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35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textile materi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textile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350B1
KR101932350B1 KR1020170093351A KR20170093351A KR101932350B1 KR 101932350 B1 KR101932350 B1 KR 101932350B1 KR 1020170093351 A KR1020170093351 A KR 1020170093351A KR 20170093351 A KR20170093351 A KR 20170093351A KR 101932350 B1 KR101932350 B1 KR 10193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material
water tank
reaction
impurities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현
김윤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9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3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3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1/00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 D06L1/22Processes involving successive treatments with aqueous and organic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Suggested ar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textile material. The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textile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the following: a first reaction step of removing impurities by weakening the salt binding force of th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extile material by using a basic solution in a first reaction water tank; and a washing step of washing the textile material having undergone the first reaction step by moving the textile material to a washing water tank. The textile material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can be continuously moved to the washing water tank after the removal of the impurities to be washed.

Description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TEXTILE MATERIAL}[0001]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ROVED FROM TEXTILE MATERIAL [0002]

본 발명은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 폴리에스터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fiber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cotton, polyester or fiber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as a main component.

불순물 제거 기술은 면, 폴리에스터 등의 섬유를 이용한 부가가치 제품 제작 전 섬유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섬유의 순도 개선, 염색 시 얼룩 방지 등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예를 들어, 면 섬유 경우 섬유에 포함되어 있는 왁스(wax), 지방분 등을 제거하여 흰색의 깨끗한 면 섬유를 얻고 염색 얼룩을 방지할 수 있고, 폴리에스터(polyester)의 경우 원사 가공 후 표면에 묻어 있는 PVA나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여 섬유 순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석유자원 고갈 및 자원 재활용을 위해 폴리에스터를 재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The impurity removal technology is an essential element for improving the purity of fibers and preventing stains in dyeing, by removing impurities contained in fibers before production of value added products using fibers such as cotton and polyester. For example, when cotton fibers are wax (wax) and fat contained in fibers, it is possible to obtain clean white cotton fibers and prevent uneven dyeing. In the case of polyester yarns, PVA and other impurities can be removed to increase fiber purity. In recent years, researches for recycling of polyester for the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and recycling of resourc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보통 섬유염색 이전에 이러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데, 섬유 원단 상태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연속식 장치를 이용한 불순물 제거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다수의 롤러가 탑재되어 원단이 롤러를 통해 이송되면서 수조에 담긴 불순물 제거 용액과 반응하여 정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원단 상태의 섬유소재만 적용 가능하고, 파이버나 의류, 부직포 등 다양한 형태의 섬유소재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여러 롤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 제작 비용이 많이 든다. Conventionally, a technique for removing such impurities is used prior to dyeing the fibers, and a technique for removing impurities using a continuous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in a fiber fabric state has been commercialized. Such a device is capable of obtaining a refining effect by reacting with impurity removing solution contained in a water tank while a plurality of rollers are mounted and the raw material is fed through the rollers. However, such a device is applicable only to a fabric material in a fabric state, and can not be used in various types of fiber materials such as fibers, clothes, and nonwoven fabrics. In addition, since such a device uses several rollers, it is expensive to manufacture the device.

한국공개특허 특2002-0088260호는 이러한 정련기용 인젝터 및 정련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팀과 물을 함께 공급하여 분사함으로써 효율적인 정련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롤러를 다량 사용하여 장치 제작이 비싸고 또한 파이버나 의류 등 다양한 소재에 적용하지 못하고 원단만 사용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KOKAI Publication No. 2002-0088260 relates to such an injector and a refining method for a refiner, and discloses a technique for performing efficient refining by supplying steam and water together and injecting the sam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apparatus is expensive to manufacture by using a large amount of rollers, and can not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such as fibers and clothing, and can only be used as a fabric.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들은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면, 폴리에스터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연속식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 조건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fiber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of various types of cotton, polyester, Device, and also provides process conditions to remove impuriti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섬유소재가 컨베이어를 통해 제1 반응 수조로 이송하고, 제1 반응 공정을 통하여 섬유소재 불순물이 용액과 반응하여 제거된 후 섬유소재를 컨베이어로 옮겨 세척 수조로 이송, 세척 공정을 통하여 섬유 내 잔여 불순물을 없애줌으로써, 다량의 섬유소재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ber material is transferred to a first reaction tank through a conveyor, a fiber material impurity is removed by reaction with a solution through a first reaction process, the fiber material is transferred to a conveyor, And removing the remaining impurities in the fibers through the through holes,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a large amount of impurities of the fibrous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은, 제1 반응 수조 내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의 염착력을 약하게 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 반응 공정; 및 상기 제1 반응 공정을 거친 상기 섬유소재를 세척 수조로 이동시켜 세척하는 세척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응 수조의 상기 섬유소재는 불순물 제거 후 연속식으로 상기 세척 수조로 이동되어 세척될 수 있다. A method of removing impurities of a fibe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action step of removing impurities by weakening a salt binding force of an impurity attached to a surface of a fiber material by using a basic solution in a first reaction water tank; And a washing step of washing the fibrous material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first reaction step by moving the fiber material to a washing water tank, wherein the fiber material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s moved to the washing water tank continuously after removing the impurities, have.

