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707B1 - 코 마스크 - Google Patents

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707B1
KR101926707B1 KR1020180069628A KR20180069628A KR101926707B1 KR 101926707 B1 KR101926707 B1 KR 101926707B1 KR 1020180069628 A KR1020180069628 A KR 1020180069628A KR 20180069628 A KR20180069628 A KR 20180069628A KR 101926707 B1 KR101926707 B1 KR 10192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ing
rings
telescopic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영
송승현
Original Assignee
송호영
송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호영, 송승현 filed Critical 송호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07B1/ko
Priority to PCT/KR2019/0061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357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코 마스크가 개시된다. 개시된 코 마스크는 필터망, 상기 필터망의 외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된 외부필터 및 상기 필터망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내부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서로 이격되게 부분적으로 결합되고 공통 중심을 갖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변하는 복수개의 링으로 구성된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재는 수축시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절부를 갖는 신축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 마스크{Nose mask}
코 마스크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축시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을 갖는 신축링을 포함하는 코 마스크가 개시된다.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마스크는 통상 입과 코를 모두 덮는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안면 마스크는 착용시 미적으로 보기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고, 안면 마스크 자체가 오염되기 쉬우며, 마스크와 안면의 틈새로 미세먼지와 유해 화학물질이 여과 없이 호흡기로 유입되며,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화를 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코(비강) 마스크가 이러한 안면 마스크의 단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 마스크의 일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221호에는 코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를 여과시키기 위한 코 필터에 있어서, 상기 코 필터는 중앙에 관통공을 이룬 몸체와, 상기 몸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중앙에 공간부를 이룬 미세한 철망형태의 필터수용체와, 상기 필터수용체를 둘러싼 융모천과, 상기 필터수용체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솔형태의
필터봉과, 상기 필터수용체의 양쪽입구를 덮는 망형태로 된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코 필터는 솔봉형태의 필터를 채용하여 통기성을 높임으로써 방진 효과가 높으면서도 호흡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필터봉과 필터수용체의 소재로 은을 사용할 경우 은의 살균력으로 인해 항균 효과가 있으며, 몸체의 소재로 토루마린을 사용할 경우 토루마린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의 건강증진기능으로 인해 코의 건강상태를 개선하는 효과 뿐아니라 코에 시원한 느낌을 주어 코 내부의 이물질 삽입감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염 또는 알레르기 환자들의 코 점막을 보호하여 찬공기나 꽃가루 등의 자극에서 오는 고통을 없애준다.
또한 삽입형이라 외관상 거북함도 없고, 분리형이라 필요한 경우 한쪽 코에만 사용할 수도 있는 있다
이와 같이 코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 전체를 덮지 않고, 착용자의 콧구멍에 직접 마스크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입부분은 열려 있으므로 착용자가 말을 하기에 불편함이 없으며, 미적으로 보기에도 안면 마스크에 비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코 마스크의 경우, 사람마다 콧구멍의 내경의 크기가 다르고 형태도 다르기 때문에, 개개인의 콧구멍의 크기에 맞는 코 마스크를 사용해야 한다.
