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931B1 -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 Google Patents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931B1
KR101932931B1 KR1020170077334A KR20170077334A KR101932931B1 KR 101932931 B1 KR101932931 B1 KR 101932931B1 KR 1020170077334 A KR1020170077334 A KR 1020170077334A KR 20170077334 A KR20170077334 A KR 20170077334A KR 101932931 B1 KR101932931 B1 KR 101932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eeling
fixing chuck
vegetabl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형원
Original Assignee
정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성 filed Critical 정문성
Priority to KR102017007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8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between conveyor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의 관리 인원과 자동화방식을 이용하여 채소의 박피 작업을 소규모 채소가공업체 적용할 수 있으며 채소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비감자, 무, 호박과 같은 비정형 채소의 껍질을 제거하는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제1,2케이스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채소를 물림하여 이동시키는 제1,2이송부, 채소의 형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채소의 외형 정보에 따라 움직이며 박피하는 박피부로 구성하여; 자동 이송 및 비정형 채소의 형태를 파악하여 박피 과정을 거쳐 배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Automatic sprinkling of vegetables}
본 발명은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력난과 낮은 영업이익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규모 채소가공업체에서 노동집약적이고 칼을 이용하는 박피작업의 위험성을 제거하며 박피를 채소의 형태에 따라 자동화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을 박피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칼을 이용하여 깎게 되는데, 식당이나 과일 및 야채를 대량의 박피할 경우에는 직접 사람의 손으로 깎는데 시간과 인력이 과도하게 요구되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구나 기계를 통해 야채나 과일의 껍질을 벗기게 된다.
이러한 야채나 과일의 껍질을 벗기는 기계를 박피기라하며, 이와같은 박피기는 금속 솔이 내설된 원통에 과일을 내재하고, 원통의 하측에 구비된 회전판을 회전시켜 투입된 과일이 금속 솔에 의해 껍질이 벗겨지도록 하고 있다.
특히, 구근류는 알뿌리를 가진 식물을 말하는 것으로, 무, 감자, 당근, 고구마 등을 말한다.
특히, 무(Radish;무우, 무수)는 십자화과의 먹을 수 있는 뿌리 채소이며 길이는 약 20 ~ 35cm 이도 지름은 약 5~ 10cm 정도이다.
이러한 무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공하기 위하여는 먼저 무 표면에 부착되어있는 흙을 제거하고 무의 껍질을 벗겨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김치가공 공장 및 각종 식품제조공장이 늘어나면서 무의 껍질을 벗기기 위한 무 박피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박피기는 원통 내부에서 과일이 요동되면서 박피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과일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과일에 멍이나 상처가 생기게 되며, 과일의 모든 부분이 동일한 형태로 박피됨으로 인해, 다양한 형상의 사과, 감 등의 과일이나 호박, 감자와 같은 야채를 박피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과일박피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현제에서 제조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의 무 박피기는 수평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무의 외면에 작업자가 박피용 칼날을 갖다대어서 껍질을 벗기는 방식이다. 종래의 무 박피기는 작업자가 손으로 무를 수평 회전축에 고정시켜야 하고 껍질을 벗기는 동안에 작업자가 칼날을 단단히 잡고 있어야 한다. 작업자가 칼날을 잘못 잡으면 껍질이 벗겨지지 않거나 반대로 껍질이 너무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껍질이 모두 벗겨진 무는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회전축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무 박피기는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껍질이 과도하게 벗겨져서 수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일 예로, 감자박피기의 종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으로는, 등록실용 제 20-0430377호(고안의 명칭: 감자박피기), 등록 특허 제 10-0546892호(발명의 명칭: 감자박피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과 같은 종래의 농산물 까는 장치에 의하면, 회전통 내부에서 감자 등의 농산물이 회전되면서 회전통 바닥에 고정된 칼날에 의해 박피되는데, 이런 방식에 의하면, 농산물들이 회전되면서 서로 부딪혀 멍이 드는 현상이 발생되어 농산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그러한 멍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 요구되며, 농산물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깍여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 중 물이 수용된 외통 내에 내통을 삽입하고, 그 내통 내에 농산물이 수용된 상태로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농산물, 예를 들어 감자와 물이 회전되면서 내통 내벽면에 고정된 칼날에 감자가 접촉되어 감자가 박피되는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농산물에 멍이 드는 현상이 위에서 제시된 방식에 비해 감소되기는 하나, 돌출된 칼에 의해 농산물 표면에 패인 자국이 발생되어 농산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그러한 패인 자국의 제거를 위한 수작업이 추가로 요구되며, 물을 많이 사용하여 폐수 처리 및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에서 제시된 종래의 두 방식 모두 농산물을 일정량 투입 후 그 투입된 농산물을 모두 박피시킨 다음 박피 장치를 세운 상태에서 배출 후 다시 농산물을 재투입하는 방식에 의하므로, 농산물에 대한 박피 작업이 