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527B1 - Electric bulletin board for supporter of car structure - Google Patents

Electric bulletin board for supporter of ca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527B1
KR101935527B1 KR1020170053380A KR20170053380A KR101935527B1 KR 101935527 B1 KR101935527 B1 KR 101935527B1 KR 1020170053380 A KR1020170053380 A KR 1020170053380A KR 20170053380 A KR20170053380 A KR 20170053380A KR 101935527 B1 KR101935527 B1 KR 101935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se
electric
lid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9789A (en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이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희 filed Critical 이상희
Priority to KR102017005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527B1/en
Publication of KR2018011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5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78Traffic orientation, street mark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82Emblems, e.g. fixed by pins or scre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 전기작업차량을 정차시켜 전기작업을 이루고자 할 때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작업차량의 정차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일면에 개구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차량의 하중보전과 수평을 잡아주는 차량지지대에 체결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와 덮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폴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1전광판과 대응되는 제2전광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서 전기작업을 이루고자 할 때 전기작업차량의 작업상태를 도로의 보행자나 차도의 차량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전기작업차량의 작업과정에서 작업차량의 이동에 따라 안전 표지판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없이 작업차량에 구비된 전광판을 통하여 작업상태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고휘도 LED가 장착된 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표지판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과 제2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전기작업의 작업상태와, 이에 따른 차량의 진로방향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작업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고, 작업차량의 정차로 인한 교통정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제1전광판, 제2전광판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제1전광판, 제2전광판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구비된 후부반사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의 정차상태를 안정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for a vehicle support, which enables a driver of a vehicle running on a driveway to easily identify a stopping state of a work vehicle when an electric work vehicle is stopped on a roadside or on a roadway, ,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se which is installed in a box shape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through fastening means on a vehicle support for holding the load and level of the vehicle and a lid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connect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case, And a folding device provided in the cas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ase and the lid, wherein the case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ic signboard which is operated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lid comprises a second electric signboa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board Installed and configured.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firstly make it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working state of the electric working vehicle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operated on the road side or on the roadway, by the pedestrian of the road or by the vehicle driver of the roadway.
Second, since the work status can be guided through the electric sign board provided on the work vehicle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safety sig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ork vehicle in the work process of the electric work vehicle, unnecessary work time and work cos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d problem.
Thi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sign capable of providing high visibility to the driver who drives the roadwa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ic signboard with the high-brightness LED.
Fourth,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and the second electric signboard which are operated through the electric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easily guide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work 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running the drive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iving, and also to minimize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stopping the working vehicle.
Fifth, even if any one of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and the second electric signboard is damaged, only the damaged area can be conveniently replaced and stable use can be achieved. Also, wh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signboards are damaged or damaged, It is possible to stably recognize the stopping state of the work vehicl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running on the driveway.

Description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ELECTRIC BULLETIN BOARD FOR SUPPORTER OF CAR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billboard for a vehicle,

본 발명은 도로에서 전기공사 작업을 실시할 시, 전기작업의 실시를 알릴 수있는 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에서 전기작업을 이루는 작업차가 정차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도로를 주행하는 일반차량 운전자에게 전기공사 작업의 실시를 인지하도록 하여 일반차량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which can be used as a sign to inform the execution of an electric work when an electric work is carried out on the roa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for a vehicle supporter capable of assisting safe driving of a general vehicle driver by recognizing the execution of an electric work operation to a general vehicle driver driving the road.

도로 표지판이란,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표지판을 말하는 것이다.A road sign refers to a sign installed on a roadside or a roadway in order to ensure safe and smooth road traffic.

이러한 도로 표지판은,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서 전기, 수도, 가스 작업등을 이루는 경우, 이러한 작업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도로의 노측 도는 차도에 올려놓아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Such road signs are suggested to be able to be fixed on the roadway side of the roadway in order to notify the state of the operation when the roadside, the roadside, or the roadway is made up of electricity, water, and gas works.

