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112B1 - 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charging volt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charging volt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112B1
KR101940112B1 KR1020170037936A KR20170037936A KR101940112B1 KR 101940112 B1 KR101940112 B1 KR 101940112B1 KR 1020170037936 A KR1020170037936 A KR 1020170037936A KR 20170037936 A KR20170037936 A KR 20170037936A KR 101940112 B1 KR101940112 B1 KR 10194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fibrillator
discharging
discharg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8332A (en
Inventor
김형식
이정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112B1/en
Publication of KR20180108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3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1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6Heart defibrilla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hockwave
    • A61N1/3912Output circuitry therefor, e.g.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18Heart defibrillators characterised by shock pathway, e.g. by electrode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A61N1/3981High voltage charging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전압의 조절이 가능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식 스위치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와 같은 구성을 부가하여 고용량 고전압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전압의 조절이 가능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전극부,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방전하는 방전부 및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부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의 수준이 목표한 수준에 근접하게 방전하도록 제어하고,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부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모두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a charging voltag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a charging volt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ibrillator having a configuration such as an electronic switch or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To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so as to be adjustabl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a charging voltage includes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an electrode unit for outputting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Based on a first signal, and controls the discharging unit to discharge the level of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close to a target level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he discharging unit controls the discharg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all the discharge cells.

Description

충전전압의 조절이 가능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CHARGING VOLT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a charging voltag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ibrillator,

본 발명은 충전전압의 조절이 가능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식 스위치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와 같은 구성을 부가하여 고용량 고전압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a charging voltag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a charging volt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ibrillator having a configuration such as an electronic switch or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To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so as to be adjustabl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제세동기(Defibrillator)는 사망(돌연사)을 유발할 수 있는 심장의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심실이 수축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고 미세하게 움직이는 상태),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급작스러운 심장정지(cardiac arrest)가 일어난 환자의 심장에 직간접적인 강한 전기적 충격을 주어 심근 전체를 순간적으로 탈분극시켜 심장을 정상 리듬(normal heart rhythm)으로 복구 시키고 이를 통해 심장을 통한 혈액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생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필수 응급 의료기기로 종류는 크게 Manual Defibrillator(Internal Defibrillator, External Defibrillator), Automatic Defibrillator(AED), Implantable defibrillator(ICD)로 나뉜다.A defibrillator is a cardiac arrhythmia that can cause death (sudden death), ventricular fibrillation, ventricular tachycardia, sudden cardiac arrest, The patient's heart is directly or indirectly subjected to a strong electrical shock to instantaneously depolarize the entire myocardium to restore the heart to normal rhythm so that the blood can flow smoothly through the heart so that the patient can survive. It is essential emergency medical device to help. Types are classified into Manual Defibrillator (AED), Automatic Defibrillator (AED) and Implantable Defibrillator (ICD).

이러한 제세동기는 생명에 위협적인 부정맥, 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의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이다.These defibrillators are the most common remedy for life-threatening arrhythmia,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pulsatile ventricular tachycardia.

또한, 제세동기는 환자의 심장에 치료유효량의 전기적 에너지를 가해주는 것으로, 사용되는 장치에 따라 외부형, 경정맥형, 삽입형 제세동기로 구분된다.The defibrillator also applie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to the patient's heart, which can be divided into external, jugular, and implantable defibrillators, depending on the device used.

또한, 환자의 ECG(ElectronicDioGraphy, 심전도) 신호를 확인할 수 있는 ECG 모니터를 구비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일부 구성의 차이를 가지며, ECG 모니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ECG파형의 QRS군(QRS complex, A combination of the Q wave, R wave and S wave)의 R파에 쇼크 펄스(shock pulse)의 시작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회로를 가진다.In addi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onfigura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n ECG monitor capable of confirming an ECG signal of a patient is provided. In the case of having an ECG monitor, the QRS complex of the ECG waveform (QRS complex, A combination of the Q waves, R waves, and S waves), and a synchronous circuit for synchronizing the start of the shock pulse to the R waves.

