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204B1 - 냉장고용 도어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204B1
KR101937204B1 KR1020120039387A KR20120039387A KR101937204B1 KR 101937204 B1 KR101937204 B1 KR 101937204B1 KR 1020120039387 A KR1020120039387 A KR 1020120039387A KR 20120039387 A KR20120039387 A KR 20120039387A KR 101937204 B1 KR101937204 B1 KR 10193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pusher
power transmit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738A (ko
Inventor
박형규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204B1/ko
Priority to US13/862,982 priority patent/US9506685B2/en
Priority to EP13163884.3A priority patent/EP2653810B1/en
Priority to CN201310131678.9A priority patent/CN103375960B/zh
Publication of KR2013011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0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실의 전면에 배치되어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본체와, 이 도어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들과, 도어본체에 돌출 및 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셔와, 핸들에 결합되어 냉각실의 개방을 위한 핸들의 당김시 핸들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푸셔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고, 도어본체에는 핸들이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핸들결합부가 구비되고, 동력전달유닛은 핸들결합부를 통해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관 품위를 저해하지 아니하고 부품의 점검 및 교체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DOO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 품위를 저해하지 아니하고 서비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식품을 냉동 상태 또는 냉장 상태로 보관하여 더욱 신선한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냉장고는, 냉각실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 및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에는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장칠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에는 복수의 냉각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은 냉동실 및/또는 냉장실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각실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냉각실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서랍식 도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식 도어는 주로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냉동실 도어는 내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공기의 수축 등에 의한 압력 저하로 개방시 더 큰 힘이 소요될 수 있다. 특히, 대형 냉장고의 냉동실의 서랍식 도어에 있어서는, 도어 자체의 무게, 도어에 수납된 식품의 무게, 공기의 수축에 기인한 압력 저하 등에 기인하여 도어의 개방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부에는 도어의 핸들과 연동하여 돌출 및 철회되는 푸셔를 구성하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핸들의 당김시 푸셔가 돌출되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도어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용 도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각실(20)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10) 및 상기 냉각실(20)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실(20)은 냉동실(21) 및 냉장실(2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22)의 전면에는 냉장실도어(26)가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21)에는 냉동실도어(3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31)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서랍식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31)는, 도어본체(33)와, 상기 도어본체(33)의 전면에 배치되는 핸들(3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35)은 상기 도어본체(3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33)의 내면 상부영역에는 상기 냉동실(21)의 개방을 위한 상기 핸들(35)의 당김시 상기 도어본체(33)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푸셔(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셔(37)는 상기 도어본체(33)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냉각실(20), 즉 냉동실(21)의 개구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상기 도어본체(33)를 상기 냉각실(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33)의 개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33)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35)의 당김시 작용하는 구동력을 상기 푸셔(37)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용 도어에 있어서는,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냉장고본체(33)의 내부에 발포제에 의해 둘러쌓이게게 구성되어 있어 고장 발생 시 수리가 불가하여 냉장고용 도어 자체를 교환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용 도중 동력전달부의 점검 및 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도어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용 도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용 도어(40)는, 도어본체(41)와, 상기 도어본체(41)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45), 상기 도어본체(41)의 내면 상부영역에 후방으로 돌출 가능한 푸셔(47) 및 상기 도어본체(41)의 내부에 상기 핸들(45)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상기 푸셔(47)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41)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2)는, 예를 들면, 상기 도어본체(41)의 상단에 개구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2)의 개구에는 상기 수용부(42)를 개폐할 수 있게 커버(4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용 도어에 있어서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점검을 위해 상기 도어본체(41)의 상단에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42)의 개폐를 위한 커버(44)를 마련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수용부(42) 및/또는 커버(44)의 테두리영역은 이물질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어 위생상 좋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치는 등 전반적으로 외관 품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관 품위를 저해하지 아니하고 부품의 점검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냉각실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들; 상기 도어본체에 돌출 및 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셔; 및 상기 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실의 개방을 위한 상기 핸들의 당김시 상기 핸들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상기 푸셔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본체에는 상기 핸들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핸들결합부를 통해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일 측이 상기 핸들에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일 측이 상기 레버와 연동되어 회동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에 연동하여 상기 푸셔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상기 슬라이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푸셔는 돌출방향으로 당겨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는, 상기 핸들결합부가 형성되는 도어외판, 상기 도어외판의 내측에 발포재의 충전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도어내판, 및 상기 도어외판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수용하는 동력전달유닛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결합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핸들의 배후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에 의해 시각적으로 차단되어 전면에서 보이지 아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에는 상기 프레임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핸들의 당김시 상기 프레임의 인출이 억제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돌기의 배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돌기와 접촉되는 접촉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 및 접촉돌기는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고, 다른 돌기의 통과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촉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의 전방에서 상기 지지돌기의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접촉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의 배후에 배치되게 횡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유닛을 핸들결합부를 통해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본체의 외관에 동력전달유닛의 분리 및 조립을 위한 개방부를 형성하지 아니하므로 외관 품위를 저해함이 없이 동력전달유닛의 분리 및 점검이 가능하다.
