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574B1 - Compound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pound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574B1
KR101937574B1 KR1020170090327A KR20170090327A KR101937574B1 KR 101937574 B1 KR101937574 B1 KR 101937574B1 KR 1020170090327 A KR1020170090327 A KR 1020170090327A KR 20170090327 A KR20170090327 A KR 20170090327A KR 101937574 B1 KR101937574 B1 KR 101937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window
composite
coating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도현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574B1/en
Priority to PCT/KR2018/008068 priority patent/WO201901767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5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6Single tubular stent with a side portal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3Bronch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02/065Y-shaped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1Ostial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mplex stent related to a biliary tract or bronchus, wherein the complex stent comprises: a first stent comprising a fenestration on one side of the stent so that a different stent is allowed to pass; and a second stent coupled through the fenestration of the first stent.

Description

복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COMPOUND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tent,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간문부 담도 또는 기관지와 같이 Y자형 경로를 갖는 부위에 삽입 가능한 복합 스텐트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연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stent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a region having a Y-shaped path, such as a bile duct or a bronch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간문부 담관은 Y자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Y자로 갈라지는 부위에 종양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양에 의해 담도 협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텐트 삽입술이 주로 사용된다.The hepatobiliary duct is Y-shaped, and the tumor usually develops at the Y-splitting site. Therefore, biliary stenosis may be caused by tumor, and stent implantation is mainly used to solve this problem.

그러나 간문부 담관이 Y자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I자형 스텐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비 피막형 I자형 스텐트의 경우에는 종양이 스텐트 내부로 침윤하게 되고, 피막형 I자형 스텐트의 경우에는 스텐트가 삽입되지 않는 다른 쪽 담관의 담즙이 흐르지 못하게 된다.However, problems arise when using an I-shaped stent because the liver bile duct is formed in Y-shape. In the case of the non-coated I-shaped stent, the tumor invades into the stent. In the case of the coated I-shaped stent, the bile of the other bile duct in which the stent is not inserted can not flow.

한국 등록특허 10-1157918호 (등록일자 2012년06월13일)는 담도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담도의 형태에 맞춘 Y자 형태의 스텐트에 관한 발명이다.Korean Patent No. 10-1157918 (registered on June 13, 2012) proposes a biliary st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is invention relates to a Y-shaped stent adapted to the shape of the bile du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텐트의 일측에 다른 스텐트를 통과하도록 하는 창(fenestration)을 포함하는 제1 스텐트; 및 상기 제1 스텐트의 창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제2 스텐트를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가 개시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stent comprising: a first stent including a fenestration for allowing another stent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stent; And a second stent coupled through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텐트에 배치되고, 상기 창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사선 비투과 마커를 더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도 개시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텐트 또는 상기 제2 스텐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복합 스텐트의 제거에 이용되는 라소(lasso)를 더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omposite stent is also disclosed, which further comprises a radiation non-transmissive marker disposed in the first stent and indicative of the position of the window. And a lasso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tent or the second stent and used for removing the complex stent.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스텐트는 재질이 나이티놀(nitinol)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스텐트 및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에는 피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e stent may be made of nitinol, and the first stent and the second stent may further include a coating.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 피막은 상기 제1 스텐트의 창 외측에만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 피막은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구성되는 복합 스텐트도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omposite stent in which the inner coating of the second stent is present only outside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and the inner coating of the second stent is composed of silicon or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is also disclosed .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텐트의 창은 상기 제1 스텐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드(bud) 형태로 구성되는 복합 스텐트가 개시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mposite stent is disclosed in which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ud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stent.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스텐트는 제1 스텐트의 일측에 제3 스텐트를 통과하도록 하는 다른 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텐트의 상기 다른 창을 통과하는 제3 스텐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스텐트도 개시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스텐트가 복수의 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창을 통과하는 복수의 제N 스텐트도 가능하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e stent further comprises another window for passing a third stent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stent,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stent passing through the other window of the first stent Complex stents are also disclosed. In some cases, the first stent includes a plurality of windows, and a plurality of Nth stents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indows are possible.

