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430B1 -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 Google Patents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430B1
KR101932430B1 KR1020160148487A KR20160148487A KR101932430B1 KR 101932430 B1 KR101932430 B1 KR 101932430B1 KR 1020160148487 A KR1020160148487 A KR 1020160148487A KR 20160148487 A KR20160148487 A KR 20160148487A KR 101932430 B1 KR101932430 B1 KR 10193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ver
furniture
upper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254A (ko
Inventor
윤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to KR102016014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4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2Height and inclination adjustable desktop, either separately or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구본연의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어 스탠딩 자세에서도 가구의 상판을 사용할 수 있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구는 가구본체; 가구본체의 상면테두리를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패널부; 수납공간내에 위치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조절부; 패널부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도록 또한 수납공간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조절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도록 하여, 조절부의 미조작시에는 가구본체와 패널부 및 상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가구로 구성되고, 조절부의 조작시에는 상판의 경사각이 양측방향(A,B)으로 조절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로부터 상판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Multi-functional purpose Furniture for standing work}
본 발명은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에 관한 것으로, 서랍식 사무용 및 가정용 가구, 이동식 서랍장, 보조협탁 등등의 가구에 장착되어, 가구 본연의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 또는 서 있는 자세로 가구의 상판을 활용할 수 있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요나 옷가지 등을 수납보관하는 장롱, 옷가지 등을 수납하는 서랍장, 독서를 행하는 책상 및 책장, 화장을 행하는 화장대 등등을 의미하며, 집안 또는 사무실등의 제한된 공간내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가구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한된 공간내에 서로 다른 기능을 구비하는 다양한 가구를 배치하게 되면 실내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단일기능의 가구보다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구 등 주변 생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형태의 다용도 가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가족구성원의 변화로 인하여, 1∼2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소형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 등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어,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용도 가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다용도 가구는 침대와 책상, 책장과 책상, 수납장과 건조대, 수납장과 테이블 등등 두 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순히 부가되거나 절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조립 및 분해되는 과정에서 연결구조가 복잡하고 안정적이지 못하여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다용도 가구는 부가되는 기능의 가구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어, 가구 본연의 미관을 구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서랍식 가구 등과 같이 그 구성이 단순한 가구는 본연의 기능이외에 또다른 기능을 부가할 수 없어, 그 활용도가 한정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59668(2016.09.19)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2868(2006.12.0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46942(2015.08.18)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105120(2011.09.26)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본연의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가구의 상판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어 스탠딩 자세에서도 상판을 사용할 수 있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구는 가구본체; 가구본체의 상면테두리를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패널부; 수납공간내에 위치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조절부; 패널부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도록 또한 수납공간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조절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도록 하여, 조절부의 미조작시에는 가구본체와 패널부 및 상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가구로 구성되고, 조절부의 조작시에는 상판의 경사각이 양측방향(A,B)으로 조절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로부터 상판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구 상판의 경사각 및 높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가구본연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상판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구본체의 상측에 형성된 수납공간내로 조절부가 삽입설치되고, 상판에 의해 수납공간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조절부가 은폐되어 가구본체와 패널부 및 상판로 이루어진 하나의 가구로 깔금하고 수려한 외관을 구비하고, 필요시에는 패널부를 펼쳐서 상판의 경사각 또는 높이를 조절하여 상판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랍, 수납 등의 가구본연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테이블 또는 책상으로 기능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협소공간내에서의 공간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가구 상판의 경사각이 양측방향으로 조절되고, 가구본체로부터 상판이 상승되도록 되어 있어, 이젤, 화판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앉거나 서 있는 상태에도 상판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내의 수납공간에 적절하게 배치되어, 수납, 탁자, 화장대, 독서대 등으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스탠딩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어, 실내의 배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절부의 제1,2각도조절부내에 제1,2완충스프링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상판의 급격한 회전이동에 따른 부품간의 충돌로 인한 소음 및 파손현상이 방지될 뿐 아니라, 제1,2완충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상판의 경사각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제1,2각도조절부는 조절레버의 작동레버와 작동대가 소정의 각도를 구비하도록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도 상판 각도를 쉽게 조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절부의 부품수가 비교적 적고, 그 구조 및 연결관계가 매우 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가구본체의 상측에 형성된 제한된 공간이 수납공간내에 은폐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우수한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판을 서로 반대반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제1,2각도조절부의 작동레버가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가구본체의 상측에 형성된 제한된 공간이 수납공간내에 효율적으로 제1,2각도조절부의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2각도조절부에 의해 제1,2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판이 양측방향으로 다단 틸팅되도록 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제도판이나 화판대 또는 독서대 등과 같이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각각의 작업특성에 따른 별도의 장비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서관 또는 사무실 등에서 상판에 서류 또는 책을 놓을 수 있는 용도로 사용가능할 뿐 아니라, 상판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상판에 놓인 서류나 책 등에 사용자의 시선을 편안하게 맞춤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스탠딩상태에서 장시간 서류나 책을 보더라도 목이 경직되어 