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021B1 -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 Google Patents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021B1
KR101940021B1 KR1020180089746A KR20180089746A KR101940021B1 KR 101940021 B1 KR101940021 B1 KR 101940021B1 KR 1020180089746 A KR1020180089746 A KR 1020180089746A KR 20180089746 A KR20180089746 A KR 20180089746A KR 101940021 B1 KR101940021 B1 KR 101940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rner
exhaust gas
intak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삼
박치열
김정곤
손정섭
김종관
Original Assignee
(주)이지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시스 filed Critical (주)이지시스
Priority to KR102018008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01N3/025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adding fuel to exhaust gases
    • F01N3/0256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adding fuel to exhaust gases the fuel being ignited by electr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2Structural details of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4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uel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 엔진 운행 시 매연저감장치에 생성되는 배기압력에 의해 잔존 산소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버너에 공급하여 입자상 물질을 안정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 매연저감장치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인렛이 형성된 외측 챔버와, 상기 외측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되 연통홀을 통해 연결되고 연소 공간이 마련된 내측 챔버로 이루어진 연소 챔버; 및 상기 연소 챔버의 일단에 결합되고 점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버너 하우징과, 상기 버너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점화 공간에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버너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터로 구성된 버너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버너 하우징에는 상기 외측 챔버와 상기 연소공간을 연결하는 흡기로가 형성되어, 상기 인렛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상기 흡기로를 통해 상기 연소 공간으로 주입되어 상기 버너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매연저감장치용 버너{BURNER FOR EXHAUST GAS RE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매연저감장치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의 저감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차량은 뛰어난 연비 또는 출력 등에도 불구하고, 디젤 엔진의 특성상 공기 과잉율이 큰 상태에서 연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출가스 중에는 가솔린 엔진과는 달리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적은 반면 질소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PM)이 상당히 많이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입자상 물질의 배출에 대하여 연소 제어를 통해 많은 저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입자상 물질과 질소산화물은 서로 상반되는 관계가 있어 질소산화물을 줄이면 입자상 물질이 증가하고, 입자상 물질을 줄이면 반대로 질소산화물이 증가하게 되어 양자를 동시에 저감 제어하는데 있어 다소간의 곤란한 상황이 발생된다.
최근 들어, 입자상 물질은 대기를 오염시키는 가장 중요한 주원인으로 각종 매체에서 보도되고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입자상 물질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서 디젤 자동차에 디젤 분진 필터(Diesel Particle Filter; DPF)를 장착하고 있다.
디젤 분진 필터는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을 필터 내에 물리적으로 포집 후 후분사 제어(Post Injection)로 배기가스의 온도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승온하여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연소시켜 제거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9100호(2013.06.20.)에는 차량용 매연저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용 매연저감장치는 입자상 물질을 연소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화염이 생성되는 버너에 컴프레서를 연결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버너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료가 안정적으로 연소되도록 한다.
그러나 컴프레서가 고가인 관계로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정기적으로 A/S를 받아야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9100호(2013.06.2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 운행 시 매연저감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배기압력에 의해 잔존 산소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버너에 공급하여 입자상 물질을 안정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 매연저감장치용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연저감장치용 버너는,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인렛이 형성된 외측 챔버와, 상기 외측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되 연통홀을 통해 연결되고 연소 공간이 마련된 내측 챔버로 이루어진 연소 챔버; 상기 연소 챔버의 일단에 결합되고 점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버너 하우징과, 상기 버너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점화 공간에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버너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터로 구성된 버너; 및, 상기 연소 챔버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소 공간에서 가열된 배기가스를 확산시켜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디퓨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버너 하우징에는 상기 외측 챔버와 상기 연소공간을 연결하는 흡기로가 형성되어, 상기 인렛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상기 흡기로를 통해 상기 연소 공간으로 주입되어 상기 버너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구성 중 버너 하우징은, 상기 점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 챔버 측으로 개방된 제1하우징과, 상기 연소 챔버의 일단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이 결합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흡기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점화 공간을 감싸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의 둘레에는 환형홈과 흡기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환형홈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홈과 상기 흡기홈을 부분적으로 구획하여 상기 흡기로를 형성하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둘레 중 상기 흡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외측 챔버와 연결된 흡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장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장부가 삽입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흡기공과 상기 흡기로를 통해 주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연소 공간 측으로 배출하는 토출공이 형성된다.