일측에 따르면, 스텐트의 일측에 다른 스텐트를 통과하도록 하는 창(fenestration)을 포함하는 제1 스텐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텐트의 창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제2 스텐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forming a first stent including a fenestration to allow another stent to pass through a side of the stent; And forming a second stent coupled through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다른 일측에 따르면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스텐트에 배치되고, 상기 창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사선 비투과 마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텐트 또는 상기 제2 스텐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복합 스텐트의 제거에 이용되는 라소(lasso)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tent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radiopathology marker disposed on the first stent and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window, wherein the first sten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tent or the second stent Thereby forming a lasso used for the removal of the complex stent.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합 스텐트는 나이티놀(nitinol)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텐트 및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에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stent may be formed of nitinol, a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coating on the inside of the first stent and the second stent.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 피막은 상기 제1 스텐트의 창 외측에만 형성하는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이 개시되고,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 피막은,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형성하는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tent, wherein the inner coating of the second stent is formed only outside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and the inner coating of the second stent is formed of a composite stent made of silicon or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A manufacturing method is also possible.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텐트의 창은 상기 제1 스텐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드(bud) 형태로 형성하는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이 제시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dow of the first sten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ud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stent.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제1 스텐트의 일측에 제3 스텐트를 통과하도록 하는 다른 창을 더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텐트의 상기 다른 창을 통과하는 제3 스텐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스텐트가 복수의 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창을 통과하는 복수의 제N 스텐트를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nt, comprising: forming another window for passing a third stent through a first stent; And forming a third stent through the other window of the first stent. Also, in some ca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tent including a plurality of Nth stents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indows is possible, wherein the first stent includes a plurality of window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간문부 담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텐트의 제1 스텐트를 도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텐트를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마커를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라소(lasso)를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를 도시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피막형 복합 스텐트를 도시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스텐트에 연결되는 라소를 도시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창을 포함하는 제1 스텐트를 도시한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텐트의 삽입술에 사용되는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딜리버리 시스템(Delivery System)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텐트의 삽입술에 사용되는 삽입기구를 도시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 liver bile du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llustrates a first stent of a composite s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llustrates a composite s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llustrates a composite stent comprising a radiation ma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llustrates a composite stent comprising a las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6 illustrates a coated composite s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7 illustrates a lasso connected to a second s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illustrates a first stent comprising a protruding window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FIG. 9 illustrates an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delivery system used in the insertion of a composit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shows an insertion instrument used for insertion of a composite s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chosen to be generic and universal in the art to which they are related, but other terms may exist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and / or change in technology, customs, preferences of the technician,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terminology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thought, but should be understood in the exemplary languag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chosen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of the detailed description in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sec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the name of a simple term,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간문부 담관을 도시한다. 도 1은 간(100)과 담관(120) 그리고 담관이 Y자로 갈라지는 간문부 담관(130)을 도시하고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 liver bile du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 shows a hepatic duct bile duct 130 in which a liver 100, a bile duct 120 and a bile duct are split into a Y-shape.

간(100)에서 생성되는 담즙은 간내 담관을 따라서 간문부 담관(130)으로 이동하고 담낭에 저장된다. 저장되는 담즙은 소화시에 담관(120)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The bile produced in the liver 100 moves to the liver bile duct 130 along the intrahepatic bile duct and is stored in the gallbladder. The stored bile is excreted through the bile duct 120 to the duodenum during digestion.

담관 내에서 종양이 생성되는 경우에 간문부 담관(130) 부위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간문부 담관(130)에 생성되는 종양에 의해 협착이 발생하고 담즙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에 스텐트 삽입술을 사용한다.And most frequently occurs in the hepatic bile duct 130 region when a tumor is generated in the bile duct. Therefore, stenting is used when stenosis is caused by the tumor generated in the hepatic bile duct 130 and bile can not be discharged smoothly.

