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367B1 - Attitude switching device - Google Patents

Attitude switc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367B1
KR101939367B1 KR1020170049408A KR20170049408A KR101939367B1 KR 101939367 B1 KR101939367 B1 KR 101939367B1 KR 1020170049408 A KR1020170049408 A KR 1020170049408A KR 20170049408 A KR20170049408 A KR 20170049408A KR 101939367 B1 KR101939367 B1 KR 10193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ed object
posture
conveyed
convey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6720A (en
Inventor
이경호
배욱관
Original Assignee
(주)엔클로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클로니 filed Critical (주)엔클로니
Priority to KR102017004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367B1/en
Priority to PCT/KR2018/004402 priority patent/WO2018194334A1/en
Priority to JP2020506699A priority patent/JP6916956B2/en
Publication of KR2018011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7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6Orientation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자세전환장치를 제공한다. 자세전환장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마주하여 피이송물의 이송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라인에서 피이송물의 두께 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자세를 변환시키는 자세 전환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posture switching device. The posture changing device includes a rotary member; And a posture switching section for forming a conveyance line of the conveyed object facing the rotary member and converting the posture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line, Member.

Description

자세전환장치{Attitude switching device}Attitude switching device

본 개시내용은 피이송물의 자세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a conveyed object.

정제나 캡슐제 등의 피이송물에 대한 외관 불량, 오염 등의 결함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피이송물이 피딩, 이송될 때, 외관을 검사하는 장치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Apparatuses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conveyed object as it is being fed or conveyed are generally known in order to exa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such as defects in appearance, contamination, etc. with respect to the object such as tablets and capsules.

이하는 공지된 피이송물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relates to a known conveying device for conveyed matter.

일본출원번호 2015-130672: 정제 이송장치Japan Application No. 2015-130672: Tablet Feeding Device 일본출원번호 2009-520392: 진동 피더, 이송장치 및 외관 검사장치Japan Application No. 2009-520392: Vibratory Feeder, Feeding Device and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특허문헌 1의 정제 이송장치는 흡착구멍이 형성된 이송롤러와 포켓이 형성된 수취롤러가 상호 회전하면서 정제를 이송한다. 특허문헌 1의 정제 이송장치와 같이, 정제 각각이 흡착되는 흡착구멍을 이송롤러에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정제 각각이 수취되는 포켓을 수취롤러에 개별적으로 형성하면, 롤러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의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tablet conveying device of Patent Document 1, the conveying rollers having the suction holes and the receiving rollers having the pockets are rotated while the tablets are conveyed. As in the case of the tablet conveying device of Patent Document 1, if the suction holes through which tablets are respectively adsorbed are individually formed on the conveying rollers and the pockets receiving the tablets are individually formed on the receiving rollers, the rollers are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of rising. 특허문헌 2의 진동피더와 같이, 원형의 진동피더 볼이 호퍼의 좌우에 배치되면, 장치의 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당한 길이의 배출구를 통해 정제가 진동피더 볼로 낙하하여 제공되는 경우 정제가 다칠 위험이 있게 된다.When the circular vibration feeder ball is dispo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hopper like the vibration feeder of Patent Document 2, the width of the apparatus becomes large. Also, there is a risk that the tablets will be injured if the tablets are provided by dropping into the vibrating feeder balls through the outlet of a considerable length. 또한, 특허문헌 2의 진동피더는 원형의 진동피더 볼에 1열로 제공하는 정렬레일이 형성된다. 특허문헌 2의 진동피더를 이용하여 정제를 다수의 열로 반송로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호퍼, 원형의 진동피더 볼이나 반송로를 병렬적으로 다수개 배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scillation feeder of Patent Document 2 is formed with an alignment rail which provides the oscillation feeder balls in a circular shape in one row. In order to provide the tablet to the conveying path with a plurality of rows by using the vibration feeder of Patent Document 2, a plurality of hopper, circular vibrating feeder ball, and conveying path should be arranged in parallel.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apparatus becomes abnormally large.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피이송물의 피딩, 자세 전환, 간격 조절, 이송뿐만 아니라 피이송물의 외관 검사,피이송물에 대한 인쇄, 계수 또는 포장이 움직이는 상태에서 모두 진행되는 정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tablet conveying device which is carried out both in the feeding state, posture changing, spacing control, conveyance as well as visual insp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printing on the conveyed object, counting, .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정제나 캡슐제 등의 피이송물을 세로 방향의 자세로 공급하기 위한 진동피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vibration feeder for feeding a feed such as a tablet or a capsule in a longitudinal posture.

또한,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세로 방향의 자세로 공급된 피이송물을 가로 방향의 자세로 전환시키기 위한 자세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posture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a conveyed object supplied in a longitudinal posture to a lateral posture.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자세전환장치를 제공한다. 자세전환장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마주하여 피이송물의 이송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라인에서 피이송물의 두께 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자세를 변환시키는 자세 전환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posture switching device. The posture changing device includes a rotary member; And a posture switching section for forming a conveyance line of the conveyed object facing the rotary member and converting the posture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line, Member.

또한, 본 개시내용의 다른 일 실시예의 자세전환장치를 제공한다. 자세전환장치는 다열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라인에서 피이송물의 두께 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하도록 자세를 전환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에서, 상호 마주한 간격이 하나의 이송라인을 형성하며, 적층되어 다열의 이송라인을 형성하는 회전부재와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측면부와 마주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측면부 사이의 간격을 피이송물의 자세에 따라 조절하고, 상기 피이송물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피이송물의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posture changing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The posture changing device has a plurality of conveying lines and changes the posture so that the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n contact with the conveying line. And a fixing member which forms a conveying line and forms a conveying line of a plurality of rows, wherein a gap between a fixed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facing the rotation side surface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set to a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veyed object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본 개시내용에 의하면, 호퍼본체 내에 정제와 같은 피송물이 다량으로 제공되더라도 적재되지 않고, 피이송물이 세로 방향의 자세로 움직이는 회전부재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동피더와 회전부재 사이에 고정블록을 구비하더라도 피이송물이 파손되지 않으면서 회전하는 회전부재로 전달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a large amount of object such as tablets is provided in the hopper main body, the object can be provided as a rotary member in which the article is moved in a longitudinal posture. Further, even if the fixing block is provided between the vibrating feeder and the rotating member, the conveyed product can be transmitted to the rotating rotating member without being broken.

본 개시내용에 의하면, 이동 중 특히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피이송물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정제와 같은 피이송물이 연속적으로 공급, 자세전환, 이송 및 자세반전, 검사, 프린팅 또는 계수 및 포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which moves in particular during rotation,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feeds such as tablets can be continuously fed, puckered, fed and post-inverted, inspected, printed or counted and packaged.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하면, 자세전환장치에서 회전하는 이송장치로 이동할 때, 회전속도가 느린 버퍼드럼을 사용하여 피이송물 사이의 간격을 밀착시켜 이상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hen moving from a posture switching device to a rotating conveying device rotating, a buffer drum with a slow rotational speed can be used to closely adhere spacings between objects to be conveyed to maintain them ideally uniform.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하면, 적층하는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피이송물의 이송라인을 다열로 제공하여, 다량의 정제와 같은 피이송물의 검사, 프린팅 등의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quickly perform operations such as inspection and printing of a conveyed object such as a large amount of refining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onveying lines of the conveyed material moving while rotating in a stacking manner.

