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509B1 - 원격진료를 위한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진료를 위한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509B1
KR101930509B1 KR1020160099229A KR20160099229A KR101930509B1 KR 101930509 B1 KR101930509 B1 KR 101930509B1 KR 1020160099229 A KR1020160099229 A KR 1020160099229A KR 20160099229 A KR20160099229 A KR 20160099229A KR 101930509 B1 KR101930509 B1 KR 10193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mage
unit
inj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808A (ko
Inventor
고철웅
안범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9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509B1/ko
Priority to PCT/KR2017/007884 priority patent/WO2018026127A1/ko
Publication of KR20180015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의 내부를 관찰하며 대상의 내부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약물의 주입 여부, 약물의 주입량, 또는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원격진료가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헤드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리형 약물주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진료를 위한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Separable drug infusion device for telemedicine, Image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진료를 위한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의 내부를 관찰하며 대상의 내부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약물의 주입 여부, 약물의 주입량, 또는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원격진료가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약물은 약물의 종류 또는 그 약물을 사용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주입된다. 특히 치료를 목적으로 약물을 인체에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사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주사기를 사용하여 인체에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 인체의 내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시술자는 감에 의존하여 시술을 행하게 된다.
인체의 내부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내시경이 많이 사용된다. 내시경은 개복 수술이나 절개 수술 없이도 인체의 내부(기관지, 식도, 흉강, 심장, 위, 장, 복강, 방광, 항문, 비강, 고막 등)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질병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렇다면 상기 주사기와 상기 내시경을 결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1698호(발명의 명칭 : 약물 투약용 내시경 시술기구,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서는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선단에 형성되며 내시경을 통해 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관, 상기 본체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연결구 및 중공관의 내부에 결합되며 인체의 조직에 병변 확인용 약물을 투약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약물투약부, 및 상기 제1 약물투약부의 분리 후 상기 본체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연결구 및 중공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약물투약부의 약물 투약에 따라 확인된 인체의 병변 조직에 치료용 약물을 투약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약물투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약용 내시경 시술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는 IT 시장의 변화가 매우 빠르고, 뉴스에서는 연일 새로운 스마트 기기들의 출시 소식과 스마트 기술 관련 뉴스들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센서 기술, 무선통신기술 등의 발전으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거나 원격모니터링시스템 또는 원격진료시스템이 개발되는 등 헬스케어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원격진료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068호(발명의 명칭 :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에서는 원격 진료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 대상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영상에 대한 계층적 관계를 갖는 복수의 문진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원격 진료 서비스 타입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서비스 타입에 해당하는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분석 결과 데이터에 상기 수집된 환자 상태를 매칭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연동된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검색하고 이를 수집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문진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진료 서비스 타입별 혹은 상기 인식된 원격 진료 서비스 타입별 기 설정된 다수의 질문에 대해 입력된 답변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고, 다수의 의료 서비스 타입별 특화된 다수의 서비스 서버와 연동된 원격 진료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검색된 결과 데이터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연동된 각 서비스 서버를 통해 수집된 해당 데이터에 대한 평가 이력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이력은, 원격 진료 서비스 서버가 각 서비스 서버별 제공되는 데이터에 대한 만족도를 원격 진료 서비스 완료 후 혹은 서비스 중 사용자로부터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 품질에 대한 이력으로 해당 서비스 서버와 대응되게 맵핑하여 저장, 관리되는 것이고, 상기 서비스 서버별 수집된 데이터는, 상기 인식된 서비스 타입에 해당하는 증상에 따라 특화된 의료 서비스 데이터이고, 상기 특화된 의료 서비스 데이터는 장루를 치료할 파우치 제품을 추천하는 의료 서비스 데이터, 상처를 관리하는 간호술 및 암에 관련된 영양, 운동, 생활 습관 권고 내용, 의료 상담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16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06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기술 1이 약물공급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제1문제점, 종래기술 1은 내시경에 장착되는 약물 투약용 시술기구로서 내시경과 일체로 되어있지 않다는 제2문제점, 및 종래기술 2는 사용자가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창상 부위 등에 대한 원격진료를 행하는 데 그친다는 제3문제점을 해결하려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는 본 발명은, 일부 또는 전부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약물유로가 형성되는 삽입튜브부 및 상기 대상의 내부로부터 상기 삽입튜브부의 내부를 통하여 반사되는 광을 취득하여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취득부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대상의 내부에 상기 약물유로를 통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약물주입부 및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상기 약물주입부를 조작하여 상기 약물의 주입 여부, 상기 약물의 주입량, 또는 상기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물주입부는, 상기 약물을 수용하는 약물용기, 상기 약물용기에 인접하여 상기 약물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약물을 상기 약물용기 밖으로 배출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작동하는 가압부재 작동수단, 및 상기 가압부재 작동수단을 작동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약물주입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는 초점거리(focal length)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구조에 의하여 상기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는, 상기 약물용기와 상기 약물유로를 연통하는 연통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튜브부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광을 통과시켜 상기 삽입튜브부의 내부로 전달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는 어안렌즈 또는 광각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튜브부는, 상기 삽입튜브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를 통과한 상기 광을 상기 광취득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광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튜브부는, 상기 광전달부를 상기 삽입튜브부의 내부에 고정하는 광섬유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촬영부는,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촬영부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부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왜곡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촬영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고정식 또는 탈착식 디스플레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접이식 디스플레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촬영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촬영부는, 상기 사용자의 녹화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녹화파일로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녹화파일을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는 유에스비 플래시 드라이브(USB flash drive) 또는 메모리 카드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전달받는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수단은 적외선(IR) 통신, 라디오 주파수(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초광대역 통신(UWB), 블루투스, 직비,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 및 상기 단말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에 의한 미러링(mirroring)을 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단말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제1통신수단에 의한 미러링을 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공유하는 제1단말, 및 상기 제1단말과 제2통신수단에 의한 미러링을 