이하에서는 제안되는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복합 스텐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mposite stent used for the proposed stent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텐트의 제1 스텐트(200)를 도시한다. 상기 복합 스텐트는 제1 스텐트(200)와 제2 스텐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제1 스텐트(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제2 스텐트는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FIG. 2 illustrates a first stent 200 of a composite s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osite stent may be composed of a first stent 200 and a second stent. The first sten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second s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1 스텐트(200)는 자기 팽창형 스텐트일 수 있고, 상기 제1 스텐트(200)의 일측에 창(fenestration, 210)이 존재한다. 상기 창(210)은 예시적으로 마름모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일 수도 있고 그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스텐트(200)의 창(210)을 통해 제2 스텐트가 통과된다. 통과되는 모습은 도 3에 도시하고 있다.The first stent 200 may be a self-expanding stent, and a fenestration 210 may be present on one side of the first stent 200. The window 210 may be in the form of a rhombu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stent is passed through the window 210 of the first stent 200. The state in which it passes is shown in FIG.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텐트를 도시한다. 앞서 말했던 것과 같이 제1 스텐트(300)와 제2 스텐트(320)로 구성되는 복합 스텐트를 도시한다. 상기 제1 스텐트(300)의 창(310)으로 상기 제2 스텐트(320)가 통과된다.Figure 3 illustrates a composite s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 composite stent including a first stent 300 and a second stent 320 is shown. The second stent 320 is passed through the window 310 of the first stent 300.

담관에 제1 스텐트(300)가 먼저 삽입되고, 순차적으로 제2 스텐트(320)가 삽입된다. 상기 제1 스텐트의 창(310)은 반드시 특정 형태일 필요는 없고, 상기 제2 스텐트(320)가 자가 팽창하여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텐트(320)의 외형과 접하게 된다. 상기 제1 스텐트와 상기 제2 스텐트가 결합되어 담도 또는 기관지에 삽입되는 경우에 Y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텐트의 측면 일측에 상기 제2 스텐트가 결합함으로써 Y자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stent 300 is first inserted into the bile duct, and the second stent 320 is inserted sequentially. The window 310 of the first st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 a specific shape but is in contact with the contour of the second stent 320 when the second stent 320 is self- When the first stent and the second stent are combined to be inserted into the bile duct or the bronchial tube, a Y-shape can be formed. That is, the second stent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tent to form a Y-shap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텐트와 제2 스텐트를 포함하는 Y자 형태의 복합 스텐트는 방사선 비투과 마커, 라소, 피막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가지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Y-shaped composite stent including the first stent and the second stent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f a radiation non-transmissive marker, a lasso, and a coating. It may also include all three.

다시 말해, 제1 스텐트와 제2 스텐트를 포함하는 Y자 형태의 복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의 창 부근에 방사선 비투과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텐트의 말단부에 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의 내부에 피막을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1 스텐트의 피막은 상기 제1 스텐트와 마찬가지로 창이 존재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텐트의 피막은 상기 창 외측에만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텐트의 피막이 상기 창 외측에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텐트 내부의 담즙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a Y-shaped composite stent including a first stent and a second stent, the stent includes a radiopaque marker in the vicinity of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and includes lasso 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tent, A composite stent including a coating inside the stent and the second stent is also possible. At this time, the film of the first stent may have a window like the first stent, and the film of the second stent may exist only outside the window. In the case where the coating of the second stent is present only on the outer side of the window, the bile flow inside the first stent can be smoothly maintained.