예컨대, 문헌(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공사장이나 도로에 설치하여 도로를 걷는 보행자나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전기, 수도, 가스 작업의 작업중임을 인지시켜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작업상태를 인식시킬 수 있는 안전 표지대가 제안된 바 있다.For example, as in Reference (1), conventionally, a driver or a pedestrian who is walking on a road or a driver of a road is installed on a construction site or a road to recognize that work is being performed, There have been proposed safety signs.

이러한 안전 표지대는 일반적으로 널이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특히, 인도를 걷고 있는 보행자에게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작업중임을 쉽게 알릴 수 있으나,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비하여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Such safety signs are generally known to be used in boards, and in particular, pedestrians walking in India can easily be informed that they are working on electricity, water, gas, etc. However,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driving the road, It was difficult to provide visibility.

그리고 위와 같은 안전 표지대는 작업자가 일일이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 안전 표지대의 설치와 수거를 이루어야 함으로써, 작업을 이루는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안전 표지대의 위치를 매번 변경하며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mentioned safety signs must be installed and collected on the road side of the road or the roadsid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safety signs every time the vehicle is moving .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문헌(2)에서와 같이,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도로공사 표지대가 제안된 바 있다.Accordingly, recently, as in the document (2), there has been proposed a road construction marking board which can be mounted on a vehicle and moved.

이러한 도로공사 표지대는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위치의 이동 변경이 용이하고,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문헌(3)에서와 같은 특수 차량에는 손쉽게 적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Such a road construction marking bed is mounted on a vehicle and can be easily moved and changed, thereby providing a high visibility to a driver traveling on the roadway. However, it can be easily applied to a special vehicle such as the document (3)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use.

즉, 전기작업을 이루기 위한 종래의 전기차량과 같은 경우에는 문헌(3)에서와 같이, 이동을 이루는 차량의 상부로 각종 전기설비와 공구장치(크레인, 윈치, 리프트, 단자압착기, 케이블절단기, 천공기) 등이 탑재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문헌(2)와 같은 도로공사 표지대를 차량의 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for carrying out an electric work, various electric equipments and tool devices (such as a crane, a winch, a lift, a terminal presser, a cable cutter, And so 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ad construction marking board as in the document (2)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and used.

이처럼 종래의 각종 표지대 등은 차도를 운행하는 작업차량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사용상의 불편함과 이로 인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의 불필요한 증대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conventional marker stands have a problem that they are difficult to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on a work vehicle that runs on a drivewa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nconvenience of use, work time due to the use, and unnecessary increase of work cost aris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7740호(2006.03.29)Korean Patent No. 10-0567740 (Mar. 29, 20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0454호(2016.12.21)Korean Patent No. 10-1690454 (December 21, 2016)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26730호(2003.09.03)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326730 (2003.09.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서 전기작업을 이루고자 할 때 전기작업차량의 작업상태를 도로의 보행자나 차도의 차량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when the electric work is to be performed on the roadside or on the roadwa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ctric work vehicle can be easily identified by the pedestrian or the vehicle driver of the roadway.

둘째, 전기작업차량의 작업과정에서 작업차량의 이동에 따라 안전 표지판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없이, 작업차량에 구비된 전광판을 통하여 작업상태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Secondly, it is possible to easily guide the work state through the electric sign board provided in the work vehicle without inconvenienc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safety sig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ork vehicle in the work process of the electric work vehicle,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ing problem.

셋째, 종래의 안전 표지판이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후부반사경의 반사되는 빛만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문제를 개선하여, 고휘도 LED가 장착된 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표지판을 확보하고, 이에 따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safety sign is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hat drives the roadway so that only the reflected light of the rear reflector can be identified is improved, and the driver of the highway LED Ensure safety signs that can provide visibility and provide functions accordingly.

넷째,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과 제2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전기작업의 작업상태와, 이에 따른 차량의 진로방향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작업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고, 작업차량의 정차로 인한 교통정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Fourth,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and the second electric signboard which are operated through the electric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easily guide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work 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running the driveway, It prevents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iving and also minimizes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stopping of working vehicles.

