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838B1 -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 Google Patents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838B1
KR101933838B1 KR1020180122869A KR20180122869A KR101933838B1 KR 101933838 B1 KR101933838 B1 KR 101933838B1 KR 1020180122869 A KR1020180122869 A KR 1020180122869A KR 20180122869 A KR20180122869 A KR 20180122869A KR 101933838 B1 KR101933838 B1 KR 101933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rame assembly
table frame
horizonta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8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이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복 filed Critical 이정복
Priority to KR1020180122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8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8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a load support structure and enhancing fastening coupling strength. In the table frame assembly, a coupling part includes: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embers, respectively, configured by linear members, and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uded angle therebetween; a leg member configured by a linear tube member and having a horizontal end; an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end and fixed to the leg member by a pin member, having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lade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from both ends of a central surface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having a hole for installing the pin member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lades, and having a fastening coupling hole on the central surface; and a main bracket having both side wall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from both ends of a center support part of the main bracket toward the outside, and having on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members fixedly coupled to the both side walls, respectively.

Description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을 지지하여 테이블을 형성하며 복수의 프레임 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와, 다리부재의 수평단부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개선된 지지성능을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frame assembly configured by supporting a top plat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form a table and us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by mutually coupling a plurality of frame members, Member and a horizontal end portion of a leg member to each other to form the engagement portion.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책상 및 사무용 가구, 식탁용 가구, 작업대, 전시대 등으로 널리 쓰이는 구조물로서, 물건을 두기 위한 상판과, 그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In general, a table is widely used as a desk and office furniture, a table furniture, a work table, a display stand, and the like. The table may be composed of a top plate for holding articles and a frame assembly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이때, 프레임 어셈블리는 길이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결합부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결합부의 견고한 결합이 전체 테이블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 어셈블리의 길이부재로 목재가 채용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지지력과 내구력 향상을 위해 금속재가 많이 사용되며, 상판으로는 목재, 합성수지, 유리 등이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frame assembly uses a coupling portion formed by mutually coupling the longitudinal members. The rigid coupling of the coupling por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ability of the entire table. Timber may be employed as a length member of such a frame assembly. Recently, metal materials are used for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and durability, and wood, synthetic resin, and glass are used as the top plate.

일반적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판을 지지하는 수평부재들의 하부에서 단순히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다리부재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하부공간이 다리부재에 의해서 곧바로 제한되어 상기 다리부재가 사용자의 하체와 간섭을 일으키거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하부공간 일부를 수납공간을 이용하고자 할 때 불편을 유발하는 등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 general table fram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leg member extending simply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members supporting the top plate is provided. In such a structure, the lower space of the table frame assembly is immediately restricted by the leg members, There arises a problem that space utilization is reduced due to inconvenience when the user tries to use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space portion of the table frame assembly by causing interference with the lower body of the user.

또한, 기존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는 테이블 상판의 하부에서 상판의 경계 부분을 따라 혹은 경계 부분에 인접되게 수평부재들이 위치하는 구조여서 의자의 팔걸이가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수평부재들과 간섭을 일으키는 높이를 갖는 경우에 의자를 테이블 어셈블리의 하부 공간으로 진입시킬 수 없어서 공간활용 또는 공간정리에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able frame assembly, since the horizontal members are positioned along the boundary portion of the upper plat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top, or adjacent to the boundary portion, the armrest of the chair has a height that causes interference with the horizontal members of the table frame assembly The chair can not enter the lower space of the table assembly, which is inconvenient for space utilization or space arrangement.

또한, 전기배선용 멀티탭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재를 테이블 상판의 선단 하부 위치에 부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존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는 상판을 지지하는 수평부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판의 선단부측에 수납부재를 구비하기 위한 연장된 면적을 전체적으로 일부러 추가하거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수평부재를 중앙 내측으로 물러난 위치에 재배치하거나 해당 수평부재를 삭제 또는 변형하는 방식 등을 채용할 수밖에 없는데, 재료비 등의 제조비용이 상승하거나 상판의 지지 구조가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add a storage member for storing electric wiring multi-tabs or the like to the lower end of the table top plat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horizontal member supporting the top plate in the existing table frame assembly, Or a method of rearranging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table frame assembly to a position retreated to the center inward or removing or deforming the horizontal member. However, the manufacturing costs of material costs and the like are increased 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op plate becomes weak.

따라서 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하부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또한,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도 향상된 구조적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세부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lower space while stably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technique capable of providing an improved structural stiffness against external forces a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requir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3080호(2016.11.22)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133080 (Nov.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넓은 하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손쉬운 체결 고정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ble frame assembly capable of securing a wide lower space while stably supporting an upper plate and securing a strong coupling performance by easy fastening and fixing.

또한, 결합부를 구성하는 다리부재가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세부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detailed technical means by which the leg members constituting the engaging portion can maintain a firm coupling relationship.

또한,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도 향상된 구조적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n additional technical means that can provide improved structural rigidity for lateral forces acting on the machine.

또한, 결합부의 구조적인 강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을 부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며, 외관성능 등을 더욱 개선하고자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ditional technical means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work for forming a coupling portion when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upling portion is added.

