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125B1 -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 - Google Patents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125B1
KR101939125B1 KR1020180090868A KR20180090868A KR101939125B1 KR 101939125 B1 KR101939125 B1 KR 101939125B1 KR 1020180090868 A KR1020180090868 A KR 1020180090868A KR 20180090868 A KR20180090868 A KR 20180090868A KR 101939125 B1 KR101939125 B1 KR 10193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end
smoke
shell
cylinder
propel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준
Original Assignee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화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8/00Practice or training ammunition
    • F42B8/12Projectiles or missiles
    • F42B8/20Mortar gren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42B12/48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smoke-producing, e.g. infrared clo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습용 축사탄의 탄피 내부에서 탄두와 결합된 연막제통을 기능성이 부여되도록 구조변경하여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시켜 화재위험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TRAINING FIELD FIRING SHELL WITH FUNCTIONAL SMOKE CANISTER}
본 발명은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습용 축사탄의 탄피 내부에서 탄두와 결합된 연막제통을 기능성이 부여되도록 구조변경하여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시켜 화재위험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격포탄은 박격포에 의해 발사되어 인명을 살상하거나 경장갑차 또는 건물 등을 파괴할 수 있는 군수무기의 일 종류이며, 발사기인 박격포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박격포탄의 형태도 다양하게 제시된다. 이와 같은 박격포탄은 파괴력이 매우 커서 군사 훈련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곤란함이 있다.
따라서, 군사 훈련 시 박격포탄의 파괴력은 제거하면서 실제 박격포탄과 유사한 폭음, 섬광 및 연막성능을 낼 수 있는 연습용 축사탄 및 축사기가 운용중에 있지만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납 성분을 약 50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어, 토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화약조성에 납성분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축사탄을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훈련시 화약 발화에 따른 화재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어 훈련장소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산지와 같이 불규칙한 지면에 의해 탄착지점의 시야확보가 불가능한 상태나 야간 훈련시에 사용할 수 있는 연습탄이 없어 훈련시간이나 장소에 제한이 따른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56506호(2011.10.28. 등록; 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은 연습용 축사탄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은 탄피; 상기 탄피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탄두; 상기 탄두에 결합되는 연막제통; 상기 연막제통에 삽입되는 연막제; 상기 탄피의 후단에 결합되며 장약(裝藥)이 삽입되는 격발몸체; 및 상기 격박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는 상기 격발몸체의 후방에 마련된 결합공의 내측으로 체결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전방부, 그 반대편의 후방부,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를 연결하며 중심부를 관통하는 분사구(jet hole)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의 후단부에는 뇌관이 위치하며, 상기 후방부의 중심부에 철구케이싱이 위치하고, 상기 철구케이싱 안에 철구가 삽입되며, 상기 장약과 인접한 결합공의 모서리에는 둥근 형태로 가공되는 둥근 표면 프로파일(Rounded surface profi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문헌은 추출장약과 별도로 추진장약이 구비되어 있어 탄피에서 탄두가 분리되어 날아갈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같은 선행문헌은 탄착시 연막통에서 연막제를 방출시키는 것으로, 실제탄과 대비하면 폭발력은 제거되면서 연막에 의해 폭발력을 연출하는 형태의 축사탄이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축사탄은 연막을 발생시키기 위해 연막제를 연소시키는 것으로 연막제 연소시 발생되는 화염이 주변에 전달될 수 있으며, 건조한 날씨에서는 산불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한 날씨나 가연성 소재가 다량 분포되어 있는 지역에서도 화재위험없이 안정적으로 훈련을 실행하고, 탄착지점에 대한 시야확보가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탄착지점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연습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6506호(2011.10.28. 등록) : 연습용 축사탄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141290호(1998.12.30.등록) : 박격포 연습사격용 축사탄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은,