머리가 무겁고 시신경이 자극되어 시력이 저하되거나 눈이 아파오는 현상 등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모두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그 구성이 매우 견고하며,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조절장치와 같이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단가가 저렴하고, 경제성을 구비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의 제1,2각도조절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의 제1,2각도조절부 작동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 및 높이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상판수평)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 및 높이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상판경사)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의 제1,2각도조절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의 제1,2각도조절부 작동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 및 높이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상판수평)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 및 높이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상판경사)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랍, 수납 등으로 활용되는 가구에 있어서, 가구의 상판에 대한 경사각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구본연의 기능이외에 상판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가구본체(700)와, 가구본체(700)의 상면테두리를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880)을 형성하는 패널부(800)와, 수납공간내에 위치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740)에 고정설치되는 조절부(900)와, 패널부(800)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도록 또한 수납공간(880)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조절부(900)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상판(500)을 포함하도록 하여,
조절부(900)의 미조작시에는 가구본체와 패널부 및 상판에 의해 하나의 가구로 구성되고, 조절부(900)의 조작시에는 상판(500)의 각도가 양측방향(A,B)으로 조절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스탠딩 상태로 상판이 사용가능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740)로부터 상판(5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980)는, 가구본연의 기능을 구비하는 가구본체 상측에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880)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880)내에 제1,2각도조절부를 구비하는 조절부(900)가 설치되어,
조절부(900)의 미작동시에는 조절부의 상측에 설치된 상판(500)이 패널부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며 수납공간(880)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고,
제1각도조절부(100)의 조절작동시에는 상판(500) 및 지지프레임(400)이 제1힌지축(150)을 중심으로 일측방향(A)으로 회전되어 상판(500)의 경사각이 조절되며,
제2각도조절부(200)의 조절작동시에는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이 타측방향(B)으로 회전되어 상판(500)의 경사각이 조절되고,
제1,2각도조절부(100,200)의 조절작동시에는 제1,2힌지축(150,2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이 회전이동되어 가구본체 상면으로부터 상판(500)의 높이 및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구본체(700)는 조절부(900) 및 패널부(800)가 설치될 수 있는 상면(740)을 구비하는 가구를 의미하며, 서랍장, 화장대, 협탁, 수납장 등등 테이블의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공지의 가구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서랍을 구비하는 서랍장이 가구본체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널부(800)는 경첩(840)에 의해 가구본체의 상면(740)에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가구본체의 측면판(730)과 후면판(720) 및 전면판(710)에 연장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패널로 구성된다.
즉, 상기 패널부(800)는 도 2, 도 5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810)과, 후면패널(820) 및 측면패널(8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면패널(810), 후면패널(820), 측면패널(830)은 경첩(840)에 의해 가구본체(700) 상면(740)의 테두리를 따라 상면(740)에 수직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810), 후면패널(820) 및 측면패널(830)은 가구본체(700)와 동일한 색상 및 재질로 이루어져 가구본체와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첩(840)은 패널의 내측면 및 가구본체의 상면에 연결설치되어 전/후/측면패널(810,820,830)이 외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경첩(840)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가구본체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또한, 측면패널과 가구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숨은경첩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경첩(840)은 서랍장과 같이, 전면판이 이동되는 가구본체의 경우, 가구본체와의 사이에 단차 및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후면패널(820)과 측면패널(830)은 숨은경첩 중 인도어 경첩(인세트형)이 연결설치되고, 전면패널(810)은 숨은경첩 중 아웃도어 경첩이 연결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부 중, 전면패널(810)은 가구본체의 전면판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도록 일예로 가구본체가 서랍장일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서랍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경첩(840)에 의해 설치되는 패널부(800)는 전/후/측면패널(810,820,830)이 가구본체의 상면(740)에 수직되게 연결설치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좌/우면이 모두 막힌 상태의 수납공간(88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납공간(880)은 조절부(900)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공간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800)의 미개폐시에는 전/후/좌/우면이 모두 막히고 상부만이 개방된 상태를 구비하여 내부에 안착설치된 조절부(9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880)은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패널부의 전/후/측면패널(810,820,830)을 회전시키면, 도 5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9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다.
상기 조절부(900)는 상판(500)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판의 양방향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패널부의 전면패널(810) 또는 후면패널(820)을 회전시켜, 수납공간(880)을 일부 오픈시킨 후,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조절부(90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본체 상면(740)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부(600)와, 지지부(600)에 하측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지지프레임(400)의 일측단이 제1힌지축(150)에 의해 결합되는 제1각도조절부(100)와, 지지프레임(400)의 타측단에 하측이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제2각도조절부(200)와, 제2각도조절부(200)에 회전가능하도록 제2힌지축(250)에 의해 결합되고 상판(500)의 하부면(510)에 고정설치되는 상판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600)는 수납공간내에 위치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740)에 고정설치되는 메인지지대(610)와, 상기 메인지지대(6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연결지지대(62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지지대(610)와 연결지지대(620)는 서로 교차되도록 일체로 설치된다. 