또한, 푸셔는 돌출방향을 당겨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동력전달유닛의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유닛의 프레임과 레버의 상호 접촉영역에 완충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핸들의 조작 시 프레임과 레버의 충격적 접촉에 기인한 부품의 손상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유닛이 수용되는 수용부에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프레임에는 접촉돌기를 구비하여 핸들의 당김시 외력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유닛의 스크류 체결개소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동력전달유닛의 분리 및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핸들결합부에 동력전달유닛의 삽입을 위한 관통부를 형성하되, 상기 관통부가 핸들의 배후에 구비되어 시각적으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동력전달유닛의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외관 품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용 도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용 도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냉장고용 도어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동력전달유닛케이스, 동력전달유닛 및 핸들의 결합전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동력전달유닛케이스 및 동력전달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동력전달유닛의 확대도,
도 8은 도 5의 동력전달유닛의 동력전달유닛케이스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동력전달유닛의 결합후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동력전달유닛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확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복수의 냉각실(120)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실(120)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2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실(120)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장치는, 예를 들면,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예를 들면, 상부영역에 냉장실(121)이 구비되고, 하부영역에 냉동실(122)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130)는, 냉각실(1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실(120)을 개폐하는 도어본체(131); 상기 도어본체(131)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들(141); 상기 도어본체(131)에 돌출 및 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셔(151); 및 상기 핸들(141)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실(120)의 개방을 위한 상기 핸들(141)의 당김시 상기 핸들(141)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상기 푸셔(15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190);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본체(131)에는 상기 핸들(141)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결합부(135)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190)은 상기 핸들결합부(135)를 통해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130)는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을 개폐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130)가 냉동실(122)을 슬라이딩 개폐할 수 있게 서랍식 냉동실도어(130)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냉장실(121)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121)을 회동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용 도어(130)(냉동실도어(130))는, 상기 냉동실(122)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냉동실(122)의 전면 개구를 차단하는 도어본체(131)와, 상기 도어본체(131)의 배후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품수납부(13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품수납부(133) 및 상기 냉동실(122)의 측벽에는 상기 냉동실도어(1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1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131)의 전면에는 핸들(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1)은, 예를 들면, 상기 도어본체(131)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1)은 상기 도어본체(13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131)의 전면에는 상기 핸들(141)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결합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131)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핸들(141)의 당김시 상기 핸들(141)과 연동되어 상기 도어본체(13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푸셔(1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131)를 전방으로 당길 경우 상기 핸들(141)이 회동되면 상기 푸셔(151)가 상기 도어본체(13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냉동실(122)의 전면 개구의 테두리부를 접촉 및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어본체(131)의 전방 인출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131)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결합부(135)가 형성되는 도어외판(132a), 상기 도어외판(132a)의 내측에 발포재(미도시)의 충전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도어내판(132b), 및 상기 도어외판(132a)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유닛(190)을 수용하는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외판(132a) 및 도어내판(132b)의 하단 및 상단에는 하부 및 상부를 각각 차단할 수 있게 하부캡(132c) 및 상부캡(132d)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외판(132a)은, 예를 들면,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내판(132b)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내판(132b)에는 가스켓(164)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외판(132a)은, 예를 들면, 프레싱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외판(132a)에는 상기 핸들(141)이 결합될 수 있게 핸들결합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결합부(135)는 상기 도어외판(132a)의 전방에서 함몰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함몰부(13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결합부(135)는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1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37)는 상기 함몰부(136)의 상측에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37)에는 상기 관통부(137)의 테두리를 따라 보호부재(139)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금속부재로 된 상기 관통부(137)의 테두리에 다른 부품 및/또는 인체가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139)에는 상기 관통부(137)의 테두리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게 삽입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상기 보호부재(139)는 탄성부재(예를 들면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결합부(135)의 배후(후방)에는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는 