불연속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에 문제가 되지 않으며 자동화 방식으로 이동, 박피, 배출 과정이 자동화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개선된 박피기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공개번호 제20-2016-0003763호 (과일 박피기) 등록번호 제20-0430377호 (감자박피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 이송 및 비정형 채소의 형태를 파악하여 박피 과정을 거쳐 배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채소를 척 방식으로 고정하면서 공급하는 수동화 과정을 거치면 이송과정, 박피를 위한 회전과정, 채소의 촬영과정, 박피과정, 배출과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2고정척이 이송 및 구동풀리와 물림방식으로 이송됨으로써 채소의 무게로 인한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이동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구동드럼이 마찰로 인하여 제1고정척을 박피 작업시 회전시킴으로써 박피부에 무리한 저항력이 발생하더라도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박피 작업시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는 비정형 채소의 껍질을 제거하는 박피기에 있어서, 제1,2케이스으로 분할된 중앙에는 채소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제1케이스에는 채소를 고정하며 이동하는 도중에 박피를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이송부, 상기 케이스의 제2케이스에는 구동이송부와 함께 채소를 고정하며 이동시키는 동시에 박피가 완료된 채소를 이탈시키는 제2이송부, 상기 제1,2이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채소의 외형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제1,2이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채소의 껍질을 촬영부에 의한 형태 정보를 토대로 움직이며 박피하는 박피부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부는 제1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이송풀리와 제1구동풀리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1이송벨트, 상기 제1이송벨트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설치하며 후방으로 드럼을 형성한 제1고정척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2이송부는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이송풀리와 제2구동풀리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2이송벨트, 상기 제2이송벨트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설치하며 후방으로 손잡이를 형성한 제2고정척을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고정척은 제1이송풀리 및 구동풀리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이송홈에 삽입되며 제1이송벨트에 연결되는 제1베어링, 상기 제2고정척은 제2이송풀리 및 제2구동풀리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이송홈에 삽입되며 제2이송벨트에 연결되는 제2베어링을 형성하며, 상기 제2고정척은 외면에 끼워지는 스프링이 제2베어링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제2고정척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복귀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는 박피부에 위치하는 제1고정척의 드럼에 접촉하여 제2고정척을 회전시키도록 액츄에이터의 작동으로 상하 이동하는 회전모터에 연결된 구동드럼으로 구동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박피부는 촬영부의 촬영 영상에서 채소의 외형을 스캐닝한 정보대로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박피모터의 하부에서 회전하는 박피칼날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 박피부를 지나친 제2케이스의 내부에는 제2고정척의 손잡이가 끼움되어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외측으로 굴곡된 이탈레일을 형성하여, 상기 이탈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고정척이 채소와 이탈되면 채소의 자중으로 제1고정척에서 이탈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이송 및 비정형 채소의 형태를 파악하여 박피 과정을 거쳐 배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채소를 척 방식으로 고정하면서 공급하는 수동화 과정을 거치면 이송과정, 박피를 위한 회전과정, 채소의 촬영과정, 박피과정, 배출과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1,2고정척이 이송 및 구동풀리와 물림방식으로 이송됨으로써 채소의 무게로 인한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이동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구동드럼이 마찰로 인하여 제1고정척을 박피 작업시 회전시킴으로써 박피부에 무리한 저항력이 발생하더라도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박피 작업시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이송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이송부의 일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이송부와 구동부의 작동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이송부의 작동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피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이송부가 이탈레일을 따라 이동시 작동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이송부에 채소를 고정하는 일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이송부에 고정된 채소가 이동하여 촬영부에서 촬영 후 박피부에 의해 박피되는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박피부를 거친 후 제2이송부가 이탈레일을 따라 이동면서 채소의 고정을 해체하는 작동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이송부에 고정이 해제된 채소가 배출부로 배출되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감자, 무, 호박과 같은 비정형 채소의 껍질을 제거하는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제1,2케이스(11)(12)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0), 채소를 물림하여 이동시키는 제1,2이송부(20)(30), 채소의 형상을 촬영하는 촬영부(40), 상기 촬영부(40)에 채소의 외형 정보에 따라 움직이며 박피하는 박피부(50)로 박피기(100)를 구성한다.