화재발생이 민감한 환경에서도 화재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훈련을 실시할 수 있고, 시야확보가 어려운 조건에서도 대략적으로 탄착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등 기능성이 부여된 축사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은,
고폭탄 운용훈련에 사용되는 연습용 축사탄에 있어서, 탄피와; 상기 탄피의 전방에 결합되는 탄두와; 상기 탄두 후단에 결합되어 탄피 내부로 삽입되고, 전단에는 신관전실을 형성하여 탄두뇌관을 안치하고, 후단에는 신관후실이 형성된 신관몸체와; 상기 신관몸체의 후단측에 배치되는 추진제와; 상기 신관몸체의 후단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추진제의 연소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되는 연막저장체가 내포된 연막제통과; 상기 연막제통 후단에 결합되어 탄피에 내포되는 날개결합체; 및 상기 탄피의 후단에 결합되고, 추진장약이 충전된 격발전실과 추출장약이 충전되어 격발후실이 형성되고, 상기 격발전실과 격발후실은 화염을 전달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뇌관이 설치되는 격발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추진제는 신관몸체의 신관후실에 충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막저장체는, 연막제통에 내입되는 앰플내입관과; 상기 앰플내입관에 추출가능하게 내입되고 후방으로 직경이 좁아진 협소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앰플; 및 상기 앰플의 밀폐공간에 충전된 앰플연막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막저장체는, 상기 앰플 전단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신관후실의 추진제 연소압력을 전달받아 앰플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받침판과; 상기 앰플의 후단에 배치되고, 전방에는 앰플의 연약부위인 협소부를 내입시키는 완충홈이 형성되어 비행과정에서 흔들림에 의해 앰플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앰플연막제는, 사염화티타늄(titanium tetrachloride)으로 조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막저장체는, 신관몸체 후단의 신관후실에 전방측이 일부 내입되어 설치되는 통체로, 전방의 큰 직경을 갖는 추진전실과 후방의 직경이 축소된 추진후실이 형성되고, 상기 추진전실은 추진제가 충전되고 중심에 점화약이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화염을 추진후실로 전달하고, 상기 추진후실은 지연제가 충전되어 점화약에서 전달된 화염을 후단에 배치된 점화제로 지연시켜 전달하는 추진몸체와; 상기 추진몸체에 전단이 결합되되 추진몸체의 후단부분을 내포하도록 결합되고, 후단은 폐구된 신호조명통체; 및 상기 신호조명통체 내부에 충전되어 지연제와 점화제로부터 화염을 전달받아 연소되는 신호연막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막저장체는, 전방에 신호조명통체의 후단을 일부 내입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신호조명통체가 연막제통 내부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도록 고정시켜 추진제 연소압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고정캡;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연막제는, 마그네슘(Mg) 100중량부에 대해 질산바륨(Ba(NO3)2) 60~130 중량부, 질산스트론튬(Sr(NO3)2) 30~100 중량부, 바인더 10~65 중량부로 혼합하여 조성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은,
기존 폭발분산형 축사탄 내부의 연막제통을 앰플(ampul)형 또는 신호조명탄형으로 구성하여 화재예상지역에서의 훈련이나 탄착지 확인이 어려운 지역 또는 야간 훈련에도 축사탄훈련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연막제통 내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60mm, 81mm, 105mm, 120mm, 4.2인치 등의 기존 고폭탄에 적용하면 실전과 유사한 고폭탄 운용훈련이 가능하여 훈련효과증진으로 강군육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습용 축사탄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축사탄을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조명탄형 축사탄을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축사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관몸체 부분을 확대도시한 부분단면도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발몸체 부분을 확대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막저장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축사탄(10)은, 탄피(20)와, 상기 탄피 전방에 결합되는 탄두(30)와, 상기 탄피 후방에 결합되는 격발몸체(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피(20) 내부에 설치되는 신관몸체(40), 추진제(50), 연막제통(60), 날개결합체(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피(20)는 원통체로 구성되고 후방에 격발몸체(90)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격발몸체 점화시 연소가스의 압력에 의해 탄두(30)를 탄피(20)로부터 전방으로 사출되게 한다.