일예로, 상기 지지부(600)는 2개의 메인지지대(610)가 서로 평행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가구본체의 상면(74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2개의 메인지지대(610)에 양측이 일체로 연결하도록 연결지지대(620)가 일측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각도조절부(100)는, 지지부(600) 즉, 지지부의 연결지지대(620)에 하측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상측이 제1힌지축(150)에 의해 지지프레임(400)에 연결설치되며, 복수의 결합홈(111)이 형성된 제1조절지지대(110)와, 지지프레임(400)에 회전가능하도록 측면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1조절레버(120)와, 지지프레임(400)을 관통하는 제1조절레버(120)에,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제1조절지지대의 결합홈(111)내로 삽입결합되는 결합봉(131)이 하단에 일체로 형성설치된 제1작동대(130)와, 제1조절레버(120)가 삽입관통되고, 일측이 제1작동대(130)에 접촉지지되며, 타측이 지지프레임(400)에 접촉지지되는 제1탄성부(140)와, 제1조절지지대(110)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지지프레임(400)에 지지되도록 제1힌지축(150)에 연결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1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조절지지대(110)는 하단이 용접 등에 의해 지지부(600) 일예로, 지지부의 연결지지대(610)에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지프레임(20)이 회전가능하도록 제1힌지축(150)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지지대(110)는 상판의 경사각 미조절작동 즉, 제1,2각도조절부의 미조절작동시, 상단(112)이 지지프레임(300)에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1조절지지대의 상단(112)이 지지프레임(300)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경우, 상판이 좀더 견고하게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1조절지지대(110)는 제1힌지축(150)을 중심으로 동일반경을 구비하도록 일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111)은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111)은 제1조절지지대(110)의 강도 및 결합봉(131)의 지지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1조절지지대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소정간격을 유지하고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힌지축(150)을 중심으로 등각도를 구비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1조절지지대(110)는 일측면에서 관찰할 경우,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 테두리 즉, 호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지지대(110)에 형성된 결합홈(111)의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제1조절지지대의 결합홈(111)내로 삽입되어 고정될 경우, 상판이 0°(상판수평상태) ∼ 90°(상판 수직상태)의 경사각(θ1)을 구비하며 틸팅 또는 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지지대(110)는 단일패널 형태로 지지부(600)의 연결지지대(620)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개가 소정거리 이격되고, 그 사이로 제1작동대(130)가 삽입되도록 지지부(600)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상판 지지력, 결합봉의 지지력을 증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조절지지대(110)는 ㄷ자형상의 단면구조를 구비하도록 즉, 소정거리 이격된 제1조절지지대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각도조절부(110)는 제1조절지지대(110) 결합홈(11)의 개방된 부위가 타측방향(B)으로 향하도록 지지부(400)에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판을 일측방향(A)으로 상승회전시킨다.
상기 제1조절레버(120)는 손잡이(121)가 설치되는 작동레버(122)와, 상기 작동레버(122)와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지지프레임(400)과 제1탄성부(140)를 관통하도록 제1작동대(130)와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연결레버(123)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레버(122)는 끝단에 손잡이(121)가 설치되며,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판(500)의 전후 길이방향(L)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21)는 상판(500)의 전후 길이방향(L) 또는 상판의 폭방향(W)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레버(123)는 상판의 폭방향(W)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작동레버(122)와 일체로 연결 또는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작동레버(122)와 연결레버(123)는 단일소재의 굽힘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21)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121)가 없는 상태에서도 제1조절레버(120)의 작동은 충분히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조절레버(120)는 제1힌지축(15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4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조절레버(120)는 연결레버(123)가 제1힌지축(15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4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122)는 그 설치방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연결레버(123)를 기준으로 타측방향(B)으로 위치하도록 연결레버(123)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작동대(130)는 용접 등에 의해 상단이 제1조절레버(120) 즉, 제1조절레버의 연결레버(123)에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제1조절지지대의 결합홈(111)내로 삽입되는 결합봉(131)이 하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작동대(130)는 제1조절레버(120) 및 결합봉(131)이 상/하단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결합패널(132)과, 상기 결합패널(132)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1탄성부(140)의 타측단이 접촉지지되는 지지패널(13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작동대(130)는 결합패널(132)과 지지패널(133)이 일체로 연결된 ㄱ자 단면형상의 프레임구조 또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2개의 결합패널(132)이 지지패널(1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ㄷ자 단면형상의 프레임구조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작동대(130)는 제1조절레버의 작동레버(122)에 대하여, 직각 또는 둔각의 경사각(θ3)을 구비하도록 제1조절레버(120)의 연결레버(123)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둔각을 구비하도록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사각(θ3)의 설정은 사용자가 한 손에 의해 제1조절레버(120)를 작동하여 제1힌지축(1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의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경사각(θ3)이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제1조절레버(120)의 연결레버(123)에 제1작동대(130)가 고정설치될 경우,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판(500)과 작동레버(122)를 동시에 잡고, 상판(500)을 지지점으로 하여 작동레버(122)를 상판방향으로 손쉽게 당김작동시켜, 제1조절지지대(110)의 결합홈(111)으로부터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탄성부(140)는 일측단(141)이 지지프레임(400)에 접촉지지되고, 타측단(142)이 제1작동대(130)에 접촉지지되며, 몸통(143)내로 제1조절레버의 연결레버(123)가 관통되도록, 지지프레임(400)과 제1작동대(130) 및 제1조절레버(1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1탄성부(140)는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제1조절지지대의 결합홈(131)내로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며, 이와 같은 제1탄성부(140)는 일예로 토션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완충스프링(160)은 제1각도조절부(100)에 의한 상판(500)의 각도조절시, 적은 힘으로도 상판이 상승회전되도록 하는 기능 및, 지지프레임(400)의 급격한 회전으로 인한 지지부(600)와의 충돌 및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1완충스프링(160)은 일측(161)이 지지프레임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162)이 제1조절지지대 또는 지지부의 연결지지대(620)에 접촉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코일부(163)내로 제1힌지축이 삽입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완충스프링의 일측은 제1작동대(130)에 연결설치된 제1조절레버(120)의 연결레버(123)와 지지프레임(4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각도조절부(100)는 제1조절레버의 작동레버(122)를 상부방향으로 당기어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레버(123)와 일체로 연결된 제1작동대(130)가 제1탄성부(140)를 압축하며 회전됨과 동시에,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제1조절지지대의 결합홈(111)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완충스프링(160)의 탄력성 및 사용자의 힘에 의해 제1힌지축(1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이 회전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각도조절부(100)는 제2각도조절부(200)의 미조절작동 시, 제1조절지지대(11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합홈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결합홈내로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삽입결합되게 되면, 상판(500)이 가구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상태(0°)를 유지하게 되고, 제1조절지지대(11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합홈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결합홈내로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삽입결합되게 되면, 거의 수직상태 또는 수직상태(90°)가 되도록 상판이 일측방향(A)으로 회전된다.