상기 박피기(100)는 제1,2케이스(11)(12)으로 분할된 중앙에는 채소가 이동하는 통로(13)를 형성하는 케이스(10)를 형성하는데, 상기 케이스(10)는 사각 형태의 제1,2케이스(11)(12)이 통로(13)를 기준으로 양측에 직립되어 형성되고 바닥은 바닥판(14)에 의해 서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2케이스(12)의 전방 일 측에는 개방부(15)를 형성하는데 작업자는 개방부(15)를 통해 제2고정척(35)을 잡아당겨 채소를 제1고정척(25)과 물림 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바닥판(14)의 상부에는 박피부(50)의 하부에 위치하여 박피되는 채소의 껍질을 수거하는 수거통(16)을 형성하는데, 상기 수거통(16)은 분리되어 있어 껍질이 가득찰 경우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0)의 제1케이스(11)에는 채소를 고정하며 이동하는 도중에 박피를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이송부(20)를 구성한다.
상기 제1이송부(20)는 제1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이송풀리(21)와 제1구동풀리(22)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1이송벨트(23)를 구성한다.
상기 제1이송풀리(21)는 제1케이스(11)의 전방측 내부에 설치되고 제1구동풀리(22)는 제1케이스(11)의 후방측 내부서 각각 회전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이송벨트(23)의 내측 면에는 등간격으로 설치하며 후방으로 드럼(24)을 형성한 제1고정척(25)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고정척(25)은 제1이송풀리(21) 및 제1구동풀리(22)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이송홈(26)에 삽입되며 제1이송벨트(23)에 연결되는 제1베어링(27)을 형성한다.
상기 제1베어링(27)은 외면에 제1이송풀리(21)의 내면과 제1브라켓(27a)으로 연결되며 제1고정척(25)은 제1베어링(27)과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케이스(11)의 내부에는 박피부(50)에 위치하는 제1고정척(25)의 드럼(24)에 접촉하여 제2고정척(35)을 회전시키도록 액츄에이터(61)의 작동으로 상하 이동하는 회전모터(62)에 연결된 구동드럼(63)으로 구동부(60)를 구성한다.
상기 구동드럼(63)은 제1이송벨트(23)를 따라 이동하는 제1고정척(25)의 드럼(24)에 접촉하도록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드럼(24)이 박피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상승 작동하여 드럼(24)에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제2케이스(12)에는 제1이송부(20)와 함께 채소를 고정하며 이동시키는 동시에 박피가 완료된 채소를 이탈시키는 제2이송부(30)를 형성한다.
상기 제2이송부(30)는 제2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이송풀리(31)와 제2구동풀리(32)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2이송벨트(33)를 형성한다.
상기 제2이송벨트(33)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설치하며 후방으로 손잡이(34)를 형성한 제2고정척(35)을 구성한다.
상기 제2고정척(35)은 제2이송풀리(31) 및 제2구동풀리(32)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이송홈(36)에 삽입되며 제2이송벨트(33)에 연결되는 제2베어링(37)을 형성한다.
