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849B1 -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849B1
KR101935849B1 KR1020180088422A KR20180088422A KR101935849B1 KR 101935849 B1 KR101935849 B1 KR 101935849B1 KR 1020180088422 A KR1020180088422 A KR 1020180088422A KR 20180088422 A KR20180088422 A KR 20180088422A KR 101935849 B1 KR101935849 B1 KR 101935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input
machining
ten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민석
Original Assignee
채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민석 filed Critical 채민석
Priority to KR102018008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경력 및 능력에 무관하게 균일하고 우수한 품질의 직물 가공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EXTILE MACHINE}
본 발명은 섬유가공기의 제어시스템 및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경력 및 능력에 무관하게 균일하고 우수한 품질의 직물 가공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시스템 및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섬유가공기의 일종인 텐터기(Tenter Machine)는 각종 직물의 염색가공 공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공정(Process)으로서 직물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 열풍 속으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폭 또는 길이에 대한 밀도 등을 교정하고, Pre-Setting 및 Final-Setting 효과, 발수 가공효과, 유연가공, 방축가공, 방오가공효과 등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계이다.
즉, 직물은 호발, 정련, 표백, 염색한 것만으로는 용도에 적합한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없다. 이처럼 텐터 가공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서는 촉감이 거칠고, 직물로서의 용도에 부적합하므로 상품 가치가 낮고 반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직물에 적당한 텐터 가공 공정을 통하여 우수한 제품으로 만들어 상품가치를 높이는 것이 텐터 가공의 주요 목적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텐터기는 각종 직물 원단의 용도에 따라 특성을 충분히 발휘시키고 결점을 보완하여 성능을 개변하고 직물을 미화하는 동시에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의 성질을 적절히 응용하여 각 종 정리 가공을 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각종 수지가공, 발수가공, 방염가공, 방오가공, 대전방지가공, 방충가공, 방축가공, 유연가공, 경화가공, 향균 방취가공, 고흡습가공 등 각종 가공이 행해지고 있는데, 이들은 각종 합성섬유, 천연섬유류에 여러 가지 약품처리에 의하여 특유의 기능성을 발휘토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수지가공 등 각종 가공처리 조작은 그 농도, 온도, 처리시간 등에 각별히 주의하여야 하며 가공 처리시 모든 조건이 조금이라도 부주의 하거나 셋팅값이 정확하지 않으면 가공효과는 전혀 예상외의 것이 되므로 불량 원단이 되고 심지어 너무 높은 온도에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조직이 변형 또는 손상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즉, 텐터 가공은 보통 3회 이상을 통과하는 것으로, 섬유 가공에 있어 가장 중요성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확성이 매우 요구되는 공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텐터기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텐터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일일이 수동으로 가공상세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
여기서, 텐터기에서 요구되는 가공상세정보는 예를 들어, 직물의 이송속도, 직물 폭 입구조절값, 직물 폭 중간조절값, 직물 폭 출구조절값, 복수 개의 챔버 각각의 온도, 열풍 속도, 열풍 온도, 직물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 등 굉장히 다양하고 방대하다.