즉,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삽입결합되는 제1조절지지대(110)의 결합홈(111) 위치에 따라 제1회전축(150)을 중심으로 상판의 경사각(θ1)이 다단으로 조절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일측에 제1각도조절부(100)가 제1힌지축(150)에 의해 연결설치되고, 타측에 제2각도조절부(200)가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제2각도조절부(200)의 미조절작동시 상판 하부면(510)이 접촉되어 상판(50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상판 하부면(510)을 접촉지지하는 상단패널(410)과, 상기 상단패널(4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조절레버(120)가 관통설치되는 측단패널(4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단패널(410)과 측단패널(420)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형의 프레임구조 또는, 상단패널(410)의 양측에 측단패널(420)이 하부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즉, 하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의 프레임구조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의 프레임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00)에는 제2각도조절부(2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삽입홈(4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430)은 상단패널(410) 및 측단패널(420)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00)에는 제2각도조절부(200)의 연결설치를 위한 지지대(440)가 상판의 폭방향(W)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각도조절부(200)는, 지지프레임(400)의 일측에 하측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상측이 제2힌지축(250)에 의해 상판프레임(300)에 연결설치되며, 복수의 결합홈(211)이 형성된 제2조절지지대(210)와,
상판프레임(300)에 회전가능하도록 측면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2조절레버(220)와,
상판프레임(300)를 관통하는 제2조절레버(220)에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제2조절지지대의 결합홈(211)내로 삽입결합되는 결합봉(231)이 하단에 일체로 설치된 제2작동대(230)와,
제2조절레버(220)가 삽입관통되고, 일측이 제2작동대(230)에 접촉지지되며, 타측이 상판프레임(300)에 접촉지지되는 제2탄성부(240)와,
제2조절지지대(210)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상판프레임(300)에 지지되도록 제2힌지축(250)에 연결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26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조절지지대(210)는 하단이 용접 등에 의해 지지프레임(400)의 일측 즉, 지지대(440)에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제2힌지축(250)에 의해 상판프레임(30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조절지지대(210)는 제2각도조절부(200)의 미작동시에는 상단(212)이 , 상판프레임(300) 또는 상판 하부면(510)에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판(500)이 가구본체의 상면(740)에 대하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조절지지대(210)는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동일반경을 구비하도록 일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211)은 제2작동대의 결합봉(231)이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211)은 제2조절지지대(210)의 강도 및 결합봉(231)의 지지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2조절지지대(210)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소정간격을 유지하고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등각도를 구비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조절지지대(210)는 일측에서 관찰할 경우,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 테두리 즉, 호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결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지지대(210)에 형성된 결합홈(211)의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제2작동대의 결합봉(231)이 제2조절지지대의 결합홈(211)내로 삽입되어 고정될 경우, 상판이 0°(상판수평상태) ∼ 150°의 경사각(θ2)을 구비하며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지지대(210)는 단일패널 형태로 지지프레임(400)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개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그 사이로 제2작동대(230)가 삽입되도록 지지프레임(400)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상판지지력, 결합봉의 지지력을 증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조절지지대(210)는 ㄷ자형상의 단면구조를 구비하도록 즉, 소정거리 이격된 제2조절지지대(210)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조절지지대(210)는 일측방향(A)으로 결합홈(211)의 개방된 부위가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400)에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제2힌지축(260)을 중심으로 상판을 타측방향(B)으로 상승회전시킨다.