상기 섬유소재는, 면 또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거나 면 또는 폴리에스터를 주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ber material may be made of cotton or polyester or may be made of cotton or polyester as a main component.

상기 제1 반응 공정은, 상기 섬유소재를 제1 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제1 반응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반응 수조 내에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상기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의 염착력을 약하게 함에 따라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반응 수조 내 섬유소재를 제1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를 탈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reaction step comprises the steps of injecting the fiber material into the first reaction tank through a first input conveyor; Removing the impurities of the fiber material by weakening the salt binding force of th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by using the basic solution containing the surfactant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Conveying the fiber material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to a first discharge conveyor; And dehydrating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상기 세척 공정은, 상기 제1 반응 수조에서 탈수되어 나온 상기 섬유소재를 제2 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세척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세척 수조 내에서 상기 섬유소재를 물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 수조 내 섬유소재를 제2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를 탈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Wherein the washing step comprises the steps of injecting the fiber material dehydrated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nto the washing water tank through a second input conveyor; Washing the fiber material with water in the washing water tank; Conveying the fiber material in the wash tub to a second discharge conveyor; And dewatering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상기 세척 공정은, 상기 세척 수조에서 탈수되어 나온 상기 섬유소재를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건조기로 이송시켜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shing process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dewate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to a dryer using a conveyor to dry the fiber material.

상기 제1 반응 수조 내 염기성용액은, pH가 8 이상이고, 비이온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를 사용하여 용액의 계면활성제 농도가 0.01~0.5% 일 수 있다. The basic solution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may have a pH of 8 or higher and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may be 0.01-0.5% using a nonionic surfactant.

상기 제1 반응 공정은, 욕비(liquor ratio) 1:30~1:60 조건으로 상기 섬유소재를 온도 60~100℃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염기성용액에 담가 3~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함수율이 30~80%가 되도록 탈수시킬 수 있다. In the first reaction step, the fibrous material is immersed in a basic solution containing a surfactant at a temperature of 60 to 100 ° C for 3 to 10 minutes under a liquor ratio of 1:30 to 1:60, 30 to 80%.

상기 세척 공정은, 상기 제1 반응 공정을 거친 상기 섬유소재를 온도 15~70℃의 물에 담가 3~10분 동안 세척한 후 함수율이 30~80%가 되도록 탈수시킬 수 있다. In the washing step, the fibrous material having undergone the first reaction step may be dipped in water at a temperature of 15 to 70 ° C, washed for 3 to 10 minutes, and dehydrated to have a water content of 30 to 8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장치는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의 염착력을 약하게 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 반응 수조; 및 상기 제1 반응 수조에서 불순물을 제거 후 상기 섬유소재를 이동시켜 세척하는 세척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응 수조와 상기 세척 수조는 연속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반응 수조의 상기 섬유소재는 불순물 제거 후 상기 세척 수조로 이동되어 세척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removing textile impur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action water tank for removing impurities by weakening the salt binding force of impuriti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fiber material by using a basic solution; And a washing water tank for washing and washing the fiber material after removing impurities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where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and the washing water tank are continuous, and the fiber material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s impurities After the removal,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washing water tank and washed.

상기 제1 반응 수조는, 상기 섬유소재를 제1 반응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제1 투입 컨베이어; 상기 섬유소재의 배출을 위해 이송시키는 제1 배출 컨베이어; 상기 제1 반응 수조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수조 내 상기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며, 회전을 통해 상기 섬유소재를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옮기는 제1 갈고리판; 및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를 통과시켜 탈수시키는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응 수조 내 용액은,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상기 염기성용액으로 이루어져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의 염착력을 약하게 하여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comprises: a first charging conveyor for charging the fiber material into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A first discharge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for discharg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to regulate and mix the residence time of the fibrous material in the water tank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and to rotate the fibrous material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through rotation, plate; And a first roller for passing and dewatering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wherein the solution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s composed of the basic solution containing a surfactant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impurities of the fiber material by weakening the bridging force of the impurities contained therein.