본 개시내용의 구성 및 효과는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 이송장치의 전체시스템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이송라인으로 피이송물을 이송하기 위한 피이송물 이송장치의 전체시스템에 대한 개략 사시도와 피이송물의 방향을 정의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열 이송라인으로 피이송물을 이송하기 위한 전체시스템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전환장치에서 피이송물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버퍼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버퍼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장치 및 자세반전장치에서 피이송물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반전장치에서 피이송물의 검사장치, 마킹장치, 계수기 및 포장유닛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피더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피더의 개략 정면도.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피더의 제1 호퍼블록과 제2 호퍼블록의 결합모습의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피더에서 자세전환장치로 피이송물이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의 자세전환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의 자세전환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의 자세전환장치의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의 개략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B부분의 개략 확대도로, 이송라인 형상의 변형 실시예 (a) 및 (b)를 도시한 개략도.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의 자세전환장치의 고정부재와 회전부재가 결합하여 피이송물의 이송라인이 도시된 개략 시시도.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에서 피이송물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0은 도 19의 a, b, c 및 d의 단면의 위치에서, 고정부재 및 회전부재 사이의 이송라인에서 피이송물의 자세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The construc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drawings and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ntire system of a conveyed-material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ntire system of a conveyed-material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a conveyed object to an insulating conveyance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defin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overall system for transferring a material to a multi-row transfer lin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vement of a conveyed object in a postur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uffer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uffer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a conveyed object in the buffer device and posture revers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pection apparatus, a marking apparatus, a counter, and a packaging unit of a conveyed object in the posture rever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fee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vibration feed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of a first hopper block and a second hopper block of a vibration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yed object is supplied from a vibration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a posture changing device.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FIG. 1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apparatu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a conveye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FIG. 1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a conveye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olding member and a rotating member of the attitude changing device of the conveye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modified embodiments (a) and (b) of a conveying line shape in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16;
FIG. 1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ying line of a conveyed object, in which a stationary member and a rotating member of the conveying apparatus in the attitud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combined. FIG.
Fig. 1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vement of a conveyed object in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Fig. 20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the attitud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in the conveyance line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at the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of a, b, c and d in Fig. 19;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언급될 것이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설명적이고 예시적이며, 본 개시내용을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는 본 실시내용을 제한하기 위해 해석될 수 없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llustrative and exemplary, and are used to generally understand the present disclosure. The embodiments can not be construed to limit the present embodiments.

명세서에서, 구체적이거나 다르게 한정되지 않은 경우라면, "가로", "세로", "길이", "폭", "두께",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외측", "내측", 및 그의 파생어와 같은 위치 또는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은, 도면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위치 또는 위치 관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관련 용어들은 기술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이고, 반드시 본 개시내용이 특정의 위치에서 구성되거나 작동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specific, the terms "width", "length", "length", "width", "thickness", "forward", "rearward", " Quot ;, "inner ", and derivative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indicating a posi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as shown in the figures. The related terms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necessarily require that the present disclosure be constructed or operated in a specific position.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서, 구체적이거나 다르게 한정되어 있지 않다면, "다수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의미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plurality" means two or more than two unless specifically or otherwise limited.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서, 구체적이거나 다르게 한정되어 있지 않다면, "결합되는", "실장되는", "연결되는"과 같은 용어는 영구 결합, 분리 가능한 결합, 또는 완전한 결합과 같이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 coupled ", "mounted ", and" connected "should be understood broadly, such as a permanent bond, a separable bond, .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제 이송장치가 이하에서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A tablet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iscussed in detail below.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전, 피이송물 이송장치의 전체 시스템에 적용되는 방향 및 피이송물의 방향에 대하여 우선 설명한다. 이를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Before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rection applied to the entire system of the conveyed object conveyance apparatus and the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will be described first. See FIG. 2 for this purpose.

도 2에서, 도면부호 C는 피이송물의 이송방향을 의미하며, 도면부호 H는 각각의 장치의 높이방향을 의미한다. In Fig. 2, reference symbol C denot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and reference symbol H denotes the height direction of each apparatus.

또한 도 2에는 피이송물의 하나의 예로 정제를 예를 들고 있고, 이에 대한 방향이 정의가 되어 있다. In Fig. 2, one example of the conveyed matter is an example of a tablet, and the direction thereof is defined.

도 2의 피이송물에 대한 도면 (a)는 정제의 사시도이다. 도 2의 피이송물에 대한 도면 (a)의 I-I'의 단면 (b)는 정제가 두께 표면(TS')을 기준으로 세워진 상태로, 이를 정제의 세로방향의 자세로 정의한다. 그리고 도 2의 피이송물에 대한 도면 (a)의 I-I'의 단면 (c)는 정제가 폭 표면(WS')을 기준으로 누운 상태로, 이를 정제의 가로방향의 자세로 정의한다.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t. The cross-section (b) of the line I-I 'in FIG. 2 (a) for the conveyed object in FIG. 2 defines the tablets as standing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surface TS' as a posture of the table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ross-section (c) of the line I-I 'in the drawing (a) for the conveyed object of FIG. 2 defines the tablet as a posture of the tablet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the tabs lying on the width surface WS'.

방향에 대한 도면부호 T, W, L은 각각 두께방향, 폭방향, 길이방향을 의미하고, 정제는 두께(T)와 폭(W)을 가진다. T, W and L denote the thickness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tablet has a thickness T and a width W. [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정제나 캡슐제 등의 피이송물을 이송하는 것으로 설명 또는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하면서 자세 전환이 필요한 피이송물의 이송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대해서도 본 개시내용의 권리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described or shown as conveying a delivery such as a tablet or capsule, it may also be applied to delivery of a delivery that requires a change of orientation while moving, It will be said to be mad.

이와 같은 도면부호들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정의된 것으로 본 개시내용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각각 구성요소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These reference numerals are simply defined for explaining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spective components.