상기 상부캡(132d)의 하부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는 상기 도어본체(131)의 발포 전 상기 도어외판(132a) 및 도어내판(132b)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발포 후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의 외곽(외면)은 발포체에 의해 둘러쌓여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유닛(190)은,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상기 핸들(141)에 연결되는 레버(191), 상기 레버(19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210), 일 측은 상기 레버(191)와 연동되어 회동하는 아암(230), 및 상기 아암(230)에 연동하여 상기 푸셔(151)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2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191)는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을 구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191)의 일 단부에는 회동축(194)이 삽입될 수 있게 회동축공(19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191)의 타 단부에는 상기 핸들(141)이 장착될 수 있게 핸들장착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1)은, 예를 들면, 핸들본체(142)와, 상기 핸들본체(142)의 전면에 결합되는 핸들커버(14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본체(142)의 양 단부에는 상기 핸들장착부(195)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97)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공(14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장착부(195)는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장착부(195)에는 상기 체결부재(197)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9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191)에는 상기 레버(191)의 회동을 억제하기 위한 스토퍼(19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98)는 상기 핸들장착부(195)의 양 측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191)의 일 측에는 상기 레버(19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의 일 측(도면상 전면)에는 상기 레버(191)가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레버수용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수용부(212)에는 상기 레버(191) 및 아암(230)의 각 회동축(194,233)이 삽입될 수 있게 회동축삽입부(213,21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과 상기 레버(191)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프레임(210)과 상기 레버(191)의 충격적 접촉을 억제하는 완충부(2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핸들(141)의 초기 위치 복귀시 상기 레버(191)와 상기 프레임(210)의 충격적 접촉이 억제되고, 이에 기인한 소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15)는, 예를 들면,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15)는 상기 스톱퍼와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15)는 상기 프레임(210)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의 상단에는 상기 프레임(2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의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더(24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2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17)는,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2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40)에는 상기 가이드(21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가이드수용부(2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용부(246)는 상기 슬라이더(240)의 저부면에 상향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40)에는 푸셔(15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푸셔(151)는, 예를 들면, 긴 판상 또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151)의 일 단부는 상기 도어본체(131)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셔(151)의 타 단부는 상기 도어본체(1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푸셔(151)의 타 단부에는 후크(1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153)는 복수 개(예를 들면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53)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53)는 상기 푸셔(151)의 이동방향에 가로로 탄성 변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40)에는 상기 각 후크(153)가 삽입될 수 있게 후크홈(242)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153)에는 상기 후크홈(242)에 삽입시 상기 후크(153)를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게 경사진 안내경사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후크(153)는 상기 후크홈(242)에 대고 가압하면 상기 안내경사부(155)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어 폭이 작아지게 탄성변형되어 상기 후크홈(24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153)들은 상기 후크홈(242)에 삽입된 후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후크홈(24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153)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상기 후크(153)를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당기면 상기 후크(153)가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슬라이더(240)(보가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홈(24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레버(191)와 상기 슬라이더(240) 사이에는 상기 레버(191)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아암(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암(230)은, 예를 들면, 회동축(233)이 수용되는 회동축수용부(232), 상기 회동축수용부(232)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된 제1아암(234), 및 상기 회동축수용부(232)로부터 타 측으로 연장된 제2아암(236)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아암(234)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아암(236)은 상측으로 연장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제1아암(234)은 상기 레버(191)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아암(234)은 상기 레버(191)의 후방에 형성된 제1아암걸림부(199)에 걸리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레버(191)의 당김 회동시 상기 제1아암(234)이 상기 제1아암걸림부(199)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어 상기 아암(230)이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아암(236)은 상기 슬라이더(240)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수용부(232)는, 예를 들면, 상기 제1아암(234) 및 제2아암(236)의 폭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230)의 일 측에는 상기 아암(23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237)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위치는, 상기 도어본체(131)의 개방을 위해 상기 핸들(141)에 당김력이 작용하여 회동되기 전 위치(상태)로서, 상기 푸셔(151)는 상기 초기위치시 상기 도어본체(131)의 내부로 철회된 상태이다.