다섯째, 제1전광판, 제2전광판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하나를 편리하게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고, 손상되지 않은 제1전광판 또는 제2전광판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의 작업상태를 안정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덮개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후부반사판의 구성을 통하여 제1전광판, 제2전광판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의 정차상태를 안정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한다.Fifth, even if any one of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and the second electric signboard is damaged, the other one can be conveniently replaced and used, and the driver of the vehicle running on the driveway through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or the second electric signboard, Even when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and the second electric signboard are broken or damag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reflecto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the driver of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way can be stopped So that the state can be stably recogniz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특징적인 구성은, 일면에 개구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차량의 하중보전과 수평을 잡아주는 차량지지대에 체결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와 덮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폴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1전광판과 대응되는 제2전광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for a vehicle support, comprising: a case which is box-shaped and has an opening on one surface thereof, and which is installed through fastening means on a vehicle support, And a folding device provided on the cas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ase and the lid, wherein the case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ic signboard which is operated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ic display boa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ic display board.

이때, 상기 폴딩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케이스와 덮개를 연결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덮개를 개폐시키는 리니어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folding device includes a motor provided inside the case, a rotating link connecting the case and the cover, and a linear actuator connected to the rotating link and opening / closing the cover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can do.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수단과 대응되는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 la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d.

또한, 상기 덮개의 외측면에는 후부반사판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ar reflector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그리고 상기 차량지지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고, 돌출이 이루어진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지지대와 케이스 간의 결합시, 상기 지지프레임에 케이스가 밀착되게 위치된 후 상기 결합공 및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vehicle support frame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frame formed to protrude to surround an outer side of the case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formed in the protruded portion, and the case includes at least one engagement hole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hole And a fastening means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nd the fastening hole after the case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at the time of coupling between the vehicle support and the case.

또한, 상기 차량지지대는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결합공 및 체결공을 관통 결합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vehicle support base may further include a lamp, and the fastening means may be constituted by a bolt which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hole.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고정수단과 대응되는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hain, a hook, an adhesive fastener, an adhesive tap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the fastening means may be a chain, a hook, an adhesive fasten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도로의 노측 또는 차도에서 전기작업을 이루고자 할 때 전기작업차량의 작업상태를 도로의 보행자나 차도의 차량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irst, when an electric work is to be carried out on the roadside or the roadway, the working state of the electric working vehicle can be easily identified by the pedestrian of the road or the driver of the roadway.

둘째, 전기작업차량의 작업과정에서 작업차량의 이동에 따라 안전 표지판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없이 작업차량에 구비된 전광판을 통하여 작업상태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work status can be guided through the electric sign board provided on the work vehicle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safety sig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ork vehicle in the work process of the electric work vehicle, unnecessary work time and work cos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d problem.

셋째, 고휘도 LED가 장착된 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표지판을 제공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sign capable of providing high visibility to the driver who drives the roadwa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ic signboard with the high-brightness LED.

넷째,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과 제2전광판의 구성을 통하여 전기작업의 작업상태와, 이에 따른 차량의 진로방향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작업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고, 작업차량의 정차로 인한 교통정체를 최소화할 수 있다.Fourth,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and the second electric signboard which are operated through the electric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easily guide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work 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running the drive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iving, and also to minimize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stopping the working vehicle.

다섯째, 제1전광판, 제2전광판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제1전광판, 제2전광판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구비된 후부반사판의 구성을 통하여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의 정차상태를 안정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Fifth, even if any one of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and the second electric signboard is damaged, only the damaged part can be conveniently replaced and the stable use can be achieved. Also, when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board are damaged or damaged, It is possible to stably recognize the stopping state of the work vehicl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running on the driveway.