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공유하는 제2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전달받는 단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의사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에 전달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의사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에 전달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아이디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의 내부를 관찰하며 상기 대상의 내부에 상기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삽입튜브부가 상기 대상의 내부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광취득부가 상기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광을 취득하여 상기 광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센서가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부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약물주입부가 상기 대상의 내부에 상기 약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를 이용하여 대상의 내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보정부가 상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보정부가 상기 왜곡 이미지를 보정하여 상기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보정 이미지에 관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보정부가 왜곡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왜곡 이미지의 기하학적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왜곡 보정 알고리즘은 초점거리, 주점(principal point), 방사 왜곡 상수(radial distortion coefficient), 및 접선 왜곡 상수(tangential distortion coefficien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하학적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미지 보정부가 상기 왜곡 이미지로부터 소실점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보정부가 상기 소실점 좌표로부터 프로젝션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보정부가 상기 프로젝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약물의 주입 여부, 약물의 주입량, 또는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제1효과, 헤드부의 탈착이 가능하여 헤드부나 본체부의 세척, 살균, 또는 소독이 용이하다는 제2효과, 사용자가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제3효과, 대상의 내부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부와 대상의 내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약물주입부가 일체로 되어 있다는 제4효과,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무선 통신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말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제5효과, 분리형 약물주입기가 획득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거나 녹화하여 사후에 얻을 수 있다는 제6효과, 분리형 약물주입기가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이와 관련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제7효과, 제 7효과와 관련하여 특히 사용자 및/또는 대상 환자의 신체 내부의 이미지에 기초한 원격진료가 가능하다는 제8효과, 분리형 약물주입기가 획득한 이미지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제9효과, 분리형 약물주입기가 획득한 이미지가 서버에 저장되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제10효과, 및 분리형 약물주입기가 획득한 이미지가 서버에 축적되는 경우 축적된 이미지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이나 치료 예후 비교에 응용할 수 있다는 제11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에서 삽입튜브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에서 광신호 및 전기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프로젝션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전의 왜곡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인 분리형 약물주입기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8은 실시예 3에서 헤드부의 탈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9는 실시예 3에서 헤드부의 탈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0은 실시예 3에서 초점거리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1은 실시예 3에서 초점거리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헤드부(10) 및 헤드부(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헤드부(10)는 삽입튜브부(101) 및 광취득부(102)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부(10)는 광방출부(103), 연통노즐(104), 및 어댑터(105)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20)는 약물주입부(210) 및 이미지 촬영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20)는 손잡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분리형 약물주입기(1)에 대하여 그것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별로 상술하기로 한다.
삽입튜브부(101)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대상은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가 될 수 있으며, 이하 같다. 도 4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삽입튜브부(101)가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튜브부(101)의 내부에는 약물유로(101a)가 형성된다. 삽입튜브부(101)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약물용기(211)(도 2 및 도 3 참조)에 수용된 약물이 약물용기(211)를 빠져나와 약물유로(101a)를 통해 대상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대상을 찔러서 대상의 표면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니들(needle) 타입의 삽입튜브부(101)가 도시되어 있으나, 삽입튜브부(101)는 경성 타입(예를 들어, 일직선의 금속관이나 검이경의 삽입되는 부분), 연성 타입(예를 들어, 고무로 되어 있어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것), 경성 타입과 연성 타입의 중간 타입(경성 또는 연성이 경성 타입과 연성 타입의 중간 정도인 것) 등이 될 수도 있다.
삽입튜브부(101)는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삽입튜브부(101)의 일단에 형성된다. 참고로 삽입튜브부(101)의 타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취득부(102), 광방출부(103), 또는 약물용기(211)에 연결될 수 있다. 삽입튜브부(101)의 일부 또는 전부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될 때, 렌즈 역시 대상의 내부에 삽입된다. 삽입튜브부(101)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원부(226)가 광을 생성하고, 광방출부(103)가 상기 광을 방출하여 대상의 내부에 조사할 수 있다(도 2, 도 3, 및 도 5 참조). 렌즈는 광방출부(103)가 방출한 광을 통과시켜, 그 광이 대상의 내부에 조사될 수 있게 한다. 대상의 내부에 조사된 광은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된다. 렌즈는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통과시켜 삽입튜브부(101)의 내부로 전달한다. 렌즈는 1개일 수도 있으나, 2개(대상의 내부에 조사될 광을 통과시키는 것과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렌즈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가 가지는 기능에 따라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렌즈는 표준렌즈, 망원렌즈, 마이크로렌즈, 광각렌즈, 및 어안렌즈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삽입튜브부(101)는 광전달부(10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전달부(101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튜브부(101)의 내부에 형성된다. 삽입튜브부(101)의 일부 또는 전부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될 때, 광전달부(101b) 역시 대상의 내부에 삽입된다. 광전달부(101b)는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한다. 따라서 삽입튜브부(101)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전달부(101b)는 광방출부(103)로부터 대상의 내부로 광을 전달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5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달부(101b)에서, 광방출부(103)로부터 대상의 내부로 광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부분을 발광라인(101ba)이라고 하기로 하며, 이하 같다. 또한 삽입튜브부(101)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전달부(101b)는 대상의 내부로부터 광취득부(102)로 광을 전달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5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달부(101b)에서, 대상의 내부로부터 광취득부(102)로 광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부분을 촬영라인(101bb)이라고 하기로 하며, 이하 같다. 도 5에 도시된 광 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 광원부(226)가 광을 생성한다.
(ii) 광방출부(103)가, 광원부(226)가 생성한 광을 방출하여, 대상의 내부에 조사한다.
(ii-1) 발광라인(101ba)이 광방출부(103)가 방출한 광을 삽입튜브부(101)의 일단 쪽으로 전달한다.
(ii-2) 발광라인(101ba)에 의하여 전달된 광이 렌즈를 통과하여 대상의 내부에 조사된다.
(iii) 대상의 내부에 조사된 광이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된다.
(iv)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된 광이 렌즈를 통과한다.
(v) 삽입튜브부(101) 내부의 촬영라인(101bb)이 렌즈를 통과한 광을 광취득부(102)로 전달한다.
상기 (ii-2)단계에서의 렌즈와 상기 (iv)단계에서의 렌즈는 같은 렌즈일 수도 있고, 다른 렌즈일 수도 있다.
삽입튜브부(101)는 광섬유 가이드(10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전달부(101b)는 삽입튜브부(101)의 내부에서 흔들리거나 치렁치렁 늘어질 수 있다. 광섬유 가이드(101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달부(101b)를 삽입튜브부(101)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광섬유 가이드(101c)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광섬유 가이드(101c)는 폴리머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광취득부(102)는 대상의 내부로부터 삽입튜브부(101)의 내부를 통하여 반사되는 광을 취득한다.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및 삽입튜브부(101) 내부의 촬영라인(101bb)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튜브부(101)의 내부를 통과한 광은 광취득부(102)에 의하여 취득된다.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취득한 광취득부(102)는 광신호를 생성한다.
