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067B1 - 단열패널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단열패널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067B1
KR101930067B1 KR1020180069340A KR20180069340A KR101930067B1 KR 101930067 B1 KR101930067 B1 KR 101930067B1 KR 1020180069340 A KR1020180069340 A KR 1020180069340A KR 20180069340 A KR20180069340 A KR 20180069340A KR 101930067 B1 KR101930067 B1 KR 101930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frame
insulating panel
rotating fram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현
Original Assignee
김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현 filed Critical 김윤현
Priority to KR102018006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8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articles being tilted or inverted prior to depos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단열패널 적재장치는 단열패널을 투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리고 상하 반전시켜 이송하는 반전부와, 반전부로부터 이송되는 단열패널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서 이송하는 전달부와, 전달부로부터 이송되는 단열패널을 지면과 평행하게 적층시키는 적재부를 포함하며, 전달부 및 적재부가 슬라이드 레일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반전부, 전달부 및 적재부 간의 이격 거리가 가변된다.

Description

단열패널 적재장치{APPARATUS FOR LOADING 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단열패널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절단된 단열패널의 이송 편의를 위해 적층하기 위한 단열패널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단열패널은 활용 분야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제작 또는 절단된 형태로 유통된다. 다수의 단열패널이 적층된 형태로 이송되어 장식 시트 또는 보호 시트 등의 부착과 같은 후처리가 진행된다.
제작된 단열패널이 이송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높이만큼 적재된 후 지게차 등에 의해 트럭에 옮겨진다. 지게차로 옮길 수 있는 양을 고려하면 한 번에 상당한 수량의 단열패널이 적층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컨베이어 등을 통해 이송되기에는 과도한 높이로 적층된 단열패널이 한 번에 적재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 회에 걸쳐 단열패널을 이송하여 적재 분량을 쌓은 후 적재해야 한다.
이때, 단열패널을 적재하기 위한 다양한 적재장치가 설계되었으나, 고정된 구조로 이송이 수행되는 점에서 단일 단열패널의 두께, 또는 일 회 이송 수량 등의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열패널 두께 또는 수량에 따라 가변적인 구조를 통해 이송 효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는 적재장치가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5237호
본 발명은 단열패널 적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패널의 이송을 위한 회동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연장프레임이 부가됨으로써 이송되는 단열패널의 두께 또는 일 회 이송 분량에 변화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변화되는 구조를 가지는 단열패널 적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적재장치는 단열패널을 투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리고 상하 반전시켜 이송하는 반전부; 상기 반전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단열패널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서 이송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단열패널을 지면과 평행하게 적층시키는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 및 상기 적재부가 슬라이드 레일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반전부, 상기 전달부 및 상기 적재부 간의 이격 거리가 가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전부는 투입되는 단열패널을 제1 회동프레임 상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키는 진입컨베이어와, 상기 진입컨베이어 상에 투입된 단열패널이 회전되도록 상기 진입컨베이어가 지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너와, 상기 진입컨베이어 상에 진입된 단열패널이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제1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프레임과, 상기 제1 회동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납 시 상기 제1 회동프레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인출 시 상기 제1 회동프레임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회동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연장 및 축소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회동프레임이 인출된 상태에서 제1 회동프레임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단열패널이 지면에 수직하게 회동되어 안착되는 제3 회동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회동프레임에 의해 반전된 상기 단열패널을 전달 받아 상기 단열패널의 투입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로 상기 단열패널을 지면에 수직하게 회동시켜 이송하는 제4 회동프레임과, 상기 제4 회동프레임에 의해 회동된 상기 단열패널은 상기 적재부의 수납 공간으로 밀어내는 적재 푸셔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달부로부터 이송되고 상기 적재 푸셔에 의해 밀려나오는 상기 단열패널을 순차적으로 수납하여 지면과 평행하게 회동하여 적층시키는 제5 회동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프레임 및 상기 제3 회동프레임 사이에 상기 단열패널이 수납되는 공간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1회 이송 분량에 해당하는 단열패널의 폭에 맞게 구조가 변형됨으로써 이송의 안정성 및 효율을 보장하고 현장 여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패널 적재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패널 적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열패널 적재장치(100)는 반전부(110)와, 전달부(120)와, 적재부(130)를 포함한다.