도 1은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케이스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케이스와 덮개의 연결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와 덮개에 LED램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와 덮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for a vehicl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display board for a vehicl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se and a lid of the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for a vehicle support are combin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case and a lid of an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for a vehicl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ase and a cover are provided with an LED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ngaged state of an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for a vehicl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case and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n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for a vehicl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본 발명은, 일면에 개구(10a)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차량(1)의 하중보전과 수평을 잡아주는 차량지지대(2)에 체결수단(15)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개구(10a)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20)와,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폴딩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41)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20)는 상기 제1전광판(41)과 대응되는 제2전광판(42)이 설치되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mprising a case (10) provided through a fastening means (15) on a vehicle support base (2) for holding and leveling the load of the vehicle (1) in a box shape having an opening (10a) A folding device 30 provided on the case 1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ase 10 and the lid 20,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ic signboard 41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cover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ic signboard 42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41 .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은 도 1 내지 도 5, 도 8에서와 같이, 전기작업 차량(1)의 지지대(2)에 케이스(1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덮개(2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1 to 5 and 8, a case 10 is connected to a supporting base 2 of an electric working vehicle 1, and a case 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base 2 of the electric working vehicle 1, And a lid (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10)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이는, 도 1 내지 도 5,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작업을 이루기 위한 차량(1)의 지지대(2)에 상기 케이스(10)를 체결수단(15)을 통하여 결합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0)에는 덮개(20)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 후에,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복수개의 LED램프(L)가 구비된 제1전광판(41)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제1전광판(41)과 마주보는 덮개(20)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LED램프(L)가 구비된 제2전광판(42)을 설치 구성한다.This is because, as shown in Figs. 1 to 5 and Fig. 8, the case 10 is coupled to the support 2 of the vehicle 1 through the fastening means 15 to perform the electric work, A first display panel 4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 lamps L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after the lid 2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0 so that the first display panel 41 A plurality of LED lamps L are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over 20 facing each other.

상기 LED램프(L)는 종래의 전광판에 적용되는 LED램프(L)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은 상기 LED램프(L)를 구비한 구성으로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1)에서 전달되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이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배터리(미도시)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LED lamp L uses the same function and configuration as those of the LED lamp L applied to the conventional electric sign board and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board 42 are connected to the LED lamp L , And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1, which performs electrical work, or is operated using a separate battery (not show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구비된 LED램프(L)의 선택적인 발광과 LED램프(L)를 통한 문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board 42,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board 42, which are provided in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board 42,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selective emission of the LED lamp L and characters and patterns through the LED lamp L.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2)이 운행을 이루거나, 정차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와 결합 된 덮개(20)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구비된 LED램프(L)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전기작업 차량(1)이 위치된 도로 또는 차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와, 차량의 운전자에게 작업차량(1)의 운행 위치 또는 정차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vehicle 2 that performs electrical work is operated or the lid 20 coupled with the case 10 is in an opened state in a stopped state, A pedestrian moving on the road or the road on which the electric work vehicle 1 is located by selectively lighting the LED lamp L provided on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board 42, The operating position or the stop position of the working vehicle 1 can be easily recognized.

또한, 상술한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동일한 문자나 문양이 나타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이 각각 다른 문자나 문양을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ic sign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42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ame letter or pattern according to the operator's choice or the first electric sign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42 It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characters or patterns.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은 차량(1)의 방향지시등과 대응되는 방향이 나타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1)이 차도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차량(1)의 이동 방향이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표시될 수 있게 하여 전기작업을 이루기 위한 차량(1)의 이동과정에서도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1)의 운행방향과 정차하고자 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board 42 are configured so that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turn signal lamps of the vehicle 1 are displayed so that the vehicle 1 is driv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board 42 so that the vehicle 1 can be operat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vehicle 1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ndicat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and the position to stop.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의 방향지시등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제어장치(미도시)와 연결하여 상기 차량제어장치(미도시)의 작동에 연동을 이루며 작동되도록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의 LED램프(L)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별도의 제어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에 구비된 LED램프(L)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 is connected to a vehicle control device (not shown) capable of controlling a turn signal lamp or the like of the vehicle 1, (L) of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board 42 so as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So that the lighting of the LED lamps L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sign boards 41 and 42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케이스(10) 및 덮개(20)는 차량(1)의 지지대(2)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환경에 손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10 and the lid 20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of a rigid material that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or environment in a state where the case 10 and the lid 20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2 of the vehicle 1 desirabl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10) 및 덮개(20)를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내측으로 상술한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의 설치가 이루어진 케이스(10)와 덮개(20)를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호 개폐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10 and the lid 20 are shown in the form of a square box. However, the case 10 and the lid 20 are not limi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boards 41 and 41, A case 10 in which the first electric sign board 41 and the second electric sign board 42 are installed and a cover 20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operator's choice The shape of the case 10 and the lid 20 may be variously modified.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한 도 1, 도 2, 도 4,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개폐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폴딩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2, 4 and 5, the folding device 30, which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case 10 and the lid 2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