상기 제2베어링(37)은 외면에 제2이송풀리(31)의 내면과 제2브라켓(37b)으로 연결되며 제2고정척(35)의 외면에는 스프링(37a)이 삽입된 스프링통(37c)이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통(37c)의 외면에는 제2베어링(37)이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고정척(35)은 외면에 끼워지는 스프링(37a)이 제2베어링(37)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제2고정척(35)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복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2구동풀리(22)(32)는 제2케이스(12)의 외측에 형성된 구동모터(38)의 모터축(38a)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하는데, 상기 모터축(38a)은 제2구동풀리(32)를 관통하여 제2이송벨트(33)를 통과한 후 제1구동풀리(22)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2구동풀리(22)(32)는 제2케이스(12)의 외측에 형성된 구동모터(38)의 모터축(38a)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하는데, 상기 구동모터(38)의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받으며 제1,2고정척(25)(35)의 이동속도가 동일하도록 모터축(38a)으로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2고정척(25)(35)의 전면에는 채소를 물림할 수 있는 제1,2돌기(25a)(35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2이송부(20)(30)에 의해 이동되는 채소의 외형을 촬영하는 촬영부(40)를 구성하는데, 상기 촬영부(40)는 제1케이스(11)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역 기억자 형태의 촬영프레임(41)의 전,후방 양 끝단에 카메라(42)를 한 쌍으로 구성한다.
상기 카메라(42)를 한 쌍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채소의 정확한 외형을 촬영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카메라(42)에서 촬영된 영상은 컴퓨터(200)로 전송되는데, 상기 컴퓨터(200)는 촬영부(40)에서 전송된 영상을 토대로 박피할 채소의 외형을 정보화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2이송부(20)(30)에 의해 이동되는 채소의 껍질을 촬영부(40)에 의한 형태 정보를 토대로 움직이며 박피하는 박피부(50)로 구성한다.
상기 박피부(50)는 촬영부(40)의 촬영 영상에서 채소의 외형을 스캐닝한 정보대로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박피모터(51)의 하부에서 회전하는 박피칼날(52)을 구성한다.
상기 박피부(50)는 제2케이스(12)의 외면에 고정되는 기억자 형태의 박피프레임(53)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프레임(54)의 하부에 박피모터(51)가 결합되는데, 상기 박피모터(51)는 사각 형태의 보조프레임(54)에 연결된 상태로 박피프레임(53)을 따라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보조프레임(54)은 제1모터(55)의 회전을 이용하여 박피모터(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스핀들(56)과 연결하며, 상기 제1스핀들(56)과 간섭되지 않게 교차하며 제2모터(57)의 회전을 이용하여 박피모터(5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스핀들(58)과 연결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박피부(50)를 지나친 제2케이스(12)의 내부에는 제2고정척(35)의 손잡이(34)가 끼움되어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외측으로 굴곡된 이탈레일(70)을 형성한다.
상기 이탈레일(70)은 제2케이스(12)이 내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정면에서 투영시에는 제2이송벨트(33)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평면에서 투영시에는 박피부(50)를 거쳐 껍질이 제거된 위치에 있는 제1고정척(25)의 손잡이(34)가 올라타 안내될 수 있도록 일 끝단은 손잡이(34) 측으로 굴곡되고 중앙 부분으로 진행할수록 외측으로 향하게 곡률지며 타 끝단은 손잡이(34)이 원위치할 수 있도록 제2케이스(12)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이탈레일(70)은 한 쌍의 기억자 형태의 레일(71)을 서로 이격시켜 마주 보게 배치하여 이격된 디귿자 형태로 형성하며 각 레일(71)은 제2케이스(12)와 연결대(72)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상기 이탈레일(70)을 따라 이동하는 제2고정척(35)이 채소와 이탈되면 채소의 자중으로 제1고정척(25)에서 이탈되어 배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박피모터(51)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외면에 다수개의 칼날이 형성된 박피칼날(52)이 하부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피기(100)는 케이스(10)의 제1,2케이스(11)(12)의 내부로 제1,2이송풀리(21)(31) 및 제1,2구동풀리(22)(32)를 설치하고, 상기 제1,2구동풀리(22)(32)는 제2케이스(1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구동모터(38)의 모터축(38a)으로 서로 연결한다.