광방출부(103)는 광원부(226)가 생성한 광을 방출하여 대상의 내부에 조사한다. 광방출부(103)는, 도 2 및 도 3에서 실선 및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226)에 결합될 수도 있고, 광원부(226)와 분리될 수도 있다. 광방출부(103)는 광원부(226)에 결합된 상태에서 광원부(226)가 생성한 광을 방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방출부(103)에 의해 방출되는 광은 삽입튜브부(101)의 내부를 통과하여 대상의 내부에 조사된다. 광방출부(103)에 의해 방출되는 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튜브부(101) 내부의 발광라인(101ba) 및 렌즈를 통과하여 대상의 내부에 조사될 수 있다.
연통노즐(104)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용기(211)와 약물유로(101a)를 연통하는 부분이다. 약물용기(211)로부터 배출된 약물은 연통노즐(104)을 통해 약물유로(101a)로 전달된 다음, 약물유로(101a)를 통과하여 대상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물론 약물용기(211)와 약물유로(101a)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약물용기(211)로부터 배출된 약물이 약물유로(101a)를 통해 대상의 내부에 주입될 수도 있다. 연통노즐(104)은, 약물용기(211)로부터 배출된 약물이 약물유로(101a)를 향하는 과정에서 역류하지 않도록, 연통노즐(104) 내에 역류 방지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어댑터(105)는 연통노즐(104)과 약물유로(101a)의 연결 부분을 헤드부(10)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거나, 광전달부(101b)와 약물유로(101a)의 일부를 헤드부(10)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또한 어댑터(105)는 연통노즐(104)과 약물유로(101a)의 연결 부분 자체가 될 수도 있다. 연통노즐(104)과 약물유로(101a)의 직경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헤드부(10)의 탈착이 가능한 기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방출부(103)는 광원부(226)에 결합될 수도 있고, 광원부(226)와 분리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취득부(102)는 이미지 센서(221)와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부(10)와 본체부(20)는 분리될 수도 있고, 결합될 수도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헤드부(10) 및 본체부(20) 외에 헤드부(10)와 본체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연결부(30)의 구조가 헤드부(10)의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는 뒤의 실시예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헤드부(10)는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초점거리(focal length)는 삽입튜브부(101)의 렌즈로부터 본체부(20)의 이미지 센서(221)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하 같다. 초점거리는 헤드부(10)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조절되거나, 헤드부(10)가 가진 특수한 구조(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하여도 뒤의 실시예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약물주입부(210)는 대상의 내부에 약물유로(101a)를 통하여 약물을 주입한다. 사용자는 약물주입부(210)를 조작하여 약물의 주입 여부, 약물의 주입량, 또는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를 자기 자신에게 스스로 사용하고자 하는 환자, 환자에게 분리형 약물주입기(1)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사, 환자에게 분리형 약물주입기(1)를 사용하고자 하는 환자의 보호자, 또는 동물에게 분리형 약물주입기(1)를 사용하고자 하는 인간이 될 수 있으며, 이하 같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약물주입부(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용기(211), 가압부재(212), 가압부재 작동수단(213), 및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용기(211)는 약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주사기 형태 이외에도 카트리지 형태 등이 될 수도 있다. 가압부재(212)는 약물용기(211)에 인접하여 약물을 가압함으로써 약물을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한다. 가압부재 작동수단(213)은 가압부재(212)를 작동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부분으로서 가압부재 작동수단(213)을 작동한다. 사용자가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를 조작하여 가압부재 작동수단(213)을 작동하면, 가압부재 작동수단(213)이 가압부재(212)를 작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압부재(212)가 약물용기(211)에 수용된 약물을 가압하여 약물유로(101a)로 수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약물유로(101a)에 수송된 약물이 대상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약물주입부(210)는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그 중 몇 가지를 뒤의 실시예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이미지 촬영부(220)는, 삽입튜브부(101)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상의 내부에 삽입튜브부(101)의 내부를 통하여 광을 조사하는 기능, 광취득부(102)가 생성한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촬영부(220)는 광원부(226), 이미지 센서(221), 이미지 프로세서부(222), 메모리부(223), 디스플레이부(224), 및 통신부(2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이미지 촬영부(220)의 일실시예가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광원부(226)는 대상의 내부에 조사될 광을 생성한다. 광원부(226)는 레이저발광다이오드(Laser Emitting Diode, LED) 또는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LD)를 광원으로 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나, 광원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원부(226)는 레이저발광다이오드(Laser Emitting Diode, LED) 램프가 UV-Blue 대역의 레이저를 출사하는 경우, 유리나 세라믹 소재로 구성된 색변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UV-Blue 대역의 레이저를 백색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광원부(226)의 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 외에도 손잡이부(230)의 내부가 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2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취득부(102)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인 이미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미지 센서(221)는 상보성 금속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또는 전하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센서(221)는 필요에 따라 VGA, SVGA, 또는 SXGA에 해당하는 화소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프로세서부(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서부(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변환부(222a), 이미지 보정부(222b), 및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222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222a)는 이미지 센서(221)가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생성한 경우, 이를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노이즈 제거를 한 후에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으며, YUV, RGB 등의 색좌표계를 변환할 수도 있다.
이미지 보정부(222b)는 이미지 센서(221) 또는 신호변환부(222a)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한 다음, 왜곡 이미지를 보정하여 보정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보정부(222b)는 통상적인 컬러 보정이나 감마 보정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왜곡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왜곡 이미지의 기하학적 보정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젝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왜곡 이미지의 원근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보정의 순서는 기하학적 보정을 수행한 다음에, 원근효과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하학적 보정과 원근효과 제거는 어안렌즈나 광각렌즈를 사용할 경우 특히 효과적인 보정방법이다. 어안렌즈와 광각렌즈는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이다. 어안렌즈는 화각이 최소 120도를 넘는 렌즈로 광범위한 영역의 이미지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광각렌즈는 화각이 60도에서 120도 정도인 렌즈로 어안렌즈만큼은 아니지만 이 역시 넓은 이미지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어안렌즈나 광각렌즈는 화각이 넓기 때문에 사물을 왜곡하고 원근감을 과장한다. 따라서 어안렌즈나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대상의 내부를 관찰하는 경우, 대상의 내부가 왜곡되고, 관심 영역의 주변부에 대해 원근감이 발생하여 대상의 내부의 정확한 상태를 판단하기 곤란하다.
