진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입노즐(200)의 일단에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관(730)과, 연장관(730)과 본체(100)를 연결하는 흡입호스(720)를 통해 전해액이 전해액 집진부(300)로 전달된다. 전해액은 강산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중화액 탱크(500)로부터 알카리성 중화액이 전해액 집진부(300)로 자동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해액 집진부(300)에는 전해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산도측정센서가 배치되므로, 수용되는 전해액의 양과 산도(PH)가 자동 감지된 후, 수용된 전해액의 양과 산도에 비례하는 양의 알카리성 중화액이 중화액 탱크(500)로부터 자동 공급될 수 있다.
흡입력 제어부(400)는 소정의 주기마다 본체(100)의 흡입력을 점차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흡입력 제어부(400)는 조작부(710)를 통해 직접 흡입력이 제어될 수 있으며, 조작부(710)가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흡입패턴에 따라 흡입력이 자동 조절될 수 있다. 흡입패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중화액 탱크(500)는 전해액을 중화시키기 위한 중화액이 수용된다. 전해액은 강산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중화액은 알카리성 성분을 포함하여 산성 성분을 중화시킨다.
즉, 흡입노즐(200)에 일측에는 중화액 분사노즐(600)이 배치되는데, 분사노즐(600)은 중화액 탱크(500)로부터 튜브(610)를 통해 중화액을 제공받아 분사한다.
한편, 흡입노즐(200)은 용접틈새에 있는 전해액을 흡입하는데, 흡입노즐(200)의 일측에 중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600)이 구비되므로, 중화액에 의해 흡입되는 전해액을 중화시키면서 흡입되는 액체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튜브(610)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플러그(611, 61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3a는 플러그(612)의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플러그(612)는 흡입노즐(200)에 직접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중화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오링(612-1)과, 체결을 유지하기 위한 나사산(612-1)이 형성된다.
도 4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의 흡입노즐(200)의 저면도이고, 도 4a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1)의 흡입노즐(200)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4a를 참조하면, 흡입노즐(200)의 하부에 배치된 흡착판(21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므로, 가요성 성질에 의해 열처리 챔버의 용접틈새에 밀착되면서 전해액을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흡입노즐(200)의 흡착판(21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흡착판(210)은 복수의 타원형 돌기(211, 212, 213, 214, 215)와, 복수의 흡입 개구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타원형 돌기(211, 212, 213, 214, 215)는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반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구조, 즉 동심원 형태의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타원형 돌기(211)가 가장 중심에 형성되고, 제2 타원형 돌기(212)가 제1 타원형 돌기(211)를 감싸면서 외곽에 형성되고, 제3 타원형 돌기(213)가 제2 타원형 돌기(212)를 감싸면서 외곽에 형성되고, 제4 타원형 돌기(214)가 제3 타원형 돌기(213)를 감싸면서 외곽에 형성되고, 제5 타원형 돌기(215)가 제4 타원형 돌기(214)를 감싸면서 외곽에 형성된다.
또한, 타원형 돌기 사이마다 흡입영역(A1, A2, A3, A4, A5)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흡입영역(A1), 제2 흡입영역(A2), 제3 흡입영역(A3), 제4 흡입영역(A4) 및 제5 흡입영역(A5)이 타원형 돌기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흡입영역(A1, A2, A3, A4, A5)에는 복수의 흡입 개구부(220)가 형성되므로, 본체(100)에서 제공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전해액을 흡입한다.
복수의 타원형 돌기(211, 212, 213, 214, 215)는, 외곽방향에 형성된 타원형 돌기일수록 돌출길이가 점점 더 길게 형성된다.
즉, 가장 중심에 형성된 제1 타원형 돌기(211)의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되고, 제2 타원형 돌기(212)가 제1 타원형 돌기(21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제3 타원형 돌기(213)가 제2 타원형 돌기(21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제4 타원형 돌기(214)가 제3 타원형 돌기(213)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제5 타원형 돌기(215)가 제4 타원형 돌기(214)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타원형 돌기(211, 212, 213, 214, 215)는 가요성 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므로, 유연하게 이동하면서 용접틈새 주변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타원형 돌기(211, 212, 213, 214, 215) 중 외곽에 위치한 타원형 돌기일수록 돌기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므로, 용접틈새 주변이 굴곡진 형태이더라도 타원형 돌기에 의해 용접틈새 주변을 보다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된 돌기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물체와 접촉할 때 유연하게 굽어지면서 물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므로 밀폐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각 타원형 돌기 사이마다 형성된 흡입영역(A1, A2, A3, A4, A5)의 흡입 개구부(220)에 의해 각각의 흡입영역마다 독립적인 흡입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타원형 돌기에 의해서 흡입영역이 구분되므로, 용접틈새 주변이 굴곡지더라도 적어도 어느 하나의 흡입영역이 용접틈새 주변에 밀착될 수 있다.