반전부(110), 전달부(120) 및 적재부(130)는 각각 슬라이드 레일(101) 상에 연결된다. 전달부(120) 및 적재부(130)는 슬라이드 레일(10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조 및 절단된 단열패널(10)은 반전부(110)로 투입된다. 반전부(110)는 진입컨베이어(111)와, 터너(112)와, 제1 회동프레임(113)과, 제2 회동프레임(114)과, 제3 회동프레임(115)을 구비한다. 터너(122) 및 제1 회동프레임(113)은 슬라이드 레일(10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프레임(102)에 연결된다. 제1 회동프레임(113)은 제1 지지프레임(10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회동프레임(115)은 제2 연장프레임(10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연장프레임(104)은 제1 지지프레임(102)에 연장 및 축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장프레임(103)에 고정되며, 제1 지지프레임(102)에 고정되는 제3 연장프레임(105)에 연장 및 축소 가능하게 연결된다.
진입컨베이어(111)는 투입되는 단열패널(10)을 제1 회동프레임(113) 상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킨다. 진입컨베이어(111)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진입컨베이어(111)의 진행 방향에 따른 길이 및 폭이 단열패널(10)의 짧은 변의 길이보다 약간 작게 구성되는 것이 진입컨베이어(111)의 회전 시 제1 회동프레임(113)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진입컨베이어(111)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터너(112)에 연결된다. 즉, 터너(112)는 상측에 연결되는 진입컨베이어(111)를 지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진입컨베이어(111) 상에 투입된 단열패널(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변과 투입 방향이 일치하도록 투입된 단열패널(10)은 진입컨베이어(111)의 회전에 의해 도 2와 같이 짧은 변이 투입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터너(112)에 의해 진입컨베이어(111)가 회전함에 따라 단열패널(10)은 제1 회동프레임(113) 상에 위치한다. 이때, 단열패널(10)의 전단이 제2 회동프레임(114)의 회동축보다 후단에 배치된다.
제1 회동프레임(113)은 제1 지지프레임(10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회동프레임(113)은 제1 푸셔(116)에 의해 인력 또는 척력을 전달받는다. 제1 푸셔(116)는 고정단이 제1 지지프레임(102)에 연결되고 작용단이 제1 회동프레임(113)에 연결된다.
제2 회동프레임(114)은 제2 푸셔(117)에 의해 인력 또는 척력을 전달받는다. 제2 푸셔(117)는 고정단이 제1 회동프레임(113)에 연결되고 작용단이 제2 회동프레임(114)에 연결된다. 제2 회동프레임(114)은 제1 회동프레임(1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회동프레임(114)은 제1 회동프레임(113)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어 제1 회동프레임(114)에 의해 회동되는 단열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회동프레임(114)은 수납 시 제1 회동프레임(113)과 중첩되며 인출 시 제1 회동프레임(113)과 수직하고 단열패널(10)의 측면과 인접하게 된다.
제3 회동프레임(115)에는 ㄴ자 형상의 수납부가 형성된다. 제3 회동프레임(115)은 제3 푸셔(118)에 의해 인력 또는 척력을 전달받는다. 제3 푸셔(118)는 고정단이 제1 연장프레임(103)에 연결되고 작용단이 제3 회동프레임(115)에 연결된다. 제2 회동프레임(114)이 인출되는 동안 제3 회동프레임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프레임(113)을 향하여 회동된다.
