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608B1 -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608B1
KR101931608B1 KR1020177013838A KR20177013838A KR101931608B1 KR 101931608 B1 KR101931608 B1 KR 101931608B1 KR 1020177013838 A KR1020177013838 A KR 1020177013838A KR 20177013838 A KR20177013838 A KR 20177013838A KR 101931608 B1 KR101931608 B1 KR 10193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input
film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951A (ko
Inventor
요스케 카미오카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5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single articles, e.g. tabl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g. centring a tool relative to a hole in the workpiece, additional detection means to correct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014Augmented reality assists operator in maintenance, repair, programming, assembly, use of head mounted display with 2-D 3-D display and voice feedback, voice and gesture comman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128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168Touchscree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251Superpose scanned or finished object image on workpiece model for best fit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제조 유닛의 주위가 커버로 덮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사용상 편리함이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제조 장치(10)는, 제조 유닛(11) 및 이것의 주위를 덮는 커버(71)를 구비한다. 커버(71)는, 외부로부터 제조 유닛(11)을 시각적으로 확인{視認}할 수 있게 하는 투명의 패널 본체(74)를 가진다. 패널 본체(74)에는, 접촉 또는 접근에 의한 입력을 검지할 수 있고, 입력을 검지한 위치에 관한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 투명한 박막모양의 입력 검지 센서(81)와, 패널 본체(74)에 대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패널(82) 등과, 입력 검지 센서(81)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됨과 동시에, 액정 패널(82)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85)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85)는, 입력 검지 센서(81)에 대해 소정의 입력이 있었을 때, 패널 본체(74)의 상기 소정의 입력이 이루어진 위치 등에서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액정 패널(82) 등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제조 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각종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유닛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생면을 고려하여, PTP 시트나 기판, 화장품 등의 각종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유닛의 주위를 커버(케이스{筐體})로 덮는 일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 참조). 또, 커버의 외부로부터 제조 유닛의 조작을 행하거나, 제조 유닛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하기 위해서, 커버의 외부에, 소정의 화상(예를 들면, 제조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이나 버튼이나 아이콘 등을 구비한 조작용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제조 유닛을 제어하는 수단에 대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설치{마련}하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으로서는, 액정 패널이나 터치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을 커버의 외부에 배설{配設}함에 있어서는, 표시 수단 등을 커버의 외표면에 고정하는 방식(고정식)과, 커버부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방식(가동식{可動式})이 생각된다. 가동식으로 하려면, 예를 들면, 커버의 외표면을 따라 수평으로 배설된 슬라이드 레일에 대해, 소정의 암{arm}을 거쳐서 표시 수단 등을 매달고,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표시 수단 등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特開}2013-224159호
그런데, 고정식이더라도 가동식이더라도, 표시 수단 등을 배치할 수 있는 위치는 어느 정도 한정되어 버린다. 상세하게 기술{詳述}하면, 고정식의 경우는, 배치 위치가 한 개소{箇所}로 한정되어, 배치 위치를 변경시킬 수는 없으며, 가동식의 경우는, 수평 방향을 따른 배치 위치를 어느 정도 변경할 수 있었다고 해도, 상하 방향을 따른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표시 수단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표시 수단 등에 접근해 갈{다가갈} 필요가 있다.
또, 표시 수단 등은, 커버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표시 수단 등에 접근했을 때(예를 들면 일어섰을 때 등)에, 표시 수단 등에 부딪쳐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들의 점에 입각해서, 사용상 편리함{使勝手; usability}이나 안전성의 면에서 보다 우수한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제조 유닛의 주위가 커버로 덮인 제조 장치에 있어서, 사용상 편리함이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데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목분류{項分}하여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付記}한다.
수단 1. 소정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유닛과,
해당{當該} 제조 유닛의 주위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조 유닛을 시각적으로 확인{視認; visually recognize, visually observe}할 수 있게 하는 투시부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투시부의 표면에서 적어도 일정 영역을 가지고, 해당 영역에 대한 접촉 또는 접근에 의한 입력을 검지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상기 입력을 검지했다는 정보, 및, 상기 영역 내에서의 상기 입력을 검지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을 보이는 박막모양{薄膜狀}의 입력 수단과,
투명 혹은 반투명의 박막모양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투시부에서의 상기 입력 수단과 겹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는 것, 또는, 상기 커버로부터 이간{離間}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의 상기 입력 수단과 겹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소정의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소정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대해 소정의 입력이 있었을 때,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검지된 상기 소정의 입력이 이루어진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수단 2.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커버의 상기 입력 수단과 겹치는 위치에, 상기 화상으로서 소정의 조작반{操作盤}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반 화상에서의 상기 입력의 검지 위치에 따라, 상기 제조 유닛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제조 장치.
수단 3.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입력이 다른{異} 위치에서 검지되었을 때, 상기 조작반 화상을 각각 다른 위치에서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2에 기재된 제조 장치.
수단 4.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상기 입력 수단을 거쳐서 소정의 식별 정보가 입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입력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다른 상기 조작반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2 또는 3에 기재된 제조 장치.
수단 5. 상기 제조 유닛 및 그 주변의 적어도 한쪽에 관한 상태를 검지함과 동시에, 검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에 출력할 수 있는 상태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으로서, 상기 상태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따른 것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장치.
「상태 검지 수단」으로서는, 물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재료의 잔량{殘量}을 계측하기 위한 잔량 센서, 제조 유닛 혹은 이것을 구성하는 각종 기기, 또는, 제조 유닛의 주위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온도 센서, 기기의 주위 습도를 계측하기 위한 습도 센서, 제조 유닛에서의 각종 기기나 제조되는 물품의 이동 속도(반송{搬送} 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온도 센서, 제조 유닛의 각종 기기에서 발생하고 있는 압력(예를 들면, 프레스 압력)을 계측하기 위한 압력 센서, 커버 내에서의 에어 등의 풍량(풍속)을 계측하기 위한 풍량 센서, 제조 유닛에서의 고장 등의 기능불량{不具合; malfunction, problem, failure}을 검지할 수 있는 기능불량 검지 센서, 제조 유닛에서 이용되고 있는 각종 소모 부품의 사용 횟수를 계측하기 위한 사용 횟수 계측 센서 등을 들 수가 있다.
수단 6. 상기 제조 유닛은, 상기 물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태 검지 수단은, 상기 재료의 잔량을 검지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커버 중 상기 공급부와 상대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태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따른 상기 화상을, 상기 커버 중 상기 공급부와 상대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5에 기재된 제조 장치.
수단 7. 상기 커버 내를 촬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촬상된 화상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에 출력할 수 있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으로서 상기 촬상된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장치.
수단 8. 상기 표시 수단은, 투명 혹은 반투명의 박막모양을 이루는 투과형{透過型}의 액정 패널에 의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투시부에서의 상기 입력 수단과 겹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액정 패널에 대해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장치.
수단 9.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제조 유닛을 비추는 기능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8에 기재된 제조 장치.
수단 10.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조명 수단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에 의해서 상기 커버에 상기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해당 프로젝터는 상기 커버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장치.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커버에는 투시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투시부에 설치되는 입력 수단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박막모양이며, 또, 표시 수단은, 커버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되는 타입(예를 들면, 프로젝터 등), 또는, 투시부에 설치되고, 투명 혹은 반투명의 박막모양을 이루는 타입(예를 들면, 투과형의 액정 패널 등)이다. 따라서, 투시부나 입력 수단 등을 거쳐서 외부로부터 제조 유닛을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제조 유닛의 상태를 적당히{適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입력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대{相對}하는 2매{枚}의 저항막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나,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된 전극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정전 용량{靜電容量}식의 터치 센서 등을 들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입력 수단은 박막모양이며, 표시 수단은 박막모양 또는 커버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이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해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입력 수단에 대해 소정의 입력이 있었을 때, 표시 수단에 의해, 입력이 검지된 위치 등에서 소정의 화상(예를 들면, 제조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나 조작용의 화상 등)이 표시된다. 따라서, 표시 수단에 의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바라는 임의의 위치에 화상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또,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 또는 그 근방 위치에는 입력 수단이 존재하기 때문에, 화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화상을 확인하면서 정보를 입력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들의 결과,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사용상 편리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표시 수단에 의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 조작반 화상을 임의의 위치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또, 조작반 화상과 입력 수단이 겹쳐 있고, 조작반 화상을 이용하여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것(조작반 화상과 겹치는 입력 수단에 접촉 등 하는 것)에 의해, 제조 유닛의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조 유닛의 제어를 다양한 위치에서 행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복수{複數} 개소에 조작반 화상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제조 유닛의 제어를 다른 위치에서 같은 시기에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조 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기 중의 하나의 제어와, 그 밖의 기기 중의 하나의 제어를 같은 시기에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상 편리함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예를 들면, 사용자의 계층 등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에 따라, 다른 조작반 화상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 라인의 작업자의 경우와, 제조 장치의 메인티넌스를 행하는 사람{者}의 경우에서, 표시되는 조작반 화상을 변경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한 사용상 편리함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제조 유닛에서, 잘못된 변경 등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표시되는 화상에 의해, 제조 유닛이나 그 주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알 수가 있다. 따라서, 한층 양호한 사용상 편리함을 실현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6에 의하면, 공급부의 존재 위치에 맞춘 위치(공급부와 상대하는 위치나 그 근방 위치)에, 재료의 잔량에 관한 화상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표시되고 있는 화상과 공급부의 대응 관계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어, 공급부에서의 재료의 잔량을 즉석에서{즉시} 파악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사용상 편리함을 한층 더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수단 7에 의하면, 커버 내에 들어가지 않고도, 촬상 수단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에 의해서 커버 내의 모습{樣子}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상 편리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커버 내로의 이물{異物}의 침입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위생성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수단 8에 의하면, 박막모양의 표시 수단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9에 의하면, 조명 수단은, 액정 패널에 대해 광을 조사하는 기능과 함께, 제조 유닛을 비추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수단과, 제조 유닛을 비추기 위한 수단을 따로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소형화나 각종 비용{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10에 의하면, 커버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는 표시 수단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도 1] (a)는 PTP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b)는 PTP 필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PTP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제조 유닛 등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 제조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6] 액정 패널이나 입력 검지 센서 등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破斷} 모식도이다.
[도 7] 통상 조작반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상세 조작반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정보 입력용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설정 변경용 화상이 표시된 통상 조작반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제어 장치에서 행해지는 통상 처리의 플로차트{흐름도}이다.
[도 12] 조작반 화상 등 표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3] 조작반 화상 표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4] 잔량 화상 표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5] 도수{度數} 화상 표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6] 조작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7] 상태 표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8] 촬상 화상 표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9] 변경용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0] 화상 확대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1] 화상 축소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2] 식별 정보 입력용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3] 정보 입력용 화상 표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4] 정보 입력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5] 결정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6] 식별 정보 입력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7] 제1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8] 제2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9] 씰{seal} 압력 변경용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30] 화상 소거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31] 버튼 영역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 각종 화상이 표시된 제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34] 복수의 조작반 화상이 표시된 제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35] 커버의 측면 및 배면에 표시된 조작반 화상 등을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36] 촬상 화상이 표시된 통상 조작반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 조작반 화상의 확대 및 축소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38] 상세 조작반 화상이 표시된 제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39]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프로젝터나 조광{調光} 필름 등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0] 다른{別} 실시 형태에서, 커버에 표시되는 촬상 화상을 예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41]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간소화 조작반 화상을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42] 다른 실시 형태에서, 패널 본체의 내표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도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이하에,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조 장치(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품으로서의 PTP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유닛(11)과, 해당{當該} 제조 유닛(11)의 주위를 덮는 커버(71)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PTP 시트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a), (b)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TP 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폐쇄하도록} 해서 용기 필름(3)에 부착된 커버 필름(4)을 가지고 있다. 각 포켓부(2)에는, 내용물로서의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 또한, 내용물의 종별, 형상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식품이나 전자 부품 캡슐 등, 내용물이 정제(5)와는 다른 것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용기 필름(3)은, 예를 들면 PP(폴리 프로필렌)나 PVC(폴리 염화 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나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필름(4)은, 예를 들면 폴리 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가 표면에 도포된 불투명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커버 필름(4)에는, 평행 사변형의 그물코모양{網目狀}을 이루는 씰 조인트{seal joint}(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PTP 시트(1)[도 1의 (a) 참조]는, 띠모양{帶狀}의 용기 필름(3) 및 띠모양의 커버 필름(4)으로 형성된 띠모양의 PTP 필름(6)[도 1의 (b) 참조]이 시트모양으로 펀칭{打拔}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다음에, 제조 유닛(11)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조 유닛(1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기기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제조기(12)와, 해당 제조기(12)의 상태 등을 검지하기 위한 상태 검지 수단으로서의 각종 센서(45∼5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조기(12)의 동작 제어는, 컴퓨터 시스템(61)에 의해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우선, 제조기(12)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조기(12)의 최상류 측에는, 띠모양의 용기 필름(3)의 원단{原反; original}이 롤모양으로 권회{卷回; wind}되어 이루어지는 롤 필름(13)을 가지는 필름 공급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필름 공급 장치(14)는, 롤 필름(13)으로부터 용기 필름(3)을 풀어내기 위한 피딩{繰出; feeding} 롤러(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고, 풀어내어진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5)에 안내되고 있다. 용기 필름(3)은, 가이드 롤(15)의 하류 측에서 간헐 이송 롤(16)에 걸어장착{掛裝}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16)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16A)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필름(3)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가이드 롤(15)과 간헐 이송 롤(16)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가열 장치(17) 및 포켓부 형성 장치(18)가 차례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장치(17)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이 가열되어 그 용기 필름(3)이 비교적 유연하게 된 상태에서, 포켓부 형성 장치(18)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포켓부(2)가 성형된다. 포켓부(2)의 형성은, 간헐 이송 롤(16)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간의 인터벌 시에 행해진다.