이러한 제세동기는 상용 주파수의 교류를 단시간(100msec ~ 300msec) 통전하는 AC방식과 약 3msec의 펄스폭을 갖는 단일 펄스전류를 통전하는 DC방식이 있으나, 개발된 초기에 일부 AC방식이 이용되었을 뿐 최근에는 거의 DC방식이 이용되며 커패시터(capacitor) 방전형이라도 불린다. (AC 제세동기는 B. Lown 등에 의해 심장 사이클동안 랜덤하게 가했을 때 AC 펄스는 DC신호보다 심실 세동을 발생시킬 확률이 높고, 심근에 주는 악영향도 큰 등의 여러 단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This defibrillator has an AC system that energizes a commercial frequency for a short time (100 msec to 300 msec) and a DC system that energizes a single pulse current with a pulse width of about 3 msec. However, It is almost DC type and is called capacitor discharge type. (The AC defibrillator was found to have several disadvantages, such as higher risk of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greater adverse effects on the myocardium when AC pulses were applied randomly during cardiac cycles by B. Lown et al.).

즉, 최근의 제세동기는 커패시터를 충전하여 ?고 고진폭의 제세동 펄스를 얻는 DC형 제세동기이다.In other words, recent defibrillators are DC type defibrillators that charge capacitors and obtain high amplitude defibrillation pulses.

도 1은 종래의 제세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제세동기 장치의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efibrillator, and FIG.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 conventional defibrillator.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제세동기는 축전부(110), 구동부(120), 전극(130), 방전부(140)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본체(100)와 디스플레이부(210), 제어부(220), 파형분석부(230)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1 and 2, a conventional defibrillator includes a defibrillator main body 100 including a power storage unit 110, a driving unit 120, an electrode 130, and a discharging unit 140, a display unit 210, And a defibrillator controller 200 including a controller 220 and a waveform analyzer 230.

축전부(110)는 고압의 전기 충격을 생성하고, 전극(130)은 상기 고압의 전기 충격을 환자에게 인가하고, 구동부(120)는 축전부(110)에서 생성된 전류를 전극(130)을 통해 환자에 방전하며, 방전부(140)는 축전부(110)를 통해 충전된 전압을 강제 방전시킨다.The power storage unit 110 generates a high voltage electric shock and the electrode 130 applies the high voltage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and the driving unit 120 drives the electric current generated in the power storage unit 110 to the electrode 130 And the discharge unit 140 forcibly discharges the charged voltage through the power storage unit 110. In addition,

디스플레이부(210)는 환자의 심자 파형 또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안내를 출력하고, 제어부(220)는 환자에게 제세동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제세동기 본체(100)의 동작을 제어하며, 파형분석부(230)는 환자의 심장 파형을 분석한다.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fibrillator main body 100 according to whether the patient needs defibrillation or not, and the waveform analyzer 230 ) Analyzes the patient's cardiac waveform.

순서도에서 드러나는 것과 같이, 환자에게 제세동이 수행되었거나 제세동이 필요하지 않아 수행하지 않았더라도 제세동기는 방전부(140)를 통해 축전부(110)에 생성된 전압을 모두 방전한다.As shown in the flowchart, the defibrillator discharges all of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power storage unit 110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0, even though the patient has performed defibrillation or does not need defibrillation.

즉, 종래의 제세동기는 환자에게 축전부(110)에서 생성된 전류를 전극(130)을 통해 인체에 방전하기도 하지만, 환자의 ECG 등을 통해 세동 자연 회복으로 전기 충격이 필요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축전부(110)에 축전된 전압을 강제로 방전하도록 구동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defibrillator discharges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power storage unit 110 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electrode 130, but when the defibrillation natural recovery is judged to be unnecessary by the patient's ECG, And is driven to forcibly discharge the voltage stored in the unit 110. [

구동을 위해서는 항상 축전이 요구되는데, AC형 제세동기의 단점에 따라 DC형 제세동기를 이용하는 것과 관련 기기 규정에 따라 이러한 구성과 구동을 수행한다.In order to drive, it is always necessary to charge the battery. This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use of DC type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disadvantages of the AC type defibrillator and the related device regulation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세동기는 방전부를 기계식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축전된 전압에 비해 환자에 인가하고자 하는 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축전된 전압을 전부 방전한 후 새로이 요구되는 전압수준으로 축전이 필요하여, 시급을 요하는 제세동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defibrillator is generally constructed of a mechanical switch,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the stored voltage to the newly required voltage level when the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patient is lower than the stored voltage. There is a problem in the defibrillation process that requires urgent care.