상기 세척 수조는, 상기 제1 반응 수조에서 탈수되어 나온 상기 섬유소재를 세척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제2 투입 컨베이어; 상기 세척 수조 내에서 상기 섬유소재를 물로 세척 후, 상기 섬유소재의 배출을 위해 이송시키는 제2 배출 컨베이어; 상기 세척 수조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수조 내 상기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며, 회전을 통해 상기 섬유소재를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옮기는 제2 갈고리판; 및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를 통과시켜 탈수시키는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washing water tank comprises a second charging conveyor for charging the fiber material dehydrated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nto the washing water tank; A second discharge conveyor for washing the fiber material in the washing water tank with water and then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for discharging the fiber material; A second hooking plate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water tank and adjusting the rotation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water tub to adjust and mix the time of the fiber material and transfer the fiber material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through rotation; And a second roller for passing and dewatering the fibrous material upon discharg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상기 제1 반응 수조 및 상기 세척 수조는 하측에 메시(mesh)가 설치되어 용액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and the washing water tank may be provided with a mesh at the lower side to prevent the fiber material from being discharged when the solution is discharg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면, 폴리에스터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연속식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 조건을 제공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of various types of cotton, polyester or fiber material composed mainly of polyester,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fiber material impurities that provide process conditions for removing impuritie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섬유소재가 컨베이어를 통해 제1 반응 수조로 이송하고, 제1 반응 공정을 통하여 섬유소재 불순물이 용액과 반응하여 제거된 후 섬유소재를 컨베이어로 옮겨 세척 수조로 이송, 세척 공정을 통하여 섬유 내 잔여 불순물을 없애줌으로써, 다량의 섬유소재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first reaction tank through the conveyor, the fiber material impurities are removed by reaction with the solution through the first reaction process, the fiber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conveyo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fiber material by effectively removing a large amount of impurities of the material by removing residual impurities in the fibe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전후의 섬유소재의 표면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of a fibe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ber material impurity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3 and 4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removing impurities of a fibe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shows the result of surface analysis of the fiber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조 내 갈고리판이 회전하는 방식의 연속식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장치를 이용한 면, 폴리에스터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양한 섬유소재의 불순물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otton, polyester or various fiber materials based on polyester, using a continuous fiber material impurity removing apparatus in which a hook plate is rotated in a water tank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of a fibe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은 섬유소재(110)가 컨베이어를 통해 제1 반응 수조로 이송 후, 제1 반응 공정(120)을 통하여 섬유소재 불순물이 용액과 반응하여 제거된다. 이 후, 갈고리판이 회전하면서 섬유소재(110)를 컨베이어로 옮긴 후 세척 수조로 이송하여 세척 공정(130)을 통해 섬유소재(110) 내 잔여 불순물을 없애줌으로써 다량의 섬유소재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하다. 이에 따라 불순물이 제거된 섬유소재(140)를 얻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fiber material impurity remov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fibrous material 110 is transferred to a first reaction tank through a conveyor, and then a fiber material impurity is removed by reaction with a solution through a first reaction step 120. After the hook plate is rotated, the fiber material 110 is transferred to the conveyor and then transferred to the washing water tank to remove residual impurities in the fiber material 110 through the washing process 130,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a large amount of fiber material impurities . Thus, the fiber material 140 from which the impurities are removed can be obtained.

아래의 실시예는 면, 폴리에스터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면, 폴리에스터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연속식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 조건을 제공한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directed to a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cotton, polyester, or fiber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as a main componen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inuous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of various types of cotton, polyester, And also provides process conditions for removing impurities.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ber material impurity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장치(200)는 제1 반응 수조(210) 및 세척 수조(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반응 수조(210)와 세척 수조(220)는 연속식으로 이루어져 제1 반응 수조(210)의 섬유소재는 불순물 제거 후 세척 수조(220)로 이동되어 세척될 수 있다. 2, the apparatus 200 for removing textile material impuriti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and a washing water tank 220.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and the washing water tank The fiber material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may be moved to the washing water tank 220 after the impurities are removed and washed.

여기에서 섬유소재는 면 또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거나 면 또는 폴리에스터를 주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섬유소재는 면, 폴리에스터,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단뿐만 아니라 파이버, 부직포, 의류 등 다양한 소재에 적용하여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섬유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화학섬유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폴리에스터 경우 화학적 재활용을 통하여 단량체로 전환하기 전, 불순물을 제거하여 단량체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Here, the fiber material may be made of cotton or polyester, or may be made of cotton or polyester as a main component. Further, the fiber material can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such as cotton, polyester, or fabric mainly composed thereof, as well as fibers, nonwoven fabrics, clothes, and the impurities of the fiber material can be removed to increase the purity of the fiber. In addition, the most commonly used polyesters used in chemical fibers can be removed by chemical recycling before conversion to monomers to increase the purity of the monomers.

제1 반응 수조(210)는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의 염착력을 약하게 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can remove impurities by weakening the salt binding force of th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by using a basic solution.

더 구체적으로, 제1 반응 수조(210)는 제1 투입 컨베이어(212), 제1 부재, 제1 배출 컨베이어(214), 및 제1 탈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반응 수조(210)는 메시(mesh)(2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재는 제1 갈고리판(213)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탈수부는 제1 롤러(2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may include a first feed conveyor 212, a first member, a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and a first dehydration unit.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may further include a mesh 216. For example, the first member may be a first hook plate 213, and the first dewatering unit may be a first roller 215.

제1 투입 컨베이어(212)는 섬유소재를 제1 반응 수조(210) 안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The first input conveyor 212 can feed the fiber material into the first reaction tank 210.

제1 부재는 제1 반응 수조(210)에 구성되며, 수조 내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고 섬유소재를 제1 배출 컨베이어(214)로 옮길 수 있다. 예컨대, 제1 부재는 제1 갈고리판(2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member may be configured in a first reaction bath 210 to control and mix the residence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bath and transfer the fiber material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For example, the first member may be formed of the first hooking plate 213.

제1 갈고리판(213)은 회전을 통해 섬유소재를 제1 배출 컨베이어(214)로 옮길 수 있다. 이러한 제1 갈고리판(213)은 제1 반응 수조(2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수조 내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rst hooking plate 213 can transfer the fiber material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through rotation. The first hook plate 213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ve the first reaction tank 210, and may adjust the rotation speed to adjust and mix the retention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water tub.

여기에서 제1 갈고리판(213)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 형성되어 효율적으로 수조 내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t least one first hooking plate 213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hooking plates 213 may be formed to efficiently control the retention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water tank and mix the same.

