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447B1 - 새우용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새우용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447B1
KR101934447B1 KR1020180017814A KR20180017814A KR101934447B1 KR 101934447 B1 KR101934447 B1 KR 101934447B1 KR 1020180017814 A KR1020180017814 A KR 1020180017814A KR 20180017814 A KR20180017814 A KR 20180017814A KR 101934447 B1 KR101934447 B1 KR 101934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mp
artificial fish
surface structural
artificial
habit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철
홍종현
정순일
김성도
Original Assignee
동양종합건설주식회사
김석철
홍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종합건설주식회사, 김석철, 홍종현 filed Critical 동양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우의 서식장겸 산란장 역할을 하는 새우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두운 동굴과 계곡을 좋아하는 새우의 서식 특성에 맞추어 식생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우가 좋아하는 서식지 환경에 맞추어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는 새우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새우용 인공어초{artificial fish reef for lobster}
본 발명은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우의 서식장겸 산란장 역할을 하는 새우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어두운 동굴과 계곡을 좋아하는 새우의 서식 특성에 맞추어 식생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우가 좋아하는 서식지 환경에 맞추어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는 새우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어초는 해저의 융기부로서, 어류가 모여 좋은 어장이 되는 장소이다.
이러한 어초는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렇게 자연적으로 형성된 어초는 위치에 제한이 따르고, 최근에는 양식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양식업의 경우에는 양식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어초를 설치하여 양식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어초를 인공어초라 한다.
인공어초는 해저에 인공적 시설물을 투입하여 각종 저서생물이나 유영동물이 많이 모이게 한 구조물로, 블록·돌 및 낡은 배 등을 해저에 투입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장이 되게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다.
우리 나라의 인공어초에 대한 시험사업은 수산물의 증산을 목적으로 1971년에 처음 실시되었다. 그 뒤에 인공어초 시험사업은 몇 년간 실시되었고, 그 성적이 좋았기 때문에 본격적인 사업으로 전환하여 매년 그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인공어초의 시설은 국가와 지방예산으로 설치되며 시설장소의 수심은 10∼40m이다. 인공어초의 종류는 기능에 따라 나누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재에 따라 나누고 있다. 인공어초의 자재는 시멘트 구조물 외에 활석이나 흙을 채운 가마니, 나무·토관·폐선 등 여러 가지를 사용한다. 주로 사용되는 것은 시멘트 구조물이고, 그 모양에 따라 정육면체형·원통형·반구형·조립형 등이 있다.
정육면체 어초는 두께가 25㎝ 되는 각모양의 기둥으로 만들어진 속이 빈 정육면체이고, 하나의 크기는 가로·세로 및 높이가 각각 2m이다. 정육면체 어초의 크기는 처음에 한변의 길이가 1m 또는 1.5m 되는 작은 것이었으나 1983년부터 한 변의 길이가 2m되는 큰 것으로 바뀌었고 여러 가지 모양의 어초 중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원통형 어초는 원통의 지름과 높이가 각각 1.8m 되는 속이 빈 원통꼴이다. 이것은 1983년부터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모양의 어초에 비하여 시설 후 해저에서 이동이 심한 편이다. 반구형 어초는 지름이 2m이고, 높이가 1.3m 되는 속이 빈 구형의 반쪽과 같은 모양으로 1983년부터 사용하고 있으나, 설치한 뒤 저질(底質) 중에 묻히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조립형 어초는 저변이 길이가 각각 6.5m와 5.0m이고, 높이가 5.7m 되는 점보형이다. 이것은 1984년부터 설치하고 있고, 대형이기 때문에 다른 모양의 어초에 비하여 이동하거나 저질 중에 묻힐 염려가 적다.
이와 같은 인공어초의 시설 목적은 새로운 양성장을 만든다는 것과 어장을 조성하는 데 있다. 어초는 특정 어업의 조업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즉, 해저에서 돌출된 어초가 연안 어장에서 부정어업을 하는 소형 무허가 기선저인망이나 트롤어업의 조업(그물을 끄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인공어초 시설 후의 효과는 1971년부터 3개년간 시설하였던 곳은 인공어초를 시설하지 않은 곳에 비하여 어획효과가 185%나 된다. 따라서 양성장으로 활용하는 경우의 활용가치 외에도 어장으로서의 그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공어초는 양식되는 어종에 따라 다양한 것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4가 있다.