즉, 콧구멍의 크기에 비해 작은 코 마스크를 사용하면, 콧구멍의 내벽과 코 마스크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 콧구멍의 크기에 비해 큰 코 마스크를 사용하면, 이물감이 커서 착용자가 착용하기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코 마스크의 기능을 달성하면서 착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착용자의 체형에 맞는 코 마스크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코 마스크는 크기가 하나로 정해져 있고, 특히 코 마스크의 외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착용자들의 다양한 콧구멍의 크기에 맞추지 못하여 착용감과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코 마스크는 코 마스크를 착용자의 콧구멍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킬 수 없어 틈새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문제로 야기되고 있는 초미세먼지와 유해화학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221호(등록일자: 2003.12.30)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수축시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을 갖는 신축링을 포함하는 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필터망;
상기 필터망의 외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된 외부필터; 및
상기 필터망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내부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서로 이격되게 부분적으로 결합되고 공통 중심을 갖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변하는 복수개의 링으로 구성된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재는 수축시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절부를 갖는 신축링을 포함하는 코 마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링부재는 상기 신축링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결합각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신축링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결합각은 이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링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결합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신축링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신축링은 이들 링의 공통 중심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서 관찰할 때 각 단절부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링은 3개이고, 상기 3개의 신축링은 이들 링의 공통 중심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서 관찰할 때 각 단절부의 위치가 서로 45°만큼 엇갈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링의 상기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은 반경이 서로 동일하되 수축시 양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링의 상기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은 반경이 서로 달라 수축시 양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엇갈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는 정전기를 띠는 부직포 필터 또는 헤파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외부필터는 다수의 미세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는 활성탄이 흡착된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망의 전방에 삽입되는 전방필터, 및 제올라이트가 흡착된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망의 후방에 삽입되는 후방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필터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가 혼합 흡착된 1개의 섬유 집합체 단일필터, 또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가 흡착된 1개의 섬유 집합체 단일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 마스크는 좌우 분리형으로서 2개가 한쌍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 마스크는 착용자의 콧구멍의 크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외부 폭경이 조절됨으로써 착용감이 양호하고, 콧구멍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콧구멍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갖는 필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초미세 먼지와 유해 화학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 마스크의 일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코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코 마스크의 내부에 배치된 필터망과 내부필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도면에서 필터망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코 마스크에 구비되는 필터망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코 마스크에 구비되는 필터망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필터망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A - 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B - B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C - C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코 마스크에 구비되는 내부필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 마스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 및 "후방"이란 코 마스크의 부분 중 코 마스크가 콧 속에 삽입될 경우 콧구멍의 입구쪽(전방)에 위치하는 부분과 콧구멍의 안쪽(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자유단(free end)"란 아무런 지지 또는 구속을 받지 않는 부재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절부(disconnection portion)"란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 사이의 연결이 끊긴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신축링(stretchable ring)"이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고정링(fixed ring)"이란 신축성이 없어서 직경이 변하지 않는 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좌우 분리형 코 마스크"란 좌측 콧구멍에 삽입되는 코 마스크와 우측 콧구멍에 삽입되는 코 마스크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 마스크(10)는 필터망(100), 외부필터(200) 및 내부필터(300)를 포함한다.
코 마스크(10)는 착용자의 양쪽 콧구멍에 1개씩 총 2개가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이물질 또는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코 마스크(10)는 좌측 콧구멍에도 삽입될 수 있고, 우측 콧구멍에도 삽입될 수 있다. 즉, 코 마스크(10)는 좌우 분리형으로서 2개가 한쌍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종래의 모든 코 마스크는 좌측 콧구멍에 삽입되는 좌측 코 마스크와 우측 콧구멍에 삽입되는 우측 코 마스크가 양쪽 콧구멍의 안쪽을 각기 물어 서로 지탱할 수 있게 해주거나 이들을 단순히 연결해주는 연결부재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종래의 모든 코 마스크가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유는 신축성 및 밀착성이 없거나 부족하여 연결부재 없이 각 콧구멍에 하나씩 삽입할 경우에는 콧구멍 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떨어져 나오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모든 코 마스크는 착용감이 불편하거나 착용자에게 고통을 주게 되며, 좌우측 코 마스크의 안쪽 부분은 양쪽 콧구멍과 각각 밀착되지만 바깥쪽 부분은 콧구멍과 밀착되지 못하고 틈을 형성하게 되어 미세먼지나 유해가스와 같은 불순물의 차단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필터망(100)은 콧구멍의 내벽에 외부필터(200)를 탄력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망(100)은 연결부재(110) 및 링부재(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망(100)을 구성하는 연결부재(110)와 링부재(12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10)는 1개 또는 최대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110)가 2개를 초과(즉, 3개 이상)하여 사용될 경우에는 신축링(122, 123, 124)의 신축성을 감소시켜 콧구멍과의 밀착성을 떨어뜨리거나 콧구멍 내로의 삽입을 방해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부재(110)가 2개가 사용될 경우에는 서로 근접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링부재(1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링(121, 122, 123, 124)은 이러한 2개의 연결부재(110) 모두에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링부재(120)는 연결부재(100)에 서로 이격되게 부분적으로 결합되고 공통 중심을 갖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변하는 복수개의 링(121, 122, 123, 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링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거나, 순차적으로 직경이 커지거나, 직경이 순차적으로 작아졌다가 다시 커지거나, 직경이 순차적으로 커졌다가 다시 작아지거나, 다른 다양한 직경 크기 분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링부재(120)는 수축시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절부(122a, 123a, 124a)를 갖는 신축링(122, 123, 1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축링은 오직 1개일 수도 있고, 복수개일 수도 있다.