상기 폴딩장치(30)는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31)와,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를 연결하는 회전링크(32)와, 상기 회전링크(32)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32)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덮개(20)를 개폐시키는 리니어액츄에이터(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folding device 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10 and includes a motor 31 provided inside the case 10, And a linear actuator 33 connected to the rotary link 3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2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32, do.

이러한 상기 폴딩장치(30)를 도시한 도 1, 도2, 도 4, 도 5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터(3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또는 구비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을 통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모터(31)를 사용하며, 상기 리니어액츄에이터(33)는 상기 모터(31)와 회전링크(33)를 연결하고, 상기 모터(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링크(3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여 구성한다.1, 2, 4, and 5, the folding device 30 includes a motor 31 tha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or a battery (not shown) Wherein the linear actuator 33 connects the motor 31 to the rotary link 33 and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31 So that the rotary link 32 can be moved.

위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모터(31)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또는 구비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을 통하여 회전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리니어액츄에이터(33)에 구비된 바(33a)가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연결 방향으로 수평방향 이동을 이루게 되며, 상기 바(33a)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바(33a)와 연결된 회전링크(32)가 케이스(10)와 덮개(20)의 연결 방향으로 수평방향 이동을 이루며, 상기 덮개(20)의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When the motor 31 rotates through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a power source of a battery (not shown), the bar 33a provided in the linear actuator 33 is connected to the case 10 And the rotary link 32 connected to the bar 33a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cover 2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se 10 and the lid 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ar 33a, And is configured to effect rotation of the lid 20.

즉, 상기 바(33a)가 케이스(10)와 연결된 덮개(2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33a)와 연결된 회전링크(32)가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케이스(10)에 연결된 덮개(20)가 열리도록 하는 것이고, 이와 반대로 상기 바(33a)가 덮개(20)와 연결된 케이스(1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33a)와 연결된 회전링크(32)가 접히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0)에 연결된 덮개(20)가 케이스(10)의 일면을 가리도록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ar 33a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lid 20 connected to the case 1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rotating link 32 connected to the bar 33a, When the bar 33a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ase 10 connected to the lid 20, the bar 33a is opened so as to open the lid 20 connected to the case 10, The lid 20 connected to the case 10 is moved as shown in FIG. 3 so as to cover one side of the case 10 by folding the rotary link 32 connected to the case 10.

그리고 상기 폴딩장치(30)는 상기 케이스(10)와 덮개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또는 구비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도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olding device 3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ase 10 and the lid according to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a power source of a battery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고정수단(11)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덮개(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수단(11)과 대응되는 걸림수단(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7, a fixing means 1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se 10, and at one side of the lid 20, an engaging means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ans 11 12).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의 구성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가 결합을 이룬 경우,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을 결합하여 결합이 이루어진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3, when the case 10 and the lid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xing means 11 and the engaging means 12 are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case 10 and the lid 20 from being opened.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가 결합을 이룬 후에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의 구성을 통하여 상호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을 삭제하고, 상술한 폴딩장치(30)의 회전링크(32) 상태에 따라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결합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after the case 10 and the lid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astening means 11 and the fastening means 12 can maintain a firm coupling with each other. However, The fastening means 11 and the fastening means 12 may be omitted and the coupling state of the case 10 and the lid 2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tation link 32 of the folding device 30. [ .

이는, 상기 폴딩장치(30)의 회전링크(32)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신호 없이는 상기 회전링크(32)의 이동을 이루는 모터(31)와 리니어액츄에이터(33)가 작동을 이루지 못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32)의 접힌 상태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지하여, 상기 회전링크(32)와 연결된 케이스(10)와 덮개(20)의 위치를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This is to prevent the motor 31 and the linear actuator 33, which make the movement of the rotary link 32, from operating when the rotary link 32 of the folding device 30 is folded, The folded state of the rotary link 32 can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case 10 and the lid 20 connected to the rotary link 32 can be easi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or an open state.