정제 이송장치Tablet feeder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 이송장치의 전체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이송라인으로 피이송물을 이송하기 위한 피이송물 이송장치의 전체시스템에 대한 개략 사시도와 피이송물의 방향을 정의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ntire system of a conveyed object transferr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ying object for conveying a conveyed object to an insulating transferring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system of the water conveyance apparatus and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defin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 이송장치(1)는 진동피더(10), 자세전환장치(30), 버퍼장치(40) 및 이송장치(50)을 포함한다. 1 and 2, a conveyed water conve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vibrating feeder 10, a posture changing device 30, a buffer device 40, and a conveying device 50 ).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는 진동피더(10), 자세전환장치(30), 버퍼장치(40) 및 이송장치(50)가 하나의 이송라인으로 연속되어 있다. 1 and 2, the vibration feeder 10,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the buffer device 40, and the conveying device 50 are continuous in one conveyance line.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열 이송라인으로 피이송물을 이송하기 위한 전체시스템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전환장치에서 피이송물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overall system for conveying a conveyed article to a multi-row conveying l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4 is a cross-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진동피더(10), 자세전환장치(30), 버퍼장치(40) 및 이송장치(50)의 이송라인은 다수의 열로 구성된다. 다수의 이송라인을 구비하기 위해 진동피더(10), 자세전환장치(30), 버퍼장치(40) 및 이송장치(5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3 and 4, the transfer line of the vibration feeder 10,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the buffer device 40 and the transfer device 50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rows. At least one of the vibration feeder 10,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the buffer device 40, and the transfer device 50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manner to have a plurality of transfer lines.

진동피더(10)는 정제(Tab)를 세로방향의 자세로 정렬시켜 토출구(127)를 통하여 토출시킨다. The vibrating feeder 10 aligns the tablet Ta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tablet Tab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7. [

자세전환장치(30)는 고정부재(32)와 회전부재(34), 흡입부(36) 및 자세전환부(320)를 포함한다.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includes a fixing member 32, a rotary member 34, a suction portion 36, and a posture switching portion 320.

고정부재(32)와 회전부재(34)는 진동피더(10)의 토출구(127)와 대응되며 정제(Tab)의 두께 표면(TS)이 접촉하는 이송라인(CL)을 형성한다. The fixing member 32 and the rotary member 34 form a transfer line CL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127 of the vibration feeder 10 and in contact with the thickness surface TS of the tab Tab.

흡입부(36)는 자세전환장치(30)의 이송라인(CL)의 아래에서 진동피더(10)의 토출구(127)에서 토출되는 정제를 흡입한다. 자세전환장치(30)의 흡입부(36)는 정제의 가로방향의 자세로 전환 시까지 구동한다. The suction unit 36 sucks the tablet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7 of the vibration feeder 10 below the transfer line CL of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 The suction portion 36 of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is driven until switching to the horizontal posture of the tablet.

피이송물 이송장치(1)는 진동피더(10)와 자세전환장치(30) 사이에는 진동피더(10)에서 토출된 정제가 저장되는 저장부(240)가 형성된 고정블록(20)을 더 포함한다. The convey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 stationary block 20 between the vibratory feeder 10 and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in which a storage part 240 for storing the tablets discharged from the vibratory feeder 10 is formed do.

고정블록(20)은 자세전환장치(30)의 외주와 대응하는 현상의 저면을 가진다. The fixed block 20 has a bottom surface of the phenomen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

또한, 진동피더(10)의 전면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딩져 있으며, 진동 피더(10)의 전면과 마주하는 고정블록(20)의 후면은 진동피더(1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on feeder 10 is rounded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20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on feeder 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on feeder 10 .

여기서, 고정블록(20)의 후면의 곡률반경(R2)은 진동피더(10)의 전면의 상하 왕복 회전운동과 간섭하지 않도록 진동피더(10)의 전면의 곡률반경(R1)보다 크다. The curvature radius R2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block 20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radius R1 of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on feeder 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on feeder 10. [

고정블록(20)에는 자세전환장치(30)의 이송라인(CL)에서 두께 표면이 접촉하는 정제가 중첩되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첩된 정제를 피이송물의 이송방향의 반대로 이동시키는 제1 롤러(22)가 구비된다. The fixing block 20 prevents the tablets contacting the thickness surface from being conveyed in a superimposed manner on the conveying line CL of the attitude switching device 30 and prevents the superimposed tablets from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22).

또한, 피이송물 이송장치(1)는 고정블록(20)을 통과한 정제 중 자세전환장치(30)의 이송라인에서 두께 표면(TS)이 안착되지 않은 정제를 눌러 정제를 평탄화하는 제2 브러쉬(24)를 포함한다. The conveyed-material conveying apparatus 1 further comprises a second brush (not shown) for flattening the tablets by pressing the tablets having no thickness surface TS on the conveying line of the tablet passing through the fixing block 20, (24).

여기서, 제1 롤러(22) 및 상기 제2 브러쉬(24) 중 적어도 하나는 정제의 폭의크기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22 and the second brush 24 is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tablet.

자세전환부(320)는 이송라인(CL)의 정제 자세 전환 구간에서 세로방향의 자세로 정제(Tab)가 이송되면서 정제를 가로방향의 자세로 전환시킨다. The posture switching unit 320 switches the tablet to the posture in the lateral direction while the tablet Tab is transferred to the pos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fining posture change period of the transfer line CL.

버퍼장치(40)는 자세전환장치(30)의 이송라인(CL)과 대응되는 이송라인(CL)을 구비하며, 자세전환장치(30)의 회전속도에 비해 느리게 회전하여 정제의 이송간격을 조절한다. The buffer device 40 has a transfer line CL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line CL of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and rotates slowly compared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to adjust the transfer interval of the tablet do.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버퍼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버퍼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uffer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uffer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자세전환장치(30)의 흡입부(36)는 정제의 가로방향의 자세로 전환 시까지 구동하는데, 정제의 가로방향 자세 전환 후 정제는 자세전환장치(30)의 회전에 의해 자세전환장치(30)의 이송라인(CL)의 상부에서 하부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하면서 내려간다. The suction unit 36 of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is driven until the posture of the tablet is switche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fter the transverse direction posture change of the tablet, the tablet is rotated by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And descends freely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line CL.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장치(40)는 자세전환장치(30)의 상반구에서 연속되며, 자세 전환된 정제는 버퍼장치(40)의 유입단(45)까지 자유 슬라이딩하여 정제간의 이송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The buffer device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continues in the upper half of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and the tablet having the posture changed freely sliding to the inflow end 45 of the buffer device 40, Is reduced.

버퍼장치(40)의 유입단(45)의 이송라인(CL)에는 흡입부(46)가 구비되어, 버퍼장치(40)의 흡입부(46)의 구동에 의해, 이송간격이 줄어든 자세전환장치(30)의 가로방향 자세의 정제가 버퍼장치(40)의 이송라인으로 이송된다. The suction unit 46 is provided in the transfer line CL of the inlet end 45 of the buffer device 40 so that the suction unit 46 of the buffer device 40 is driven, The tablet in the transverse posture of the buffer device 30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line of the buffer device 40. [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장치(40)는 자세전환장치(30)의 하반구에서 연속된다. The buffer device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is continued in the lower half of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Fig.

버퍼장치(40)가 자세전환장치(30)의 하반구에 배치되면, 정제의 자유 슬라이딩 구간이 길어지게 되어 정제간의 이송간격이 없이, 정제가 버퍼장치(40)로 유입될 수 있다. When the buffer device 40 is disposed in the lower hemisphere of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the free sliding interval of the tablet becomes longer, so that the tablet can be introduced into the buffer device 40 without a transfer interval between the tablets.