신축링(122, 123, 124)은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을 가짐으로써 신축성이 크게 향상되어 크기가 다른 다양한 콧구멍에 삽입되더라도 당해 콧구멍의 크기에 맞게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항상 당해 콧구멍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만일 신축링(122, 123, 124)을 완전한 형태의 링으로 교체할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코 마스크가 신축성을 상실하여 특정 크기의 콧구멍에만 밀착될 뿐 상기 교체된 링보다 크기가 큰 콧구멍에는 밀착되지 않아 콧구멍의 내벽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거나 코 마스크 자체가 콧구멍으로부터 빠질 수 있으며, 상기 교체된 링보다 크기가 작은 콧구멍에는 코 마스크가 아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만일 상기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 사이에 다른 부재를 삽입하여 이들을 신축 가능하게 연결할 경우에는 신축링(122, 123, 124)의 신축성을 감소시켜, 상술한 신축링(122, 123, 124)을 완전한 형태의 링으로 교체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과, 정도가 약하기는 하지만,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외부필터(200)는 필터망(100)의 외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내부필터(300)는 필터망(1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망(100)의 링부재(120)는 후방에 배치되는 고정링(121), 고정링(121)의 전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된 제1,2,3단절부(122a)(123a)(124a)를 구비하는 제1,2,3신축링(122)(123)(124)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110)는 고정링(121)과 제1,2,3신축링(122)(123)(124) 사이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부재(120)는 3개의 제1,2,3신축링(122)(123)(1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링부재(120)는 2개 또는 3개 이상의 신축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링부재(120)의 고정링(121)과 제1,2,3신축링(122)(123)(124)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변하는 필터망(100)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정링(121)은 단절부가 없는 원형을 유지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2,3신축링(122)(123)(124)은 코 마스크를 콧구멍에 삽입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서로 어긋나도록 제1,2,3단절부(122a)(123a)(124a)가 각각 구비된다.
연결부재(110)는 고정링(121)과 제1,2,3신축링(122)(123)(124) 사이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링(121)과 연결부재(110) 사이의 결합각(θ1)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신축링(124)과 연결부재(110) 사이의 결합각(θ2)은 이에 대응되는 고정링(121)과 연결부재(110) 사이의 결합각(θ1)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링(121)과 연결부재(110) 사이의 결합각(θ1)에 대응되는 신축링(124)과 연결부재(110) 사이의 결합각(θ2)은 예각일 수 있다. 즉, 제3신축링(124)은 하부보다 상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신축링(124)은 하부보다 상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10°~20°정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각(θ2)이 10°~20°일 수 있다. 따라서, 코 마스크(10)가 콧구멍에 삽입될 경우 제3 신축링(124)은 콧구멍의 끝선과 나란하게 경사지게 배치되어 콧구멍 내에 완전히 삽입되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볼 때 코 마스크(10) 착용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신축링(124)은 콧구멍의 전방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부보다 상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코 마스크(10)의 앞 부분을 콧구멍의 앞 부분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또한 콧구멍에 삽입된 코 마스크(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신축링(122, 123, 124)은 이들 링의 공통 중심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서 관찰할 때 각 단절부(122a, 123a, 124a)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신축링(122, 123, 124)은 이들 링의 공통 중심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서 관찰할 때 각 단절부(122a, 123a, 124a)의 위치가 서로 45°만큼 엇갈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단절부(122a)는 제1신축링(1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단절부(123a)는 제2신축링(123)의 상부와 일측 중앙부 사이에 형성되며, 제3단절부(124a)는 제3신축링(124)의 일측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만일, 링부재(120)가 단절부(124a)를 갖는 신축링(124) 1개만을 구비할 경우에는 콧구멍이 큰 사람이 그러한 코 마스크(10)를 착용할 경우에는 단절부(124a)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콧구멍과 밀착되지 않고 들뜨게 되어 코 마스크(10)의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링부재(120)는 단절부를 갖는 신축링을 적어도 2개 구비하고, 각 단절부는 신축링들의 공통 중심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서 관찰할 때 서로 엇갈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신축링(122)의 상부에는 제1단절부(122a)가 형성되므로 도 8에서와 같이 제1단절부(122a)에서는 외부필터(200)가 완전한 원형이 아닌 찌그러진 원형을 유지하고, 제2신축링(123)의 상부와 일측 중앙부 사이에는 제2단절부(123a)가 형성되므로 도 9에서와 같이 제2단절부(123a)에서는 외부필터(200)가 완전한 원형이 아닌 찌그러진 원형을 유지하며, 제3신축링(124)의 일측 중앙부에는 제3단절부(124a)가 형성되므로 도 10에서와 같이 제3단절부(124a)에서는 외부필터(200)가 