또한 상기 제2 스텐트의 피막은 실리콘 또는 PTFE로 구성될 수도 있다. PTFE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PTFE에 존재하는 미세한 공(pore)으로 인해 간내 담도 분지의 담즙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방사선 비투과 마커, 라소, 피막에 대한 내용은 도 4 내지 도 6에서 각각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하나의 구성 요소(라소, 방사선 비투과 마커, 피막 중 어느 하나)만들 더 포함하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각 구성요소를 모두(라소, 방사선 비투과 마커, 피막 모두) 포함하는 형태도 당연히 가능하다.The coating of the second stent may be composed of silicon or PTFE. In the case of PTFE, fine bubbles existing in the PTFE can prevent the biliary flow of the intra-hepatic biliary branch from being disturbed. The details of the radiation non-penetrating marker, the lacquer, and the coating fil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respectively. There may be cases in which a component (a radiopaque marker, a coating film, or the like) is form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Of course, the form is also possible.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마커를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를 도시한다. 제1 스텐트(400)에는 일측에 형성되는 창(410)과 상기 창의 주위에 형성되는 방사선 마커(420)를 포함할 수 있다.4 illustrates a composite stent comprising a radiation ma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tent 400 may include a window 410 formed on one side and a radiation marker 420 formed around the window.

제2 스텐트가 상기 제1 스텐트(400) 내부에서 상기 창(410)을 통해 유도되기 위해 방사선 마커(420)를 포함한다. 투시 조영 시술과정에서 상기 제1 스텐트(400)의 어느 위치에 창(410)이 존재하는지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방사선 비투과 마커(420)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선 마커(420)는 상기 창(41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스텐트의 상단(내시경의 진입방향)과 하단(내시경의 진출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A second stent includes a radiation marker 420 to be guided through the window 410 within the first stent 400. And a radiation non-transmissive marker 420 for easil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window 410 in the first stent 400 during a fluoroscopic procedure. The radiation marker 420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tent (the entering direction of the endoscope) and the lower end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endoscope) about the window 410.

상기 방사선 마커(420)는 예시적으로 2개를 한 쌍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안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즉, 상기 방사선 마커(420)는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창(410)의 주변부에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The radiation markers 420 are illustratively represented as a pair of two, but are not stable and may be one or more. That is, the number of the radiation markers 420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and one or more radiation markers 420 may be positioned at the periphery of the window 410.

라소(lasso)는 당김줄이라고도 부르며, 인체 내부에 설치되는 스텐트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라소를 잡아당기는 경우에 스텐트가 오므라들면서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라소는 스텐트의 일측 말단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스텐트를 오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asso is also called a pull cord and is used to remove the sten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When pulling the lasso, it is easy to remove it as the stent is tightened. The lasso can be configured to pivot about one end of the stent to pull the stent out.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라소(lasso)를 포함하는 복합 스텐트를 도시한다. 제1 스텐트(500) 또는 제2 스텐트는 라소(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스텐트(500)에 상기 라소(520)가 포함되는 경우를 도시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라소(520)는 상기 제2 스텐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라소가 제2 스텐트에 연결되는 경우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다.Figure 5 illustrates a composite stent comprising a las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tent 500 or the second stent may include a lasso 520. 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stent 500 includes the lasso 5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asso 5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ent. The case where Lasso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상기 제1 스텐트(500)는 마찬가지로 일측에 창(510)을 포함하고, 말단부에 라소(52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텐트와 제2 스텐트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스텐트 또는 제2 스텐트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라소를 잡아당기면 복합 스텐트 전체를 제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소가 제2 스텐트에 연결되는 경우에 복합 스텐트 전체를 한번에 제거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그러나 제1 스텐트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복합 스텐트 전체를 한번에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stent 500 includes a window 510 on one side and a lasso 520 on the distal end. When the first stent and the second stent are coupled, the entire stent may be removed by pulling one lasso connected to the first stent or the second stent. Preferably, when the lasso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ent, it is easier to remove the entire composite stent at one time. However, even when connected to the first sten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entire complex stent at once.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피막형 복합 스텐트를 도시한다. 복합 스텐트는 피막(6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스텐트(600)에 피막(610)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제1 스텐트와 마찬가지로 제2 스텐트도 피막을 포함할 수 있다.6 illustrates a coated composite s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osite stent may include a coating 610. 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stent 600 has a coating 610 as an example. Like the first stent, the second stent may also include a coating.