더불어, 상판과의 손쉬운 체결구조를 제공하여 조립작업을 단순화하고 전체 구조물의 결합성능을 향상시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구조 성능을 더욱 개선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asy fastening structure with a top plate is provided to simplify the assembling work and improve the joint performance of the entire structur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table frame assemb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부는, 선형 부재로 각각 형성되며, 상판을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배치된, 제1 수평부재(10)와 제2 수평부재(20); 및 선형 관부재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상측 단부에 소정 구간의 수평단부(30h)가 구비된 다리부재(30); 상기 다리부재(30)의 수평단부(30h)에 삽입되어 핀부재(60)에 의하여 다리부재(30)에 고정되며, 중앙면부(41)의 양단부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핀부재(6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44, 4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앙면부(41)에 체결 결합공(47)이 구비된, 삽입 보강브라켓(40); 내측에 위치한 중앙지지부(51)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양측벽부(52, 5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배치되어 서로 근접한 제1 수평부재(10)와 제2 수평부재(20)의 일단부가 상기 양측벽부(52, 53)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양측벽부(52, 53) 사이에 상기 다리부재(30)의 수평단부(30)가 개재된 상태에서 체결부재(70)가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중앙지지부(51)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보강브라켓(40)의 중앙면부(41)에 체결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의 조립이 완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able frame assembly comprising: a pair of first and second horizontal and vertical members arranged horizontally to support an upper plate, A member (10) and a second horizontal member (20); And a leg member (30) formed of a linear pipe member and having a horizontal end portion (30h) of a predetermined section at an upper end thereof, the leg member (30) being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end portion 30h of the leg member 30 and is fixed to the leg member 30 by the pin member 60 and extends parallel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central face portion 41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s 43 to have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first reinforcing wing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43 are provided at positions opposed to the first reinforcing wing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43, An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provided with holes 44 and 45 for mounting the pin member 60 and having a fastening hole 47 in the central face portion 41; And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holding portion 51 located on the inner side, And a main bracket 50 having one end of the one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fixed to the two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The fastening member 70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support portion 51 of the main bracket 50 in a state where the horizontal end portion 30 of the leg member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And is fastened to the central surface portion 41 of the bracket 40, thereby completing the assembling of the engag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상기 다리부재(30)에 고정하는 상기 핀부재(60)는, 몸체(61)의 일단에 머리부(62)가 구비되고 상기 머리부(62)와 인접되게 몸체(61)의 표면보다 돌출된 외경을 갖는 돌출나사산(63)이 구비되며, 몸체(61)의 타단 구간에는 몸체(61)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걸림단부(65)가 형성된 구조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 상기 구멍(44, 45)은,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에 상기 핀부재(60)의 몸체(61) 외경보다 크며 상기 돌출나사산(63)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핀 체결공(44)과, 상기 제2 보강 날개부(43)에 상기 핀부재(60)의 몸체(61) 외경보다 작으며 걸림단부(65)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핀 관통공(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in member 60 for fixing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to the leg member 30 in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62 And a protruding thread 63 having an outer diameter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6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head portion 62.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61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61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gaging end portion 65 of 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are formed, 44 and 45 have a pin fixing hole 44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61 of the pin member 60 an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jecting thread 63 in the first reinforcing wing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is provided with a pin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61 of the pin member 60 an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gaging end portion 65, And a through hole (45).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상기 결합부는, 보강체결부재(80)에 의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양측벽부(52, 53)를 상호 체결함으로써 더욱 보강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by joining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of the main bracket 50 by the reinforcing and fastening member 80 to each other,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구출입공(28)이 구비되어 상기 보강체결부재(80)는 상기 공구출입공(28)을 통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양측벽부(52, 53)를 상호 체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tool access hole 28 so that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May have a structure for fastening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of the main bracket 50 to each other through the tool access hole 28.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체결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체결부재(80)를 체결한 후에 상기 공구출입공(28)을 막을 수 있는 마감 커버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ish cover member 90 that can close the tool access hole 28 after the reinforcement member 80 is fastened using a fastening tool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상기 다리부재(30)에 고정하는 상기 핀부재(60)는, 상기 상판에 대응되는 단부가 상판에 체결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며 종단 체결부(66)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 member 60 for fixing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to the leg member 30 is formed such that th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is fastened to the upper plate And an end fastening portion 66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수평부재와 제2 수평부재와, 수평단부를 갖는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결합부를 구성함으로써 넓은 하부공간을 확보하면서도 하중 지지 구조가 개선된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더불어,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 및 메인 브라켓을 구비하여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결합부의 체결 결합력이 현저하게 상승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horizontal member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and the leg member having the horizontal end portion are included to form the coupling portion, the load supporting structure is improved while securing a wide lower space, And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and the main bracket to form the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is remarkably increased.

또한, 핀부재가 다래부재와 삽입 보강브라켓 사이에서 핀 걸림구조에 의하여 이탈방지되는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삽입 보강브라켓의 제1 보강 날개부와 제2 보강 날개부를 각각 외측으로 더욱 밀착시켜 마찰 결합력이 상승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결합부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추가적인 개선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in memb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in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pin engagement structure between the mandrel member and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and 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are further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is further improved.

또한, 메인 브라켓의 양측벽부를 보강체결부재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상호 체결함으로써 횡방향 외력 등에 대하여 결합부의 강성을 더욱 보강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side wall portions of the main bracket are additionally mutually fastened by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s, thereby furthe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fastening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lateral external force and the like, and further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또한, 보강체결부재가 공구출입공을 이용하여 수평부재를 통과하여 메인 브라켓의 양측벽부를 상호 체결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성능 및 사용자 안전성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 wall portions of the main bracket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orizontal member using the tool access hole,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performance and the user safety.

또한, 조립작업 후 상기 공구출입공을 막는 마감 커버부재를 부가함으로써, 외관성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안전성, 이물질의 유입 방지, 어린이 안전사고 등의 측면에서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by adding a finishing cover member that blocks the tool access hole after the assembling operation, not only the appearance performance is improved but also the effect is improved in terms of safety of the user, prevention of inflow of foreign matter, child safety accident, and the like.