상기 탄두(30)는 후방에 신관몸체(40)가 결합되고, 신관몸체(40)가 결합되는 후단면에서 내측으로 설치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31)의 저면에는 탄두뇌관과 부딪쳐 탄두뇌관으로 하중을 집중 전달하기 위한 돌출부(32)가 형성되고, 돌출부(32)와 신관몸체 전단면 사이 더 상세하게는 돌출부(32)와 탄두뇌관집(43) 사이에는 스프링(33)이 게재된다. 상기 스프링(33)에는 안전클립(34)이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신관몸체(40)는 상기 탄두(30) 후단에 결합되어 탄피(2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신관몸체(40)는 외면이 탄피 전단측에 끼워넣어 고정되며, 후술되는 격발몸체 점화에 의한 발생가스에 의해 탄두와 함께 탄피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측으로 사출된다.
상기 신관몸체(40)는 전단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신관전실(41)이 형성되며, 상기 신관전실(41)에 탄두뇌관(44)이 안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전단에 신관전실(41)에 탄두뇌관(44)을 직접 장착하지 않고, 신관전실(41)에 탄두뇌관집(43)을 내설하고 상기 탄두뇌관집에 탄두뇌관(44)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신관전실(41)은 탄두의 설치홈(31)과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신관전실에 안치된 탄두뇌관집(43)이 탄두의 설치홈(31)으로 내입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두뇌관집(43)은 신관전실(41)에 내입되는 통체이고, 전단면에서 축방향으로 탄두뇌관(44)을 안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홈의 저면에서 후단면까지는 탄두뇌관(44)에서 발생된 화염을 후방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탄두뇌관집(43)은 탄두뇌관(44)을 견고하게 결합하고, 신관전실(41)과 탄두의 설치홈(31)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탄두뇌관집(43)은 스프링(33)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신관전실에 안치되도록 하고, 안전클립(34)이 제거되면 스프링(33)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외력이 전달되면 탄두뇌관집(43)은 스프링(33)을 가압하면서 탄두의 설치홈(31)으로 내입되어 탄두뇌관(44)이 탄두의 돌출부(32)에 타격되어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탄두뇌관(44)이 점화되면 점화열 및 화염은 탄두뇌관집의 유로를 통해 후단의 추진체로 전달되어 추진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추진제(50)는 신관몸체(40)의 후단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신관몸체(40)와 연막저장체(70) 사이에 위치되어 신관몸체의 유로를 통해 탄두뇌관의 화염을 전달받아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같이 신관몸체(40)에 후단면에서 축방향으로 홈형태의 신관후실(42)을 형성하고, 상기 신관후실(42)에 추진제(50)가 충전되도록 구성하며, 개구된 부분은 분리판으로 폐구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추진제(50)가 연소되면 연소가스가 분리판을 축방향으로 밀어내거나, 분리판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통공을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후술되는 앰플을 축방향의 후방으로 밀어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막제통(60)은 신관몸체(40)의 후단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추진제의 연소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되는 연막저장체(70)를 내포한다.
상기 연막제통(60)은 통체로 구성되어 축사탄 발사시 탄피(20)에서 사출되어 비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탄피에서 사출후 측면으로부터 내부에 저장된 연막저장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통체이다.
상기 연막저장체(70)는 연막제통(60)에 내입되는 앰플내입관(71)과, 상기 앰플내입관에 내입되는 앰플(72)과, 상기 앰플에 충전되는 앰플연막제(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앰플내입관(71)은 내면에 앰플(72)을 안치하되 추진제 연소압력에 의해 앰플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앰플(72)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체로서 일측 단부에는 직경이 좁아진 협소부가 형성된 밀폐된 용기이다. 상기 앰플(72)의 협소부는 외부로부터 하중을 직접 전달받으면 쉽게 파손이 되어 내부에 저장된 앰플연막제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앰플(72)은 파손이 용이하도록 유리재로 제조되거나, 플라스틱등으로 제조하되 협소부에 미리 구조적으로 약한 부위인 파손부위를 형성하여 외력박용시 파손부위에 외력이 집중되어 파손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파손부위는 일정구간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결합부위의 결합력을 낮춰서 쉽게 분리되게 하는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앰플연막제(73)는 사염화티타늄(titanium tetrachlorid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염화티타늄은 앰플 내부에 충전되어 외부 산소와 접촉을 차단한 다음 앰플파손에 의해 산소와 접하여 산화가 이루어지게 해 산화과정에서 연막을 발생시키게 한다. 즉, 기존 연막제는 연소에 의해 연막효과를 제공하나, 사염화티타늄을 앰플연막제로 사용하면 화염없이 산화에 의해 연막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위험이 높은 지역에서는 화염없이 연막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앰플형 축사탄을 사용하여 화재위험 없이 축사탄 연습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막저장체(70)는, 추진제의 연소압력을 넓은 면으로 전달받아 앰플로 전달하는 받침판(7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74)은 앰플 전방단부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추진제의 연소압력을 전달받아 앰플을 후방으로 밀어내게 한다.