각각의 흡입영역(A1, A2, A3, A4, A5)에는 중화액 분사노즐(600)이 배치되는데, 분사노즐(600)은 중화액 탱크(500)로부터 튜브(610)를 통해 중화액을 제공받아 분사한다.
즉, 흡입노즐(200)은 용접틈새에 있는 전해액을 흡입하는데, 흡입노즐(200)의 일측에 중화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600)이 구비되므로, 중화액에 의해 흡입되는 전해액을 중화시키면서 흡입되는 액체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중화액 분사노즐(600)은 튜브(610)를 통해 중화액 탱크(500)와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의 흡입력 또는 배출력까지 동시에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밸브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력은 모터가 정회전할 때 발생하고, 배출력은 역회전할 때 발생하는 힘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배출력이 발생할 경우, 중화액은 배출력에 의해서 더욱 강하게 분사되므로 복수의 타원형 돌기(211, 212, 213, 214, 215)도 외곽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후 모터의 흡입력이 바로 작용할 경우, 흡착판(210)과 대상물과의 밀착력이 강화(진공도 강화)되어 흡입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참고적으로, 각각의 흡입영역(A1, A2, A3, A4, A5)에는 산도측정을 통해 전해액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전해액 감지센서(70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전해액 감지센서(700)는 전해액을 감지한 후, 그 감지결과를 흡입력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 감지센서(700)에서 전해액을 감지할 경우, 해당 흡입영역(A1, A2, A3, A4, A5)에 배치된 분사노즐(600)에서 전해액의 산도에 비례하여 중화액의 분사량이 자동 증가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중화액 분사노즐(600) 및 전해액 감지센서(700)는 흡입영역(A1, A2, A3, A4, A5)마다 하나씩 배치되는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중화액 분사노즐(600) 및 전해액 감지센서(700)의 배치 개수 및 위치는 실시예마다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내지 도 5c는 흡입력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흡입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흡입력 제어부(400)는 조작부(710)가 제1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흡입패턴에 따라 흡입력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즉, 흡입력 제어부(400)는 소정의 주기마다 본체(100)의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 - 회전수를 지수적으로 증가 - 시키거나, 선형적(linear)으로 감소 - 모터의 회전을 정지함 - 시키면서 전해액을 흡입한다.
예를 들면, 흡입력 제어부(400)는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에서는 소정의 주기마다 본체(100)의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시키고, 흡입력 증가구간 이후의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에서는 본체(100)의 흡입력을 선형적(linear)으로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흡입력 증가구간 및 흡입력 감소구간은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 흡입력을 선형적(linear)으로 감소시킨다.
이때, 각각의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은 모두 동일한 시간을 가지며, 각각의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도 모두 동일한 시간을 가진다. 참고적으로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 동안 분사노즐(600)로부터 중화액이 자동 분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흡입력 제어부(400)는 조작부(710)가 제2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흡입패턴에 따라 흡입력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즉, 흡입력 제어부(400)는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에서는 소정의 주기마다 본체(100)의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시키고,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 이후의 흡입력 감소구간에서는 본체(100)의 흡입력을 선형적(linear)으로 감소시키되,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 및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흡입력의 최대값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은 모두 동일한 시간을 가지며, 각각의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도 모두 동일한 시간을 가진다. 참고적으로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 동안 분사노즐(600)로부터 중화액이 자동 분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흡입력 제어부(400)는 조작부(710)가 제3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흡입패턴에 따라 흡입력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즉, 흡입력 제어부(400)는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에서는 소정의 주기마다 본체(100)의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시키고,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 이후의 흡입력 감소구간에서는 본체(100)의 흡입력을 선형적(linear)으로 감소시키되,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 및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흡입력의 최대값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은 동작이 진행될수록 점점 더 짧은 시간이 부여되며, 각각의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은 동작이 진행될수록 점점 더 긴 시간이 부여된다. 참고적으로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 동안 분사노즐(600)로부터 중화액이 자동 분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흡입력 제어부(400)는 조작부(710)가 제4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흡입패턴에 따라 흡입력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즉, 흡입력 제어부(400)는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에서는 소정의 주기마다 본체(100)의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 또는 로그함수 형태로 증가시키고,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 이후의 흡입력 감소구간에서는 본체(100)의 흡입력을 선형적(linear)으로 감소시키되,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 및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흡입력의 최대값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흡입력 증가구간(RP1, RP2, RP3, RP4)은 동작이 진행될수록 점점 더 짧은 시간이 부여되며, 각각의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은 동작이 진행될수록 점점 더 긴 시간이 부여된다.