완전한 원형이 아닌 찌그러진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2,3단절부(122a)(123a)(124a)에서는 외부필터(200)가 찌그러진 원형을 각각 유지하므로 콧구멍과의 사이에서 틈이 각각 발생하지만, 제1,2,3단절부(122a)(123a)(124a)의 위치는 도 7에서와 같이 서로 어긋나도록 비껴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틈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된 제1,2,3단절부(122a)(123a)(124a)에 의해 보상되어 코 마스크(10)의 정면에서 보면 외부필터(200)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유지하므로 콧구멍과의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틈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1단절부(122a)에서 발생하는 틈은 제2,3신축링(123)(124)에서 보상하여 틈을 차단하고, 제2단절부(123a)에서 발생하는 틈은 제1,3신축링(122)(124)에서 보상하여 틈을 차단하며, 제3단절부(124a)에서 발생하는 틈은 제1,2신축링(122)(123)에서 보상하여 틈을 차단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외부필터(200)와 콧구멍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신축링(122, 123, 124)의 각각에 구비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은 반경이 서로 동일하되 수축시 양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3 신축링(124)에 구비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이 서로 소정의 각도(θ3)로 어긋나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 2신축링(122)(123)의 각각에 구비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도 제3 신축링(124)의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과 동일한 각도(θ3)로 어긋나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3신축링(122)(123)(124)의 양 끝은 제1,2,3신축링(122)(123)(124)이 오므라지면서 수축될 때 양 끝부분이 서로 부딪치지 않고 서로 비껴갈 수 있도록 10°~20° 정도 어긋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각도(θ3)가 10°~20°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신축링(122, 123, 124)의 각각에 구비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은 반경이 서로 달라 수축시 양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엇갈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각도(θ3)에 대응되는 각도는 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축링(122, 123, 124)의 각각에 구비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이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질 경우에는 수축시 반경이 작은 자유단이 반경이 큰 자유단 밑으로 들어가게 되어 양 끝부분이 서로 부딪치지 않고 서로 비껴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3신축링(122)(123)(124)의 양단부는 수축시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2,3신축링(122)(123)(124)이 오므라지면서 수축될 때 양 끝부분이 서로 부딪치면서 수축을 저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외부필터(200)는 필터망(100)의 외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외부필터(200)는 미세먼지와 유해물질 등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외부필터(200)는 정전기를 띠는 부직포 필터 또는 헤파 필터일 수 있다. 이때, 외부필터(200)는 정전기적 성질을 띤 다량의 보풀(털) 구조를 가진 부직포 필터나 헤파 필터일 수 있고, 또한 외부필터(200)는 울트라마이크로필터, 정전기유도필터, 다중필터 등 미세먼지 흡착 기능성을 지닌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외부필터(200)에는 다수의 미세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필터(200)에는 다수의 미세공(210)이 형성되기 때문에, 코 마스크를 콧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미세공(210)을 통해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다. 한편, 미세공(210)의 주위에는 많은 보풀이 존재하므로 공기는 통과하지만 먼지는 정전기를 띠는 보풀에 걸리면서 걸러지게 된다.
내부필터(300)는 필터망(100)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내부필터(300)는 유해 화학물질과 초미세 먼지를 2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내부필터(300)는 활성탄이 흡착된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져 필터망(100)의 전방에 내장되는 전방필터(310)와, 제올라이트가 흡착된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져 필터망(100)의 후방에 내장되는 후방필터(3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적 성질을 지니고 다공성인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는 공기 중 유해 화학물질, 미세먼지 및 초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필터(300)는 전방필터(310)와 후방필터(320)를 분리하여 2개의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내부필터(300)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가 흡착된 1개의 섬유 집합체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내부필터(300)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가 혼합 흡착된 1개의 섬유 집합체 단일필터, 또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가 흡착된 1개의 섬유 집합체 단일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 마스크의 외부필터(200)를 잡고 외부필터(200)를 누르면서 혹은 외부필터(200)를 누름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착용자의 콧구멍에 코 마스크(10)를 밀어 넣는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람의 콧구멍의 내경의 크기는 사람에 따라 다르고, 안쪽으로 진입할수록 내경의 크기는 감소하게 된다.