제1 배출 컨베이어(214)는 섬유소재의 배출을 위해 이송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배출 컨베이어(214)는 제1 갈고리판(213)의 회전에 의해 섬유소재가 올라오게 되면 배출을 위해 이송시킬 수 있다.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can be transported for discharge of the fibrous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can be transported for discharging if the fiber material is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hook plate 213.

제1 탈수부는 섬유소재가 제1 배출 컨베이어(214)를 통해 배출 시 섬유소재를 탈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탈수부는 제1 롤러(215)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dehydrating section can dehydrate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of the fiber material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For example, the first dewatering unit may be constituted by the first roller 215.

제1 롤러(215)는 제1 배출 컨베이어(214)의 말단 측에 배치되어 제1 배출 컨베이어(214)를 통해 섬유소재가 배출될 때 섬유소재를 통과시켜 탈수시킬 수 있다. The first roller 215 is disposed on the distal side of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and can be dehydrated by passing the fiber material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when the fiber material is discharged.

더욱이, 제1 반응 수조(210)는 하측에 메시(mesh)(216)가 설치되어 용액(211) 배출 시 섬유소재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is provided with a mesh 216 at the lower side to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fiber material when the solution 211 is discharged.

제1 반응 수조(210) 내 용액(211)은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염기성용액으로 이루어져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의 염착력을 약하게 하여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The solution 211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is made of a basic solution containing a surfactant to weaken the salt binding force of the impuriti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to remove impurities of the fiber material.

예컨대, 제1 반응 수조(210) 내 용액(211)은 pH가 8 이상이고, 비이온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를 사용하여 용액의 계면활성제 농도가 0.01~0.5% 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olution 211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may have a pH of 8 or higher, and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may be 0.01 to 0.5% using a nonionic surfactant.

이러한 제1 반응 공정은 욕비(liquor ratio) 1:30~1:60 조건으로 섬유소재를 온도 60~100℃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염기성용액에 담가 3~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함수율이 30~80%가 되도록 탈수시킬 수 있다. In the first reaction step, the fibrous material is immersed in a basic solution containing a surfactant at a temperature of 60 to 100 ° C for 3 to 10 minutes under a liquor ratio of 1:30 to 1:60, 80%. ≪ / RTI >

더 구체적으로, 제1 반응 공정은 욕비(liquor ratio) 1:30~1:60 조건으로 상기 섬유소재를 온도 60~100℃, pH 8 이상,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 농도 0.01~0.5%가 포함된 염기성용액에 담가 3~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함수율이 30~80%가 되도록 탈수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reaction step, the fiber material is heated at a temperature of 60 to 100 ° C, a pH of 8 or more, and a nonionic surfactant concentration of 0.01 to 0.5 % In the basic solution for 3 ~ 10 minutes, and the water content is 30 ~ 80%.

세척 수조(220)는 제1 반응 공정을 거친 섬유소재를 이동시켜 세척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tank 220 can be cleaned by moving the fiber material after the first reaction process.

더 구체적으로, 세척 수조(220)는 제2 투입 컨베이어(222), 제2 부재, 제2 배출 컨베이어(224), 및 제2 탈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세척 수조(220)는 메시(mesh)(22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재는 제2 갈고리판(223)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탈수부는 제2 롤러(2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wash water tank 220 may include a second input conveyor 222, a second member, a second discharge conveyor 224, and a second drainage section.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tank 220 may further include a mesh 226. For example, the second member may be formed of the second hook plate 223, and the second dewatering unit may be formed of the second roller 225.

제2 투입 컨베이어(222)는 제1 반응 수조(210)에서 탈수되어 나온 섬유소재를 세척 수조(220) 안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즉, 제2 투입 컨베이어(222)는 제1 반응 수조(210)의 배출구 측과 연결되어, 제1 배출 컨베이어(214) 및 제1 롤러(215)를 통과한 섬유소재를 세척 수조(220) 안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The second input conveyor 222 can feed the fiber material dehydrated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into the washing water tank 220. That is, the second input conveyor 222 is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reaction tank 210, and the fiber material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and the first roller 215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tank 220 .

예를 들어 제1 배출 컨베이어(214) 및 제1 롤러(215)가 구성되는 제1 반응 수조(210)의 배출구 측은 상측에 배치되고 제2 투입 컨베이어(222)가 구성되는 세척 수조(220)의 입구 측은 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 배출 컨베이어(214) 및 제1 롤러(215)를 통과한 섬유소재가 제1 배출 컨베이어(214)에 의해 더 이상 이동되지 않을 때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섬유소재가 제2 투입 컨베이어(222) 측에 떨어져 세척 수조(220) 안으로 투입될 수 있다. The discharge side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210 in which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and the first roller 215 are constitute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water tank 220 in which the second loading conveyor 222 is constituted, The inlet side is located further downward and the fiber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and the first roller 215 falls down when it is no longer moved by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214, The material may fall on the side of the second charging conveyor 222 and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tank 220.

제2 부재는 세척 수조(220)에 구성되며, 수조 내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고 섬유소재를 제2 배출 컨베이어(224)로 옮길 수 있다. 예컨대, 제2 부재는 제2 갈고리판(2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member is configured in the wash water tank 220 to adjust and mix the residence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water bath and transfer the fiber material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224. For example, the second member may be composed of the second hook plate 223.

