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632B1 -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632B1
KR101935632B1 KR1020160110369A KR20160110369A KR101935632B1 KR 101935632 B1 KR101935632 B1 KR 101935632B1 KR 1020160110369 A KR1020160110369 A KR 1020160110369A KR 20160110369 A KR20160110369 A KR 20160110369A KR 101935632 B1 KR101935632 B1 KR 101935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yarn
staple
fiber staple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351A (ko
Inventor
반균하
배윤석
홍창민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6011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632B1/ko
Priority to JP2017163525A priority patent/JP6927801B2/ja
Priority to US15/687,795 priority patent/US10577729B2/en
Priority to CN201710748513.4A priority patent/CN107794614A/zh
Priority to EP17188246.7A priority patent/EP3293296B1/en
Publication of KR2018002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7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aramid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6Format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00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 D01G1/02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to form staple fibres not delivered in strand form
    • D01G1/025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to form staple fibres not delivered in strand form by thermic means, e.g. lase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1/00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01G15/12Details
    • D01G15/46Doffing or like arrangements for removing fibres from carding elements; Web-dividing apparatus; Condensers
    • D01G15/64Drafting or twisting apparatus associated with doffing arrangements or with web-dividing apparatus
    • D01G15/68Drafting or twisting apparatus associated with doffing arrangements or with web-dividing apparatus with arrangements inserting permanent twist, e.g. 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9/00Comb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6Yarns or threads made from mineral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4Carbides; Nitrides; Silicides; Bor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8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unsaturated organic esters, e.g. polyacrylic esters, polyvinyl acetat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적사는 탄소 성분의 함량이 97 중량% 이상인 탄소 섬유 스테이플;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적사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 제조 시 발생하는 스크랩(scrap)으로부터 제조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며,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SPUN YARN COMPRISING CARBON FIBER STAPL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 제조 시 발생하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CFRP scrap)으로부터 제조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은 금속에 비해 매우 가볍고, 높은 강성 등을 가져 차세대 복합소재로 주목 받고 있으며, 자동차, 항공기 등의 경량화 구조체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자체 가공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주로 자동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제품을 제작한 후 발생되는 잔여물인 CFRP 스크랩(scrap)이 많이 발생하지만, 이를 폐기하거나 적당한 재활용 방법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CFRP 스크랩의 대표적인 재활용 방법으로는 CFRP 스크랩을 잘게 잘라 태우거나 마스터 배치화하여 컴파운딩 제품에 투입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며 효율이 낮아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더욱이, 탄소 성분의 함량이 높은 탄소 섬유는 인장 탄성률(tensile modulus)이 높아 가공 과정에서 단사화되거나, 부서질 수 있으므로,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CFRP 스크랩을 재활용할 경우, 이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기 어렵거나, 탄소 섬유 단사화로 인한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탄소 성분의 함량이 높은 탄소 섬유는 방적사 등을 제조 시, 부스러지므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 등과 함께 저온에서 탄화시켜 탄소 성분 및 인장 탄성률 등을 낮춘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방적사 등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CFRP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의 저하 없이, 경제적으로 CFRP 스크랩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104629호, 2016-001242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 제조 시 발생하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CFRP scrap)으로부터 제조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소 함량이 높은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여, 인장 탄성률, 표면저항 값 등이 우수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의 저하 없이, 경제적으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CFRP scrap)을 재활용할 수 있는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은 방적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적사는 탄소 성분의 함량이 97 중량% 이상인 탄소 섬유 스테이플;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을 900 내지 1,400℃에서 탄화시킨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ASTM D3379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이 100 내지 1,000 GPa이고,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한 표면저항 값이 1 × 10-5 내지 1 × 10-3 Ω·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평균 직경이 5 내지 10 ㎛, 평균 길이가 20 내지 80 m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아크릴계 섬유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평균 직경이 5 내지 30 ㎛, 평균 길이가 10 내지 110 m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적사는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 10 내지 60 중량%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적사는 ASTM D3379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이 30 내지 120 GPa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적사는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한 표면저항 값이 1 × 102 내지 1 × 107 