이렇게 방대한 양의 가공상세정보를 일일이 입력하다 보면, 작업자의 입력 실수로 인해 직물 가공의 불량률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가공상세정보는 작업자의 숙련도, 경력 또는 능력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가 있어, 각 텐터기 마다 작업자에 따라 직물 가공물의 결과물이 균일하지 못하거나 품질이 보장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게다가, 작업자가 텐터기를 통하여 균일하고 고품질의 직물 가공물을 생산하기 까지는 최소한 6개월 이상이라는 교육 또는 시행착오 기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으며, 1일 2교대 또는 3교대 작업방식의 텐터기 작업의 경우 하나의 텐터기에서도 작업자가 오전 작업자인지 오후 작업자인지 등 작업자 변경에 따라 직물 가공물의 불량률이나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및/또는 섬유가공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숙련도, 능력 및 경력에 무관하게 텐터기를 통하여 균일하고 고품질의 직물 가공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및 섬유가공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가공물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텐터기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숙련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및 섬유가공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물을 가공하도록 구동되는 복수 개의 텐터기와; 제품별 직물 가공에 대한 가공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 각각에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텐터기를 직접 제어하는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와;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와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섬유가공기를 제어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 각각이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계하여 상기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텐터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텐터기를 제어하여 상기 직물을 균일한 품질로 가공하는 양산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산 가공단계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대표하거나 또는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가공 식별정보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가공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동제어부가 상기 중앙제어부에 요청하여 상기 가공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하는 가공 상세정보 호출단계와;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공상세정보에 따라 상기 텐터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텐터기를 제어하는 가공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 식별정보는 비접촉식 입력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가공 식별정보를 비접촉식 입력신호로 수신하는 비접촉식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접촉식 입력부는, QR코드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및 NFC 리더기 중 하나이고, 상기 가공 식별정보는 상기 비접촉식 입력부에 대응되는 QR코드 라벨부, 바코드 라벨부,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작업자의 입력신호를 통하여 수동으로 입력받는 접촉식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식 입력부는 입력부인 동시에 상기 구동제어부의 텐터기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산 가공단계 전에,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텐터기에 대한 입력 설정정보를 복수 회 변화시켜가며 복수 개의 직물 샘플을 가공하는 샘플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샘플 가공단계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 설정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입력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텐터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텐터기를 제어하는 텐터기 구동단계와; 상기 입력단계 및 상기 텐터기 구동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가공상세정보를 상기 구동제어부에서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가공상세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저장하는 가공상세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계 내지 상기 가공상세정보 저장단계는, 상기 입력 설정정보를 변화시켜가며 복수 회 반복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상세정보는, 상기 입력단계의 상기 입력 설정정보, 및 상기 텐터기 구동단계 중 상기 텐터기에 구비된 복수 개의 텐터기 상태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텐터기의 가공이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샘플 가공단계와 상기 양산 가공단계 사이에, 상기 중앙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를 가공표준으로 결정하는 가공표준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는, 상기 중앙제어부에 상호 데이터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표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중앙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을 표시하는 가공상세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용 단말기는 일정 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 아이디에 의해서만 접근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상세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샘플 가공단계의 입력단계가 실행될 때마다 실행되거나, 또는 상기 샘플 가공단계가 완료된 후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는, 상기 중앙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를 가공표준으로 결정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표준용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는 가공표준 결정단계와; 상기 가공표준이 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에 대응되는 가공 식별정보를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하여 표준 일련번호로 생성하는 식별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는, 상기 식별정보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된 식별정보 출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 식별정보 또는 상기 표준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도형, 기하학적 무늬, 패턴, 디지털 정보 및 