상기 흡기홈은 상기 환형홈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3개로 구성되고, 상기 흡기공은 상기 제2연장부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3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을 120도 간격으로 회전시켜 결합할 경우 상기 흡기홈과 상기 흡기공의 위치가 일치한다.
상기 제2연장부의 선단은 상기 흡기로를 통한 배기가스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흡기로를 확장시키는 개스킷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엔진 운행 시 매연저감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배기압력에 의해 잔존 산소를 포함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연소 공간으로 유도하여 버너에 공급함으로써 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료를 안정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의 안정적인 연소를 통하여 배기가스를 적정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자상 물질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하우징의 흡기홈과 제2하우징의 흡기공을 120도 간격으로 배치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하우징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하우징에 설치된 노즐(밸브) 및 이그나이터로 인한 장착 간섭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를 포함하는 매연저감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 중 연소 챔버와 버너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 챔버와 버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 챔버와 버너의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를 포함하는 매연저감장치의 배기가스 이송경로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용 버너는,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잔존 산소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버너에 공급하여 입자상 물질을 안정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매연저감장치용 버너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연소시키는 연소 챔버(100)와, 입자상 물질의 연소를 위한 화염을 생성하는 버너(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소 챔버(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이중 관(pipe) 구조이다. 즉, 연소 챔버(100)는,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외측 챔버(110)와, 외측 챔버(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유입된 배기가스 내에 잔존하는 산소를 이용하여 화염을 생성하는 내측 챔버(120)로 이루어진다.
외측 챔버(110)의 일단(도면상 좌측) 외주면에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인렛(112)이 형성된다. 인렛(112)은 디젤 엔진의 배기관(미도시)와 연결되어 디젤 엔진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인렛(112)을 통해 외측 챔버(110)로 유입된다.
외측 챔버(110)의 양단은 모두 개방되되, 그 일단에는 입자상 물질의 연소를 위한 화염을 생성하는 버너(20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가열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 및 흡착하는 필터 셀(300)이 결합된다.
내측 챔버(120)는 외측 챔버(110)의 내부에 구비된 외측 챔버(110)보다 작은 직경의 파이프이다. 내측 챔버(120)의 둘레에는 외측 챔버(110)와 연결되는 다수의 연통홀(122)이 형성된다. 내측 챔버(120)의 내부에는 연통홀(122)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가열하는 연소 공간(124)이 형성된다. 이때, 내측 챔버(120)의 일단은 버너(200)에 삽입 및 결합되고 연소 공간(124)은 후술할 점화 공간(121)에 연결된다.
상술한 내측 챔버(120)는 버너(200)에서 필터 셀(30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으로 형성된다. 즉, 버너(200) 측에 위치된 내측 챔버(120)의 일단은 작은 직경으로, 필터 셀(300) 측에 위치된 내측 챔버(120)의 타단은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측 챔버(120)가 다단의 파이프 형상을 가질 경우 버너(200)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폭을 넓혀 화염을 크게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후술할 노즐(240)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연소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챔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 챔버(120)를 포함한 구조물들은 외측 챔버(110)의 내부에 적정한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인렛(112)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후술할 흡기공(224)을 통해 연소 공간(124) 측으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때, 연소 공간(124) 측으로 주입된 배기가스는 버너(200)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한편, 연소 챔버(100)의 타단에는 디퓨저(130)가 결합된다. 디퓨저(130)는 연소 공간(124)에서 가열된 배기가스를 확산시켜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이 필터 셀(300)에서 효과적으로 포집 및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퓨저(130)는 배기가스를 확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소 챔버(1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 디퓨저(130)에 형성된 디퓨저 홀(132)은 서로 다른 직경, 위치 및 방향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200)는 입자상 물질의 연소를 위한 화염을 생성하는 수단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노즐(240)을 통해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켜 화염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염을 이용하여 연소 공간(124)에 주입된 배기가스를 가열하는 수단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버너(200)는, 연소 챔버(100)의 일단에 결합된 버너 하우징(210~230)과, 버너 하우징(210~230)에 설치되는 노즐(240) 및 이그나이터(250)를 포함한다.