제2 회동프레임(114)이 인출된 상태에서 제1 회동프레임(113)이 회동함에 따라 단열패널(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하게 회동되어 제3 회동프레임 연장부(115a, 115b) 상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반전부(110)에 투입된 단열패널(10)의 수량이 많을 경우 제3 회동프레임 연장부(115a, 115b)와, 제1 연장프레임(103)과, 제2 연장프레임(104) 및 제3 연장프레임(105)이 각각 연장되어 제1 회동프레임(113) 및 제3 회동프레임(115) 사이의 수납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회동프레임 연장부(115a, 115b), 제1 연장프레임(103), 제2 연장프레임(104) 및 제3 연장프레임(105)이 연장 또는 축소됨으로써 단열패널(10)의 투입 수량의 변화에 따라 가변적으로 단열패널(10)의 반전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회동프레임(115)이 전달부(120)를 향하여 회동함에 따라 단열패널(10)이 투입 시와 비교하여 상하 반전된 상태로 전달부(120)에 이송된다.
전달부(120)는 제4 회동프레임(121)과, 적재 푸셔(122)를 구비하며, 반전부(110)로부터 이송되는 단열패널(10)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 적재부(130)로 이송한다.
제4 회동프레임(121)은 슬라이드 레일(10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지지프레임(1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4 회동프레임(121)은 제4 푸셔(123)에 의해 인력 또는 척력을 전달받는다. 제4 푸셔(123)는 고정단이 제2 지지프레임(106)에 연결되고 작용단이 제4 회동프레임(121)에 연결된다.
제4 회동프레임(121)은 ㄴ자 형상의 수납부가 형성되어 제3 회동프레임(115)에 의해 반전된 단열패널(10)을 전달 받아 단열패널(10)의 투입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로 단열패널(10)을 지면에 수직하게 회동시킨다. 요구되는 적재 높이에 따라 제3 회동프레임(115)은 별도의 연장 수단에 의해 회동반경이 조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회동프레임(121)에 의해 회동된 단열패널(10)은 적재 푸셔(122)에 의해 적재부(130)의 수납 공간으로 밀려나게 된다. 적재 푸셔(122)로부터 인출되는 푸싱 플레이트(122a)에 의해 미리 이송된 단열패널(10)과 인접하도록 적재된다.
적재부(130)는 제5 회동프레임(131)을 구비하여 전달부(120)로부터 이송되는 단열패널(10)을 지면과 평행하게 회동하여 적층시킨다. 제5 회동프레임(131)은 제3 지지프레임(10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5 회동프레임(131)은 제5 푸셔(132)에 의해 인력 또는 척력을 전달받는다. 제5 푸셔(132)는 고정단이 제3 지지프레임(107)에 연결되고 작용단이 제5 회동프레임(131)에 연결된다.
적재부(130)의 수납 공간은 다수의 단열패널(10)이 적재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반전부(110) 및 전달부(120)에 의해 복수 회에 걸쳐 이송될 수 있는 단열패널(10)이 한 번에 적재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5 회동프레임(131)은 ㄴ자 형상의 수납부가 형성되어 푸셔(122)에 의해 밀려나오는 단열패널(10)을 순차적으로 수납하며, 수납된 단열패널(10)을 지면과 평행하게 적층되도록 회동시킨다.
제1 내지 제5 회동프레임(113, 114, 115, 121, 131)은 기계적 물성 및 비틀림 현상을 개선시키고, 신체의 신진 대사를 촉진시키는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110 ~ 130 중량부, 탈크(Talc) 170 ~ 190 중량부,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15 ~ 25 중량부, 아교 2 ~ 7 중량부, 코르크 분말 5 ~ 10 중량부, 자당(C12H22O11) 분말 1 ~ 4 중량부, 배반 2 ~ 5 중량부 및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 3 ~ 8 중량부를 포함하며 1.02 ~ 1.10의 비중을 갖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되며, 상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 시트가 후술하는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상부에 부착된다.