또한, 기계식 스위치를 통해 축전된 전압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낮추는 경우에는 릴레이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Also, if the voltage stored through a mechanical switch is reduced to the required level, there is a risk that the relay will be destroyed.

선행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1582343호(명칭: 자동제세동기 및 이의 구동방법)Prior Art 1: Korean Patent No. 10-1582343 (Nam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선행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6649호(명칭: 스마트 기기을 이용한 심장 자동 제세동기 장치)Prior Art 2: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126649 (Name: Cardiac Automatic Defibrillator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제세동을 위해 제세동기 내 전기가 충전된 이후 사용자의 판단 등에 따라 충전된 전압을 조절할 수 있게 한 제세동기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fibrillato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fibrillator capable of adjusting a charged voltage according to a user's judgment after electric power is charged in a defibrillator for defibrill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세동기 내 전기가 충전된 이후 충전된 전압 이하로 조절함에 있어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제세동기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fibrillato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in regulating the voltage in the defibrillator to less than the charged voltage after the electricity is charg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세동기의 구동전압을 조절하는데 발생되는 릴레이 등의 파손위험이 없는 제세동기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fibrillato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are free from the risk of damage such as a relay generated in adjusting the driving voltage of the defibrillato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전극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방전하는 방전부; 및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부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의 수준이 목표한 수준에 근접하게 방전하도록 제어하고,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부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모두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An electrode unit for outputting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A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unit such that the level of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is discharged close to a target level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he discharging unit discharges all the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목표한 수준이 입력되는 경우에 발생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장치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efibrillator includes a discharge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target level is input by the user, and the second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power of the device is turned off, And the discharg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eans for controlling a path for discharging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means for controlling a path for discharging based on the second sig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은 전기적 스위치 또는 IGBT를 포함하는 방전회로일 수 있다.In the defibrillator including the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path based on the first signal may be a discharging circuit including an electric switch or an IGB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세동의 대상이 되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인체에 인가되어야 하는 전기의 수준을 결정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결정한 전기의 수준을 상기 목표한 수준으로 하여 상기 방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defibrillator including the discharge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level of electricity to be applied to the human body by sensing a biological signal of the human body to be defibrat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charge unit with the level of electricity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at the target level.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구동방법은 충전부가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단계; 제어부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부를 통해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의 수준을 목표한 수준에 근접하도록 일부를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전극부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iving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the method comprising: charging a charging unit with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discharge a part of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through the discharge unit based on the first signal so as to approach a target level; And a discharging circuit including an electrode unit for outputting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세동기의 전원이 오프(OFF)되거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가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부를 통해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모두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driving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of the defibrillator is turned off (Off)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out performing the outputting step, And controlling the discharging unit to discharge all of the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through the discharging unit based on the sig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목표한 수준이 입력되는 경우에 발생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이 구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of driving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target level is input by the user, and the discharger generates a signal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means for controlling a path for discharging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means for controlling a path for discharging based on the second sig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세동의 대상이 되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인체에 인가되어야 하는 전기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결정한 상기 인가되어야 하는 전기의 수준을 상기 목표한 수준으로 하여 상기 방전부를 통해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의 일부를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 method of driving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senses a biological signal of a human body to be defibrated and determines a level of electricity to be applied to the human body ; And controlling the discharging unit to discharge a part of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through the discharging unit with the level of electricity to be applied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to the target leve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However, effects obtain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세동기의 전압을 설정하여 충전한 이후,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의 전압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제세동기와 이의 구동방법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fibrillato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ich can adjust the voltage to a level required by the user afte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defibrillator voltage.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 등에 의해 제세동기의 전압을 신속하게 조절하여 위급을 요하는 제세동기 사용의 목적에 보다 적합하도록 한 제세동기와 이의 구동방법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fibrillato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n be provided that can quickly adjust the voltage of the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thereby making it mo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defibrillator requiring emergency.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세동기에 충전된 전압을 조절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릴레이의 파손 등을 방지하여 제세동기의 안전한 사용은 물론 장치의 수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제세동기와 이의 구동방법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fibrillato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fibrillator, which can protect the life of the device as well as the safe use of the defibrillator 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relay, which may occur as a result of adjust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defibrillat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종래의 제세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제세동기 장치의 구동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충전과 방전의 동작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회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efibrillator.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 conventional defibrillator.
3 is a block diagram of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efibrillator driving method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of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or in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usceptible to various change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may b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the core functionality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 including ", it is meant that the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do.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lso, the term "part" in the descrip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Furthermore, the terms " a or an, "" one," and similar related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As used herei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충전과 방전의 동작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 of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과 도 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300)는 충전부(310), 전극부(320), 방전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3 and 4, a defibrillator 300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cludes a charging unit 310, an electrode unit 320, a discharge unit 330, and a control unit 340 Lt; / RTI >