통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비접촉식 입력신호부를 출력하는 식별정보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정보 출력단계는, 작업지시서를 출력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작업지시서는, 상기 표준 일련번호, 상기 비접촉식 입력신호부 및 상기 가공표준이 된 상기 하나의 가공상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준용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한 텐터기의 구동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물을 가공하도록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터기와; 제품별 직물의 가공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터기 각각에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텐터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제어부와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터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제어부를 모니터링및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 식별정보를 비접촉식 입력신호로 수신하는 비접촉식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텐터기를 직접 구동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또는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가 중앙제어부와 연계하여 텐터기를 제어함으로서, 중앙제어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텐터기의 작동상태를 동시에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어 섬유가공기 전체의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중앙제어부가 각 텐터기 및 각 구동제어부를 총괄 제어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품질의 직물 가공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산 가공단계가 가공 식별정보 입력단계에 기초하여 실제 가공 실행단계가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가공상세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일련의 식별코드와 같은 간단한 정보인 가공 식별정보만 입력하면 구동제어부가 자동으로 또는 반자동으로 상기 가공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가공상세정보로 텐터기를 작동 및/또는 구동시키므로, 작업자의 입력실수로 인한 직물 가공물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도 대폭 축소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효율은 향상시키고 작업 불량률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식별정보 입력단계가 바코드, QR코드, RFID 태그, NFC 태그 등과 같은 비접촉식 입력신호 및 비접촉식 입력부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클릭 또는 원터치 방식과 유사하게 텐터기를 구동시킬 수 있어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샘플 가공단계 및/또는 표준용 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작업 숙련도가 매우 높은 베테랑인 관리자가 샘플 가공단계의 가공상세정보들(즉, 입력 설정정보들, 또는 가공이력정보들) 중에서 가장 최적의 직물 가공물이 생산된 가공상세정보(즉, 입력 설정정보들, 또는 가공이력정보들)를 선택하여 가공표준으로 설정할 수 있어, 관리자가 샘플 가공단계 이후에 가공표준 설정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공표준 설정단계 및/또는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에서 생성된 가공 식별정보를 양산단계의 가공 식별정보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함으로써, 가장 최적의 직물 가공물이 생산될 수 있는 하나의 가공상세정보정보(즉, 입력 설정정보들, 또는 가공이력정보들)를 관리자 이외의 작업자가 작업하여도 모두 동일하게 텐터기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별로 (또는 고객별, 작업별, 거래처별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각각의 가공표준 별로 일률적으로 균일하게 고품질의 직물가공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 능력 및 경력에 무관하게 어느 작업자라도 가공 식별정보만 입력부에 입력하면 고숙련자인 관리자와 동일한 고품질의 직물 가공물을 균일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가공기의 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가공기의 제어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봐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가공기의 제어시스템(1000)은, 복수 개의 섬유가공기(100; 100A, 100B, ..., 100N)와, 상기 복수 개의 섬유가공기(100; 100A, 100B, ..., 100N) 각각과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된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200; 200A, 200B, ..., 200N)와,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200; 200A, 200B, ..., 200N) 각각과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된 중앙제어부(300)와, 상기 중앙제어부(300)와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된 표준용 단말기(400)와, 상기 중앙제어부(300)와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된 식별정보 출력부(500)와, 상기 섬유가공기의 제어시스템(1000)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20; 120A, 120B, ..., 120N)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가공기(100; 100A, 100B, ..., 100N) 각각은, 텐터기(110; 110A, 110B, ..., 110N)와, 상기 텐터기(110; 110A, 110B, ..., 110N)에 포함되는 구동부들을 직접 제어하는 내장형 제어부(130; 130A, 130B, ..., 130N), 상기 내장형 제어부(130; 130A, 130B, ..., 130N)와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는 입력부(121; 121A, 121B, ..., 121N)를 포함한다.
상기 텐터기(110)는 직물을 가공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내장형 제어부(130)에 의해 직접 제어된다.