버너 하우징(210~230)은, 제1하우징(210)과, 연소 챔버(100)의 일단 측에 설치되며 제1하우징(210)이 결합되는 제2하우징(220)과,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 사이에 설치되는 개스킷(230)으로 구성된다.
제1하우징(210)은 연소 챔버(100)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원뿔 형상이다. 제1하우징(210)의 일단에는 입자상 물질의 연소를 위한 연료가 공급되는 노즐(240)이 설치된다. 제1하우징(210)의 중단에는 노즐(240)에서 분사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터(250)가 설치된다. 제1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노즐(240)을 통해 분사된 연료가 이그나이터(250)에 의해 점화되는 점화 공간(212)이 형성된다. 이때, 점화 공간(212)은 연소 공간(124)과 연결되어 점화 공간(212)에서 생성된 화염이 연소 공간(124) 측으로 확산된다.
상술한 제1하우징(210)의 타단, 즉 연소 챔버(100) 측 일면은 개방된다. 제1하우징(210)의 개방된 일면에는 점화 공간(212)을 구획하는 제1연장부(214)가 형성되고, 제1연장부(214)의 둘레에는 배기가스의 이송을 위한 환형홈(216)과 흡기홈(218)이 형성된다.
제1연장부(214)는 점화 공간(212)의 둘레를 감싸며 연소 챔버(100) 측으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이다. 환형홈(216)은 제1연장부(214)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이며, 흡기홈(218)은 환형홈(216)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소정 깊이의 홈이다.
환형홈(216)과 흡기홈(218)은 제2하우징(22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상의 홈 형상을 이루되, 제2하우징(220)이 결합될 경우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배기가스의 이송을 위한 흡기로(216,218)를 형성한다.
흡기로(216,218)는 후술할 흡기공(224)을 통해 외측 챔버(110)에 연결되고, 후술할 토출공(228)을 통해 내측 챔버(120), 즉 연소 공간(124)에 연결된다. 따라서 인렛(112)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흡기공(224), 흡기로(216,218)를 거쳐 연소 공간(124)으로 주입되며, 이 경로를 통해 주입된 배기가스는 버너(200)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제2하우징(220)은 소정 두께를 가진 원판 형상이다. 제2하우징(220)에는 환형홈(216)에 삽입되는 제2연장부(222)가 형성되고, 제2연장부(222)의 둘레에는 흡기공(224)이 형성된다.
제2연장부(222)는 제2하우징(220)의 일면에서 제1하우징(210) 측으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이다. 제2연장부(222)의 일단은 환형홈(216)에 삽입되어 환형홈(216)과 흡기홈(218)을 부분적으로 구획함으로써 흡기로(216,218)를 형성한다. 제2연장부(222)의 타단에는 내측 챔버(120)의 일단이 삽입 및 결합되어 점화 공간(212)과 연소 공간(124)를 연결한다. 이때, 제2연장부(222)의 일단은 흡기로(216,218)를 통한 배기가스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흡기공(224)은 제2연장부(222)의 둘레에 형성되되 흡기홈(21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흡기홈(218)은 환형홈(216)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3개로 구성되고, 흡기공(224)은 흡기홈(218)과 대응되도록 제2연장부(222)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3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3개의 흡기홈(218)과 3개의 흡기공(224)이 방사상으로 배치될 경우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결합 시 제1하우징(210)을 120도 간격으로 회전시켜 조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하우징(210)을 회전시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제1하우징(210)에 설치된 노즐(240) 및 이그나이터(250)로 인한 장착 간섭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제2연장부(222)의 내부에는 제1연장부(214)가 삽입되는 플랜지(226)가 형성되고, 플랜지(226)에는 흡기공(224)과 흡기로(216,218)를 통해 주입된 배기가스를 연소 공간(124) 측으로 배출하는 토출공(228)이 형성된다.