상기 피막(610)은 상기 제1 스텐트(6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피막(610)이 내부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피막(610)은 제1 스텐트(600)와 마찬가지로 제2 스텐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창(fenestration)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막(610)은 스텐트의 내부로 종양이 침윤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재질은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ating 610 may be present inside or outside the first stent 600. Figure 6 shows the case where the coating 610 is inside. The coating 610 includes a fenestration so that the second stent can pass therethrough like the first stent 600. The coating 610 also prevents the tumor from infil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stent. Therefore, the material may be composed of silicon.

피막(610)이 제2 스텐트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피막(610)은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막이 제2 스텐트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스텐트와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만 피막이 존재할 수 있고 또는 제1 스텐트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텐트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은 실리콘으로, 상기 제1 스텐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재질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ating 610 may be different if the coating 610 is present in the second stent.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ating is present in the second stent, a coating may be present only in a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coupled with the first stent, or a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stent, A portion of the first stent may be formed o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제1 스텐트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실리콘 피막을 포함하여 종양의 침윤을 막고, 스텐트 내부로의 담즙 등은 투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리콘 피막은 간내 담도에서 사용되는 경우 답즙의 배출을 실리콘 피막이 막아 담도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나, 상기 PTFE는 미세한 공(pore)를 가지고 있어, 크기가 큰 종양은 투과하지 않으면서, 크기가 작은 담즙 등은 투과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ortion of the first stent protruding to the outside is to contain the silicone coating to prevent invasion of the tumor and to allow the bile and the like to be permeated into the stent. When the silicone coating is used in the intrahepatic bile duct, the silicone coating may block the discharge of the solution and may cause complications such as cholangitis. However, the PTFE has fine pores and does not transmit large sized tumors, Bile and the like can be transmitted.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스텐트에 연결되는 라소를 도시한다. 복합 스텐트는 제1 스텐트(700)와 제2 스텐트(710) 그리고 라소(720)를 포함할 수 있다.7 illustrates a lasso connected to a second s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osite stent may include a first stent 700, a second stent 710, and a lasso 720.

상기 라소(720)는 상기 제2 스텐트(7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라소(720)는 제1 스텐트(7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2 스텐트의 말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텐트(7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2 스텐트의 말단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라소(720)를 잡아당기게 되면 제1 스텐트는 오므라들고, 상기 제1 스텐트와 상기 제2 스텐트가 연결되는 창 부분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복합 스텐트 전체가 한꺼번에 제거될 수 있다.The lasso 7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ent 710. The lasso 720 may be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tent 700 existing in the first stent 700. When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tent 70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tent 700, when the lasso 720 is pulled, the first stent is closed and the first and second st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ue to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art, the entire composite stent can be removed at once.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창을 포함하는 제1 스텐트를 도시한다. 복합 스텐트는 돌출형 창(810)을 포함하는 제1 스텐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8 illustrates a first stent comprising a protruding window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The composite stent may include a first stent 800 including a protruding window 810,