이후, 상기 제1,2이송벨트(23)(33)의 내면에 각각 제1,2고정척(25)(35)을 각각 제1,2브라켓(27a)(27b)을 이용하여 등간격으로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2고정척(25)(35)의 제1,2베어링(27)(37)을 각각 제1,2이송풀리(21)(31) 및 제1,2구동풀리(22)(32)의 제1,2이송홈(26)(36)에 각각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케이스(11)의 내부에 구동부(60) 및 촬영부(40)를 설치하며, 제2케이스(12)의 외측면으로 박피부(5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40)의 카메라(42)와 박피부(50)의 박피모터(51)는 촬영부(40)에서 촬영된 채소의 영상에서 외형을 형태를 파악하여 박피모터(51)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설정 및 제어를 하는 별도의 컴퓨터(200)의 신호를 전달받도록 제1,2모터(55)(57)를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의 바닥판(14)에는 박피부(5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수거통(16)을 배치하여 박피기(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러한, 상기 박피기(100)를 이용하여 비정형 채소를 박피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동시키면 구동모터(38)의 구동력 -> 모터축(38a)의 회전 -> 제1,2구동풀리(22)(32)의 각각 회전 -> 제1,2구동풀리(22)(32)의 제1,2이송홈(26)(36)에 끼움된 제1,2고정척(20)(30)의 이동 -> 제1,2이송벨트(23)(33)의 회전 -> 제1,2이송풀리(21)(31)의 제1,2이송홈(26)(36)에 끼움된 제1,2고정척(20)(30)이 이동하는데 이동속도는 작업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ㅎ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부(15)를 통해 노출되는 제2고정척(35)의 손잡이(34)를 외측으로 당겨면 제2베어링(37)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37a)이 압축되면서 제1,2고정척(25)(35)의 상호 이격거리가 박피를 시행할 채소의 크기에 맞게 이격시킨 후 제1,2고정척(25)(35)의 사이에 채소를 위치시킨 후 제2고정척(35)의 손잡이(34)를 원위치 시키면서 제1,2돌기(25a)(35a)에 박혀지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채소가 고정되지 않은 제2고정척(35)과 제1고정척(25)의 사이에 채소의 고정 작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하며, 작업자가 손잡이(34)를 놓을 경우 스프링(37a)의 복원력에 의해 채소의 고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상기 제1,2고정척(25)(35)에 의해 고정된 채소는 촬영부(40)의 하부로 이동하는 동시에 한 쌍의 카메라(42)에 의해 채소의 형태를 촬영하여 컴퓨터(200)로 실시간 전송한다.
이후, 상기 컴퓨터(200)에서는 촬영부(40)의 영상을 전달받아 박피부(50)의 제1,2모터(55)(57)의 구동으로 인한 제1,2스핀들(56)(58)의 회전에 따라 박피모터(51)의 이동 경로 및 이동량을 정밀하게 계산한다.
다음으로, 상기 촬영부(40)에서 촬영이 완료된 채소는 제1,2고정척(25)(35)에 고정된 상태로 박피부(50)에 위치하면 구동부(60)의 액츄에이터(61)의 상승 작동으로 회전모터(62)가 상승되면서 구동드럼(63)이 제1고정척(25)의 드럼(24)에 접촉하면서 제1고정척(25)이 제1베어링(27)에 의해 구름회전하는 회전력이 채소를 통해 제2고정척(35)으로 전달되어 제2고정척(35)이 제2베어링(37)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촬영부(40)나 박피부(50)에 채소가 고정된 제1,2고정척(25)(35)이 이동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이동속도에 의한 제어나 별도의 센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60)에 의해 제1,2고정척(25)(35)에 고정된 채소가 회전하면 박피부(50)의 박피모터(51)는 회전하는 상태로 컴퓨터(2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제1,2모터(55)(57)의 구동으로 제1,2스핀들(56)(58)의 회전을 조절하여 채소의 일 끝단에서부터 타 끝단까지 박피작업을 시행한다.
이러한, 박피작업시 발생되는 박피 껍질은 낙하되어 수거통(16)에 수거된다.