간헐 이송 롤(16)로부터 내보내진{송출된} 용기 필름(3)은, 텐션 롤(19), 가이드 롤(20) 및 필름 받침 롤(21)의 순으로 걸어장착되어 있다. 필름 받침 롤(21)은, 일정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필름(3)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정 속도로 반송한다. 텐션 롤(19)은, 용기 필름(3)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인장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16)과 필름 받침 롤(21)의 반송 동작의 상위{相違}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느슨해짐{slack}을 방지하여 용기 필름(3)을 항상{常時} 긴장 상태로 보유{保持}한다.
가이드 롤(20)과 필름 받침 롤(21)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정제 충전 장치(22)가 배설되어 있다. 정제 충전 장치(22)는, 정제(5)가 저류{貯留}되는 호퍼(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필름 받침 롤(21)에 의한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과 동기하여 소정 간격마다 셔터를 여는 것에 의해 정제(5)를 낙하시킨다. 이 셔터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각 포켓부(2)에 정제(5)가 충전된다.
정제 충전 장치(22)와 필름 받침 롤(21) 사이에는, 용기 필름(3)의 반송 경로를 따라, 검사 장치(23)가 배설되어 있다.
검사 장치(23)는, 예를 들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확실히 충전되어 있는지 여부, 정제(5)의 이상 유무, 포켓부(2)로의 이물 혼입 유무 등, 주로 정제 불량에 관한 검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검사 장치(23)는, 용기 필름(3) 중, 펀칭에 의해 PTP 시트(1)로 되는 부위를 검사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 검사 장치(23)에는, 용기 필름(3)이나 정제(5)를 촬상하고, 검사 대상의 화상을 얻기 위한 촬상 수단으로서의 검사용 카메라(55)가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검사용 카메라(55)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이나, 해당 화상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처리 마친{처리된} 화상(예를 들면, 상기 화상에 대해 2값화{二値化} 처리를 실시하여 얻은 흑백 화상)에 근거하여, 검사 장치(23)는, 정제(5)에서의 이물 유무 등을 검사한다. 또, 검사용 카메라(55)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검사 장치(23)로부터 컴퓨터 시스템(61)에 대해, 검사용 카메라(55)에 의한 촬상 시마다 출력된다.
한편, 띠모양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최상류 측에서 롤모양으로 권회되어 있다. 커버 필름(4)이 롤모양으로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롤 필름(24)은, 피딩 롤러(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한 필름 공급 장치(25)에 의해서, 가열 롤(26) 쪽으로 공급되고 있다. 가열 롤(26)은, 소정의 히터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 받침 롤(21)에 압접{壓接}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양 롤(21, 26)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들여보내지도록{송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양 롤(21, 26) 사이를 가열 압접 상태로 통과함으로써,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접착{貼着}되고, 포켓부(2)가 커버 필름(4)으로 막힌다{폐색된다}. 이것에 의해, 정제(5)가 각 포켓부(2)에 충전된 PTP 필름(6)이 제조된다. 또한, 가열 롤(26)의 표면에는, 그물코모양의 미세한 돌기{凸條}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강하게 압접함으로써, 커버 필름(4)에 씰 조인트가 형성되어, 강고한 씰이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롤(26)이 필름 받침 롤(21)에 대해 접근/이격{接離}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가열 롤(26)로부터 필름 받침 롤(21)에 가해지는 압력(씰 압력)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필름 받침 롤(21)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27) 및 간헐 이송 롤(28)의 순으로 걸어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28)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28A)에 연결되어 있고,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27)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필름 받침 롤(21)과 간헐 이송 롤(28)의 반송 동작의 상위에 의한 PTP 필름(6)의 느슨해짐을 방지하여 PTP 필름(6)을 항상 긴장 상태로 보유한다.
필름 받침 롤(21)과 텐션 롤(27)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검사 장치(29)가 배설되어 있다. 이 검사 장치(29)는, 주로 커버 필름(4)에서의 균열{龜裂; crack}이나 파단{破斷; break} 등의 파손{破損; damage}에 대한 검사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검사 장치(29)는, PTP 필름(6) 중, 펀칭에 의해 PTP 시트(1)로 되는 부위를 검사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 검사 장치(29)에는, PTP 필름(6)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 수단으로서의 검사용 카메라(56)가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검사 장치(29)는, 검사용 카메라(56)에 의해 얻어진 화상이나 이것을 처리해서 얻은 처리 마친{처리된} 화상에 근거하여, 커버 필름(4)에서의 파손 등을 검사한다. 또한, 검사용 카메라(56)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검사용 카메라(56)에 의한 촬상 시마다 컴퓨터 시스템(61)에 출력된다.
간헐 이송 롤(28)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텐션 롤(31) 및 간헐 이송 롤(32)의 순으로 걸어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PTP 필름(6)을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텐션 롤(31)은, PTP 필름(6)을 탄성력에 의해서 긴장하는 측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간헐 이송 롤(28, 32) 사이에서의 PTP 필름(6)의 느슨해짐을 방지한다.
간헐 이송 롤(28)과 텐션 롤(31)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슬릿 형성 장치(33) 및 각인{刻印} 장치(34)가 차례로 배설되어 있다. 슬릿 형성 장치(33)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에 잘라냄용{切離用; cut-off, separating} 슬릿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인 장치(34)는, PTP 필름(6)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태그부)에 각인을 새기는 기능을 가진다.
간헐 이송 롤(32)로부터 내보내진 PTP 필름(6)은, 그의 하류 측에서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의 순으로 걸어장착되어 있다. 간헐 이송 롤(32)과 텐션 롤(35) 사이에는,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시트 펀칭 장치(37)가 배설되어 있다. 시트 펀칭 장치(37)는, 절단용 칼날{刃}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칼날에 의해서 PTP 필름(6)을 PTP 시트(1) 단위로 그의 바깥가장자리{外緣}를 펀칭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단용 칼날은, 소모 부품이며,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해서 펀칭된 PTP 시트(1)는, 취출{取出; take-out, ejection} 컨베이어(39)에 의해서 반송되고, 완성품용 호퍼(40)에 일단 저류된다. 또한, 상기 각 검사 장치(23, 29)에 의해서 불량품으로 판정된 경우, 그 불량품으로 판정된 PTP 시트(1)는, 도시하지 않는 불량 시트 배출{排出} 기구에 의해서 별도 배출된다.
상기 연속 이송 롤(36)의 하류 측에는, 재단{裁斷} 장치(41)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한 펀칭 후에 띠모양으로 남은 잔재부(스크랩부)를 구성하는 불필요{不要} 필름부(42)는, 상기 텐션 롤(35) 및 연속 이송 롤(36)에 안내된 후, 재단 장치(41)로 인도된다. 재단 장치(41)는, 불필요 필름부(42)를 소정 치수로 재단하고 스크랩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스크랩은 스크랩용 호퍼(43)에 저류된 후, 별도 폐기 처리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 공급 장치(14, 25) 및 정제 충전 장치(22)가, 각각 공급부에 상당{相當}한다.
도 3으로 되돌아가, 센서(45∼54)에 대해서 설명한다. 센서(45∼54)는, 커버(71) 내에 설치되어 있고, 제조기(12)를 구성하는 상기 각종 기기나 그 주변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필름 공급 장치(14)에 대응해서, 롤 필름(13)의 잔량을 검지하기 위한 필름 잔량 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필름 잔량 센서(45)는, 예를 들면, 초음파 등을 롤 필름(13)의 외표면에 조사함과 동시에, 그 반사파를 수신함으로써, 롤 필름(13)의 지름을 검지한다. 또, 필름 잔량 센서(45)는, 검지된 지름에 근거하는 롤 잔량 신호를 컴퓨터 시스템(61)으로 출력한다.
또, 필름 공급 장치(25)에 대해서는, 상기 필름 잔량 센서(45)와 거의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고, 롤 필름(24)의 잔량을 검지하기 위한 필름 잔량 센서(46)가 설치되어 있다. 필름 잔량 센서(46)는, 롤 필름(24)의 외표면에 초음파나 광 등을 조사해서 롤 필름(24)의 지름을 검지함과 동시에, 검지된 지름에 근거하는 롤 잔량 신호를 컴퓨터 시스템(61)으로 소정 시간마다 출력한다.
또, 정제 충전 장치(22)에 대응해서, 상기 호퍼에 저류되어 있는 정제(5)의 잔량을 검지하기 위한 정제 잔량 센서(47)가 설치되어 있다. 정제 잔량 센서(47)는, 예를 들면, 광전{光電}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호퍼 내에 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그 반사광에 근거하여, 호퍼 내에서의 정제(5)의 높이를 검지한다. 검지된 높이에 근거하는 정제 잔량 신호는, 컴퓨터 시스템(61)으로 소정 시간마다 출력된다.
이에 더하여, 가열 롤(26)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48)와, 커버(71) 내의 온도(제조기(12)의 주위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49)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48, 49)로부터는, 검지한 온도에 근거하는 온도 신호가 소정 시간마다 컴퓨터 시스템(61)으로 출력된다.
또한, 커버(71) 내에는, 커버(71) 내의 습도를 검지하기 위한 습도 센서(50)가 배치되어 있다. 습도 센서(50)로부터는, 검지한 습도에 근거하는 습도 신호가 컴퓨터 시스템(61)으로 소정 시간마다 출력된다.
또, 연속 반송되고 있는 상태의 용기 필름(3)의 속도를 검지하기 위한 속도 센서(51)와, 간헐 반송되고 있는 상태의 PTP 필름(6)의 속도를 검지하기 위한 속도 센서(52)가 설치되어 있다(물론, 각 모터 등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속도 센서(51, 52)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 등에 의해, 대상물의 속도를 검지한다. 검지된 속도에 근거하는 속도 신호는, 속도 센서(51, 52)로부터 컴퓨터 시스템(61)에 대해 소정 시간마다 출력된다.
필름 받침 롤(21) 및 가열 롤(26)에 대응해서, 가열 롤(26)로부터 필름 받침 롤(21)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53)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센서(53)는, 예를 들면, 필름 받침 롤(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고, 자신에게 생긴 전기 저항의 변화에 근거하는 압력 신호를 컴퓨터 시스템(61)에 대해 소정 시간마다 출력한다.
또, 시트 펀칭 장치(37)에 대응해서, 사용 횟수 계측 센서(54)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 횟수 계측 센서(54)는, 시트 펀칭 장치(37)에 의한 PTP 필름(6)의 펀칭 동작이 1회 행해질 때마다 컴퓨터 시스템(61)으로 사용 횟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각 센서(45∼54)가, 각각 상태 검지 수단에 상당한다. 또, 각 센서(45∼54)의 구성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컴퓨터 시스템(61)은,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연산 데이터나 입출력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연산 데이터 등을 장기{長期} 기억하는 하드디스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61)은, 예를 들면 상기 가열 장치(17), 포켓부 형성 장치(18), 정제 충전 장치(22) 등의 각종 장치의 구동 제어나, 필름 받침 롤(21) 등의 각종 롤의 구동 제어 등을 행한다. 각종 롤의 구동 제어에는, 간헐 이송 롤(16, 28)을 구동시키는 모터(16A, 28A)의 동작이나 가열 롤(26)로부터 필름 받침 롤(21)에 가해지는 압력(씰 압력)의 제어가 포함된다.
이들 구동 제어는, 상기 ROM이나 하드디스크에 사전에 설정된 설정 데이터(각종 기구의 구동량의 데이터 등)에 근거하여, 컴퓨터 시스템(61)이 각종 장치에 대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61)에는, 모터(16A, 28A)의 1회의 동작 당에 있어서의 회전 각도나, 씰 압력의 설정값이 기억되어 있고, 이들 설정값에 근거하여, 모터(16A, 28A)나 가열 롤(26)의 동작이 제어된다.
또, 컴퓨터 시스템(61)은, 상기 각 센서(45∼54)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근거하여 정제(5)나 롤 필름(13, 24)의 잔량 등의 각종 데이터를 얻음과 동시에, 얻어진 각종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기억한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필름 잔량 센서(45, 46)로부터 롤 잔량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롤 잔량 신호(롤 필름(13, 24)의 지름에 관한 정보)로부터 롤 필름(13, 24)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잔량을 하드디스크에 기억한다. 또한, 롤 잔량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새롭게 산출된 롤 필름(13, 24)의 잔량이 하드디스크에 대해 덮어쓰기{上書; overwrite} 보존된다.
정제 잔량 센서(47)로부터 정제 잔량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제 잔량 신호(정제(5)의 높이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호퍼 내에서의 정제(5)의 잔량이 개산{槪算; 개략적으로 계산}된다. 정제(5)의 잔량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역치{threshold value; 한계치}에 근거하여, 복수 단계(예를 들면, 5∼10단계)로 나누어 대충 파악된다. 예를 들면, 정제(5)의 잔량이 6단계로 나누어 파악되는 경우, 호퍼 내에서의 정제(5)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역치 중 최대값 이상이었을 때, 정제(5)의 잔량은 「5」라고 산출되고, 호퍼 내에서의 정제(5)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역치 중 최소값 미만이었을 때, 정제(5)의 잔량은 「0」이라고 산출된다. 산출된 정제(5)의 잔량은 하드디스크에 기억되고, 정제 잔량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새롭게 산출된 정제(5)의 잔량이 하드디스크에 덮어쓰기 보존된다.
온도 센서(48, 49)로부터 온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온도 신호에 근거하여, 가열 롤(26)의 온도나 커버(71) 내의 온도가 산출된다. 산출된 온도는 하드디스크에 기억된다. 또한, 온도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온도의 산출이 행해지고, 산출된 온도는, 온도 신호의 입력 시간(다시 말해, 온도의 계측 시간)과 함께 모두 하드디스크에 기억된다.
습도 센서(50)로부터 습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습도 신호에 근거하여, 커버(71) 내의 습도가 산출된다. 또한, 습도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습도의 산출이 행해지고, 산출된 습도는, 습도 신호의 입력 시간(다시 말해, 습도의 계측 시간)과 함께 모두 하드디스크에 기억된다.