상기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탈크 및 게르마늄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에 의할 경우, 내열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신진 대사 촉진 및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된 식품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제품)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는, 성능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내용물과의 접촉에도 위해성이 없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이고,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이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호모)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호모 중합체와 랜덤 공중합체를 3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는,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높은 유동성과 강성, 내충격성, 전기절연성, 성형성, 내한성이 뛰어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전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합하여 플라스틱 시트 또는 제품 제조 시 인장력을 강화하여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공지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탈크는, 플라스틱 조성물의 강도,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150 ~ 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크는, 다른 충전재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돌로마이트 분말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
게르마늄은, 은백색의 준금속으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을 다량 방사하여 신진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게르마늄은, 반도체적 성질로 인해 피부에 접촉하면 게르마늄 이온(외곽전자)이 체내에 들어가 생명력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체내에 들어가면 각종 유해물질과 함께 20 ~ 30시간 안에 몸 밖으로 배출되므로 중독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다.
특히, 무기게르마늄의 입자가 사람의 피부와 접하게 되면 외곽전자의 침투압 활동으로 피부조직 속으로 반도체 성질이 들어간다. 피하조직 속의 모세혈관까지 침투한 게르마늄은 혈관벽을 통해서 혈관 속에 있는 전자를 이동시키며, 혈액정화작용을 하여 혈액을 정상화시키고, 과잉 전자 흐름을 방전시켜 통증을 면하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르마늄은,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게르마늄 원석을 3cm 이하로 잘게 절단한 후, 절단된 게르마늄 원석을 80 ~ 100 메쉬의 입도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10 ~ 130 중량부, 탈크 170 ~ 190 중량부 및 게르마늄 분말 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5 회동프레임(113, 114, 115, 121, 131)를 제조할 경우, 뒤틀림 현상 등을 배제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비중은 1.02 ~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 ~ 1.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즉,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10 중량부 미만이거나, 탈크가 170 중량부 미만이면,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강화 시키기 제한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30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탈크가 19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이 늘어나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게르마늄 분말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게르마늄으로 인한 원적외선 방출 효과 등이 발현되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되어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은, 유리계 광물질을 주원료로 하고, 유리계 광물질에 방향족 나일론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결합한 물질이다.
유리계 광물질은, 규사, 석회석, 장석 및 소다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경화성 수지는, 공지의 다양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유리계 광물질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용융로에 넣어 제조할 수 있고, 유리섬유 사이에 밀봉된 각각의 공기층이 단열층으로 작용하여 불연성, 흡음성,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녹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불연성이 우수하여 열에 변형되지 않고, 가공하기 용이하다.
이때,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펠렛 형태)과 PVC 등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교는, 동물의 가죽, 창자, 뼈 등을 고아 그 액체를 고형화한 물질로서, 각 성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아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15 ~ 25 중량부 및 2 ~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해당 범위보다 적을 경우, 내충격성 강화 및 배합성이 떨어질 수 있고, 해당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제품 생산 시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5 회동프레임(113, 114, 115, 121, 131)를 제작 시 탄성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르크 분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코르크 분말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탄성도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 제조 시 내부에 형성된 공극이 커져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코르크 분말과 타 성분과의 혼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당(C12H22O11)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당은, 코르크 분말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매끄럽게 할 뿐만 아니라, PVC 등과의 혼합 과정에서 점성이 생겨 이취 문제를 발생시키는 분자를 잡을 수도 있어 이취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자당은, 500 메쉬(mesh) 망으로 거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당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자당에 의해 발현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계적 물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백반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반은 칼륨 백반(황산알루미늄칼륨, AlK(SO4)2ㅇ12H2O)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의 명반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반석을 물에 풀어서 거른 다음 끊이고, 식힌 후 불규칙한 모양의 결정이 생기면, 이를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백반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 ~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백반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백반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α-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 ~ 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헤마이트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8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조성물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 180kg,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200kg, 탈크 310kg, 게르마늄 분말 15kg을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36kg, 아교 9kg을 더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2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코르크 분말 9kg, 자당 분말 5kg, 백반 분말 5kg, γ-보헤마이트 9kg을 더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1]
탈크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실험예 1 : 내충격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20cm * 30cm, 두께 20mm)을 제조하였고, 3kg의 추를 2m 높이에서 떨어뜨린 후, 각 시편의 파손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59013315-pat00001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탈크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탈크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내충격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실시예 2 및 3의 경우,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2 : 내열성 평가]
실험예 1의 시편을 8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3시간 가열한 후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59013315-pat00002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비교예 1과 달리 황변되는 부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내열성이 비교예 1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항균성 평가]
실시예 1,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곰팡이)를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59013315-pat00003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표 3를 통해 알 수 있듯이, γ-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 다른 케이스보다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보호 시트는 회동프레임과 동일한 플라스틱 조성물로 제조되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콜(PVA) 1 ~ 30 중량부, 물 10 ~ 30 중량부, 탄산칼슘 5 ~ 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1 ~ 20 중량부, 소듐 실리케이트 3 ~ 7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MoS2) 1 ~ 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 ~ 10 중량부 및 용매인 물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및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회동프레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의 상부에 부착된다.