먼저 기하학적 보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실제 렌즈는 완벽할 수 없으며 왜곡이 존재하는데, 수학적으로 이상적인 포물선 렌즈보다 구면 렌즈를 만드는 것이 훨씬 쉬우며, 렌즈와 이미지 센서(221)를 완벽하게 정렬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렌즈의 왜곡에는 크게 방사 왜곡(radial distortion)과 접선 왜곡(tangential distortion)이 있다. 방사 왜곡은 렌즈의 모양에 의해서 발생하는 왜곡으로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221) 가장자리 부근에서 픽셀의 위치가 볼록하게 왜곡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볼록 현상은 '술통 왜곡'이라고도 하며, 어안효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접선 왜곡은 이미지 센서(221)와 렌즈가 평행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왜곡으로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제조과정에서 생긴다. 왜곡 보정 알고리즘은 초점거리, 주점(principal point), 방사 왜곡 상수(radial distortion coefficient), 및 접선 왜곡 상수(tangential distortion coefficien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 보정부(222b)는 왜곡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방사 왜곡이나 접선 왜곡과 같은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기하학적 보정은 공지된 이론으로서, 영상처리분야의 당업자라면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 없이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원근효과 제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에는 왜곡 이미지의 예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모식도는, 기하학적 보정이 완료되었지만 원근효과 때문에 각 변이 휘어진 사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각 변이 휘어진 사각형 이미지가 생성된 것은, 직사각형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직사각형에서 카메라와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은 크게 나타나고 카메라와의 거리가 먼 부분은 작게 나타나서, 원근감이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가 대상의 내부를 촬영함에 있어서도, 대상의 내부에 대해 원근감이 적용된 이미지가 획득된다면 대상의 내부의 정확한 형태를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왜곡 이미지의 원근효과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원근효과 제거의 첫 번째 단계로 이미지 보정부(222b)가 왜곡 이미지로부터 소실점 좌표를 추출한다. 도 6에서는 직선 AB와 직선 DC가 연장되어 만나는 제1소실점 P1(XP1, YP1)과 직선 AD와 직선 BC가 연장되어 만나는 제2소실점 P2(XP2, YP2)를 추출한다. 도 6에서는 제1소실점 P1은 x축 상에 위치하고, 제2소실점 P2는 y축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이미지 보정부(222b)가 소실점 좌표로부터 프로젝션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프로젝션 매트릭스 [P]를 생성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75757293-pat00001
(a, b는 보정 계수고, 이하 같다.)
수학식 1의 프로젝션 매트릭스 [P]는 원본 매트릭스 [A]에 매트릭스 [B]를 곱함으로써 생성되는 매트릭스로, 3차원상의 공간 이미지를 2차원상의 평면 이미지로 변환하는 매트릭스이다. 그리고 보정 계수 a, b는 보정 이미지 좌표 (X, Y)로부터 왜곡 이미지 좌표 (x, y)를 추출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이다.
3차원상의 임의의 한 점을 프로젝션 매트릭스 [P]를 통하여 변환하면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6075757293-pat00002
그리고 수학식 2의 3열과 4열을 기본벡터 형식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수학식 2를 (ax+by+1)로 나누면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6075757293-pat00003
수학식 3의 마지막 줄에 나타낸 것처럼, x/(ax+by+1)와 y/(ax+by+1)은 각각 X, Y로 치환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X, Y, 0, 1]은 3차원상의 임의의 한 점 [x, y, z, 1]이 프로젝션 매트릭스 [P]를 통하여 변환된 2차원상의 점이고, 여기서 각 매트릭스의 4열은 보정 계수 a, b를 산출하기 위한 기본벡터이다. 한편 도 6에서 제1소실점 P1(XP1, YP1)과 제2소실점 P2(XP2, YP2)는 각각 x축과 y축 상의 점으로 표시되었으므로, x축 상의 단위벡터 [1, 0, 0, 0]과 y축 상의 단위벡터 [0, 1, 0, 0]을 프로젝션 매트릭스 [P]를 통하여 변환하면,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6075757293-pat00004
그리고 수학식 4의 3열과 4열을 기본벡터 형식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수학식 4의 1행을 a로 나누고, 2행을 b로 나누면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6075757293-pat00005
(XP1은 제1소실점을 x축 상에 위치시켰을 때 제1소실점의 x좌표이고, YP2 는 제2소실점을 y축 상에 위치시켰을 때 제2소실점의 y좌표이며, 이하 같다.)
그리고 수학식 5로부터 다음 수학식 6의 관계를 얻을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16075757293-pat00006
한편 상기 수학식 3을 정리하면, 다음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16075757293-pat00007
그리고 수학식 7의 연립방정식을 풀면 다음 수학식 8과 같은 프로젝션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112016075757293-pat00008
(x, y : 왜곡 이미지 좌표, X, Y : 보정 이미지 좌표, a, b : 보정 계수)
수학식 8로 표현되는 프로젝션 알고리즘은 보정 계수 a, b 대신에 수학식 6에서 산출한 1/XP1, 1/YP2이 대입되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학식 8을 이용함으로써 보정 이미지 좌표 (X, Y)로부터 왜곡 이미지 좌표 (x, y)를 추출하여 왜곡 이미지의 화소를 보정 이미지의 화소에 배치할 수 있다. 이는 인버스 매핑(inverse mapping) 방식으로 미리 보정 이미지를 가정하고 보정 이미지의 화소가 왜곡 이미지의 어느 화소와 매칭되는지를 찾는 방식이다. 이렇게 이미지 보정부(222b)는 수학식 8을 이용하는 인버스 매핑(inverse mapping) 방식으로 보정 이미지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생성된 보정 이미지에 원근효과가 기대한 만큼 제거되지 않은 경우, 보정 계수 a, b를 조절하여 이미지 보정부(222b)가 새로운 보정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222c)는 이미지 보정부(222b)가 생성한 보정 이미지에 관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222c)는 보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24)의 사이즈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222c)는, 필요에 따라 스케일링된 보정 이미지를 압축부호화하는 인코더를 구비하여, 스케일링하여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2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서부(222)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메모리부(22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부(223)는 플레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메모리, XD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프로세서부(222)는, 사용자의 녹화요청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녹화파일로 메모리부(223)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왜곡 보정 알고리즘이나 프로젝션 알고리즘이 메모리부(223)에 저장되어, 이미지 보정부(222b)가 왜곡 이미지를 보정할 때 메모리부(223)에 저장된 상기 알고리즘을 참조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부(222b)는 특히 왜곡 이미지의 원근효과를 제거할 때, 보정 계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보정 계수가 적용된 프로젝션 알고리즘을 메모리부(223)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서부(222)가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22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 Phoretic Display, EPD) 중 선택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224)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본체부(20)의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디스플레이부(224)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착할 수 있는 탈착식 디스플레이부(224)일 수도 있다. 탈착식 디스플레이부(224)의 경우, 본체부(20)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4)는, 커버를 구비하여 커버를 접으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덮게 되고 커버를 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보이게 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부(224)일 수도 있다.