또한, 상기 상판에 대응되는 핀부재의 단부가 상판에 체결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며 그 단부에 종단 체결부가 구비됨으로써 상판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의 고정구조 및 조립작업 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테이블 전체의 결합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Further,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pin memb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is formed to have an extended length so as to be fasten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end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end thereof, the upper plate can be easily fixed, And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bonding durability of the entire tabl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도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수평 부재 및 제2 수평 부재의 세부 결합구조.
도 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리 부재의 세부 결합구조.
도 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결합부의 세부 구조.
도 5.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삽입 보강브라켓의 변형 실시예.
도 6.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핀부재의 변형 실시예.
도 7.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의 변형된 보강 구조.
도 8.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삽입 보강브라켓의 변형된 결합 구조.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pa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assembly structure of a first horizontal member and a second horizontal member in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leg member in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structure of a coupling portion in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modification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in the table frame assembly having the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modification of the pin member in the table frame assembly having the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Modified reinforced structure of the main bracket in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pa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상부에 상판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의 세부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메인 브라켓을 매개로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를 상호 고정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메인 브라켓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리 부재의 세부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다리 부재와 삽입 보강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b)는 삽입 보강브라켓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결합부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결합부의 분해 사시시도이고, 도 4(b)는 결합부의 투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rame assembly, and FIG. 1 (b) And the upper plate is disposed on the table frame assembly.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first horizontal member and a second horizontal member in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FIG. 2 (b)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main bracket. FIG. 2 (b)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main bracke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leg member in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g member and an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3 (b)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 (a) and 4 (b) illustrate a detailed structure of a coupling part in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삽입 보강브라켓의 변형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핀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메인 브라켓의 변형된 보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a)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메인 브라켓의 변형된 보강 구조를 투시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삽입 보강브라켓의 변형된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단턱이 구비된 핀부재의 구조 및 결합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n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in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in member in the assembly. Fig. 7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rame assembly, and FIG. 7 (b) is a side view of a main bracket of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of the modified reinforcing structure of FIG. FIG. 8 illustrates a modified coupling structure of an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in a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structure and a coupling state of a pin member having a step.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형 부재(10, 20, 30)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1)을 지지하여 테이블을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4개의 결합부(A)를 이용한 사각 형상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3개의 결합부(A)를 이용하는 삼각 형상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5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부(A)를 이용하는 다각형 형상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여러 결합부 중에 상기 결합부(A)가 일부 포함되어 전체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1 to 8,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A formed by mutually coupling a plurality of linear members 10, 20 and 30, And the table is formed by supporting the upper plate 1 to be arranged. Typically, a square shaped table frame assembly using four joining portions A may be formed, and if necessary, a triangular shaped table frame assembly using three joining portions A may be formed Alternatively, a polygonal table frame assembly using five or more joint portions A may be formed, and the joint portions A may be partly included in various joint portions to form an entire table frame assembly.

여기서,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데, 테이블 어셈블리(100)를 지지하는 바닥면까지 수평부재들(10, 20)을 투영시킨 가상의 공간을 고려하여 살펴보면 다리부재(30)는 상기 가상 공간의 외부에 존재하면서 수평부재(10, 20) 및 상판(1)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다리부재(30)의 상측 단부에 수평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단부가 수평부재들과 함께 상판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확장된 지지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다리부재에 의해서 확정되는 테이블 하부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수평부재들 뿐만 아니라 다리부재의 수평단부에 의해서도 상판을 분산하여 지지함으로 더욱 안정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nded supporting structure'. Considering a virtual space in which the horizontal members 10 and 20 are projected to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the table assembly 100, The leg member 30 form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members 10 and 20 and the upper plate 1 while being present outside the virtual space and has a horizontal end at the upper end of the leg member 30, The ends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members form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Because of the extended support structure, the user who uses the table fram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wide space under the table fixed by the leg members, and also by the horizontal ends of the leg members as well as the horizontal members, So that a more stable support structure can be formed.

또한, 수평부재들의 하부에서 단순히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다리부재를 갖는 기존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와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동일한 하부 영역을 확보하면서 수평부재들이 테이블의 중앙쪽으로 물러나 위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즉, 예를 들어, 의자의 팔걸이가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수평부재들과 간섭을 일으키는 높이를 갖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수평부재가 물러난 거리만큼 의자를 테이블 프레임의 하부공간에 진입시킬 수 있어서 기존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비하여 공간활용 또는 공간정리에 효과적이며, 또한, 전기배선용 멀티탭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재를 테이블 상판의 선단 하부 위치(B)에 부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수평부재와의 간섭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하면서도 상판의 지지 성능을 여전히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able frame assemblies having leg members that simply extend vertically down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members, the table frame assemb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horizontal members to be retra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table, It has various excellent effects. That is, for example, in many cases, the armrest of the chair has a height that causes interference with the horizontal members of the table frame assembly. In the table fram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is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table frame by a distance Even when a storage member for storing a multi-tap for electric wiring is to be added to the lower end position B of the table top pla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ace between the table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is remarkably reduced, and the supporting performance of the upper plate is still satisfactorily secured.