상기 텐터기(110)는 예를 들어 망글기, 이송기,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텐터기(110)는 각 구성(예를 들어 망글기, 이송기, 건조기 등)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유량센서, 카메라, 온도센서, 화재감지센서, 잔류수분센서, 습도센서, 직물 장력 감지센서, 타이머, 직물 폭 감지센서, 직물 연신률 감지센서, 적산전력계(또는 적산전력계용 전압센서 및 전류센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감지센서는 후술하겠지만 입력부(120)(121)(123)에 의한 입력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텐터기(110)가 구동될 때, 상기 텐터기(110)의 가공이력정보 및 설정값 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입력부(121)는 제품별로 (또는 작업별 또는 거래처별로) 직물 가공에 대한 가공상세정보(즉, 입력값인 입력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내장형 제어부(130)와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121)는 가공상세정보(여기서는, 텐터기(110) 입력값으로서 입력 설정정보)를 작업자의 입력신호를 통하여 수동으로 입력받는 접촉식 입력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식 입력부(121)는 입력부(120)인 동시에 상기 구동제어부(200)의 텐터기(110)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식 입력부(121)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내장형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21)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110) 각각에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내장형 제어부(130)는 상기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텐터기(110)를 직접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장형 제어부(130)는 상기 텐터기(110)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형 제어부(130)는 PLC모듈일 수 있고, 상기 입력부(121), 상기 상태감지센서, 상기 구동제어부(200)에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상기 텐터기(110)(즉, 내장형 제어부(130)) 각각과 상호 데이터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텐터기(110)의 내장형 제어부(130)와 상기 중앙제어부(300)를 서로 연계 및/또는 연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섬유가공기(100)의 입력부(121)로부터 수신된 입력신호도 내장형 제어부를 통하여 수신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입력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바람직하게는 비접촉식 입력부(123)일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입력부(123)는 후술할 가공 식별정보를 비접촉식 입력신호로 원클릭 또는 원터치 또는 스캔 또는 패스 방식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접촉식 입력부(123)는, QR코드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및 NFC 리더기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입력신호는 QR코드 라벨부, 바코드 라벨부,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입력부를 통하여 가공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중앙제어부로 상기 가공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가공표준 가공상세정보를 요청하고,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는 자동으로 또는 작업자의 승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가공표준 가공상세정보를 내장형 제어부로 전송하여 텐터기를 상기 가공표준 가공상세정보에 따라 상기 텐터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텐터기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제어부(200)도 접촉식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식 입력부는 입력부인 동시에 상기 구동제어부의 텐터기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이렇게 중앙제어부와 텐터기를 연계 및/또는 연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해당 구동제어부에 연결된 해당 텐터기가 고장나더라도 해당 구동제어부를 해당 텐터기 이외의 다른 텐터기에 연결하여 직물 가공을 계속 실시할 수 있고, 반대로 해당 구동제어부 및/또는 중앙제어부가 고장난 경우라도 해당 텐터기는 해당 구동제어부와의 연결을 끊고 해당 텐터기 자체 입력부(121)를 통하여 수동으로 해당 텐터기를 작동시켜 직물 가공을 계속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200)와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110)의 작동상태 또는 구동상태 및/또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200)의 작동상태 또는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110) 및/또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2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200) 및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110)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200) 중 일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110) 중 일부가 고장나더라도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고장난 구동제어부(200) 및/또는 텐터기(110)에 의해 나머지 정상상태의 구동제어부(200) 및/또는 텐터기(110)가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후술할 표준용 단말기(400) 및 식별정보 출력부(500)와도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erver, 또는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erver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300)와 상기 섬유가공기(100)(또는 상기 구동제어부(200)) 사이에는, 섬유가공기와 중앙제어부 사이의 정보값을 가공하는 가공이력정보 수집용 단말기(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공이력정보 수집용 단말기(600)는 상기 섬유가공기(100) 또는 상기 구동제어부(200) 또는 상기 텐터기(110)의 상태감지센서로부터 각 입력 설정정보에 의한 구동시의 가공이력정보(즉, 텐터기 구동으로 인한 각 센서들의 센싱값 등)를 수집하여 중앙제어부(300)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이력정보 수집용 단말기(600)는 텐터기로부터 수신된 가공이력정보(즉, 텐터기 구동으로 인한 각 센서들의 센싱값 및/또는 입력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가공한 직물의 Lot 정보, 거래처 정보, 제품명 정보, 품목 정보 등을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들을 매칭시키고, 수신된 정보들이 텐터기 및/또는 중앙제어부 각각에서 서로 인식될 수 있도록 변환시킨 후 텐터기 및/또는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준용 단말기(400)는 상기 중앙제어부(300)와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고, 일정 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 아이디에 의해서만 접근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는 섬유가공 또는 텐터기(110) 가공 수련도가 높은 베테랑으로서, 최상위 관리자(예를 들어, 기업의 대표이사, 또는 담당부서장)으로부터 가공표준 결정권한을 부여받은 아이디를 소유한 사람을 의미한다.
상기 표준용 단말기(400)는, 상기 텐터기(110) 및/또는 내장형 제어부(130) 및/또는 구동제어부(200) 및/또는 가공이력정보 수집용 단말기(600)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수신한 가공상세정보(즉, 입력 설정정보 및/또는 가공이력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준용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아이디를 통하여 입력되는 (후술할) 가공표준 결정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공표준 결정 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상기 표준용 단말기(400)는 별도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준용 단말기는 별도의 단말기가 아니라 상기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한 텐터기(110)의 구동제어부(200)일 수도 있다.