제2 갈고리판(223)은 회전을 통해 섬유소재를 제2 배출 컨베이어(224)로 옮길 수 있다. 이러한 제2 갈고리판(223)은 세척 수조(2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수조 내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second hook plate 223 can transfer the fiber material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224 through rotation. The second hooking plate 223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water tank 220 and adjusts the rotation speed to control and mix the staying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water tank.

여기에서 제2 갈고리판(223)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 형성되어 효율적으로 수조 내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second hook plate 223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second hook plates 223 may be form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retention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water tank and to mix the same.

제2 배출 컨베이어(224)는 세척 수조(220) 내에서 섬유소재를 물로 세척 후, 섬유소재의 배출을 위해 이송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배출 컨베이어(224)는 제2 갈고리판(223)의 회전에 의해 섬유소재가 올라오게 되면 배출을 위해 이송시킬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224 can wash the fiber material in the wash water tank 220 with water and then transfer it for discharge of the fiber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224 can be conveyed for discharging if the fiber material is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ok plate 223.

제2 탈수부는 섬유소재가 제2 배출 컨베이어(224)를 통해 배출 시 섬유소재를 탈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탈수부는 제2 롤러(225)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dehydrating section can dehydrate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of the fiber material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224. [ For example, the second dewatering section may comprise a second roller 225.

제2 롤러(225)는 섬유소재가 제2 배출 컨베이어(224)를 통해 배출 시 섬유소재를 통과시켜 탈수시킬 수 있다. The second roller 225 can dewater the fiber material through the fiber material during discharg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224.

이후, 상기 세척 수조(220)에서 탈수되어 나온 섬유소재를 컨베이어(227)를 이용하여 건조기로 이송시켜 건조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fiber material dewate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220 may be transferred to a dryer using a conveyor 227 to dry.

세척 수조(220)는 하측에 메시(mesh)(226)가 설치되어 세척 용액(221)의 배출 시 섬유소재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세척 수조(220)에 담긴 세척 용액(221)은 예컨대 물이 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tank 220 is provided with a mesh 226 on the lower side to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fiber material when the washing solution 221 is discharged. Here, the cleaning solution 221 contained in the cleaning water tank 220 may be, for example, water.

세척 공정은 제1 반응 공정을 거친 섬유소재를 온도 15~70℃의 물에 담가 3~10분 동안 세척한 후 함수율이 30~80%가 되도록 탈수시킬 수 있다.
In the washing process, the fiber material that has undergone the first reaction process may be dipped in water at a temperature of 15 to 70 ° C, washed for 3 to 10 minutes, and dehydrated to have a water content of 30 to 80%.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S. 3 and 4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removing impurities of a fibe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은, 제1 반응 수조 내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의 염착력을 약하게 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 반응 공정(310), 및 제1 반응 공정을 거친 섬유소재를 세척 수조로 이동시켜 세척하는 세척 공정(320)을 포함하고, 제1 반응 수조의 섬유소재는 불순물 제거 후 연속식으로 세척 수조로 이동되어 세척될 수 있다. 3 and 4, a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textil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removing impurities by weakening the salt binding force of impuriti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fiber material by using a basic solution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A first reaction step (310), and a washing step (320) in which the fiber material subjected to the first reaction step is transferred to a washing water tank to wash the fiber material. The fiber material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s continuously washed with impurities, Can be moved and cleaned.

여기에서 제1 반응 공정(310)은, 섬유소재를 제1 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제1 반응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단계(311), 제1 반응 수조 내에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의 염착력을 약하게 함에 따라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312), 제1 반응 수조에서 섬유소재를 제1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단계(313), 및 배출 시 섬유소재를 탈수시키는 단계(3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eaction step 310 includes the steps of injecting 311 a fiber material into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through a first input conveyor 311 and a basic solution containing a surfactant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Removing the impurities of the fiber material by weakening the binding force of the impuriti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conveying the fiber material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313) in the first reaction tank, (314). ≪ / RTI >

여기에서, 예를 들어 단계(313)에서 제1 반응 수조에 구성된 제1 갈고리판의 회전을 통해 섬유소재를 제1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단계(314)에서 배출 시 섬유 소재를 제1 롤러를 통과시켜 탈수시킬 수 있다. Here, for example, in step 313, the fiber material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through rotation of the first hook plate configured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and in step 314, It can be dewatered by passing through a roller.

세척 공정(320)은, 제1 반응 수조에서 탈수되어 나온 섬유소재를 제2 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세척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단계(321), 세척 수조 내에서 섬유소재를 물로 세척하는 단계(322), 세척 수조에서 섬유소재를 제2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단계(323), 및 배출 시 섬유소재를 탈수시키는 단계(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leaning process 320 includes a step 321 of injecting the fiber material dehydrated in the first reaction tank into the washing water tank through the second input conveyor 322 washing the fiber material with water in the washing water tank 322, Transferring (323) the fiber material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in the tank, and dewatering (324)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여기에서, 예를 들어 단계(323)에서 세척수조에 구성된 제2 갈고리판의 회전을 통해 섬유소재를 제2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단계(324)에서 배출 시 섬유소재를 제2 롤러를 통과시켜 탈수시킬 수 있다. Here, for example, in step 323, the fiber material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through rotation of the second grip plate configured in the wash tub, and in step 324, It can be passed through and dehydrated.