또한, 상기 연막저장체(70)는 앰플 후단의 협소부를 일부 내입시켜 보호하면서 앰플이 앰플내입관 내에서의 측방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캡(75)이 더 설치된다.
상기 완충캡(75)은 앰플내입관(71)의 후단으로 탈거 가능하게 내입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앰플과 접하는 전방단부에는 축방향으로 완충홈이 형성되어 넓은 면을 통해 앰플의 후방 협소부를 지지하여 운반시나 비행시 진동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캡(75)은 발포성 수지제나 고무를 포함하여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앰플내입관(71)과 앰플(72)과 앰플연막제(73)와 받침판(74) 및 완충캡(75)을 내포한 연막제통(60)의 후단에는 날개결합체(80)가 결합된다.
상기 날개결합체(80)는 격발몸체(90)의 연소압력에 의해 탄두(30), 신관몸체(40), 연막제통(60) 및 날개결합체(80)의 조립체가 탄피로부터 사출될 때 접혀진 날개가 펴지면서 비행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 날개결합체(80) 후단에는 완충재(81)가 안치된다. 상기 완충재(81)는 탄피 내경에 접하는 판체 형태로, 후술되는 격발몸체의 연소가스를 전달받아 날개결합체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탄피로부터 사출되게 한다. 상기 완충재는 도시된 바와같이 두께를 갖는 원판체로 형성되거나, 후방에 축방향으로 원통형 홈 또는 타원반구형 홈으로 형성하여 중심에 압력이 집중되는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피(20) 후단에는 격발몸체(90)가 결합된다. 상기 격발몸체(90)는 뇌관(95) 점화시 추진장약(93)의 연소가스에 의해 탄두, 신관몸체, 연막제통 및 날개결합체의 조립체를 탄피로부터 사출되게 한다.
상기 격발몸체(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추진장약(93)이 충전된 격발전실(91)과, 추출장약(94)이 충전된 격발후실(92)이 형성되고, 상기 격발전실(91)과 격발후실(92)은 화염을 전달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 구조로 제공된다. 또한, 후단에는 뇌관(95)이 설치되어 뇌관타격에 의한 점화시 추출장약(94)을 점화시키고, 추출장약의 화염은 추진장약(93)에 전달되고, 추진장약(93)의 연소가스가 날개결합체(80)로 전달되어 탄피 내부에 안치된 탄두, 신관몸체, 연막제통 및 날개결합체의 조립체를 전방으로 사출되게 한다.
이러한 격발몸체(9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사용하여 탄두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추출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앰플형 축사탄(10)은, 격발몸체(90)의 뇌관(95)을 타격하여 점화시키면, 뇌관(95)의 화염은 격발후실(92)에 충전된 추출장약(94)에 전달되어 연소시키고, 연소되는 추출장약(94)의 화염은 격발전실(91)의 추진장약(93)을 연소시키게된다. 상기 추출장약(94)과 추진장약(93)의 연소가스는 날개결합체(80)에 전달되어 날개결합체(80)를 전방으로 밀어내며, 날개결합체(80)에 결합된 탄두(30)와 신관몸체(40)와 연막제통(60)의 조립체는 탄피에서 사출되어 비행한 다음 탄착지점에 낙하하게 된다.