상기 식별정보 출력부(500)는 상기 중앙제어부(300)와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비접촉식 입력신호부를 인쇄물 또는 실물로 생산 및/또는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접촉식 입력신호부는 상기 비접촉식 입력부(121)에 의해 원터치 또는 원클릭 또는 스캔 또는 패스 방식으로 인식되는 식별정보의 일종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접촉식 입력신호부는 가공 식별정보 또는 표준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도형, 기하학적 무늬, 패턴, 디지털 정보 및 통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접촉식 입력신호부는 QR코드 라벨부, 바코드 라벨부,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S10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S1000)에 대한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S1000)은, 샘플 가공단계(S1100)와, 이후 가공표준 설정단계(S1200)와, 이후 양산 가공단계(S1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샘플 가공단계(S1100)는, 제품별로 (거래처별로 또는 작업별로) 직물을 대량생산 가공작업 또는 양산 가공작업 하기 전에 샘플 직물가공물을 복수 개 제작하고, 이때 각 가공 횟수마다의 가공상세정보를 중앙제어부(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또는 기록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가공상세정보는 각 가공 회수마다의 입력 설정정보 및/또는 상기 입력 설정정보에 의해 구동된 텐터기(110)의 상태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가공이력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는 샘플 가공단계에서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 중에서 최적의 결과물이 생산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를 가공표준으로 베테랑인 관리자에 의해 선택 및/또는 지정하는 과정이다.
또한, 상기 양산 가공단계는 이렇게 가공표준이 된 상기 하나의 가공상세정보를 모든 작업자가 각자의 텐터기(110)의 입력부(120)에 입력하여 균일한 고품질의 직물가공품을 생산하는 과정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 가공단계(S1100)와, 가공표준 설정단계(S1200)와, 양산 가공단계(S1300)을 보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샘플 가공단계(S1100)는, 상기 텐터기의 입력부(121)를 통하여 상기 텐터기(110)에 대한 입력 설정정보를 복수 회 변화시켜가며 복수 개의 직물 샘플을 가공하도록 실행된다.
여기서, 입력부(121)는 바람직하게는 접촉식 입력부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HMI 패널일 수 있다.
우선,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부(121)를 통하여 입력 설정정보를 (내장형 제어부를 경유하여) 수신한다. 즉, 작업자는 입력부(121)를 통하여 일일이 하나하나의 입력설정값을 수동으로 입력하여야 한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상기 내장형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입력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텐터기(110)가 구동하도록 상기 해당 텐터기(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내장형 제어부(130)는 구동제어부와의 데이터통신 연결을 차단한 경우, 상기 입력부(121)를 통하여 입력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텐터기를 직접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상기 해당 텐터기(110)에 대한 제1 가공상세정보를 중앙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상기 해당 텐터기(110)에 대한 제1 가공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가공상세정보는, 상기 입력단계의 상기 입력 설정정보, 및 상기 텐터기(110) 구동단계 중 상기 텐터기(1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텐터기(110) 상태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텐터기(110)의 가공이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200)와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제2 입력 설정정보 및 제2 가공상세정보에 기초하여 위의 과정을 N번째까지 반복하고, N번째까지 완료되면 샘플 가공단계를 종료한다.
상기 샘플 가공단계(S1100)가 종료된 이후에, 가공표준 설정단계(S1200)가 실행된다.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S1200)는, 상기 중앙제어부(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를 가공표준으로 결정하도록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상기 표준용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중앙제어부(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또는 그 리스트)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준용 단말기(400)는 일정 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 아이디에 의해서만 접근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 숙련도가 높은 관리자(또는 관리자 아이디)만이 가공 표준을 설정할 권한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상세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샘플 가공단계의 입력단계가 실행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상기 샘플 가공단계가 완료된 후에 일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표준용 단말기(400)는, 상기 중앙제어부(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를 가공표준으로 결정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표준용 단말기(400)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상기 표준용 단말기(400)는, 상기 가공표준이 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상기 표준용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돤 하나의 가공상세정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가공상세정보를 가공표준 가공상세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지정 및/또는 저장한다.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상기 가공표준이 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에 대응되는 가공 식별정보를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하여 표준 일련번호로 생성한다.
상기 표준 일련번호는 예를 들어, C5287A2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식별정보 출력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 식별정보 또는 상기 표준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도형, 기하학적 무늬, 패턴, 디지털 정보 및 통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비접촉식 입력신호부를 출력한다.