통신부(2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서부(222)가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달한다. 통신부(225)는 원격진료를 가능하게 한다. 통신부(22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225)는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유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25)는 USB 포트 또는 메모리 카드 슬롯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225)는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무선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225)는 적외선(IR) 통신, 라디오 주파수(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초광대역 통신(UWB), 블루투스, 직비,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 중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녹화요청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가 녹화파일로 저장된 경우, 사용자는, 통신부(225)의 USB 포트에 유에스비 플래시 드라이브(USB flash drive)를 연결하거나 통신부(225)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를 연결하여, 녹화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부(222)는 이미지 데이터의 빠른 저장과 독출을 위해 DMA(Direct Memory Access)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DMA(Direct Memory Access) 방식으로 메모리부(223), 디스플레이부(224), 통신부(225), 및 이미지 프로세서부(222) 간에 이미지 데이터를 수수할 수 있다.
손잡이부(23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권총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부(2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총의 손잡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에 대하여 그것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별로 상술하기로 한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헤드부(10) 및 본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단말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기기이다. 유선 통신수단은 소정의 케이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수단은 적외선(IR) 통신, 라디오 주파수(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초광대역 통신(UWB), 블루투스, 직비, 및 근거리무선통신(NFC)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말은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일 수 있다. 도 7에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유선 단말 및 무선 단말이 도시되어 있다. 유선 단말은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및/또는 노트북(notebook)일 수 있고, 이하 같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무선 단말은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 휴대 인터넷 단말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이하 같다. 또한 무선 단말은 의사가 착용하는 안경이 될 수도 있으며, 이하 같다. 이는 의사가 착용하는 안경이,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이미지 촬영부(220)가 통신부(225)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통신부(225)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전달받는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본체부(20)는 단말이 거치되는 거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분리형 약물주입기(1)에서 단말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한 이미지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단말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에 의한 미러링(mirroring)을 통하여 복수 개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능을 공유한다는 것은 이미지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이며, 이하 같다. 예를 들어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이미지 촬영부(220)가 디스플레이부(224)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2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스트리밍(streaming)을 통해 단말로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에서 단말은 복수 개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 제1단말, 및 제2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제1단말은 제1통신수단에 의한 미러링을 통하여 복수 개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 및 제2단말은 제2통신수단에 의한 미러링을 통하여 복수 개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이미지 촬영부(220)가 디스플레이부(224)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2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스트리밍을 통해 제1단말로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고, 제1단말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스트리밍을 통해 제2단말로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다. 제1통신수단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일 수 있고, 제2통신수단도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일 수 있으며, 제1단말은 상기 유선 단말 또는 상기 무선 단말일 수 있고, 제2단말도 상기 유선 단말 또는 상기 무선 단말일 수 있다. 도 8에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1무선 단말 및 제1무선 단말과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2무선 단말이 도시되어 있다. 제1단말 및 제2단말 간의 미러링은 제2단말이 제1단말에 기능 공유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요청을 수신한 제1단말이 응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제1단말보다 제1단말 및 제2단말이 더 많은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데, 전술한 화면뿐만 아니라, 오디오, 스케치, 파일, 카메라, 위치, 음성통화, 영상통화, 채팅 등을 공유할 수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에서 단말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WCDMA, HSDPA, CDMA2000,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LTE, LTE-Advanced, 및 와이파이(Wi-Fi) 중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다른 무선 통신수단을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9에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분리형 약물주입기(1)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단말이 연결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단말 간에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유·무선 공유기에 설정된 게이트웨이, 인터넷 제공사의 게이트웨이 등)나 하나 이상의 액세스포인트(예를 들어, 무선중계기, 기지국 등)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가 디지털 신호로 이미지 데이터를 송출하는 경우 감쇠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 하나 이상의 리피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에는 서버를 포함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통신부(225)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환자, 의사, 기타 관계인이 소정의 수단을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서버 외에, 서버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전달받는 단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서버 간에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유·무선 공유기에 설정된 게이트웨이, 인터넷 제공사의 게이트웨이 등)나 하나 이상의 액세스포인트(예를 들어, 무선중계기, 기지국 등)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가 디지털신호로 이미지 데이터를 송출하는 경우 감쇠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 하나 이상의 리피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에서, 원격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의사인 원격의사가, 서버 또는 단말에 전달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및/또는 이와 관련된 처방을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또는 단말에 설치된 이미지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가상의사가, 서버 또는 단말에 전달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및/또는 이와 관련된 처방을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 또는 단말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 사용자의 아이디를 인증하여,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로 분석결과 및/또는 이와 관련된 처방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또는 단말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아이디를 인증하여,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로 분석결과 및/또는 이와 관련된 처방이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에서, 다량의 이미지 데이터가 서버 또는 단말에 축적되는 경우, 축적된 이미지 데이터는 빅데이터 분석이나 치료 예후 비교에 이용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나 치료 예후 비교 결과가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또는 단말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 사용자의 아이디를 인증하여,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로 빅데이터 분석 결과나 치료 예후 비교 결과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또는 단말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아이디를 인증하여,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로 빅데이터 분석 결과나 치료 예후 비교 결과가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리형 약물주입기를 이용하여 대상의 내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부분과 중복되는 설명은 최대한 생략한다.