한편, 우리나라 인근 연안에서 서식하는 새우는 90여종으로 알려져 있다. 동해에는 도화새우, 가시배새우, 남해와 서해에는 보리새우, 꽂새우, 대하 등이 서식하고 있다.
제주도 일대에는 닭새우와 펄닭새우가 서식하고 있으며, 특징으로는 몸이 크고 맛이 좋으나 생산량이 매우 적은 실정이다.
닭새우는 태평양 연안의 깊지 않은 바다 연안 암초지대에서 서식하고, 제주도 연안에 서식하는 닭새우는 주변에 암초가 있는 모래 사질에서 서식하고 있다.
또한 문어의 서식처는 암초지대이고, 닭새우의 서식처는 암초지대 인근의 모래 사질지역이므로 문어가 닭새우의 최대 천적이다.
제주도 연안에 서식하는 제주 닭새우의 서식처는 해저바닥의 동굴이나 계곡이고, 먹이는 잡식성으로 저서생물을 섭식한다.
한편, 제주도의 경우 제주 닭새우는 무분별한 남획 특히, 스쿠버다이버에 의한 불법 채취와, 항만 개발, 연안매립, 발전소 온배수와 같은 건설산업에 의한 서식지 파괴 등이 원인이 되어 전멸 상태에 이르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8296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356호 일본 공개특허 제24090639호 일본 공개특허 제2600000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새우의 서식과 산란장 역할을 하는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우가 주로 서식하는 모래 사질지역에 설치하여 새우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어초 하단에 기둥을 설치하여 모래 사질지역에 인공어초가 매몰되지 않게 하였으며, 주위환경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기둥을 설치하여 사질 지반 아래에 있는 단단한 암반지반까지 기둥이 고정될 수 있게 한 새우용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 중심을 하단에 형성하여 태풍 발생에 의한 강한 유속에 의해서도 이동, 전도, 침하가 되지 않게 한 새우용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두운 장소를 좋아하는 새우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면구조부재를 설치하여 면구조부재 사이가 동굴 역할하게 하고, 새끼를 보호할 수 있게한 새우용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새우용 인공어초는 새우의 산란 및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용 인공어초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면구조부재들 사이에 새끼 또는 성체 서식공간을 형성하고, 최하단의 면구조부재의 하부에는 침하방지를 위해 다수의 기둥을 설치하여 구성됨에 따라, 내부의 서식공간이 천연동굴 역할을 하여 새끼 새우를 보호하고, 성체 새우가 활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구조부재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지평선과의 사이각이 0 내지 60도이고, 두께는 10cm 내지 4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식공간 중 어느 하나에는 망태 또는 관 형상의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재를 채운 산란망을 더 설치하여 새우의 산란장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면구조부재들 중 최상단에 설치되는 면구조부재의 상면에는 요홈을 형성하여 해조류 포자 부착면적을 넓히거나, 해조류가 부착된 로프를 설치 할 수 있다.
상기 기둥은 인공어초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구조부재들 중 최상단에 설치되는 면구조부재는 길이방향의 양단이 아래쪽으로 굽혀 하부의 면구조부재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가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구조부재들은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부터 상부에 설치된 것을 향하면서 지평선과 이루는 각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새우의 산란장과 서식장소를 제공함에 따라 새우의 개체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복과 해삼과 같은 해양저서 생물의 서석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어초의 넓은 상부 표면에 다양한 홈과 요철을 조성하여 해조류 부착에 용이하게 함에 따라 해중림 조성 어초로도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태 관광형 인공어초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새우의 서식처 기능과 동시에, 해삼, 전복의 서식처 기능을 하고, 상부표면이 넓고 요철이 많아서 해조류의 부착이 용이하게 함에 따라 해중림초로서의 역할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과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우용 인공어초의 일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새우용 인공어초의 다른 일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새우용 인공어초의 또 다른 일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새우용 인공어초의 일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새우용 인공어초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새우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새우용 인공어초는 도 1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우의 산란 및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용 인공어초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면구조부재(10)들 사이에 새끼 또는 성체 서식공간(10s, 10b)을 형성하고, 최하단의 면구조부재의 하부에는 침하방지를 위해 다수의 기둥(20)을 설치하여 구성됨에 따라, 내부의 서식공간이 천연동굴 역할을 하여 새끼 새우를 보호하고, 성체 새우가 활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면구조부재(1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거나 양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기울어진 경사판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2개 이상이 적당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두 면구조부재들 사이에 식생공간(10s, 1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생공간(10s, 10b)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만 형성되거나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식생공간은 면구조부재의 적층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식생공간(10s, 10b)들 중 식생공간(10s)은 새끼 새우가 자라는 공간이고, 식생공간(10b)는 성체 새우가 자라는 공간이다.