이러한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결합부(A)는, 크게,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 다리부재(30)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이하에서 도 1 내지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일실시예를 대상으로 하여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가 수평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배치되어 상부에서 상판(1)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기능을 하는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브라켓(50)를 매개로 하여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메인 브라켓(5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지지부(51)의 양단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된 제1 측벽부(52) 및 제2 측벽부(53)를 구비하여 상하방향의 시선에서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구조를 가지며, 중앙지지부(5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 관통공(57)이 형성된다. 상기 ‘ㄷ’자형 메인 브라켓(50)의 제1 측벽부(52) 및 제2 측벽부(53)가 테이블의 방사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중앙지지부(51)가 내측에 위치하는 자세에서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가 각각의 측벽부(52, 53) 외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결합고정됨으로써 도 2(a)와 같은 결합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각 측벽부(52, 53)와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는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의 해당 단부는 측벽부(52, 53)의 외표면과 전체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engaging portion A of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and the leg members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as an example.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are disposed horizontally and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each other to function as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upper panel 1 at the upper portion. Respectively, via the main bracket 50 as shown in FIG. 2B, the main bracket 50 includes a first sidewall 52 and a second sidewall 53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51 Sectional structure along the vertical line of sight, and at least one central through-hole 57 is formed in the central support portion 51. The center through- The first side wall portion 52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3 of the 'C' shaped main bracket 50 are disposed towar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ble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51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The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are coupl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 coupl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first end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which are fixed at predetermined angles to the respectiv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는 메인 브라켓(50)의 제1 측벽부(52) 및 제2 측벽부(53)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각 수평부재(10, 20)와 측벽부(52, 53)의 결합을 위한 용접은 양 구성요소의 접촉선을 따라 선 용접 또는 복수의 점 용접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각 부재의 치수 및 요구되는 결합강도 등을 고려하여 용접의 종류, 형태, 개소 등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벽부(52) 및 제2 측벽부(53)에는 완성된 결합부(A)를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체결부재(80)를 추가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각각 보강 체결공(54, 55)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are welded to the first side wall portion 52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3 of the main bracket 50 by welding . At this time, the welding for joining the horizontal members 10, 20 and the side wall portions 52, 53 may be performed by line welding or a plurality of spot welding along the contact lines of both components, Type, position, etc., of the welding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welding strength and the required bonding strength. The first sidewall 52 and the second sidewall 53 are provided with reinforcing fasteners 54 and 55 so as to further reinforce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to further reinforce the completed fastening portion A. [ ) May be additionally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를 용접에 의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50)에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메인 브라켓(50)의 양 측벽부(52, 53)로부터 각각 돌출된 결합부를 형성하여 관형부재로 구성된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에 각각 삽입한 후 상호 체결하여 각각의 수평부재를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중실부재로 구성된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를 체결수단에 의하여 메인 브라켓(50)의 양 측벽부(52, 53)에 각각 체결하여 고정하거나 혹은 양 측벽부(52, 53)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까지 관통하여 함께 체결 고정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are joined to the main bracket 50 by weld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for example, a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of the main bracket 50 is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constituted by tubular members,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constituted by the solid members are fastened to the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racket 50 by the fastening means 52, and 53, respectively, or a method of penetrating through both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and a structure disposed therebetween and fastening and fixing them togeth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다리부재(30)는 그 단부가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제1 측벽부(52) 및 제2 측벽부(53)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결합부(A)를 구성하는데, 다리부재(30)는 상하 수직구조 또는 소정의 경사구조를 갖되 다리부재(30)의 상측 단부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구간의 수평단부(30h)가 구비된다. 상기 다리부재(30)의 상기 수평단부(30h)는 메인 브라켓(50)의 양 측벽부(52, 53) 사이에 인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다리부재(30)와 메인 브라켓(5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중공 관형부재로 형성된 다리부재(30)의 수평단부(30h) 내측에 삽입 보강브라켓(40)이 먼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 브라켓(50)과의 견고한 체결결합에 이용된다.The end portion of the leg member 3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52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3 of the main bracket 50, The leg member 30 has a vertically vertical structure or a predetermined inclined structure an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eg member 30 with a horizontal end 30h of a predetermined section as shown in Fig. . The horizontal end portion 30h of the leg member 30 is inserted between the both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of the main bracket 50 and fixed.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s first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end 30h of the leg member 30 formed of the hollow tubular member so as to firmly connect the leg member 30 and the main bracket 50, (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을 ‘ㄷ’자 형상을 가지며, 중앙면부(41)의 단부에서 같은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제1 보강 날개부(42) 및 제2 보강 날개부(4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 및 제2 보강 날개부(43)에는 핀 결합공(44, 4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면부(4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결합공(47)이 형성된다.3 (b),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has a "C" shape as a whole and is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same direction at the end of the central face portion 41 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are provided with an extended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and a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are provided with pin engagement holes 44 and 45, And at least one fastening hole 47 is formed in the central surface portion 4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결합부(A)에 구비된 핀부재(60)는 양단부의 측면이 다리부재(30)의 핀 도입공(31) 및 핀 걸림공(32)에 걸리게 됨으로써 다리부재(30)에 삽입된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이탈방지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핀부재(60)는 임의의 단면을 갖는 선형 기둥 형태로 준비하면 충분하지만, 통상적인 회동형 공구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의 몸체이면서 핀부재(60)의 일단부에는 체결작업용 공구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다각형 머리 또는 공구홈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n member 60 provided at the engaging portion A of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side surfaces of the both end portions thereof face the pin insertion hole 31 and the pin engagement hole 32 Thereby preventing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nserted into the leg member 30 from coming off. It is sufficient to prepare the pin member 60 in the form of a linear column having an arbitrary cross section. However, the pin member 60 is a cylindrical body so as to be able to utilize conventional pivoting tools, while temporarily fastening the fastening tool to one end of the pin member 60 It is preferable that a polygonal head or a tool groove is provided.

이렇게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는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이용하여 결합부(A)를 구성함으로써,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도, 삽입 보강브라켓(40) 및 핀부재(60), 체결부재(70)를 이용하여 조립이 편리하면서도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삽입 보강브라켓(40)은 핀부재(60)에 의하여 다리부재(3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체결부재(70)를 이용한 메인 브라켓(50)과의 강력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삽입 보강브라켓(40)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구비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가 다리부재(30)에서 소정의 깊이 이상의 지점에서 핀 지지됨으로써 본 발명의 결합부(A)는 인장 강도 측면에서 용접결합 이상의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and the fastening member A can be formed without using welding by forming the fastening part A by using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having a cross- 70,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has a strong bonding force. That is,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can provide a strong coupling force that is not separated from the leg member 30 by the pin member 60, and a strong fastening force with the main bracket 50 using the fastening member 70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first reinforcing vanes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vanes 43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are pin-supported at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in the leg members 30, The joining portion (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ructure that provides a strong bonding force in terms of tensile strength,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a welded joint.