더욱이 상기 세척 수조에서 탈수되어 나온 섬유소재를 건조기로 이송시켜 건조시키는 단계(3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건조기로 이송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325) of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dewate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to a dryer and drying the fiber material. At this time, it can be conveyed to the dryer using a conveyo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연속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의 실현 가능성을 보이고자 회분식 장치를 사용, 다양한 섬유소재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보이기 위해 먼지, 흙 등의 불순물이 포함된 면 파이버, 폴리에스터 파이버 그리고 실리카 코팅처리된 폴리에스터 천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In order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continuous apparatus prop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removing the impurities of the fiber material using the apparatu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cotton fiber, polyester fiber and silica coated polyester cloth.

500ml 비커 안에 10% NaOH 용액 300ml,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 0.1ml 을 넣고 계면활성제가 완전히 녹을 때까지 잘 저어준다. 용액을 80℃로 가열시킨 후 불순물이 포함된 섬유소재 10g을 용액에 담가 3분 동안 온도를 유지시키며 반응시킨다. 반응 후 섬유소재를 짜주어 용액을 분리한 후 온도 15℃의 600ml 물이 담긴 1L 비커에 넣고 세척시킨다. 세척 후 섬유소재를 짜주어 세척용액을 분리한 후 vacuum oven 넣어 온도 70℃에서 15분 건조시킨다.Add 300 ml of 10% NaOH solution and 0.1 ml of nonionic surfactant Triton X-100 in a 500 ml beaker and stir well until the surfactant is completely dissolved. After heating the solution to 80 ° C, 10 g of the impregnated fiber material was immersed in the solution and allowed to react for 3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fter the reaction, the fiber material is squeezed to separate the solution, which is then washed in a 1-liter beaker containing 600 ml of water at 15 ° C. After washing, squeeze the fiber material to separate the washing solution, then vacuum oven and dry it at 70 ℃ for 15 minutes.

제안하는 기술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샘플의 표면분석을 진행하여 불순물 제거를 확인하였고, 백색도 수치를 측정하여 섬유소재 순도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surface analysis of each sample was carried out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to confirm the removal of impuriti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purity of the fiber material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whiteness valu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전후의 섬유소재의 표면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FIG. 5 shows the result of surface analysis of the fiber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기 이전 섬유소재와 실험을 실시한 후 섬유소재의 표면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험 전과 후의 섬유소재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이미지이다. Referring to FIG. 5, the results of the surface analysis of the fiber material after the experiment with the fiber material before the experi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shown, and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as measur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a)는 실험 전 면 파이버를 나타내고, (b)는 실험 후 면 파이버를 나타낸다. 그리고 (c)는 실험 전 폴리에스터 파이버를 나타내고, (d)는 실험 후 폴리에스터 파이버를 나타낸다. 또한 (e)는 실험 전 실리카가 코팅된 폴리에스터 천을 나타내고, (f)는 실험 후 실리카가 코팅된 폴리에스터 천을 나타낸다.(a) shows a front surface fiber, and (b) shows a surface fiber after the experiment. (C) shows the polyester fiber before the experiment, and (d) shows the polyester fiber after the experiment. (E) shows a polyester cloth coated with silica before the experiment, and (f) shows a polyester cloth coated with silica after the experiment.

실험 전과 후를 비교하면 섬유소재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이 깨끗이 제거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impuriti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were removed cleanly.

표 1은 실험 전과 후의 섬유소재 백색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Table 1 shows the whiteness measurement results of the fiber material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표 1][Table 1]

Figure 112017070721728-pat00001
Figure 112017070721728-pat00001

표 1은 실험 전과 후, 각 섬유소재의 백색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실험을 통해 백색도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섬유소재의 순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able 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whiteness of each fiber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Experiments show that the whiteness is improved and the purity of the fiber material is increased.

기존의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장치는 다수의 롤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비싸고 원단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식 갈고리판을 적용한 연속식 장치를 제공하여 원단뿐만 아니라 파이버, 솜, 부직포, 의류 등 여러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섬유 및 염색 공업, 재활용 및 원료화 산업 분야에 적용하여 섬유소재의 순도를 높여 제품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The conventional fiber material impurity removing device has a limitation that it is expensive to manufacture because it uses a large number of rollers and can be applied only to a fabric.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extile and dyeing industries, recycling and raw material industry by providing a continuous type apparatus using a rotary hook plate to remove impurities such as fibers, cotton, non-woven fabric, The purity of the fiber material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product qua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면, 폴리에스터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연속식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 조건을 제공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섬유소재가 컨베이어를 통해 제1 반응 수조로 이송하고, 제1 반응 공정을 통하여 섬유소재 불순물이 용액과 반응하여 제거된 후 갈고리판이 회전하면서 섬유소재를 컨베이어로 옮긴 후 세척 수조로 이송, 세척 공정을 통하여 섬유 내 잔여 불순물을 없애줌으로써, 다량의 섬유소재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type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ies of various types of cotton, polyester or fiber material composed mainly of polyester, and also provides a process condition for removing impurities, Can be provided. More specifically, the fiber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through the conveyor. After the fiber material impurities react with the solution through the first reaction process, the hook plate is rotated and the fiber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conveyor, By removing the residual impurities in the fiber through the washing process, a large amount of fiber material impuriti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근래에는 석유자원 고갈 및 자원 재활용을 위해 폴리에스터를 재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발명을 통하여 폴리에스터 섬유소재 폐기물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해중합 반응을 통하여 폴리에스터 단량체로 전환, 재활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In recent years, researches for recycling polyester materials for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and recycling of resourc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rt impurities of polyester fiber material waste into polyester monomers through depolymerization reaction and recycle Do.