상기 제2조절레버(220)는 손잡이(221)가 설치되는 작동레버(222)와, 상기 작동레버(222)와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상판프레임(300)와 제2탄성부(240)를 관통하고 제2작동대(230)와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연결레버(223)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레버(222)는 끝단에 손잡이(221)가 설치되며,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판(500)의 전후길이방향(L)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레버(223)는 상판의 폭방향(W)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작동레버(222)와 일체로 연결 또는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작동레버(222)와 연결레버(223)는 단일소재의 굽힘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레버의 손잡이(221)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조절레버(220) 역시 손잡이(221)가 없는 상태에서도 충분히 작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조절레버(220)는 제2힌지축(250)으로 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상판프레임(300)을 측면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조절레버(220)는 연결레버(223)가 제2힌지축(25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상판프레임(3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222)는 그 설치방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연결레버(223)를 기준으로 일측방향(A)으로 위치하도록 연결레버(223)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조절레버(120)의 작동레버(122)는 타측방향(B)으로 위치하도록 연결레버(123)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2조절레버(220)의 작동레버(222)는 일측방향(A)으로 위치하도록 연결레버(223)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끝단이 서로 근접되며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레버(223)는 제2조절레버(220)의 미작동시에는, 지지프레임의 삽입홈(430)내로 삽입되어, 상판 하부면(510)이 지지프레임(400)의 상단패널(410)에 면접촉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작동대(230)는 용접 등에 의해 상단이 제2조절레버(220) 즉, 제2조절레버부의 연결레버(223)에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제2조절지지대의 결합홈(211)내로 삽입되는 결합봉(231)이 하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작동대(230)는 제2조절레버(220) 및 결합봉(231)이 상/하단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결합패널(232)과, 상기 결합패널(232)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2탄성부(240)의 타측단(242)이 접촉지지되는 지지패널(23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작동대(230)는 결합패널(232)과 지지패널(233)이 연결된 ㄱ자 단면형상의 프레임구조 또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2개의 결합패널(232)이 지지패널(2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ㄷ자 단면형상의 프레임구조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작동대(230)는 제2조절레버의 작동레버(222)에 대하여, 직각 또는 둔각의 경사각(θ4)을 구비하도록 제2조절레버(220)의 연결레버(223)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둔각을 구비하도록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사각(θ4)의 설정은 제1조절레버의 작동과 같이, 사용자가 한 손에 의해 제2조절레버(220)를 작동하여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의 경사각(θ4)을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탄성부(240)는 일측단(241)이 상판프레임(300)에 접촉지지되고, 타측단(242)이 제2작동대(230)에 접촉지지되며, 몸통(243)내로 제2조절레버의 연결레버(223)가 관통되도록, 상판프레임(500)과 제2작동대(230) 및 제2조절레버(2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2탄성부(240)는 제2작동대의 결합봉(231)이 제2조절지지대의 결합홈(211)내로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제2탄성부(240)는 일예로 토션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완충스프링(260)은 제2각도조절부(200)에 의한 상판의 회전작동시, 적은 힘으로도 상판이 상승회전되도록 하는 기능 및, 상판프레임(300)의 급격한 회전으로 인한 지지프레임(400)와의 충돌 및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2완충스프링(260)은 일측(261)이 상판프레임(300)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262)이 제2조절지지대(210) 또는 지지프레임의 지지대(440)에 접촉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코일부(263)내로 제2힌지축(250)이 삽입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일측은 제2작동대(230)에 연결설치된 제2조절레버(220)의 연결레버(223)와 상판프레임(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각도조절부(200)는 제2조절레버의 작동레버(222)를 상판방향으로 당기어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레버(223)와 일체로 연결된 제2작동대(230)가 제2탄성부(240)를 압축하며 회전됨과 동시에, 제2작동대의 결합봉(231)이 제2조절지지대의 결합홈(211)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제2완충스프링(260)의 탄력 및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판(500)이 회전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각도조절부(100)의 미조작상태에서, 제2조절지지대의 복수 결합홈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결합홈내로 제2작동대의 결합봉이 삽입결합될 경우, 상판(500)이 가구본체의 상면과 평행한 수평상태(0°)를 유지하게 되고, 제2조절지지대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결합홈내로 제2작동대의 결합봉이 삽입결합될 경우,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이 타측방향(B)으로 회전된다. 즉, 제2조절지지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에 의해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판의 각도가 다단으로 틸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2각도조절부(100,200)는 상판(500)의 일측 하부에만 위치하도록 설치되거나, 상판(500)의 양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각도조절부(100,200)이 상판의 일측 하부에만 위치하도록 설치될 경우, 상판(500)의 타측 하부에는 제1,2힌지축(150,250)과 각각 동일중심축을 구비하며 상판(5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공지의 힌지연결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각도조절부(100,200)가 양측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경우, 양측에 위치하는 제1각도조절부의 제1조절레버(120)가 동기화되어 작동되도록 즉, 하나의 연결레버(123) 양측에 작동레버(1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양측에 위치하는 제2각도조절부의 제2조절레버(220) 역시, 하나의 연결레버(223) 양측에 작동레버(2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절부(900)는, 제1각도조절부(100)의 작동에 의해 상판(500)의 경사각(θ1)이 조절되어 일측방향(A)으로 상판(500)이 회전이동가능하게 되고, 제2각도조절부(200)의 작동에 의해 상판의 경사각(θ2)이 조절되어 타측방향(B)으로 상판이 회전이동가능하게 되며, 제1,2각도조절부(100,200)의 복합작동에 의해 상판(500)의 높이가 조절됨과 동시에, 높이조절 후에도 상판(500)이 타측방향(B)으로 조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각도조절부(100,200)는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판(50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도록 대칭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판프레임(300)은, 상판 하부면(510)에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제2힌지축(250)에 의해 제2각도조절부(200)와 연결설치된다.