속도 센서(51, 52)로부터 속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속도 신호에 근거하여, 용기 필름(3)이나 PTP 필름(6)의 반송 속도를 산출한다. 반송 속도의 산출은, 속도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행해지고, 속도 신호의 입력 시간(다시 말해, 반송 속도의 계측 시간)과 함께 모두 하드디스크에 기억된다.
압력 센서(53)로부터 압력 신호가 입력되면, 압력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압력 신호(전기 저항의 변화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가열 롤(26)로부터 필름 받침 롤(21)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씰 압력)을 산출한다. 산출된 씰 압력은, 압력 신호의 입력 시간(다시 말해, 압력의 계측 시간)과 함께 모두 하드디스크에 기억된다.
사용 횟수 계측 센서(54)로부터 사용 횟수 신호가 입력되면, 하드디스크에 보존되어 있는 사용 횟수 카운터의 값을 1개 증가시킨다. 사용 횟수 카운터는, 상기 절단용 칼날의 사용 횟수(다시 말해, 펀칭 횟수)를 계측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시트 펀칭 장치(37)에서 상기 절단용 칼날이 교환되면, 사용 횟수 카운터의 값은 초기값(0)으로 재설정된다.
또, 컴퓨터 시스템(61)에는, 검사 장치(23, 29)로부터, 검사용 카메라(55, 56)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61)은, 이와 같은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화상 데이터에 일련 번호를 붙인 후, 검사 대상마다, 화상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보존한다.
다음에, 커버(7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버(7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조 유닛(11)의 사방을 둘러싸도록 배설된 패널판(72)과, 제조 유닛(11)의 위쪽에 배설된 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불투명 천정판{天板}(7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닥판{底板}을 커버(71)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측벽인 패널판(72)은, 판모양의 패널 본체(74)와, 해당 패널 본체(74)의 외주에 설치된 금속제의 바깥프레임(7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패널 본체(74)는, 아크릴 등의 투명 수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통상, 패널 본체(74)를 통해 커버(71) 밖으로부터 커버(71) 내의 제조 유닛(11)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널 본체(74)가 투시부에 상당한다.
또, 제조 유닛(11)의 사방에 배치된 패널판(72) 중 1매는, 그의 바깥가장자리부{外緣部}의 1변이 인접하는 패널판(72)에 대해 소정의 힌지{경첩}(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동{回動}할 수 있게 축지지{軸支}되어 있다(도 34 참조). 이 축지지된 패널판(72)은, 커버(71) 내로 드나들기{출입하기} 위한 문{扉}으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각 패널 본체(74)의 외표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박막모양을 이루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입력 검지 센서(81)와, 표시 수단으로서의 액정 패널(82)과, 도광판(83)이 설치되어 있다. 입력 검지 센서(81), 액정 패널(82) 및 도광판(83)은, 이 순서로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입력 검지 센서(81)는, 투영형의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이며, 박막모양이고,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을 보이고 있다. 또, 입력 검지 센서(81)는, 예를 들면, x축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투명한 제1 전극막과, y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투명한 제2 전극막과, 양 전극막 사이에 개재되고 양 전극막을 절연 상태로 하는 절연막이, 유리제의 기판, 및,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투명 커버에 의해 협지{사이에 끼임}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입력 검지 센서(81)의 좌표를 나타내는 경우, x 및 y를 각각 소문자로 나타낸다.
또, 상기 양 전극막에 설치된 각 전극은, 상기 바깥프레임(75)에 의해서 숨은 상태로 되어 있는 제어용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투명 커버에 대한 접촉 또는 접근에 의해, 제1 전극막에 설치된 전극과 제2 전극막에 설치된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면, 입력 검지 센서(81)에 입력이 있었다는 정보, 및, 그 변화가 생긴 부분(입력을 검지한 위치)의 좌표(x좌표 및 y좌표) 정보가 상기 제어용 기판으로부터 후술하는 제어 장치(85)로 출력된다. 또한, 좌표 정보로서는, 모든 입력 검지 센서(81)를 늘어놓고 1개의 면으로 하여 파악한 경우에 있어서의, 1개의 입력 검지 센서(81)의 중심을 원점{原点}으로 한 것이 출력된다.
또한, 입력 검지 센서(81)로서는, 상대하는 2매의 저항막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 등을 이용해도 좋다.
액정 패널(82)은, 예를 들면, 투명 절연 기판에 복수의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TFT 기판과, 투명 절연 기판에 복수의 대향 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대향 기판과, TFT 기판 및 대향 기판 사이에 봉입{封入}된 액정층과, TFT 기판, 대향 기판 및 액정층을 끼워넣는{사이에 두는} 2매의 편광판과, 1개의 편광판의 표면에 설치된 컬러 필터를 구비한 박막모양의 것이다. 액정 패널(82)의 단가장자리부{端緣部}에는, TFT 기판이나 대향 기판에 대해, 화상 신호를 송신하거나, 구동 전력을 공급하거나 하기 위한 구동 기판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구동 기판으로부터 TFT 기판 등에 대해 구동 전력이 공급되고 있고, 액정 패널(82)은 투명 또는 반투명을 보이고 있다. 또, 구동 전력이 조절되면서, 화상 신호가 TFT 기판 등에 송신됨으로써, 액정 패널(82)(패널 본체(74))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기판은, 상기 바깥프레임(75)에 의해서 숨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액정 패널(82)은, 복수의 화소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액정 패널(82)에서의 화상의 표시 범위를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액정 패널(82)의 좌표를 나타내는 경우, X 및 Y를 각각 대문자로 나타낸다. 또, 액정 패널(82)의 좌표 정보로서는, 모든 액정 패널(82)을 늘어놓고 1개의 면으로 하여 파악한 경우에 있어서의, 1개의 액정 패널(82)의 중심을 원점으로 한 것이 출력된다.
도광판(83)은, 아크릴 등의 투명 수지판에 다수의 홈(도트)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바깥프레임(75)의 이면측{裏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조명 수단으로서의 조명 장치(84)(예를 들면, LED나 냉음극관 등이며, 도 5에서 흩어진 점 모양{散点模樣; ▒}을 부가한 위치에 존재한다)로부터 도광판(83)의 1측면에 대해 광이 입사{入射}됨으로써, 도광판(83) 전체가 면발광한다. 도광판(83) 및 조명 장치(84)는, 액정 패널(82)의 백라이트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조명 장치(84)는, 제조 유닛(11)을 비추는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또한, 입력 검지 센서(81)의 제어용 기판, 액정 패널(82)의 구동 회로 및 조명 장치(84)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8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도 3 참조).
제어 장치(85)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연산 데이터나 입출력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연산 데이터 등을 장기 기억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85)는, 입력 검지 센서(81)로부터 좌표 정보 등이 입력된다. 또, 제어 장치(85)는, 액정 패널(82)의 구동 기판 및 조명 장치(8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액정 패널(82)에서 다양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통상, 액정 패널(82)은 투명 또는 불투명하고, 패널 본체(74), 입력 검지 센서(81), 액정 패널(82) 및 도광판(83)을 통해 커버(71) 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화상을 표시시킨 경우에는, 액정 패널(82)에서의 화상의 표시 부분이, 불투명 또는 거의 불투명하게 된다. 이 때문에, 화상의 시각적 확인성{視認性; visibility}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제어 장치(85)는, 컴퓨터 시스템(61)과 접속되어 있고, 양자{兩者}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입력 검지 센서(81)에서의 좌표와, 액정 패널(82)에서의 좌표의 상대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는, 제어 장치(85)의 ROM에 대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제어 장치(85)는, 이 상대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 검지 센서(81) 및 액정 패널(82) 중의 한쪽 좌표로부터, 해당 한쪽 좌표와 겹치는 위치에 있는, 입력 검지 센서(81) 및 액정 패널(82) 중의 다른쪽 좌표를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 장치(85)의 하드디스크에는, 조작반 화상(CP), 정보 입력용 화상(IP), 상태 표시용 화상(JP), 설정 변경용 화상(EP),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 및 도수 표시용 화상(TP1, TP2) 등의 각종 화상의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조작반 화상(CP)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정보나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DS)이나, 해당 표시 영역(DS)에서 표시되는 내용을 변경하거나, 다음에 기술{次述}하는 정보 입력용 화상(IP)을 표시시키거나 하는 것 등을 행할 때에 이용되는 복수의 버튼 영역(BS) 등을 구비한 것이다. 버튼 영역(BS)에는, 「상태 표시」, 「카메라 화상 표시」, 「확대」, 「축소」, 「설정 변경」, 「식별 정보 입력」 등이라고 한 문자나 「×」라고 한 기호가 쓰여 있다. 또한, 조작반 화상(CP)으로서는, 통상 이용되는 통상 조작반 화상(CP1)(도 7 참조)과, 통상 조작반 화상(CP1)에 비해, 보다 많은 버튼 영역(BS)을 구비한 상세 조작반 화상(CP2)(도 8 참조)이 준비되어 있다.
정보 입력용 화상(IP)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치 등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영역(IS), 수치 등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때에 이용되는 결정 영역(KS), 및, 입력된 수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 표시 영역(IW) 등을 구비한 것이다.
상태 표시용 화상(JP)은, 표시 영역(DS)에서 표시되는 화상이며, 상기 센서(45∼54)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도 7중, 흩어진 점 모양을 부가한 영역)과, 해당 정보의 항목명을 나타내는 영역을 구비한 것이다(도 7 참조).
설정 변경용 화상(EP)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DS)에서 표시되는 화상이며, 제조기(12)를 제어함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61)에 대해 기억되어 있는 설정값을 표시하는 영역(도 10중, 흩어진 점 모양을 부가한 영역)과, 해당 정보의 항목명을 나타내는 영역과, 「변경(A)」, 「변경(B)」, 「변경(C)」라고 한 문자가 붙여진 복수의 버튼 영역(BS)을 구비한 것이다.
잔량 표시용 화상(RP1)은, 정제 충전 장치(22)의 호퍼 내에 저류된 정제(5)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圖}이며, 상기 호퍼에 저류된 정제(5)의 잔량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용된다(도 33 등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 잔량 표시용 화상(RP1)은,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진 호퍼 내의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구분한 화상으로 되어 있다.
또, 잔량 표시용 화상(RP2)은, 롤 필름(13, 24)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며, 롤 필름(13, 24)의 잔량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용된다(도 33등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 잔량 표시용 화상(RP2)은, 동심원모양{同心圓狀}으로 설치된 복수의 원을 구비한 화상으로 되어 있다.
도수 표시용 화상(TP1)은, 온도나 습도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온도계나 습도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화상으로 되어 있다(도 33 등 참조). 또, 도수 표시용 화상(TP2)은, 속도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속도 미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화상으로 되어 있다(도 33 등 참조).
또, 상기 각 화상(IP, RP1, RP2, TP1, TP2)에는, 화상을 소거할 때에 이용되는 「×」의 기호가 쓰여진 버튼 영역(BS)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화상(RP1, RP2, TP1, TP2)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또한, 상술한 각 화상의 양태{態樣}는 1예로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85)의 하드디스크에는, 액정 패널(82)에서의 정제 충전 장치(22)나 롤 필름(13, 24)과 상대하는 위치의 좌표 범위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 제어 장치(85)의 하드디스크에는,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가 보존되어 있다. 해당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에는, 제조 유닛(11)의 메인티넌스를 행하는 관리자에게 할당되는 식별 번호가 1개 또는 복수 기억되어 있다.
그 다음에, 제어 장치(85)에서 행해지는 각 처리에 대해서, 플로차트{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어 장치(85)의 ROM이나 하드디스크에는, 이하의 각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우선, 제어 장치(85)에서 소정 시간마다 행해지는 통상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처리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01에서, 입력 검지 센서(81)에 대한 입력의 유무를 판정한다. 입력이 없었던 경우(단계 S101:NO)에는, 단계 S105로 이행한다.
한편,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단계 S101:YES), 단계 S102에서, 화상 표시 영역에의 입력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화상 표시 영역이란, 액정 패널(82) 중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이며, 제어 장치(85)의 RAM에 보존된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로부터 특정할 수가 있다.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는, 액정 패널(82)의 화상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1∼X2, Y1∼Y2)]가, 각 화상의 화상 번호와 함께 보존되어 있다(도 32 참조).
단계 S102에서는, 입력 검지 센서(81)에의 입력 좌표에 근거하여, 해당 입력 좌표와 겹치는 위치에 있는 액정 패널(82)의 좌표 범위가 특정됨과 동시에, 특정된 좌표 범위가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 좌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화상 표시 영역에의 입력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입력 검지 센서(81)의 입력 좌표로부터, 해당 입력 좌표와 겹치는 위치에 있는 액정 패널(82)의 좌표 범위를 특정하는 것은, 제어 장치(85)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술한, 입력 검지 센서(81)에서의 좌표와 액정 패널(82)에서의 좌표의 상대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행해진다.
단계 S102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단계 S103의 조작시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02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화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부분(화상 비표시부)에 대해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단계 S104의 조작반 화상 등 표시 처리로 이행한다.
여기서, 조작반 화상 등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반 화상 등 표시 처리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201에서, 소정의 타이머의 값이 미리 설정된 판정값 A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해당 타이머는, 입력 검지 센서(81)에 대한 입력의 시간 간격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며,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0ms)마다 1개씩 증가한다.
단계 S2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203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대해, 단계 S20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다시 말해, 타이머의 카운트가 개시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입력 간격 판정용 시간(이 입력 간격 판정용 시간은, 상기 판정값 A에 대응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500∼1000ms 정도의 비교적 단시간이다)을 넘을 때까지, 화상 비표시부에 다음의 입력이 없었던 경우에는, 단계 S202에서 타이머를 리셋(타이머의 값을 0으로 재설정)한 다음, 단계 S203으로 이행한다.