탄착지점에 낙하하면 탄두뇌관(44)이 스프링(33)을 압축시키면서 탄두 설치홈(31)으로 이동되어 탄두의 돌출부(32)를 타격하여 점화가 이루어지고, 탄두뇌관(44)의 점화화염은 신관몸체(40)의 신관후실(42)로 전달되고, 신관후실의 추진제(50)를 연소시킨다. 상기 추진제(50)의 연소가스는 연막저장체(70)에 저장된 앰플(72)의 일측단부로 작용하여 후방측으로 밀어내게 되며, 가스에 의한 밀림작용으로 날개결합체(80)가 연막제통(60)에서 탈거되고, 날개결합체 탈거에 의한 연막제통(60)의 개구된 부분으로 밀폐된 앰플(72)이 사출되면서 파손되고, 앰플내부에 저장된 앰플연막제(73)가 공기중에 노출되면서 산화되어 연소없이 연막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축사탄은 연소방식이 아닌 화염이 없는 산화방식에 의해 연막효과를 제공하므로, 산불이 예상되는 건조한 날씨나 화재위험성이 높은 지역에서도 축사탄 연습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조명탄형 축사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연막저장체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2실시예의 신호조명탄형 축사탄(10)은 탄두(30)와 탄피(20), 날개결합체(80) 및 격발몸체(90)의 구성은 앰플형 축사탄과 구성이 동일하다.
신관몸체(40)는 탄두(30) 후단에 결합되어 탄피(20) 내부로 삽입되어 구성되고, 신관몸체(40)의 하단은 연막제통(60)의 전단과 결합되고, 상기 연막제통(60) 내부에는 연막저장체(70)가 저장된다.
상기 연막저장체(70)는 추진몸체(76)를 구비하며, 상기 추진몸체(76)는 신관몸체(40)의 신관후실(42)에 일부 내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추진몸체(76)는 전방측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된 추진전실(761)과, 후방측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된 추진후실(762)이 형성되고, 상기 추진전실(761)과 추진후실(762)은 격벽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면서 격벽에는 통공을 형성해 화염이 전달되는 구조로 제공되며, 추진전실(761)의 직경이 추진후실(762)의 직격보다 크게 형성된 다단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추진몸체(76)의 추진전실(761)은 추진제(50)가 충전되고 추진제 중심에 점화약(763)이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화염을 추진후실(762)로 전달하고, 상기 추진후실(762)은 지연제(764)가 충전되어 점화약에서 전달된 화염을 지연시켜 후방으로 전달한다. 즉, 축사탄(10)이 탄착지점에 낙하하여 탄두뇌관(44)이 점화되면 화염은 점화약(763)을 발화시키고, 점화약(763)은 주위의 추진제(50)를 연소시켜 연막제통(60)으로부터 연막저장체(70)가 사출되도록 하고, 점화약의 화염은 지연제(764)로 전달되어 지연제를 발화시키고, 지연제(764)는 연막저장체(70)가 연막제통(60)에서 사출후 일정시간 경과된 다음 추진후실의 후단에 배치된 점화제(765)에 화염을 전달하여 점화시키고, 점화제(765)의 점화화염이 연막저장체(70)에 전달되어 연막저장체가 연소되면서 공중에서 폭발 또는 연소되어 연막 및 발광효과를 제공하는 등 탄착지점을 확인할 수 없는 협소한 장소나 야간에도 탄착지점의 확인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추진몸체(76)에는 신호조명통체(77)가 결합된다. 상기 신호조명통체(77)는 사출되어 비행하는 방향인 후단이 폐구된 통체로 폐구된 후단을 돔형태로 형성해 연막제통에서 사출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신호조명통체(77)는 개구된 전방으로 추진몸체(76)에 상당량 내입되도록 배치한 다음 추진몸체(76)와 결합이 이루어져 추진몸체의 추진후실(762)이 신호조명통체(77) 내부로 깊숙하게 배치되어 화염전달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신호조명통체와 추진몸체의 결합은 억지끼움 나사결합등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신호조명통체(77)와 추진몸체(76)의 결합부위는 신관몸체(40)의 신관후실(42)에 내입되도록 결합한다. 이는 신관몸체(40)가 신호조명통체와 추진몸체의 결합체를 지지하여 탄피에서 분리되어 비행 후 낙하하는 1차 비행에서 신호조명통체와 추진몸체가 축중심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이어서 탄착지점에서의 2차비행시 사출방향이 축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신호조명통체(77) 내부에는 지연제(764)와 점화제(765)를 통해 전달된 화염에 의해 연소되는 신호연막제(78)가 충전된다.