상기 상판프레임(300)은 상판 하부면(510)에 고정설치되는 상단패널(310)과, 상기 상단패널(310)에 일체로 형성설치되어 제2조절레버(220)의 일측이 관통되는 측면패널(3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프레임(300)은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단패널(310)과 측면패널(320)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형의 프레임구조 또는, 상단패널(310)의 양측에 측면패널(320)이 하부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즉, 하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의 프레임구조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의 프레임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판프레임(300)은 상판 하부면(510)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상판 지지력 및 조절레버부의 조작력 향상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프레임(300)은 상판 하부면(510) 양측에 위치하되, 양측에 위치하는 상판프레임(300)이 제1연결프레임(330)과 제2연결프레임(340)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프레임을 구비하도록 상판(50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500)은 패널부의 수납공간내로 삽입되어 가구본체의 상부패널 기능을 구비할 뿐 아니라, 조절부의 조작시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테이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판(500)에는 받침지지대(540)가 폭방향(W)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지지대(540)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550)에 의해 상판(5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에 지지봉(550)이 삽입관통되는 가이드홈(5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541)은 서로다른 길이를 구비하는 제1,2가이드홈(542,543)의 하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541)은 'V'자형상으로 받침지지대(54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542)의 길이(A1)는 제2가이드홈(543)의 길이(A2) 보다 긴 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가이드홈(542)의 상단(542a)에 지지봉(550)이 접촉될 경우, 받침지지대의 상단(544)은 상판의 상부면(570) 즉, 상판 상부면에 일치하게 되고, 제2가이드홈(543)의 상단(543a)에 지지봉(550)이 접촉될 경우, 받침지지대의 상단(544)은 상판의 상부면(570)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판의 경사각(θ2)이 조절될 경우, 즉, 상판이 경사를 구비하게 될 경우, 받침대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받침지지대(540)는 상판의 일측면(530) 또는 타측면(560)에 설치되거나, 일측면(530)과 타측면(54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홈(제1,2결합홈)이 형성된 제1조절지지대와, 4개의 결합홈(제1,2,3,4결합홈)이 형성된 제2조절지지대를 일예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 조절부의 미작동상태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구본체의 상면에 패널부의 전/후/좌/우면패널이 수직되게 형성되어 전/후/좌/우가 막힌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내에 위치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에 조절부가 설치되며, 가구본체의 상면에 평행하도록 조절부에 상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조절부에 설치된 상판의 높이는 패널부의 전/후/좌/우패널과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게 되어, 패널부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의 개방된 상부는 상판에 의해 폐쇄되게 된다. 즉, 가구본체의 외부에서는 조절부가 보이지 않게 되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의 전/후/좌/우패널 및 상판이 서랍장(가구본체)에 연장되어 서랍장 본연의 모습만이 보이게 된다.
이때, 가구본체의 상면에 설치된 조절부는, 제1,2작동대의 결합봉(131,231)이 제1,2탄성부(140,240)의 탄력에 의해 제1,2조절지지대의 제1결합홈(111a,211a)내로 각각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이, 결합봉(131,231)이 제1,2조절지지대의 제1결합홈(111a,211a)내로 삽입될 경우, 결합봉(131)과 결합홈(111a)의 결합지지력 및 제1힌지축(140)의 지지력에 의해 지지프레임(400)이 수평상태로 지지되고, 결합봉(231)과 결합홈(211a)의 결합지지력, 제2힌지축(250)의 지지력 및 지지프레임에 의한 상판 지지력에 의해, 상판이 설치되는 상판프레임(3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 조절부 작동(제1각도조절부 작동)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패널부의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을 회전시켜 제1,2조절레버(120,2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납공간을 개방시킨 후, 사용자가 제1조절레버(120)를 상판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연결레버(123)와 일체로 연결된 제1작동대(130)가 제1탄성부(140)를 압축하며 회전됨과 동시에,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제1조절지지대의 제1결합홈(111a)으로부터 이탈분리된다.
이와 같이 제1결합홈(111a)으로부터 결합봉(131)이 이탈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상판(500)을 일측방향(A)으로 회전시키면, 제1완충스프링(160) 및 사용자의 힘에 의해 제1힌지축(150)을 중심으로 상판이 회전하게 되며, 상판(500)이 회전된 상태 또는 회전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조절레버(12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제1탄성부(1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작동대(130)가 회전되어,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제1조절지지대의 제2결합홈(111b)내로 삽입결합된다.
또한,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제1조절지지대의 제2결합홈(111b)내로 삽입결합되면, 제1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상판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판(500)이 가구본체로부터 제1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일측방향(A)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 조절부 작동(제2각도조절부 작동-제1각도조절부 미작동)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패널부의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을 회전시켜 제1,2조절레버(120,2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납공간을 개방시킨 후, 사용자가 제2조절레버(220)를 상판방향으로 당기면, 제2작동대(230)는 제2탄성부(240)를 압축하며 제2조절레버(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작동되고, 제2작동대(230)의 회전작동에 의해 제2조절지지대의 제1결합홈(211a)으로부터 제2작동대의 결합봉(231)이 이탈분리된다.
