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930B1 -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930B1
KR101932930B1 KR1020180044727A KR20180044727A KR101932930B1 KR 101932930 B1 KR101932930 B1 KR 101932930B1 KR 1020180044727 A KR1020180044727 A KR 1020180044727A KR 20180044727 A KR20180044727 A KR 20180044727A KR 101932930 B1 KR101932930 B1 KR 10193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hotographing
photographing means
uav
gim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범
이상동
Original Assignee
(주)더모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모스트 filed Critical (주)더모스트
Priority to KR102018004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의 짐벌장착부에 쉽고 간편하게 짐벌을 장착할 수 있는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에 관한 것으로서, 무인항공기의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틀; 상기 제1틀의 내부에 Y축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틀; 상기 제2틀의 내부에 X축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틀; 상기 제1틀과 제2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신호에 의해 제2틀을 Y축부재를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수단; 상기 제2틀과 제3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신호에 의해 제3틀을 X축부재를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수단; 상기 촬영수단이 탑재되는 제3틀의 자세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어 촬영신호를 무선송신해 촬영수단을 동작제어하는 셔터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무인항공기의 장착부 내부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촬영수단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촬영수단이 목표물과 수평 및 연직을 이룬 상태에서 목표물을 영상촬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에 따라 왜곡 없는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Air craft gimbal}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의 짐벌장착부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촬영수단이 목표물과 수평 및 연직상태를 이루도록 도와주어 왜곡 없는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에 관한 것이다.
예전의 무인항공기는 비행하는 목적으로만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무인항공기에 전자적 장비들을 함께 구축하여 비행 이외의 다양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무인항공기는 단순히 창공을 활공하는 비행 기능의 범주를 벗어나 3D 공간 구축에 필요한 DB를 획득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군사적으로는 공격용 무기를 탑재하여 적진을 파괴할 수 있는 살상용 무기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역할 기능 수행이 가능함에 따라 무인항공기는 무인비행시스템의 용어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예전처럼 단순히 창공을 활동하는 수준을 벗어나 실제 사람만 탑승하지 않을 뿐 다양한 목적이 가능한 전자적 장비들을 탑재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무인항공기시스템에 대한 용어는 조종사가 비행체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조종(Remote Piloted),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Auto-piloted) 또는 반자동(Semi-auto-piloted) 형식으로 자율비행하거나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자체 환경 판단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와 지상통제장비(GCS:Ground Control Station/System) 및 통신장비, 지원장비 등의 전체 시스템을 내포하여 칭하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는 추세다.
무인항공기는 영문으로 다양하게 표기될 수 있는바, 드론(Drone), RPV(Remote Piloted Vehicle), UAV(Unmanned/Uninhabited/Unhumanized Aerial Vehicle), UAS(Unmanned Aircraft System), RPAV(Remote Piloted Air/Aerial Vehicle), Robot Aircraf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드론(Drone)은 사전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비행하는 무인비행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RPV는 지상에서 무선통신을 통한 원격조종으로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를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UAS는 무인항공기가 일정하게 정해진 공역뿐만 아니라 민간 공역에도 진입함에 따라 Vehicle(탈것)이 아닌 Aircraft(항공기)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한 항공기임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Robot Aircraft는 지상의 로봇 시스템과 같은 개념에서 비행하는 로봇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항공기인 무인비행시스템은 무게에 따라 무선조종모형항공기, 소형 UAV, 대형 UAV로 분류되고, 비행형태에 따라 고정익(Fixed Wing) 무인항공기, 회전익(Rotary Wing) 무인항공기, 틸트 로터형(Tilt-Rotor) 무인항공기, 동축 반전형(Co-axual) 무인항공기 등으로 분류되며, 비행 반경에 따라 근거리 무인항공기, 단거리 무인항공기, 중거리 무인항공기, 장거리 체공형 등으로 분류되고, 운용 고도에 따라, 비행 체공 시간에 따라, 비행/임무수행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사물 인터넷을 표방함에 따라 더욱 진화된 스마트 무인비행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고정익/회전인 복합 비행과 함께 수직이착륙이 가능하며 산악지대가 많은 국내 환경에 적합하여 기상관측, 산불 및 교통 감시, 정찰, 국가 재난 재해 등의 다양한 분야로 그 활용 범위가 폭넓어지는 추세다.