여기서, 자세전환장치(30)의 정제의 자유 슬라이딩 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드부재(430)가 자세전환장치(30)의 외주연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Here, the hood member 43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in order to prevent the tablet posture changing device 30 from dropping during free sliding of the tablet.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장치 및 자세반전장치에서 피이송물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a conveyed object in the buffer device and posture rever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도 7을 참조하면, 버퍼장치(40)를 통해 가로방향 자세의 정제가 이송장치(50)로 이동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tablets in the transverse orientation ar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device 50 through the buffer device 40. Fig.

이송장치(50)는 버퍼장치(40)의 이송라인(CL)과 대응되는 이송라인(CL)을 구비하며, 정제의 폭 표면(WS)이 접촉하면서 정제가 회전 이송하도록 한다. 이송장치(50)는 이송라인(CL)에 대응하여 흡입부(56)가 형성되고, 정제를 가로방향으로 버퍼장치(40)에서 유입하여 회전이송한다. The conveying device 50 has a conveying line CL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line CL of the buffer device 40 and allows the tablets to rotate while contacting the width surface WS of the tablet. The transfer device 50 is formed with a suction part 56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line CL and transfers the tablet from the buffer device 4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rotates.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의 자세반전장치(60)는 이송장치(50)의 이송라인(CL)과 대응되는 이송라인(CL)을 가진다. The posture reversing device 60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transfer line CL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line CL of the transfer device 50. [

자세반전장치(60)는 이송장치(50)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장치(50)의 이송라인(CL)에 노출되는 정제의 폭 타표면(WS')과 반대의 폭 일표면(WS)이 노출하게 한다. The posture reversing device 60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50 and is opposite to the widthwise surface WS 'of the tablet exposed to the conveying line CL of the conveying device 50 WS).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반전장치에서 피이송물의 검사장치, 마킹장치, 계수기 및 포장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pection apparatus, a marking apparatus, a counter and a packaging unit of a conveyed object in the posture rever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의 피이송물 이송장치(1)는 이송장치(50) 및 자세반전장치(60)의 이송라인에서 노출되는 정제 폭 표면(WS', WS)의 외관을 검사하는 검사장치(70)를 더 포함한다. 8, the conveyed water conve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nfigured to convey the conveying line of the conveying apparatus 50 and the posture reversing apparatus 60, And an inspection device 70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검사장치(70)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정제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The inspection apparatus 70 may be an ultra-high speed camera module capable of inspecting the surface of the tablet moving at a high speed.

또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의 피이송물 이송장치(1)는 자세반전장치(60)의 배출단(65)에 배치되는 계수 장치(72)와 포장 유닛(7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veyed water conveying apparatus 1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so include a counting device 72 and a packaging unit 74 disposed at a discharge end 65 of the posture reversing device 60.

배출단(65)은 에어 블로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계수 장치(72)와 포장 유닛(74)은 이송장치(5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end 65 may be configured as an air blow and the counting device 72 and the packaging unit 74 may be disposed in the transfer device 50.

도 1 내지 도 8의 도면을 참조하면, 자세전환장치(30), 버퍼장치(40), 이송장치(50) 및 자세반전장치(60)는 회전드럼으로 구성된다. 1 to 8,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the buffer device 40, the conveying device 50, and the posture reversing device 60 are constituted by rotary drums.

각각의 회전드럼의 회전 방향을 살펴보면, 자세전환장치(30)와 버퍼장치(40)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며, 버퍼장치(40)와 이송장치(50)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30 and the buffer device 40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buffer device 40 and the transfer device 50 can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도 7과 같이, 자세전환장치(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버퍼장치(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송장치(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자세전환장치(6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7,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buffer device 4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veying device 5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posture changing device 60 It can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여기서, 자세전환장치(30), 버퍼장치(40), 이송장치(50) 및 자세반전장치(60)는 정제의 폭의 일표면(WS)과 타표면(WS')이 각각의 이송라인(CL)에 접촉하면서 정제의 두께와 간섭하지 않는 간격(G1, G2, G3)을 가진다.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the buffer device 40, the conveying device 50 and the posture reversing device 60 are arranged such that one surface WS and another surface WS ' CL, G1, G2, G3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thickness of the tablet.

진동피더Vibrating feeder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피더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피더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피더의 제1 호퍼블록과 제2 호퍼블록의 결합모습의 개략 사시도이다. Figur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ibratory fee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0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vibratory fee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ory fee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first hopper block and the second hopper block of the vibration feeder.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피더(10)는 호퍼본체(120), 슬롯부(125), 피이송물 대기 공간벽부(140) 및 진동발생부(160)를 포함한다. 9 to 11, the vibration feed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hopper body 120, a slot portion 125, a conveyed object air space wall portion 140, and a vibration generating portion 160).

피딩장치의 객체인 피이송물은 두께와 폭을 가진 정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피이송물 또한 정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하면서 공급될 필요가 있는 것이면 본 개시내용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The feed which is an object of the feeding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tablet having a thickness and a width. The conveyed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tablet, and any material that needs to be supplied while vibrating is included 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호퍼본체(120)에는 정제 투입공간(IS)이 형성된다. 호퍼본체(120)는 도 2의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호퍼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9와 같이 다수의 호퍼블록(1201, 1202, 1203, 1204, 1205)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hopper body 120 is provided with a tablet insertion space IS. The hopper body 120 may be formed of one hopper block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 and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hopper blocks 1201, 1202, 1203, 1204, and 1205 as shown in FIG.

슬롯부(125)는 정제 투입공간(IS)으로 투입된 정제가 세로방향의 자세로 통과하여 정렬되도록, 정제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 The slot portion 125 may have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ablets so that tablets introduced into the tablet introducing space IS are aligned and passed through in a longitudinal orientation.

하나의 슬롯부(125)는 제1 호퍼블록(1201)과 제2 호퍼블록(1202)의 결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호퍼블록(1201) 및 제2 호퍼블록(120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롯부(125)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호퍼블록(1202)에 홈을 가공하여 정제 대기 공간벽부(140)를 형성하고, 제1 호퍼블록(1201)과 대면접촉하여 슬롯부(125)가 형성된다.One of the first hopper block 1201 and the second hopper block 1202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first hopper block 1201 and a second hopper block 1202,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125 may be formed. A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hopper block 1202 to form the tablet reservoir space wall portion 140 and the slot portion 125 is formed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first hopper block 1201.

슬롯부(125)의 상부는 경사진 확장부(1252)가 형성되어, 정제 투입공간(IS)으로 투입되는 정제들이 슬롯부(125)로 용이하게 낙하하도록 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slot portion 125 is formed with an inclined extension portion 1252 so that the tablets introduced into the tablet insertion space IS can be easily dropped into the slot portion 125.

정제 대기 공간벽부(140)는 호퍼본체(120)의 전면(121), 후면(122), 측면(123) 및 저면(124)을 이루어 슬롯부(125)를 통과한 정제가 대기하는 정제 대기공간(145)을 형성한다. The tablet reservoir space wall portion 140 is formed in the tablet reservoir space 130 through which the tablet passing through the slot portion 125 is formed by the front surface 121, the rear surface 122, the side surface 123 and the bottom surface 124 of the hopper main body 120, (145).