상기 신호연막제(78)는 신호조명통체(77) 내면에 도포 또는 충전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배치되며, 신호연막제(78)는 전단부분에 축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추진몸체(76)의 후단인 신관후실(42)이 일부 내입되도록하여 신관후실에서 점화제(765) 발화시 신호연막제(78)로의 화염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추진몸체(76)는 큰 직경으로 형성된 추진전실(761)이 위치한 전단부분에는 외면에 신호조명통체(77)가 결합되고,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추진후실(762)이 위치한 후단부분은 신호조명통체(77) 내부의 신호연막제(78)의 홈에 내입 또는 근접하여 배치시켜 화염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전달시켜 연소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신호연막제(78)로는, 마그네슘(Mg) 100중량부에 대해 질산바륨(Ba(NO3)2) 60~130 중량부, 질산스트론튬(Sr(NO3)2) 30~100 중량부, 바인더 10~65 중량부로 혼합하여 조성된다. 상기 범위 이외로 조합하면 연소시의 생성되는 광의 조도가 낮거나 화염에 의해 신속한 광발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하는 높이에서 광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상기 범위로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조명통체(77) 후단에는 고정캡(79)이 설치되어 신호조명통체의 후단 부분이 연막제통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캡(79)은 연막제통(60)의 내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연막제통 내에서 측면으로 진동발생을 억제하고, 전방의 전단면에는 축방향으로 고정홈(791)이 형성되어 신호조명통체의 후단부분을 안치시켜 고정시키게 한다. 즉, 신호조명통체(77)의 전단은 신관몸체의 신관후실(42)에 의해 고정되고, 후단은 고정캡(79)에 의해 고정되어 연막제통 내부에서 측면 또는 축방향으로의 유동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축사탄은, 격발몸체(90)의 뇌관(95)을 타격하여 점화시키면, 뇌관(95)의 화염은 격발후실에 충전된 추출장약(94)에 전달되어 연소시키고, 연소되는 추출장약의 화염은 격발전실의 추진장약(93)을 연소시키게된다. 상기 추출장약과 추진장약의 연소가스는 날개결합체에 전달되어 날개결합체(80)를 전방으로 밀어내며, 날개결합체에 결합된 탄두(30)와 신관몸체(40)와 연막제통(60)의 조립체도 탄피(20)에서 사출되어 1차 비행을 한다.
1차 비행후 탄착지점에 낙하하면 탄두뇌관(44)이 스프링(33)을 압축시키면서 탄두 설치홈(31)으로 이동되어 탄두의 돌출부(32)에 접하여 점화가 이루어지고, 탄두뇌관(44)의 점화화염은 신관몸체의 신관후실(42)에 장착된 추진전실(761)로 전달되고, 추진전실의 점화약(763)이 연소되면서 주위의 추진제(50)를 연소시키고 추진후실(762)의 지연제(764)에 화염이 전달된다. 상기 지연제(764)에 의해 화염전달이 지연되는 동안, 추진제(50)의 연소가스는 전방으로 배출되면서 연막저장체(70)인 신호조명통체(77)와 추진몸체(76)를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하고, 날개결합체(80)가 연막제통(60)에서 분리되면서 신호조명통체(77)는 공중으로 발사되어 수직방향으로 2차 비행이 이루어진다. 상기 2차 비행에 의해 높은 고도인 대략 50~100m의 고도로 상승될 때 지연제(764)의 화염은 점화제(765)로 전달되어 점화제가 발화되고, 점화제(765)의 화염은 신호조명통체(77)의 신호연막제(78)에 전달되어 신호연막제가 연소되면서 연막과 함께 광을 발생시키게 되어 탄착지 타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등 탄착지점의 확인이 어려운 지역이나 야간 훈련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10 : 연습용 축사탄
20 : 탄피
30 : 탄두
31 : 설치홈 32 : 돌출부
33 : 스프링 34 : 안전클립
40 : 신관몸체
41 : 신관전실 42 : 신관후실
43 : 탄두뇌관집 44 : 탄두뇌관
50 : 추진제
60 : 연막제통
70 : 연막저장체
71 : 앰플내입관 72 : 앰플
73 : 앰플연막제 74 : 받침판
75 : 완충캡 76 : 추진몸체
77 : 신호조명통체 78 : 신호연막제
79 : 고정캡
761 : 추진전실 762 : 추진후실
763 : 점화약 764 : 지연제
765 : 점화제
791 : 고정홈
80 : 날개결합체
81 : 완충재
90 : 격발몸체
91 : 격발전실 92 : 격발후실
93 : 추진장약 94 : 추출장약
95 : 뇌관

Claims (8)

  1. 고폭탄 운용훈련에 사용되는 연습용 축사탄에 있어서,