물론, 상기 식생공간(10s, 10b)들은 새우의 새끼나 성체가 자라는 공간의 역할은 물론, 이들을 문어 등 천적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면구조부재를 적층하여 만들어진 식생공간(10s, 10b)은 동굴과 같은 역할을 하여 내부가 어두운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새우가 좋아하는 환경이 된다.
상기 기둥(20)은 면구조부재들 중 최하단의 면구조부재가 모래나 뻘에 묻히는 것을 방지하고, 인공어초를 지중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둥(20)은 인공어초가 설치되는 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높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래나 뻘의 깊이가 깊을 경우에는 기둥의 높이를 크게 형성하여 최하단의 면구조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공어초는 철근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중량이 많이 나감에 따라 큰 파도에 의해 심한 유속에도 밀리거나 전도되지 않게 하였다.
또한 상기 면구조부재(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 단부를 향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단과 지평선과의 사이각은 0 내지 60도이고, 두께는 10 내지 4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구조부재들은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부터 상부에 설치된 것을 향하면서 지평선과 이루는 각이 커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구조부재의 두께를 10cm 이하로 제작할 경우 인공어초가 가벼워 파도에 부상하여 위치 고정이 어렵고, 40cm 이상일 경우에는 지나치게 무거워 운반 및 설치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재비가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면구조부재(10)의 기울기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즉, 양단이 오히려 들려 올려질 경우에는 위에서 비치는 햇빛이 식생공간으로 유입되어 식생공간이 밝아 새우가 꺼리게 되고, 60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양단이 지나치게 아래로 처져 모레에 묻히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식공간(10s, 10b) 중 어느 하나에는 망태 또는 관 형상의 하우징(31)의 내부에 충진재(32)를 채운 산란망(30)을 더 설치하여 새우의 산란장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산란망(30)을 구성하는 하우징(31)은 철, 섬유, 로프를 사용한 망태 또는 PVC 관으로 이루어지고, 충진재(32)는 소라껍질, 패각, 조개껍질, 전복껍질, 나무토막, 석재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면구조부재(10)들 중 최상단에 설치되는 면구조부재의 상면에는 요홈(12)을 형성하여 해조류 포자 부착면적을 넓히거나, 해조류가 부착된 로프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단의 면구조부재의 상면에 거북이 등과 같이 요홈(12)을 형성하되, 요홈은 격자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이 홈에는 해조류 로프가 부착되거나 해조류가 쉽게 부착할 수 있는 요철면의 역할을 한다.
요홈 사이는 소라, 전복, 해삼의 이동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면구조부재들 중 최상단에 설치되는 면구조부재는 길이방향의 양단이 아래쪽으로 굽혀 하부의 면구조부재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가림부(11)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새우는 어두운 장소를 좋아하고, 상기 식생공간이 면구조부재들에 의해 가려져 어둡지만 보다 조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절곡가림부(11)를 형성하여 면구조부재의 양단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어초는 고하중이므로 운반이나 설치할 때 견인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견인장비로 견인 할 수 있도록 상부에 하나 이상의 견인고리(13)를 설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공어초는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예로는, 도면상의 인공어초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90o 세워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만들어질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콘크리트가 치밀하게 채워지기 위해서 유동성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생이 끝난 후에는 도 1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위치로 돌여 보관하거나 설치한다.