충전부(310)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한다.The charging unit 310 charges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바람직하게는, 충전부(310)는 고전압 커패시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charging portion 310 may be a high voltage capacitor.

바람직하게는, 충전부(310)는 고전압 생성부(350)에서 생성된 고전압에 의해 충전될 수 있으며, 삽입형 또는 웨어러블 패치타입의 제세동기를 고려하면 배터리가 동일한 기능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harging unit 310 can be charged by the high voltage generated by the high voltage generating unit 350, and the battery can function as the same function when considering an implantable or wearable patch type defibrillator.

바람직하게는, 충전부(310)는 배터리 또는 유/무선 전원 연결을 통해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harger 310 can charge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through a battery or wired / wireless power connection.

전극(320)은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한다.The electrode 320 outputs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바람직하게는, 전극(320)은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제세동의 대상이 되는 인체에 인가함으로써 전기를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lectrode 320 can output electricity by applying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to a human body to be defibrillated.

바람직하게는, 전극(320)은 제세동이 요구되는 환자에게 접촉 또는 근거리 비접촉되어 축전부(310)에 충전된 에너지를 방전함으로써 전기를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lectrode 320 is capable of outputting electricity by discharging the energy charged in the power storage unit 310 by contact with the patient who is in need of a defibrillation or by a non-contact with the patient.

방전부(330)는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방전한다.The discharge unit 330 discharges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제세동기와 관련한 설명에서 전극을 통한 출력을 방전으로 혼용하여 서술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은 제세동을 위한 전기의 출력과 충전된 전기를 줄이는 방전을 구별한다.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defibrillator, it is often described that the output through the electrode is mixed with the discharge.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between the output of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and the discharge for reducing the charged electricity.

바람직하게는, 방전부(330)는 스위치 구조(341, 342)를 가져 방전수단(343)을 통해 제어부(3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방전할 수 있다.The discharging unit 330 may have a switch structure 341 and 342 and may discharge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40 through the discharging unit 343.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부(330)는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의 수준을 목표한 수준에 근접하도록 일부를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1 방전제어수단(331)과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모두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2 방전제어수단(332)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unit 330 includes a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for controlling a discharge of a part of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so as to approach a target level, 310) for discharging all of the electricity charged in 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2).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압을 일정 수준의 전압이 되도록 일부를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1 방전제어수단(331)은 전기적 스위치 또는 IGBT를 포함하는 방전회로이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a part of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to a predetermined level is a discharge circuit including an electric switch or an IGBT .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를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1 방전제어수단(331)은 전기적 제어를 통해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압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a part can precisely control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through the electrical control.

바람직하게는,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모두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2 방전제어수단(332)은 종래의 기계식 스위치 구조를 가져 장치의 전원이 오프(OFF)되더라도 동작하여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모두 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means 332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of all of the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has a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structure so that even if the power of the apparatus is turned off, the second discharging control means 332 operates to the charging unit 310 So that the charged electricity can be discharged.

의료기기 규격에서 제세동기의 전원이 오프되면 제세동기 내 전압이 방전되어야 한다.In the medical device standard, the voltage in the defibrillator must be discharged when the defibrillator is powered off.