호퍼본체(120)의 저면(124)은 정제의 이송방향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내려가는 기울기를 가지게 되며, 진동이 발생하면, 정제가 호퍼본체(120)의 전면(121)으로 이동한다. The bottom surface 124 of the hopper main body 120 has a slope downward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tablet conveying direction and the tablets move to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hopper main body 120 when the vibration occurs.

정제 대기 공간벽부(140)의 홈에 의해 형성되는 정제 대기공간(145)은 호퍼본체(120)의 전면(121)에 형성되어 토출 대기 중인 정제가 세로 방향의 자세로 토출되는 토출구(127)와 연통한다. The tablet reservoir space 145 formed by the grooves of the tablet reservoir space wall portion 140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hopper main body 120 and has a discharge port 127 through which tablets are discharged in a vertical posture Communicate.

토출구(127)는 호퍼본체(120)의 전면(121)에 형성되며, 호퍼본체(12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된다. 정제는 슬롯부(125)를 통해 세로방향의 자세로 정제 대기 공간(145)으로 이동하고, 정제 대기 공간벽부(140)에서 토출구(127)를 통하여 토출된다. The discharge port 127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hopper main body 120 and open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pper main body 120. The tablet moves through the slot 125 into the tablet waiting space 145 in the vertical orientation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7 from the tablet reservoir space wall portion 140. [

토출구(127)의 전면에는 차폐막(12)이 배치되며, 차폐막(12)은 토출구(127)에서 정제가 세로 방향의 자세로 일정높이로 토출되도록 개구의 일부를 차폐한다. A shielding film 1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27. The shielding film 12 shields part of the opening so that the tablets are discharged at a constant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scharge port 127.

진동발생부(160) 호퍼본체(120)를 지지하여 슬롯부(125)의 하부를 차폐하고, 호퍼본체(120)의 후면(122)에 인접한 하부에 진동축(165)을 구비하며, 진동축(165)을 중심으로 전면(121)이 상하로 반복 회전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킨다.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6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hopper main body 120 to shield a lower portion of the slot 125 and to have a vibration shaft 165 at a lower portion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122 of the hopper main body 120, So that the front face 121 is repeatedly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center axis 165.

여기서, 정제 투입 공간(IS)의 저면(129)은 진동발생부(160)가 진동을 발생시킬 때, 정제 투입공간(IS) 상의 정제가 이송방향의 후방으로 이동될 정도의 경사를 가진다. Here, the bottom surface 129 of the tablet insertion space IS has such a degree of inclination that the tablets on the tablet insertion space IS are moved backward in the conveying direction when the vibration generating section 160 generates vibration.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피더에서 자세전환장치로 피이송물이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FIG. 12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yed object is fed from a vibration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a posture changing device, and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진동피더(10)에서 자세전환장치(30)로 정제가 공급되는 모습을 설명한다. 12 and 13,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he tablet feeder is fed to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in the vibrating feeder 10. FIG.

호퍼본체(120)의 정제 투입공간(IS)에 정제가 투입되고 진동 발생부(160)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면, 정제가 슬롯부(125)에 의해 세로방향의 자세로 정제 대기공간(145)에 이동한다. 여기서, 정제 투입공간(IS)의 저면(129)이 진동발생부(160)가 진동을 발생시킬 때, 정제 투입공간(IS) 상의 정제가 이송방향의 후방으로 이동될 정도의 경사를 가진다. When the tablets are put into the tablet introducing space IS of the hopper main body 120 and the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160, the tablets are fed into the tablet waiting space 145 in the vertical posture by the slot part 125, . Here, when the bottom surface 129 of the tablet insertion space IS generates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section 160, the tablets on the tablet insertion space IS have such a degree of inclination as to move backward in the conveying direction.

따라서, 진동이 발생하면, 정제 투입공간(IS) 상의 정제가 호퍼본체(120)의 후면(12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로방향의 자세로 슬롯부(125)를 통해 정제 대기공간(145)에 이동한다. The tablets on the tablet insertion space IS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122 of the hopper main body 120 and the tabs on the tablet insertion space IS are transferred to the tablet waiting space 145 through the slot 1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ve.

진동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호퍼본체(120)의 전면(121)에 정제의 과잉공급으로 인해 적재되면, 적재된 정제의 하중으로 인해 정제가 슬롯부(125)로 이동하기가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정제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If the excessive load of the tablet is loaded on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hopper main body 120 where the vibration is greatest, it is difficult for the tablet to move to the slot portion 125 due to the load of the loaded tablet. This causes the tablet to move backward.

호퍼본체(120)의 저면(124)은 정제의 이송방향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내려가는 기울기를 가지게 되며, 진동이 발생하면, 정제가 호퍼본체(120)의 전면(121)으로 이동한다. The bottom surface 124 of the hopper main body 120 has a slope downward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tablet conveying direction and the tablets move to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hopper main body 120 when the vibration occurs.

호퍼본체(120)의 저면(124)은 정제의 이송방향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내려가는 기울기를 가지게 되며, 진동이 발생하면, 호퍼본체(120)의 후면(122)에 인접한 정제 대기공간(145) 내의 정제가 호퍼본체(120)의 전면(121)으로 이동한다. The bottom surface 124 of the hopper body 120 has a slope downwardly forward from the back of the tablet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inside of the tablet waiting space 145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122 of the hopper body 120 The tablet moves to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hopper main body 120.

호퍼본체(120)의 후면(122)은 상기 정제 대기공간(145)과 연통되는 에어 공급홀(1222)가 형성되며, 에어 블로우(130)를 구동하여, 호퍼본체(120)의 후면(122)에 인접한 정제 대기공간(145) 내의 정제를 호퍼본체(120)의 전면(121)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킨다. The rear surface 122 of the hopper main body 120 is formed with an air supply hole 1222 communicating with the tablet reservoir space 145. The air blow 130 is driven to move the rear surface 122 of the hopper main body 120, The tablets in the tablet holding space 145 adjacent to the hopper main body 120 are easily moved to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hopper main body 120.

피이송물 이송장치(1)는 진동피더(10)와 자세전환장치(30) 사이에는 진동피더(10)에서 토출된 정제가 저장되는 저장부(240)가 형성된 고정블록(20)을 더 포함한다. The convey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 stationary block 20 between the vibratory feeder 10 and the posture changing device 30 in which a storage part 240 for storing the tablets discharged from the vibratory feeder 10 is formed do.

호퍼본체(120)의 토출구(127)는 호퍼본체(120)의 전면(121)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개구되어 있고, 이는 고정블록(20)의 저장부(240)에 대응되는 높이로 개구된다. The discharge port 127 of the hopper main body 120 is opened to have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hopper main body 120 and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portion 240 of the fixed block 20 .