계속되는{이어지는} 단계 S203에서는, 상기 타이머가 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다시 말해, 화상 비표시부에 대한 첫번째{1회째}의 입력, 또는, 화상 비표시부에 대한 전회{前回}의 입력시부터 상기 입력 간격 판정용 시간을 넘은 후(단계 S202에서 타이머 리셋된 후)의 입력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03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204로 이행하고, 입력 검지 센서(81)에 대한 입력 좌표(x, y)를 RAM에서의 소정 에리어에 기억한다(덮어쓰기 보존한다). 그 후, 단계 S205에서 상기 타이머를 개시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203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화상 비표시부에 대한 직전의 입력시부터 상기 입력 간격 판정용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화상 비표시부에 다시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단계 S206으로 이행한다.
단계 S206에서는, 입력 검지 센서(81)에 대한 입력 좌표를 RAM에서의 소정 에리어에 기억한다(덮어쓰기 보존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단계 S207에서, 단계 S204에서 기억된 좌표와, 단계 S206에서 기억된 좌표를 비교하고, 양좌표가 동일 또는 근접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06에서는, 예를 들면, 단계 S204에서 기억된 좌표를 중심으로 한 소정의 좌표 범위를 설정함과 동시에, 해당 좌표 범위 내에 단계 S206에서 기억된 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양좌표가 동일 또는 근접해 있는 것이라 판정한다.
단계 S207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양입력 좌표가 비교적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11로 이행하고, 타이머를 리셋한 다음,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207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208로 이행하고, 조작반 화상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반 화상 표시 처리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301에서, 단계 S206에서 기억된 좌표와 겹치는 위치에 있는 액정 패널(82)의 좌표를 특정함과 동시에, 기본적으로는, 특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해서, 액정 패널(82)에 통상 조작반 화상(CP1)을 표시시킨다. 단, 특정된 좌표를 중심으로 해서 통상 조작반 화상(CP1)을 표시시켰을 때에, 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그 밖의 화상과 겹치는 경우에는, 그 밖의 화상과 겹치지 않는 위치로서, 특정된 좌표 근방에 통상 조작반 화상(CP1)을 표시한다.
그 다음에, 단계 S302에서, 액정 패널(82) 중, 통상 조작반 화상(CP1)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1∼X2, Y1∼Y2)]를, 화상 번호와 관련지어,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도 32 참조)에 기억한다(또한, 도 32에서는, 이해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화상 번호 란에 화상의 명칭을 병기한다). 화상 번호로서는, 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이 이용된다. 화상 번호 카운터는, 초기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한값(예를 들면, 1000 이상)에 도달한 후, 초기값인 0으로 되돌아가는 루프 카운터로 되어 있다.
그 다음에, 단계 S303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상태 표시」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1∼x2, y1∼y2)]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도 31 참조)에 기억한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304에서,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해당 좌표 범위에 입력이 있었을 때에 실행되는 처리(입력시 처리)를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여기에서는,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상태 표시 처리가 기억된다.
또한, 다음의 단계 S305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카메라 화상 표시」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3∼x4, y3∼y4)]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그 후, 단계 S306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촬상 화상 표시 처리를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계속되는 단계 S307에서는, 입력 검지 센서(81) 중, 「설정 변경」이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5∼x6, y5∼y6)]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그 후, 단계 S308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변경용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다음의 단계 S309에서는, 입력 검지 센서(81) 중, 「확대」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7∼x8, y7∼y8)]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계속되는 단계 S310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화상 확대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한, 다음의 단계 S311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축소」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9∼x10, y9∼y10)]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그런 다음에, 계속되는 단계 S312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화상 축소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313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식별 정보 입력」이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11∼x12, y11∼y12)]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다음의 단계 S314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식별 정보 입력용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315에서는, 입력 검지 센서(81) 중, 「×」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13∼x14, y13∼y14)]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다음에, 단계 S316에서,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화상 소거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단계 S317에서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을 1개 증가시킴으로써, 조작반 화상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조작반 화상 표시 처리를 행함으로써, 액정 패널(82)에 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표시됨과 동시에, 통상 조작반 화상(CP1)의 각 버튼 영역(BS)과 접촉 등 함으로써, 상기 상태 표시 처리 등의 각종 처리가 실행되도록 설정된다.
도 12로 되돌아가, 단계 S208의 조작반 화상 표시 처리에 계속해서, 단계 S209에서, 잔량 화상 표시 처리를 행한다.
잔량 화상 표시 처리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401에서,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근거하여, 액정 패널(82) 중, 정제 충전 장치(22)와 상대하는 위치에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제어 장치(85)에 미리 기억된, 액정 패널(82)에서의 정제 충전 장치(22)와 상대하는 위치의 좌표 범위에,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 좌표 범위가 겹치는지 여부에 의해서 행할 수가 있다.
단계 S4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정제 충전 장치(22)와 상대하는 위치에 이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잔량 표시용 화상(RP1)의 표시 등에 관계된 각종 처리를 스킵하기 위하여, 단계 S409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40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정제 충전 장치(22)와 상대하는 위치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02로 이행한다.
단계 S402에서는,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정제(5)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에, 계속되는 단계 S403에서,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잔량 표시용 화상(RP1)을, 액정 패널(82) 중 정제 충전 장치(22)와 상대하는 위치의 좌표 범위에 표시시킨다. 또한, 잔량 표시용 화상(RP1)에서는, 정제(5)의 잔량에 근거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분된 각 영역의 표시색이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잔량 표시용 화상(RP1)에 의해서 정제(5)의 대략적인 잔량이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진다.
계속되는 단계 S404에서는, 액정 패널(82)에서의 잔량 표시용 화상(RP1)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3∼X4, Y3∼Y4)]가,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함께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한, 단계 S405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잔량 표시용 화상(RP1)에서 「×」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15∼x16, y15∼y16)]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계속되는 단계 S406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화상 소거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다음에, 단계 S407에서, 정제 잔량 표시 플래그를 온으로 함과 동시에, 정제 잔량 표시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를 기억한다. 다시 말해, 정제 잔량 표시 플래그에는, 잔량 표시용 화상(RP1)을 나타내는 화상 번호가 관련지어져 있다. 정제 잔량 표시 플래그는, 잔량 표시용 화상(RP1)이 액정 패널(82)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온으로 되고, 잔량 표시용 화상(RP1)의 갱신 처리를 실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단계 S105)에서 참작된다.
또한, 다음의 단계 S408에서,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을 1개 증가시킨다.
계속되는 단계 S409에서는,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근거하여, 액정 패널(82) 중, 필름 공급 장치(14)와 상대하는 위치에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제어 장치(85)에 미리 기억된, 액정 패널(82)에서의 필름 공급 장치(14)와 상대하는 위치의 좌표 범위에,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 좌표 범위가 겹치는지 여부에 의해서 행할 수가 있다.
단계 S409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필름 공급 장치(14)와 상대하는 위치에 이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17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409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필름 공급 장치(14)와 상대하는 위치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10으로 이행한다.
단계 S410에서는,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롤 필름(13)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에, 다음의 단계 S411에서,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잔량 표시용 화상(RP2)을, 액정 패널(82) 중 필름 공급 장치(14)와 상대하는 위치의 좌표 범위에 표시시킨다. 또한, 잔량 표시용 화상(RP2)에서는, 롤 필름(13)의 잔량에 근거하여, 동심원모양으로 설치된 복수의 원끼리에 협지된{원 사이에 끼인} 각 영역의 표시색이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잔량 표시용 화상(RP2)에 의해서 롤 필름(13)의 대략적인 잔량이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412에서는, 액정 패널(82)에서의 잔량 표시용 화상(RP2)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5∼X6, Y5∼Y6)]가,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함께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그 후, 단계 S413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잔량 표시용 화상(RP2)에서 「×」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17∼x18, y17∼y18)]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계속되는 단계 S414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화상 소거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다음에, 단계 S415에서, 제1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를 온으로 함과 동시에, 제1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를 기억한다. 다시 말해, 제1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에는, 롤 필름(13)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표시용 화상(RP2)의 화상 번호가 관련지어져 있다. 제1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는, 롤 필름(13)에 관한 잔량 표시용 화상(RP2)의 갱신 처리를 실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단계 S107)에서 참작된다.
그 후, 단계 S416에서,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을 1개 증가시켜, 단계 S417로 이행한다.
계속해서, 단계 S417∼S424에서, 롤 필름(13) 및 필름 공급 장치(14)를 대상으로 해서 행해지는, 상술한 단계 S409∼S416과 마찬가지 처리를, 롤 필름(24) 및 필름 공급 장치(25)를 대상으로 해서 행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409∼S416과 마찬가지 처리이기 때문에, 단계 S417∼S424의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단계 S419에서는, 액정 패널(82) 중, 필름 공급 장치(25)와 상대하는 위치에 잔량 표시용 화상(RP2)이 표시된다. 또, 단계 S423에서는, 제2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가 온으로 됨과 동시에, 제2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가 기억된다. 다시 말해, 제2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에는, 롤 필름(24)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표시용 화상(RP2)의 화상 번호가 관련지어져 있다. 제2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는, 롤 필름(24)에 관한 잔량 표시용 화상(RP2)의 갱신 처리를 실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단계 S109)에서 참작된다.
도 12로 되돌아가, 단계 S209의 잔량 화상 표시 처리에 계속해서, 단계 S210에서, 도수 화상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도수 화상 표시 처리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501에서,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근거하여, 액정 패널(82) 중, 미리 설정된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표시 위치에 이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이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509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50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화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502로 이행한다.
단계 S502에서는,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온도 센서(48)에 의해 얻어진 온도(가열 롤(26)의 온도)에 관한 최신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에, 단계 S503에서,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도수 표시용 화상(TP1)을, 액정 패널(82) 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시킨다. 또한, 도수 표시용 화상(TP1)에서는, 얻어진 온도 정보에 근거하여, 중앙에 위치하는 액주{液柱}를 본뜬 부분의 길이가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도수 표시용 화상(TP1)에 의해서 가열 롤(26)의 온도가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진다.
그 다음에, 단계 S504에서, 액정 패널(82)에서의 도수 표시용 화상(TP1)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9∼X10, Y9∼Y10)]가,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함께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한, 단계 S505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도수 표시용 화상(TP1)에서 「×」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21∼x22, y21∼y22)]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계속되는 단계 S506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화상 소거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다음에, 단계 S507에서,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을 1개 증가시킨다. 또한, 다음의 단계 S508에서, 제1 온도 표시 플래그를 온으로 함과 동시에, 제1 온도 표시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를 기억한다. 제1 온도 표시 플래그는, 가열 롤(26)의 온도에 관한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갱신 처리를 실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단계 S111)에서 참작된다.
계속해서, 단계 S509∼S516에서, 가열 롤(26)의 온도(온도 센서(48)에 의해 얻어진 온도 정보)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상술한 단계 S501∼S508과 거의 마찬가지 처리를, 커버(71) 내의 온도(온도 센서(49)에 의해 얻어진 온도 정보)를 대상으로 해서 행한다. 단계 S509∼S516의 처리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단계 S511에서의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표시 위치는, 단계 S503에서의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표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단계 S516에서는, 제2 온도 표시 플래그가 온으로 됨과 동시에, 제2 온도 표시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가 기억된다. 제2 온도 표시 플래그는, 통상 처리에서, 커버(71) 내의 온도를 나타내는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갱신 처리를 실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단계 S113)에서 참작된다.
계속해서, 단계 S517∼S524에서, 가열 롤(26)의 온도(온도 센서(48)에 의해 얻어진 온도 정보)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상술한 단계 S501∼S508과 거의 마찬가지 처리를, 커버(71) 내의 습도(습도 센서(50)에 의해 얻어진 습도 정보)를 대상으로 해서 행한다. 단계 S517∼S524의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단계 S519에서의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표시 위치는, 단계 S503 및 단계 S511에서의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표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단계 S524에서는, 습도 표시 플래그가 온으로 됨과 동시에, 습도 표시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를 기억한다. 습도 표시 플래그는, 커버(71) 내의 온도에 관한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갱신 처리를 실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단계 S115)에서 참작된다.
다음에, 단계 S525에서,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근거하여, 액정 패널(82) 중, 미리 설정된, 용기 필름(3)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수 표시용 화상(TP2)의 표시 위치에 이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25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이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533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525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26으로 이행한다.
단계 S526에서는,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속도 센서(51)에 의해 얻어진, 용기 필름(3)의 속도에 관한 최신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에, 단계 S527에서,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도수 표시용 화상(TP2)을, 액정 패널(82)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시킨다. 또한, 도수 표시용 화상(TP2)에서는, 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침{針}바늘을 본뜬 부분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도수 표시용 화상(TP2)에 의해서 용기 필름(3)의 속도가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진다.
또, 계속되는 단계 S528에서는, 액정 패널(82)에서의 도수 표시용 화상(TP2)이 표시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15∼X16, Y15∼Y16)]가,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함께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한, 단계 S529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도수 표시용 화상(TP2)에서 「×」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27∼x28, y27∼y28)]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계속되는 단계 S530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화상 소거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다음에, 단계 S531에서,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을 1개 증가시킨다. 또, 계속되는 단계 S532에서, 제1 속도 표시 플래그를 온으로 함과 동시에, 제1 속도 표시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를 기억한다. 제1 속도 표시 플래그는, 용기 필름(3)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수 표시용 화상(TP2)의 갱신 처리를 실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단계 S117)에서 참작된다.
계속해서, 단계 S533∼S540에서, 용기 필름(3)의 속도(속도 센서(51)에 의해 얻어진 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상술한 단계 S525∼S532와 마찬가지 처리를, PTP 필름(6)의 속도(속도 센서(52)에 의해 얻어진 속도 정보)를 대상으로 해서 행한다. 단계 S533∼S540의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단계 S535에서의 도수 표시용 화상(TP2)의 표시 위치는, 단계 S527에서의 도수 표시용 화상(TP2)의 표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단계 S540에서는, 제2 속도 표시 플래그가 온으로 됨과 동시에, 제2 속도 표시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가 기억된다. 제2 속도 표시 플래그는, PTP 필름(6)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수 표시용 화상(TP2)의 갱신 처리를 실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단계 S119)에서 참작된다.