Ω·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방적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을 900 내지 1,400℃에서 탄화시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혼방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탄소 성분의 함량이 97 중량% 이상이고, 스테이플 제조 시, 평균 직경이 5 내지 10 ㎛이고, 평균 길이가 60 내지 120 mm이며, 방적사 제조 후, 평균 직경이 5 내지 10 ㎛이고, 평균 길이가 20 내지 80 m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혼방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카딩, 코밍 및 정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 제조 시 발생하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CFRP scrap)으로부터 제조되는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며,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이 우수한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적사는 탄소 섬유 스테이플;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탄소 섬유 스테이플(staple)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제품 제조 시 발생하는 잔여물인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CFRP scrap) 등으로부터 제조(재활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을 900 내지 1,400℃, 예를 들면 1,000 내지 1,300℃에서 탄화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97 중량% 이상의 탄소 성분을 포함하는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방적사 내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로 측정한 탄소 성분의 함량이 97 중량% 이상, 예를 들면 98 내지 99.9 중량%일 수 있고, 현미경으로 측정한 평균 직경(D50)이 5 내지 10 ㎛, 예를 들면 6 내지 8 ㎛일 수 있으며, 평균 길이(D50)가 20 내지 80 mm, 예를 들면 30 내지 70 mm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의 탄소 성분 함량이 97 중량% 미만일 경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의 인장 탄성율이 저하되거나, 표면저항 값이 상승할 우려가 있고,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의 평균 직경이 5 ㎛ 미만일 경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의 표면저항 값이 상승할 우려가 있고, 10 ㎛를 초과할 경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이 쉽게 부서질 우려가 있으며,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의 평균 길이가 20 mm 미만일 경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의 인장 탄성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80 mm를 초과할 경우, 방적사 제조 시, 카딩 단계에서 작업성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ASTM D3379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이 100 내지 1,000 GPa, 예를 들면 110 내지 990 GPa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의 인장 탄성률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한 표면저항 값이 1 × 10-5 내지 1 × 10-3 Ω·cm, 예를 들면 1.1 × 10-5 내지 0.9 × 10-3 Ω·c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의 전도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방적사 전체 100 중량% 중, 10 내지 60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1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적사의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통상적인 합성 섬유 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섬유 형태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한 성분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아라미드 섬유, 나일론 섬유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계 섬유;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현미경으로 측정한 평균 직경(D50)이 5 내지 30 ㎛, 예를 들면 6 내지 25 ㎛일 수 있으며, 평균 길이(D50)가 10 내지 110 mm, 예를 들면 20 내지 100 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이 우수한 방적사가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방적사 전체 100 중량% 중, 4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50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 55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적사의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방적사는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혼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을 900 내지 1,400℃, 예를 들면 1,000 내지 1,300℃에서 탄화시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혼방하여 방적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화 공정에 의해 제조된 탄소 섬유 스테이플(혼방 전 스테이플)은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로 측정한 탄소 성분의 함량이 97 중량% 이상, 예를 들면 98 내지 99.9 중량%일 수 있고, 현미경으로 측정한 평균 직경(D50)이 5 내지 10 ㎛, 예를 들면 6 내지 8 ㎛일 수 있고, 평균 길이(D50)가 60 내지 120 mm, 예를 들면 65 내지 115 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적 후 탄소 섬유 스테이플이 상기 방적사 내 탄소 성분 함량, 평균 직경 및 평균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방적사의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ASTM D3379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이 100 내지 1,000 GPa, 예를 들면 110 내지 990 GPa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의 인장 탄성률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한 표면저항 값이 1 × 10-5 내지 1 × 10-3 Ω·cm, 예를 들면 1.1 × 10-5 내지 0.9 × 10-3 Ω·c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의 전도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혼방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카딩, 코밍, 및 정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딩(carding) 단계는 각 스테이플 및 섬유를 평행으로 배열하고 빗질하여 굵은 슬라이버(sliver)를 제조하는 단계이고, 상기 코밍(combing) 단계는 상기 슬라이버를 다시 곱게 빗질하는 단계이고, 상기 정방(spinning) 단계는 슬라이버를 당겨 늘리고 100 내지 200 TPM(Twist per Meter)으로 꼬임을 주어 방적사를 완성하고 감는 공정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카딩 단계 전에 탄소 섬유 스테이플이 부서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방적사는 상기 제조방법과 같이, 경제적으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CFRP scrap)을 재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의 기계적 물성, 전도성 등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ASTM D3379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이 30 내지 120 GPa, 예를 들면 50 내지 100 GPa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적사는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한 표면저항 값이 1 × 102 내지 1 × 107 Ω·cm, 예를 들면 1 × 103 내지 1 × 106 Ω·cm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4: 방적사의 제조