보호 시트의 부착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서, 주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9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VA) 1~30 중량부, 물 10~30 중량부, 탄산칼슘 5~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1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1~20 중량부를 포함하고,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수용성 2액형 접착제 조성물로서, 이를 도포 및 경화하여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접착성, 내열성 등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합판과 같은 목질 보드나 마그네슘 보드와 같은 무기질 보드, PVC 등의 여러가지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에 사용될 수 있다.
주제는, 기본적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폴리비닐알콜(PVA), 물, 탄산칼슘, 계면활성제 및 요변성 부여제를 포함하는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주제의 주성분으로서, 응집력이 강하여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에폭시 수지를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는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경우 벤젠 톨루엔과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방출하여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를 배제함으로써 환경문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폴리비닐알콜(PVA)은,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열성과 내수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폴리비닐알콜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 ~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폴리비닐알콜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힘들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의 상대적인 함량이 줄어들어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응집력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돌 마루 등에 사용될 때, 폴리비닐알콜의 기능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알콜과 함께 산화안티몬 및 산화지르코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산화안티몬 및 산화지르코늄은,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5 ~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내열성 증진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물은 주제의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와 달리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0 ~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물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묽어져서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탄산칼슘은,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 시 수축 현상을 감소시킨다.
탄산칼슘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5 ~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탄산칼슘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화 시 충분한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경도가 불량해질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빡빡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산칼슘을 대체하여 경탄류, 클레이류의 여러가지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돌로마이트 및/또는 활석(Talc)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로마이트 및 활석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분말은 150 ~ 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150 ~ 200 메시의 입자크기를 갖도록 미분쇄된 분말을 사용하게 되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의 다른 성분과 혼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혼합시 표면장력을 줄이고,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0.1 ~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공지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표면장력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탄소 원자 8 ~ 14개의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제미니형 음인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성 부여제는,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되어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가 될 때, 주제와 경화제의 분리 현상을 억제하여 접착제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실리카류, 아크릴 코폴리머 등의 여러가지 공지의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클레이(clay)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레이는, 가느다란 함수 규산염 광물의 집합체로서, 적당량의 물을 섞어 반죽하면 가소성이 생기고, 건조시키면 강성을 나타내며,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소결하는 물질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해포석, 흄드 실리카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흄드 실리카와 벤토나이트가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성 부여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1 ~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요변성 부여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흐름성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흐름성이 너무 사라져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듐실리케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는, 기존의 접착제와는 달리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접착력이 우수하다.
소듐 실리케이트는,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3 ~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소듐 실리케에트가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성능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황화 몰리브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화강암 속에 함유 되어 얇은 광맥으로 발견되어 채굴하는 재료로서, 윤활성분으로 사용된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그래파이트(graphite)와 같이 전단이 발생하기 쉬운 형태의 육각형의 결정 구조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나, 윤활 작용은 그래파이트보다 우수하다.