도 12로 되돌아가, 단계 S210의 도수 화상 표시 처리에 계속되는 단계 S211에서, 상기 타이머가 리셋됨으로써, 조작반 화상 등 표시 처리가 종료한다.
도 11로 되돌아가, 단계 S10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또는, 단계 S103 혹은 단계 S104 후에, 단계 S105로 이행한다. 단계 S105∼S124의 처리는, 화상에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정기적으로 갱신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우선, 단계 S105에서는, 정제 잔량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5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7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05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잔량 표시용 화상(RP1)이 액정 패널(82)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06에서, 잔량 표시용 화상(RP1)의 갱신 처리를 행하고, 단계 S107로 이행한다.
단계 S105에서의 잔량 표시용 화상(RP1)의 갱신 처리에서는, 우선, 정제 잔량 표시 플래그와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 번호에 근거하여,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로부터, 갱신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잔량 표시용 화상(RP1))의 좌표 범위를 특정한다. 또,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정제(5)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에,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잔량 표시용 화상(RP1)을, 특정된 좌표 범위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시킴으로써, 잔량 표시용 화상(RP1)을 갱신한다.
단계 S107에서는, 제1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7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9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07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롤 필름(13)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표시용 화상(RP2)이 액정 패널(82)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108에서, 롤 필름(13)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표시용 화상(RP2)의 갱신 처리를 행하고, 단계 S109로 이행한다.
단계 S108의 갱신 처리에서는, 우선, 제1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와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 번호에 근거하여,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로부터, 갱신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좌표 범위를 특정한다. 또,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롤 필름(13)의 잔량에 관한 최신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에,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잔량 표시용 화상(RP2)을, 특정된 좌표 범위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시킴으로써, 잔량 표시용 화상(RP2)을 갱신한다.
단계 S109에서는, 제2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9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11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09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롤 필름(24)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표시용 화상(RP2)이 액정 패널(82)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단계 S110에서, 롤 필름(24)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표시용 화상(RP2)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단계 S110의 처리는, 단계 S108의 처리에서, 제1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를 제2 필름 잔량 표시 플래그로 하고, 롤 필름(13)을 롤 필름(24)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11에서는, 제1 온도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13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1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가열 롤(26)의 온도를 나타내는 도수 표시용 화상(TP1)이 액정 패널(82)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112에서,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갱신 처리를 행하고, 단계 S113으로 이행한다.
단계 S112의 갱신 처리에서는, 우선, 제1 온도 표시 플래그와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 번호에 근거하여,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로부터, 갱신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좌표 범위를 특정한다. 또,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가열 롤(26)의 온도에 관한 최신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에,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도수 표시용 화상(TP1)을, 특정된 좌표 범위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시킴으로써, 도수 표시용 화상(TP1)을 갱신한다.
단계 S113에서는, 제2 온도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3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15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13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커버(71) 내의 온도를 나타내는 도수 표시용 화상(TP1)이 액정 패널(82)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114에서,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갱신 처리를 행한 후, 단계 S115로 이행한다.
또한, 단계 S114의 갱신 처리는, 단계 S112의 갱신 처리에서, 제1 온도 표시 플래그를 제2 온도 표시 플래그로 하고, 가열 롤(26)을 커버(71) 내로 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되는 단계 S115에서, 습도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5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17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15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커버(71) 내의 습도를 나타내는 도수 표시용 화상(TP1)이 액정 패널(82)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116에서, 도수 표시용 화상(TP1)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단계 S116의 처리는, 단계 S112의 처리에서, 제1 온도 표시 플래그를 습도 표시 플래그로 하고, 가열 롤(26)의 온도를 커버(71) 내의 습도로 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17에서는, 제1 속도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7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19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17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용기 필름(3)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수 표시용 화상(TP2)이 액정 패널(82)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S118에서 도수 표시용 화상(TP2)의 갱신 처리를 행하고, 단계 S119로 이행한다.
단계 S118의 갱신 처리에서는, 우선, 제1 속도 표시 플래그와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 번호에 근거하여,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로부터, 갱신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좌표 범위를 특정한다. 또,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용기 필름(3)의 속도에 관한 최신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에,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도수 표시용 화상(TP2)을, 특정된 좌표 범위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시킴으로써, 도수 표시용 화상(TP2)을 갱신한다.
단계 S119에서는, 제2 속도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9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21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19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PTP 필름(6)의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표시용 화상(TP2)이 액정 패널(82)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20에서, 도수 표시용 화상(TP2)의 갱신 처리를 행한 후, 단계 S121로 이행한다.
또한, 단계 S120의 갱신 처리는, 단계 S118의 갱신 처리에서, 제1 속도 표시 플래그를 제2 속도 표시 플래그로 하고, 용기 필름(3)을 PTP 필름(6)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21에서는, 상태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태 표시 플래그는, 표시 영역(DS)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태 표시용 화상(JP)의 정보를 갱신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며, 상태 표시용 화상(JP)이 표시되고 있을 때에 온으로 된다. 단계 S12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23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2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표시 영역(DS)에서 상태 표시용 화상(JP)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22로 이행하고, 표시 영역(DS)의 정보를 갱신하는 처리를 실행한 다음, 단계 S123으로 이행한다.
단계 S122의 갱신 처리에서는, 우선, 상태 표시 플래그와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 번호에 근거하여, 갱신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화상 번호를 취득한다. 이 때에는, 조작반 화상(CP)의 화상 번호가 취득되게 된다. 또,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정제(5)나 롤 필름(13, 24)의 잔량, 가열 롤(26)이나 커버(71) 내의 온도 등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그런 다음에,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상태 표시용 화상(JP)을, 취득한 화상 번호에 의해 특정되는 조작반 화상(CP)의 표시 영역(DS)에서 표시시킴으로써, 표시 영역(DS)의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 S123에서는, 촬상 화상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촬상 화상 플래그는, 표시 영역(DS)에서 표시되고 있는, 검사용 카메라(55, 56)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을 갱신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며, 촬상 화상이 표시되고 있을 때에 온으로 된다. 단계 S123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23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24에서 표시 영역(DS)의 촬상 화상을 갱신하는 처리를 실행한 다음,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24의 처리에서는, 우선, 촬상 화상 플래그와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 번호에 근거하여, 갱신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화상 번호를 취득한다. 이 때에는, 조작반 화상(CP)의 화상 번호가 취득된다. 또,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검사용 카메라(55, 56)에 의한 촬상 화상 데이터 중 가장 새로운 것을 얻는다. 그런 다음에, 특정된 화상 번호가 나타내는 조작반 화상(CP)에서의 표시 영역(DS)에서, 얻어진 최신의 촬상 화상을 표시 영역(DS)에서 표시시킴으로써, 표시 영역(DS)의 촬상 화상을 갱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화상이 표시되고 있을 때에 있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촬상 화상을 갱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촬상 화상이 표시되고 있을 때에 있어서, 새로운 촬상 화상이 얻어졌을 때에 촬상 화상을 갱신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 다음에, 통상 처리에서의 단계 S103의 조작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시 처리는, 화상의 표시 부분에 대해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행해지는 것이며,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601에서, 버튼 영역 테이블을 참작하고, 입력 검지 센서(81)에 대한 입력 좌표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 각 좌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0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6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602로 이행하고, 버튼 영역 테이블을 참작하여, 단계 S601에서 입력 좌표를 포함한다고 판정된 좌표 범위에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 번호를 취득한다. 그 다음에, 단계 S603에서, 버튼 영역 테이블을 참작하고, 단계 S601에서 입력 좌표를 포함한다고 판정된 좌표 범위에 관련지어져 있는 입력시 처리를 실행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입력시 처리에는, 상태 표시 처리, 촬상 화상 표시 처리, 변경용 처리, 화상 확대 처리, 화상 축소 처리, 식별 정보 입력용 처리, 정보 입력시 처리, 결정시 처리, 제1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 제2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 씰 압력 변경용 처리, 및, 화상 소거 처리가 존재한다. 그 다음에, 이들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태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태 표시 처리에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701에서,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정제(5)의 잔량, 롤 필름(13, 24)의 잔량, 가열 롤(26)의 온도, 커버(71) 내의 온도 및 습도와, 용기 필름(3) 및 PTP 필름(6)의 속도에 관한 최신 정보를 얻는다.
그 다음에, 단계 S702에서, 단계 S602에서 특정된 화상 번호가 나타내는 화상(조작반 화상(CP))에서의 표시 영역(DS)에서 상태 표시용 화상(JP)을 표시함과 동시에, 얻어진 정보를 상태 표시용 화상(JP)의 소정 영역(도 7중, 흩어진 점 모양{▒}을 부가한 영역)에서 표시시킨다. 그 결과, 표시 영역(DS)에서 상태 표시용 화상(JP)과 각종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그 후, 단계 S703에서, 상태 표시 플래그를 온으로 함과 동시에, 상태 표시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단계 S602에서 얻어진 화상 번호를 기억한다.
또한, 단계 S704에서, 설정 변경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704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706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704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표시 영역(DS)에서, 상태 표시용 화상(JP)의 표시 전에 설정 변경용 화상(EP)이 표시되고 있었던 경우에는, 단계 S705로 이행하고, 버튼 영역 테이블로부터, 「변경(A)」, 「변경(B)」, 「변경(C)」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에 대응하는 좌표 범위, 및, 이들 좌표 범위에 관련지어져 있는 입력시 처리를 각각 소거한다. 또한, 이들 좌표 범위나 입력시 처리는, 후술하는 변경용 처리에서 설정된다.
그리고, 계속되는 단계 S706에서, 촬상 화상 플래그 및 설정 변경 플래그가 오프로 되고, 상태 표시 처리가 종료한다. 또한, 설정 변경 플래그는, 표시 영역(DS)에서 설정 변경용 화상(EP)이 표시되고 있을 때에 온으로 되는 것이다.
그 다음에, 촬상 화상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상 화상 표시 처리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801에서,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검사용 카메라(55, 56)에 의한 촬상 화상 데이터 중 가장 새로운 것을 얻는다.
그 다음에, 단계 S802에서, 단계 S602에서 특정된 화상 번호가 나타내는 화상(조작반 화상(CP))에서의 표시 영역(DS)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근거하는 촬상 화상을 늘어놓고 표시시킨다(도 36 참조). 그 후, 단계 S803에서, 촬상 화상 플래그를 온으로 함과 동시에, 촬상 화상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단계 S602에서 얻어진 화상 번호를 기억한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804에서, 설정 변경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04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806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804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805로 이행하고, 상기 단계 S705와 마찬가지 처리를 행한 다음, 단계 S806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단계 S806에서, 상태 표시 플래그 및 설정 변경 플래그가 오프로 되고, 촬상 화상 표시 처리가 종료한다.
그 다음에, 변경용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변경용 처리에서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901에서, 컴퓨터 시스템(61)으로부터, 모터(16A, 28A)에서의 1회의 동작 당의 회전 각도, 및, 필름 받침 롤(21)에 대해서 가열 롤(26)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씰 압력)의 설정값을 각각 얻는다.
그리고, 계속되는 단계 S902에서, 단계 S602에서 특정된 화상 번호가 나타내는 화상(조작반 화상(CP))에서의 표시 영역(DS)에서, 설정 변경용 화상(EP)을 표시함과 동시에, 얻어진 각종 설정값을 설정 변경용 화상(EP)의 소정 영역(도 10중, 흩어진 점 모양{▒}을 부가한 영역)에서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단계 S903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설정 변경용 화상(EP)의 「변경(A)」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31∼x32, y31∼y32)]가, 단계 S602에서 특정된 화상 번호와 함께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계속되는 단계 S904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제1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한, 다음의 단계 S905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설정 변경용 화상(EP)의 「변경(B)」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33∼x34, y33∼y34)]가, 단계 S602에서 특정된 화상 번호와 함께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계속되는 단계 S906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제2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다음에, 단계 S907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설정 변경용 화상(EP)의 「변경(C)」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35∼x36, y35∼y36)]가, 단계 S602에서 특정된 화상 번호와 함께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계속되는 단계 S908에서는,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씰 압력 변경용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그 다음에, 단계 S909에서, 상태 표시 플래그 및 촬상 화상 플래그가 오프로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단계 S910에서, 설정 변경 플래그를 온으로 함과 동시에, 설정 변경 플래그의 온 정보와 관련지어, 단계 S602에서 얻어진 화상 번호를 기억함으로써, 변경용 처리를 종료한다.
그 다음에, 화상 확대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확대 처리에서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001에서, 단계 S601에서 특정된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조작반 화상(CP))에서의 종횡비(X방향 길이에 대한 Y방향 길이의 비율)나 각 영역(DS, BS)의 상대 위치 관계를 유지{維持}한 채로, 처리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중심을 기점으로 해서 해당 화상을 소정의 배율(예를 들면, 1.25배)만큼 확대시켜 표시시킨다. 또한,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에서의 X방향 길이 또는 Y방향 길이가 소정값을 넘는 경우에는, 단계 S1001∼S1003의 처리를 스킵해도 좋다.
그런 다음에, 계속되는 단계 S1002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각 버튼 영역(BS)의 표시 범위와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를 다시 특정함과 동시에, 버튼 영역 테이블에 대해, 처리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화상 번호에 관련지어, 특정한 각 좌표 범위를 덮어쓰기 보존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단계 S1003에서, 덮어쓰기 보존된 좌표 범위에 입력이 있었을 때에, 각 버튼 영역(BS)에 대응하는 각종 처리가 실행되도록 재설정을 행하고, 화상 확대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003에서는, 예를 들면, 새롭게 특정된, 「상태 표시」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위치에 있는 입력 검지 센서(81)의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상태 표시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덮어쓰기 보존된다.