이후, 상기 박피부(50)에 의해 박피가 완료된 채소는 제1,2고정척(25)(35)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하는데, 상기 제2고정척(35)의 손잡이(34)가 이탈레일(70)의 일 끝단을 통해 올라서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외측으로 굴곡진 이탈레일(70)에 의해 스프링(37a)은 압축되면서 손잡이(34)가 외측으로 잡아당겨져 채소에서 제2고정척(35)의 제2돌기(35a)가 이탈되면 채소의 자중에 의해 제1고정척(25)의 제1돌기(25a)에서 이탈되어 배출구(80)를 통해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특징이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박피기(100)는 자동 이송 및 비정형 채소의 형태를 파악하여 박피 과정을 거쳐 배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상품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박피기(100)는 연속적으로 채소를 척 방식으로 고정하면서 공급하는 수동화 과정을 거치면 이송과정, 박피를 위한 회전과정, 채소의 촬영과정, 박피과정, 배출과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관리가 편리하여 인건비, 관리비의 절감과 하며 작업량을 극대화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박피기(100)는 제1,2고정척(25)(35)이 이송 및 제1,2구동풀리(22)(32)와 물림방식으로 이송됨으로써 채소의 무게로 인한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이동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박피기(100)는 구동드럼(63)이 마찰로 인하여 제1고정척(25)을 박피 작업시 회전시킴으로써 박피부(50)에 무리한 저항력이 발생하더라도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박피기(100)는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박피 작업시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11 : 제1케이스
12 : 제2케이스 13 : 통로
14 : 바닥판 15 : 개방부
16 : 수거통 20 : 제1이송부
21 : 제1이송풀리 22 : 제1구동풀리
23 : 제1이송벨트 24 : 드럼
25 : 제1고정척 25a : 제1돌기
26 : 제1이송홈
27 : 제1베어링 27a : 제1브라켓
30 : 제2이송부 31 : 제2이송풀리
32 : 제2구동풀리 33 : 제2이송벨트
34 : 손잡이 35 : 제2고정척
35a : 제1돌기 36 : 제2이송홈
37a : 스프링 37b : 제2브라켓
37 : 제2베어링 37c : 스프링통
38 : 구동모터 38a : 모터축
40 : 촬영부 41 : 촬영프레임
42 : 카메라
50 : 박피부 51 : 박피모터
52 : 박피칼날 53 : 박피프레임
54 : 보조프레임 55 : 제1모터
56 : 제1스핀들 57 : 제2모터
58 : 제2스핀들
60 : 구동부 61 : 액츄에이터
62 : 회전모터 70 : 이탈레일
71 : 레일 80 : 배출구
100 : 박피기 200 : 컴퓨터

Claims (6)

  1. 비정형 채소의 껍질을 제거하는 박피기에 있어서,
    제1,2케이스(11)(12)으로 분할된 중앙에는 채소가 이동하는 통로(13)를 형성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제1케이스(11)에는 채소를 고정하며 이동하는 도중에 박피를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이송부(20),
    상기 케이스(10)의 제2케이스(12)에는 제1이송부(20)와 함께 채소를 고정하며 이동시키는 동시에 박피가 완료된 채소를 이탈시키는 제2이송부(30),
    상기 제1,2이송부(20)(30)에 의해 이동되는 채소의 외형을 촬영하는 촬영부(40),
    상기 제1,2이송부(20)(30)에 의해 이동되는 채소의 껍질을 촬영부(40)에 의한 형태 정보를 토대로 움직이며 박피하는 박피부(50)로 구성하되,
    상기 제1이송부(20)는 제1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이송풀리(21)와 제1구동풀리(22)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1이송벨트(23),
    상기 제1이송벨트(23)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설치하며 후방으로 드럼(24)을 형성한 제1고정척(25)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2이송부(30)는 제2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이송풀리(31)와 제2구동풀리(32)에 감겨져 회전하는 제2이송벨트(33),
    상기 제2이송벨트(33)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설치하며 후방으로 손잡이(34)를 형성한 제2고정척(35)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척(25)은 제1이송풀리(21) 및 제1구동풀리(22)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이송홈(26)에 삽입되며 제1이송벨트(23)에 연결되는 제1베어링(27),
    상기 제2고정척(35)은 제2이송풀리(31) 및 제2구동풀리(32)의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이송홈(36)에 삽입되며 제2이송벨트(33)에 연결되는 제2베어링(37)을 형성하며,
    상기 제2고정척(35)은 외면에 끼워지는 스프링(37a)이 제2베어링(37)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제2고정척(35)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복귀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1,2구동풀리(22)(32)는 제2케이스(12)의 외측에 형성된 구동모터(38)의 모터축(38a)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1)의 내부에는 박피부(50)에 위치하는 제1고정척(25)의 드럼(24)에 접촉하여 제2고정척(35)을 회전시키도록 액츄에이터(61)의 작동으로 상하 이동하는 회전모터(62)에 연결된 구동드럼(63)으로 구동부(6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부(50)는 촬영부(40)의 촬영 영상에서 채소의 외형을 스캐닝한 정보대로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박피모터(51)의 하부에서 회전하는 박피칼날(52)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부(50)를 지나친 제2케이스(12)의 내부에는 제2고정척(35)의 손잡이(34)가 끼움되어 외측으로 당겨지도록 외측으로 굴곡된 이탈레일(70)을 형성하여,