하지만, 이러한 무인비행시스템은 창공에서 비행하는 과정을 통하여 3D 공간정보 DB를 구축하기 위한 영상 촬영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영상 촬영 수행함에 있어 무인항공기의 하부에 짐벌을 이용해 영상촬영수단을 구축하고 있으나,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2728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0802호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의 짐벌장착부에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촬영수단이 목표물과 수평 및 연직상태를 이루도록 도와주어 왜곡 없는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의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며 외면에 제1안내부가 형성된 제1틀;
상기 제1틀의 내부에 Y축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며 외면에 제1안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제2안내부가 형성된 제2틀;
상기 제2틀의 내부에 X축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되, 내측 하단부에는 촬영수단의 렌즈가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촬영수단을 떠받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촬영수단의 너트에 체결되어 촬영수단을 고정하며 제1·2안내부로 노출되는 볼트가 설치되며, 하단에는 설치대가 형성된 제3틀;
상기 제1틀과 제2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신호에 의해 제2틀을 Y축부재를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수단;
상기 제2틀과 제3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신호에 의해 제3틀을 X축부재를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수단;
상기 촬영수단이 탑재되는 제3틀의 수평자세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어 촬영신호를 무선송신해 촬영수단을 동작제어하는 셔터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틀에는 촬영수단의 그립이 설치대를 향해 노출될 수 있게 그립노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볼트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무인항공기의 장착부 내부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촬영수단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촬영수단이 목표물과 수평 및 연직을 이룬 상태에서 목표물을 영상촬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에 따라 왜곡 없는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촬영수단을 고정하는 볼트를 제3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해 줌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촬영수단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짐벌을 무인항공기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의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의 동작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짐벌을 무인항공기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의 동작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짐벌은 제1·2·3틀(10,20,30)과 제1·2회전수단(40,50), 자이로센서(60) 및 셔터송신기(7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무인항공기(1)의 장착부(1a)에 내설되어 촬영수단(SC)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촬영수단(SC)이 목표물과 수평 및 연직을 이룬 상태에서 목표물을 영상촬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에 따라 왜곡 없는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의 무인항공기(1)는 공지의 비행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짐벌(Gimbal:100)이 설치될 수 있는 장착부(1a)를 구비한다.
참고로, 상기 장착부(1a)는 무인항공기(1)의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무인항공기(1)의 경우 해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2·3틀(10,20,30)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재질의 금속편을 이용하여 직사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치한 다음, 서로 맞대어진 부분으로 나사볼트를 체결하여 상호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한 것이다.
상기 제1·2·3틀(10,20,30)은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틀(10)의 전면에는 제2틀(20)의 Y축부재(21)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11)이 일체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1회전수단(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볼트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틀(10)의 전면 상단부에는 반원형의 제1안내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1안내부(12)는 필요에 따라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2틀(20)은 제1틀(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틀(20)의 전면에는 제1틀(10)의 축공(1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Y축부재(21)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1회전수단(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볼트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틀(10)의 전면 상단부에는 반원형을 이루며 제1틀(10)의 제1안내부(12)와 상호 연통되는 제2안내부(22)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2안내부(22)는 필요에 따라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틀(20)의 좌측면에는 제2회전수단(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볼트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3틀(30)의 X축부재(31)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제1·2틀(10,20)의 제1·2안내부(12,22)를 통해 볼트(35)가 노출됨에 따라 관리자가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해 볼트(35)를 쉽고 간편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틀(30)은 제2틀(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촬영수단(SC)이 착탈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제3틀(30)의 전면에는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되고 제1·2안내부(12,22)과 상호 연통되는 체결공(37)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체결공(37)에는 촬영수단(SC)의 너트부(c)와 상호 체결되어 촬영수단(SC)이 제3틀(3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35:나사볼트)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3틀(30)의 좌측면에는 제2회전수단(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볼트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제2틀(30)의 축공(2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X축부재(3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틀(30)의 내측 하단부 일측에는 상호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안착부(32)가 형성되고, 안착부(32) 사이에는 렌즈노출부(33)가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촬영수단(SC)을 제3틀(30)의 내측에 배치하게 되면, 촬영수단(SC)은 안착부(32)에 얹혀져 지지되고, 촬영수단(SC)의 렌즈(a)는 렌즈노출부(33)를 통해 하방으로 노출되며, 볼트(35)에 의해 견고하게 제3틀(30)에 고정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제3틀(30)의 내면과 안착부(32)의 상면에는 무인항공기(1)로부터의 진동을 완충하여 촬영수단(SC)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완충부재(예:고무판 등)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3틀(30)의 내측 하단부 타측에는 구멍이 형성된 설치대(36)가 형성되고, 설치대(36)에는 촬영신호를 무선송신해 촬영수단(SC)을 동작제어하는 셔터송신기(70)가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촬영신호는 무인항공기(1)에 설치된 컨트롤러에서 송신하거나 관리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촬영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1·2회전수단(40,50)은 회전신호에 의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서보모터이다.