토출구(127)의 전면의 차폐막(12)이 배치되며, 차폐막(12)은 토출구(127)에서 정제가 세로 방향의 자세로 일정높이로 토출되도록 하고, 토출된 정제는 고정블록(20)의 저장부(240)로 이동한다. The shielding film 1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27 is disposed so that the tablet is discharg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scharge port 127 and the discharged tablets are stored in the storage (240).

여기서, 진동체인 호퍼부재(120)와 고정체인 고정블록(20) 사이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진동피더(10)의 전면(121)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딩져 있으며, 진동 피더(10)의 전면(121)과 마주하는 고정블록(20)의 후면은 진동피더(1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vibration feeder 10 is rounded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in order to eliminat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hopper member 120 and the fixing block 20,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20 facing the front surface 1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on feeder 10. [

여기서, 고정블록(20)의 후면의 곡률반경(R2)은 진동피더(10)의 전면의 상하 왕복 회전운동과 간섭하지 않도록 진동피더(10)의 전면의 곡률반경(R1)보다 크다. The curvature radius R2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block 20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radius R1 of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on feeder 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on feeder 10. [

또한, 진동피더(10)의 구동에 의해 고정블록(20)의 저장부(240)로 넘어가게 되면, 차폐막(12) 아래의 고정블록(20)에 다수의 정제가 적재된다. 고정블록(20)과 호퍼본체(120)의 토출구(127)에 동시에 존재하는 정제는 차폐막(12)의 존재로 인해진동하더라도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vibrating feeder 10 is driven to move to the storage portion 240 of the fixed block 20, a plurality of tablets are loaded on the fixed block 20 under the shielding film 12. Tablets existing simultaneously in the fixing block 20 and the discharge port 127 of the hopper main body 120 can alleviate impact and prevent breakage even if they vibrate due to the presence of the shielding film 12. [

피이송물Conveyed matter 자세전환장치  Posture switching device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의 자세전환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의 자세전환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FIG. 1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apparatus for changing the attitude of a conveye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changing the attitude of a conveye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30)는 고정부재(32) 및 회전부재(34)를 포함한다. 14 and 15, the conveyed object posture switching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xing member 32 and a rotating member 34. [

자세전환장치장치의 객체인 피이송물은 두께와 폭을 가진 정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피이송물 또한 정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하면서 피이송물의 자세를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 이송장치라면 본 개시내용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The object to be conveyed as the object of the posture switching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tablet having a thickness and a width. The conveyed object is not limited to the tablet, and it is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long as it is a conveyance apparatus that needs to switch the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moving.

고정부재(32)와 회전부재(34)는 상호 마주하여 정제의 이송라인(CL)을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부재(32)는 이송라인(CL)에서 정제의 두께 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자세를 변환시키는 자세 전환부(320)를 포함한다. The fixing member 32 and the rotary member 34 face each other to form a conveying line CL of tablets. Here, the fixing member 32 includes a posture switching unit 320 that changes the posture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ablet in the conveying line CL.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34) 및 고정부재(32)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rotary member 34 and the fixing member 32 may have a disk shape.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34)에 회전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회전롤러(35)를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디스크 형상의 회전부재(34)가 회전롤러(35)의 외주면(35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회전롤러(35)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34)가 회전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using the rotary roller 35 as a method of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member 34 is disclosed. Shaped rotary member 34 is inserted and fix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52 of the rotary roller 35 and the rotary member 34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roller 35. [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30)의 이송라인은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하나일 수 있으며, 도 14의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veyance line of the conveyed object posture switching device 30 may be on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 and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lumns as in the embodiment of FIG.

다수의 열로 이송라인을 형성하는 회전부재(34)와 고정부재(32)는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rotary member 34 and the fixing member 32, which form the transfer line with a plurality of rows, can be constructed by stacking in the axial direction.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의 자세전환장치의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B부분의 개략 확대도로, 이송라인 형상의 변형 실시예 (a) 및 (b)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이송물의 자세전환장치의 고정부재와 회전부재가 결합하여 피이송물의 이송라인이 도시된 개략 시시도이며,FIG.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mber and a rotary member of a conveyance postur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7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6, 1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yance line of the conveyed object, in which the stationary member and the rotary member of the conveyance posture chan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고정부재(32)와 회전부재(34)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xing member 32 and the rotary member 3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Fig.

회전부재(34)는 레일부(343), 회전측면부(341), 및 밴드부(345)를 포함한다. The rotating member 34 includes a rail portion 343, a rotating side portion 341, and a band portion 345. [

레일부(343)는 이송라인(CL)에서 피이송물이 접촉하는 이송면(CS)을 제공한다. The rail portion 343 provides a conveyance surface CS on which the conveyed object comes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line CL.

회전측면부(341)는 레일부(343)의 일측에서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이송라인(CL)의 일측면이 된다. 여기서, 고정부재(32)는 회전측면부(341)과 마주하며 이송라인(CL)의 타측면이 되는 고정측면부(321)를 포함한다. The rotating side surface portion 341 extend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rail portion 343, and becomes one side surface of the conveyance line CL. The fixing member 32 includes a fixed side portion 321 facing the rotation side portion 341 and serving as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line CL.

레일부(343)에는 정제를 흡입하는 에어홀(3435)이 형성되며, 정제가 유입되는 이송라인(CL)에는 에어홀(3435)을 통해 정제를 흡입하는 흡입부(36, 도 14)를 더 포함한다. An air hole 3435 for sucking the tablet is formed in the rail part 343 and a suction part 36 (FIG. 14) for sucking the tablet through the air hole 3435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transfer line CL into which the tablet flows. .

밴드부(345)는 레일부(343)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부재(32)가 삽입될 수 있다. 회전부재(34)의 회전시 고정부재(32)와 간섭되지 않도록, 밴드부(345) 외주면의 직경(D2)은 고정부재(32)의 내주면의 직경(D1)보다 작다. The band portion 345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rail portion 343, and the fixing member 32 can be inserted. The diameter D2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nd portion 345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xing member 32 when the rotary member 34 rotates.

도 17은 레일부(343)의 변형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a) 실시예는 에어홀(3435)마다 정제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파티션부(348)가 형성되며, (b) 실시예는 에어홀(3435)마다 회전부재(34)의 이송면(CS) 상에 저면이 라운딩된 포켓 파티션부(349)가 형성된다. Figure 17 relates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rail portion 343, wherein (a) the embodiment has a partition 348 capable of receiving tablets for each of the air holes 3435, (b) A pocket partition portion 349 is formed on each of the air holes 3435 on the transfer surface CS of the rotary member 34 with its bottom surface rounded.

이와 같은 파티션부들은 피이송물의 형상이 독특한 경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Such partition portions may be used when the shape of the conveyed object is unique.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에서 피이송물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0은 도 14의 a, b, c 및 d의 단면의 위치에서, 고정부재 및 회전부재 사이의 이송라인에서 피이송물의 자세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Fig. 1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ving state of a conveyed object in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0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ttitude of a conveyed object in a conveyance line between the conveyance lines.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정제의 자세전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s. 19 and 20, the switching of the posture of the tabl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송라인(CL)은 유입이송구간(332), 자세전환구간(334) 및 유출이송구간을 포함한다. The transfer line CL includes an inflow transfer section 332, a posture change section 334 and an outflow transfer section.