상기 비접촉식 입력신호부는 예를 들어 QR코드 라벨부, 바코드 라벨부,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식별정보 출력부(500)를 이용하여, 작업지시서를 출력하고, 출력이 완료되면 가공표준 설정단계는 종료한다.
상기 작업지시서는, 상기 표준 일련번호, 상기 비접촉식 입력신호부 및 상기 가공표준이 된 상기 하나의 가공상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해당 작업자는 상기 작업지시서 및/또는 가공 식별정보를 가지고 섬유가공기(100)의 입력부(120)로 가서 가공 식별정보를 비접촉식 입력부(121)에 원터치 또는 원클릭 또는 스캔 또는 패스시킴으로써, 양산 가공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작업지시서에 가공표준이 된 가공상세정보를 포함함으로써, 만약 비접촉식 입력부(121)가 고장 또는 오류이거나, 또는 중앙제어부(300)가 고장 또는 오류인 경우에도, 작업자가 보조적으로 작업지시서에 기재된 가공표준 가공상세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텐터기(1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S1200) 이후에, 양산 가공단계(S1300)가 실행된다.
상기 양산 가공단계(S1300)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200) 각각이 상기 중앙제어부(300)와 연계하여 상기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텐터기(110)가 구동하도록 상기 텐터기(110)를 제어하여 상기 직물을 균일한 품질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부(120), 특히 상기 비접촉식 입력부(121)로 (상기 작업지시서의) 가공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상기 가공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가공상세정보 또는 가공표준 가공상세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300)에 요청한다.
이후, 상기 중앙제어부(3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가공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가공상세정보 또는 가공표준 가공상세정보를 호출한 후,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상기 구동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터치스크린인 접촉식 입력부(미도시)에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상기 접촉식 입력부(미도시)에 일 영역을 통하여 상기 가공상세정보대로 상기 텐터기(110)를 구동시키는 것을 승인하는 승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200)는 상기 가공상세정보대로 상기 텐터기(110)를 직접 구동시킨다.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양산 가공단계에서, 상기 중앙제어부 및/또는 상기 구동제어부는, 가공표준 가공상세정보의 가공표준에 따른 입력 설정정보들에 의해 텐터기를 구동할 때, 상기 텐터기의 상태감지센서로부터 실제 실시간 감지된 센싱값들과, 가공표준 가공상세정보의 가공이력정보들(즉, 가공표준에 따른 입력 설정정보들에 의할 때의 목표 센싱값들)이 상이한 경우, 이렇게 상이한 실제 가공상세정보(또는 그 목록)에 대해서는 비정상 가공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 및/또는 상기 구동제어부는 비정상 가공상태로 판단한 실제 가공상세정보(또는 그 목록)에 대해서는 정상 가공상세정보와는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식별력을 가지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나아가 이러한 정보를 상기 표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입력 설정정보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더라도, 스펙은 동일하나 원사의 제조사에 따라 원사에 대한 텐터기의 가공상태(즉, 센싱값)가 상이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추가 실시예에 따를 때, 이와 같은 제조사별로 미묘하게 상이한 원사의 특성으로 인한 텐터기의 가공상태 변화를 관리자가 식별력이 달라진 목록만 찾으면 되므로 이러한 가공불량 등을 손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텐터기마다 또는 텐터기에 포함되는 챔버들 마다 노후화 진행정도가 상이할 수 있고, 이렇게 상이한 노후화 진행속도로 인해 가공표준을 정할 때와는 다른 가공결과물이 생산될 수 있는데, 추가 실시예에 따를 경우 이러한 노후화 진행속도 상이로 인해 가공표준에서 벗어나는 센싱값들을 관리자가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설비 전체 관리 용이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텐터기(110)를 직접 구동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또는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200)가 중앙제어부(300)와 연계하여 텐터기(110)를 제어함으로서, 중앙제어부(300)를 통하여 복수 개의 텐터기(110)의 작동상태를 동시에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어 섬유가공기(100) 전체의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중앙제어부(300)가 각 텐터기(110) 및 각 구동제어부(200)를 총괄 제어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품질의 직물 가공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산 가공단계가 가공 식별정보 입력단계에 기초하여 실제 가공 실행단계가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가공상세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일련의 식별코드와 같은 간단한 정보인 가공 식별정보만 입력하면 구동제어부(200)가 자동으로 또는 반자동으로 상기 가공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가공상세정보로 텐터기(110)를 작동 및/또는 구동시키므로, 작업자의 입력실수 및/또는 작업자의 임의조작(예를 들어, 조기퇴근을 위한 작업자의 불성실 작업실행 등)로 인한 직물 가공물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도 대폭 축소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효율은 향상시키고 작업 불량률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식별정보 입력단계가 바코드, QR코드, RFID 태그, NFC 태그 등과 같은 비접촉식 입력신호 및 비접촉식 입력부(121)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클릭 또는 원터치 방식과 유사하게 텐터기(110)를 구동시킬 수 