여기에서 제1 흡입력 증가구간(RP1)의 흡입력은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하고, 제2 흡입력 증가구간(RP2)의 흡입력은 로그함수 형태로 증가한다. 또한, 제3 흡입력 증가구간(RP3)의 흡입력은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하고, 제4 흡입력 증가구간(RP4)의 흡입력은 로그함수 형태로 증가한다. 참고적으로 흡입력 감소구간(PP1, PP2, PP3, PP4) 동안 분사노즐(600)로부터 중화액이 자동 분무될 수 있다.
한편, 흡입력 제어부(400)는 조작부(710)가 풀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전해액 감지센서(700)의 감지결과를 제공받아 흡입패턴을 자동제어한다.
즉, 풀 자동모드에서 흡입력 제어부(400)는 소정의 흡입력을 일정시간 동안 유지한 후, 그 일정시간 중 전해액 감지센서(700)에서 전해액을 감지한 기간을 파악한다. 소정의 흡입력을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는 동안 전해액이 나오면 이때 전해액 감지센서(700)가 전해액을 감지하게 되는데, 그 전해액을 감지하는 기간(시간)이 길수록 많은 전해액이 존재한다고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흡입력을 조절하게 된다.
흡입력 제어부(400)는 전해액을 감지한 기간을 소정의 기준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면 0초 ~ 5초 미만, 5초 이상 ~ 10초 미만, 10초 이상 ~ 15초 미만, 15초 이상으로 구분한 후,
0초 ~ 5초 미만에서는 제4 자동모드로 동작하고, 5초 이상 ~ 10초 미만에서는 제3 자동모드로 동작하고, 10초 이상 ~ 15초 미만에서는 제2 동작모드로 동작하고, 15초 이상에서는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흡입력 제어부(400)는 소정의 기간 동안 흡입동작을 진행한 후, 다시 소정의 흡입력을 일정시간 동안 유지한 후, 그 일정시간 중 전해액 감지센서(700)에서 전해액을 감지한 기간을 다시 파악하여 제1 내지 제4 자동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자동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는, 소정의 주기마다 흡입력을 점차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면서 흡입력을 조절하여, 용접틈새에 스며들어 있는 전해액을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
200 : 흡입노즐
211 : 제1 타원형 돌기
212 : 제2 타원형 돌기
213 : 제3 타원형 돌기
214 : 제4 타원형 돌기
215 : 제5 타원형 돌기
220 : 흡입 개구부
300 : 전해액 집진부
400 : 흡입력 제어부
500 : 중화액 탱크
600 : 분사노즐
610 : 튜브
611, 612 : 플러그
700 : 전해액 감지센서
710 : 조작부
720 : 흡입호스
730 : 연장관
A1 : 제1 흡입영역
A2 : 제2 흡입영역
A3 : 제3 흡입영역
A4 : 제4 흡입영역
A5 : 제5 흡입영역

Claims (6)

  1. 전원 인가시 회전하는 팬모터 또는 진공펌프가 내장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으로 용접틈새에 있는 전해액을 흡입하는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전해액을 수용하는 전해액 집진부; 및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본체의 흡입력을 점차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흡입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액 집진부는 전해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산도측정센서가 배치됨으로서 수용되는 전해액의 양과 산도(PH)가 자동으로 감지된 후, 수용된 전해액의 양과 산도에 비례하는 양의 알카리성 중화액이 자동공급되고,
    상기 흡입노즐은, 하부의 흡착판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열처리 챔버의 용접틈새에 밀착되어 전해액을 흡입하되, 상기 흡착판은 같은 중심을 가지며 반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타원형 돌기; 및 타원형 돌기 사이마다 흡입영역이 형성되되 상기 흡입영역에는 복수의 흡입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원형 돌기는 외곽방향에 형성된 타원형 돌기일수록 돌출길이가 점점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해액을 중화시키기 위한 중화액이 수용되는 중화액 탱크; 및
    상기 흡입노즐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화액 탱크로부터 튜브를 통해 상기 중화액을 제공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 제어부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본체의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시키거나, 선형적(linear)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 제어부는,
    흡입력 증가구간에서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본체의 흡입력을 지수적(exponential)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흡입력 증가구간 이후의 흡입력 감소구간에서는 상기 본체의 흡입력을 선형적(linear)으로 감소시키되,
    상기 흡입력 증가구간 및 상기 흡입력 감소구간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흡입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70147252A 2017-11-07 2017-11-07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KR10194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52A KR101940312B1 (ko) 2017-11-07 2017-11-07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52A KR101940312B1 (ko) 2017-11-07 2017-11-07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312B1 true KR101940312B1 (ko) 2019-01-18