    상기 이탈레일(70)을 따라 이동하는 제2고정척(35)이 채소와 이탈되면 채소의 자중으로 제1고정척(25)에서 이탈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KR1020170077334A 2017-06-19 2017-06-19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KR101932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34A KR101932931B1 (ko) 2017-06-19 2017-06-19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34A KR101932931B1 (ko) 2017-06-19 2017-06-19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931B1 true KR101932931B1 (ko) 2018-12-27

Family

ID=6495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334A KR101932931B1 (ko) 2017-06-19 2017-06-19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9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0568A (zh) * 2020-07-28 2020-11-06 滁州质顶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离心管生产用夹持装置
CN112107007A (zh) * 2020-09-28 2020-12-22 吉林国安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中草药的剥皮机
CN114403465A (zh) * 2022-01-18 2022-04-29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橘子榨汁用内捣式橘皮分离装置
KR20220092185A (ko) * 2020-12-24 2022-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104Y1 (ko) * 2002-01-31 2002-04-20 대한민국 (경상대학교 총장) 무우 삭피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104Y1 (ko) * 2002-01-31 2002-04-20 대한민국 (경상대학교 총장) 무우 삭피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0568A (zh) * 2020-07-28 2020-11-06 滁州质顶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离心管生产用夹持装置
CN111890568B (zh) * 2020-07-28 2021-11-19 滁州质顶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离心管生产用夹持装置
CN112107007A (zh) * 2020-09-28 2020-12-22 吉林国安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中草药的剥皮机
CN112107007B (zh) * 2020-09-28 2021-09-03 吉林国安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中草药的剥皮机
KR20220092185A (ko) * 2020-12-24 2022-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KR102568256B1 (ko) 2020-12-24 2023-08-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구동 근채류 탈피기
CN114403465A (zh) * 2022-01-18 2022-04-29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橘子榨汁用内捣式橘皮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31B1 (ko) 비정형 채소의 자동 박피기
AU6423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fresh fruit
KR101851304B1 (ko) 양송이대 커팅장치
CA1295233C (en) Scrap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54975A (ko) 게 가공용 탈갑 및 절단 분리기
JP6501328B1 (ja) バナナの皮剥き方法及びバナナの皮剥き装置
CN109123697B (zh) 一种削皮机
US4561150A (en) Skinning machine having feed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4795710B2 (ja) 根菜収穫機
SE510585C2 (sv) Skalare för rotfrukter
DE102007046395A1 (de) Ablage-Abtransportvorrichtung für Lebensmittel-Schnittgut und Lebensmittel-Schneidemaschine
US20180020713A1 (en) Fruit flesh extracting machine
US3103239A (en) Citrus juice extracting machine with flavedo-albedo separating means
US5664490A (en) Melon peeler apparatus
US2989056A (en) Tobacco stripper and classifier
JP2019208370A (ja) 根菜類収穫機
US5241902A (en) Machine for cutting fruit into sections
KR101475517B1 (ko) 농산물 까는 장치
JP5999379B2 (ja) 根菜類収穫機
EP18271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kin and fat from meat parts
DE4406396C1 (de)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Aufschlagen von Eiern
JP2015188422A5 (ko)
BE1029626B1 (nl) Inrichting voor het rooien van koolgroenten, in het bijzonder bloemkolen
CN220211071U (zh) 一种甘蔗粗除杂装置
CN217791373U (zh) 去皮装置和去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