그리고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원사, 제직사, 의류, 부직포, 스테이플 파이버 등의 섬유가공업체 및 섬유염색업체뿐만 아니라 합성섬유를 화학적인 방법으로 재활용하는 원료화 업체, 섬유 재활용업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여 해당 섬유소재의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순도를 높일 수 있다.
And it can be applied to textile processing companies such as natural fiber and synthetic fiber yarn, direct yarn, garment, nonwoven fabric, staple fiber, and textile dyeing companies, as well as raw material suppliers and textile recycling companies that recycle synthetic fibers by chemical methods So that impurities of the fiber material can be effectively removed and the purity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It should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description is omitted, multipl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gain in on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상과 같이 실시예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에 있어서,
제1 반응 수조 내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 반응 공정; 및
상기 제1 반응 공정을 거친 상기 섬유소재를 세척 수조로 이동시켜 세척하는 세척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응 공정은,
상기 섬유소재를 제1 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제1 반응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반응 수조 내에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상기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불순물 제거 후, 상기 제1 반응 수조에서 상기 섬유소재를 제1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를 탈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응 수조 내에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상기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반응 수조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1 갈고리판이 구성되어, 상기 제1 갈고리판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반응 수조 내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며,
상기 제1 반응 수조에서 상기 섬유소재를 제1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갈고리판의 회전을 통해 상기 섬유소재를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옮기고,
상기 제1 반응 수조의 상기 섬유소재는 불순물 제거 후 연속식으로 상기 세척 수조로 이송되어 세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A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of a fiber material,
A first reaction step of removing impuriti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by using a basic solution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And
A washing step of moving the fiber material that has undergone the first reaction step to a washing water tank
/ RTI >
Wherein the first reaction step comprises:
Feeding the fiber material into the first reaction tank through a first input conveyor;
Removing impurities on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by using the basic solution containing the surfactant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after removal of the impurities; And
Dehydrating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 RTI >
The step of removing impurities on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using the basic solution containing the surfactant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may include:
A first hook plate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to adjust the rotation time of the first hook plate to adjust and mix the residence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fibrous material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in the first reaction tank comprises: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through rotation of the first hook plate,
The fibrous material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s transferred to the washing water tank continuously after removing the impurities to be washed
And removing the fiber material impur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소재는,
면 또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거나 면 또는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Made of cotton or polyester or containing cotton or polyester
And removing the fiber material impuriti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공정은,
상기 제1 반응 수조에서 탈수되어 나온 상기 섬유소재를 제2 투입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세척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세척 수조 내에서 상기 섬유소재를 물로 세척하는 단계;
세척 후, 상기 세척 수조에서 상기 섬유소재를 제2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를 탈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process may comprise:
Feeding the fiber material dehydrated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nto the washing water tank through a second input conveyor;
Washing the fiber material with water in the washing water tank;
Conveying the fiber material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in the wash water tank after washing; And
Dehydrating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And removing the fiber material impur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공정은,
상기 세척 수조에서 탈수되어 나온 상기 섬유소재를 건조기로 이송시켜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process may comprise:
A step of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dewate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to a dryer and drying
And removing the fiber material impur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 공정은,
욕비(liquor ratio) 1:30~1:60 조건으로 상기 섬유소재를 온도 60~100℃, pH 8 이상,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 농도 0.01~0.5%가 포함된 염기성용액에 담가 3~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함수율이 30~80%가 되도록 탈수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의 불순물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action step comprises:
The fibrous material is immersed in a basic solution containing a temperature of 60 to 100 ° C, a pH of 8 or more, and a nonionic surfactant concentration of 0.01 to 0.5% under a liquor ratio of 1:30 to 1:60 After 10 minutes of reaction, dehydration is carried out so that the water content becomes 30 to 80%
And removing the impurities from the fibrous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공정은,
상기 제1 반응 공정을 거친 상기 섬유소재를 온도 15~70℃의 물에 담가 3~10분 동안 세척한 후 함수율이 30~80%가 되도록 탈수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의 불순물 제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process may comprise:
The fibrous material that has undergone the first reaction step is immersed in water at a temperature of 15 to 70 ° C and is then washed for 3 to 10 minutes and dehydrated so that the water content becomes 30 to 80%
And removing the impurities from the fibrous material.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 반응 수조; 및
상기 제1 반응 수조에서 불순물을 제거 후 상기 섬유소재를 이동시켜 세척하는 세척 수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응 수조는,
상기 섬유소재를 제1 반응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제1 투입 컨베이어;
상기 섬유소재의 배출을 위해 이송시키는 제1 배출 컨베이어;
상기 제1 반응 수조에 구성되며, 수조 내 상기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며 섞어주고, 상기 섬유소재를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옮기는 제1 부재;
상기 제1 반응 수조의 하측에 설치되어 용액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의 배출을 방지하는 메시(mesh); 및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를 탈수시키는 제1 탈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반응 수조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갈고리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갈고리판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수조 내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며, 상기 제1 갈고리판의 회전을 통해 상기 섬유소재를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옮기고,
상기 제1 반응 수조 내 용액은,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상기 염기성용액으로 이루어져 섬유소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며,
상기 제1 반응 수조와 상기 세척 수조는 연속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반응 수조의 상기 섬유소재는 불순물 제거 후 상기 세척 수조로 이동되어 세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장치.
A fiber material impurity remov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reaction water tank for removing impuriti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by using a basic solution; And
A cleaning water tank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Lt; / RTI >
Where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comprises:
A first feeding conveyor for feeding the fiber material into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A first discharge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for discharge;
A first member configured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for regulating and mixing the retention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water tank and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A mesh provided below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to prevent the fiber material from being discharged during solution discharge; And
A first dehydrating unit for dehydrating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 RTI >
Wherein the first member comprises a first hook plate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to adjust a rotation time of the first hook plate to adjust and mix the retention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water tank, The fiber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through the rotation of the first hook plate,
The solution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s composed of the basic solution containing a surfactant to remove impuriti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ber material,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and the washing water tank are continuous, so that the fibrous material of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s washed after being moved to the washing water tank after removing impurities
Wherein the fiber material impurity removal device comprises: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수조는,
상기 제1 반응 수조에서 탈수되어 나온 상기 섬유소재를 세척 수조 안으로 투입시키는 제2 투입 컨베이어;
상기 세척 수조 내에서 상기 섬유소재를 물로 세척 후, 상기 섬유소재의 배출을 위해 이송시키는 제2 배출 컨베이어;
상기 세척 수조에 구성되며 수조 내 상기 섬유소재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고 섞어주고, 상기 섬유소재를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옮기는 제2 부재;
상기 세척 수조의 하측에 설치되어 용액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의 배출을 방지하는 메시(mesh); 및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 시 상기 섬유소재를 탈수시키는 제2 탈수부
를 포함하는 섬유소재 불순물 제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ashing water tank,
A second input conveyor for inputting the fiber material dehydrated in the first reaction water tank into the washing water tank;
A second discharge conveyor for washing the fiber material in the washing water tank with water and then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for discharging the fiber material;
A second member configured in the cleaning water tank for adjusting and mix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fiber material in the water tank and transferring the fiber material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A mesh provided below the cleaning water tank to prevent the fiber material from being discharged when the solution is discharged; And
A second dewatering unit for dewatering the fiber material upon discharg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And the fiber material impurity removing device.
KR1020170093351A 2017-07-24 2017-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textile material KR101932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51A KR101932350B1 (en) 2017-07-24 2017-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textil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51A KR101932350B1 (en) 2017-07-24 2017-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textil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350B1 true KR101932350B1 (en) 2018-12-24