그 다음에, 화상 축소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축소 처리에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101에서, 단계 S601에서 특정된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조작반 화상(CP))에서의 종횡비나 각 영역(DS, BS)의 상대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로, 처리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중심을 기점으로 해서 해당 화상을 소정의 배율(예를 들면, 0.8배)만큼 축소시켜 표시시킨다. 또한,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에서의 X방향 길이 또는 Y방향 길이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S1101∼S1103의 처리를 스킵해도 좋다.
그런 다음에, 계속되는 단계 S1102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각 버튼 영역(BS)의 표시 범위와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를 다시 특정함과 동시에, 버튼 영역 테이블에 대해, 처리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화상 번호에 관련지어, 특정한 각 좌표 범위를 덮어쓰기 보존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단계 S1103에서, 보존된 좌표 범위에 입력이 있었을 때에, 버튼 영역(BS)에 대응하는 각종 처리가 실행되도록 재설정을 행하고, 화상 축소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103에서는, 예를 들면, 새롭게 특정된, 「카메라 화상 표시」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위치에 있는 입력 검지 센서(81)의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촬상 화상 표시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덮어쓰기 보존된다.
그 다음에, 식별 정보 입력용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해당 처리에서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201에서, 정보 입력용 화상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정보 입력용 화상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면, 해당 처리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301에서, 정보 입력용 화상(IP)을 기본적으로는 조작반 화상(CP)의 표시 위치 옆{隣}에 표시시킨다. 단, 정보 입력용 화상(IP)의 표시 예정 위치에 그 밖의 화상이 이미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밖의 화상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표시된다. 이 경우, 정보 입력용 화상(IP)의 표시 위치는,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을 참작하여 결정된다.
계속되는 단계 S1302에서는, 액정 패널(82) 중, 정보 입력용 화상(IP)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예를 들면, (X19∼X20, Y19∼Y20)]가,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그 다음에, 단계 S1303에서, 제어 장치(85)의 RAM에 소정의 입력용 에리어를 설치함과 동시에, 해당 입력용 에리어를 초기화한다. 또한, 입력용 에리어는, 1개의 정보 입력용 화상(IP)에 대응해서 1개 설치되고, 복수의 정보 입력용 화상(IP)을 표시한 경우에는, 각 정보 입력용 화상(IP)의 각각에 대응해서 1개씩 입력용 에리어가 설치된다.
계속해서, 단계 S1304에서 정보 입력용 설정을 행한다. 정보 입력용 설정에서는, 우선, 입력 검지 센서(81) 중, 각 입력 영역(IS) 및 결정 영역(KS)의 표시 범위와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를 각각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각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에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그런 다음에, 각 입력 영역(I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정보 입력시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한, 단계 S1304에서는, 결정 영역(K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예를 들면, (x57∼x58, y57∼y58)]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결정시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다음에, 단계 S1305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정보 입력용 화상(IP)에서 「×」라고 쓰여진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를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좌표 범위[예를 들면, (x59∼x60, y59∼y60)]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계속되는 단계 S1306에서는, 「×」와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입력시 처리로서 후술하는 화상 소거 처리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단계 S1307에서,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을 1개 증가시킴으로써, 정보 입력용 화상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도 22로 되돌아가, 단계 S1201에 계속해서, 단계 S1202에서, 식별 정보 입력 플래그가 온으로 된다. 식별 정보 입력 플래그는, 후술하는 결정시 처리에서 참작되는 상태 판정 정보이다.
그 다음에, 정보 입력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보 입력시 처리는, 정보 입력용 화상(IP)을 이용하여 수치를 입력할 때에 행해지는 처리이다. 정보 입력시 처리에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401에서, 입력 좌표와 겹치는 위치에 있는 입력 영역(IS)에 쓰여진 수치와 동일수{同數}의 수치가 제어 장치(85)의 RAM에 설치된 상기 입력용 에리어에 입력(추가)된다. 예를 들면, 입력 검지 센서(81) 중, 「1」이라고 쓰여진 입력 영역(I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에 입력이 있었을 때, 상기 입력용 에리어에 수치 「1」이 입력(추가)된다.
계속되는 단계 S1402에서는, 상기 입력용 에리어에 있는 수치를, 단계 S602에서 특정된 화상 번호가 나타내는 화상(정보 입력용 화상(IP))에서의 입력 표시 영역(IW)에서 표시시킴으로써,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 다음에, 결정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정시 처리는,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 검지 센서(81) 중, 정보 입력용 화상(IP)에서의 결정 영역(KS)과 겹치는 부분에 입력이 있었을 때에 행해지는 처리이다. 결정시 처리에서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501에서, 제1 회전 각도 변경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회전 각도 변경 플래그는, 입력용 에리어에 존재하는 정보를 이용한 정보의 갱신처{update destination}를, 모터(16A)의 1회의 동작 당의 회전 각도(제1 회전 각도)로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단계 S15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502에서, 입력용 에리어에 보존되어 있는 수치를, 새로운 제1 회전 각도로서, 컴퓨터 시스템(61)에 출력한다. 컴퓨터 시스템(61)에서는, 입력된 수치로 제1 회전 각도가 갱신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1503에서 제1 회전 각도 변경 플래그를 오프로 한 다음, 단계 S1513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50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504로 이행하고, 제2 회전 각도 변경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회전 각도 변경 플래그는, 입력용 에리어에 존재하는 정보를 이용한 정보의 갱신처를, 모터(28A)의 1회의 동작 당의 회전 각도(제2 회전 각도)로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단계 S1504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505에서, 입력용 에리어에 보존되어 있는 수치를, 새로운 제2 회전 각도로서, 컴퓨터 시스템(61)에 출력한다. 컴퓨터 시스템(61)에서는, 입력된 수치가 새로운 제2 회전 각도로 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61)은, 제2 회전 각도의 변경에 맞추어, 간헐 이송 롤(32)을 동작시키는 모터의 1회의 동작 당의 회전 각도도 변경한다.
그 다음에, 단계 S1506에서, 제2 회전 각도 변경 플래그를 오프로 한 다음, 단계 S1513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504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507로 이행하고, 씰 압력 변경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씰 압력 변경 플래그는, 입력용 에리어에 존재하는 정보를 이용한 정보의 갱신처를, 가열 롤(26)로부터 필름 받침 롤(21)에 가해지는 압력(씰 압력)으로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단계 S1507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508에서, 입력용 에리어에 보존되어 있는 수치를, 새로운 씰 압력으로서, 컴퓨터 시스템(61)에 출력한다. 컴퓨터 시스템(61)에서는, 입력된 수치가 새로운 씰 압력으로 된다. 그 다음에, 단계 S1509에서, 씰 압력 변경 플래그를 오프로 한 다음, 단계 S1513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507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510으로 이행하고, 식별 정보 입력 플래그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510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514로 이행한다.
이것에 대해, 단계 S1510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511로 이행하고, 식별 정보 입력시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 입력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식별 정보 입력시 처리에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601에서, 입력용 에리어에 보존되어 있는 수치(입력 수치)와, 제어 장치(85)의 상기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에 보존되어 있는 식별 번호를 비교하고, 입력 수치가 식별 번호(식별 번호가 복수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식별 번호의 어느것인가)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60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602에서 에러시 처리를 행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에러시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82)에서의 정보 입력용 화상(IP)과 겹치는 위치에,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 등, 사용자에 대해 입력 수치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단계 S160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다시 말해, 입력 수치가 정확했던 경우에는, 통상 조작반 화상(CP1) 대신에, 상세 조작반 화상(CP2)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우선, 단계 S1603에서,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을 참작하여, 통상 조작반 화상(CP1)의 화상 번호에 대응하는 좌표 범위로부터, 통상 조작반 화상(CP1)의 표시 영역의 중심 좌표(X, Y)를 얻는다.
그 다음에, 단계 S1604에서, 액정 패널(82)로부터 통상 조작반 화상(CP1)을 소거함과 동시에,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로부터, 소거된 통상 조작반 화상(CP1)에 관련지어져 있던 좌표 정보를 소거한다. 또한, 버튼 영역 테이블에서, 소거된 통상 조작반 화상(CP1)의 화상 번호에 관련지어져 있던 각 좌표 정보 및 입력시 처리를 소거한다.
계속되는 단계 S1605에서는, 액정 패널(82)에서, 기본적으로는, 단계 S1603에서 얻어진 중심 좌표를 중심으로 해서 상세 조작반 화상(CP2)을 표시한다. 단, 상세 조작반 화상(CP2)의 표시 예정 위치에 이미 그 밖의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중심 좌표와 겹치는 위치로서, 그 밖의 화상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상세 조작반 화상(CP2)을 표시한다.
그 다음에, 단계 S1606에서, 액정 패널(82) 중, 상세 조작반 화상(CP2)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다음의 단계 S1607에서는, 입력 검지 센서(81) 중, 상세 조작반 화상(CP2)의 각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를 각각 특정함과 동시에, 특정한 각 좌표 범위를 화상 번호(현재의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와 관련지어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1608에서, 특정된 좌표 범위와 관련지어, 해당 좌표 범위에 입력이 있었을 때에 실행되는 입력시 처리를 좌표 범위마다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한다. 또한, 단계 S1607, S1608의 처리는, 통상 조작반 화상(CP1)을 표시할 때에 행해지는, 상술한 단계 S303∼S316의 처리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상세 조작반 화상(CP2)의 각 버튼 영역(BS)의 좌표 범위에 대응해서 설정되는 입력시 처리의 종류는, 통상 조작반 화상(CP1)에서의 각 버튼 영역(BS)의 좌표 범위에 대응해서 설정되는 입력시 처리의 종류보다도 많다. 따라서, 상세 조작반 화상(CP2)을 표시시킴으로써, 제조 유닛(11)을 제어함에 있어서, 보다 많은 항목에서 보다 미세한 조정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단계 S1609에서 화상 번호 카운터의 값을 1개 증가시켜, 식별 정보 입력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1603∼S1608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액정 패널(82)에 상세 조작반 화상(CP2)이 표시됨과 동시에, 입력 검지 센서(81) 중, 상세 조작반 화상(CP2)의 각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에 접촉 등 함으로써, 각종 처리가 실행되도록 설정된다.
도 25로 되돌아가, 식별 정보 입력시 처리에 계속해서, 단계 S1512에서, 식별 정보 입력 플래그가 오프로 되고, 단계 S1514로 이행한다.
또, 단계 S1503, S1506, S1509에 계속해서, 즉, 입력용 에리어의 수치를 출력한 후에 행해지는 단계 S1513의 처리에서는, 설정 변경용 화상(EP)에 표시되고 있는 설정값이 갱신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우선, 설정 변경 플래그에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 번호에 근거하여, 갱신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조작반 화상(CP))의 화상 번호를 취득한다. 그 다음에, 컴퓨터 시스템(61)의 하드디스크로부터, 모터(16A, 28A)의 1회의 동작 당의 회전 각도(제1 회전 각도, 제2 회전 각도), 및, 가열 롤(26)로부터 필름 받침 롤(21)에 가해지는 압력(씰 압력)의 설정값을 얻는다. 그런 다음에, 얻어진 설정값에 근거하는 변경을 가한 설정 변경용 화상(EP)을, 취득한 화상 번호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상(조작반 화상(CP))의 표시 영역(DS)에서 표시시킴으로써, 표시 영역(DS)의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 S1513에 계속해서, 단계 S1514에서는, 액정 패널(82)로부터 정보 입력용 화상(IP)을 소거함과 동시에,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로부터, 소거된 정보 입력용 화상(IP)에 관련지어져 있던 좌표 정보를 소거한다. 또, 버튼 영역 테이블에서, 소거된 정보 입력용 화상(IP)의 화상 번호에 관련지어져 있던 좌표 정보 및 입력시 처리를 소거함으로써, 결정시 처리를 종료한다.
그 다음에, 제1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에서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701에서, 상술한 정보 입력용 화상 표시 처리를 행한다. 그 다음에, 단계 S1702에서, 제1 회전 각도 변경 플래그를 온으로 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제2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에서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801에서, 상술한 정보 입력용 화상 표시 처리를 행한다. 그 다음에, 단계 S1802에서, 제2 회전 각도 변경 플래그를 온으로 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그 다음에, 씰 압력 변경용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씰 압력 변경용 처리에서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901에서, 상술한 정보 입력용 화상 표시 처리를 행한다. 그런 다음에, 계속되는 단계 S1902에서 씰 압력 변경 플래그를 온으로 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제1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 제2 회전 각도 변경용 처리, 및, 씰 압력 변경용 처리는, 각각 처음의 단계에서 정보 입력용 화상(IP)을 표시시키고, 다음의 단계에서, 입력용 에리어에 보존된 수치의 출력처{output destination}를 결정하기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점에서 공통된다.
그 다음에, 화상 소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소거 처리에서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2001에서, 단계 S602에서 특정된 화상 번호가 나타내는 화상을 액정 패널(82)로부터 소거한다. 그 다음에, 단계 S2002에서,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로부터, 소거된 화상의 화상 번호에 관련지어져 있던 좌표 정보를 소거한다. 또한, 버튼 영역 테이블로부터, 소거된 화상의 화상 번호에 관련지어져 있던 좌표 정보 및 입력시 처리를 소거함으로써, 화상 소거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주변 환경이 변화하거나, 재료가 증감하거나 했을 때에, 커버(71)에서 외관상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커버(71) 중 화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투명 부분에 대해, 소정의 입력을 행하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 또는 거의 동일 위치에 대해, 일정 시간 이내에 2회 접촉 또는 접근하면), 상술한 조작반 화상 표시 처리, 잔량 화상 표시 처리, 및, 도수 화상 표시 처리가 실행되고, 통상,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71)의 투명 부분에는, 통상 조작반 화상(CP1),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 및 도수 표시용 화상(TP1, TP2)이 표시된다. 이 때, 잔량 표시용 화상(RP1)은, 정제 충전 장치(22)와 상대하는 위치에 표시되고, 잔량 표시용 화상(RP2)은, 필름 공급 장치(14, 25)와 상대하는 위치에 표시되고, 도수 표시용 화상(TP1, TP2)은,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된다. 단, 이들 화상(RP1, RP2, TP1, TP2)의 표시 예정 위치와 겹치는 위치에서, 통상 조작반 화상(CP1) 등의 다른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화상(RP1, RP2, TP1, TP2) 중 상기 다른 화상과 겹치게 되는 것은 표시되지 않는다.