더하여, 상기에서는 도시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1)이 후크형태를 이루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고정수단(11)은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수단(12)은 상기 고정수단(11)과 대응되는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7, the fastening means 11 may be a chain, a hook, an adhesive fastener, an adhesive tap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m The fastening means 12 can be selected from a chain, a hook, an adhesive fastener, an adhesive tap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m, which corresponds to the fastening means 11.

이처럼, 상기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의 구성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폴딩장치(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개폐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삭제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fixing means 11 and the engaging means 12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operator. As described above, the case 10, In the case where it is desir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20, the lid 20 may be constructed by deleting it.

한편,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개폐를 조절하고,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가 결합 된 상태에서는 견고하게 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20)에는 회전링크(32)와 연결되는 별도의 이동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se 10 and the lid 20 so that the case 10 and the lid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separate moving memb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link 32 may be further provided.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고정수단(11)과 걸림수단(12)의 결합 되는 구성 또는 상기 폴딩장치(30)를 통한 케이스(10)와 덮개(20)의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성 이외에도, 상기 폴딩장치(30)의 회전링크(32) 이동에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10)와 연결된 덮개(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이동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미도시)가 이동되며, 상기 케이스(10)와 연결된 덮개(20)의 개페 과정을 용이하게 이루고,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결합 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xing means 11 and the engaging means 12 are combined or the case 10 and the lid 20 ar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folding device 30, (Not shown) capabl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lid 20 connected to the case 10 by the movement of the rotary link 32 of the case 10, The shifting member (not shown)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nk 32 to facilitate the opening process of the lid 20 connected to the case 10, and when the lid 20 is engaged, It can be maintained.

더하여, 상기 덮개(20)의 외측면에는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후부반사판(22)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 rear reflector 22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20. FIG.

상기 후부반사판(22)은 종래의 후부반사판(22)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rear reflector 22 is the same in function and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rear reflector 22,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후부반사판(22)은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내측에 구비된 제1전광판(41)과 제2전광판(42)이 구비된 LED램프(L)의 고장 또는 전원공급의 문제로 그 기능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도, 도로 또는 차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와 차량의 운전자에게 구비된 후부반사판(22)의 반사되는 빛을 인식시킴으로써,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1)의 위치를 도로 또는 차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와 차량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 있도록 하여 최소한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rear reflector 22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LED lamp L having a first display panel 41 and a second display panel 42 provided inside the case 10 and the lid 20,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reflected light of the rear reflector 22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 of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or the roadway even when the vehicle 1 fails to function due to trouble or power supply,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who moves on the road or the road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hereby ensuring minimum safety.

또한,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차량지지대(2)와 케이스(10)를 결합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케이스(10)가 결합을 이루는 차량지지대(2)에는 케이스(10)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고, 돌출이 이루어진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3a)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3)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결합공(3a)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0b)을 형성하여 구성한다.6, the vehicle support base 2, to which the case 10 is coupled, is provided with an outer side portion 12a of the case 10, And at least one supporting frame 3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3a is formed in the protruded portion so as to surround at least one of the engaging holes 3a And one or more fastening holes 10b are formed.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차량지지대(2)와 케이스(10) 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3)의 일면으로 상기 케이스(10)가 밀착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결합공(3a) 및 체결공(10b)에 체결수단(15)을 결합하여 차량지지대(2)의 일측에 케이스(10)가 밀착되는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6, when the case 10 is to be coupled to the vehicle support 2, the case 10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3, The engaging hole 3a and the engaging hole 10b are coupled with the engaging means 15 so that the case 10 is tightly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vehicle supporter 2. [

위와 같은 결합을 통하여,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1)의 차량지지대(2)와 케이스(10)의 결합을 편리하고 손쉽게 이룰 수 있으며,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전광판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차량지지대(2)와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The coupling between the vehicle support 2 and the case 10 of the vehicle 1 constituting the electric work can be easily and easily achiev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upling, and even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signboard for the vehicle support is damaged, (2) and can be easily replaced.