도 8에서 예시하듯이 창(810)은 버드(bud)형태로 일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창(810)이 버드(bud) 형태로 돌출되면 제2 스텐트를 상기 제1 스텐트에 결합함에 있어서 더 용이하게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버드(bud) 형태로 돌출되는 경우에 돌출부의 길이는 예시적으로 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담도 또는 기관지의 Y자 형태로 갈라지는 부분에 있어서 스텐트 삽입시에 삽입 방향과 반대인 타측 방향에 걸림 적고, 제2 스텐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적절한 길이로 선택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window 810 may be partially protruded in the form of a bud. When the window 810 protrudes in the form of a bu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engage the second stent when the second stent is coupled to the first stent. In the case of protruding in the form of a bud,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for example, 5 mm, but not limited thereto. In the portion of the bile duct or the bronchus which is split in the Y-shape, And may be selected to an appropriate length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second stent.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텐트의 삽입술에 사용되는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딜리버리 시스템(Delivery System)을 도시한다. 딜리버리 시스템은 시스 허브(Sheath hub, 910), 캡(Cap, 920), 커넥터(Connector, 930), 푸셔(Pusher, 940) 및 푸셔 허브(Pusher hub, 950)로 구성될 수 있다.FIG. 9 illustrates an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delivery system used in the insertion of a composite s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livery system may include a sheath hub 910, a cap 920, a connector 930, a pusher 940, and a pusher hub 950.

시스 허브(910)에는 스텐트를 감싸는 시스(Sheath)가 포함되어 있다. 캡(920)을 돌려서 스텐트를 원하는 지점에 위치시킨 후 상기 캡(920)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시스가 빠지면서 스텐트가 상기 원하는 지점에 고정된다. 푸셔(940)는 스텐트를 원하는 위치까지 밀어 넣는 역할을 하고 푸셔 허브(950)를 이용하여 조절한다.The sheath hub 910 includes a sheath surrounding the stent. When the cap 920 is rotated to place the stent at a desired point, the cap 920 is pulled backward, and the sheath is released and the stent is fixed to the desired point. The pusher 940 serves to push the stent to a desired position and adjusts it using a pusher hub 950.

제안되는 복합 스텐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시적으로 담관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관지에 삽입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다.The procedure for installing the proposed composite stent is described. Although the case of being installed in a biliary duct as an example is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in the same manner even when it is inserted into a bronchial tube.

복합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시경(Endoscope) 장치를 삽입하여 십이지장 부근까지 들어간다. 상기 내시경 장치를 통해 삽입기구를 삽입하고, 상기 삽입기구를 통해 조영제(contrast)를 주입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삽입기구를 따라 가이드 와이어(Guidewire)를 담관의 Y자로 갈라지는 부분 양 측으로 각각 넣고 상기 삽입기구는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와이어(Guidewire)를 따라 딜리버리 시스템을 삽입한다. 상기 딜리버리 시스템이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각각 원하는 위치에 넣고 복합 스텐트를 설치한다. 담관의 Y자로 갈라지는 부분 양 측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딜리버리 시스템이 삽입한다. 복합 스텐트를 모두 설치하고 나면 딜리버리 시스템, 가이드 와이어 및 내시경을 순차적으로 제거한다.In order to insert a composite stent, first insert an endoscope into the duodenum. An insertion mechanism is inserted through the endoscope apparatus, and a contrast is injected through the insertion mechanism. Then, guide wires (Guidewire) ar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bifurcated portion of the bile duct along the insertion mechanism, and the insertion mechanism is removed. Next, the delivery system is inserted along the guidewire. The delivery system places the first stent and the second stent at desired positions and installs the composite stent. The delivery system inserts the first stent and the second stent along two guidewire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Y-shaped part of the bile duct. Once all of the complex stents are installed, the delivery system, guide wire, and endoscope are sequentially removed.

상기 스텐트를 삽입하는 방법은 담도 뿐만 아니라 기관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관지의 Y자로 갈라지는 부분까지 내시경(endoscope)을 삽입하고, 가이드 와이어를 Y자의 나뉘는 각 부분으로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설치할 수 있다.The method of inserting the stent is applicable not only to the bile duct but also to the bronchial tube. Specifically, an endoscope may be inserted into the Y-shaped portion of the bronchus, the guide wire may be inserted into the Y-shaped divided portions, and a first stent and a second stent may be provided along the guide wire.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텐트의 삽입술(stent in stent)에 사용되는 삽입기구를 도시한다. 복합 스텐트는 하나의 스텐트 안에 다른 스텐트를 삽입하는 스텐트 인 스텐트(stent in stent) 방식으로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기구는 인트로듀서(introducer, 1010)를 포함할 수 있고, 복합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가이드 와이어(1030, 1040)가 삽입된다. 삽입기구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넣기 위해서 사이드홀(side hole, 1020)을 포함할 수 있다.10 illustrates an insertion device used for stent in sten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osite stent is inserted into the stent in a stent-in-stent manner, in which another stent is inserted into one stent. More specifically, the insertion tool may include an introducer 1010, and two guide wires 1030 and 1040 are inserted to insert the composite stent. The insertion mechanism may include a side hole 1020 to insert the guide wire.