표시된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 및 도수 표시용 화상(TP1, TP2)은, 일정 시간마다 갱신되기 때문에, 시간 경과와 함께 주변 환경(온도, 습도)이 변화하거나, 재료(정제(5)나 롤 필름(13, 24))가 증감하거나 함으로써, 일정 시간마다 변화 할 수 있다.
또, 커버(71) 중 화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투명 부분에 대해, 소정의 입력을 다시 행하면,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또 하나 표시되게 된다. 물론, 조작반 화상(CP)은, 커버(71)의 정면 뿐만 아니라, 배면 및 양측면에서도 표시 가능하다(도 35 참조).
그리고, 통상 조작반 화상(CP1)에서의 「상태 표시」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상술한 상태 표시 처리가 실행되고, 표시 영역(DS)에서, 상태 표시 화상(JP)과 함께, 정제(5)나 롤 필름(13, 24)의 잔량, 가열 롤(26)의 온도, 커버(71) 내의 온도나 습도 등의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도 7 참조).
또, 통상 조작반 화상(CP1)에서의 「카메라 화상 표시」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상술한 촬상 화상 표시 처리가 실행되고,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DS)에서, 검사용 카메라(55, 56)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커버(71) 주위의 임의의 장소에서, 각종 정보를 파악하거나, 촬상 화상을 보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된 각종 정보나 촬상 화상은, 일정 시간마다 최신의 것으로 갱신된다.
또한, 통상 조작반 화상(CP1)에서의 「확대」 또는 「축소」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상술한 화상 확대 처리 또는 화상 축소 처리가 실행되고, 도 37(또한, 도 37 등에서는,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 등을 도시하지 않음)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확대 또는 축소해서 표시된다.
이에 더하여, 통상 조작반 화상(CP1)에서의 「설정 변경」이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상술한 변경용 처리가 실행되고, 표시 영역(DS)에서, 설정 변경용 화상(EP)과 함께, 접촉 등이 행해진 시점에서의 제1 회전 각도, 제2 회전 각도 및 씰 압력의 각 설정값이 표시된다(도 10 참조).
그런 후에, 「변경(A)」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기본적으로는 통상 조작반 화상(CP1) 옆에 표시된다. 그리고, 정보 입력용 화상(IP)에서의 입력 영역(IS)에 접촉 등을 행함으로써, 입력 표시 영역(IW)에 입력한 수치가 더해진다. 그리고, 결정 영역(KS)과 접촉 등을 행하면,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소거됨과 동시에, 설정 변경용 화상(EP)에서, 입력 표시 영역(IW)에서 표시되고 있던 수치가 새로운 제1 회전 각도의 설정값으로서 표시되게 된다.
또, 「변경(B)」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표시된다. 그리고, 정보 입력용 화상(IP)의 입력 영역(IS)에 대해 접촉 등을 행하고, 마지막으로 결정 영역(KS)과 접촉 등을 행함으로써,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소거됨과 동시에, 설정 변경용 화상(EP)에서, 입력 표시 영역(IW)에서 표시되고 있던 수치가 새로운 제2 회전 각도의 설정값으로서 표시되게 된다.
또한, 「변경(C)」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서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표시된다. 그런 다음에, 정보 입력용 화상(IP)의 입력 영역(IS)에 대해 접촉 등을 행하고, 마지막으로 결정 영역(KS)과 접촉 등을 행함으로써,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소거됨과 동시에, 설정 변경용 화상(EP)에서, 입력 표시 영역(IW)에서 표시되고 있던 수치가 새로운 씰 압력의 설정값으로서 표시되게 된다.
또한, 결정 영역(KS)과 접촉 등을 행함으로써, 입력 표시 영역(IW)에서 표시되고 있던 수치의 정보가 컴퓨터 시스템(61)으로 출력되고, 해당 수치는 새로운 제1 회전 각도, 제2 회전 각도 또는 씰 압력의 설정값으로 된다.
이에 더하여, 「식별 정보 입력」이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표시된다. 그리고, 정보 입력용 화상(IP)의 입력 영역(IS)에 대해 접촉 등을 행하고, 마지막으로 결정 영역(KS)과 접촉 등을 행함으로써, 정보 입력용 화상(IP)이 소거된다. 또한, 입력된 수치가 식별 번호와 동일한 경우에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소거된 다음, 상세 조작반 화상(CP2)이 표시된다. 한편, 입력된 수치가 식별 번호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고, 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그대로 계속 표시되게 된다.
또한, 각 화상에서의 「×」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이 영역을 구비한 화상이 소거된다. 예를 들면, 통상 조작반 화상(CP1)에서의 「×」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접촉 등 하면, 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소거되고, 잔량 표시용 화상(RP2)에서의 「×」라고 쓰여진 영역에 대해 사용자 등이 접촉하면, 잔량 표시용 화상(RP2)이 소거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임의의 화상을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커버(71)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패널 본체(74)가 설치됨과 동시에, 패널 본체(74)에 설치되는 입력 검지 센서(81) 및 액정 패널(82)은, 통상,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박막모양이다. 따라서, 패널 본체(74)나 입력 검지 센서(81) 등을 거쳐서 외부로부터 제조 유닛(11)을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제조 유닛(11)의 상태를 적당히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입력 검지 센서(81) 및 액정 패널(82)은 각각 박막모양이기 때문에, 커버(7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해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82)에 의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바라는 임의의 위치에 통상 조작반 화상(CP1)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또, 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표시되는 위치에는 입력 검지 센서(81)가 존재하기 때문에, 통상 조작반 화상(CP1)과 겹치는 입력 검지 센서(81)에 접촉 등 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결과, 제조 유닛(11)의 제어를 다양한 위치에서 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사용상 편리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개소에 조작반 화상(CP)(통상 조작반 화상(CP1) 및 상세 조작반 화상(CP2))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제조 유닛(11)의 제어를 다른 위치에서 동일 시기에 행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계층 등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에 따라, 다른 조작반 화상(CP)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한 사용상 편리함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제조 유닛(11)에서, 잘못된 변경 등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각 센서(45∼52)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는 각종 화상(RP1) 등에 의해, 제조 유닛(11)이나 그 주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알 수가 있다. 따라서, 한층 양호한 사용상 편리함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정제 충전 장치(22)나 필름 공급 장치(14, 25)와 상대하는 위치에,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표시되고 있는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과 정제 충전 장치(22) 및 필름 공급 장치(14, 25)의 대응 관계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정제 충전 장치(22) 및 필름 공급 장치(14, 25)에서의 재료의 잔량을 즉석에서{즉시} 파악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사용상 편리함을 한층 더 높일 수가 있다.
아울러, 커버(71) 내에 들어가는 일없이, 검사용 카메라(55, 56)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에 의해서 커버(71) 내의 모습(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조 도중에 있는 PTP 시트(1)의 상태)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상 편리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커버(71) 내로의 이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위생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조명 장치(84)는, 액정 패널(82)에 대해 광을 조사하는 기능과 함께, 제조 유닛(11)을 비추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82)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수단과, 제조 유닛(11)을 비추기 위한 수단을 따로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소형화나 각종 비용{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제2 실시 형태]
그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相違点}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수단으로서 액정 패널(82)이 이용됨과 동시에, 조명 수단으로서의 조명 장치(84)로부터 조사된 광이 액정 패널(82)에 조사됨으로써, 커버(71)에서 각종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82) 및 조명 장치(84) 대신에, 표시 수단 및 조명 수단으로서의 프로젝터(8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프로젝터(86)는, 커버(71)의 정면, 배면 및 양측면과 상대하는 위치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프로젝터(86)는, 액정 패널이나 조명 수단에 상당하는 램프 등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고, 커버(71)의 외표면에 화상을 투영시켜 표시하는 것이다. 또, 프로젝터(86)는,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광 투사용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로젝터(86)는, 투영면에 대해 상기 헤드로부터 광이 비스듬하게 조사되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조사하는 광을 조정함으로써, 투영 화상을 장방 형상{長方形狀}으로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프로젝터(86)는, 제어 장치(85)와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85)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된다.
제어 장치(85)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조작반 화상(CP) 등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젝터(86)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어함으로써, 커버(71)에 대해 조작반 화상(CP)이나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 정보 입력용 화상(IP) 등의 각종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85)는, 상기 광 투사용 헤드를 동작시킴으로써, 프로젝터(86)로부터 커버(71)에 대한 광의 조사 위치, 나아가서는 화상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커버(71)에 대해 화상을 표시시켰을 때에, 제어 장치(85)는,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을 좌표 범위로 치환해서 특정하고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패널 본체(74)를 늘어놓고 1개의 면으로 해서 파악한 다음, 상하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수평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 가상적인 패널 본체(74)의 좌표 평면을 이용하여, 화상의 표시 영역을 좌표 범위에 의해 특정하고 있다. 또, 제어 장치(85)는, 화상에 포함되는 버튼 영역(BS)이나 입력 영역(IS) 등의 좌표 범위도 특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동일 종류의 화상이더라도, 프로젝터(86)로부터 커버(71)(투영면)까지의 거리나 광 투사용 헤드의 각도에 의해서, 화상의 표시 영역의 크기 등은 갖가지 다른 것으로 될 수 있다. 이 점, 제어 장치(85)의 ROM 등에는, 프로젝터(86)로부터 커버(71)(투영면)까지의 거리, 광 투사용 헤드의 각도, 표시되는 화상의 종류 등과, 화상의 표시 영역(좌표 범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계식이 미리 기억되어 있고, 제어 장치(85)는, 상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화상의 표시 영역(다시 말해, 좌표 범위)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제2 실시 형태에서, 입력 검지 센서(81)에서의 좌표와, 패널 본체(74)에서의 좌표와의 상대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가, 제어 장치(85)의 ROM 등에 대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제어 장치(85)는, 이 상대 위치 관계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패널 본체(74)의 좌표로부터, 해당 좌표와 겹치는 위치에 있는, 입력 검지 센서(81)의 좌표를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각 패널 본체(74)는, 그의 표면에 박막모양의 조광 필름(87)을 구비하고 있다. 조광 필름(87)은, 투명 도전막이 표면에 부가된 2매의 수지제 투명 필름과, 해당 양필름에 협지됨과 동시에, 배향 입자(액정)가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내부 필름과, 양투명 도전막 사이에 전압을 인가{印加}할 때에 이용되는 전극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투명 도전막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향 입자가 무질서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내부 필름에서 광이 확산하게 되고, 조광 필름(87)은, 탁해진 듯한 불투명의 백색 또는 회색을 보인다. 한편, 상기 투명 도전막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배향 입자가 질서 있게 늘어서기 때문에, 내부 필름에서 광이 확산하는 일없이 직진하며, 조광 필름(87)은 투명 또는 반투명을 보인다.
또, 조광 필름(87)의 투명 도전막에 대한 전압의 인가{印加}·불인가{不印加}의 전환은, 제어 장치(85)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어 장치(85)는, 각 조광 필름(87)마다, 전압의 인가·불인가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1개 또는 복수의 조광 필름(87)에 대해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1개 또는 복수의 패널 본체(74)를 투명하게 하면서, 그 밖의 조광 필름(87)에 대해 전압을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그 밖의 패널 본체(74)를 불투명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모든 조광 필름(87)에 전압이 인가되고 있고, 모든 패널 본체(74)가 투명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 제어 장치(85)에 의해 행해지는 각종 처리는, 프로젝터(86) 및 조광 필름(87)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제어 장치(85)에 의해 행해지는 각종 처리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화상의 표시 수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어 장치(85)는, 우선, 화상의 표시 예정 위치에 있는 패널 본체(74)의 조광 필름(87)에 대한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고, 화상의 표시 예정 위치에 있는 패널 본체(74)를 불투명하게 한다. 그 다음에, 프로젝터(86)를 제어하고, 불투명하게 된 패널 본체(74)의 표시 예정 위치에 광을 투영함으로써,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화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화상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범위가 화상 표시 영역 테이블에 기억된다. 또, 표시한 화상에 버튼 영역(BS)이나 입력 영역(IS)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력 검지 센서(81) 중, 각 영역과 겹치는 부분의 좌표 범위가 버튼 영역 테이블에 기억됨과 동시에, 각 좌표 범위에 대응하는 입력시 처리가 설정된다.