착용자가 외부필터(200)를 잡고 코 마스크(10)를 자신의 콧구멍 속의 적당한 위치까지 밀어 넣으면, 필터망(100)의 제1,2,3신축링(122)(123)(124)은 각각에 구비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의 작용에 의해 제1,2,3단절부(122a)(123a)(124a) 부근에서 탄력적으로 수축되면서 오므라지게 된다. 이때, 반대로 외부필터(200)를 잡아당겨 코 마스크(10)를 콧구멍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면, 필터망(100)의 제1,2,3신축링(122)(123)(124)은 각각에 구비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의 작용에 의해 제1,2,3단절부(122a)(123a)(124a) 부근에서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 마스크(10)를 착용자의 콧구멍에 밀어 넣으면 착용자의 콧구멍의 내경 크기에 맞추어 필터망(100)의 제1,2,3신축링(122)(123)(124)의 외경의 크기가 자연스럽게 변하기 때문에, 코 마스크(10)의 외부필터(200)는 필터망(100)의 제1,2,3신축링(122)(123)(124)에 의해 항상 콧구멍의 내벽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착용자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2개의 코 마스크(10)를 양측 콧구멍에 하나씩 밀어 넣는다.
2개의 코 마스크(10)를 양측 콧구멍에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호흡하게 되면,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유해물질 등은 외부필터(200)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되고, 또한 유해 화학물질과 초미세 먼지 등은 내부필터(300)의 전방필터(310)와 후방필터(320)에 의해 2차적으로 걸러지기 때문에, 착용자는 황사나 미세먼지가 있는 날씨에도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고, 미세먼지나 유해가스가 있는 작업장에서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 마스크(10)는 제1,2,3신축링(122)(123)(124)이 이들 각각에 구비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의 작용에 의해 제1,2,3단절부(122a)(123a)(124a) 부근에서 필터망(100)에 탄력적으로 신축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콧구멍의 크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코 마스크(10)의 외경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여 착용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 마스크(10)는 필터망(100)의 제1,2,3신축링(122)(123)(124)에 의해 외부필터(200)가 콧구멍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외부필터(200)와 콧구멍의 내벽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 마스크(10)는 필터망(100)의 내부에 활성탄이 흡착된 전방필터(310)와 제올라이트가 흡착된 후방필터(320), 혹은 활성탄과 제올라이트가 혼합 흡착된 1개의 섬유 집합체 단일필터 또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가 흡착된 1개의 섬유 집합체 단일필터로 이루어지는 내부필터(300)가 내장되기 때문에,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회문제로 야기되고 있는 초미세 먼지와 유해 화학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코 마스크 100: 필터망
110: 연결부재 120: 링부재
121: 고정링 122: 제1신축링
122a: 제1단절부 123: 제2신축링
123a: 제2단절부 124: 제3신축링
124a: 제3단절부 200: 외부필터
210: 미세공 300: 내부필터
310: 전방필터 320: 후방필터

Claims (12)

  1. 필터망;
    상기 필터망의 외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구성된 외부필터; 및
    상기 필터망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내부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서로 이격되게 부분적으로 결합되고 공통 중심을 갖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변하는 복수개의 링으로 구성된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재는 수축시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된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절부를 갖는 신축링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링은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신축링은 이들 링의 공통 중심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서 관찰할 때 각 단절부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구성된 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상기 신축링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결합각은 둔각을 이루는 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링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결합각은 이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링과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결합각 보다 작은 코 마스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링은 3개이고, 상기 3개의 신축링은 이들 링의 공통 중심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에서 관찰할 때 각 단절부의 위치가 서로 45°만큼 엇갈리도록 구성된 코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링의 상기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은 반경이 서로 동일하되 수축시 양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구성된 코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링의 상기 2개의 반고리형 자유단은 반경이 서로 달라 수축시 양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엇갈리도록 구성된 코 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는 정전기를 띠는 부직포 필터 또는 헤파 필터인 코 마스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는 다수의 미세공을 포함하는 코 마스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필터는 활성탄이 흡착된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망의 전방에 삽입되는 전방필터, 및 제올라이트가 흡착된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망의 후방에 삽입되는 후방필터를 포함하는 코 마스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필터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가 혼합 흡착된 1개의 섬유 집합체 단일필터, 또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가 흡착된 1개의 섬유 집합체 단일필터로 구성된 코 마스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 마스크는 좌우 분리형으로서 2개가 한쌍으로 사용되는 코 마스크.