이때, 도 3 및 4에서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중앙면부(41)가 다리부재(30)의 종단부와 일치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중앙면부(41)가 다리부재(30)의 종단부보다 내측으로 위치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도 체결부재(70)에 의한 체결력이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 및 핀부재(60)를 통하여 다리부재(30)에 전달되어 다리부재(30)가 결합부(A)로부터 느슨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결합부(A)를 유효하게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3 and 4, the central surface portion 41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s shown to be align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leg member 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even when the center surface portion 41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s located inwardly or outwardly protruding from the end portion of the leg member 30,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70 is not applied to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and the pin member 60 to prevent the leg member 30 from being loosened or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portion A, (A). ≪ / RTI >

더불어, 삽입 보강브라켓(40)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게 구비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가 다리부재(30)의 수평단부(30h)에 삽입되어 그 삽입된 길이만큼 하중 또는 외력을 지지하는 기능에 참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리부재(30)의 수평 보(beam) 기능을 보완하는 효과도 갖게 되어, 결합부(A)에서 구조적인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which are provided so as to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are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end portion 30h of the leg member 30, It is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function of supporting a load or an external force as much as the length of the leg portion 30, thereby having an effect of complementing the horizontal beam function of the leg member 3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재(30)의 수평단부(30h)가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제1 측벽부(52) 및 제2 측벽부(53)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면, 메인 브라켓(50)의 중앙지지부(51)에 형성된 중앙 관통공(57)과, 다리부재(30)에 삽입되어 이탈방지되게 고정된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중앙면부(41)에 형성된 체결 결합공(47)이 상호 대응된 위치에서 마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70)를 메인 브라켓(50)의 외측에서 상기 중앙 관통공(57)을 거쳐서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체결결합공(47)에 체결함으로써 결합부(A)를 1차로 완성할 수 있다.4, the horizontal end 30h of the le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portion 52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3 of the main bracket 50. In this embodiment, A center through hole 57 formed in the center support portion 51 of the main bracket 50 and a center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nserted into the leg member 30 and fixed to prevent separation The engaging holes 47 formed in the surface portion 41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mutually corresponding positions. In this state, the fastening member 7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fitting hole 47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racket 50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57, Can be complet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더욱 개선된 결합부(A)를 형성하기 위하여 보강 체결부재(80)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1차 완성된 결합부(A)에 대하여 메인 브라켓(50)의 양 측벽부(52, 53)를 보강 체결부재(80)에 의해 상호 고정함으로써 양 측벽부(52, 53)의 벌어짐 변동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가해지는 측방향 외력에 대하여 더욱 개선된 강성 효과를 가지게 되어 변형 및 소음 등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by adding a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to form a further improved coupling portion A. That is, both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of the main bracket 50 are fixed to each other by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with respect to the first completed joint portion A, so that the widening fluctuation of the both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s a result, a further improved stiffness effect is exerted on the lateral external force exerted on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thereby further reducing deformation and noise.

이때, 상기 보강 체결부재(80)를 부가하기 위하여 제1 수평부재(10) 또는 제2 수평부재(20)에는 공구출입공(28)이 형성되고 상기 공구출입공(28)을 통하여 상기 보강 체결부재(80)는 메인 브라켓(50)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보강 체결부재(80)의 체결작업을 위한 공구(미도시)도 상기 공구출입공(28)을 통하여 인입 및 인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보강 체결부재(80)의 체결 외형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은폐될 수 있어 미관 및 사용자 안정성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진다.At this time, a tool access hole 28 is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or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to add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and the reinforcing fastener 30 is inserted through the tool access hole 28, The member 80 can be fastened to the main bracket 50 and a tool (not shown) for fastening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is also pulled in and out through the tool access hole 28. With this structure, the fastening outer shape of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can be conceal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contributing to aesthetic appearance and user stability.

한편,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에 공구출입공(28)을 형성하여 테이블 어셈블리의 조립작업을 수행한 경우에, 조립작업 후에 상기 공구출입공(28)이 그대로 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면, 그 자체로 외관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물질, 곤충 등의 유입 가능성과 어린이들의 안전사고 가능성이 있으므로, 도 4(a) 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마감 커버부재(80)로 상기 공구출입공(28)을 막음으로써 외관 성능이 더욱 향상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table assembly is assembled by forming the tool access hole 28 in the first frame member 10 or the second frame member 20, the tool access hole 28 4 (a) or the lik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nish cover member 80 (see FIG. 4 (a)) or the like, The tool attachment / detachment hole 28 is blocked with the tool attachment / detachment member 28. Thus, a coupling structure having an improved appearance performance can be formed.