바람직하게는, 제2 방전제어수단(332)은 기계식 릴레이와 저항으로 구성되어 전원이 오프되면 기계식 릴레이가 오프되어 방전수단(333)을 통해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모두 방전되도록 구동한다.Preferably,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means 332 is composed of a mechanical relay and a resistor. When the power is off, the mechanical relay is turned off to drive the charging unit 310 to discharge all the electricity through the discharging means 333 .

전자식 스위치 등의 방식은 충전된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면 작동하지 않아, 종래의 제세동기가 전압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함에도 전자식 스위치 등의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 기계식 스위치만을 접목하였다.The electronic switch has advantages such as the ability to adjust the charged voltage, but it does not work when the power of the device is turned off, so that the conventional defibrillator can precisely adjust the voltage, Only switches were combined.

특히, 기계식 스위치 구조만으로 전압을 조절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기계식 릴레이가 붙고 떨어지는 과정에서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Particularly, if the voltage is adjusted only by the mechanical switch structure, there is a danger that the mechanical relay described above may be broken and damaged in the process of falling.

본 발명은 제세동기 내에 충전된 전압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방전제어수단(331)과 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었을 경우에도 작동하하여 제세동기 내에 충전된 전압을 모두 방전할 수 있도록 한 제2 방전제어수단(332)을 모두 갖추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voltage charged in the defibrillator.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means (331) operates even when the power of the apparatus is turned off, And the discharge control means 332 are all included to solve this problem.

또한, 본 발명의 제2 방전제어수단(332)이 없는 경우, 충전된 전압을 줄이는 방법은 충전된 전압을 모두 방전하고 새로이 조절하고자 하는 수준의 전압을 충전하여야 한다.In the absence of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means 33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reducing the charged voltage requires discharging the charged voltage and charging the voltage of the level to be newly adjusted.

그렇기 때문에 전압의 조절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controlling the voltage increases.

바람직하게는, 제1 방전제어수단(331)과 제2 방전제어수단(332)은 스위치 구조를 가지며, 하나의 방전수단(333)에 연결되어 연결여부를 조절함에 의해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means 332 have a switch structure, and may be connected to one discharge means 333 to perform discharge by controlling connection or disconnection.

제어부(340)는 신호를 기초하여 방전부(330)에 의한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의 방전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40 controls the discharging of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by the discharge unit 330 based on the signal.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40)는 충전부(310)가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340 may control the charging unit 310 to charge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예를 들어, 제세동이 요구되는 환자가 있는 것을 발견한 사용자가 구동신호를 입력함에 의해 즉각적인 충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who finds that there is a patient requiring defibrillation can be controlled so that immediate charging can be performed by inputting a driving signal.

또한, 제어부(340)는 충전부(310)에 충전되는 전기의 수준(전압)을 설정하여 충전부(310)에 설정된 수준의 전압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may set the level of the electricity to be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and may control the charging unit 310 to charge the voltage of the level set in the charging unit 31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40)는 전극부(320)가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340 controls the electrode unit 320 to output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예를 들어, 제세동기의 사용자가 제세동이 요구되는 환자에게 제세동기 내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도록 신호를 입력함에 의해 즉각적인 출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of the defibrillator can be controlled to be an immediate output by inputting a signal to output a charged electricity in the defibrillator to a patient requiring defibrillation.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40)는 제1 방전제어수단(331)과 제2 방전제어수단(332) 중 어느 것이 동작하여야 하는지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ler 340 can determine based on the signal that 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means 332 should operate.

예를 들어, 제1 방전제어수단(331)을 동작시키는 제1 신호는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의 수준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제어부(340)를 통해 정의된 전극부(320)를 통해 인가되어야 할 전기의 수준에 기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ignal for operating 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may be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310 through a user input for the level of electricity charged to the charging unit 310 or through the electrode unit 320 defined through the control unit 340 Based on the level of electricity to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40)는 제세동기의 사용자로부터 전극부(320)를 통해 인가하고자 하는 전압값의 입력을 받으면, 이를 제1 신호로 하여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압을 입력된 전압값에 근접하도록 제1 방전제어수단(331)을 통해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방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receives the voltage value to be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320 from the user of the defibrillator and outputs the voltage to the charging unit 310 as a first signal, It is possible to discharge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so as to be close to 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40)는 제세동의 대상이 되느니 인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그 인체에 인가되어야 하는 전기의 수준을 결정하는 판단부(341)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40 further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341 that detects a biological signal of a human body and determines a level of electricity to be applied to the human body, regardless of a subject to be defibrillated.