있어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샘플 가공단계 및/또는 표준용 단말기(400)를 포함함으로써, 작업 숙련도가 매우 높은 베테랑인 관리자가 샘플 가공단계의 가공상세정보들(즉, 입력 설정정보들, 또는 가공이력정보들) 중에서 가장 최적의 직물 가공물이 생산된 가공상세정보(즉, 입력 설정정보들 및/또는 상기 입력 설정정보들에 의한 가공이력정보들)를 선택하여 가공표준으로 설정할 수 있어, 관리자가 샘플 가공단계 이후에 가공표준 설정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공표준 설정단계 및/또는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에서 생성된 가공 식별정보를 양산단계의 가공 식별정보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함으로써, 가장 최적의 직물 가공물이 생산될 수 있는 하나의 가공상세정보정보(즉, 입력 설정정보들, 또는 가공이력정보들)를 관리자 이외의 작업자가 작업하여도 모두 동일하게 텐터기(110)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별, 고객별, 작업별, 거래처별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각각의 가공표준 별로 일률적으로 균일하게 고품질의 직물가공물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 능력 및 경력에 무관하게 어느 작업자라도 가공 식별정보만 입력부(120)에 입력하면 고숙련자인 관리자와 동일한 고품질의 직물 가공물을 균일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100 : 섬유가공기
110 : 텐터기
120 : 입력부
121 : 텐터기의 입력부
123 : 구동제어부의 입력부
130 : 내장형 제어부
200 : 구동제어부
300 : 중앙제어부
400 : 표준용 단말기
500 : 식별정보 출력부
600 : 가공이력정보 수집용 단말기

Claims (15)

  1. 직물을 가공하도록 구동되는 복수 개의 텐터기와;
    제품별 직물 가공에 대한 가공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 각각에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텐터기를 제어하는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와;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와 상호 데이터통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섬유가공기를 제어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텐터기에 대한 입력 설정정보를 복수 회 변화시켜가며 복수 개의 직물 샘플을 가공하는 샘플 가공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 각각이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계하여 상기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텐터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텐터기를 제어하여 상기 직물을 균일한 품질로 가공하는 양산 가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샘플 가공단계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 설정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입력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텐터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텐터기를 제어하는 텐터기 구동단계와;
    상기 입력단계 및 상기 텐터기 구동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가공상세정보를 상기 구동제어부에서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는 가공상세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저장하는 가공상세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가공단계와 상기 양산 가공단계 사이에,
    상기 중앙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를 가공표준으로 결정하는 가공표준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산 가공단계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대표하거나 또는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가공 식별정보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가공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동제어부가 상기 중앙제어부에 요청하여 상기 가공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수신하는 가공 상세정보 호출단계와;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공상세정보에 따라 상기 텐터기가 구동하도록 상기 텐터기를 제어하는 가공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식별정보는 비접촉식 입력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가공 식별정보를 비접촉식 입력신호로 수신하는 비접촉식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입력부는, QR코드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및 NFC 리더기 중 하나이고,
    상기 가공 식별정보는 상기 비접촉식 입력부에 대응되는 QR코드 라벨부, 바코드 라벨부, RFID 태그 및 NFC 태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가공상세정보를 작업자의 입력신호를 통하여 수동으로 입력받는 접촉식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식 입력부는 입력부인 동시에 상기 구동제어부의 텐터기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 내지 상기 가공상세정보 저장단계는, 상기 입력 설정정보를 변화시켜가며 복수 회 반복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상세정보는,
    상기 입력단계의 상기 입력 설정정보, 및
    상기 텐터기 구동단계 중 상기 텐터기에 구비된 복수 개의 텐터기 상태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텐터기의 가공이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는,