KR1020180069628A 2018-06-05 2018-06-18 코 마스크 KR101926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124 WO2019235762A1 (ko) 2018-06-05 2019-05-22 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961 2018-06-05
KR20180064961 2018-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707B1 true KR101926707B1 (ko) 2018-12-07

Family

ID=6466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628A KR101926707B1 (ko) 2018-06-05 2018-06-18 코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6707B1 (ko)
WO (1) WO20192357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620A (ko) 2019-04-02 2020-10-13 정진호 코 마스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532B2 (ja) * 1995-09-29 2001-03-05 株式会社栗本鐵工所 固形物の空気輸送管路の摩耗部補修方法および補修用複合体
KR200289006Y1 (ko) 2002-05-29 2002-09-11 엄우용 방진용 코마개
JP2002345986A (ja) * 2001-05-18 2002-12-03 Takeshi Ri 鼻マスク
JP3877431B2 (ja) 1998-06-01 2007-02-07 花王株式会社 鼻フィルター
CN204485129U (zh) 2014-12-26 2015-07-2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鼻塞
CN106039610A (zh) 2016-08-03 2016-10-26 徐自升 一种高通气性鼻腔内置式呼吸过滤器
CN206587297U (zh) 2017-01-24 2017-10-27 遵义医学院附属医院 一种鼻腔内塞入的呼吸气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532U (ja) * 2007-11-30 2008-02-21 王文広 鼻腔ろ過器
KR100928385B1 (ko) * 2008-01-25 2009-11-23 송호영 비강 마스크
KR101290487B1 (ko) * 2011-08-05 2013-07-26 박종은 코용 공기여과기
KR20170061326A (ko) * 2015-11-26 2017-06-05 신진호 비강에 삽입되는 캡슐형 공기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532B2 (ja) * 1995-09-29 2001-03-05 株式会社栗本鐵工所 固形物の空気輸送管路の摩耗部補修方法および補修用複合体
JP3877431B2 (ja) 1998-06-01 2007-02-07 花王株式会社 鼻フィルター
JP2002345986A (ja) * 2001-05-18 2002-12-03 Takeshi Ri 鼻マスク
KR200289006Y1 (ko) 2002-05-29 2002-09-11 엄우용 방진용 코마개
CN204485129U (zh) 2014-12-26 2015-07-2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鼻塞
CN106039610A (zh) 2016-08-03 2016-10-26 徐自升 一种高通气性鼻腔内置式呼吸过滤器
CN206587297U (zh) 2017-01-24 2017-10-27 遵义医学院附属医院 一种鼻腔内塞入的呼吸气过滤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39532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620A (ko) 2019-04-02 2020-10-13 정진호 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5762A1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2126A1 (ko) 기능성 마스크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101455070B1 (ko)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KR100821342B1 (ko) 마스크
KR101856620B1 (ko)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20140038178A (ko)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KR20190121019A (ko) 휴대용 송기 마스크
WO2017155152A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CN113873909A (zh) 佩戴式空气净化***
KR101926707B1 (ko) 코 마스크
JP2011200421A (ja) マスク
KR101964732B1 (ko) 방진마스크
KR100928385B1 (ko) 비강 마스크
KR20070109460A (ko) 코 필터
KR20210133018A (ko) 마스크용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170000747U (ko) 코 마스크
CN208590552U (zh) 一种医用防哈气口罩
KR101290487B1 (ko) 코용 공기여과기
KR101914046B1 (ko) 비강용 삽입형 마스크
KR200234955Y1 (ko) 방진용 코마개
CN213884796U (zh) 一种医疗呼吸口罩
KR102474269B1 (ko) 기밀성 향상 구조를 갖는 차세대 마스크
KR102398355B1 (ko) 사용의 편리성 및 탁월한 여과기능을 겸비한 방진 및 방독마스크
CN204444341U (zh) 一种高密合性可更换滤片口罩
KR20190133086A (ko) 삽입형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