예를 들어, 판단부(341)는 전극 패드(미도시) 등을 통해 환자의 ECG 신호를 획득하거나 세동의 파형을 획득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제세동의 필요여부(자연 회복의 가능여부) 및 필요한 경우 적정한 인가 전압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341 obtains an ECG signal of a patient through an electrode pad (not shown) or acquires a waveform of a fibrillation and analyzes the acquired waveform to determine whether a defibrillation is needed (whether natural recovery is possible) The value of the applied voltage can be calculated.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40)는 판단부(341)에 의해 자연 회복이 가능하다고 결정되면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기를 모두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2 방전제어수단(332)을 통해 방전하고, 적정한 인가 전압이 산출되면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압값과 비교하여 제1 방전제어수단(331)을 통한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may discharge electricity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unit 332 that controls the discharging unit 310 to discharge all of the discharged electricity when the determination unit 341 determines that natural recovery is possible, When the proper applied voltage is calculated, the discharg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trol means 331 can be controlled by comparing with the voltage value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압값 또는 판단부(341)에 의해 산출된 적정한 인가 전압값이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압값에 비해 낮은 것을 제1 신호 하여 방전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340 receives a first signal indicating that the voltage value input by the user or the appropriate applied voltage value calcula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341 is lower than the voltage value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310, Lt; / RTI >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압값 또는 판단부(341)에 의해 산출된 적정한 인가 전압값이 충전부(310)에 충전된 전압값에 비해 높으면 충전부(310)에 전기 더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the voltage value input by the user or the appropriate applied voltage value calcula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341 is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charged to the charging unit 310, It can be controlled to be charged.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충전부(310), 방전부(330), 제어부(340)의 구성을 통해 충전전압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djustment of the charging voltag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unit 310, the discharging unit 330, and the control unit 340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efibrillator driving method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510단계에서, 충전부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한다.In step S510, the charger charges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바람직하게는, 제세동기가 구동되면 즉각적으로 설정된 수준의 전압 내지 최대 전압으로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Advantageously, when the defibrillator is activated,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with a voltage or a maximum voltage set at an instant.

바람직하게는, 앞서 도 3과 도 4 를 참조하여 충전부(310)의 동작을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unit 310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S520단계에서, 제어부는 제세동의 대상이 되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을 결정한다.In step S520, the controller detects a biological signal of a human body to be defibrillated to determine a voltage to be defibrillated.

바람직하게는, 앞서 도 3과 도 4 를 참조하여 판단부(341)의 동작을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r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341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S530단계에서, 제어부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제세동이 필요하지 않은 세동의 자연회복이 가능한지 판단한다.In step S530,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biological signal of the human body and determines whether natural recovery of fibrillation that does not require defibrillation is possible.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voltage to be defibrillated to be zero.

S541단계에서, 제어부가 자연회복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제2 방전수단을 통해 충전부에 충전한 전압을 모두 방전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41 that the natural recovery is possible, the control unit discharges all of the voltages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through the second discharging unit.

바람직하게는, 앞서 도 3과 도 4 를 참조하여 제어부(340)와 제2 방전수단(332)의 동작을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40 and the second discharging unit 332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세동기의 전원을 오프하여 제2 방전수단이 충전부에 충전한 전압을 모두 방전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defibrillator and discharges all of the voltages charged by the second discharging unit to the charging unit.

S542단계에서, 제어부가 자연회복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과 결정한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이 동일한지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42 that the natural recovery is not possib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is equal to the determined voltage to be defibrillated.

S551단계에서, 제어부가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과 결정한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이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전극부를 통해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한다.In step S551,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is equal to the determined voltage to be defibrillated, it outputs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er through the electrode unit.

바람직하게는, 앞서 도 3과 도 4 를 참조하여 제어부(340)와 전극부(320)의 동작을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40 and the electrode unit 320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바람직하게는, 제세동기는 출력한 이후에 다시 S510단계로 복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efibrillator is operable to return to step S510 after outputting.