Family

ID=6532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252A KR101940312B1 (ko) 2017-11-07 2017-11-07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8838A (zh) * 2020-05-20 2020-09-18 超威电源集团有限公司 采集agm隔板中电解液的装置及获得电解液密度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231Y2 (ja) * 1990-08-08 1996-12-11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車輌清掃用掃除機
KR20020082983A (ko) * 2001-04-24 2002-11-01 장 조 원 분출을 이용하여 흡입능력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
KR20070101002A (ko) * 2006-04-10 2007-10-16 이바도 위성 방식의 청소로봇 시스템
KR101183219B1 (ko) 2011-08-30 2012-09-14 (주)한국마루이 전해액 침투 방지를 위한 전해연마 대상물의 보호 마스킹 부재
KR101749303B1 (ko) * 2016-09-25 2017-06-21 (주) 미래이피 진공챔버의 틈새 세척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231Y2 (ja) * 1990-08-08 1996-12-11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車輌清掃用掃除機
KR20020082983A (ko) * 2001-04-24 2002-11-01 장 조 원 분출을 이용하여 흡입능력을 향상시킨 진공청소기
KR20070101002A (ko) * 2006-04-10 2007-10-16 이바도 위성 방식의 청소로봇 시스템
KR101183219B1 (ko) 2011-08-30 2012-09-14 (주)한국마루이 전해액 침투 방지를 위한 전해연마 대상물의 보호 마스킹 부재
KR101749303B1 (ko) * 2016-09-25 2017-06-21 (주) 미래이피 진공챔버의 틈새 세척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8838A (zh) * 2020-05-20 2020-09-18 超威电源集团有限公司 采集agm隔板中电解液的装置及获得电解液密度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312B1 (ko) 진공흡입을 이용한 전해액 강제 제거장치
US5571389A (en) Device for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especially the local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conductive substrate
RU2689222C1 (ru) Моечно-очистительное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еремещения по поверхности (варианты)
JP6876457B2 (ja) ポンプ、ポンプを有する家庭用電気器具、及びかかる家庭用電気器具を作動するための方法
UA64032C2 (uk) Спосіб очищення і/або покриття поверхні, що проводить електрику, апарат для його здійснення (варіанти) та анодний пристрій
JP2018532514A (ja) イオントフォレシスによってユーザーの皮膚に分配されることとなる製剤を塗布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9863056B2 (en) Device for electrochemical treatment, locally in particular, of a conductor substrate
KR101546209B1 (ko) 크렌징 및 수소수 공급 기능을 갖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피부케어장치
CA3157412A1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 rotatable brush roller of a cleaning appliance, and cleaning system
ES2284536T3 (es) Maquina para la limpieza localizada con celula electrolitica y/o de ultrasonidos para decapado y/o pulido.
US20210387024A1 (en) Body cavity insertable ultrasound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circulation of ultrasound transmission medium
JP2003111725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2947270B1 (ja) 金属製中空体の内面研磨方法及び研磨装置
JP2009172861A (ja) 塗液供給装置
JP2006296444A (ja) 治療用電極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95960B2 (ja) 製剤の欠乏を測定するための手段を含む、イオン導入法によってユーザの皮膚上に分配される製剤を塗布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対応する方法
JP5490470B2 (ja) ノズル洗浄装置
JPS63153293A (ja) 加工物の表面処理方法
JP2005169312A (ja) 液体材料塗布方法及び装置
KR102052997B1 (ko)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JP5358363B2 (ja) ノズル処理装置
JP2022084297A (ja) 電解研磨装置及び電解研磨方法
KR101009965B1 (ko) 배기 조절 장치
JP4182394B2 (ja) 洗浄装置およびその洗浄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JP3965245B2 (ja) 酸素検出素子の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