유입이송구간(332)에서는 정제의 두께 표면(TS)이 접촉한 상태로 정제가 유입된다. In the inflow / delivery section 332, tablets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thickness surface (TS) of the tablet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자세전환구간(334)은 유입이송구간(332)과 연속하며, 정제의 폭 표면(WS)이 접촉하도록 정제(Tab)의 자세를 전환시킨다. The posture change section 334 is continuous with the inflow conveying section 332 and switches the tablet Tab so that the width surface WS of the tablet contacts.

유출이송구간은 자세전환구간(334)과 연속하며, 정제의 폭 표면(WS)이 접촉한 채로 정제가 이송 및 유출된다. The outflow transfer section continues with the posture change section 334, and the tablets are transferred and discharged while the width surface WS of the tablet is in contact.

여기서, 유입이송구간(332)은 정제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자세전환구간(334)은 정제의 폭 방향 최대 대각선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유출이송구간(336)은 상기 피이송물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inflow / delivery section 332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ablet, the posture change section 334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iagonal length of the tablet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onveyed object.

또한, 유입이송구간(332), 자세전환구간(334) 및 유출이송구간(336)의 폭은 고정부재(32)의 고정측면부(321)에 형성되며, 회전부재(34)의 회전측면부(341)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돌기(3271, 3272, 3273)의 크기를 통해 조절된다. The widths of the inflow conveying section 332, the posture changeover section 334 and the outflow conveying section 336 are formed in the fixed side portion 321 of the fixing member 32 and the rotation side portions 341 3272, and 3273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protrusions 3271, 3272, and 3273, respectively.

자세전환구간(334)은 이송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쐐기형상의 돌출돌기(3272)를 포함하며, 쐐기 형상의 돌출돌기(3272)가 형성되는 자세전환구간(334)에는 정제에 외력을 가하여 피이송물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외력제공부(38)가 제공된다. The posture change section 334 includes a wedge-shaped protrusion protrusion 3272 whose thickness decreases in the transporting direction. In the posture change section 334 where the wedge-shaped protrusion protrusion 3272 is forme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ablet, An external force supply unit 38 for switching the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is provided.

외력제공부(38)는 이송라인(CL)의 상부의 정제의 폭의 높이와 간섭하는 위치에서 이송라인(CL)과 수평으로 회전하는 회전롤러(38)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 보호범위의 외력제공부(38)는 회전롤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xternal force supply member 38 may be a rotary roller 38 that rotates horizontally with the conveying line CL at a position where it interferes with the height of the tablets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ing line CL.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38 in the protection rang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rotating roller.

유입이송구간(332)에서 자세전환구간(334)까지의 이송라인(CL)에 흡입부(36, 도 14)가 구비되며, 자세전환구간(334) 이후에는 정제가 자유 슬라이딩하여 이후의 정제 이송장치에 공급된다. The suction unit 36 (Fig. 14) is provided in the transfer line CL from the inflow transfer section 332 to the posture change section 334, and after the posture change section 334, the tablet is freely slid, Is supplied to the apparatu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이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언급된, "실시예", "일부 실시예"는 실시예 또는 예시에 관계하여 기술된 특별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 명세서 전체를 통해서 다양한 곳에서, "일부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에서"라고 하는 구(phases)의 존재는 본 개시내용의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인용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특별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 embodiment," " some embodiments,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structure, material, or characteristic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or example is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 Thus, in various place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existence of the phrases "in some embodiments," in one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ily quoted. In addition, particular features, structures, materials, or characteristics may be combined in any suitable manner in one or more embodiments or examples.

설명적인 실시예들이 보여지고 기술되었다고 하더라도, 변화, 치환 및 수정 모두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며, 그들의 균등물은 개시내용의 정신 및 원칙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Although illustrative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an be made in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isclosure will be.

Tab: 정제 IS: 정제 투입공간
10: 진동피더 20: 고정블록
30: 자세전환장치 40: 버퍼장치
50: 이송장치 60: 자세반전장치
32: 고정부재 34: 회전부재
22: 제1 롤러 24: 제2 브러쉬
Tab: Tablet IS: Tablet injection space
10: vibration feeder 20: fixed block
30: attitude switching device 40: buffer device
50: transfer device 60: posture reversal device
32: fixing member 34: rotating member
22: first roller 24: second brush