(I) 삽입튜브부(101)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된다. 본 단계에서 사용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230)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삽입튜브부(101)를 대상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II) 광취득부(102)가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취득하여 광신호를 생성한다. (I)단계 이후로는 삽입튜브부(101)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그리고 (I)단계 및 (II)단계 사이에, 광원부(226)가 광을 생성하는 단계, 및 광방출부(103)가 광을 발광라인(101ba)과 렌즈를 통하여 대상의 내부에 조사하는 단계가 있을 수 있다.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은 렌즈 및 촬영라인(101bb)을 통하여 광취득부(102)로 전달될 수 있다.
(III) 이미지 센서(221)가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신호를 생성한다.
(IV) 이미지 프로세서부(222)가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미지 프로세서부(222)가 신호변환부(222a), 이미지 보정부(222b), 및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222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과 이들의 기능에 대하여는 전술하였다.
(V) 디스플레이부(224)가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VI)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약물주입부(210)가 대상의 내부에 약물을 주입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24)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약물주입부(210)를 조작하여 약물주입부(210)가 대상의 내부에 약물을 주입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에 관한 실시예들을 상술하기로 한다. 앞에서 명확하지 않았던 부분은 다음 실시예들을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전반적인 구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를 제조하였다. 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전체적으로 권총 형상이다. 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 본체부(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헤드부(10)는 삽입튜브부(101), 광취득부(102), 광방출부(103), 연통노즐(104), 어댑터(105), 및 헤드 하우징(106)을 포함한다. 헤드 하우징(106)은 삽입튜브부(101)의 일부, 광취득부(102), 광방출부(103), 연통노즐(104), 및 어댑터(105)를 수용한다.
본체부(20)는 약물주입부(210), 이미지 촬영부(220), 손잡이부(230), 및 본체 하우징(240)을 포함한다. 약물주입부(210)는 약물용기(211), 가압부재(212), 가압부재 작동수단(213), 및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를 포함한다. 가압부재 작동수단(213)은 모터(213a), 기어(213b), 및 회전샤프트로 구성된다.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는 권총의 방아쇠 형상을 가진다. 본체 하우징(240)은 약물용기(211), 가압부재(212), 가압부재 작동수단(213), 이미지 센서(221), 이미지 프로세서부(222), 메모리부(223), 통신부(225), 및 광원부(226)를 수용한다.
연결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10) 및 슬라이딩 홈(320)을 포함한다. 도 1에서 헤드 하우징(106)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핀(310)은 헤드 하우징(10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320)은 본체 하우징(240)의 일면의 일부에 형성된다.
<약물주입부(210)의 조작>
사용자가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에 힘을 가하면,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213a)는 기어(213b)를 작동한다. 기어(213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213b) 및 제1기어(213b)에 치합되는 제2기어(213b)로 구성된다. 모터(213a)가 제1기어(213b)를 회전시키면, 제1기어(213b)에 치합되는 제2기어(213b)가 회전한다. 제2기어(213b)는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킨다. 회전샤프트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가압부재(212)는, 회전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앞으로 이동하며 약물용기(211)의 피스톤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약물용기(211)에 수용된 약물은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된다.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되는 약물은, 연통노즐(104) 및 약물유로(101a)를 통하여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대상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에 가하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약물의 주입 여부, 약물의 주입량, 또는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헤드부(10)의 탈착>
헤드부(10)의 탈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의 구조(고정핀(310) 및 슬라이딩 홈(320)이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가능하다. 사용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헤드부(10)로부터 고정핀(310)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부(10)를 뒤로 움직여, 헤드부(10)의 일부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 내부에 수용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고정핀(310)을 슬라이딩 홈(320)에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슬라이딩 홈(320)에 삽입된 고정핀(3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헤드부(10)와 본체부(2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헤드부(10)와 본체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부(10)를 본체부(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저, 고정핀(3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핀(310)을 슬라이딩 홈(3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헤드부(10)를 앞으로 움직여, 헤드부(10)를 본체부(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초점거리 조절>
도 2 및 도 3에는 헤드부(10)가 실선 및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거리는 헤드부(10)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10)와 본체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핀(310)을 슬라이딩 홈(32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헤드부(10)를 앞 또는 뒤로 움직여 원하는 초점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고정핀(310)을 다시 슬라이딩 홈(320)에 삽입함으로써 헤드부(10)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전반적인 구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를 제조하였다. 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전체적으로 권총 형상이다. 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약물주입부(210) 및 손잡이부(230)를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약물주입부(210)는 약물용기(211), 가압부재(212), 가압부재 작동수단(213), 및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를 포함한다. 가압부재 작동수단(213)은 피니언 및 랙으로 구성된다.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약물주입부(210)의 조작>
사용자가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에 힘을 가하면,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약물주입 조절부재(21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피니언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니언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랙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랙이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랙에 연결된 가압부재(212)도 앞으로 이동하며 약물용기(211)의 피스톤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약물용기(211)에 수용된 약물은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된다.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되는 약물은, 연통노즐(104) 및 약물유로(101a)를 통하여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대상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에 가하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약물의 주입 여부, 약물의 주입량, 또는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헤드부(10)의 탈착>
실시예 2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약물주입부(210) 및 손잡이부(230)를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 헤드부(10)의 탈착 원리는 실시예 1의 헤드부(10)의 탈착 원리와 동일하다.
<초점거리 조절>
실시예 2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약물주입부(210) 및 손잡이부(230)를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 초점거리 조절 원리는 실시예 1의 초점거리 조절 원리와 동일하다.
[실시예 3]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전반적인 구조>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를 제조하였다. 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전체적으로 권총 형상이다. 도 12 및 도 13에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는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측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 본체부(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헤드부(10)는 삽입튜브부(101), 광취득부(102), 광방출부(103), 어댑터(105), 튜브홀더(107), 턴 가이드(108), 턴 슬라이더(109) 및 고정부(110)를 포함한다. 도 18 내지 도 21에는 헤드부(10)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튜브홀더(107)는 좁은 선단과 넓은 후단을 가진다. 그리고 튜브홀더(107)에는 튜브홀더 돌기(107a)가 튜브홀더(107)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튜브홀더(107)는 삽입튜브부(101)의 일부, 광취득부(102), 광방출부(103), 및 어댑터(105)를 수용한다. 턴 가이드(108)는 튜브홀더(107) 및 턴 슬라이더(109) 사이에 위치하며, 튜브홀더(107)의 일부를 둘러싼다. 그리고 턴 가이드(108)에는 안내면(108a)이 형성된다. 턴 슬라이더(109)는 턴 가이드(108)의 일부를 둘러싼다. 그리고 턴 슬라이더(109)에는 턴 슬라이더 홈(109a)이 형성된다. 턴 슬라이더 홈(109a)은 튜브홀더 돌기(107a)와 맞물릴 수 있다. 고정부(110)에는 고정부 홈(110a)이 형성된다.