    상기 중앙제어부에 상호 데이터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표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중앙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을 표시하는 가공상세정보 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용 단말기는 일정 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 아이디에 의해서만 접근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상세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샘플 가공단계의 입력단계가 실행될 때마다 실행되거나, 또는 상기 샘플 가공단계가 완료된 후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는,
    상기 중앙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상세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를 가공표준으로 결정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표준용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는 가공표준 결정단계와;
    상기 가공표준이 된 하나의 가공상세정보에 대응되는 가공 식별정보를 문자,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하여 표준 일련번호로 생성하는 식별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표준 설정단계는, 상기 식별정보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된 식별정보 출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 식별정보 또는 상기 표준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도형, 기하학적 무늬, 패턴, 디지털 정보 및 통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비접촉식 입력신호부를 출력하는 식별정보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출력단계는, 작업지시서를 출력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작업지시서는, 상기 표준 일련번호, 상기 비접촉식 입력신호부 및 상기 가공표준이 된 상기 하나의 가공상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용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한 텐터기의 구동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구동제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텐터기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88422A 2018-07-30 2018-07-30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KR101935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22A KR101935849B1 (ko) 2018-07-30 2018-07-30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22A KR101935849B1 (ko) 2018-07-30 2018-07-30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849B1 true KR101935849B1 (ko) 2019-04-03

Family

ID=6616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22A KR101935849B1 (ko) 2018-07-30 2018-07-30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8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393A (ja) * 2001-07-12 2003-01-31 Rodel Nitta Co 作業工程管理方法
JP2004185142A (ja) * 2002-11-29 2004-07-02 Toyota Motor Corp 製品の同質生産支援装置および製品の同質生産支援方法
JP2014048897A (ja) * 2012-08-31 2014-03-17 Kobe Steel Ltd 生産管理システム及び生産管理方法
KR20170101338A (ko) * 2016-02-26 2017-09-06 주식회사 이화글로텍 섬유가공기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393A (ja) * 2001-07-12 2003-01-31 Rodel Nitta Co 作業工程管理方法
JP2004185142A (ja) * 2002-11-29 2004-07-02 Toyota Motor Corp 製品の同質生産支援装置および製品の同質生産支援方法
JP2014048897A (ja) * 2012-08-31 2014-03-17 Kobe Steel Ltd 生産管理システム及び生産管理方法
KR20170101338A (ko) * 2016-02-26 2017-09-06 주식회사 이화글로텍 섬유가공기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8163B (zh) 用于切割对准的***和方法
Prasad et al. A framework for lean manufacturing implementation in Indian textile industry
Saleeshya et al. Lean manufacturing practices in textile industries–a case study
Baccini et al. Is technological change really skill‐biased? Evidence from the introduction of ICT on the Italian textile industry (1980–2000)
KR101935849B1 (ko) 섬유가공기의 제어방법
JPWO2020102567A5 (ko)
JP2005336629A (ja) 繊維機械の支援方法及び支援装置
CN112613702A (zh) 一种用于洗衣机维修的派单方法
CN115787158B (zh) 一种智能化倍捻控制***和方法
Djiev et al. Automated Systems Techniques for On-Line Quality and Production Control in the Manufacture of Textiles
WO20232480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one or more textile machines in a plant and editing the operational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textile machines
CN116972945A (zh) 针织袜纱线供料自动称重装置及方法
BARIS et al. Development of A Diagnostic Expert System (FDD-Expert) for Woven Fabric Defects
Messiry et al. Enhancing the Garment Qual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Statistical Techniques
CN118065036A (zh) 一种喷水织机三喷嘴工艺优化改进方法
Baccini et al. Is technological change really skill biased? Evidence from the introduction of ICTs on the textile sector (1980-2000)
CN113469551A (zh) 面料订单的排程方法及装置
CN113296483A (zh) 一种染色机工艺流程全自动执行的方法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