스텐트 인트로듀서(1010)는 말단부에 사이드홀(1020)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와이어(1030, 1040)는 각각 인트로듀서(1010)의 본체 및 말단 사이드홀(1020)을 통과해 나온다. 상기 가이드와이어(1030, 1040)는 스텐트의 창(fenestration)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인트로듀서(1010)는 담도의 Y자 부근에서 각 가이드 와이어를 Y자 형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The stent introducer 101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 side hole 1020 at the distal end and the guide wires 1030 and 1040 pass through the body of the introducer 1010 and the distal side hole 1020, respectively . The guide wires 1030 and 1040 serve to orient the fenestration of the stent. Therefore, the introducer 1010 can position each guide wire in the Y-shape in the vicinity of the Y-shaped portion of the bile duct.

딜리버리 시스템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들(1030, 1040)을 따라 담도의 Y자 형태 각 부분으로 스텐트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The delivery system can accurately position the stent to each Y-shaped portion of the bile duct along the guide wires 1030 and 1040. [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8)

스텐트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다른 스텐트를 통과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창(fenestration)을 포함하는 제1 스텐트;
상기 제1 스텐트의 창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텐트;
상기 제2 스텐트의 일측에 연결되고, 당겨지는 경우에 복합 스텐트 전체가 인체 외부로 배출되는 라소(lasso); 및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이며 상기 제1 스텐트의 창 외측에 배치되는 피막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텐트의 창은 상기 제1 스텐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자가 팽창형 복합 스텐트.
A first stent comprising at least one fenestration for allowing one or more other stents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stent;
At least one second stent passing through a window of the first stent;
A lasso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tent and in which the entire composite stent is pulled out of the human body when pulled out; And
A coating disposed inside the second stent and disposed outside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 RTI >
Wherein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에 배치되고, 상기 창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사선 비투과 마커
를 더 포함하는 자가 팽창형 복합 스텐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non-penetrating marker positioned in the first stent,
Wherein the stent further comprises a biodegradable polym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스텐트는 나이티놀(nitinol)로 구성되는 자가 팽창형 복합 스텐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lex stent is comprised of nitin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 피막은, 실리콘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구성되는 자가 팽창형 복합 스텐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coating of the second stent is made of silicone or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스텐트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다른 스텐트를 통과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창(fenestration)을 포함하는 제1 스텐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텐트의 창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텐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텐트의 일측에 연결되고, 당겨지는 경우에 복합 스텐트 전체가 인체 외부로 배출되는 라소(lasso)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이며 상기 제1 스텐트의 창 외측에 배치되는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텐트의 창은 상기 제1 스텐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자가 팽창형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
Forming a first stent including one or more fenestrations that allow one or more other stents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stent; And
Forming at least one second stent through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Forming a lasso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tent and in which the entire composite stent is pulled out of the human body when pulled;
And forming a coating inside the second stent and disposed outside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Wherein the window of the first sten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t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에 배치되고, 상기 창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사선 비투과 마커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가 팽창형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Forming a radiation non-transmissive marker disposed in the first stent and indicative of the position of the window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스텐트는 나이티놀(nitinol)로 형성하는 자가 팽창형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mplex stent is formed of nitin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의 내부 피막은, 상기 제1 스텐트의 창 외측은 실리콘으로 내측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형성하는 자가 팽창형 복합 스텐트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ner coating of the second stent is formed of silicon an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tent is formed o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90327A 2017-07-17 2017-07-17 Compound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375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327A KR101937574B1 (en) 2017-07-17 2017-07-17 Compound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18/008068 WO2019017675A1 (en) 2017-07-17 2018-07-17 Complex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327A KR101937574B1 (en) 2017-07-17 2017-07-17 Compound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574B1 true KR101937574B1 (en) 2019-01-11