본체부(20)는 약물주입부(210), 이미지 촬영부(220), 손잡이부(230), 및 본체 하우징(240)을 포함한다. 약물주입부(210)는 약물용기(211), 가압부재(212), 가압부재 작동수단(213), 및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를 포함한다. 가압부재 작동수단(213)은 모터(213a), 기어(213b), 및 회전샤프트로 구성된다.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는 권총의 방아쇠 형상을 가진다. 본체 하우징(240)은 약물용기(211), 가압부재(212), 가압부재 작동수단(213), 이미지 센서(221), 이미지 프로세서부(222), 메모리부(223), 통신부(225), 및 광원부(226)를 수용한다.
연결부(30)는 헤드부(10) 일측에 형성되는 핀(330) 및 본체부(20) 일측에 형성되는 락커(340)를 포함한다. 락커(340)에는 락커 홈(341), 락커 외벽(342), 및 락커 내벽(343)이 형성된다.
<약물주입부(210)의 조작>
사용자가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에 힘을 가하면,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213a)는 기어(213b)를 작동한다. 기어(213b)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213b) 및 제1기어(213b)에 치합되는 제2기어(213b)로 구성된다. 모터(213a)가 제1기어(213b)를 회전시키면, 제1기어(213b)에 치합되는 제2기어(213b)가 회전한다. 제2기어(213b)는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킨다. 회전샤프트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가압부재(212)는, 회전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앞으로 이동하며 약물용기(211)의 피스톤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약물용기(211)에 수용된 약물은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된다.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되는 약물은 약물유로(101a)를 통하여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대상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에 가하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약물의 주입 여부, 약물의 주입량, 또는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헤드부(10)의 탈착>
헤드부(10)의 탈착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의 구조(핀(330) 및 락커(340)가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가능하다. 도 18 및 도 19에는 연결부(30)의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고, 헤드부(10)의 탈착을 설명하는데 불필요한 부분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는 핀(330)을 락커 홈(341)에 삽입하고, 락커(34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헤드부(10)와 본체부(2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8에서, 사용자가 핀(330)을 락커 홈(341)에 삽입하면, 고정부 홈(110a)이 락커 외벽(342)에 맞물리게 된다. 이 상태는 아직, 사용자가 헤드부(10)를 앞으로 움직이면, 헤드부(10)가 본체부(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락커(34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락커 홈(341)에 삽입되었던 핀(330)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19에 도시된 락커 내벽(343)에 막히게 된다. 즉, 헤드부(10)가 본체부(20)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락커(34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락커 홈(341)과 핀(330)을 정렬하고, 헤드부(10)를 앞으로 당김으로써 헤드부(10)를 본체부(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헤드부(10)의 탈착 과정에서, 락커(340)는 회전할 수 있는데 비해, 도 18에 도시된 고정부(110)는 움직이지 않는다.
<초점거리 조절>
헤드부(1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초점거리는 상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는 초점거리 조절을 설명하는데 불필요한 부분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가 턴 슬라이더(10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턴 슬라이더 홈(109a)이 튜브홀더 돌기(107a)에 힘을 가하게 된다. 힘을 받은 튜브홀더 돌기(107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튜브홀더(107)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튜브홀더 돌기(107a)는 안내면(108a)을 따라 회전하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뒤로 움직인다. 따라서 튜브홀더(107)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뒤로 움직인다. 즉, 초점거리는 짧아진다. 반대로, 사용자가 턴 슬라이더(10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턴 슬라이더 홈(109a)이 튜브홀더 돌기(107a)에 힘을 가하게 된다. 힘을 받은 튜브홀더 돌기(107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튜브홀더(107)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튜브홀더 돌기(107a)는 안내면(108a)을 따라 회전하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앞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튜브홀더(107)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앞으로 움직인다. 즉, 초점거리는 길어진다. 턴 슬라이더(109)의 회전운동이 튜브홀더(107)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면서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다. 턴 슬라이더(109)가 회전하면서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고정부(110)들은 움직이지 않는다.
[실시예 4]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전반적인 구조>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리형 약물주입기(1)를 제조하였다. 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전체적으로 권총 형상이다. 이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약물주입부(210) 및 손잡이부(230)를 제외하고, 실시예 3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약물주입부(210)는 약물용기(211), 가압부재(212), 가압부재 작동수단(213), 및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를 포함한다. 가압부재 작동수단(213)은 피니언 및 랙으로 구성된다.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약물주입부(210)의 조작>
사용자가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에 힘을 가하면,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약물주입 조절부재(21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피니언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니언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랙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랙이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랙에 연결된 가압부재(212)도 앞으로 이동하며 약물용기(211)의 피스톤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약물용기(211)에 수용된 약물은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된다.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되는 약물은 약물유로(101a)를 통하여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대상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약물주입 조절부재(214)에 가하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약물의 주입 여부, 약물의 주입량, 또는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헤드부(10)의 탈착>
실시예 4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약물주입부(210) 및 손잡이부(230)를 제외하고, 실시예 3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 4에서 헤드부(10)의 탈착 원리는 실시예 3의 헤드부(10)의 탈착 원리와 동일하다.