개스킷(230)은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 사이에 개재되어 흡기로(216,218)을 확장 및 축소시킨다. 예컨대, 개스킷(230)의 두께가 두꺼우면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이 이격되며 흡기로(216,218)가 확장되고, 개스킷(230)의 두께가 얇으면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이 근접하며 흡기로(216,218)가 축소된다.
따라서 개스킷(230)의 두께를 조절하면 흡기로(216,218)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어 흡기로(216,218)를 통해 주입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노즐(240)은 점화 공간(212)에 연료를 분사하는 수단이다. 노즐(240)은 제1하우징(210)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1하우징(210)의 일단에는 노즐(240) 측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제어하는 체크밸브(242)가 설치된다. 체크밸브(242)는 노즐(240) 측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제어하여 분사 후기 연료 후적에 의해 노즐(24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체크밸브(242)에는 연료 공급원(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메일 커넥터(244)가 마련된다.
종래의 매연저감장치는 장치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체크밸브(242)를 장치와 별도로 설치하였고 엘보 타입의 메일 커넥터를 사용하였으나, 이럴 경우 메일 커넥터의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돌출방향이 변경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240)과 체크밸브(242)를 제1하우징(210)에 일체로 설치하되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함으로써 엘보 타입이 아닌 "I"타입의 메일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어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그나이터(250)는 노즐(240)에서 분사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의 이그나이터(250)는 매연저감장치의 중심축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럴 경우 매연저감장치의 설치 시 이그나이터(250)에 대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버너를 포함하는 매연저감장치의 배기가스 이송경로를 살펴보도록 한다.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는 배기관(미도시)을 따라 이송되고, 인렛(112)을 통해 외측 챔버(110)에 유입된다.
외측 챔버(110)에 유입된 배기가스 중 대부분은 연통홀(122)을 통해 연소 공간(124)으로 직접 주입되고, 일부는 흡기로(216,218)을 통해 연소 공간(124)으로 선회하여 주입된다. 이때, 흡기로(216,218)을 통해 연소 공간(124)으로 선회한 배기가스는 버너(200)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즉, 잔존 산소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버너(200)에 공급함으로써 입자상 물질을 안정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화염이 생성되도록 한다.
연소 공간(124)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은 필터 셀(300)을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포집된다. 입자상 물질이 일정량 이상 포집되어 연소 챔버(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버너(200)가 작동하여 입자상 물질을 연소시키기 위한 화염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소 챔버(100)의 압력에 의해 버너(200)가 작동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노즐(240)을 통해 입자상 물질의 연소를 위한 연료를 점화 공간(212)으로 분사하고, 이그나이터(250)는 노즐(240)에서 분사된 연료를 점화하여 화염을 일으킨다. 이렇게 발생한 화염은 점화 공간(212)에서 연소 공간(124) 측으로 확산된다.
연소 공간(124) 측으로 확산된 화염은 연소 챔버(1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필터 셀(300)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연소시킨다.