이상, 본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즉, 안전성 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사용상 편리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기재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좋다. 물론, 이하에서 예시하지 않는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반 화상(CP)(통상 조작반 화상(CP1))을 표시시킬 때에,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 및 도수 표시용 화상(TP1, TP2)도 아울러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이나 도수 표시용 화상(TP1, TP2)은, 반드시 조작반 화상(CP)(통상 조작반 화상(CP1))과 함께 표시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조작반 화상(CP)(통상 조작반 화상(CP1))의 표시 후에, 입력 검지 센서(81)에 입력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이나 도수 표시용 화상(TP1, TP2)을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입력 검지 센서(81)에 소정의 입력이 있었을 때, 조작반 화상(CP)(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입력 검지 센서(81)의 일부 또는 모든 영역에서는, 소정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 조작반 화상(CP) 이외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입력 검지 센서(81) 중 정제 충전 장치(22)와 상대하는 부분에서는, 소정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 조작반 화상(CP)이 아니라, 정제(5)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표시용 화상(RP1)등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 잔량 센서(45, 46), 정제 잔량 센서(47), 온도 센서(48) 등의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는 센서의 종별을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종 센서에 더하여 또는 대신에, 제조기(12)를 구성하는 각종 기기에서의 고장 등을 검지할 수 있는 기능불량 검지 센서를 설치해도 좋다. 또, 커버(71) 내를 에어가 흐르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에어의 풍량(풍속)을 계측하기 위한 풍량 센서를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기능불량 검지 센서나 풍량 센서 등으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 장치(85)가, 커버(71)에서 기능불량의 발생이나 풍량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기능불량의 발생을 나타내는 화상은, 고장이 검지된 기기와 상대하는 위치 또는 그 근방 위치에 표시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어느 기기에서 기능불량이 발생한 것인지를 커버(71)의 외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검지 센서(81)와 겹치는 위치에 화상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소정의 화상[예를 들면, 단지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입력을 위해서 이용되지 않는 화상)]에 대해서는, 입력 검지 센서(81)와 겹치는 위치에 표시할 필요는 없고, 입력 검지 센서(81)의 근방 위치에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 제조 장치(10)는, PTP 시트(1)를 제조하는 제조기(12)를 구비하고 있지만, 제조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기판 제조기나 띠모양의 전극이나 세퍼레이터를 권회함으로써 소정의 권회 소자(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소자 등)를 제조하기 위한 권회 소자 제조기,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화장품 제조기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 등을 반송하면서 물품의 제조를 행하는 제조기에서 특히 유효하다. 이와 같은 제조기는, 비교적 대형의 것(긴 것)으로 되기 쉽고, 표시 수단이나 입력 수단이 고정되어 있거나, 움직여지거나 하는 타입의 경우, 사용자가 표시 수단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표시 수단 등에 접근함에 있어서, 이동 시간이나 이동에 요하는 노력이 비교적 큰 것으로 되기 쉽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표시 수단 등이 구성됨으로써, 이동 시간이나 노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f)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사 장치(23, 29)에 대해서 촬상 수단으로서의 검사용 카메라(55, 56)이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용기 필름(3)이나 PTP 필름(6)의 반송 경로를 따라, 용기 필름(3)이나 PTP 필름(6)을 촬상하는 카메라를 검사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해도 좋다. 또, 카메라에 의해서,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기기나 재료의 공급부를 촬상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조기가, 물품으로서의 기판을 제조하는 기판 제조기인 경우, 카메라에 의해서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파츠피더{부품 공급기; parts feeder}를 촬상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 40(도 40에서는, 커버(71) 내의 제조 유닛 등을 도시하지 않음)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에 의해서 얻어진 촬상 화상(FI)을 커버(71)에서 실시간으로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라고 쓰여진 부분에 입력을 행함으로써, 화상이 소거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화상이 계속 표시되어 버림으로써, 커버(71) 내의 제조 유닛(11)의 시각적 확인 용이성{視認容易性}이 저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상의 표시시, 또는, 입력 검지 센서(81) 중 해당 화상과 겹치는 부분에의 마지막 입력시부터 타이머를 개시하고, 해당 타이머의 계측 시간이 소정 시간을 넘었을 때, 화상을 자동적으로 소거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h)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반 화상(CP)(통상 조작반 화상(CP1))이 확대 및 축소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 밖의 화상에 대해서도 확대 및 축소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의 확대 및 축소는, 입력 검지 센서(81) 중, 「확대」, 「축소」의 버튼 영역(BS)과 겹치는 부분에 입력이 행해짐으로써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 밖의 수법에 의해 화상의 확대 및 축소가 실행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입력 검지 센서(81) 중, 화상과 겹치는 부분에 대해 소정 양태의 입력(예를 들면, 이른바 핀치인{pinch-in}이나 핀치아웃{pinch-out} 등)이 행해졌을 때에, 화상의 확대 또는 축소가 실행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i)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반 화상(CP)으로서 2종류의 화상(통상 조작반 화상(CP1) 및 상세 조작반 화상(CP2))이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1종류의 화상만을 표시할 수 있게 해도 좋고, 3종류 이상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조작반 화상(CP)에 「간소화」 등의 버튼 영역을 설치함과 동시에, 입력 검지 센서(81) 중 해당 버튼 영역과 겹치는 부분에 입력이 있었을 때에,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조작반 화상(CP1)보다도 표시되는 정보가 적은 간소화 조작반 화상(CP3)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j)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71)의 외표면에 화상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커버(71)의 내표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판(72) 중 문{扉}으로서 기능하는 것의 내표면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k)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조명 장치(84)로부터의 광이 도광판(83)을 거쳐서 액정 패널(82)에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도광판(83) 등을 거치는 일없이, 조명 장치(84)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82)에 직접적으로 조사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커버(71) 내로서, 패널 본체(74)와 상대하는 위치에 조명 장치를 배치하고, 해당 조명 장치로부터 액정 패널(82)에 광이 조사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조명 장치(84)의 배치 위치는, 반드시 커버(71) 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71) 밖이더라도 좋다.
(l)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71)의 정면, 배면 및 양측면에서 화상이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커버(71)에서의 화상의 표시 가능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커버(71)의 정면 및 양측면에서만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해도 좋고, 커버(71)의 정면에서만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해도 좋다.
(m)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71)의 투명 부분 전역{全域}에서 화상이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투명 부분에서의 1영역에서만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해도 좋다.
(n)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센서(45∼54)로부터 컴퓨터 시스템(61)을 경유하여 제어 장치(85)에 검지된 정보가 출력되고 있지만, 각 센서(45∼54)로부터 제어 장치(85)에 검지된 정보가 직접 출력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o)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이 정제 충전 장치(22)나 필름 공급 장치(14, 25)와 상대하는 위치에 표시되고 있지만,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의 표시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잔량 표시용 화상(RP1, RP2)을 정제 충전 장치(22)나 필름 공급 장치(14, 25)와 상대하는 위치의 근방 위치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p)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조광 필름(87) 대신에, 액정 패널을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을 표시할 때에, 화상이 표시되는 패널 본체(74) 전체가 불투명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패널 본체(74) 중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만이 불투명하게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q)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프로젝터(86)는 커버(7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커버(71) 내에 설치해도 좋다.
1…PTP 시트(물품), 10…제조 장치, 11…제조 유닛, 14…필름 공급 장치(공급부), 22…정제 충전 장치(공급부), 25…필름 공급 장치(공급부), 45, 46…필름 잔량 센서(상태 검지 수단), 47…정제 잔량 센서(상태 검지 수단), 48, 49…온도 센서(상태 검지 수단), 50…습도 센서(상태 검지 수단), 51, 52…속도 센서(상태 검지 수단), 53…압력 센서(상태 검지 수단), 54…사용 횟수 계측 센서(상태 검지 수단), 55, 56…검사용 카메라(촬상 수단), 71…커버, 74…패널 본체(투시부), 81…입력 검지 센서(입력 수단), 82…액정 패널(표시 수단), 84…조명 장치(조명 수단), 85…제어 장치(제어 수단), 86…프로젝터.

Claims (10)

  1. 소정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유닛과,
    해당{當該} 제조 유닛의 주위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조 유닛을 시각적으로 확인{視認}할 수 있게 하는 투시부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투시부의 표면에서 적어도 일정 영역을 가지고, 해당 영역에 대한 접촉 또는 접근에 의한 입력을 검지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상기 입력을 검지했다는 정보, 및, 상기 영역 내에서의 상기 입력을 검지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을 보이는 박막모양{薄膜狀}의 입력 수단과,
    투명 혹은 반투명의 박막모양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투시부에서의 상기 입력 수단과 겹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는 것, 또는, 상기 커버로부터 이간{離間}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의 상기 입력 수단과 겹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소정의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소정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대해 소정의 입력이 있었을 때,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검지된 상기 소정의 입력이 이루어진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커버의 상기 입력 수단과 겹치는 위치에, 상기 화상으로서 소정의 조작반{操作盤}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반 화상에서의 상기 입력의 검지 위치에 따라, 상기 제조 유닛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입력이 다른 위치에서 검지되었을 때, 상기 조작반 화상을 각각 다른 위치에서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 상기 입력 수단을 거쳐서 소정의 식별 정보가 입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입력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다른 상기 조작반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유닛 및 그 주변의 적어도 한쪽에 관한 상태를 검지함과 동시에, 검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에 출력할 수 있는 상태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으로서, 상기 상태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따른 것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유닛 및 그 주변의 적어도 한쪽에 관한 상태를 검지함과 동시에, 검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에 출력할 수 있는 상태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으로서, 상기 상태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따른 것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유닛은, 상기 물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태 검지 수단은, 상기 재료의 잔량{殘量}을 검지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커버 중 상기 공급부와 상대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태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따른 상기 화상을, 상기 커버 중 상기 공급부와 상대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유닛은, 상기 물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태 검지 수단은, 상기 재료의 잔량{殘量}을 검지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커버 중 상기 공급부와 상대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태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정보에 따른 상기 화상을, 상기 커버 중 상기 공급부와 상대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서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를 촬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촬상된 화상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에 출력할 수 있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으로서 상기 촬상된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투명 혹은 반투명의 박막모양을 이루는 투과형의 액정 패널에 의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투시부에서의 상기 입력 수단과 겹치는 위치 및 그 근방 위치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액정 패널에 대해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제조 유닛을 비추는 기능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조명 수단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에 의해서 상기 커버에 상기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해당 프로젝터는 상기 커버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KR1020177013838A 2015-03-23 2015-07-17 제조 장치 KR101931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9263A JP5906336B1 (ja) 2015-03-23 2015-03-23 製造装置
JPJP-P-2015-059263 2015-03-23
PCT/JP2015/070575 WO2016151875A1 (ja) 2015-03-23 2015-07-17 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951A KR20170074951A (ko) 2017-06-30
KR101931608B1 true KR101931608B1 (ko) 2018-12-21

Family

ID=5575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838A KR101931608B1 (ko) 2015-03-23 2015-07-17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011473A1 (ko)
EP (1) EP3275791A4 (ko)
JP (1) JP5906336B1 (ko)
KR (1) KR101931608B1 (ko)
CN (1) CN107531341A (ko)
TW (1) TWI619647B (ko)
WO (1) WO2016151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9445A (zh) * 2017-03-07 2018-09-25 上海新亚药业闵行有限公司 泡罩机
JP6752941B1 (ja) * 2019-06-17 2020-09-09 Ckd株式会社 検査装置、包装体製造装置及び包装体製造方法
CN110448964A (zh) * 2019-08-21 2019-11-15 大同新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包装装置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3903A1 (en) 2005-08-15 2007-02-15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Packaging machine
JP2008123032A (ja) 2006-11-08 2008-05-29 Toyota Motor Corp 情報入力装置
JP2013125552A (ja) 2011-12-15 2013-06-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661A (en) * 1987-12-14 1990-03-20 Edgar L. Barth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ating cakes and other foods
JPH0738774B2 (ja) * 1990-04-12 1995-05-01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菓製造装置
JPH09297506A (ja) * 1996-05-08 1997-11-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636203B1 (en) * 2001-05-17 2003-10-21 Palm, Inc. Keyboard equivalent pad overlay encasement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4621433B2 (ja) * 2003-03-24 2011-01-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DE10325895A1 (de) * 2003-06-06 2005-01-05 Siemens Ag Werkzeug- oder Produktionsmaschine mit Head-up-Display
DE10327686A1 (de) * 2003-06-20 2005-01-05 Robert Bosch Gmbh Brennkraftmaschine
KR101843337B1 (ko) * 2010-10-28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3092902A (ja) * 2011-10-25 2013-05-16 Sanden Corp 商品格納装置
JP2014016904A (ja) * 2012-07-10 2014-01-30 Sharp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431608B1 (ja) * 2013-07-08 2014-03-05 株式会社コバード 層状食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DE102013214052A1 (de) * 2013-07-17 2015-02-19 Krones Ag Behälterbehandlungsmaschine mit Display
FR3011943B1 (fr) * 2013-10-10 2017-03-24 Sidel Participations Systeme de commande d'une machine industrielle a interface tactile integree a une vit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3903A1 (en) 2005-08-15 2007-02-15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Packaging machine
JP2008123032A (ja) 2006-11-08 2008-05-29 Toyota Motor Corp 情報入力装置
JP2013125552A (ja) 2011-12-15 2013-06-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9647B (zh) 2018-04-01
CN107531341A (zh) 2018-01-02
TW201634349A (zh) 2016-10-01
WO2016151875A1 (ja) 2016-09-29
EP3275791A4 (en) 2018-12-26
JP2016177738A (ja) 2016-10-06
EP3275791A1 (en) 2018-01-31
KR20170074951A (ko) 2017-06-30
US20180011473A1 (en) 2018-01-11
JP5906336B1 (ja)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1215B2 (ja) ブリスタ包装機
KR101931608B1 (ko) 제조 장치
US9886103B2 (en) Battery driven mobile drawing device, includ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capacitive position detectors and a control circuit for causing a parameter setting area to be displayed, and a test drawing area to be displayed transparently, superimposed, on a portion of a drawing in an image display area of a display, for rendering a drawing using an electronic pen
TWI489334B (zh) 曲面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以及附有曲面觸控面板的顯示裝置
KR102630026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GB2462171A (en) Displaying enlarged content on a touch screen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approach of an input object
US20170038904A1 (en) Input device
CN106133669B (zh) 触摸面板、输入装置、远程控制装置及触摸面板的制造方法
JP6062396B2 (ja) 検査システム及びptp包装機
US11229731B2 (en) Display device for medical apparatus
JP5581553B2 (ja) 電気機器の入力装置
EP2634671B1 (en)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at least one operator and a machine
CN102591503A (zh) 触控面板
TWI613576B (zh) 觸控面板
WO2014022233A1 (en) Experimental chamber with computer-controlled display wall
JP2017084073A (ja) 入力装置
EP2492790A2 (de) Bedienvorrichtung für eine Produktverarbeitungsvorrichtung
WO2014183440A1 (zh) 双视触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JP6589496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20060518A (ja) 検査装置遠隔対応システム
JP2008216694A (ja) カウンタ装置
WO2012176678A1 (ja) 表示装置
US9274547B2 (en) Display with an optical sensor
JP2011103141A (ja) コントローラ
KR201300351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수용장치 및 수용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