    탄피(20)와; 상기 탄피의 전방에 결합되는 탄두(30)와; 상기 탄두 후단에 결합되어 탄피 내부로 삽입되고, 전단에는 신관전실(41)을 형성하여 탄두뇌관(44)을 안치하고, 후단에는 신관후실(42)이 형성된 신관몸체(40)와; 상기 신관몸체의 후단측인 신관후실(42)에 충전되는 추진제(50)와; 상기 신관몸체의 후단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추진제의 연소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되는 연막저장체(70)가 내포된 연막제통(60)과; 상기 연막제통(60) 후단에 결합되어 탄피에 내포되는 날개결합체(80); 및 상기 탄피(20)의 후단에 결합되고, 추진장약(93)이 충전된 격발전실(91)과 추출장약(94)이 충전되어 격발후실(92)이 형성되고, 상기 격발전실과 격발후실은 화염을 전달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뇌관(95)이 설치되는 격발몸체(9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막저장체(70)는,
    연막제통에 내입되는 앰플내입관(71)과;
    상기 앰플내입관에 추출가능하게 내입되고 후방으로 직경이 좁아진 협소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앰플(72); 및
    상기 앰플의 밀폐공간에 충전된 앰플연막제(7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사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막저장체(70)는,
    상기 앰플 전단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신관후실의 추진제 연소압력을 전달받아 앰플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받침판(74)과;
    상기 앰플의 후단에 배치되고, 전방에는 앰플의 연약부위인 협소부를 내입시키는 완충홈이 형성되어 비행과정에서 흔들림에 의해 앰플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캡(7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사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연막제(73)는, 사염화티타늄(titanium tetrachlo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사탄.
  6. 고폭탄 운용훈련에 사용되는 연습용 축사탄에 있어서,
    탄피(20)와; 상기 탄피의 전방에 결합되는 탄두(30)와; 상기 탄두 후단에 결합되어 탄피 내부로 삽입되고, 전단에는 신관전실(41)을 형성하여 탄두뇌관(44)을 안치하고, 후단에는 신관후실(42)이 형성된 신관몸체(40)와; 상기 신관몸체의 후단측에 배치되는 추진제(50)와; 상기 신관몸체의 후단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추진제의 연소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되는 연막저장체(70)가 내포된 연막제통(60)과; 상기 연막제통(60) 후단에 결합되어 탄피에 내포되는 날개결합체(80); 및 상기 탄피(20)의 후단에 결합되고, 추진장약(93)이 충전된 격발전실(91)과 추출장약(94)이 충전되어 격발후실(92)이 형성되고, 상기 격발전실과 격발후실은 화염을 전달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뇌관(95)이 설치되는 격발몸체(9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막저장체(70)는,
    신관몸체 후단의 신관후실(42)에 전방측이 일부 내입되어 설치되는 통체로, 전방의 큰 직경을 갖는 추진전실(761)과 후방의 직경이 축소된 추진후실(762)이 형성되고, 상기 추진전실(761)은 추진제(50)가 충전되고 중심에 점화약(763)이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화염을 추진후실(762)로 전달하고, 상기 추진후실(762)은 지연제(764)가 충전되어 점화약에서 전달된 화염을 후단에 배치된 점화제로 지연시켜 전달하는 추진몸체(76)와;
    상기 추진몸체에 전단이 결합되되 추진몸체의 후단부분을 내포하도록 결합되고, 후단은 폐구된 신호조명통체(77); 및
    상기 신호조명통체 내부에 충전되어 지연제와 점화제로부터 화염을 전달받아 연소되는 신호연막제(7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사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막저장체(70)는,
    전단면에 신호조명통체의 후단을 일부 내입하는 고정홈(791)이 형성되어, 연막제통(60) 내부에서 신호조명통체(77)를 동축상으로 배치되도록 고정시켜 추진제 연소압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고정캡(79);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사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연막제(78)는, 마그네슘(Mg) 100중량부에 대해 질산바륨(Ba(NO3)2) 60~130 중량부, 질산스트론튬(Sr(NO3)2) 30~100 중량부, 바인더 10~65 중량부로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축사탄.