탄소 성분의 함량이 50 중량%, 평균 직경(D50)이 6 ㎛, 평균 길이(D50)가 90 mm인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CFRP scrap)을 1,300℃에서 탄화시켜, 탄소 성분의 함량이 98 중량%, 평균 직경(D50)이 6 ㎛, 평균 길이(D50)가 90 mm이고, 인장 탄성률이 250 GPa이며, 표면저항 값이 1 ×10-4 Ω·cm인 탄소 섬유 스테이플(A1)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탄소 섬유 스테이플(A1)과 평균 직경(D50)이 6 ㎛, 평균 길이(D50)가 90 mm인 열가소성 수지 섬유(나일론(PA6) 섬유, 제조사: KP켐텍)(B)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혼합하고, 카딩, 코밍 및 정방 단계를 거쳐 방적하여, 방적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적사에서의 탄소 섬유 스테이플(A1)의 평균 직경(D50)은 6 ㎛이고, 평균 길이(D50)는 50 mm이었다. 제조된 방적사의 인장 탄성률 및 표면 저항 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4: 방적사의 제조
탄소 성분의 함량이 50 중량%, 평균 직경(D50)이 6 ㎛, 평균 길이(D50)가 90 mm인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CFRP scrap)을 250℃에서 탄화시켜, 탄소 성분의 함량이 60 중량%, 평균 직경(D50)이 6 ㎛, 평균 길이(D50)가 90 mm이고, 인장 탄성률이 15 GPa이며, 표면저항 값이 1 ×101 Ω·cm인 탄소 섬유 스테이플(A2)을 제조한 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탄소 섬유 스테이플(A2)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나일론(PA6) 섬유, 제조사: KP켐텍)(B)를 혼합하고, 카딩, 코밍 및 정방 단계를 거쳐 방적하여, 방적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적사에서의 탄소 섬유 스테이플(A1)의 평균 직경(D50)은 6 ㎛이고, 평균 길이(D50)는 50 mm이었다. 제조된 방적사의 인장 탄성률 및 표면 저항 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인장 탄성률(단위: GPa): ASTM D3379에 의거하여, 만능 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로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2) 표면저항 값(단위: Ω·cm): ASTM D257에 의거하여, 표면저항 측정 장치(제조사: 미쯔비시케미칼, 장치명: Hiresta-UP(MCP-HT450))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A1) (중량%) 50 40 30 20 - - - -
(A2) (중량%) - - - - 50 40 30 20
(B) (중량%) 50 60 70 80 50 60 70 80
인장 탄성률 100 80 65 50 7 5 4 3
표면저항 값 1×103 1×104 1×105 1×106 1×109 1×1010 1×1010 1×1011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적사는 97 중량% 이상의 탄소 성분 함량을 갖는 탄소 섬유 스테이플(A1)로부터 제조가 가능하며, 기계적 물성(인장 탄성률) 및 전도성(표면저항 값)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탄소 성분의 함량이 97 중량% 미만인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는 기계적 물성(인장 탄성률) 및 전도성(표면저항 값)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1. ASTM D3379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이 100 내지 1,000 GPa이고, 탄소 성분의 함량이 97 중량% 이상인 탄소 섬유 스테이플; 및
    평균 직경이 5 내지 30 ㎛, 평균 길이가 10 내지 110 mm인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을 900 내지 1,400℃에서 탄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평균 직경이 5 내지 10 ㎛, 평균 길이가 20 내지 8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아크릴계 섬유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적사는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 10 내지 60 중량%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적사는 ASTM D3379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이 30 내지 120 G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적사는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한 표면저항 값이 1 × 102 내지 1 × 107 Ω·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10.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크랩을 900 내지 1,400℃에서 탄화시켜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혼방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ASTM D3379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탄성률이 100 내지 1,000 GPa이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평균 직경이 5 내지 30 ㎛, 평균 길이가 10 내지 1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은 탄소 성분의 함량이 97 중량% 이상이고, 스테이플 제조 시, 평균 직경이 5 내지 10 ㎛이고, 평균 길이가 60 내지 120 mm이며, 방적사 제조 후, 평균 직경이 5 내지 10 ㎛이고, 평균 길이가 20 내지 8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스테이플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혼방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카딩, 코밍 및 정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의 제조방법.
KR1020160110369A 2016-08-29 2016-08-29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5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369A KR101935632B1 (ko) 2016-08-29 2016-08-29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163525A JP6927801B2 (ja) 2016-08-29 2017-08-28 炭素繊維ステープルを含む紡績糸及びその製造方法
US15/687,795 US10577729B2 (en) 2016-08-29 2017-08-28 Spun yarn comprising carbon staple fiber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201710748513.4A CN107794614A (zh) 2016-08-29 2017-08-28 含碳短纤维的纺成纱及其制备方法
EP17188246.7A EP3293296B1 (en) 2016-08-29 2017-08-29 Spun yarn comprising carbon staple fiber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369A KR101935632B1 (ko) 2016-08-29 2016-08-29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51A KR20180024351A (ko) 2018-03-08
KR101935632B1 true KR101935632B1 (ko) 2019-01-04

Family

ID=5977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369A KR101935632B1 (ko) 2016-08-29 2016-08-29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77729B2 (ko)
EP (1) EP3293296B1 (ko)
JP (1) JP6927801B2 (ko)
KR (1) KR101935632B1 (ko)
CN (1) CN1077946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960B1 (ko) * 2016-10-31 2019-06-27 롯데첨단소재(주)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직조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055974B1 (ko) * 2016-12-27 2019-12-13 롯데첨단소재(주)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JPWO2022050281A1 (ko) 2020-09-01 2022-03-10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2032A (ja) * 2009-12-09 2011-06-23 Japan Fine Ceramics Center 炭素繊維の回収装置及び炭素繊維の回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8995A (en) * 1968-10-03 1971-12-21 Carborundum Co Flame resistant cloth
US4014725A (en) * 1975-03-27 1977-03-29 Union Carbide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carbon cloth from pitch based fiber
DE3145267A1 (de) * 1981-11-14 1983-05-19 Hasso von 4000 Düsseldorf Blücher Aktivkohle-stapelfasern enthaltendes mischgarn und daraus hergestelltes gewebe
DE69023482T2 (de) * 1989-11-01 1996-04-04 Dow Chemical Co Lineare kohlenstoffaser mit verbesserter dehnbarkeit.