상기 복귀스프링(237)은,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237)은 내부에 상기 회동축수용부(232)가 삽입되게 상기 회동축삽입부(232)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237)의 일 단부는 상기 아암(230)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귀스프링(237)은 상기 아암(230)의 회동시 탄성력을 축적하고,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아암(23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아암(230)에는 상기 복귀스프링(237)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2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아암(236)은 상기 슬라이더(240)에 형성된 제2아암삽입부(24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아암(230)의 회동 시 상기 슬라이더(240)가 연동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제2아암삽입부(244)는 상기 슬라이더(240)의 저부에 하향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유닛(190)은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는, 예를 들면, 서로 대면 접촉되어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유닛(190)의 수용부(177)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는, 예를 들면, 중앙케이스(171)와, 상기 중앙케이스(171)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부케이스(172)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141)의 길이가 비교적 짧게 구성된 경우에 대응되게,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가 하나의 중앙케이스(171)와, 2개의 단부케이스(17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으나, 핸들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될 경우,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는 상기 긴 핸들의 양 단부에 서로 대면접촉되는 내측동력전달유닛케이스 및 외측 동력전달유닛케이스를 각각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캡(132d)에 면접촉될 수 있게 외측으로 확장된 상부플랜지(1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외판(132a)과 면접촉될 수 있게 외측으로 확장된 전면플랜지(1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외판(132a)의 핸들결합부(135)에 대응되게게 핸들설치공간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190)(프레임(210))이 수용되는 수용부(177)는 상기 핸들설치공간부(180)의 양 단부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77)는, 예를 들면, 상측 및 일 측방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77)의 상부 일 측에는 상기 푸셔(15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푸셔삽입부(17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77)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핸들(141)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레버(191)의 핸들장착부(195)가 상기 핸들(141)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141)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77)에는 상기 핸들(141)의 당김시 상기 프레임(210)의 인출이 억제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17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179)는, 예를 들면, 상기 수용부(177)의 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에는 상기 지지돌기(179)와 접촉되는 접촉돌기(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22)는 상기 지지돌기(179)의 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179) 및 접촉돌기(222)는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179)는 상기 수용부(177)의 저부에 상향 돌출되고 상기 도어본체(131)의 좌우방향(또는 핸들(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22)는 상기 프레임(210)의 저부에 하향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210)의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10)의 저부에 형성되는 접촉돌기(222)들은 상기 지지돌기(179) 사이의 틈새를 통해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210)은 상기 접촉돌기(222)가 상기 지지돌기(179)의 전방에서 상기 지지돌기(179)의 사이(틈새)를 통과한 후 상기 접촉돌기(222)가 상기 지지돌기(179)의 배후에 배치되게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에는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에 결합될 수 있게 돌기(2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8)는 상기 프레임(21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돌기(218)에는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공(219)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에는 상기 돌기(218)가 삽입될 수 있게 돌기삽입부(1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삽입부(182)에는 상기 체결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공(1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에는 상기 관통공(183)을 통과한 체결부재(220)가 나사결합될 수 있게 암나사부재(18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재(184)는, 예를 들면, 별도의 부재(예를 들면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170)의 돌기삽입부(182)의 후방(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122)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핸들(141)을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레버(191)가 상기 회동축(194)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레버(191)가 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레버(191)의 배후에 배치된 아암(230)이 회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191)의 배후에 배치된 제1아암(234)이 전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제2아암(236)은 상기 회동축(233)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아암(236)이 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슬라이더(24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푸셔(151)가 상기 도어본체(131)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131)로부터 돌출된 푸셔(151)는 상기 냉동실(122)의 전면 개구의 테두리부에 접촉되어 상기 도어본체(131)를 개방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131)의 개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1)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상기 복귀스프링(237)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아암(230)에 의해 상기 핸들(141) 및 푸셔(151)는 각각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유닛(190)을 점검하고자 할 때는, 상기 핸들(141)을 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도어본체(131)를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푸셔(151)의 노출 단부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외측(상기 도어본체(13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푸셔(151)의 후크(153)가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후크홈(242)과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푸셔(151)가 분리되면 상기 핸들(141)을 상기 레버(19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핸들(141)이 분리되면 상기 프레임(210)에 결합된 체결부재(22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20)를 분리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190)의 프레임(210)을 잡고 상기 동력전달유닛(190)의 프레임(210)의 결합시와 반대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프레임(210)의 각 접촉돌기(222)를 상기 지지돌기(179)들 사이(틈새)에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210)을 전방으로 수평이동시키면 쉽게 인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유닛(190)의 점검 및/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냉장고 본체 121 : 냉장실
