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152B1 -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152B1
KR101926152B1 KR1020170103977A KR20170103977A KR101926152B1 KR 101926152 B1 KR101926152 B1 KR 101926152B1 KR 1020170103977 A KR1020170103977 A KR 1020170103977A KR 20170103977 A KR20170103977 A KR 20170103977A KR 101926152 B1 KR101926152 B1 KR 10192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port
cable
pressing
main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희
Original Assignee
(주)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남 filed Critical (주)두남
Priority to KR102017010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된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용 USB케이블의 USB단자가 접속될 수 있도록 USB포트를 구비하고, USB포트에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와,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표시등이 구비된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USB단자가 접속되는 USB포트; 상기 USB포트의 전원출력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Concent equipped with USB port switching ON-OFF}
본 발명은 접속된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용 USB케이블의 USB단자가 접속될 수 있도록 USB포트를 구비하고, USB포트에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와,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표시등이 구비된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콘센트는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과 가전기기 등에 구비된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전원이 가전기기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벽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과, 전원 입력 케이블과 전원 출력 케이블이 연결되는 노출형과, 플러그를 구비하여 다른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멀티탭 등이 있다.
근래에는 전자정보통신 기술의 각종 휴대용 기기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고, 그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 대한 충전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충전수요의 급증에 따라 등록 실용신안 제20-0372981호 "USB허브 일체형 다기능 멀티탭", 공개특허 제10-2010-0042174호 "유에스비 포트를 구비한 탁상용 멀티탭" 등은 충전용 USB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도록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를 개시하였다.
그런데 충전을 위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종래기술은 USB포트의 전원출력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래서 USB포트에 USB케이블이 연결되어서 대기전력이 소비되는 문제와, USB포트와 연결되는 본체 내부의 충전회로에서 대기전력이 소비됨에도 이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콘센트에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콘센트 본체에 인입된 케이블을 접속단자에 접속시키는 케이블 접속유닛이 구비된다.
콘센트의 케이블 접속유닛은 케이블이 인입되는 콘센트 본체에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단자집과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도7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접속유닛에서 판스프링( S)의 모양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접속유닛의 판스프링(S)은 'S'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S'자 모양의 판스프링(S)은 단부 한 부위만이 케이블(1)을 가압하게 되어서, 판스프링(S)에 의한 케이블(1)의 결합력이 불안정하다. 그래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의도치 않게 케이블(1)이 분리이탈할 소지가 있다.
본 발명은 USB포트를 갖는 콘센트에 USB포트를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를 구비하여 USB포트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USB단자가 접속되는 USB포트;
상기 USB포트의 전원출력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LED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는 USB케이블을 접속시켜 전자기기와 배터리 등을 충전시킬 수 있고, USB포트를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를 구비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도1에서 케이블 접속유닛의 요부가 도시되도록 한 투영 평면도.
도 3 은도1에서 케이블 접속유닛의 요부가 도시되도록 한 투영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유닛의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 5 는 해체키와 해체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유닛에 케이블이 인입되는 과정과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 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접속유닛에서 판스프링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는 본체(2), 접속구(3), 통합 스위치(6), USB포트(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는 상부케이싱(2a)과 하부케이싱(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2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접속단자(9), 접지단자(8), 접속유닛(10, 20, 30) 등이 내장된다.
상기 접속구(3)는 상기 본체(2)의 상부케이싱(2a)에 구비되고, 삽입되어 접속된 플러그로 전원을 출력하여 플러그가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USB포트(40)는 상기 본체(2)의 상부케이싱(2a)에 구비되고, 충전용 USB케이블에 구비되는 USB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상기 USB포트(40)는 충전용 PCB(미도시)에 연결되어서, 접속된 USB케이블을 통해 부하기기(전자기기, 배터리 등)에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PCB는 본체(2)에 내장되고, 접속단자(9)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PCB에는 IC칩과 각종 전자소자가 실장되어서 접속단자(9)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충전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USB포트(40)에 USB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전이 행해지지 않더라도 대기전력이 소모된다. 그리고 USB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USB포트(40)에 연결된 PCB의 IC칩은 충전준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력을 소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충전을 하지 않음에도 소비되는 전력을 에너지 낭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에너지 낭비를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USB포트(40)에 전원스위치(41)와 LED표시등(43)을 구비하였다. 사용자는 전원스위치(41)를 조작하여 충전을 하지 않는 시기에는 USB포트(40)를 오프시켜 USB포트(40)에서 대기전력 등이 에너지 소비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LED표시등(43)은 상기 전원스위치(41)가 온 상태로 있어 상기 USB포트(40)에 전원이 인가되는 때에 점등되고, 전원스위치(41)가 오프 상태로 있어 USB포트(4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때에 소등되어서 상기 전원스위치(41)의 온오프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LED표시등(43)은 점등되는 빛의 색상을 달리하여 USB케이블의 연결여부, 부하기기의 만충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합스위치(6)는 상기 본체(2)의 상부케이싱(2a)에 구비되고, 본체에 구비되는 접속구(3), USB포트(40) 등에 전원이 케이블(1)의 전원이 일괄적으로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온오프된다. 참고로,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3) 각각에도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1)이 본체(2)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케이블 접속유닛을 구비한다.