Family

ID=6501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351A KR101932350B1 (en) 2017-07-24 2017-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textile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3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444B1 (en) 2020-11-19 2021-05-31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Printed Textile Materi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57B1 (en) * 2001-12-26 2004-02-05 주식회사 삼일산업 A continuous steam setting relaxer processing device and the method for low-density fabric
KR100618419B1 (en) * 2005-03-21 2006-09-01 김일수 A multi-row consecutive scouring device for pretreating a dyeing of a fiber raw materi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57B1 (en) * 2001-12-26 2004-02-05 주식회사 삼일산업 A continuous steam setting relaxer processing device and the method for low-density fabric
KR100618419B1 (en) * 2005-03-21 2006-09-01 김일수 A multi-row consecutive scouring device for pretreating a dyeing of a fiber raw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444B1 (en) 2020-11-19 2021-05-31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Printed Textile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15715B1 (en) Procedure for removing and preventing build-up of pollutants in papermaking processes
KR1019323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textile material
KR20120025021A (en) That thread oil rinsing device is equipped fiber sizing machine
US20230060430A1 (en) Separation of fibers
RU2089691C1 (en) Method for washing cloths in drum-type washing machines
US2360779A (en) Method of screening and washing paper pulp
US10309048B2 (en) Method of chemical treatment for fibers
KR101591906B1 (en) Pretreatmenting method of the fabric
CN211546947U (en) Preshrinking flat steaming washing machine
Brunsek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ilk degummed with citric acid and ultrasound
US5917118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inuous dyeing of fiber
US3537810A (en) Process for the carbonization of wool
US3567365A (en) Monitoring the wet processing of a material
KR200201492Y1 (en) Automatic towel washing machine
KR1022574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from Printed Textile Material
US1630786A (en) Process for conditioning textile materials
US3685322A (en) Device for the carbonization of wool
JP2001518568A (en) A method for greatly improving the quality of scoured wool and a machine for achieving the high quality
CN208913904U (en) A kind of gauze cloth base desizing device
US1773721A (en) Bleaching textile fibers
CN102268830B (en) For with bleaching in conjunction with the method and apparatus of detergent milk
RU2104358C1 (en) Wool production process
CN109403086A (en) A kind of colouring method of textile of chemical fibre cloth
SU1587092A1 (en) Unit for liquid treating of fibre
SU147489A1 (en) Method of washing and carbonization of wool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