Family

ID=6501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327A KR101937574B1 (en) 2017-07-17 2017-07-17 Compound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7574B1 (en)
WO (1) WO201901767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94A (en) *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Branch st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2236U1 (en) * 2020-08-28 2021-02-08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города Москвы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корой помощи им. Н.В. Склифосовского Департамент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города Москвы» (ГБУЗ "НИИ СП ИМ. Н.В. СКЛИФОСОВСКОГО ДЗМ") ENDOBRONCHIAL S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5343A (en) * 2002-11-05 2006-02-1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Bifurcated crown with asymmetry
JP4291955B2 (en) * 1998-08-14 2009-07-08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tent / graft /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535580A (en) * 2007-08-08 2010-11-25 ザ クリーブランド クリニック ファウンデイション Bifurcated stent graf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4752B1 (en) * 2000-03-03 2004-11-09 Endovascular Technologies, Inc. Modular grafting system and method
AU2003224769B2 (en) * 2002-03-25 2007-10-18 Cook Incorporated Branched vessel prothesis
WO2004089249A1 (en) * 2003-04-03 2004-10-21 William A. Cook Australia Pty. Ltd. Branch stent graft deployment and method
US7122052B2 (en) * 2003-09-29 2006-10-17 Stout Medical Group Lp Integral support stent graft assembly
KR20100119068A (en) * 2009-04-30 2010-11-09 (주) 태웅메디칼 Stent removal can strain the structure of the hoo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1955B2 (en) * 1998-08-14 2009-07-08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tent / graft /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505343A (en) * 2002-11-05 2006-02-1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Bifurcated crown with asymmetry
JP2010535580A (en) * 2007-08-08 2010-11-25 ザ クリーブランド クリニック ファウンデイション Bifurcated stent graf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94A (en) *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Branch st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438979B1 (en) * 2020-08-06 2022-09-0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Branch st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675A1 (en)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3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al to distal stent deployment
US2023021841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lacement of a graft or graft system
JP4714736B2 (en) Stent introducer system
EP2640312B1 (en) System for treating vascular disease
JP5347175B2 (en) Introducer
US20070043421A1 (en) Delivery device with shortened inner tube and associated method
US20160038319A1 (en) Endovascular graft having a cannulation pocket
KR101937574B1 (en) Compound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U2020250291B2 (en) Methods and assemblies for deploying a biliary stent
US11154411B2 (en) Deployment of multiple biliary stents
US201902548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ent delivery
JP5027135B2 (en) Double metal stent introducer
US20130073027A1 (en) Stent graft with flanged contralateral gate for endovascular aneurysm repair
Trellopoulos et al. Current tips for ensuring successful transfemoral short limb cannulation in modular aortic endografts: a new method for incorporation in practice
KR20180120898A (en) Drainage catheter
KR20120035978A (en) Stent installing method for y-type lumen in a body including bile duct hilar
KR101960294B1 (en) Inserting Device of Stent
US20210259867A1 (en) Deployment of multiple biliary stents
CN112334096A (en) Deployment of multiple biliary stents
US20140336464A1 (en) Expans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438979B1 (en) Branch st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801331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branch stent
US20230346582A1 (en) Stent-deployment assemblies with locking mechanisms and methods of assembly
US20240024138A1 (en) Methods and assemblies for deploying biliary stents
IE20210234A1 (en) Stent-deployment assemblies with locking mechanisms and methods of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