도1 내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은 단자집(10), 판스프링(20), 해체키(30)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집(10)은 콘센트 본체(2)의 수용공간(4)에 내장되고, 상기 판스프링(20)을 감싸 수용하고, 콘센트 본체(2)에 구비되는 접속단자(9)에 연결되어서 케이블이 공급하는 전원을 접속단자(9)로 전달한다.
상가 단자집(10)은 접속단자(9)와 일체를 이루어 접속단자(9)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접속단자(9)와 분리되어 별개로 제작되고 전선으로 접속단자(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집(10)은 서로 마주보아 그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20)이 투입되어 개재되는 지지부(11)와 덮개부(13), 상기 지지부(11)와 덮개부(13)를 일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1)는 상기 판스프링(20)의 베이스부(21)를 지지하고, 상기 덮개부(13)는 상기 판스프링(20)의 제1가압부(23) 및 제2가압부(25)를 마주본다.
상기 연결부(15)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16)는 상기 본체(2)의 수용공간(4)가 연결되는 관통홈(4a)에 삽입관통되어 단자집(10)이 수용공간(4)에서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부(13)에는 상기 판스프링(20)의 제1가압부(23)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노출부(14)에는 상기 해체키(30)가 배치되고, 해체키(30)는 전후진하여 상기 제1가압부(23)를 가압하여 누르거나 가압을 해제한다.
상기 노출부(14)에는 상기 해체키(30)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도록 해체키(30)에 구비된 가이드레일(37)이 안치되는 가이드홈(17)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13)의 단부에는 수직하게 절곡되어서 상기 연결부(15)와 마주보는 막음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음부(18)는 상기 판스프링(20)이 단자집(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준다.
상기 지지부(11)의 후방측에는 밀림방지부(1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케이블(1)이 수용공간(4)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케이블(1)이 판스프링(20)을 미는 경우에 상기 밀림방지부(12)가 판스프링(20)을 후방에서 지지하여 판스프링(20)이 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20)은 상기 본체(2)의 수용공간(4)에 내장되며 상기 단자집(10)의 내측으로 투입되고, 상기 단자집(10)과의 사이로 투입된 케이블(1)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며 케이블(1)을 단자집(10)에 밀착시킨다.
상기 판스프링(20)은 베이스부(21)와, 제1가압부(23)와, 제2가압부(25)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1)는 상기 단자집(10)의 지지부(11) 위에 올려진다.
상기 제1가압부(23)는 상기 베이스부(21)의 일측 단부, 즉, 전방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단부가 상기 케이블(1)을 가압한다.
상기 제2가압부(25)는 상기 베이스부(21)의 타측 단부, 즉, 후방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2가압부(25)는 베이스부(21)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26)와, 상기 제1절곡부(26)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며 단부가 상기 제1가압부(23)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2절곡부(27)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26)와 제2절곡부(27)를 연결하는 연결부위, 즉 모서리(28)가 상기 케이블(1)을 가압한다.
이처럼, 상기 판스프링(20)은 제1가압부(23)의 단부와 제2가압부(25)의 모서리(28)가 상기 케이블(1)을 동시에 가압하여서 케이블(1)을 보다 강력하게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케이블(1)이 분리이탈할 위험이 적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20)은 전체적으로 삼각형 모양으로 구조가 매우 단순하다. 그래서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생산성이 높다.
상기 해체키(30)는 상기 본체(2)에 형성된 해체홀(5)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배치되고, 전진시 상기 판스프링(20)의 제1가압부(23)를 가압하여 눌러준다.
상기 콘센트 본체(2)에서 노출되는 상기 해체키(30)의 노출면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해체키(30)를 누르는 때에 공구가 해체키(3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누름홈(31)이 형성된다.
상기 해체키(3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단자집(10)에 형성된 가이드홈(17)에 배치되어서 해체키(30)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7)의 단부는 상기 본체(2)의 해체홀(5) 내벽에 형성되는 단턱(5a)에 걸려, 해체키(30)가 해체홀(5)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해체키(30)의 또 다른 일측면에는 임시 걸림홈(33)이 형성된다. 상기 임시 걸림홈(33)은 상기 본체(2)의 해체홀(5)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b)에 걸림결합된다. 상기 해체키(30)는 상기 본체(2)의 상부케이싱(2a)이 형성된 해체홀(5)에 투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4)이 형성된 본체(2)의 하부케이싱(2b)과 조립결합된다. 상기 상부케이싱(2a)과 하부케이싱(2b)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5b)와 걸림홈(33)이 임시로 결합되어서 상기 해체키(30)가 해체홀(5)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홈(33)과 걸림돌기(5b)는 상부케이싱(2a)과 하부케이싱(2b)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해체키(30)가 해체홀(5)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크기를 가져셔, 해체키(30)가 해체홀(5)에서 전후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1) 접속유닛으로 케이블(1)이 인입되어 접속되는 과정과 인출되어 접속이 해제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1)을 본체(2)의 인출입홀(4b)을 통해 수용공간(4)으로 인입시키면, 케이블(1)의 단부가 판스프링(20)과 단자집(10) 사이로 투입되고, 투입되는 케이블(1)은 판스프링(20)의 제1가압부(23)를 밀어 눌리도록 하고, 이어서 제2가압부(25)도 밀어 눌리도록 하면서 전진한다.
케이블(1)의 인입이 완료되면 판스프링(20)의 제1가압부(23) 단부와 제2가압부(25)의 모서리(28)가 단자집(10)의 덮개부(13)와 함께 케이블(1)의 앞뒤 두 곳을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케이블(1)을 수용공간(4)에서 인출시킬 때에는 해체키(30)를 눌러 전진시켜 제1가압부(23)를 눌러준다. 눌리는 제1가압부(23)는 제2가압부(25)도 눌러주게 된다. 제1가압부(23)와 제2가압부(25)가 눌리면 케이블(1)의 가압이 해제되어서, 케이블(1)을 저항 없이 수용공간(4)에서 인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케이블 2 : 본체
3 : 접속구 4 : 수용공간
5 : 해체홀 6 : 통합스위치
10 : 단자집 11 : 지지부
13 : 덮개부 15 : 연결부
20 : 판스프링 21 : 베이스부
23 : 제1가압부 25 : 제2가압부
26 : 제1절곡부 27 : 제2절곡부
30 : 해체키 31 : 누름홈
33 : 걸림홈 37 : 가이드레일
40 : USB포트 41 : 전원스위치
43 : LED표시등