Claims (20)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마주하여 피이송물의 이송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라인에서 피이송물의 두께 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자세를 변환시키는 자세 전환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A rotary member; And
And a posture switching unit that forms a conveyance line of the conveyed object facing the rotary member and changes the posture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line, And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디스크 형상의 상기 회전부재가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롤러를 더 포함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has a disk shape,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roller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disk, and which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송라인에서 상기 피이송물이 접촉하는 이송면을 제공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서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라인의 일측면이 되는 회전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회전측면부와 마주하며 상기 이송라인의 타측면이 되는 고정측면부를 포함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 rail part for providing a conveying surface on which the conveyed object comes in contact with the conveying line;
And a rotation side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rail portion and serving as one side surface of the conveyance line,
Wherein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fixed side portion facing the rotation side portion and serving as the other side of the conveyance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피이송물을 흡입하는 에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이송물이 유입되는 상기 이송라인으로 상기 에어홀을 통해 상기 피이송물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 air hole for sucking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formed in the rail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the conveyed object through the air hole with the conveyance line through which the conveyed object flow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이송면 상에 피이송물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파티션부가 형성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artition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 conveyed object is formed on a conveying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이송면 상에 저면이 라운딩된 포켓 파티션부가 형성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ocket partition part having a rounded bottom surface is formed on a conveying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레일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고정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밴드부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은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tary member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rail portion and includes a band portion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Wherein a diameter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portion is smaller than a diameter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xing member upon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피이송물의 두께 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상기 피이송물이 유입되며 유입이송구간;
상기 유입이송구간과 연속하며, 상기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피이송물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자세전환구간; 및
상기 자세전환구간과 연속하며, 상기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촉한 채로 상기 피이송물이 이송 및 유출되는 유출이송구간;을 포함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line
Wherein the conveyed object flows in a state in which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object;
A posture change section that is continuous with the inflow / outgoing conveyance section and that changes the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so that the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comes into contact; And
And an outflow conveying section that continues to the posture change section and in which the conveyed matter is conveyed and outflowed while the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pat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이송구간은 상기 피이송물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자세전환구간은 상기 피이송물의 폭 방향 최대 대각선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유출이송구간은 상기 피이송물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flow / outflow section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veyed object,
Wherein the posture change period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a length of a maximum diagonal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Wherein the outflow conveying section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onveyed objec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이송구간, 상기 자세전환구간 및 상기 유출이송구간의 폭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측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돌기의 크기를 통해 조절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idth of the inflow / outflow section, the posture change section, and the outflow / conveyance section is formed on a fixed side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and is adjusted by a size of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rotation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member,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전환구간은 이송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쐐기형상의 돌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쐐기 형상의 돌출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자세전환구간에는 상기 피이송물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피이송물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외력제공부가 제공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osture change section includes a wedge-shaped protrusion protrusion whose thickness decreas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Wherein the wedge-shaped protrusion protrusion is formed in the posture changing section, wherein an external force providing section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object to be conveyed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provid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이송라인의 상부의 상기 피이송물의 폭의 높이와 간섭하는 위치에서 상기 이송라인과 수평으로 회전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includes a rotating roller that rotate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line at a position where the conveying line interferes with the height of the width of the conveyed object on the conveying l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이송구간에서 상기 자세전환구간까지의 이송라인에 흡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자세전환구간 이후에는 상기 피이송물이 자유 슬라이딩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suction unit is provided on a transfer line from the inflow transfer section to the posture change section,
And the conveyed object is freely slid after the posture changeover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다수의 열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라인을 형성하는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적층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line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columns,
Wherein the rotary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forming the transfer line are continuously stacked in the axial direction.
다열의 이송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라인에서 피이송물의 두께 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하도록 자세를 전환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에서,
상호 마주한 간격이 하나의 이송라인을 형성하며, 적층되어 다열의 이송라인을 형성하는 회전부재와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측면부와 마주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측면부 사이의 간격을 피이송물의 자세에 따라 조절하고,
상기 피이송물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피이송물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In a conveyed object posture switch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onveyance lines and switching a posture such that a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s in contact with a thickness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line,
A rotating member and a fixing member which are stacked and form a multi-row transfer line, the mutually facing gap forming one transfer line,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facing the rotation side surface portion of the rotary memb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And a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is chang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conveyed objec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측면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측면부 사이의 간격의 조절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측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로 향하는 돌출돌기의 크기를 통해 조절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djustmen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side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and the fixed sid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is adjusted through the size of the protrusion from the fixed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toward the rotary memb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디스크 형상의 상기 회전부재가 외주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롤러를 더 포함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t least one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has a disk shape,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roller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disk, and which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memb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고정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밴드부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은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 band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Wherein a diameter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portion is smaller than a diameter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xing member upon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피이송물의 두께 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상기 피이송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이송구간;
상기 유입이송구간과 연속하며, 상기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피이송물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자세전환구간; 및
상기 자세 전환구간과 연속하며, 상기 피이송물의 폭 표면이 접촉한 채로 상기 피이송물이 이송 및 유출되는 유출이송구간;을 포함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ransfer line
An inflow conveying section for allowing the conveyed object to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inflow conveying section;
A posture change section that is continuous with the inflow / outgoing conveyance section and that changes the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so that the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comes into contact; And
And an outflow conveying section that continues to the posture change section and in which the conveyed object is conveyed and outflowed while the width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s in contact therewith.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이송구간에서 상기 자세전환구간까지의 이송라인에 흡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자세전환구간 이후에는 상기 피이송물이 자유 슬라이딩되는 피이송물 자세전환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A suction unit is provided on a transfer line from the inflow transfer section to the posture change section,
And the conveyed object is freely slid after the posture changeover period.

KR1020170049408A 2017-04-17 2017-04-17 Attitude switching device KR101939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408A KR101939367B1 (en) 2017-04-17 2017-04-17 Attitude switching device
PCT/KR2018/004402 WO2018194334A1 (en) 2017-04-17 2018-04-17 Position changing apparatus
JP2020506699A JP6916956B2 (en) 2017-04-17 2018-04-17 Posture chan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408A KR101939367B1 (en) 2017-04-17 2017-04-17 Attitude switch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720A KR20180116720A (en) 2018-10-25
KR101939367B1 true KR101939367B1 (en) 2019-01-16

Family

ID=6385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408A KR101939367B1 (en) 2017-04-17 2017-04-17 Attitude switching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16956B2 (en)
KR (1) KR101939367B1 (en)
WO (1) WO201819433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9967A (en) * 2021-12-31 2022-04-05 武汉库柏特科技有限公司 Packet medicine checking device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752B2 (en) 1994-11-29 2000-11-06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Flat product side inspection device, flat product transfer device, and flat product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using th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7801B2 (en) * 1993-03-18 1999-05-31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Conveying device for disk-shaped solid preparations with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diameter
JP3665667B2 (en) * 1995-09-13 2005-06-29 池上通信機株式会社 Small article alignment device
JPH11301601A (en) * 1998-04-22 1999-11-02 Takenaka Komuten Co Ltd Apparatus for inspecting, counting and filling tablets
JP3839423B2 (en) * 2003-07-10 2006-11-01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Filling device and PTP packaging machine
JP5059024B2 (en) 2005-12-19 2012-10-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3D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2008179466A (en) * 2007-01-26 2008-08-07 Ss Pharmaceut Co Ltd Tablet carrying device
JP6537373B2 (en) * 2015-01-14 2019-07-03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Pharmaceutical carrier
JP2015130672A (en) 2015-01-30 2015-07-16 フリュー株式会社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752B2 (en) 1994-11-29 2000-11-06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Flat product side inspection device, flat product transfer device, and flat product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us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6567A (en) 2020-06-11
WO2018194334A1 (en) 2018-10-25
JP6916956B2 (en) 2021-08-11
KR20180116720A (en)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2239B2 (en) Small article counting and feeding device
US5454464A (en) Solid article conveyor
TWI732600B (en) Transpor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apparatus
JP2008179466A (en) Tablet carrying device
KR101939367B1 (en) Attitude switching device
JP4657669B2 (en) Unit for transporting solid chemicals to the transport line of the machine for filling capsules
JP2008008897A (en) Front and back face appearance inspecting apparatus, side-face appearance inspecting apparatus and appearance inspecting apparatus of tablet
US11230437B2 (en) Feeding device for feeding products onto a conveyor belt
JP5629597B2 (en) Skewer alignment device and dumpling making machine
KR101918165B1 (en) Carrying device for carried object
KR20180116719A (en) Vibrating feeder
JP6537373B2 (en) Pharmaceutical carrier
JP2004224443A (en) Unit for conveying capsules to capsule filling machine
JP6577228B2 (en) Supply relay device for small molded products
JP4003829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an object to be conveyed to a conveying drum and method for supplying an object to be conveyed
KR200482491Y1 (en) Transfer Device Of Pill
JP2003206018A (en) Article aligning and feeding device
JP6753056B2 (en) Container alignment and transfer device
JP7325392B2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KR102590891B1 (en) Article conveyor and article printer
JP2019058221A (en) Tablet printing device
JP6403322B2 (en) Mounting surfac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d transfer device
JP2768591B2 (en) Tablet packaging machine
JP2021194252A (en) Granular material carrier device, granular material printing device, and granular material carrier method
KR20110093017A (en) Supply device of tablet used in automatic counting and pa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