더불어,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상판(1)의 결합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상판의 재질 및 요구되는 결합력, 제조비용 등을 고려하여 세부 구조 및 위치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수평부재들(10, 20) 및/또는 다리부재(30) 등에 체결관통공(36)을 형성하여 상판(1)과의 체결에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op plate 1 has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detailed structure and position of the top plate 1 may be suitab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top plate, required bonding force, Can be selected and configured. That is, for example, a fastening through hole 36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members 10 and 20 and / or the leg members 30 and used for fastening with the upper plate 1.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앞선 설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보면, 도 5에 제시된 변형실시예는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삽입방향을 앞선 일실시예와 다르게 변형한 것이다. 다리부재(30)의 단부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자세가 앞선 일실시예와 반대로 되도록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중앙면부(41)가 보강 날개부들(42, 43)보다 먼저 다리부재(30)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핀부재(60)에 의하여 고정된 후 앞선 일실시예보다 긴 치수를 가지는 체결부재(70)를 준비하여 결합함으로써 결합부(A)를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핀부재(60)와 체결부재(70)가 상호 간섭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핀부재(60) 및 체결부재(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형성하여야 한다.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or example, in the modified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s modified from that of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enter surface portion 41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wing portions 42 and 43 so that the posture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end portion of the leg member 30 is opposite to that of the previous embodiment. The fastening member 70 inserted into the end portion of the leg member 30 and fixed by the pin member 60 and then having a longer dimension than the previous embodiment is prepared and joined to complete the fastening portion A . In this case, since the pin member 60 and the fastening member 70 should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pin member 60 and the fastening member 70 should be dispos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다리부재(30)에 삽입된 삽입 보강브라켓(40)을 고정하는 핀부재(60)는 추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60)를 더욱 연장하여 상판(1)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결합부(A)를 구성하는 핀부재(60)의 단부에 연장 체결부(66)를 구비하여 상판(1)을 함께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테이블의 전체 조립구조 및 조립작업, 부품관리 등이 단순화되는 향상된 효과를 가지며,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전체가 더욱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외력 지지 및 분산 측면에서 더욱 향상된 구조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다.Further, the pin member 60 for fixing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nserted into the leg member 30 in the table fram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n additional fun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pin member 60 is further extended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top plate 1. [ Since the upper fastening portion 66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n member 60 constituting the fastening portion A so that the upper plate 1 can be fixed together, And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ntire table using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are further combined with each other more organically so that the structural strength and durability are further improved in terms of external force support and dispers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메인 브라켓(50)에 대하여 보강된 강성을 제공하는 보강체결부재(80)의 위치도 필요에 따라 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A’)를 구성하는 메인 브라켓(50)의 제1 측벽부(52) 및 제2 측벽부(53)를 앞선 일실시예보다 더 길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그 연장된 부분에 보강체결공(54, 55)을 형성하여 보강 체결부재(80)를 체결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강체결부재(80)가 제1 수평부재(10) 또는 제2 수평부재(20)를 통하지 않고도 메인 브라켓(50)의 양측벽부(52, 53)를 상호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앞선 일실시예에서의 공구출입공(28)을 생략할 수 있는 단순한 체결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which provides reinforced stiffness to the main bracket 50 in 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s required. 7, the first side wall portion 52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3 of the main bracket 50 constituting the engaging portion A 'are elongated longer than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is fastened to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or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10 by forming the reinforcing fastening holes 54 and 55 in the extended portion thereof to fasten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of the main bracket 50 can be mutually fix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member 20 to form a simple fastening structure which can omit the tool access hole 28 in the previous embodiment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결합부(A)에 구비된 제1 수평부재(10)와 제2 수평부재(20)는 모두 사각 관형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5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결합부(A)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수평부재(10)와 제2 수평부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실부재(中實, solid)로 준비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50)에 고정하여 상기 결합부(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는 사각 단면의 관형 부재로 선택하고 다리부재(30)는 원형 단면의 관형 부재로 선택하여 구성하거나,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는 원형 단면의 중실 부재로 선택하고 다리부재(30)는 사각 단면의 관형 부재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provided at the coupling portion A of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oth formed of a rectangular tubular member, (50), thereby forming the coupling portion (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is prepared as a solid solid and fixed to the main bracket 50, . As a further example,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may be selected as tubular members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leg members 30 may be selected as tubular members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may be selected as a solid member having a circular section and the leg member 30 may be selected as a tubular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한편,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그 전체가 완성된 후에 테이블 상판(1)과 결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초기 또는 중간 형성 과정에서 일부 구성과 테이블 상판(1)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유효하게 이용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combined with the table top plate 1 after the whole is complet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to effectively utilize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part of the structure and the table top plate 1 are combined in the initial or intermediate forming process of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구비된 핀부재(60)는 다리부재(30)의 내부에 삽입된 삽입 보강브라켓(40)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순 핀 걸림 구조로 형성하는 것 외에, 아래와 같은 세부 구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더욱 상승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핀부재(60)는,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의 일단에 머리부(62)가 구비되고 상기 머리부(62)와 인접되게 몸체(61)의 표면보다 돌출된 외경을 갖는 돌출나사산(63)이 구비되며, 몸체(61)의 타단 구간에는 몸체(61)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걸림단부(65)가 형성된 구조를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종단 체결부(66)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The pin member 60 provided in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may be formed in a simple pin engagement structure so that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eg member 30 is not released.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following detailed structur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achieve a further raised coupling structure. 8, the pin member 60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62 at one end of the body 61,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ead portion 62 on the surface of the body 61 A protruding thread 63 having a protruded outer diameter can be further provided and a locking end 65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6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61. [ Further, if necessary, a terminal fastening portion 66 may be provided together.

이러한 개선된 구조의 핀부재(60)와 대응되어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상기 구멍(44, 45)들은 각각 핀 체결공(44)과 핀 관통공(45)으로 구성된다. 세부구조를 살펴보면, 핀 체결공(44)은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에 상기 핀부재(60)의 몸체(61) 외경보다 크며 상기 돌출나사산(63)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핀 관통공(45)은 상기 제2 보강 날개부(43)에 상기 핀부재(60)의 몸체(61) 외경보다 작으며 걸림단부(65)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corresponding to the pin member 60 of the improved structure to form the engaging structure have the holes 44 and 45 ) Are formed of a pin fastening hole (44) and a pin through hole (45), respectively. The pin fixing hole 44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61 of the pin member 60 an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jecting thread 63 in the first reinforcing vane 42, The pin through hole 45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61 of the pin member 60 an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gaging end 65 in the second reinforcing wing 43.

이러한 세부 구조를 갖는 핀부재(60)와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이용하여 더욱 상승된 결합구조를 갖는 결합부(A)를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coupling portion A having a further increased coupling structure using the pin member 60 having the detailed structure and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다리부재(30)의 말단부에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삽입하여, 다리부재(30)의 핀 도입공(31)과,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의 핀 체결공(44)을 일치시키면, 대향된 위치에서는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2 보강 날개부(43)의 핀 관통공(45)과, 다리부재(30)의 핀 걸림공(32)이 동심구조로 서로 일치된 위치에 자리 잡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핀부재(60)를 걸림단부(65) 또는 종단 체결부(66)부터 다리부재(30)의 핀 도입공(11)으로 삽입하여 전진시키면 핀부재(60)의 몸체(61)는 핀 체결공(44)을 자유롭게 통과하되 돌출나사산(63)은 핀 체결공(44)으로 쉽게 통과할 수 없는 저항상태에 있게 되고 대향된 위치에서는 핀부재(60)의 걸림단부(65)가 적어도 핀 관통공(45)에 삽입된 상태를 이룬다.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eg member 30 so that the pin insertion hole 31 of the leg member 30 and 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The pin penetrating hole 45 of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and the pin engaging hole 32 of the leg member 30 are formed at the opposed positions, And are positioned at positions where the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a concentric structure. In this state, when the pin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pin introduction hole 11 of the leg member 30 from the engaging end portion 65 or the longitudinal end fastening portion 66, the body 61 of the pin member 60 The projecting thread 63 is in a resistance state in which it can not easily pass through the pin fixing hole 44 and the engaging end 65 of the pin member 60 is at least And is inserted into the pin through hole 45.