이와 같이, 결합봉(231)이 제1결합홈(211a)으로부터 이탈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판(500)을 회전시키면, 상판(500)은 제2완충스프링 및 사용자의 힘에 의해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타측방향(B)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판(500)이 회전된 상태 또는 회전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조절레버(220)를 놓으면, 제2탄성부(240)의 탄력에 의해 제2작동대(230) 및 제2조절레버(220)가 회전되어 제2작동대의 결합봉(231)이 제2결합홈(221b) 또는 제3결합홈(221c) 또는 제4결합홈(221d)내로 자동삽입되어 상판(500)이 타측방향(B)으로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작동대의 결합봉(231)이 제2조절지지대의 제2결합홈(211b) 또는 제3결합홈(221c) 또는 제4결합홈(221d)내로 삽입결합되면,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판(500)이 가구본체로부터 제2힌지축(240)을 중심으로 타측방향(B)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 조절부 작동(제1,2각도조절부 조작)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각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상판의 각도 및 높이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상판수평)를 도시한 것으로, 패널부의 전면패널(810) 또는 후면패널(820)을 회전시켜 제1,2조절레버(120,2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납공간(880)을 개방시킨 다음, 사용자가 제1각도조절부(100)를 작동하여, 제1각도조절부의 제2결합홈(111b)에 제1작동대의 결합봉(131)이 삽입되도록 제1힌지축(1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을 회전시켜, 상판의 경사각(θ1)을 조절한 후,
제2각도조절부(200)를 작동하여 제2각도조절부의 제3결합홈(211c)에 제2작동대의 결합봉(231)이 삽입되도록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을 회전이동시키면, 상판의 경사각(θ2)이 조절되어, 상판이 가구본체의 상면에서 소정높이로 상향이동되어 가구본체의 상면에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스탠딩 상태에서 상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일측이 제1각도조절부(10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제2각도조절부(200)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판(500)이 일체로 고정설치된 상판프레임(300)은 제2각도조절부(200)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시 제2각도조절부(200)를 작동하여 제2각도조절부의 제4결합홈(211d)에 제2작동대의 결합봉(231)이 삽입되도록 제2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상판(500)을 회전이동시키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의 경사각(θ2)이 재조절되어, 스탠딩 상태에서도 소정의 경사각을 구비하는 상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 제1각도조절부 (110) : 제1조절지지대
(111) : 결합홈 (112) : 상단
(120) : 제1조절레버 (121) : 손잡이
(122) : 작동레버 (123) : 연결레버
(130) : 제1작동대 (131) : 결합봉
(132) : 결합패널 (133) : 지지패널
(140) : 제1탄성부 (141) : 일측단
(142) : 타측단 (143) : 몸통
(150) : 제1힌지축 (160) : 제1완충스프링
(161) : 일측 (162) : 타측
(163) : 코일부 (200) : 제2각도조절부
(210) : 제2조절지지대 (211) : 결합홈
(212) : 상단 (220) : 제2조절레버
(221) : 손잡이 (222) : 작동레버
(223) : 연결레버 (230) : 제2작동대
(231) : 결합봉 (232) : 결합패널
(233) : 지지패널 (240) : 제2탄성부
(241) : 일측단 (242) : 타측단
(243) : 몸통 (250) : 제1힌지축
(260) : 제2완충스프링 (261) : 일측
(262) : 타측 (163) : 코일부
(300) : 상판프레임 (310) : 상판패널
(320) : 측면패널 (330) : 제1연결프레임
(340) : 제2연결프레임 (400) : 지지프레임
(410) : 상단패널 (420) : 측단패널
(430) : 삽입홈 (440) : 지지대
(500) : 상판 (510) : 상판 하부면
(530) : 일측면 (540) : 받침지지대
(541) : 가이드홀 (542) : 제1가이드홀
(543) : 제2가이드홀 (544) : 상단
(550) : 지지봉 (560) : 타측면
(570) : 상부면 (600) : 지지부
(610) : 메인지지대 (620) : 연결지지대
(700) : 가구본체 (710) : 전면판
(720) : 후면판 (730) : 측면판
(740) : 가구본체 상면 (800) : 패널부
(810) : 전면패널 (820) : 후면패널
(830) : 측면패널 (840) : 경첩
(900) : 조절부 (980) : 가구

Claims (10)

  1. 가구본체(700)와,
    가구본체(700)의 상면테두리를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880)을 형성하는 패널부(800)와,
    수납공간내에 위치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740)에 고정설치되는 조절부(900)와,
    패널부(800)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도록 또한 수납공간(880)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조절부(900)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상판(500)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900)는,
    가구본체의 상면(740)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부(600)와, 지지부(600)에 하측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지지프레임(400)의 일측단이 제1힌지축(150)에 의해 결합되어 경사각(θ1)을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부(100)와, 지지프레임(400)의 타측단에 하측이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경사각(θ2)을 조절하는 제2각도조절부(200)와, 제2각도조절부(200)에 회전가능하도록 제2힌지축(250)에 의해 결합되고 상판(500)의 하부면(510)에 고정설치되는 상판프레임(30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400)에는, 제2각도조절부(2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삽입홈(4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조절부(900)의 미조작시에는 가구본체와 패널부 및 상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가구로 구성되고,
    조절부(900)의 조작시에는 상판(500)의 경사각이 양측방향(A,B)으로 조절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스탠딩 상태에서 사용가능하도록 가구본체의 상면(740)로부터 상판(5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패널부(800)는, 전면패널(810)과, 후면패널(820) 및 측면패널(8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패널(810), 후면패널(820) 및 측면패널(830)은 가구본체(700)와 동일한 색상 및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패널(810), 후면패널(820), 측면패널(830)은 경첩(840)에 의해 가구본체(700) 상면(740)의 테두리를 따라 가구본체의 상면(740)에 수직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경첩(840)은 숨은경첩이 설치되되,
    후면패널(820)과 측면패널(830)은 숨은경첩 중 인도어 경첩(인세트형)이 연결설치되고, 전면패널(810)은 숨은경첩 중 아웃도어 경첩이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판의 일측면(530) 또는, 타측면(560) 또는, 일측면(530)과 타측면(540)에는 폭방향(W)으로 받침지지대(540)가 지지봉(550)에 의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5. 청구항 4 에 있어서;