더하여, 상기 차량지지대(2)는 램프(3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15)은 상기 결합공(3a) 및 체결공(10b)을 관통 결합하는 볼트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ehicle support 2 further includes a lamp 3b, and the fastening means 15 is composed of a bolt that penetrat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3a and the fastening hole 10b.

이는, 상술한 램프(3b)의 점등되는 불빛을 통하여 본 발명인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의 전체적인 시인성을 더욱 높임으로써, 도로 또는 차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에게 전기작업을 이루는 차량(1)의 이동방향과 정차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다.This further increases the overall visibility of the automatic electric signboard for a vehicl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light of the lamp 3b described abov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 that carries out the electric work to the driver and the pedestrian moving on the road or the roadway The direction and the stop position can be more easily recognized.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체결수단(15)을 볼트로 구성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대(2)와 케이스(10)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견고하게 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체결수단(15)은 나사, 못, 체인, 고리 등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astening means 15 is made of bol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fastening means 2 and the case 10 can be easily combined. After the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15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uch as screws, nails, chains, rings, and the lik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2: 차량지지대 3: 지지프레임
3a: 결합공 3b: 램프
10: 케이스 10a: 개구
10b: 체결공 11: 고정수단
15: 체결수단 20: 덮개
21: 걸림수단 22: 후부반사판
30: 폴딩장치 31: 모터
32: 회전링크 33: 리니어액츄에이터
41: 제1전광판 42: 제2전광판
L: LED램프
2: vehicle support 3: support frame
3a: Coupling ball 3b: Lamp
10: Case 10a: opening
10b: fastening hole 11: fastening means
15: fastening means 20: cover
21: engaging means 22: rear reflector
30: Folding device 31: Motor
32: rotating link 33: linear actuator
41: first display panel 42: second display panel
L: LED lamp

Claims (7)

일면에 개구(10a)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차량(1)의 하중보전과 수평을 잡아주는 차량지지대(2)에 체결수단(15)을 통하여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개구(10a)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20)와,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폴딩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되는 제1전광판(41)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20)는 상기 제1전광판(41)과 대응되는 제2전광판(42)이 설치되되,
상기 덮개(20)의 외측면에는 후부반사판(22)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차량지지대(2)는
상기 케이스(10)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고, 돌출이 이루어진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3a)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3)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결합공(3a)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0b)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지지대(2)와 케이스(10) 간의 결합시, 상기 지지프레임(3)에 케이스(10)가 밀착되게 위치된 후 상기 결합공(3a) 및 체결공(10b)에 체결수단(15)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A case 10 mounted on a vehicle support 2 through a fastening means 15 for holding and leveling the load of the vehicle 1 in a box shape having an opening 10a on one surface thereof,
A lid 20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connected to cover the opening 10a of the case 10,
And a folding device (30) provided in the case (1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ase (10) and the lid (20)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ic signboard 41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cover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ic signboard 42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ic signboard 41,
A rear reflector 2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20,
The vehicle support 2
And at least one support frame (3) protrud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case (10)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3a)
The case (10) includes at least one fastening hole (10b)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hole (3a)
The case 10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3 and the fastening means 15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3a and the fastening hole 10b when the vehicle support 2 and the case 10 are coupled.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장치(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31)와,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를 연결하는 회전링크(32)와,
상기 회전링크(32)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31)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덮개(20)를 개폐시키는 리니어액츄에이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ing device (30)
A motor 31 provided inside the case 10,
A rotating link 32 connecting the case 10 and the lid 20,
And a linear actuator (33) connected to the rotation link (3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2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고정수단(11)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수단(11)과 대응되는 걸림수단(2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one side of the case (10) is provided a fixing means (11)
Characterized in that a latching means (21)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ans (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d (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지지대(2)는 램프(3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15)은
상기 결합공(3a) 및 체결공(10b)을 관통 결합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support 2 further includes a lamp 3b,
The fastening means (15)
And a bolt that penetrates and connects the coupling hole (3a) and the coupling hole (10b).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1)은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걸림수단(21)은 상기 고정수단(11)과 대응되는 체인, 후크, 접착패스너, 접착테이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The method of claim 3,
The fastening means 11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hain, a hook, an adhesive fastener, an adhesive tap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Wherein the engaging means (21) is selected from a chain, a hook, an adhesive fastener, an adhesive tap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m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ans (11).
KR1020170053380A 2017-04-26 2017-04-26 Electric bulletin board for supporter of car structure KR1019355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80A KR101935527B1 (en) 2017-04-26 2017-04-26 Electric bulletin board for supporter of ca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380A KR101935527B1 (en) 2017-04-26 2017-04-26 Electric bulletin board for supporter of car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89A KR20180119789A (en) 2018-11-05
KR101935527B1 true KR101935527B1 (en) 2019-01-04