이황화 몰리브덴은,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1 ~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황화 몰리브덴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접착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과 함께 구리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난연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난연제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난연제는, 백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백반은 칼륨 백반(황산알루미늄칼륨, AlK(SO4)2ㅇ12H2O)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의 명반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반석을 물에 풀어서 거른 다음 끊이고, 식힌 후 불규칙한 모양의 결정이 생기면, 이를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α-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30 ~ 90 중량부에 대해서, 5 ~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물에 대한 우수한 용해성으로 경화제가 주제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적당한 점도와 경도를 유지함으로써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주제와 경화제 혼합시 가사시간(pot life)을 연장시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인 것이 좋으며, 특히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또는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제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작업 현장에 도포 및 경화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구성 성분의 일부를 제외하거나 상기 구성 성분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색소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4]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8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20 중량부, 물 25 중량부, 탄산칼슘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5 중량부로 혼합하여 주제를 제조하고,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를 포함하는 경화제 25 중량부를 혼합한 후, 도포 및 경화하여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4로 하였다.
이때,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개의 제미니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의 전체적인 합성과정은 다이아민과 1-브로모알케인의 반응에서 시작하였다. N,N,N',N'-테트라메틸-1,3-다이아미노프로페인(N,N,N',N'-tetramethyl-1,3-diaminopropane) 0.1 mole과 1-브로모옥테인(1-bromooctane) 0.2 mole을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300g에 넣고 30분간 교반시켜 주었고, 이 용액을 12 시간 동안 353K에서 환류시킨 뒤,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해 아세토나이트릴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생성물에 500g의 다이에틸 에테르(Diethylether)를 추가하여 생성물을 재결정화 시켰다. 이를 거른 후 다이에틸 에테르 500g으로 씻어주며 반응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과정을 거친 생성물을 323K의 진공 오븐에서 12 시간 동안 처리하여 잔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제미니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주제에 산화아티몬 5 중량부 및 산화지르코늄 5 중량부를 분말 형태로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5로 하였다.
[실시예 6]
주제에 소듐실리케이트 5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 3 중량부, 백반 3 중량부, γ-보헤마이트 8 중량부를 분말 형태로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6으로 하였다.
[비교예 2]
종래의 에폭시 온돌마루 접착제(SEP-4300, 삼창기연㈜)를 비교예 2로 하였다.
[실험예 4 : 접착력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접착력 테스트(KS F 4715)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8059013315-pat00004
LH 공사의 접착강도는 0.8 N/㎟ 이상이 합격 기준으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2는 모두 합격 기준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접착강도가 비교예 2에 비해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 내열성 평가]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2의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8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8시간 가열한 후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59013315-pat00005
상기 표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은 비교예 2와 달리 황변되는 부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내열성이 비교예 2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항균성 평가]
실시예 6 및 비교예 2의 접착제 조성물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곰팡이)를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8059013315-pat00006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 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표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γ-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6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슬라이드 레일 102: 제1 지지프레임
103: 제1 연장프레임 104: 제2 연장프레임
105: 제3 연장프레임 106: 제2 지지프레임
107: 제3 지지프레임 110: 반전부
111: 진입컨베이어 112: 터너
113: 제1 회동프레임 114: 제2 회동프레임
115: 제3 회동프레임 115a, 115b: 제3 회동프레임 연장부
116: 제1 푸셔 117: 제2 푸셔
118: 제3 푸셔 120: 전달부
121: 제4 회동프레임 122: 적재 푸셔
123: 제4 푸셔 130: 적재부
131: 제5 회동프레임 132: 제5 푸셔