<초점거리 조절>
실시예 4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는 약물주입부(210) 및 손잡이부(230)를 제외하고, 실시예 3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 4에서 초점거리 조절 원리는 실시예 3의 초점거리 조절 원리와 동일하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 : 분리형 약물주입기
10 : 헤드부
101 : 삽입튜브부
101a : 약물유로
101b : 광전달부
101ba : 발광라인
101bb : 촬영라인
101c : 광섬유 가이드
102 : 광취득부
103 : 광방출부
104 : 연통노즐
105 : 어댑터
106 : 헤드 하우징
107 : 튜브홀더
107a : 튜브홀더 돌기
108 : 턴 가이드
108a : 안내면
109 : 턴 슬라이더
109a : 턴 슬라이더 홈
110 : 고정부
110a : 고정부 홈
20 : 본체부
210 : 약물주입부
211 : 약물용기
212 : 가압부재
213 : 가압부재 작동수단
213a : 모터
213b : 기어
213c : 회전 샤프트
214 : 약물주입 조절부재
220 : 이미지 촬영부
221 : 이미지 센서
222 : 이미지 프로세서부
222a : 신호변환부
222b : 이미지 보정부
222c : 이미지 데이터 생성부
223 : 메모리부
224 : 디스플레이부
225 : 통신부
226 : 광원부
230 : 손잡이부
240 : 본체 하우징
30 : 연결부
310 : 고정핀
320 : 슬라이딩 홈
330 : 핀
340 : 락커
341 : 락커 홈
342 : 락커 외벽
343 : 락커 내벽

Claims (35)

  1. 일부 또는 전부가 대상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약물유로(101a)가 형성되는 삽입튜브부(101), 및
    상기 대상의 내부로부터 상기 삽입튜브부(101)의 내부를 통하여 반사되는 광을 취득하여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취득부(102),
    를 포함하는 헤드부(10); 및
    상기 대상의 내부에 상기 약물유로(101a)를 통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약물주입부(210), 및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부(220),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10)는 초점거리(focal length)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1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구조에 의하여 상기 초점거리가 조절되며,
    사용자는 상기 약물주입부(210)를 조작하여 상기 약물의 주입 여부, 상기 약물의 주입량, 또는 상기 약물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물주입부(210)는,
    상기 약물을 수용하는 약물용기(211), 상기 약물용기(211)에 인접하여 상기 약물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약물을 상기 약물용기(211) 밖으로 배출하는 가압부재(212), 상기 가압부재(212)를 작동하는 가압부재 작동수단(213), 및 상기 가압부재 작동수단(213)을 작동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약물주입 조절부재(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상기 약물용기(211)와 상기 약물유로(101a)를 연통하는 연통노즐(10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튜브부(101)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대상의 내부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광을 통과시켜 상기 삽입튜브부(101)의 내부로 전달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어안렌즈 또는 광각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삽입튜브부(101)는,
    상기 삽입튜브부(101)의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를 통과한 상기 광을 상기 광취득부(102)로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광전달부(101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삽입튜브부(101)는,
    상기 광전달부(101b)를 상기 삽입튜브부(101)의 내부에 고정하는 광섬유 가이드(101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영부(220)는,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영부(220)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부(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부(222)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여 왜곡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22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영부(22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24)는 고정식 또는 탈착식 디스플레이부(2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24)는 접이식 디스플레이부(2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영부(22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통신부(2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영부(220)는,
    상기 사용자의 녹화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녹화파일로 저장되는 메모리부(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녹화파일을 상기 통신부(225)에 연결되는 유에스비 플래시 드라이브(USB flash drive) 또는 메모리 카드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20. 청구항 17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상기 통신부(225)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전달받는 단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수단은 적외선(IR) 통신, 라디오 주파수(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초광대역 통신(UWB), 블루투스, 직비,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상기 단말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에 의한 미러링(mirroring)을 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단말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24. 청구항 1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1)와 제1통신수단에 의한 미러링을 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공유하는 제1단말; 및
    상기 제1단말과 제2통신수단에 의한 미러링을 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공유하는 제2단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25. 청구항 17의 분리형 약물주입기(1); 및
    상기 통신부(225)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하여 전달받는 단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원격의사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에 전달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가상의사가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에 전달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29. 청구항 27 또는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30. 청구항 27 또는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분리형 약물주입기(1)의 아이디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약물주입기 시스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160099229A 2016-08-04 2016-08-04 원격진료를 위한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KR10193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229A KR101930509B1 (ko) 2016-08-04 2016-08-04 원격진료를 위한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PCT/KR2017/007884 WO2018026127A1 (ko) 2016-08-04 2017-07-21 원격진료를 위한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229A KR101930509B1 (ko) 2016-08-04 2016-08-04 원격진료를 위한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808A KR20180015808A (ko) 2018-02-14
KR101930509B1 true KR101930509B1 (ko) 2018-12-19

Family

ID=6122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229A KR101930509B1 (ko) 2016-08-04 2016-08-04 원격진료를 위한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5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0693A1 (en) * 2010-01-29 2011-08-04 Nippon Shika Yakuhin Kk. Computer controlled electric syringe
JP2013531548A (ja) * 2010-07-15 2013-08-08 コリンシアン オフサルミ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遠隔治療及び遠隔モニタリングを実施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0693A1 (en) * 2010-01-29 2011-08-04 Nippon Shika Yakuhin Kk. Computer controlled electric syringe
JP2013531548A (ja) * 2010-07-15 2013-08-08 コリンシアン オフサルミ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遠隔治療及び遠隔モニタリングを実施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808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472105U (zh) 视野偏离中心方向的内窥镜***和内窥镜
US8928746B1 (en) Endoscope having disposable illumination and camera module
US11147469B2 (en) System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an endoscopic device during a medical procedure
US9655517B2 (en) Portable eye imaging apparatus
US10205925B2 (en) White balance enclosure for use with a multi-viewing elements endoscope
US10258309B2 (en) Eye imaging apparatus and systems
CN108965653B (zh) 一种口腔内窥器
US8827899B2 (en) Disposable endoscopic access device and portable display
EP29993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a patient user&#39;s body part
JP2017536215A (ja) 単回使用の、ポートを利用して展開可能かつ関節操作可能な内視鏡
US20050085690A1 (en) Endoscope apparatus
EP2119392A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gnetically maneuvering an in vivo device
KR101758977B1 (ko)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Uehara et al. Capsule endoscope NORIKA system
KR20180136219A (ko) 영상유도 수술용 고글 시스템
US20220273165A1 (en) Portable and ergonomic endoscope with disposable cannula
KR101930509B1 (ko) 원격진료를 위한 분리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KR20180015810A (ko) 원격진료를 위한 일체형 약물주입기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KR101417361B1 (ko) 캡슐 내시경 시스템
KR101789677B1 (ko) 원격진료를 위한 관찰경과 이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시스템
KR101666482B1 (ko) 휴대형 영상 촬영 장치 및 시스템
CN102551643A (zh) 一种自组式医用蛇形内窥胶囊
US11684248B2 (en) Endoscopy/stereo colposcopy medical instrument
JP6444506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230329539A1 (en) Throat examin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