여기서, 공구를 이용하여 핀부재(60)를 조이게 되면 돌출나사산(63)은 핀 체결공(44)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전진하며 핀부재(60)의 걸림단부(65)를 핀 관통공(45)을 통과하여 다리부재(30)의 핀 걸림공(32)에까지 진출시키되 몸체(61)는 핀 관통공(45)에 삽입되지 못하고 걸리는 상태에서 제2 보강 날개부(43)를 미는 힘을 지속적으로 부여하게 된다. 이때, 몸체(61)와 걸림단부(65)의 경계지점에 단턱(64)을 형성하면 핀 관통공(45)이 단턱(6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호 안정적인 내력작용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서 더욱 향상된 지지구조를 갖는다. When the pin member 60 is tightened using the tool, the projecting thread 63 is continuously advanced into the pin fixing hole 44 and the engaging end 65 of the pin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pin through hole 45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45 of the leg member 30 while the body 61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pin through hole 45 but continues to push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continuously . In this case, when the step 64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ody 61 and the engaging end 65, a mutually stable force-acting structure can b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pin through-hole 45 is seated in the step 64, And has an improved support structure.

결과적으로 돌출나사산(63)의 삽입 진전에 비례하게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 사이의 거리는 더욱 이격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를 다리부재(30)의 내벽에 더욱 밀착시키게 되어, 삽입 보강브라켓(40)을 다리부재(3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강력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s further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sertion progress of the projecting thread 63. This further tightens the first reinforcing vane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vane 43 to the inner wall of the leg member 30 and prevents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leg member 30 Thereby providing a strong frictional force.

이렇게 상승된 결합구조에서는, 다리부재(30)와 삽입 보강브라켓(40)은 단순 핀 걸림 구조뿐만 아니라 마찰력에 의한 이탈방지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이를 이용한 결합부(A)로 구성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더욱 견고한 구조적인 강도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시간이 증가하더라도 세부 결합부분에서 헐거워짐이 최소화되는 상승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핀부재(60)의 종단 체결부(66)는 앞에서 도 6에 의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우수한 효과를 마찬가지로 제공하게 된다.The leg member 30 and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have a simple pin engagement structure as well as a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by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table frame assembly 100 Not only has a more robust structural strength but also has an increased effect of minimizing loosening at the detail joints even when the use time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66 of the pin member 60, which is additionally provided if necessary, provides substantially the same excellent effect as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or divided manner,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or partition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manner to the extent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ave. Further, the steps of the method may be carried out singly plural times or at least plural times in combination with any other step.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10 : 제1 수평부재
20 : 제2 수평부재 28 : 공구출입공
30 : 다리 부재 31 : 핀 도입공
32 : 핀 걸림공 38 : 관통공
40 : 삽입 보강브라켓 41 : 중앙면부
42 : 제1 보강 날개부 43 : 제2 보강 날개부
44 : 핀 결합공 45 : 핀 결합공
47 : 체결 결합공
50 : 메인 브라켓 51 : 중앙지지부
52 : 제1 측벽부 53 : 제2 측벽부
54, 55 : 보강체결공 57 : 중앙 관통공
60 : 핀부재 66 : 연장 체결부
70 : 체결부재
80 : 보강체결부재 81 : 몸체
82 : 머리부 83 : 종단 체결부
90 : 마감 커버부재
100: Table frame assembly
10: first horizontal member
20: second horizontal member 28: tool access hole
30: leg member 31: pin introduction hole
32: Pin catch hole 38: Through hole
40: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1: central surface
42: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3: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4: pin coupling hole 45: pin coupling hole
47:
50: main bracket 51: central portion
52: first side wall portion 53: second side wall portion
54, 55: reinforced fastener 57: central through hole
60: pin member 66:
70: fastening member
80: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1: body
82: head part 83:
90: closed cover member