100: 단열패널 적재장치 10: 단열패널

Claims (2)

  1. 단열패널(10)을 투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리고 상하 반전시켜 이송하는 반전부(110);
    상기 반전부(11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단열패널(10)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서 이송하는 전달부(120); 및
    상기 전달부(12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단열패널(10)을 지면과 평행하게 적층시키는 적재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반전부(110), 상기 전달부(120) 및 상기 적재부(130)가 슬라이드 레일(101)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반전부(110), 상기 전달부(120) 및 상기 적재부(130) 간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반전부(110)는 투입되는 단열패널(10)을 제1 회동프레임(113) 상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키는 진입컨베이어(111)와, 상기 진입컨베이어(111) 상에 투입된 단열패널(10)이 회전되도록 상기 진입컨베이어(111)가 지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너(112)와, 상기 진입컨베이어(111) 상에 진입된 단열패널(10)이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101)에 연결되는 제1 지지프레임(10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프레임(113)과, 상기 제1 회동프레임(1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납 시 상기 제1 회동프레임(113)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인출 시 상기 제1 회동프레임(113)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회동프레임(114)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102)에 연장 및 축소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프레임(10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회동프레임(114)이 인출된 상태에서 제1 회동프레임(113)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단열패널(10)이 지면에 수직하게 회동되어 안착되는 제3 회동프레임(115)을 구비하고,
    상기 전달부(120)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10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지지프레임(10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회동프레임(115)에 의해 반전된 상기 단열패널(10)을 전달 받아 상기 단열패널(10)의 투입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로 상기 단열패널(10)을 지면에 수직하게 회동시켜 이송하는 제4 회동프레임(121)과, 상기 제4 회동프레임(121)에 의해 회동된 상기 단열패널(10)은 상기 적재부(130)의 수납 공간으로 밀어내는 적재 푸셔(122)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부(130)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10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지지프레임(10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달부(120)로부터 이송되고 상기 적재 푸셔(122)에 의해 밀려나오는 상기 단열패널(10)을 순차적으로 수납하여 지면과 평행하게 회동하여 적층시키는 제5 회동프레임(13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프레임(113) 및 상기 제3 회동프레임(115) 사이에 상기 단열패널(10)이 수납되는 공간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적재장치(100).
  2. 삭제
KR1020180069340A 2018-06-16 2018-06-16 단열패널 적재장치 KR101930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40A KR101930067B1 (ko) 2018-06-16 2018-06-16 단열패널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40A KR101930067B1 (ko) 2018-06-16 2018-06-16 단열패널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067B1 true KR101930067B1 (ko) 2018-12-17

Family

ID=6500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340A KR101930067B1 (ko) 2018-06-16 2018-06-16 단열패널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2570A (zh) * 2023-06-21 2023-09-29 法图尔智能装备江苏有限公司 一种保温挤塑板材生产输送码垛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1937A (ja) 2010-10-26 2012-05-17 Heiderberger Druckmaschinen Ag シート状材料から成るスタックを反転する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1937A (ja) 2010-10-26 2012-05-17 Heiderberger Druckmaschinen Ag シート状材料から成るスタックを反転する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2570A (zh) * 2023-06-21 2023-09-29 法图尔智能装备江苏有限公司 一种保温挤塑板材生产输送码垛设备
CN116812570B (zh) * 2023-06-21 2023-12-08 法图尔智能装备江苏有限公司 一种保温挤塑板材生产输送码垛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191B1 (ko) 천공 장치
KR101962762B1 (ko) 자재 이송 장치
KR101909876B1 (ko) 원료배합장치
KR102115881B1 (ko) 생분해성 라미네이팅이 다층 코팅된 커피 및 음료용 생분해성 종이컵
KR101901456B1 (ko) 압출물 자동 이송 절단 장치
KR101909878B1 (ko) 접착제조성물
KR101930067B1 (ko) 단열패널 적재장치
KR101925554B1 (ko) 병원 공조 설비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912909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1924842B1 (ko) 프레임 절단 장치
KR101918765B1 (ko) 원단 이송 장치
KR101932101B1 (ko) 콘 크러셔
KR101917079B1 (ko) 접착식 자동 먼지 제거 장치
KR101909872B1 (ko) 높이조절장치
KR101947343B1 (ko) 비닐 폴딩 장치
KR101928378B1 (ko) 자동테이핑장치
KR101921746B1 (ko) 원단 정단 장치
KR101927243B1 (ko) 면 가공 장치
ES2741539T3 (es) Materiales termoplásticos de refuerzo
KR101929878B1 (ko) 해머 크러셔
KR101931513B1 (ko) 죠 크러셔
KR101919022B1 (ko) 가래떡 가공 장치
KR101929052B1 (ko) 콘 크러셔
CN107778625A (zh) 透气膜的制备方法
CN111002665A (zh) 一种生物降解塑料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