따라서 필터 셀(300)은 새롭게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연소 챔버 110: 외측 챔버
112: 인렛 120: 내측 챔버
122: 연통홀 124: 연소 공간
130: 디퓨저 132: 디퓨저 홀
200: 버너 210 ~ 230: 버너 하우징
210: 제1하우징 212: 점화 공간
214: 제1연장부 216: 환형홈
218: 흡기홈 220: 제2하우징
222: 제2연장부 224: 흡기공
226: 플랜지 228: 토출공
230: 개스킷 240: 노즐
250: 이그나이터 300: 필터 셀

Claims (9)

  1.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인렛이 형성된 외측 챔버와, 상기 외측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되 연통홀을 통해 연결되고 연소 공간이 마련된 내측 챔버로 이루어진 연소 챔버; 및
    상기 연소 챔버의 일단에 결합되고 점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버너 하우징과, 상기 버너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점화 공간에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버너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터로 구성된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하우징은, 상기 점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 챔버 측으로 개방된 제1하우징과, 상기 연소 챔버의 일단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이 결합되는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버너 하우징에는 상기 외측 챔버와 상기 연소공간을 연결하는 흡기로가 형성되어, 상기 인렛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상기 흡기로를 통해 상기 연소 공간으로 주입되어 상기 버너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점화 공간을 감싸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의 둘레에는 환형홈과 흡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환형홈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홈과 상기 흡기홈을 부분적으로 구획하여 상기 흡기로를 형성하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둘레 중 상기 흡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외측 챔버와 연결된 흡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장부가 삽입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흡기공과 상기 흡기로를 통해 주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연소 공간 측으로 배출하는 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기홈은 상기 환형홈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3개로 구성되고, 상기 흡기공은 상기 제2연장부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3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을 120도 간격으로 회전시켜 결합할 경우 상기 흡기홈과 상기 흡기공의 위치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의 선단은 상기 흡기로를 통한 배기가스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흡기로를 확장시키는 개스킷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는 상기 연소 챔버의 타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의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내측 챔버의 일단은 상기 제2연장부에 삽입 및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소 챔버의 타단에는 가열된 배기가스를 확산시키는 디퓨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연소 챔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KR1020180089746A 2018-08-01 2018-08-01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KR10194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746A KR101940021B1 (ko) 2018-08-01 2018-08-01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746A KR101940021B1 (ko) 2018-08-01 2018-08-01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021B1 true KR101940021B1 (ko) 2019-01-18

Family

ID=6532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746A KR101940021B1 (ko) 2018-08-01 2018-08-01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0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51B1 (ko) * 2012-01-10 2012-04-25 주식회사 정안 배기가스를 버너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장치
KR101279100B1 (ko) 2010-08-03 2013-06-26 주식회사 정안 에어 포켓을 갖는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버너
KR101850045B1 (ko) * 2016-12-19 2018-04-23 주식회사 정안 유지 비용 절감 기능을 갖는 선박용 매연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100B1 (ko) 2010-08-03 2013-06-26 주식회사 정안 에어 포켓을 갖는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버너
KR101138251B1 (ko) * 2012-01-10 2012-04-25 주식회사 정안 배기가스를 버너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장치
KR101850045B1 (ko) * 2016-12-19 2018-04-23 주식회사 정안 유지 비용 절감 기능을 갖는 선박용 매연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9387B2 (en) Combustion appliance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exhaust gas
EP2713022B1 (en) Burner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US8209971B2 (en) Burner for heating a stream of gas
JP2638394B2 (ja) 低NOx燃焼法
US20090277164A1 (en) Burner assembley for particulate trap regeneration
KR101266619B1 (ko) Dpf 재생용 버너
KR101138251B1 (ko) 배기가스를 버너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장치
CA2194911A1 (en) Low-emission combustion chamber for gas turbine engines
WO2013161898A1 (ja) 排気浄化装置用バーナー
CN104136845B (zh) 排气净化装置用燃烧器
KR101323610B1 (ko) 배기가스 승온용 버너장치
WO2014050375A1 (ja) バーナー
WO2021238456A1 (zh) ***式多级混合dpf燃烧器
KR101430061B1 (ko) 강제 고압 과잉 공기 공급 방식을 이용한 매연 및 백연 저감장치용 버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젤엔진의 매연 및 백연 저감장치
KR101940021B1 (ko) 매연저감장치용 버너
KR100925872B1 (ko) 플라즈마 버너장치
KR200421616Y1 (ko) 저녹스 가스버어너
KR101749221B1 (ko) 매연 저감장치의 역류방지 어셈블리
KR100925870B1 (ko) Dpf 시스템용 플라즈마 반응장치
KR101036178B1 (ko) 플라즈마 반응장치
CN217004456U (zh) 点火器喷嘴装置
CN213775491U (zh) 一种具有储油槽的燃烧器
CN215112738U (zh) 一种用于燃气轮机燃烧室的点火器
KR20070033651A (ko) 버너용 화염 확산기
KR19990032947U (ko) 디젤자동차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연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