Claims (6)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을 지지하여 테이블을 형성하며, 복수의 부재(10, 20, 30)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A)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A)는,
선형 부재로 각각 형성되며, 상판을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배치된, 제1 수평부재(10)와 제2 수평부재(20); 및
선형 관부재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상측 단부에 소정 구간의 수평단부(30h)가 구비된 다리부재(30);
상기 다리부재(30)의 수평단부(30h)에 삽입되어 핀부재(60)에 의하여 다리부재(30)에 고정되며, 중앙면부(41)의 양단부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핀부재(6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44, 4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앙면부(41)에 체결 결합공(47)이 구비된, 삽입 보강브라켓(40);
내측에 위치한 중앙지지부(51)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양측벽부(52, 5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배치되어 서로 근접한 제1 수평부재(10)와 제2 수평부재(20)의 일단부가 상기 양측벽부(52, 53)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양측벽부(52, 53) 사이에 상기 다리부재(30)의 수평단부(30h)가 개재된 상태에서 체결부재(70)가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중앙지지부(51)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보강브라켓(40)의 중앙면부(41)에 체결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20. A table frame assembly comprising a table formed by supporting an upper plat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able and using a coupling portion A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members 10, 20, 30,
The coupling portion (A)
A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a second horizontal member (20), each of which is formed of a linear member and arranged horizontally so as to support the upper plate and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each other; And
A leg member (30) formed of a linear tube member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horizontal end portion (30h) of a predetermined section at an upper end thereof;
A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end portion 30h of the leg member 30 and is fixed to the leg member 30 by the pin member 60 and extends parallel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central face portion 41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s 43 to have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first reinforcing wing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43 are provided at positions opposed to the first reinforcing wing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43, An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provided with holes 44 and 45 for mounting the pin member 60 and having a fastening hole 47 in the central face portion 41;
And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holding portion 51 located on the inner side, And a main bracket 50 having one end of one horizontal member 10 and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coupled to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The fastening member 70 is insert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of the main bracket 50 in the state where the horizontal end portion 30h of the leg member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s 52 and 53 of the main bracket 50, , And is fastened to the central surface (41)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thereby completing the assembly of the coupl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30)에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을 고정하는 상기 핀부재(60)는, 몸체(61)의 일단에 머리부(62)가 구비되고 상기 머리부(62)와 인접되게 몸체(61)의 표면보다 돌출된 외경을 갖는 돌출나사산(63)이 구비되며, 몸체(61)의 타단 구간에는 몸체(61)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걸림단부(65)가 형성된 구조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 상기 구멍(44, 45)은,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에 상기 핀부재(60)의 몸체(61) 외경보다 크며 상기 돌출나사산(63)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핀 체결공(44)과, 상기 제2 보강 날개부(43)에 상기 핀부재(60)의 몸체(61) 외경보다 작으며 걸림단부(65)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핀 관통공(4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n member 60 for fixing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on the le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62 at one end of the body 61, A protruding thread 63 having an outer diameter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61 is provided and a locking end 65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6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61,
The holes 44 and 45 provided at positions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reinforcing wing portion 43 of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are formed by the first reinforcing wing portion 42 (44)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61) of the pin member (60) and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projecting thread (63), and a second fastening hole (45)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61) of the engaging portion (60)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ngaging end (6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보강체결부재(80)에 의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양측벽부(52, 53)를 상호 체결함으로써 더욱 보강된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by joining the side wall portions (52, 53) of the main bracket (50) by a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Wherein the table frame assembly has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재(10) 및 제2 수평부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구출입공(28)이 구비되어 상기 보강체결부재(80)는 상기 공구출입공(28)을 통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50)의 양측벽부(52, 53)를 상호 체결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The tool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horizontal member (1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tool access hole (28) so that the reinforcement member (80) ) Of the main bracket (50)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s (52, 53) of the main bracket (5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체결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체결부재(80)를 체결한 후에 상기 공구출입공(28)을 막을 수 있는 마감 커버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The tabl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table frame assembly comprises a finishing cover member (90) capable of closing the tool access hole (28) after tightening the reinforcing fastening member (80) using a fastening tool Wherein the table frame assembly has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30)에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을 고정하는 상기 핀부재(60)는, 상기 상판에 대응되는 단부가 상판에 체결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며 종단 체결부(6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The pin member (60) for fixing the insertion reinforcing bracket (40) in the leg member (30) is formed by extending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to be fastened to the upper plate And a terminal fastening portion (66)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ble frame assembly.
KR1020180122869A 2018-10-15 2018-10-15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KR1019338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69A KR101933838B1 (en) 2018-10-15 2018-10-15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69A KR101933838B1 (en) 2018-10-15 2018-10-15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838B1 true KR101933838B1 (en) 2019-03-29

Family

ID=6589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869A KR101933838B1 (en) 2018-10-15 2018-10-15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83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969B1 (en) * 2020-02-05 2020-05-28 (주)퍼맥스 Interval adjusting type leg device
KR102241599B1 (en) * 2020-11-30 2021-04-19 (주)신아퍼니처 Multifunction table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11551U (en) * 2010-12-24 2011-08-03 名辉家具(珠海)有限公司 Table
KR20160133080A (en) 2015-05-12 2016-11-22 배원섭 Prefabricated table frame
KR101713434B1 (en) * 2015-09-02 2017-03-07 길재수 Sectional Furniture and Assemble Method thereof
KR101893731B1 (en) * 2018-03-30 2018-10-04 이정복 Table frame assembly to attach a top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11551U (en) * 2010-12-24 2011-08-03 名辉家具(珠海)有限公司 Table
KR20160133080A (en) 2015-05-12 2016-11-22 배원섭 Prefabricated table frame
KR101713434B1 (en) * 2015-09-02 2017-03-07 길재수 Sectional Furniture and Assemble Method thereof
KR101893731B1 (en) * 2018-03-30 2018-10-04 이정복 Table frame assembly to attach a top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969B1 (en) * 2020-02-05 2020-05-28 (주)퍼맥스 Interval adjusting type leg device
KR102241599B1 (en) * 2020-11-30 2021-04-19 (주)신아퍼니처 Multifunction tabl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798B1 (en) Table frame assembly
KR101893731B1 (en) Table frame assembly to attach a top plate
MXPA04009913A (en) Portable folding table.
KR101933838B1 (en)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KR101397547B1 (en) An easily assembling furniture
US9044100B1 (en) Bed frame
KR101893732B1 (en) Table frame assembly
KR102003181B1 (en) Table frame assemblies having leg frames of a bending plate shape
KR100271081B1 (en) Framework for shelving unit
JP6715574B2 (en) furniture
JP5602203B2 (en) Furniture with flap top
US20180116403A1 (en) Foldable Chair
JP5749001B2 (en) Fixture structure for fixtures and fixtures equipped therewith
US11118617B1 (en) Table leg attachment
JP2017140418A (en) Furniture with flap top plate
CN111683564A (en) Table frame assembly
KR101308647B1 (en) Metal frame for furniture
KR200273496Y1 (en) Prefab showcase
JP4594212B2 (en) Table frame structure
JP2007125351A (en) Assembly chair
JP4594211B2 (en) Table frame structure
JP3398781B2 (en) Mounting structure of supported body
KR102649763B1 (en) for furniture use frame assembly
US20180296000A1 (en) Three dimensional connection system for bed frame
KR102657308B1 (en) Assembly furni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