Family

ID=6432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380A KR101935527B1 (en) 2017-04-26 2017-04-26 Electric bulletin board for supporter of ca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52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04B1 (en) * 2019-05-29 2019-10-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Garbage collecting vehicle having satety footboard
KR20230094029A (en) * 2021-12-20 2023-06-27 한중희 Rotary guide boar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65B1 (en) * 2019-12-16 2020-07-21 박동석 Sign board mounted on roof of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272634B1 (en) * 2021-01-11 2021-07-06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Expandable display board for emergency vehicles
KR102605422B1 (en) * 2023-05-22 2023-11-23 세화자동차주식회사 Variable signboard device mounted on road work vehic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740B1 (en) * 2003-07-18 2006-04-04 (주)현대공업 A safety indicator
US20060265922A1 (en) 2005-05-24 2006-11-30 Shaffer John R Jr Mobile advertising frame
US7535343B1 (en) 2007-02-09 2009-05-19 Pinckney Michael M Holding device attachable to a vehicle
WO2017005946A1 (en) 2015-07-09 2017-01-12 Olaciregui Zarpe Ibán Safety signboard incorporated into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740B1 (en) * 2003-07-18 2006-04-04 (주)현대공업 A safety indicator
US20060265922A1 (en) 2005-05-24 2006-11-30 Shaffer John R Jr Mobile advertising frame
US7535343B1 (en) 2007-02-09 2009-05-19 Pinckney Michael M Holding device attachable to a vehicle
WO2017005946A1 (en) 2015-07-09 2017-01-12 Olaciregui Zarpe Ibán Safety signboard incorporated into vehic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04B1 (en) * 2019-05-29 2019-10-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Garbage collecting vehicle having satety footboard
KR20230094029A (en) * 2021-12-20 2023-06-27 한중희 Rotary guide board
KR102641307B1 (en) * 2021-12-20 2024-02-27 한중희 Rotary guide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89A (en)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527B1 (en) Electric bulletin board for supporter of car structure
US3886519A (en) Portable traffic control device
US6496123B2 (en) Portable traffic light
KR101219104B1 (en) Street light apparatus for pedestrian crossing
KR101449662B1 (en) Car Emergency Condition Mark System
JP2004011183A (en) Traffic instruction robot
KR102270160B1 (en) Foldable Light Display Panel
KR200458467Y1 (en) An Hauling-Type Signboard Trailer Being able to Rotate The Signboard
KR101388725B1 (en) Arrow signs for cars
JP2009052242A (en) Automatically returning road sign
KR102110959B1 (en) Direction indicator for road construction
KR20140031727A (en) The rear-end collision preventing apparatus
KR200379180Y1 (en) A signpost
KR200338433Y1 (en) Road signs
KR101823654B1 (en) Foldable emergency indicator light for vehicle
KR200360002Y1 (en) A traffic sign with lights and LED
KR100599243B1 (en) Car stop display device for guard-rail
CN215814555U (en) Early warning robot
KR101728493B1 (en) Road indicator board discern device for motors
JPH0612016Y2 (en) Crossing sign
CN1175144C (en) Remote control, anti-escape vehicle intercepting device
KR20190100574A (en) Rubber cone for indication
KR20030066538A (en) An information sign for a road
KR19980060889U (en) Hazard warning device
KR200447439Y1 (en) Traffic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