JPH07243140A (ja) * 1994-03-02 1995-09-19 Toray Ind Inc 複合紡績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83075B1 (en) * 1999-12-08 2003-06-24 Fiber Innovation Technology, Inc. Dissociable multicomponent fibers containing a polyacrylonitrile polymer component
WO2006008785A1 (ja) * 2004-07-15 2006-01-2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ホウ化物微粒子含有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BRPI0621186B1 (pt) * 2006-01-13 2019-04-09 Nbc Inc Material composto anti-incrustante
GB2477531B (en) 2010-02-05 2015-02-18 Univ Leeds Carbon fibre yar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GB2477534A (en) * 2010-02-05 2011-08-10 Ajit Lalvani Composition for the stimulation and regulation of the hair follicle
DE102010001787A1 (de) * 2010-02-10 2011-08-11 Sgl Carbon Se, 65203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aus einem Kohlenstoffwerkstoff unter Verwendung von wiederverwerteten Carbonfasern
DE102010030773A1 (de) * 2010-06-30 2012-01-05 Sgl Carbon Se Garn oder Nähgar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arns oder Nähgarns
KR101280553B1 (ko) * 2012-01-03 2013-07-01 남택욱 레이온 단섬유와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준 불연 방적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EP2783764B1 (de) * 2013-03-28 2016-07-13 ELG Carbon Fibre International GmbH Pyrolyseanlage und Verfahren zur Rückgewinnung von Kohlenstofffasern aus kohlenstofffaserhaltigen Kunststoffen, und rückgewonnene Kohlenstofffasern
KR101439150B1 (ko) * 2013-05-06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연속섬유/열가소성수지섬유 복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078260A (ja) * 2013-10-15 2015-04-23 サンデン商事株式会社 高導電性炭素繊維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方法
KR102113535B1 (ko) * 2014-07-24 2020-05-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탄소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2032A (ja) * 2009-12-09 2011-06-23 Japan Fine Ceramics Center 炭素繊維の回収装置及び炭素繊維の回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35492A (ja) 2018-03-08
EP3293296B1 (en) 2021-11-03
US20180057970A1 (en) 2018-03-01
EP3293296A1 (en) 2018-03-14
JP6927801B2 (ja) 2021-09-01
KR20180024351A (ko) 2018-03-08
US10577729B2 (en) 2020-03-03
CN107794614A (zh)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ao et al. Strength improvement in injection-molded jute-fiber-reinforced polylactide green-composites
EP3533915A1 (en) Woven article for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molded product formed therefrom
KR101935632B1 (ko) 탄소 섬유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747623A (zh) 一种硫酸钙晶须玻纤复合增强尼龙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108209A (zh) 耐翘曲变形的抗静电增强尼龙66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3342804B1 (en) Composi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6163485B2 (ja) 成形用材料、その成形体、および該成形体の製造方法
CN107778652B (zh) 一种云母玻纤增强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63416B1 (ko)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강화된 폴리아미드 하이브리드 조성물
KR101325584B1 (ko) 열가소성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CN110054878B (zh) 一种弹性体短纤维增韧结晶性聚合物产品及其制备方法
KR20180137984A (ko) 섬유강화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57811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CN109943041A (zh) 一种增强再生材料及其应用
KR20160085384A (ko)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6869A (ko) 섬유 강화 복합재용 조성물,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섬유 강화 복합재의 제조방법
CN111704797A (zh) 一种低翘曲、导电且高力学性能的纤维增强尼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63898B1 (ko)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164937A (zh) 一种新能源汽车用玻纤增强高阻燃pc/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82917B1 (ko) 고강성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74216A (zh) 玻璃纤维增强聚苯醚/聚苯硫醚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eldmann Properties of sustainable composites based on bio-based polyamides and recycled carbon fibers under static and cyclic loads
KR102483485B1 (ko)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20140043521A (ko) 폴리유산 함유 고비중 천연섬유
CN103205120A (zh) 高韧性黑色阻燃聚酰胺复合材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