    받침지지대(540)는, 양측에 지지봉(550)이 삽입관통되는 가이드홈(5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541)은 서로다른 길이를 구비하는 제1,2가이드홈(542,543)의 하단이 서로 연통되어 'V'자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가이드홈(542)의 길이(A1)는 제2가이드홈(543)의 길이(A2) 보다 긴 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제1가이드홈(542)의 상단(542a)에 지지봉(550)이 접촉될 경우, 받침지지대의 상단(544)은 상판의 상부면(570)에 일치하게 되고, 제2가이드홈(543)의 상단(543a)에 지지봉(550)이 접촉될 경우, 받침지지대의 상단(544)은 상판의 상부면(570)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6. 삭제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조절부(100)는,
    지지부(600)에 하측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상측이 제1힌지축(150)에 의해 지지프레임(400)에 연결설치되며, 복수의 결합홈(111)이 형성된 제1조절지지대(110)와,
    지지프레임(400)에 회전가능하도록 측면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1조절레버(120)와,
    지지프레임(400)을 관통하는 제1조절레버(120)에,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제1조절지지대의 결합홈(111)내로 삽입결합되는 결합봉(131)이 하단에 일체로 형성설치된 제1작동대(130)와,
    제1조절레버(120)가 삽입관통되고, 일측이 제1작동대(130)에 접촉지지되며, 타측이 지지프레임(400)에 접촉지지되는 제1탄성부(140)와,
    제1조절지지대(110)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지지프레임(400)에 지지되도록 제1힌지축(150)에 연결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16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각도조절부(200)는,
    지지프레임(400)의 일측에 하측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상측이 제2힌지축(250)에 의해 상판프레임(300)에 연결설치되며, 복수의 결합홈(211)이 형성된 제2조절지지대(210)와,
    상판프레임(300)에 회전가능하도록 측면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제2조절레버(220)와,
    상판프레임(300)를 관통하는 제2조절레버(220)에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제2조절지지대의 결합홈(211)내로 삽입결합되는 결합봉(231)이 하단에 일체로 설치된 제2작동대(230)와,
    제2조절레버(220)가 삽입관통되고, 일측이 제2작동대(230)에 접촉지지되며, 타측이 상판프레임(300)에 접촉지지되는 제2탄성부(240)와,
    제2조절지지대(210)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상판프레임(300)에 지지되도록 제2힌지축(250)에 연결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제1조절레버(120)는, 손잡이(121)가 설치되고 상판(500)의 전후 길이방향(L)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122)와, 상기 작동레버(122)와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지지프레임(400)과 제1탄성부(140)를 관통하도록 제1작동대(130)와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연결레버(123)를 포함하고,
    제2조절레버(220)는 손잡이(221)가 설치되고 상판(500)의 전후 길이방향(L)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222)와, 상기 작동레버(222)와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상판프레임(300)와 제2탄성부(240)를 관통하고 제2작동대(230)와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연결레버(223)를 포함하되,
    제1조절레버(120)의 작동레버(122)는 타측방향(B)으로 위치하도록 연결레버(123)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2조절레버(220)의 작동레버(222)는 일측방향(A)으로 위치하도록 연결레버(223)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1조절레버(120)의 작동레버(122)와 제2조절레버(220)의 작동레버(222)는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9. 삭제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가구는 서랍장 또는 수납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KR1020160148487A 2016-11-09 2016-11-09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KR101932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87A KR101932430B1 (ko) 2016-11-09 2016-11-09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87A KR101932430B1 (ko) 2016-11-09 2016-11-09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254A KR20160136254A (ko) 2016-11-29
KR101932430B1 true KR101932430B1 (ko) 2018-12-26

Family

ID=5770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487A KR101932430B1 (ko) 2016-11-09 2016-11-09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270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주경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7513A (zh) * 2021-11-10 2022-01-14 常德市柳城建筑机械有限公司 一种带有保护功能的精密机械加工用夹持工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8432A1 (en) * 2013-09-12 2015-03-12 Academia Furniture, LLC Teacher's station with an adjustable lectern s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8432A1 (en) * 2013-09-12 2015-03-12 Academia Furniture, LLC Teacher's station with an adjustable lectern s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270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주경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254A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196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US9861204B2 (en) Automatic support system for headrest
US10499730B2 (en) Height-adjustable desk
CA1065001A (en) Vertically-adjustable two-post drafting table
KR200479333Y1 (ko) 학습용 멀티 거치대
US8141949B2 (en) Computer display viewing support
KR101932430B1 (ko) 스탠딩 작업이 가능한 다용도 가구
WO2006135931A1 (en) Furniture
KR102056182B1 (ko) 인체공학적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책상
US4382641A (en) Sewing machine storage cabinet
JP4048211B2 (ja) 昇降棚装置
KR101743983B1 (ko)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JPH08182543A (ja) 移動式収納家具
KR101596010B1 (ko) 책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독서실책상
KR101423870B1 (ko) 침대 및 테이블을 겸용하는 다용도 가구
KR200477392Y1 (ko) 각도조절형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KR101527359B1 (ko)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US7152746B2 (en) Media holding device
CN109519068B (zh) 一种家具悬挂折叠门的位置调节结构
PL214339B1 (pl) Stelaz ergonomiczny do czytania
KR20060108117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200348284Y1 (ko) 책상상판의 경사조절구조
KR950014038B1 (ko) 빌트인형 주방기구의 부착캐비닛
CN208030736U (zh) 一种多功能座椅支撑件
KR20140104191A (ko) 침대 및 책상 겸용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