S552단계에서, 제어부가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과 결정한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이 다르다고 판단한 경우 제1 방전수단을 통해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을 결정한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에 근접하도록 일부 방전한다.In step S552,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is different from the voltage required to be defibrillated, the control unit partially discharges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through the first discharging unit so as to approach the voltage required to be defibrillated.

바람직하게는, 앞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340)와 제1 방전수단(331)의 동작을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40 and the first discharging unit 331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바람직하게는, 제어부가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이 결정한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제1 방전수단을 통해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을 결정한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에 근접하도록 일부 방전하고,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이 결정한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을 결정한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에 근접하도록 충전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is greater than the decided voltage required for defibrillation, it partially discharges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to a voltage required to be defibrinated determined by the first discharging uni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is determined to be close to the determined defibrillation voltage.

바람직하게는, 일부 방전한 이후에 다시 S542단계로 복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Preferably, after some discharges, it may be operable to return to step S542 again.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610단계에서, 충전부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한다.In step S610, the live part charges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바람직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S510단계를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step S510 with reference to Fig.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압의 수준으로 충전할 수 있다.Preferably, it can be charged to the level of the voltage input by the user.

S620단계에서,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전극부를 통해 출력하는 전압을 입력받는다.In step S620, the control unit receives a voltage out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electrode unit.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압이 변경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is operable to change a voltage input from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초기에 판단한 제세동을 위한 전압이 상황이 변화 내지 판단오류 수정을 위해 입력한 전압을 수정하는 것을 S620단계로 볼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seen in step S620 that the voltage for defibrillation initially determined by the user corrects the voltage input for correcting the error or judgment error.

바람직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S520단계를 설명한 것이 별도의 장치 내지 사용자의 판단을 통해 제세동하여야 하는 전압이 결정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5, step S520 may be the same as determining the voltage to be defibrillated by a separate device or user's judgment.

S630단계에서,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하여 제세동의 필요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630,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defibrillation is requir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일정시간 입력이 지연된 것을 제세동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efibrillation is not necessary when the input of the predetermined time is delayed.

바람직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S530단계를 설명한 것이 자연회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escription of step S530 with reference to FIG. 5 may operate similar to determining whether natural recovery is possible.

S641단계에서, 제어부를 통해 제세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과 입력받은 전압이 동일한지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41 that defibrillation is required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unit is the same as the input voltage.

바람직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S542단계를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step S542 with reference to Fig.

S642단계에서, 제어부를 통해 제세동이 필요없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제2 방전제어수단을 통해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을 모두 방전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42 that defibrillation is not necessary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discharges all of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ontrol unit.

바람직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S541단계를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step S541 with reference to Fig.

S651단계에서, 제어부를 통해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과 입력받은 전압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전극부를 통해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51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is equal to the voltage received in the charger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outputs the charged electricity to the charger through the electrode unit.

바람직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S551단계를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step S551 with reference to Fig.

S652단계에서, 제어부를 통해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과 입력받은 전압이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제1 방전수단을 통해 충전부에 충전된 전압을 입력받은 전압과 근접하도록 일부를 방전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52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unit is different from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unit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ischarges a part of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er unit through the first discharger unit so as to be close to the received voltage.

바람직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S552단계를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step S552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S541단계와 S652단계를 통해 충전전압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adjustment of the charging voltage through steps S541 and S652 described abov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의 회로도이다.7 is a circuit diagram of a defibrillator including a discharge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통해 표현된 회로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의미할 뿐 이를 통해 본 발명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The circuit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is onl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hereto.

도 3과 도4를 통해 블록도로서 각 기능요소를 설명한 것이 회로구성을 통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로써만 의미를 가진다.3 and 4 are only illustrative examples of how each functional element can be implemented as a block diagram through a circuit configuration.