Claims (2)

  1.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USB단자가 접속되는 USB포트;
    상기 USB포트의 전원출력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접속구에 삽입된 플러그의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본체로 투입된 케이블과 상기 접속단자를 접속시키는 접속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은
    상기 본체(2)의 수용공간(4)에 내장되고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집(10)과,
    상기 수용공간(4)에 내장되어서, 자신(20)과 상기 단자집(10)과의 사이로 투입된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판스프링(20)과,
    상기 수용공간(4)과 연결되는 해체홀(5)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진시 상기 판스프링(20)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해체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20)은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의 일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단부가 상기 케이블(1)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23)와,
    상기 베이스부(21)의 타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26)와, 상기 제1절곡부(26)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며 단부가 상기 제1가압부(23)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2절곡부(27)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절곡부(26)와 제2절곡부(27)의 연결부위가 상기 케이블(1)을 가압하는 제2가압부(25)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집(10)은
    상기 판스프링(20)의 베이스부(21)를 지지하는 지지부(11)와,
    상기 판스프링(20)의 제1가압부(23) 및 제2가압부(25)를 마주보는 덮개부(13)와,
    상기 지지부(11)와 덮개부(13)를 일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15)를 포함하고,

    상기 해체키(30)는
    일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단자집(10)에 형성된 가이드홈(17)에 배치되어서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7)과,
    다른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해체홀(5)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b)에 걸림결합되어서 해체홀(5)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임시 걸림홈(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LED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KR1020170103977A 2017-08-17 2017-08-17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KR10192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77A KR101926152B1 (ko) 2017-08-17 2017-08-17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77A KR101926152B1 (ko) 2017-08-17 2017-08-17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152B1 true KR101926152B1 (ko) 2018-12-06

Family

ID=6467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977A KR101926152B1 (ko) 2017-08-17 2017-08-17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53U (ko) 2020-03-19 2021-09-29 조경군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53U (ko) 2020-03-19 2021-09-29 조경군 매립형 콘센트 하우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1484B2 (en) Electrical outlet and removable power module
TWI373706B (en) Power supply and module power connection interface thereof
US20050176281A1 (en) Electric plug with replaceable head unit
US11398700B2 (en) Saf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placeable interface
US7241169B1 (en) Adapter for power supply
CN210266451U (zh) 一种拍摄辅助装置
US7311533B1 (en) Light socket structure
CN105991801A (zh) 一种可扩展功能的智能终端配件***
US6385039B1 (en) Portable computer assembly with a detachable battery module
WO2015032206A1 (zh) 一种终端
KR101926152B1 (ko) 온오프 가능한 usb포트를 구비한 콘센트
US20090290293A1 (en) Power supply for a computer device
CN201523134U (zh) 多功能连接器
CN101147300A (zh) 具有变压器的插座
MX2013009143A (es) Adaptador de energia de red electrica que comprende una celda de combustible.
KR20090001494U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장치
CN206947683U (zh) 一种usb插座
KR101610331B1 (ko)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CN211508054U (zh) 一种用于多国插头的充电器
CN219106632U (zh) 充电组件、充电器以及充电装置
TW201530926A (zh) 電子裝置及其切換式接頭構造
CN107317199B (zh) 一种usb插座
CN215681039U (zh) 电源适配器
CN218472801U (zh) 一种可更换输出接头的直插式移动电源和一种移动电源保护套
CN209948132U (zh) 一种带有压铆螺母结构的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