일 예로서, 상기 제1회전수단(40)은 제1틀(10)과 제2틀(2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신호를 전달받아 제2틀(20)을 Y축부재(21)를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일 예로서, 상기 제2회전수단(50)은 제2틀(20)과 제3틀(3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신호를 전달받아 제3틀(20)을 X축부재(31)를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상기 자이로센서(60)는 촬영수단(SC)이 탑재되는 제3틀(30)에 설치되어 제3틀(30)의 수평자세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자이로센서(60)에서 측정된 값은 무인항공기(1)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전달되고, 컨트롤러(미도시)는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제3틀(30)이 수평 및 연직상태에 놓이도록 제1·2회전수단(40,50)을 동작제어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서, 무인항공기(1)가 Y축으로 30° 기울어져 있다면, 무인항공기(1)에 설치된 짐벌의 제3틀(30) 역시 30°로 기울어져 있을 것이 자명하며, 이와 같은 제3틀(30)의 기울어진 값을 자이로센서(60)가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무인항공기(1)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인항공기(1)의 컨트롤러(미도시)는 제3틀(30)이 수평상태에 놓여질 수 있게 제1회전수단(40)을 이용해 제3틀(30)과 상호 연결된 제2틀(20)이 Y축을 중심으로 -30°만큼 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게 되며, 이에 의해 제3틀(30)은 수평 및 연직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에 따라 제3틀(30)에 탑재된 촬영수단(SC)이 목표물과 수평 및 연직을 이룬 상태에서 목표물을 촬영할 수 있게 되므로 왜곡 없는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 예로서, 무인항공기(1)가 X축으로 -10° 기울어져 있다면, 무인항공기(1)에 설치된 짐벌의 제3틀(30) 역시 -10°만큼 기울어져 있을 것이 자명하며, 이와 같은 제3틀(30)의 기울어진 값을 자이로센서(60)가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무인항공기(1)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인항공기(1)의 컨트롤러(미도시)는 제3틀(30)이 수평상태에 놓여질 수 있게 제2회전수단(50)을 이용해 제3틀(30)을 X축을 중심으로 10°만큼 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게 되며, 이에 의해 제3틀(30)은 수평 및 연직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에 따라 제3틀(30)에 탑재된 촬영수단(SC)이 목표물과 수평 및 연직을 이룬 상태에서 목표물을 촬영할 수 있게 되므로 왜곡 없는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 예로서, 무인항공기(1)와는 별개로, 본 발명에 따른 짐벌(JB)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으로 -10°, Y축으로 -10°만큼 기울어져 있는 경우 기울어진 값을 자이로센서(60)가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무인항공기(1)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무인항공기(1)의 컨트롤러(미도시)는 제3틀(30)이 수평상태에 놓여질 수 있게 제2회전수단(50)을 이용해 제3틀(30)을 X축을 중심으로 10°만큼 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고, 제1회전수단(40)을 이용해 제3틀(30)과 상호 연결된 제2틀(20)이 Y축을 중심으로 10°만큼 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제3틀(30)을 수평 및 연직상태에 놓이도록 도와줄 수 있다.