KR1020180090868A 2018-08-03 2018-08-03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 KR101939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68A KR101939125B1 (ko) 2018-08-03 2018-08-03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68A KR101939125B1 (ko) 2018-08-03 2018-08-03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125B1 true KR101939125B1 (ko) 2019-01-16

Family

ID=6528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868A KR101939125B1 (ko) 2018-08-03 2018-08-03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1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290Y1 (ko) 1997-05-06 1999-05-01 조효식 박격포 연습사격용 축사탄
KR20070057707A (ko) * 2004-04-08 2007-06-07 라인메탈 바페 무니치온 게엠베하 카트리지 연습탄
KR20100008390U (ko) * 2009-02-15 2010-08-25 고려화공 주식회사 40 밀리미터 연습유탄
KR20100010026U (ko) * 2009-04-03 2010-10-13 고려화공 주식회사 연습용 축사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290Y1 (ko) 1997-05-06 1999-05-01 조효식 박격포 연습사격용 축사탄
KR20070057707A (ko) * 2004-04-08 2007-06-07 라인메탈 바페 무니치온 게엠베하 카트리지 연습탄
KR20100008390U (ko) * 2009-02-15 2010-08-25 고려화공 주식회사 40 밀리미터 연습유탄
KR20100010026U (ko) * 2009-04-03 2010-10-13 고려화공 주식회사 연습용 축사탄
KR200456506Y1 (ko) 2009-04-03 2011-11-03 고려화공 주식회사 연습용 축사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591B1 (en) Projectile having ignitable payload with delay column igniter
US7866265B1 (en) Flare apparatus
CN108759587B (zh) 一种爆震式***
CN105664407B (zh) 一种消防炮弹
US7802520B2 (en) Drag minimizing projectile delivery system
US6470806B1 (en) Cartridge format delay igniter
RU2567490C1 (ru) Сигнальный патрон
KR101127316B1 (ko) 추진부 조립체 분리기구가 구비된 포 발사식 탄약
KR101445579B1 (ko) 전장효과를 제공하는 연막탄
KR20070101676A (ko) 중거리 화재 진화용 소화탄
KR101939125B1 (ko) 기능성 연막제통을 갖는 연습용 축사탄
US2737889A (en) Incendiary shell
US6955125B1 (en) Practice projectile with smoke signature
US3298311A (en) Smoke flare
KR101445578B1 (ko) 전장효과를 제공하는 폭음탄
RU68117U1 (ru) Дымовая граната (варианты)
RU2661497C1 (ru) Кассетный выстрел нелета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RU2354920C2 (ru) Дымовая граната
JP6580014B2 (ja) 信号弾発射装置
KR102669008B1 (ko) 화재진압용 소화탄 및 이의 발사기와 발사방법
KR20110136538A (ko) 155mm 연습탄
CN215337996U (zh) 一种具有定向***功能的布撒式发烟***
CN213396790U (zh) 一种枪发***型***
RU2367890C1 (ru) Патрон противорадиолокационный
WO2023200248A1 (ko) 화재진압용 소화탄 및 이의 발사기와 발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