즉, 강재, 목재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제작하고, 거푸집내에 철근을 배근하며, 콘크리트 타설(보통콘크리트, 유동성 콘크리트, 또는 알칼리 중성의 특수콘크리트 사용)한 후, 양생 및 탈형함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어초는 인공동굴과 같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쿠버다이버가 남획을 하지 못하게하는 기능도하며, 이를 위해 전면과 후면의 입구를 막고, 부분적으로 홈과 틈을 조성하여, 새우 성체가 드나들 수 있는 공간만 열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면구조부재 10s: 새끼서식공간 10b: 성체서식공간
11: 절곡가림부 12: 요홈 13: 견인고리
20: 기둥
30: 산란망
31: 하우징 32: 충진재
40: 지지턱

Claims (7)

  1. 새우의 산란 및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용 인공어초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면구조부재(10)들 사이에 새끼 또는 성체 서식공간(10s, 10b)을 형성하고, 최하단의 면구조부재의 하부에는 침하방지를 위해 다수의 기둥(20)을 설치하여 구성됨에 따라, 내부의 서식공간이 천연동굴 역할을 하여 새끼 새우를 보호하고, 성체 새우가 활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면구조부재(10)의 양단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지평선과의 사이각이 0 내지 60도이고, 두께는 10cm 내지 40cm이며,
    상기 면구조부재들 중 최상단에 설치되는 면구조부재는 길이방향의 양단이 아래쪽으로 굽혀 하부의 면구조부재의 단부를 감싸도록 절곡가림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서식공간(10s, 10b) 중 어느 하나에는 망태 또는 관 형상의 하우징(31)의 내부에 충진재(32)를 채운 산란망(30)을 더 설치하여 새우의 산란장 역할을 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용 인공어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구조부재(10)들 중 최상단에 설치되는 면구조부재의 상면에는 요홈(12)을 형성하여 해조류 포자 부착면적을 넓히거나, 해조류 부착될 수 있는 로프를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용 인공어초.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17814A 2018-02-13 2018-02-13 새우용 인공어초 KR101934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814A KR101934447B1 (ko) 2018-02-13 2018-02-13 새우용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814A KR101934447B1 (ko) 2018-02-13 2018-02-13 새우용 인공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447B1 true KR101934447B1 (ko) 2019-01-02

Family

ID=6502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814A KR101934447B1 (ko) 2018-02-13 2018-02-13 새우용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4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6740A (zh) * 2021-01-08 2021-04-09 钟小龙 一种澳洲淡水龙虾多层栖息隐蔽装置
CN115443934A (zh) * 2022-10-17 2022-12-09 广西壮族自治区水产技术推广站 一种提高淡水虾虾苗培育成活率的遮蔽网及其使用方法
KR102597245B1 (ko) * 2023-07-24 2023-11-02 김은경 큰징거미새우 치하 중간 육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063Y1 (ko) * 2000-04-01 2000-09-01 전찬길 종묘부착형 인공해조초
JP2003169564A (ja) * 2001-12-03 2003-06-17 Nihon Kogyo Co Ltd アワビ漁礁
JP2012217390A (ja) * 2011-04-08 2012-11-12 Kyodo Kumiai Marine Techno Yamaguchi 稚魚保護育成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063Y1 (ko) * 2000-04-01 2000-09-01 전찬길 종묘부착형 인공해조초
JP2003169564A (ja) * 2001-12-03 2003-06-17 Nihon Kogyo Co Ltd アワビ漁礁
JP2012217390A (ja) * 2011-04-08 2012-11-12 Kyodo Kumiai Marine Techno Yamaguchi 稚魚保護育成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6740A (zh) * 2021-01-08 2021-04-09 钟小龙 一种澳洲淡水龙虾多层栖息隐蔽装置
CN115443934A (zh) * 2022-10-17 2022-12-09 广西壮族自治区水产技术推广站 一种提高淡水虾虾苗培育成活率的遮蔽网及其使用方法
KR102597245B1 (ko) * 2023-07-24 2023-11-02 김은경 큰징거미새우 치하 중간 육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1294897B1 (ko) 해조류 부착용 요철 홈을 갖는 사다리꼴 요철형 인공어초 및 제작방법
KR101784306B1 (ko) 산란장소를 제공하는 인공어초
KR101934447B1 (ko) 새우용 인공어초
EP2925597B1 (en) A shark barrier
KR100762820B1 (ko)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JP5746545B2 (ja) 稚魚保護育成礁
KR101289093B1 (ko) 돔형 해삼 증식초
KR200473631Y1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200477010Y1 (ko) 해삼 등의 어패류 및 해조류용 인공어초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KR101196669B1 (ko)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다기능 인공어초
KR102039903B1 (ko) 인공 수중암초
Wheeler et al. The Silver Gull: Larus novaehollandiae Stephens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JP4981002B2 (ja) 人工魚礁
KR102068220B1 (ko) 해삼 은신처용 인공어초
KR101748240B1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KR101272219B1 (ko)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KR101351792B1 (ko) 복합형 인공 어초
KR101686856B1 (ko) 복합형어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101767465B1 (ko) 부력식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