상기 셔터송신시(70)는 제3틀(30)의 설치대(36)에 장착되어 촬영신호를 무선송신해 촬영수단(SC)이 목표물을 촬영하도록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셔터송신시(70)는 무인항공기(1)에 설치된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의 촬영신호를 수신받아 촬영수단(SC)를 동작제어할 수도 있고, 관리자가 휴대하고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의 촬영신호를 수신받아 촬영수단(SC)을 동작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그립부(b)가 있는 촬영수단(SC)은 제3틀(3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틀(30)의 내측 하단부 타측에는 촬영수단(SC)의 그립부(b)가 수용되어 설치대(36)를 향해 노출되는 그립노출부(33)를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와 같이 그립노출부(33)를 보강해 줌으로서 그립부(b)가 구비된 촬영수단(SC)로 쉽고 간편하게 제3틀(30)에 설치해 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한편, 상기 제3틀(30)의 볼트(35)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촬영수단(SC)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볼트(35)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체결공(37)을 장공형태로 형성하였으며, 이 장공형태의 체결공(37)에 볼트(35)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볼트(35)를 제3틀(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해 줌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촬영수단(SC)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범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무인항공기 1a: 짐벌장착부 JB: 짐벌
SC: 촬영수단 a: 렌즈부 b: 그립부
c: 너트부 10: 제1틀 11: 축공
12: 제1안내부 20: 제2틀 21: Y축부재
22: 제2안내부 23: 축공 30: 제3틀
31: X축부재 32: 안착부 33: 렌즈노출부
34: 그립노출부 35: 볼트 36: 설치대
37: 체결공 40: 제1회전수단 50: 제2회전수단
60: 자이로센서 70: 셔터송신기

Claims (3)

  1. 무인항공기의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며 외면에 제1안내부가 형성된 제1틀;
    상기 제1틀의 내부에 Y축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며 외면에 제1안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제2안내부가 형성된 제2틀;
    상기 제2틀의 내부에 X축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되, 내측 하단부 일측에는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어 촬영수단을 떠받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 사이에는 촬영수단의 렌즈가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렌즈노출부가 형성되며, 내측 하단부 타측에는 촬영수단의 그립이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그립노출부가 형성되며, 그립노출부의 하부에는 설치대가 배치되며, 외면에는 촬영수단의 너트에 체결되어 촬영수단을 고정하며 제1·2안내부로 노출되는 볼트가 설치된 제3틀;
    상기 제1틀과 제2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신호에 의해 제2틀을 Y축부재를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수단;
    상기 제2틀과 제3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신호에 의해 제3틀을 X축부재를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수단;
    상기 촬영수단이 탑재되는 제3틀의 자세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어 촬영신호를 무선송신해 촬영수단을 동작제어하는 셔터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3. 삭제
KR1020180044727A 2018-04-18 2018-04-18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KR101932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27A KR101932930B1 (ko) 2018-04-18 2018-04-18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27A KR101932930B1 (ko) 2018-04-18 2018-04-18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930B1 true KR101932930B1 (ko) 2018-12-27

Family

ID=6495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727A KR101932930B1 (ko) 2018-04-18 2018-04-18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9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976B1 (ko) * 2021-12-27 2022-07-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짐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5535278A (zh) * 2022-11-01 2022-12-30 数字鹰航空科技(泰州)有限公司 一种警用无人机侦查拍照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55B1 (ko) * 2010-12-16 2012-03-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자세 센서를 이용한 gps 안테나용 능동형 짐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55B1 (ko) * 2010-12-16 2012-03-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자세 센서를 이용한 gps 안테나용 능동형 짐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976B1 (ko) * 2021-12-27 2022-07-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짐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5535278A (zh) * 2022-11-01 2022-12-30 数字鹰航空科技(泰州)有限公司 一种警用无人机侦查拍照装置及使用方法
CN115535278B (zh) * 2022-11-01 2023-07-07 数字鹰航空科技(泰州)有限公司 一种警用无人机侦查拍照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87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abilizing a payload
US202103029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abilizing a payload
US11199858B2 (en) Thrust vectored multicopters
US202000033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gimbal
US10766635B2 (en) Stabilizing platform
US110159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ensor calibration
CN109708636B (zh) 导航图配置方法、避障方法以及装置、终端、无人飞行器
US10563985B2 (en) Inertial sensing device
US20220137643A1 (en) Aircraft control method and aircraft
US10222795B2 (en) Multi-rotor UAV flight control method and system
US106578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 relative guidance
EP2772725B1 (en) Aerial Photographing System
CN109219785B (zh) 一种多传感器校准方法与***
US20210044005A1 (en) Antenna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7193208A (ja) 小型無人航空機
CN114935937A (zh) 用于控制可移动物体的方法和***
KR101932930B1 (ko) 영상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장착용 짐벌
US20180186471A1 (en) 360 Degree Camera Mount for Drones and Robots
KR102044912B1 (ko)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크랙을 탐지하는 무인항공기
RU2248307C1 (ru) Система наблюдения за наземной обстановкой
JP2007106269A (ja) 無人ヘリコ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