도 7에서 블록으로 표시한 부분(700)은 도 4를 통해 블록도로 설명한 내용이 회로로 구성된 것이다.The block 700 shown in FIG. 7 is composed of circuits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전극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방전하는 방전부; 및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부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의 수준이 목표한 수준에 근접하게 방전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의 수준이 목표한 수준에 근접하게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부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모두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목표한 수준이 입력되는 경우에 발생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장치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은 전기적 스위치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은 기계식릴레이 및 저항으로 구성한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electricity for defibrillation;
An electrode unit for outputting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A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charging unit to discharge the level of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close to a target level or to charge the level of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close to the target level based on the first signal, 2 signal, the discharging unit discharges all of the electricity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Wherein the first signal occurs when the target level is entered by the user and the second signal occurs when the device is powered off,
Wherein the discharge unit includes means for controlling a path for discharging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means for controlling a path for discharging based on the second signal,
Wherein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path for discharging based on the first signal comprises an electrical switch or an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nd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path for discharging based on the second signal comprises a mechanical relay and a resistor Defibrillator including discharge circu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세동의 대상이 되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인체에 인가되어야 하는 전기의 수준을 결정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결정한 전기의 수준을 상기 목표한 수준으로 하여 상기 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level of electricity to be applied to the human body by sensing a biological signal of the human body to be defibrillat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charge unit with the level of electricity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at the target lev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37936A 2017-03-24 2017-03-24 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charging volt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9401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36A KR101940112B1 (en) 2017-03-24 2017-03-24 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charging volt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36A KR101940112B1 (en) 2017-03-24 2017-03-24 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charging volt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332A KR20180108332A (en) 2018-10-04
KR101940112B1 true KR101940112B1 (en) 2019-01-18

Family

ID=6386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936A KR101940112B1 (en) 2017-03-24 2017-03-24 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charging volt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1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72B1 (en) * 2020-12-10 2021-02-17 하정산업개발 주식회사 External Defibrillator Having Control Function
KR102372212B1 (en) * 2021-09-24 2022-03-10 (주)나눔테크 Automatic defibrillator for quick us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452A (en) * 2000-05-16 2001-11-20 Nippon Koden Corp Internal discharge circuit using semiconductor switch element
KR100948671B1 (en) * 2009-06-22 2010-03-18 광주과학기술원 Defibrill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649A (en) 2013-04-23 2014-10-31 김권영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Device Using Smart Device
KR101582343B1 (en) 2013-12-05 2016-01-04 박시은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452A (en) * 2000-05-16 2001-11-20 Nippon Koden Corp Internal discharge circuit using semiconductor switch element
KR100948671B1 (en) * 2009-06-22 2010-03-18 광주과학기술원 Defibril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332A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8059C (en) Pulse generator for use in an implantable atrial defibrillator
EP0808639B1 (en) Patient-worn energy delivery apparatus
JP47823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applying low energy defibrillation pulses
CN102458573B (en) Biphasic defibrillator waveform with adjustable second phase tilt
EP1452204B1 (en) H-bridge circuit for generating a high-energy biphasic waveform in an external defibrillator
US6553257B2 (en) Interactive method of performing cardipulmonary resuscitation with minimal delay to defibrillation shocks
US6280461B1 (en) Patient-worn energy delivery apparatus
US54892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ardiac tachyarrhythmia
US8700156B2 (en) High accuracy painless method for measuring defibrillation lead impedance
EP3089786B1 (en) Consistency monitoring for ecg shock advisory decisions
US20140303679A1 (en) Multi-modal electrotherapy method and apparatus
US803674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ibrillation and defibrillation
WO200301139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delivery of high-voltage and anti-tachy pacing therapy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7860565B2 (en) Defibrillator having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for transcutaneous pacing
US8965501B2 (en) Sequential stacked capacitor defibrillator and waveform generated therefrom
CN108404292B (en) External defibrill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oracic impedance detection
JP4108758B2 (en) Current waveform of electrotherapy
JP2000288100A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ic medical treatment executing dynamic waveform control based on impedance estimation
KR101940112B1 (en) 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charging voltag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67045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in atrial defibrillator
US56499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fibrillation
US200301717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test of defibrillation and pacing circuits including a patient isolation switch
KR101872882B1 (en) A defibrillator comprising a discharge circuit for driving current reduc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EP3525877B1 (en) System for cardiac pacing and defibrillation
KR101966775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lfunction of defibril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