122 : 냉동실 130 : 냉장고용 도어, 냉동실도어
131 : 도어본체 132a : 도어외판
132b : 도어내판 132c : 하부캡
132d : 상부캡 133 : 식품수납부
135 : 핸들결합부 136 : 함몰부
137 : 관통부 139 : 보호부재
140 ; 삽입부 141 : 핸들
142 : 핸들본체 145 : 핸들커버
151 : 푸셔 153 : 후크
170 : 동력전달유닛케이스 171 : 중앙케이스
173 : 단부케이스 177 : 수용부
178 : 푸셔삽입부 180 : 핸들설치공간부
182 : 돌기삽입부 184 : 암나사부재
190 : 동력전달유닛 191 : 레버
193 : 회동축공 194,233 : 회동축
210 ; 프레임 212 : 레버수용부
213,214 : 회동축삽입부 217 ; 가이드
218 ; 돌기 230 : 아암
232 : 회동축수용부 234 : 제1아암
236 : 제2아암 237 : 복귀스프링
240 : 슬라이더 242 : 후크홈
244 : 제2아암삽입부 246 : 가이드수용부

Claims (15)

  1. 냉각실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들;
    상기 도어본체에 돌출 및 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셔; 및
    상기 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실의 개방을 위한 상기 핸들의 당김시 상기 핸들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상기 푸셔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본체에는 상기 핸들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본체는, 상기 핸들결합부가 형성되는 도어외판, 상기 도어외판의 내측에 발포재의 충전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도어내판 및 상기 도어외판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동력전달유닛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결합부는, 상기 도어외판의 전방에서 함몰되고 후방으로 돌출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상측에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핸들의 분리 시, 상기 핸들결합부의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일 측이 상기 핸들에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일 측은 상기 레버와 연동되어 회동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에 연동하여 상기 푸셔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슬라이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용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돌출방향으로 당겨 상기 도어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삽입방향에 가로로 탄성 변형되는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프레임의 상호 접촉 영역에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상기 핸들이 장착될 수 있게 핸들장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장착부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핸들결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9. 삭제
  10.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에는 상기 프레임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핸들의 당김시 상기 프레임의 인출이 억제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돌기의 배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돌기와 접촉되는 접촉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 및 접촉돌기는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고, 다른 돌기의 통과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촉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의 전방에서 상기 지지돌기의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접촉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의 배후에 배치되게 횡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동력전달유닛케이스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4.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핸들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5.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핸들의 배후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에 의해 시각적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KR1020120039387A 2012-04-16 2012-04-16 냉장고용 도어 KR10193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387A KR101937204B1 (ko) 2012-04-16 2012-04-16 냉장고용 도어
US13/862,982 US9506685B2 (en) 2012-04-16 2013-04-15 Refrigerator
EP13163884.3A EP2653810B1 (en) 2012-04-16 2013-04-16 Refrigerator
CN201310131678.9A CN103375960B (zh) 2012-04-16 2013-04-16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387A KR101937204B1 (ko) 2012-04-16 2012-04-16 냉장고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738A KR20130116738A (ko) 2013-10-24
KR101937204B1 true KR101937204B1 (ko) 2019-01-10

Family

ID=4963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387A KR101937204B1 (ko) 2012-04-16 2012-04-16 냉장고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2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2024A1 (en) 2009-12-08 2011-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door opening apparatus
US20110241512A1 (en) 2008-10-28 2011-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10273070A1 (en) 2010-05-07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22577A1 (it) * 2002-12-05 2004-06-06 Smeg Spa Dispositivo di apertura di una porta di un elettrodomestico
KR101600310B1 (ko) * 2008-02-20 2016-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1512A1 (en) 2008-10-28 2011-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10132024A1 (en) 2009-12-08 2011-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door opening apparatus
US20110273070A1 (en) 2010-05-07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738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818B2 (en) Refrigerator
KR10189727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EP2846117B1 (en) Refrigerator
US9506685B2 (en) Refrigerator
US8376481B2 (en) Refrigerator and rail assembly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alignment method
KR101600310B1 (ko) 냉장고
KR10151987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핸들 조립방법
KR102186243B1 (ko) 냉장고
KR101918059B1 (ko) 드로어 밀폐유지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64720A (ko) 냉장고
KR10159417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CN110887329A (zh) 一种冰箱
KR101758284B1 (ko) 냉장고
KR20100008104A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KR101737846B1 (ko) 냉장고
KR101937204B1 (ko) 냉장고용 도어
KR20060095419A (ko) 냉장고의 개스킷 밀착용 필러 가이드 장치
US8172346B2 (en) Articulated sealing surface
TWI624637B (zh) refrigerator
KR101952747B1 (ko) 냉장고용 도어
CN108150008B (zh) 用于冷藏冷冻装置的把手组件及冷藏冷冻装置
KR101652527B1 (ko) 냉장고
EP4063769A1 (en) Latch assembly for door-in-door refrigeration appliance
KR101972547B1 (ko) 도어 자동열림장치가 장착된 양문형 냉장고
KR2015005054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